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ë¶ë¦¬ë·°
삼재ë„회집성. 1, 2, 3 삼재ë„회(ìƒ, 중, 하)
삼재ë„회집성. 4, 5 화한삼재ë„회(ìƒ, 하)

삼재ë„회집성

  • í…Œë¼ì‹œë§ˆ 료우 ì§€ìŒ | 왕치, 왕쓰ì´, í™ê¸°ì› 옮김 | 민ì†ì› | 2014ë…„ 6ì›” 출간

중국 ëª…ë‚˜ë¼ ì™•ê¸°(王圻)ê°€ 저술한 ë°±ê³¼ì‚¬ì „ì¸ ë¥¼ 집성한 ì±…ì´ ë‚˜ì™”ë‹¤. 《삼재ë„íšŒì§‘ì„±ã€‹ì˜ 1권부터 3ê¶Œì€ ë¥¼, 4권과 5ê¶Œì€ ì—ë„시대 ì¤‘ê¸°ì— ìˆ˜ì •Â·ë³´ì™„í•´ 간행한 ìµœì´ˆì˜ ì¼ë³¸ 백과사전 를 정리했다. 천문·지리·ì¸ë¬¼Â·ì‹œë ¹Â·ê¶ì‹¤Â·ê¸°ìš©Â·ì‹ ì²´Â·ì˜ë³µÂ·ì¸ì‚¬Â·ì˜ì œÂ·ì§„보·문사·조수·초목으로 분류ë˜ì–´ 있다. 그림과 ë¬¸ìž¥ì´ ìƒí˜¸ ì¸ì¦í•˜ëŠ” ë°©ì‹ìœ¼ë¡œ 세세한 것부터 중요한 것까지 완비ë˜ì–´ 있어 ì‚¬ë£Œì  ê°€ì¹˜ê°€ 충분하다. ê° í•­ëª©ë§ˆë‹¤ ê·¸ë¦¼ì„ ì œì‹œí•˜ì—¬ 등 여러 ì±…ì˜ í•´ì„¤ì„ ë¶™ì—¬ ì´í•´ë¥¼ ë„왔다. ì €ìž í…Œë¼ì‹œë§ˆ 료우 ìžì‹ ì˜ ì˜ê²¬ì€ ì¼ë‹¨ 낮추고 ê·¸ 조사 결과를 기술하였다.

한국 ì‹ í™” l (ì´ì•¼ê¸° ì‹ í™” 시리즈 2)
  • 김경복 ì§€ìŒ | ì²­ì•„ì¶œíŒì‚¬ | 2014ë…„ 5ì›” 출간
한국 신화 l

여러 ì‹ í™” 중ì—ì„œë„ ê±´êµ­ì˜ ì—­ì‚¬ë¥¼ 알려 주는 ê±´êµ­ 신화를 담았다. ê±´êµ­ ì‹œì¡°ì¸ ë‹¨êµ°, ë™ëª…, 주몽, 온조, í˜ê±°ì„¸, 탈해와 알지, 수로, ì™•ê±´ì„ ì¤‘ì‹¬ìœ¼ë¡œ 한 나ë¼ê°€ 탄ìƒí•˜ëŠ” ì‹ í™”ì˜ ê¸°ì›ì„ 알아보고, ê·¸ ì„±ê²©ì„ ì„¤ëª…í–ˆë‹¤. ë˜í•œ ì˜ì›…ì´ìž 위대한 ì¸ë¬¼ë¡œ 그려지는 ê±´êµ­ ì‹œì¡°ë“¤ì˜ íŠ¹ë³„í•œ ëŠ¥ë ¥ì— ê´€í•œ ì‚¬ì‹¤ë“¤ì„ ì´ì•¼ê¸°ë¡œ í’€ì–´ëƒ„ìœ¼ë¡œì¨ ìž¬ë¯¸ë¥¼ ë”했다. ì´ ë°–ì—ë„ ê±´êµ­ ì‹œì¡°ë“¤ì´ ë‚˜ë¼ë¥¼ 건국하는 ë° ë„ì›€ì„ ì¤€ ì¡°ìƒë“¤ê³¼ ì—¬ì¸ë“¤ì˜ ì´ì•¼ê¸°ë„ 함께 엮었다. ê° ì‹œëŒ€ì— í•´ë‹¹í•˜ëŠ” 유물 등 ë„íŒì„ 추가해 한국 신화를 ì½ëŠ” 재미를 한층 높였다. ë…ìžë“¤ë¡œ 하여금 우리 신화를 재발견하는 ì‹œê°„ì´ ë˜ë„ë¡ í–ˆë‹¤. ê±´êµ­ 신화를 중심으로 ë¯¼ì¡±ì˜ ì—­ì‚¬ì„±ì„ ë°œê²¬í•˜ê³ , ê·¸ ì•ˆì— ë¯¼ì¡±ì •ì‹ ì´ ê¹ƒë“¤ì–´ 있ìŒì„ ëŠë‚„ 수 ìžˆì„ ê²ƒì´ë‹¤.

현재 심사정 (ì¡°ì„ ë‚¨ì¢…í™”ì˜ íƒ„ìƒ l 테마 한국문화사 11)
  • ì´ì˜ˆì„± ì§€ìŒ | ëŒë² ê°œ | 2014ë…„ 6ì›” 출간
현재 심사정

ì‹¬ì‚¬ì •ì— ê´€í•œ êµ­ë‚´ 대표 연구ìžì¸ ì €ìž ì´ì˜ˆì„±ì´ 심사정 ë‹¹ì‹œì˜ ìˆ±í•œ ìžë£Œì™€ ê·¸ì— ê´€í•œ 기ë¡ì€ 물론 그가 남긴 약 300ì—¬ ì ì˜ ìž‘í’ˆì„ ì‚´íŽ´ ê·¸ì˜ ìƒì• ì™€ 예술 세계를 고스란히 담아낸 ì±…ì´ë‹¤. ê·¸ì— ê´€í•œ 기ë¡ì€ ë§Žì§€ 않지만 ì €ìžëŠ” 당대 다른 í™”ê°€ë“¤ì´ ë‚¨ê¸´ 작품들과 ì‹¬ì‚¬ì •ì˜ ìž‘í’ˆë“¤ì„ í•¨ê»˜ ì‚´í•Œìœ¼ë¡œì¨ ì‹¬ì‚¬ì •ì´ ê·¸ 당시 다른 문ì¸í™”가들과는 어떻게 다른 ê¸¸ì„ ê±¸ì—ˆëŠ”ê°€ë¥¼ ìƒìƒí•˜ê²Œ ë°ížŒë‹¤. ë˜í•œ ì‹¬ì‚¬ì •ì´ ì¤‘êµ­ìœ¼ë¡œë¶€í„° ì–´ë–¤ ì˜í–¥ì„ 받고, ê·¸ê²ƒì„ í† ëŒ€ë¡œ ì¡°ì„ ë§Œì˜ íŠ¹ì§•ì ì¸ í™”í’ì„ ë§Œë“¤ì–´ë‚¸ ê³¼ì •ì„ ì§‘ì¤‘ì ìœ¼ë¡œ ì‚´íˆìœ¼ë©°, 그로부터 ì˜í–¥ì„ ë°›ì€ í›„ëŒ€ í™”ê°€ë“¤ì˜ ìž‘í’ˆê¹Œì§€ 비êµí•¨ìœ¼ë¡œì¨ ì‹¬ì‚¬ì •ì„ ê¸°ì ìœ¼ë¡œ ê·¸ 앞과 옆, 그리고 í›„ëŒ€ê¹Œì§€ì˜ ì¡°ì„  ë¯¸ìˆ ì‚¬ì˜ ì „í›„ë¥¼ 함께 들여다보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ì±…ì˜ ë§ë¯¸ì—는 ì‹¬ì‚¬ì •ì˜ ì£¼ìš” ì—°ë³´ê°€ 실려 있는ë°, ì‹¬ì‚¬ì •ì˜ ìƒì• ì™€ 한국 ë¯¸ìˆ ì‚¬ì˜ ì£¼ìš” 사건, 그리고 ì—¬ê¸°ì— ì—°ë„별 ì‹¬ì‚¬ì •ì˜ ìž‘í’ˆì´ í•¨ê»˜ 배치ë˜ì–´ 있다.

조선회화
  • í™ì„ í‘œ ì§€ìŒ | 한국미술연구소 | 2014ë…„ 5ì›” 출간
조선회화

ì¡°ì„  회화를 ì—°ëŒ€ê¸°ì  ì„œìˆ  ë°©ì‹ì—서 벗어나 ì‚¬íšŒë¬¸í™”ì  ê¸°ë°˜ê³¼ 기ë¡ë“¤ì„ ì¶”ì í•˜ê³  대외관계를 ë°ížŒ ì±…ì´ë‹¤. 제Ⅰ부는 조선시대 ê·¸ë¦¼ì˜ ê¸°ëŠ¥ê³¼ ìš©ë„, 장소성과 지역성, ë‹´ë‹¹ì¸µì˜ ì œë„ì  ì†ì„±ê³¼ íšŒí™”ì  ì¸ì‹ ë“±ì„ í†µí•´ 다룬 논고를, 제Ⅱ부는 ë™ì•„ì‹œì•„ì˜ ì‹œê°ì—서 ì¡°ì„  íšŒí™”ì˜ ì¤‘êµ­ ë° ì¼ë³¸ê³¼ì˜ 대외관계를 규명한 논문ì„, 제Ⅲ부ì—는 안견과 ê°•í¬ì•ˆ, ì •ì„ , 최ë¶, ê¹€í™ë„, 신윤복과 ê°™ì€ ì¡°ì„ ì˜ ëŒ€í‘œì ì¸ í™”ê°€ë“¤ì˜ ìž‘ê°€ìƒì„ ê¸°ì¡´ì˜ ì§ì—…화가와 문ì¸í™”ê°€ì˜ ì´ë¶„ë²•ì  í‹€ì—서 벗어나 새롭게 규정하고 재구성한 ê¸€ì„ ìˆ˜ë¡í–ˆë‹¤. ì œ Ⅳ부ì—는 ì¡°ì„ ì˜ íšŒí™”ì„¸ê³„ë¥¼ 방고산수화와 실경산수화, 고사ì¸ë¬¼í™”와 í’ì†í™”, 계회ë„, ë™ë¬¼í™”, 민화, 춘화 ë“±ì˜ ìž‘í’ˆê³¼ ê·¸ 갈래별·유형별 역사와 주제ì˜ì‹ ë° í™”í’ì„ í†µí•´ 살펴본 ê²ƒì„ ì‹¤ì—ˆë‹¤.

ê·¸ë¦¼ì´ ëœ ìž„ì§„ì™œëž€ (근세 ì¼ë³¸ ê³ ë¬¸í—Œì˜ ì‚½í™”ë¡œ 보는 7ë…„ ì „ìŸ)

ê·¸ë¦¼ì´ ëœ ìž„ì§„ì™œëž€

  • ê¹€ì‹œë• ì§€ìŒ| 학고재 | 2014ë…„ 5ì›” 출간

ë™ë¶ì•„ 질서를 ë’¤í”ë“  근세 ìµœëŒ€ì˜ êµ­ì œì „, 임진왜란 ê·¸ 7ë…„ì˜ ê¸°ë¡ì„ 삽화로 담아낸 . 17~19세기 ì¼ë³¸ì˜ 목íŒí™”와 채색화 300ì—¬ ì ì„ êµ­ë‚´ 최초로 ì„ ë³´ì´ë©° 전근대 ë™ì•„시아와 한반ë„를 ë°”ë¼ë³´ëŠ” 근세 ì¼ë³¸ì¸ë“¤ì˜ ê´€ì ì„ 소개한다. ì €ìžëŠ” 서울대 규장ê°í•œêµ­í•™ì—°êµ¬ì› ì¡°êµìˆ˜ë¡œ, 고문헌 연구를 통해 전근대 ì¼ë³¸ì˜ ëŒ€ì™¸ì „ìŸ ë‹´ë¡ ì„ ì¶”ì í•˜ê³  있다. 근세 ì¼ë³¸ì˜ 임진왜란 ë¬¸í—Œì— ìˆ˜ë¡ëœ 삽화가 ì–´ë–¤ ì—­ì‚¬ì  ì „ê°œë¥¼ ë³´ì´ë©° ìƒì‚°ë˜ì—ˆëŠ”ì§€ë¥¼ ì„¤ëª…í•¨ìœ¼ë¡œì¨ ìž„ì§„ì™œëž€ì— ëŒ€í•œ ìž…ì²´ì ì¸ ì´í•´ë¥¼ ë•는다.

í˜¸ë‚¨ì˜ ê°ì„±ìœ¼ë¡œ 그리다 (24ì¸ì˜ 호남서화가 ì´ì•¼ê¸° l)
  • ì´ì„ ì˜¥ ì§€ìŒ| 전남대학êµì¶œíŒë¶€ | 2014ë…„ 5ì›” 출간
í˜¸ë‚¨ì˜ ê°ì„±ìœ¼ë¡œ 그리다

조선시대부터 근대기까지 활ë™í•œ 호남 서화가 24ëª…ì— ëŒ€í•œ 기초ì ì¸ 전기를 기술하면서 작품세계를 쉽게 소개했다. 공재 윤ë‘서, 소치 허련, ì„ì§€ 채용신부터 수화 김환기, 옥사 천경ìžê¹Œì§€ í˜¸ë‚¨ì´ í’ˆì€ ì˜ˆìˆ ê°€ë“¤ì„ ë‹¤ë¤˜ë‹¤. â€˜ì˜ˆìˆ ì˜ ê³ í–¥â€™ì´ë¼ëŠ” ëª…ì„±ì„ ì–»ê¸°ê¹Œì§€ ìˆ˜ë§Žì€ ì˜ˆìˆ ê°€ë“¤ì´ ê° ë¶„ì•¼ì—서 ì—…ì ì„ 내었다. 그럼ì—ë„ ê·¸ë“¤ì— ëŒ€í•œ 연구와 소개는 몇몇 ì´ë¦„난 ì„œí™”ê°€ë“¤ì— êµ­í•œë˜ì–´ 있다. ì´ ì±…ì—서는 짧게나마 여러 ì„œí™”ë“¤ì˜ ì´ì•¼ê¸°ë¥¼ 함께 묶어 í˜¸ë‚¨ì„œí™”ì— ëŒ€í•œ ì´í•´ì˜ í­ì„ ë„“ížˆê³ ìž í•˜ì˜€ë‹¤. í˜¸ë‚¨ì˜ ì„œí™”ê°€ë¼ê³  했지만 ê·¸ë“¤ì˜ í™œë™ ì˜ì—­ì€ ì „êµ­ì„ ë„˜ì–´ 세계로 향해 있으며, ê°ìž 한 ì‹œëŒ€ì˜ íšì„ 긋는 중요한 예술가들ì´ë‹¤.

ì¡°ì„ ì˜ ìŠµì†

ì¡°ì„ ì˜ ìŠµì†

  • ì¡°ì„ ì´ë…ë¶€ ì§€ìŒ | 장ë‘ì‹, ê¹€ì˜ìˆœ 옮김 | 민ì†ì› | 2014ë…„ 6ì›” 출간

ì¡°ì„ ì˜ ìŠµì†ì€ ì´ë…부가 본격ì ì¸ ì¡°ì„ êµ¬ê´€ì¡°ì‚¬ì‚¬ì—…ì„ ì‹œí–‰í•˜ê¸°ì— ì•žì„œ, ìš°ì„  ì¼ë³¸ì¸ì—게 ì¡°ì„ ì¸ì˜ ìƒí™œ ì „ë°˜ì— ëŒ€í•œ 개략ì ì¸ ì´í•´ë¥¼ ë„모하기 위해 ì¡°ì„ ì˜ ì—¬ëŸ¬ í’ìŠµì„ ê¸°ìˆ í•œ 입문서ë¼ê³  í•  수 있다. 계급, 남녀유별, 혼례와 장례, 복장, ìŒì‹, 주거, 오ë½ê³¼ 취미 등 ì¼ì œê°•ì ê¸° 우리 í’ì†ë¬¸í™”ì˜ ë³€ìš©ê³¼ì •ì„ êµ¬ì²´ì ìœ¼ë¡œ ì‚´í•„ 수 있는 ìžë£Œì´ìž, 실ì¦ì ì¸ 기술 ì†ì—서 당대 í’ì† ë¬¸í™”ì˜ ëª¨ìŠµì˜ ìž¬êµ¬ì„±í•  수 ìžˆì„ ê²ƒì´ë‹¤.

칠보문화사 (ì¼ë³¸ ì¹ ë³´ì˜ ì—­ì‚¬ë¥¼ ì½ë‹¤)

칠보문화사

  • 모리 히ë°í†  ì§€ìŒ | 윤기숙 옮김 | 미진사 | 2014ë…„ 6ì›” 출간

ê²ê³ ì‹œì¦ˆì¹´ê³ ë¶„ì—서 ë°œê²¬ëœ ê·€ê°‘í˜• ì¹ ë³´ 금구를 시작으로 ì¹ ë³´ ê³µì˜ˆì˜ ì—­ì‚¬ë¥¼ 서술한다. ì´í›„ 불êµë¬¸í™”, 막부 정치, ë©”ì´ì§€ìœ ì‹  등 ì—­ì‚¬ì˜ í름 ì†ì—서 ë‹¹ëŒ€ì˜ ì˜í–¥ì„ 받으며 발전한 ì¹ ë³´ 공예를 ìž‘í’ˆì„ ì¤‘ì‹¬ìœ¼ë¡œ 살펴본다. ì´ì™€ 함께 바탕재료와 ìœ ì•½ì˜ ê°œë°œë¡œ 탄ìƒí•œ 다양한 ì¢…ë¥˜ì˜ ì¹ ë³´, ì¼ë³¸ì˜ ì¹ ë³´ 문화를 주ë„한 명ì¸ì„ 소개하고 있다. 히ë¼íƒ€ ë„닌(平田é“ä»), 가초(嘉長), 나미카와 소스케(æ¿¤å·æƒšåŠ©), 나미카와 야스유키(ç«å·é–之), ë…ì¼ì¸ 바그너(Gotfried Wagner) 등 한 ì‹œëŒ€ì˜ ì¹ ë³´ ì˜ˆìˆ ì„ ì£¼ë„한 명ì¸ë“¤ê³¼ ê·¸ë“¤ì„ í›„ì›í•œ ì´ë“¤, ì¹ ë³´ ìž‘í’ˆì„ ë‘˜ëŸ¬ì‹¼ 시대 ìƒí™©ê³¼ ì¸ë¬¼ë“¤ì— 대한 ì´ì•¼ê¸°ê°€ 재미있게 서술ë˜ì–´ 있다.

그림소담 (ê°„ì†¡ë¯¸ìˆ ê´€ì˜ ì•„ë¦„ë‹¤ìš´ 그림)
  • íƒí˜„ê·œ ì§€ìŒ | ë””ìžì¸í•˜ìš°ìФ | 2014ë…„ 6ì›” 출간
그림소담

ë² ì¼ì— 싸여 ë”ìš± í˜¸ê¸°ì‹¬ì„ ìžê·¹í–ˆë˜ ê°„ì†¡ë¯¸ìˆ ê´€ì˜ ëª…í™”ë¥¼ ì½ì–´ì£¼ëŠ” ì±…ì´ë‹¤. ì €ìžëŠ” 현재 ê°„ì†¡ë¯¸ìˆ ê´€ì˜ ì—°êµ¬ì›ì´ìž, í•™ìƒë“¤ì— 대한 ê°•ì˜ì™€ 다양한 글로 우리 그림과 ëŒ€ì¤‘ê³¼ì˜ ì—°ê²° 고리 ì—­í• ì„ í•´ì˜¨ íƒí˜„ê·œ. 누구보다 간송미술관 ìž‘í’ˆë“¤ì— ëŒ€í•œ 조예가 ê¹Šì€ ê·¸ëŠ” ë¯¸ìˆ ê´€ì— ì†Œìž¥ëœ ê·¸ë¦¼ 중 30ê°œì˜ ìž‘í’ˆì„ ì—„ì„ í•˜ì—¬ ë…ìžë“¤ì—게 소개하고 있다. 전시 때 미술관ì—서 파는 ë„ë¡ ì™¸ì— ê°„ì†¡ë¯¸ìˆ ê´€ì˜ ê·¸ë¦¼ë§Œì„ ë³¸ê²©ì ìœ¼ë¡œ 다룬 첫 번째 ì±…ì´ë¼ê³  í•  수 있다. ì €ìžëŠ” 누구보다 ë¯¸ìˆ ê´€ì— ì†Œìž¥ëœ ìž‘í’ˆë“¤ 앞ì—서 보낸 ì‹œê°„ì´ ë§Žì•˜ë˜ ê²ƒë§Œí¼ ê·¸ë¦¼ì— ëŒ€í•œ íŒŒì•…ì´ íƒì›”하다. ê° ìž¥ë§ˆë‹¤ 마치 í•˜ë‚˜ì˜ ì „ì‹œíšŒë¥¼ 기íší•˜ë“¯ 테마를 정하고, ì´ì²´ì ìœ¼ë¡œ 정리했다. ìµìˆ™í•œ í™”ê°€ì˜ ìœ ëª…í•œ 그림ë¿ë§Œ 아니ë¼, í™”ê°€ì˜ ì¸ì§€ë„ì— ë°€ë ¤ ì¼ë°˜ 대중ì—게 잘 알려지지 ì•Šì€ ê·¸ë¦¼ë“¤ë„ ë†“ì¹˜ì§€ 않고 수ë¡í•˜ì˜€ë‹¤.

명화 ì½ì–´ì£¼ëŠ” 박물관 (미술로 보는 ë™ì„œì–‘ì˜ ì‚¬ëž‘ì´ì•¼ê¸°)

명화 ì½ì–´ì£¼ëŠ” 박물관

  • 국립제주박물관 ì§€ìŒ | 서경문화사 | 2014ë…„ 5ì›” 출간

사랑ì´ë¼ëŠ” 주제로 ë™ì„œì–‘ì˜ ê·¸ë¦¼ì„ í’€ì–´ë‚¸ ì±…ì´ë‹¤. í’ì†í™”ì— ë‚˜íƒ€ë‚œ 조선시대 ì‚¬ëžŒì˜ ì‚¶ê³¼ 사랑, ì˜ê¶¤ë¡œ 보는 ì™•ì‹¤ì˜ ê²°í˜¼, ì¡°ì„  ì‚°ì²œì„ ì‚¬ëž‘í•œ 천재화가 겸재 ì •ì„ , ìŠ¤ìŠ¹ì„ ë‹®ê³ ìž í–ˆë˜ ì†Œì¹˜ í—ˆë ¨ì˜ ì‚¶ê³¼ 예술, ê·¸ë¦¼ì— ê¹ƒë“  ì—¬ì¸ì˜ ì‚¶ê³¼ 사랑, ì¡°ì„  후기 춘화, ì¼ë³¸ ê²ì§€ëª¨ë…¸ê°€íƒ€ë¦¬ì˜ 예술과 사랑, ì¸ë„ 민화로 떠나는 신화여행 등 다양한 ì£¼ì œì˜ ê¸€ê³¼ ê·¸ë¦¼ë“¤ì´ ë‹´ê²¨ 있다.

í•œêµ­ì˜ ë‚˜í•œë„ (한국미술연구소 기íšë„서)

í•œêµ­ì˜ ë‚˜í•œë„

  • ì‹ ê´‘í¬ ì§€ìŒ | 한국미술연구소 | 2014ë…„ 5ì›” 출간

ë„를 깨우친 ì¡´ìžë¥¼ ì¼ì»«ëŠ” ë‚˜í•œì„ ê·¸ë¦° 나한ë„는 고려시대 작품부터 전해오지만, 대부분 ì¡°ì„ ì‹œëŒ€ì— ê·¸ë ¤ì¡Œë‹¤. ì´ ì±…ì€ ì œ1장 ë‚˜í•œì˜ ê°œë…ê³¼ 구성, ì œ2장 ë‚˜í•œì‹ ì•™ì˜ ì„±ë¦½ê³¼ ì „ê°œ, ì œ3장 고려시대 나한ë„, ì œ4장 ì¡°ì„  전기 나한ë„, ì œ5장 ì¡°ì„  후기 나한ë„ì˜ ì œìž‘ê³¼ 봉안, ì œ6장 ì¡°ì„  후기 나한ë„ì˜ ë„ìƒê³¼ í™”í’, ì œ7장 한국 나한ë„ì˜ íŠ¹ìˆ˜ì„±ìœ¼ë¡œ 나누어 ì‹ ì•™ì˜ ì„±ë¦½ë¶€í„° 나한ë„ì— ë³´ì´ëŠ” í™”í’ê³¼ ë°œì›ìžì— 대한 내용까지 풀어내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