BOOK Review

book
문화재 보존과 기법(회화 지류편) 양장본
  • ì´ìƒí˜„ ì§€ìŒ | 소와당 | 2014ë…„ 2ì›” 출간

문화재 ë³´ì¡´ê³¼ 기법사회ì ìœ¼ë¡œ í¬ë‚˜í° 문제를 ì¼ìœ¼ì¼°ë˜ 숭례문 ë³µì› ì‚¬íƒœëŠ”, 전통 문화재 ë³´ì¡´ ë° ë³µì› ê¸°ìˆ ì˜ í˜„ì£¼ì†Œë¥¼ 단ì ìœ¼ë¡œ 보여준 사건ì´ì—ˆë‹¤. 가장 í° ì›ì¸ì€ 전통 ê¸°ìˆ ì´ ë„ì œì‹ìœ¼ë¡œ 전수ë˜ëŠ” 관행으로 ì¸í•´, 분야를 막론하고 체계ì ìœ¼ë¡œ 정리ë˜ì§€ 않았기 때문으로 ì§€ì ë˜ê³  있다. ë”°ë¼ì„œ ì–´ë–¤ ê¸°ìˆ ì´ ì†Œë©¸ë˜ì—ˆê³ , ì–´ë–¤ ê¸°ìˆ ì´ ì–´ëŠ ì •ë„까지 유지ë˜ê³  있는지, ì „ì²´ì ì¸ ê·¸ë¦¼ì„ ì–´ëŠ ëˆ„êµ¬ë„ ì•Œ 수 없는 ê²ƒì´ í˜„ìž¬ í•œêµ­ì˜ í˜„ì‹¤ì´ë‹¤.
ê° ë¶„ì•¼ë³„ë¡œ ë¬¸í™”ìž¬ì˜ ìž¬ë£Œì  íŠ¹ì„±ì„ ì •ë¦¬í•˜ê³ , ê·¸ê²ƒì„ ë³´ì¡´í•˜ê¸° 위한 ê³¼í•™ì  ê¸°ìˆ ì„ ì²´ê³„ì ìœ¼ë¡œ 정리하는 ì¼ì€ ì´ ì±…ì˜ ì¶œê°„ìœ¼ë¡œ 비로소 시작ë˜ì—ˆë‹¤ê³  í‰í•  수 있다. ê¸°ì¡´ì˜ ë¶€ë¶„ì ì¸ ë…¼ë¬¸ì„ ì œì™¸í•˜ë©´, 단행본으로 출간ë˜ëŠ” ì´ ë¶„ì•¼ ìµœì´ˆì˜ ì±…ì´ê¸° 때문ì´ë‹¤.
í•œêµ­ì „í†µë¬¸í™”ëŒ€í•™êµ ë¬´í˜•ìœ ì‚°í•™ê³¼ ì´ìƒí˜„ êµìˆ˜ëŠ” 회화 ë° ì§€ë¥˜(종ì´ë¥˜) 문화재 ë³´ì¡´ ë° ê¸°ë²•ì„ í•„ë‘로, 문화재 ë³´ì¡´ì— í•„ìš”í•œ ê¸°ìˆ ë“¤ì„ ì²´ê³„ì ìœ¼ë¡œ 정리하는 êµê³¼ì„œë¥¼ 시리즈로 기íší•˜ê³  있다. ì´ ì±…ì€ ê·¸ 첫번째 성과물ì´ë‹¤.

중국산수화사 1 초기 산수화ì—서 ë¶ì†¡ê¹Œì§€
중국산수화사 2 남송ì—서 ì›ëŒ€ê¹Œì§€
  • 천촨시 ì§€ìŒ, ê¹€ë³‘ì‹ ì˜®ê¹€ | 심í¬ë‹ˆ | 2014ë…„ 1ì›” 출간

주욱산수화사1천 500ë…„ì— ê±¸ì³ ì´ì–´ì§„ íšŒí™”ì˜ ë…¼ìŸê³¼ ì‚°ìˆ˜í™”ì˜ ë³€í™”ë¥¼ 전문ì ì´ì§€ë§Œ 알기 쉽게 풀어쓴 ì±…ì´ë‹¤. ë™ì–‘ì˜ ì˜ˆìˆ ê³¼ 사ìƒì— 대한 안목과 예술 ì „ë°˜ì— ëŒ€í•œ 새로운 ì¸ì‹ì„ 제공하고 있다. 역대로 산수화는 중국회화ì—서 가장 ë†’ì€ ì§€ìœ„ë¥¼ 차지해왔으며, 중국회화사ì—서 제기ë˜ì—ˆë˜ ê±°ì˜ ëª¨ë“  ë¬¸ì œë“¤ì€ ì‚°ìˆ˜í™”ì‚¬ì— ë‚´í¬ë˜ì–´ 있다고 ë³´ì•„ë„ ê²°ì½” ê³¼ì–¸ì´ ì•„ë‹ˆë‹¤.
ì €ìžëŠ” 여러 화파(畵派)ì˜ í¥ë§ì„±ì‡ ì—ë§Œ 국한한 ê²ƒì´ ì•„ë‹ˆë¼, ê°ì¢… í™”í’ì˜ í˜•ì„± ì›ì¸ì„ 비롯하여 역대 중국ì¸ë“¤ì´ ì •ì‹ ì„ ê·¸ë¦¼ ìƒì— 형ìƒí™”하게 ëœ ê·¼ë³¸ 취지를 설명하였다. ë˜í•œ 산수화가 부지불ì‹ê°„ì— ì¤‘êµ­ì¸ì˜ ì •ì‹ ì— ê°í™”ìž‘ìš©ì„ ì¼ìœ¼í‚¤ê²Œ ëœ ê³¼ì •ê³¼ ì˜ì˜ë¥¼ ê±°ë“­ 피력하여 ë…ìžë“¤ë¡œ 하여금 ê·¸ë¦¼ì´ ê²°ì½” 사소한 잡기가 ì•„ë‹˜ì„ ì¸ì‹í•˜ë„ë¡ ë…¸ë ¥í–ˆë‹¤.

그림과 ì†Œì„¤ì´ ë§Œë‚¬ì„ ë•Œ
  • 한국 ê³ ì†Œì„¤ë„ íŠ¹ê°• 간호윤 ì§€ìŒ | 새문사 | 2014ë…„ 2ì›” 출간

그림과 ì†Œì„¤ì´ ë§Œë‚¬ì„때<구운몽>, <심청전>, <춘향전>, <임경업전>, <전등신화>, <토ë¼ì „>, <서유기>, <수호전>, <삼국지연ì˜> ë“±ì˜ ê³ ì†Œì„¤ë“¤ì„ ê·¸ë¦¼ìœ¼ë¡œ 만난다.
â€œë¯¼ì¤‘ì˜ ê²¨ë ˆê·¸ë¦¼ì´ë‹¤!â€, “ì†ì„¸ì˜ ì†ì¸ë°°ì˜ 그림ì´ë‹¤!†ì´ëŸ¬í•œ ê·¹ë‹¨ì˜ ë°˜ì‘ì„ ë³´ì´ëŠ” ì†í™”ì— ì†í•œ ‘고소설ë„’를 ì¶”ì í•˜ì˜€ë‹¤.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ê·¸ 수조차 모르고 있는 우리 고소설ë„ë“¤ì„ í•œëˆˆì— ê°ìƒí•˜ë©´ì„œ ê·¸ 유형과 ì˜ë¯¸ì™€ 가치를 확ì¸í•  수 있다. 고설ë„는 ê°ìƒì˜ 박물학ì´ê¸°ì— 소설ë…서, 제화비í‰, 그림, í•™ë¬¸ì˜ ì‹¤ìš©ì„± 등 문ìžì˜ˆìˆ ê³¼ ì¡°í˜•ì˜ˆìˆ ì˜ í¥ë¯¸ë¡œìš´ ë§Œë‚¨ì´ ë  ê²ƒì´ë‹¤.

ê¶ì¤‘문양íŒ(국립고ê¶ë°•물관 소장품ë„ë¡) ì œ7ì±… 양장본
  • 국립고ê¶ë°•물관 ì§€ìŒ | ê·¸ë¼í”½ë„¤íЏ | 2014ë…„ 1ì›” 출간

ê¶ì¤‘문양관국립고ê¶ë°•물관 소장품ë„ë¡ ì œ7ì±… 『ê¶ì¤‘문양íŒã€. ì´ ì±…ì€ ì¡°ì„ ì‹œëŒ€ ê¶ì¤‘ 문양íŒê³¼ ë„íŒì„ 사진과 함께 수ë¡í•œ ì±…ì´ë‹¤. 논고로 국립고ê¶ë°•ë¬¼ê´€ì´ ì†Œìž¥í•˜ê³  있는 문양íŒì˜ 현황과 ê¶ì¤‘ ë³µì‹ ìœ ë¬¼ê³¼ 문ìžë¬¸ì–‘íŒì— ë³´ì´ëŠ” 길ìƒì–´êµ¬ì˜ ì˜ë¯¸ì™€ 출전, ë„íŒëª©ë¡ë„ 함께 ì—¿ë³¼ 수 있다. ì´ ìœ ë¬¼ë“¤ì€ êµ­ë¦½ê³ ê¶ë°•물관ì—서 ìƒì„¤ì „시ë˜ë©° 매년 특별전시가 몇 차례씩 열린다.

í•œêµ­ì‹ í™”ì˜ ìž¬ë°œê²¬

  • 권태효 (ì§€ì€ì´) | 새문사 | 2014ë…„ 2ì›” 출간

í•œêµ­ì‹ í™”ì˜ ìž¬ë°œê²¬í•œêµ­ì˜ ìƒì‚°ë¬¼ 기ì›ì‹ í™”, ì£½ìŒ ê¸°ì›ì‹ í™”, 세계신화 ì†ì— 나타난 ì¸ê°„ 죽ìŒì˜ ê¸°ì› ì–‘ìƒ, í•œêµ­ì˜ ë¶ˆ 기ì›ì‹ í™” 등 우리 ìƒí™œê³¼ 밀접한 ë‚´ìš©ì˜ ì‹ í™”ìžë£Œë“¤ì„ 찾고 세심하게 살펴 ê·¸ ì¡°ê°ë“¤ì„ ë§žì¶°ë³´ê³ , ì „ì²´ì ì¸ êµ¬ë„ ì†ì—서 ìžë¦¬ë¥¼ 잡아 ê·¸ ë©´ë©´ë“¤ì„ ìž¬ë°œê²¬í•´ 낸다. 중요한 가치나 ì„±ê²©ì„ ì§€ë‹ˆê³  있ìŒì—ë„ íŒŒíŽ¸í™”ë˜ì–´ 여타 ì‹ í™”ìžë£Œì— ìž‘ì€ ì‚½í™” 형태로 묻혀버려 무심코 지나치고 ë§ì•˜ì„ 기ì›ì‹ í™”ë“¤ì„ ë„ì§‘ì–´ë‚´ì–´ ë™ì¼í•œ ì„±ê²©ì˜ ë‹¤ë¥¸ ë‚˜ë¼ ì‹ í™”ì— ê²¬ì£¼ì–´ 온전한 모습과 ì˜ë¯¸ë¥¼ 찾아내고 있다. ë˜ ìš°ë¦¬ 구전신화가 가장 í’부하게 남아 있는 ì œì£¼ë„ ì‹ í™”ì˜ ì„¸ê³„ë¥¼ 살피고, 비정ìƒì ì¸ 탈 형ìƒì˜ ì‹ í™”ì  ì—°ì›ê³¼ 유래 등 ê·¸ë™ì•ˆ 소홀시 í•´ì™”ë˜ ì‹ í™”ì™€ 민ì†ì˜ 연관성까지 í¥ë¯¸ë¡­ê²Œ 알아본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