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ì ì˜ 장íŒêµ 전투 그림 ‘장비, ì¡°ì¡°ì˜ ëŒ€êµ°ì„ í™€ë¡œ 막아서다’

삼국지ì—는 ë„ì›ê²°ì˜, 삼고초려, ì ë²½ëŒ€ì „ 등 ìˆ˜ë§Žì€ ì „ì„¤ ê°™ì€ ì´ì•¼ê¸°ë“¤ì´ 존재한다. 그리고 ì´ ìž¥ë©´ë“¤ì€ ì‚½í™”, 화첩, 병í’, 족ìžì˜ 형태로 그려져 사람들ì—게 ê°ê³„ì˜ ì˜ë¯¸ë¥¼ 전달하는 ì—­í• ì„ í•˜ê¸°ë„ í•˜ê³ , ì§‘ì•ˆì— ìž¥ì‹ë˜ì–´ ë°©ì•ˆì„ ê¾¸ë¯¸ëŠ” ì—­í• ì„ í•˜ì˜€ë‹¤. ì¡°ì„ ì‹œëŒ€ì— ì—¬ëŸ¬ 번 ì¶œíŒë  ì •ë„로 ì¸ê¸°ê°€ ìžˆì—ˆë˜ ì‚¼êµ­ì§€ë¥¼ 그림으로 그린 ê²ƒì„ ì‚¼êµ­ì§€ë„(三國志圖)ë¼ê³  한다.

ì¡°ì„ ì—서 ë„리 ì‚¬ëž‘ë°›ì€ ì‚¼êµ­ì§€

삼국지ë„(三國志圖)는 ì¤‘êµ­ì˜ 4대 기서 중 í•˜ë‚˜ì¸ ì‚¼êµ­ì§€(三國志)ì˜ ë‚´ìš©ì„ ê·¸ë¦° ê·¸ë¦¼ì„ ë§í•œë‹¤. 삼국지는 ì¡°ì„  ê±´êµ­ ì´ëž˜ 명나ë¼ì™€ì˜ 사대사행(事大使行)ì„ í†µí•´ 경서, 시 ë¬¸ì§‘ì€ ë¬¼ë¡  ëª…ëŒ€ì˜ ìœ í–‰í•˜ë˜ ì†Œì„¤ë¥˜ë„ í•¨ê»˜ ë“¤ì–´ì™”ëŠ”ë° ê·¸ì¤‘ì˜ í•˜ë‚˜ê°€ 삼국지였다. 삼국지는 ì¡°ì„ ì‹œëŒ€ì— ì—¬ëŸ¬ 번 ì¶œíŒë˜ì—ˆë‹¤. 처ìŒì—는 ê´€ê°(官刻)으로 ê°„í–‰ë˜ì—ˆë‹¤ê°€ 후기ì—는 주로 ë°©ê°ë³¸(åŠåˆ»æœ¬)으로 ê°„í–‰ë˜ì—ˆê³ , 18ì„¸ê¸°ì— ë“¤ì–´ì„œë©´ì„œ 집집마다 통ë…í•  ë§Œí¼ ìœ í–‰í•˜ì—¬ 과거 ì‹œí—˜ìž¥ì— ì‹œì œë¡œë„ ë“±ìž¥í•˜ê²Œ ë˜ì—ˆë‹¤.
삼국지ì—는 ë„ì›ê²°ì˜, 삼고초려, ì ë²½ëŒ€ì „ 등 ìˆ˜ë§Žì€ ì „ì„¤ ê°™ì€ ì´ì•¼ê¸°ë“¤ì´ 존재한다. 그리고 ì´ ìž¥ë©´ë“¤ì€ ì‚½í™”, 화첩, 병í’, 족ìžì˜ 형태로 그려져 사람들ì—게 ê°ê³„ì˜ ì˜ë¯¸ë¥¼ 전달하는 ì—­í• ì„ í•˜ê¸°ë„ í•˜ê³ , ì§‘ì•ˆì— ìž¥ì‹ë˜ì–´ ë°©ì•ˆì„ ê¾¸ë¯¸ëŠ” ì—­í• ì„ í•˜ì˜€ë‹¤. 그중ì—서 ì´ë²ˆ 가회민화박물관 컬렉션 소개ì—서는 ì‚¼êµ­ì§€ë„ ì¤‘ 장íŒêµ(長傿©‹)ì—서 ì¡°ì¡°ì˜ êµ°ëŒ€ë¥¼ ë§‰ì€ ìž¥ë¹„ì˜ ì´ì•¼ê¸° ìž¥ë©´ì— ëŒ€í•´ 다루어 ë³´ë„ë¡ í•˜ê² ë‹¤. ìž¥ë¹„ì˜ ë‹´ë ¥ê³¼ ìš©ë§¹ì´ í•œê» ë–¨ì¹œ 모습으로 ë‹´ì•„ë‚´ê³  있는 ì´ ìž¥ë©´ì€ ì‚¼êµ­ì§€ 관련 그림 중ì—서 ë„ì›ê²°ì˜ì™€ 함께 가장 ë§Žì´ ì œìž‘ë˜ëŠ” 그림ì´ë‹¤.

홀로 ì¡°ì¡°ì˜ ëŒ€êµ° 막아선 ìž¥ë¹„ì˜ ê¸°ê°œ

208ë…„(건안 13ë…„) ëŒ€êµ°ì„ ì´ëŒê³  형주를 시작으로 ë‚¨ë°©ì„ ì •ë³µí•˜ëŸ¬ 나선 ì¡°ì¡°ì— ì«“ê²¨ ìœ ë¹„êµ°ì€ í‡´ê°í•˜ê³  있었다. ê·¸ 뒤를 ì ì§„ì— ë‚¨ê²¨ì§„ ìœ ë¹„ì˜ ì•„ë“¤ì„ êµ¬í•´ ê°€ìŠ´ì— í’ˆê³  ì¡°ì¡°êµ°ì˜ í¬ìœ„를 뚫고 달려오는 ì¡°ìžë£¡ì„ ë•기 위해 장비가 장팔사모(丈八蛇矛)를 들고 장íŒêµ ìœ„ì— ì„œ 있었다. ìœ ë¹„êµ°ì˜ ìµœí›„ë¥¼ ë‹´ë‹¹í•˜ë˜ ìž¥ë¹„ëŠ” 20ì—¬ ê¸°ì˜ ê¸°ë³‘ì„ ë‹¤ë¦¬ 뒤편 숲으로 ë³´ë‚´ ë§ê¼¬ë¦¬ì— 나뭇가지를 달아 í™ë¨¼ì§€ë¥¼ ì¼ìœ¼ì¼œ ëŒ€êµ°ì´ ìˆ¨ì–´ 있는 것으로 위장하였다. 그런 후 장비는 홀로 ë§ì— ì˜¬ë¼ ìž¥ì‚¬íŒ”ëª¨ë¥¼ 들고 다리 ì•žì„ ë§‰ì•„ì„œì„œ ëŒ€êµ°ì´ ìžˆëŠ” 듯 ì¡°ì¡°êµ°ì„ í–¥í•´ ëª©ì²­ê» ì†Œë¦¬ë¥¼ 내질렀다. ì´ì— ì¡°ì¡° ì˜†ì— ìžˆë˜ ìž¥ìˆ˜ í•˜ìš°ê±¸ì€ ë§ì—서 떨어졌으며 ì´ë¥¼ 계기로 ì¡°ì¡°êµ°ì€ ìž¥ë¹„ì˜ ì—„ì²­ë‚œ ê¸°ê°œì— ëˆŒë ¤ 달아나고 ë§ì•˜ë‹¤. ê·¸ 후 장비는 장íŒêµë¥¼ 부수어버리고 유비를 ì«“ì•„ ë’¤ëŒì•„ 간다.

3단 êµ¬ì„±ì„ ì•Œì°¨ê²Œ 활용한 화면배치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¼êµ­ì§€ë„ ì¤‘ì—서 ìœ„ì˜ ì´ì•¼ê¸°ë¥¼ 그린 장면 다섯 ì ì„ 모아 보았다. ê·¸ë¦¼ë“¤ì˜ êµ¬ë„는 í¬ê²Œ 3단으로 구성ë˜ì–´ 있다. ìƒë‹¨ì—는 ì‚°ê³¼ ì–¸ë• ë“±ì˜ ê²½ë¬¼ê³¼ ì¡°ìžë£¡ì˜ ëª¨ìŠµì´ ê·¸ë ¤ì ¸ 있는ë°, ì‚° 뒤로는 ê¹ƒë°œì´ ê·¸ë ¤ì§€ê¸°ë„ í•˜ì˜€ë‹¤. ì´ëŠ” 숲 ë’¤íŽ¸ì— ìˆ¨ì–´ 있는 ìž¥ë¹„ì˜ ê¸°ë³‘ë“¤ì„ í‘œí˜„í•œ 것으로 ë³´ì¸ë‹¤. ì‚°ìˆ˜ì˜ í‘œí˜„ì€ ê·¸ë¦¼1ì˜ ê²½ìš°ì—는 먹 선으로 그린 다ìŒì— 옅게 ì±„ìƒ‰ì„ í•˜ì˜€ë‹¤. 구불거리는 ì‚°ì„¸ì˜ í‘œí˜„ì€ ëŠ¥ìˆ™í•˜ë‹¤ê³  í•  수는 없지만, 울창한 ì‚°ë¦¼ì„ ì„¸ë¡œë¡œ ê·¸ì€ ë¨¹ì„  위로 가로질러 세 ê°œì˜ ì„ ìœ¼ë¡œ 표현해 ë†“ì€ ê²ƒìœ¼ë¡œ ë³´ì•„ ì´ ê·¸ë¦¼ì„ ê·¸ë¦° 작가가 ë¯¸ë²•ì‚°ìˆ˜ì˜ ê¸°ë²•ì„ ì–´ëŠ ì •ë„ ì•Œê³  있었ìŒì„ 보여준다. 그리고 ì‚° 뒤로 빽빽하게 ì¹¨ì—½ìˆ˜ë¦¼ì„ í‘œí˜„í•´ 놓았다. 그림3, 그림4, 그림5ì˜ ì‚°ìˆ˜ í‘œí˜„ì€ ë¨¹ì„ ìœ¼ë¡œ ìœ¤ê³½ì„ ê·¸ë¦° 후 먹으로 ìŒì˜ 표현한 것ì—ë§Œ 그치는 등 ì‚°ìˆ˜ì˜ í‘œí˜„ì€ ìƒëžµë˜ì–´ 있다. ìƒë‹¨ì— ìœ ë¹„ì˜ ì•„ë“¤ ì•„ë‘(ìœ ë¹„ì˜ ì•„ë“¤ ìœ ì„ ì˜ ì•„ëª…)를 ê°€ìŠ´ì— ì•‰ê³  ë§ì„ 달리고 있는 ì¡°ìžë£¡ì˜ ëª¨ìŠµì„ í•¨ê»˜ 그린 ê·¸ë¦¼ë„ ìžˆë‹¤(그림2, 그림5). ì¡°ìžë£¡ì˜ í’ˆ ì•ˆì— ë“¤ì–´ ìžˆì„ ì•„ë‘ì˜ ëª¨ìŠµì„ ì¡°ìžìš©ì˜ ê°€ìŠ´ì„ ë‘¥ê·¸ë ‡ê²Œ 뚫어 보여주는 ë°©ë²•ì´ íŠ¹ì§•ì ì´ë‹¤.
중단ì—는 장íŒêµì™€ 장비가 그려져 있다. ì´ ì´ì•¼ê¸°ì˜ 주ì¸ê³µì¸ 장비는 ë§ì„ 타고 장팔사모를 ë‘ ì†ìœ¼ë¡œ 높게 들고 다리 ìœ„ì— ì„œ 있다. ì´ëŸ° ëª¨ìŠµì€ ë‹¤ì„¯ ì  ëª¨ë‘ì— ê³µí†µìœ¼ë¡œ ë‚˜íƒ€ë‚˜ëŠ”ë° ì¡°ì¡°ì˜ ëŒ€êµ°ì—게 장비가 ë²½ë ¥ê°™ì€ í˜¸í†µì„ ì¹˜ëŠ” ëª¨ìŠµì„ í˜•ìƒí™”한 것ì´ë‹¤. ìž¥ë¹„ì˜ í‘œì •ì€ ì¡°ì¡°ì˜ êµ°ì‚¬ë“¤ì„ ìœ„í˜‘í•˜ëŠ” í‘œì •ì„ ì§“ê³  있으며 그가 타고 있는 ë§, í‘œì›”ì˜¤ë„ ê·¸ì˜ ì£¼ì¸ì— 맞추어 으르ë ê±°ë¦¬ê³  있다.(그림1) ìž¥ë¹„ì˜ ì–¼êµ´ì€ ê²€ê³ , 거친 ìˆ˜ì—¼ì„ í•˜ê³  있다. ë‚˜ê´€ì¤‘ì˜ ã€Šì‚¼êµ­ì§€ì—°ì˜ã€‹ì—서는 장비를 ‘키가 팔척(약 1m 84cm)ì— í‘œë²” ê°™ì€ ë¨¸ë¦¬, 번ì©ì´ëŠ” 눈, ê·¼ìœ¡ì§ˆì˜ ì•„ëž˜í„±, í˜¸ëž‘ì´ ê°™ì€ ìˆ˜ì—¼ì—다 목소리는 우레와 같고 íž˜ì€ ê±°ì¹œ ë§ê³¼ 같다’고 묘사했다. ìž¥ë¹„ì˜ ì–¼êµ´ì´ ê²€ì—ˆë‹¤ëŠ” 기ë¡ì€ ì—†ëŠ”ë° ê·¸ë¦¼ ì† ìž¥ë¹„ì˜ ì–¼êµ´ì€ ë³´í†µ 검게 표현ëœë‹¤. ì´ëŠ” 중국 ê²½ê·¹ì˜ ë¶„ìž¥ì—서 ìœ ëž˜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ì¤‘êµ­ì˜ ì „í†µê·¹ì¸ ê²½ê·¹ì—서 ì–¼êµ´ì— ê°ê° ê²€ì€ ì¹ , ë¶‰ì€ ì¹ , 하얀 칠로 분장한 ì¸ë¬¼ë“¤ì´ ë“±ìž¥í•˜ëŠ”ë° ê°ê° 서로 다른 성격 íŠ¹ì§•ì„ ë‚˜íƒ€ë‚¸ë‹¤. ë¶‰ì€ ì–¼êµ´ë¡œ 분장한 ì¸ë¬¼ì€ ì¼ë°˜ì ìœ¼ë¡œ ê¸ì •ì ì¸ ì¸ë¬¼ ì—­í• ì„ ë§¡ì•„ 연출하고, 하얀 ì–¼êµ´ì„ í•œ ì‚¬ëžŒì€ ì•…í•œ 사람, 까만 얼굴 ë¶„ìž¥ì„ í•œ ì‚¬ëžŒì€ ì •ì§í•˜ê³  ì¶©ì‹ ì¸ ì‚¬ëžŒ, ì¸ì •사정 ë³´ì§€ 않고 공정한 사람 í˜¹ì€ ì•žë’¤ë¥¼ 가리지 않는 우악스러운 사람 ì—­ì„ ë§¡ëŠ”ë‹¤. 그래서 경극ì—서 ì‚¼êµ­ì§€ì˜ ê´€ìš´ìž¥ì€ ë¶‰ì€ ì–¼êµ´, 조조는 하얀 얼굴, 장비는 ê²€ì€ ì–¼êµ´ë¡œ 등장한다. ì´ê²ƒì´ ì‚¬ëžŒë“¤ì˜ ë¨¸ë¦¬ì— ë°•í˜€ 그림ì—까지 ì´ì–´ì§€ê²Œ ëœ ê²ƒì´ë‹¤.
장비가 타고 있는 ë§ì€ ê·¸ì˜ ì• ë§ˆì¸ í‘œì›”ì˜¤ë¼ëŠ” ë§ì¸ë° ê²€ì€ ê°ˆê¸°ì— ê²€í‘¸ë¥¸ í„¸ì´ ìžˆëŠ” ë§ë¡œ 옥추마ë¼ê³ ë„ 한다. ì´ ë§ë“¤ì€ 다섯 그림 ëª¨ë‘ ì˜¤ë¥¸ìª½ ì•žë°œì„ ë“¤ê³  있는 것으로 묘사하여 ì—­ë™ê°ì„ 나타내려고 하였고, 갈기나 ê¼¬ë¦¬í„¸ì€ ì„¸í•„ë¡œ 표현하였다. ë§ì´ ë°œì„ ë”›ê³  있는 장íŒêµëŠ” 그림1ì˜ ê²½ìš°ëŠ” ê·¸ 구조까지 세밀하게 묘사ë˜ì–´ 있는 ë° ë°˜í•´ 그림2나 그림5처럼 다리 íŒ ë¶€ë¶„ë§Œ 그려 간략화한 ê²½ìš°ë„ ìžˆë‹¤.
하단ì—는 조조와 ê·¸ì˜ êµ°ì‚¬ë“¤ì˜ ëª¨ìŠµì´ ê·¸ë ¤ì ¸ 있다. 그림1ì˜ ì¡°ì¡°ëŠ” ë¶‰ì€ ê³„í†µì˜ ê´€ë³µì„ ìž…ê³  장비 ìª½ì„ ë°”ë¼ë³´ê³  있는ë°, 눈ë™ìžëŠ” ì •ë©´ìƒì´ë‹¤. ì¡°ì¡° 아래로 ëª¨ë‘ ë‹¤ë¥¸ ì–¼êµ´ì„ í•œ êµ°ì‚¬ë“¤ì´ ë„ì—´í•´ ìžˆëŠ”ë° ë§¨ ì•žì¤„ì˜ êµ°ì‚¬ë“¤ì˜ ë§ë“¤ë§Œ 그려 놓았고 ê·¸ 뒷줄부터 조조까지는 ë§ì´ ìƒëžµë˜ì–´ 있다. ì¡°ì¡°ì˜ ë³‘ì‚¬ë“¤ì€ ìž¥ë¹„ë¥¼ ë°”ë¼ë³´ë©° 나열해 있거나(그림4) 아니면 ìž¥ë¹„ì˜ í˜¸í†µì— í˜¼ë¹„ë°±ì‚°í•˜ì—¬ 달아나는 모습 ë‘ ê°€ì§€ë¡œ 나타나고 있다(그림3). 그림4ì˜ ë³‘ì‚¬ë“¤ì€ ë¹„ìŠ·í•œ ì–¼êµ´ì„ í•œ 여러 ëª…ì˜ ì¸ë¬¼ì´ 패턴처럼 ë„열하여 다리 ìœ„ì˜ ìž¥ë¹„ë¥¼ ë°”ë¼ë³´ê³  서 ìžˆëŠ”ë° ê·¸ 사ì´ì‚¬ì´ì— 다른 표정과 다른 방향으로 ì‹œì„ ì„ ëŒë¦¬ê³  있는 ë³‘ì‚¬ë“¤ì´ ë¼ì–´ 있는 ê²ƒì´ í¥ë¯¸ë¡­ë‹¤. ê·¸ 아래로 ìž¥ë¹„ì˜ í˜¸ë ¹ì— ë†€ë¼ ë§ì—서 떨어지고 있는 í•˜ìš°ê±¸ì´ ê·¸ë ¤ì¡ŒëŠ”ë°, ëˆˆì„ ê°ê³  있는 ê·¸ì˜ í‘œì •ì´ ì´ë¯¸ 혼절한 듯하다(그림1, 2). 그림3처럼 í•˜ìš°ê±¸ì€ ë§ì—서 ì´ë¯¸ 떨어져 ë•…ë°”ë‹¥ì— ì“°ëŸ¬ì ¸ 있고 ê·¸ì˜ ë§ì€ 달아나는 조조와 군사들과 함께 달려가고 있는 것으로 ê·¸ë ¤ì§€ê¸°ë„ í•˜ì˜€ë‹¤.

ìƒìƒížˆ 살아나는 ì‚¼êµ­ì§€ì˜ í•œ 장면

ì¡°ì¡°ì˜ ëŒ€êµ°ì„ ì•žì— ë‘ê³  장íŒêµ ì•žì— ë²„í…¨ì„  장비. ì¼ê¸°ë‹¹ì²œì´ë¼ í•  만하다. ì´ë ‡ë“¯ 삼국지ì—는 ë…ìžë“¤ì„ 가슴 떨리게 하는 ìˆ˜ë§Žì€ ëª…ìž¥ë©´ì´ ìžˆë‹¤. ê·¸ ëª…ìž¥ë©´ë“¤ì„ ë‹´ì•„ë‚¸ 삼국지ë„를 통해 옛 우리 ì¡°ìƒ ì¤‘ ê¸€ì„ ì½ì§€ 못하는 사람ì´ë¼ë„ 눈으로는 ì´ ê·¸ë¦¼ì„ ë³´ê³ , 귀로는 강담사(講錟師)ì˜ êµ¬ì„±ì§„ 목소리를 들으며 머릿ì†ì—서 ìƒìƒí•˜ê²Œ ê·¸ ìž¥ë©´ì„ ìž¬í˜„í•´ 낼 수 ìžˆì—ˆì„ ê²ƒì´ë‹¤.
ë…ì„œì˜ ê³„ì ˆì´ë¼ê³  ì¼ì»¬ì–´ì§€ëŠ” ê°€ì„ì´ ì‹œìž‘ë˜ì—ˆë‹¤. 옛 ì˜ì›…ë“¤ì˜ ì´ì•¼ê¸°ë¥¼ ë‹´ì€ ì†Œì„¤ 삼국지를 한 ë²ˆë„ ì½ì–´ ë³´ì§€ 못한 사람ë„, ì½ì€ ê²½í—˜ì´ ìžˆëŠ” ì‚¬ëžŒë„ ë‹¤ì‹œ 한 번 ì½ì–´ë³´ëŠ” ê²ƒë„ ê°€ì„ì„ ë”ìš± í’성하게 만드는 ì¼ì´ ë  ê²ƒìœ¼ë¡œ ìƒê°í•œë‹¤.

 

글 : 박혜진(가회민화박물관 학예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