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ë…„ì˜ ì‹œê³µì„ ë„˜ì–´ 우리 ê³ì— 다가온 공재 윤ë‘서

서거 300주년 ê¸°ë… êµ­ë¦½ê´‘ì£¼ë°•ë¬¼ê´€ 특별전
서거 300주년 ê¸°ë… êµ­ë¦½ê´‘ì£¼ë°•ë¬¼ê´€ 특별전

형형한 눈빛과 ê°•ì¸í•œ 입매, 한 가닥 한 가닥 기운 ìƒë™í•œ 터럭들. 금방ì´ë¼ë„ ì‚´ì•„ 움ì§ì¼ë“¯í•œ 공재 윤ë‘ì„œì˜ ì´ˆìƒì´ë‹¤. 마치 í—ˆê³µì„ ëš«ê³  ê°‘ìžê¸° 나타난 유령처럼 얼굴만 ë‚¨ì€ ì´ ì´ˆìƒí™”는 본ì¸ì´ ì§ì ‘ 그린 ìží™”ìƒìœ¼ë¡œ 알려져 ìž‘ê°€ì˜ ì˜ë„ì— ëŒ€í•œ ê¶ê¸ˆì¦ì„ ì¦í­ì‹œì¼œì™”다. ìœ ëª…ì„¸ì— ë¹„í•´ 대중ì—게 충분히 알려지지 ì•Šì€ ìž‘ê°€, 조선시대 사실주ì˜ì˜ 선구ìžë¡œ ì¼ì»¬ì–´ì§€ëŠ” 윤ë‘서와 ê·¸ì˜ ì¼ê°€ê°€ 남긴 족ì ì„ 분명하게 보여주는 전시가 ì´ë‹¬ 18ì¼ê¹Œì§€ 국립광주박물관ì—서 열린다.

윤ë‘서 ì¼ê°€ì˜ ìƒì• ì™€ ì—…ì ì„ ë”°ë¼ ë‚˜ì„œëŠ” 전시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조현종)ì€ 2014ë…„ 10ì›” 21ì¼ë¶€í„° 2015ë…„ 1ì›” 18ì¼ê¹Œì§€ 기íšíŠ¹ë³„ì „, 《공재æ­é½‹ 윤ë‘서尹斗緖》를 개최한다. 전시는 ì „ë¼ë‚¨ë„ 해남 ì¼ëŒ€ë¥¼ 근거지로 활ë™í•œ 공재 윤ë‘서(1668~1715)부터 ê·¸ì˜ ì•„ë“¤ 낙서駱西 윤ë•í¬å°¹å¾·ç†™(1685∼1776), ì†ìž ì²­ê³ é‘çš ìœ¤ìš©å°¹æ„¹(1708∼1740)까지 윤ë‘서와 ê·¸ì˜ í›„ì†ë“¤ì˜ 서화세계를 ë‘루 소개한다. ì´ë“¤ì€ ì¡°ì„ ì— ì‚¬ì‹¤ì£¼ì˜ë¼ëŠ” 새로운 미술양ì‹ì„ 뿌리내렸으며, 호남ì¼ëŒ€ì— 남종문ì¸í™”ë‹¨ì„ í˜•ì„±, 활ë™í•˜ëŠ” ê¸°í‹€ì„ ë‹¦ì€ ìž¥ë³¸ì¸ë“¤ì´ë‹¤.
ì´ë²ˆ 전시는 ì´ 4ë¶€(ì œ1ë¶€ 윤ë‘ì„œì˜ ê°€ê³„ì™€ ìƒì• , ì œ2ë¶€ 윤ë‘ì„œì˜ ì„œí™”ì„¸ê³„, ì œ3ë¶€ 윤ë•í¬, ìœ¤ìš©ì˜ ì„œí™”, ì œ4ë¶€ 윤ë‘서 ì¼ê°€ì˜ 회화가 í›„ëŒ€ì— ë¯¸ì¹œ ì˜í–¥)로 구성ë˜ì—ˆë‹¤. 전시를 통해 해남 ìœ¤ì”¨ê°€ì— ì „í•´ì§€ëŠ” 학문ì ì¸ 전통과 윤ë‘ì„œì˜ ë‹¤ì–‘í•œ 작품, 후ì†ë“¤ì˜ 작품과 ê·¸ì˜ ì˜í–¥ì„ ë°›ì€ ìž‘ê°€ë“¤ì˜ ìž‘í’ˆì„ ì´ë§ë¼í•œë‹¤. 윤ë‘ì„œì˜ ì„œê±° 300ì£¼ë…„ì„ ê¸°ë…하여 ë§ˆë ¨ëœ ì´ë²ˆ íŠ¹ë³„ì „ì€ ì°½ì‚¬ 50ì£¼ë…„ì„ ë§žì€ ê´‘ì£¼ MBC, 해남 녹우당과 ê³µë™ìœ¼ë¡œ 주최한다.

 
사ì˜ì—서 형사로, ì¡°ì„ ì— ì‚¬ì‹¤ì£¼ì˜ë¥¼ 뿌리내리다

윤ë‘서는 고산孤山 윤선ë„尹善é“(1587~1671)ì˜ ì¦ì†ìžì´ìž, 다산茶山 정약용ä¸è‹¥éž(1762~1836)ì˜ ì™¸ì¦ì¡°ë¶€ë‹¤. ì§„ì‚¬ì‹œì— í•©ê²©í–ˆìœ¼ë‚˜ 출사하지 ì•Šì€ ì„ ë¹„í™”ê°€ë‹¤. ì‹œì„œí™”ì— ëŠ¥í–ˆë˜ ê²ƒìœ¼ë¡œ 알려진 ê²ƒì€ ë¬¼ë¡ , 유학, ìžì—°ê³¼í•™, ì˜í•™, 경제학, 지리학 등 ë‹¤ë°©ë©´ì— ë›°ì–´ë‚œ í•™ìžì´ê¸°ë„ 했다. í•™ë¬¸ì˜ ê²½ê³„ì— ì–½ë§¤ì´ì§€ 않고 ë‘루 íƒêµ¬í•˜ëŠ” ìžì„¸ì™€ ì‹¤ì‚¬êµ¬ì‹œì˜ ì •ì‹ ì„ ì˜ˆë¹„í•˜ëŠ” 듯한 행보는 해남 윤씨 ê°€ë¬¸ì— ë‚´ë ¤ì ¸ì˜¨ í•™í’ì—서 ìž‰íƒœëœ ê²ƒìœ¼ë¡œ, 윤ë‘서와 ê·¸ì˜ ì§ê³„ 후ì†ë¿ë§Œ ì•„ë‹ˆë¼ ì¡°ì„ ì˜ ê°€ìž¥ 대표ì ì¸ 실학ìžë¡œ 꼽히는 정약용ì—ê²Œë„ ì´ì–´ì¡Œë‹¤.
오늘날 화가 윤ë‘ì„œì˜ ìž…ì§€ëŠ” ì¡°ì„ ì‹œëŒ€ì˜ í™”ë‹¨ì— ì‚¬ì‹¤ì£¼ì˜ë¥¼ 꽃피우고, í˜¸ë‚¨ì§€ë°©ì„ ëŒ€í‘œí•˜ëŠ” í™”ë‹¨ì„ í˜•ì„±í–ˆë‹¤ëŠ” ì ì—서 확고부ë™í•˜ë‹¤. ì‚¬ë¬¼ì„ ìžˆëŠ” 그대로 그리기보다 ê·¸ë¦¼ì— ëœ»ì„ ë‹´ê³ ìží–ˆë˜ ê¸°ì¡´ì˜ ë¬¸ì¸í™”ì˜ ì „í†µì—서 벗어나, ìžì—°ê³¼ 사회를 날것 그대로 ë‹´ê³ ìží•œ 화가ë¼ëŠ” ì ì—서 그렇다. ë™ì‹œëŒ€ 다른 선비화가들과 달리 ê·¸ì˜ ì‹œì„ ì€ ì¡°ì„ ì˜ ë¯¼ì¤‘ê³¼ ìžì—°ì„ 향했으며, ê·¸ 결과를 í™”í­ì—서 고스란히 확ì¸í•  수 있다. 그를 기ì ìœ¼ë¡œ ì¡°ì„ ì˜ ë¬¸ì¸í™”ì— ìƒˆë¡œìš´ ë°©í–¥ì´ ì œì‹œëœ ê²ƒì´ë‹¤.
전시 ì œ4ë¶€ì—서는 윤ë‘서를 ë°°ìš°ê³  ìµížˆë ¤ëŠ” í›„í•™ë“¤ì˜ ìž‘í’ˆì„ ì „ì‹œí•´ ê·¸ì˜ ì´ëŸ° 선구ìžì ì¸ ì—­í• ì„ ë”ìš± 뚜렷하게 보여준다. ì •ì„ , ì¡°ì˜ì„, 심사정, 강세황, ê°•í¬ì–¸ê³¼ ê°™ì€ ë¬¸ì¸í™”가를 비롯하여 ê¹€ìµì£¼, ê¹€ë‘량, ê¹€í™ë„, ì´ì¸ë¬¸, ê¹€ë“ì‹  ë“±ì˜ ì§ì—…화가, 그리고 남종문ì¸í™”ì˜ ê¸°ë°˜ì„ ë”ìš± 굳건히 다진 소치å°ç™¡ 허련許éŠì— ì´ë¥´ê¸°ê¹Œì§€ 윤ë‘서 한 ì‚¬ëžŒì´ ìš°ë¦¬ ë¯¸ìˆ ì‚¬ì— ë¯¸ì¹œ íŒŒê¸‰ë ¥ì„ ì‚´íŽ´ë³¸ë‹¤.

ê·¸ë™ì•ˆ ë„íŒìœ¼ë¡œë§Œ ë§Œë‚˜ì™”ë˜ ì§„ê·€í•œ ìœ ë¬¼ì´ í•œìžë¦¬ì—

êµ­ë³´ ì œ240í˜¸ì¸ â€˜ìœ¤ë‘서 ìží™”ìƒâ€™, 보물 ì œ481í˜¸ì¸ ã€Šìœ¤ì”¨ê°€ë³´å°¹æ°å®¶å¯¶ã€‹, 《가전유묵家傳éºå¢¨ã€‹, 《가물첩家物帖》, 《가전유묵》, 녹우당 소장 서책과 ì¸ìž¥ ë“±ì„ í•¨ê»˜ 전시한다. 전시하는 ìœ ë¬¼ì€ ì´ 200ì—¬ ì ì— ì´ë¥¸ë‹¤. ì„œë¯¼ë“¤ì˜ ì‚¶ì„ ì„¸ë°€í•˜ê²Œ 관찰하고 í™”í­ì— 옮긴 í’ì†í™”ë“¤ì€ ì—­ì‚¬í•™ì ìœ¼ë¡œ 중요한 사료ì´ê¸°ë„ 한다. 윤ë‘ì„œì˜ ë‚˜ë¬¼ ìºëŠ” ì—¬ì¸ë“¤, ê°•í¬ì–¸ì´ 윤ë‘ì„œì˜ ìž‘í’ˆì„ ìž„ëª¨í•œ ëŒ ê¹¨ëŠ” ì„ê³µì€ ê¸ˆë°©ì´ë¼ë„ 허리를 펴고 íŒ”ì„ íœ˜ë‘를 듯하다.
특히 반가운 ê·¸ë¦¼ì€ ë°”ë¡œ 녹우당ì—서 ì—­ì‚¬ìƒ ë‘ ë²ˆì§¸ë¡œ 공개하는 ‘미ì¸ë„’다. 국내외ì—서 ê°ê° 단 한 번씩 ì„ ë³´ì¸ ìž‘í’ˆìœ¼ë¡œ, 밀수범ì—게 ë„ë‚œë‹¹í–ˆë˜ ê²ƒì„ ì–´ë µê²Œ ë˜ì°¾ì€ ë°” 있다. í’성한 가채를 만지는 ì†ë†€ë¦¼ì´ë©°, 앙다문 ë¶‰ì€ ìž…ìˆ , 고혹ì ì¸ 저고리와 ì¹˜ë§ˆì˜ ì„ ì´ ê³¼ì—° ì•„ë¦„ë‹¤ì›€ì„ ë½ë‚´ëŠ” ì—¬ì¸ì˜ ìžíƒœì— 걸맞다.
윤ë‘ì„œì˜ ìží™”ìƒì€ ê·¸ê°„ì˜ ì´ˆìƒí™”ì˜ ì „í†µì—서 벗어난 í˜ì‹ ì ì¸ 작품으로 í‰ê°€ë°›ê³  있다. 특히 ì´ˆìƒí™”는 ì „ëž˜ìˆ˜ëŸ‰ì´ ë„ˆë¬´ ì ê³  ìží™”ìƒì˜ 경우 온전히 남아있는 경우가 한 ì†ì— 꼽는다. ê·¸ëŸ°ë° ê·¸ì˜ ìží™”ìƒì€ ìžì‹ ì„ 정면으로 드러내고 당당하게 관람ìžì™€ ì‹œì„ ì„ ë§ˆì£¼í•œë‹¤. 전시를 둘러보며 관람ìžëŠ” í•진한 ì´ˆìƒí™” ì† ì£¼ì¸ê³µì—게 300ë…„ì˜ ì‹œê³µì„ ë›°ì–´ 넘어 사실주ì˜ì— 대한 ê¹Šì´ ìžˆëŠ” ì§ˆë¬¸ì„ ë˜ì§ˆ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 전시기간 : 2014.10.21(í™”) ~ 2015.1.18(ì¼)
  • 관람시간 : í‰ì¼(í™”~금) : 09:00~18:00 / 토·ì¼ìš”ì¼ ë° ê³µíœ´ì¼ : 09:00~19:00 / ë§¤ì£¼ì›”ìš”ì¼ íœ´ê´€
  • 전시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기íšì „시실, 서화실 (광주광역시 ë¶êµ¬ 하서로 110)
  • 문ì˜ì „í™” : 062-570-7000

※ ìž…ìž¥ì€ ë§ˆê°ì‹œê°„ 30ë¶„ 전까지, 매주 월요ì¼, 매년 1ì›”1ì¼ íœ´ê´€ / í† ìš”ì¼ ì•¼ê°„ê°œìž¥(3ì›”~10ì›”), 매달 마지막 ìˆ˜ìš”ì¼ ê´€ëžŒì‹œê°„(09:00~20:00)

 

정리 : 윤나래 기ìž
ìžë£Œì œê³µ :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