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제10회 대갈문화축제

민화계 대표하는 문화축제로 신명나게 ë§žì´í•˜ëŠ” 새해 아침

ì¸ì‚¬ë™ 거리를 ê°€ë“ ì±„ìš°ëŠ” í’ë¬¼íŒ¨ì˜ ì†Œë¦¬ê°€ 새해 ì•„ì¹¨ì„ í™œì§ ì—´ì—ˆë‹¤.
ê·¸ í¥ê²¨ìš´ ê°€ë½ì˜ ê·¼ì›ì§€ëŠ” 민화계를 대표하는 ìƒˆí•´ë§žì´ í–‰ì‚¬ â€˜ëŒ€ê°ˆë¬¸í™”ì¶•ì œâ€™ì˜ í˜„ìž¥.
ê·¸ ì–´ëŠ ë•Œë³´ë‹¤ 신명 ë‚¬ë˜ ì œ10회 ëŒ€ê°ˆë¬¸í™”ì¶•ì œì˜ ì´ëª¨ì €ëª¨ë¥¼ 전한다.

글 ê¹€ì†¡í¬ ê¸°ìž ì‚¬ì§„ ìš°ì¸ìž¬ 기ìž, 가회민화박물관 제공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와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ê³µë™ìœ¼ë¡œ 주최하고 민학회와 한국민화학회가 ê³µë™ìœ¼ë¡œ 주관하는 ì œ10회 대갈문화축제가 지난 12ì›” 28ì¼(수)부터 1ì›” 9ì¼(ì›”)까지 ì¸ì‚¬ì•„트센터ì—서 ì„±í™©ë¦¬ì— ì§„í–‰ë다. 대갈문화축제는 대갈 ì¡°ìžìš© ì„ ìƒì˜ ì—…ì ì„ 기리고 ê·¸ ëœ»ì„ ì´ì–´ê°€ê³ ìž ë§ˆë ¨ëœ í–‰ì‚¬ë¡œ, í˜„ëŒ€ë¯¼í™”ì˜ íë¦„ì„ ëŒì•„보는 ëœ»ê¹Šì€ ìžë¦¬ì´ê¸°ë„ 하다. ì–´ëŠë§ 10회를 ë§žì´í•œ ì´ë²ˆ 축제는 명실공히 민화계를 대표하는 새해 축제는 물론 종로를 대표하는 문화축제로 입지를 굳혔ìŒì„ 실ê°ì¼€ 했다. ë”불어 ì „êµ­ ê°ì§€ëŠ” 물론 ì „ 세계로까지 ë¯¼í™”ì˜ ìœ„ìƒê³¼ 가치가 ë„리 í¼ì ¸ë‚˜ê°€ê¸¸ 기대해볼 수 있는 귀한 시간ì´ì—ˆë‹¤.
1ì›” 2ì¼(ì›”) 오후 2시ì—는 ëŒ€ê°ˆë¬¸í™”ì¶•ì œì˜ ê°œë§‰ì‹ì„ 비롯한 ê°ì¢… 시ìƒì‹ ë° í–‰ì‚¬ê°€ ì§„í–‰ë다. ì´ì˜ì‹¤ 한국민화센터 ì´ì‚¬ìž¥ì´ 사회를 ë„맡았으며 김종규 ì¡°ìžìš©ê¸°ë…사업회 회장,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 관장, ì´í˜¸ìž¬ 가나문화재단 회장, 최재형 국회ì˜ì›, 정문헌 종로구청장, ë¼ë„ê·  종로구ì˜íšŒ ì˜ìž¥, ê¹€ì˜ì¢… ì „ 종로구청장,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ë“±ì´ ì°¸ì„í•´ ìžë¦¬ë¥¼ 빛냈다. 김종규 ì¡°ìžìš©ê¸°ë…사업회 íšŒìž¥ì€ â€œìš°ë¦¬ 전통문화를 ì•„ë¼ëŠ” ë§Žì€ ì´ë“¤ì´ 모여 열린 ì´ ëœ»ê¹Šì€ í–‰ì‚¬ê°€ 한국 민화계와 ë¯¼ì¤‘ë¬¸í™”ì˜ í˜„ìž¬ì™€ 미래를 보여주는 거울과 ê°™ì€ ë¬¸í™”ì¶•ì œê°€ ë˜ê¸°ë¥¼ 기ì›í•œë‹¤â€ë©° ì¶•í•˜ì˜ ë§ì„ 전했다. ì´ì–´ ë§Žì€ ì´ë“¤ì˜ 관심 ì†ì— ì œ10회 í˜„ëŒ€ë¯¼í™”ê³µëª¨ì „ì— ëŒ€í•œ 시ìƒì‹ì´ ì§„í–‰ë다. ì´ë²ˆ 공모전ì—는 ì´ 78ì ì˜ ìž‘í’ˆì´ ì¶œí’ˆë˜ì—ˆìœ¼ë©° ëŒ€ìƒ 1ì ê³¼ ìµœìš°ìˆ˜ìƒ 1ì , 그리고 ìš°ìˆ˜ìƒ 4ì ì´ ì„ ì •ë˜ì—ˆìœ¼ë©° ì´í•˜ 특선과 ìž…ì„ ìž‘ì´ ë‘루 뽑혔다.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ìˆ˜ì„연구ì›ì€ 심사í‰ì„ 통해 올해 ì¶œí’ˆìž‘ë“¤ì— ëŒ€í•œ ê²½í–¥ì„ ì „í–ˆë‹¤.





“대체ì ìœ¼ë¡œ ì†Œìž¬ì˜ ì„ íƒ ë²”ìœ„ê°€ 넓어지고, ì±„ìƒ‰ì˜ ê¸°ë²•ì´ ë‹¤ì±„ë¡œì›Œì§„ ì ì´ ëˆˆì— ë•니다. 전통ì ì¸ 소재를 ê³ ìˆ˜í•˜ë©´ì„œë„ ë‹¤ì–‘í•œ ê°œì¸ì˜ ë°œìƒì´ ë‹ë³´ì´ëŠ” ì†Œìž¬ë“¤ì„ ì ê·¹ ë°˜ì˜í•œ ìž‘í’ˆë“¤ì´ ë§Žì•„ í¥ë¯¸ë¡œì› ìŠµë‹ˆë‹¤. ë˜í•œ ê·¸ë¦¼ì— ì˜ë¯¸ì™€ ìƒì§•ì„ ë¶€ì—¬í•˜ëŠ” 물ìƒë“¤ì´ í™”ë©´ì— ë‹¤ì–‘í•˜ê²Œ ì „ê°œëœë‹¤ëŠ” ì  ë˜í•œ 눈여겨볼 수 있습니다. ì†Œìž¬ì— ìžˆì–´ì„œ 대부분 전통민화ì—서 차용한 ì‚¬ë¡€ë“¤ì´ ë‹¤ìˆ˜ë¥¼ ì´ë£¬ë‹¤ëŠ” ì ë„ ê¸ì •ì ìœ¼ë¡œ ë³´ì´ëŠ”ë°ìš”. ì´ëŸ¬í•œ ì†Œìž¬ì˜ ì°¨ìš©ê³¼ í•´ì„ì´ ìžˆì—ˆê¸°ì— ë¯¼í™”ë§Œì˜ ê³ ìœ í•œ ìƒ‰ì„ ë‚¼ 수 있었다고 봅니다.â€
ì´ë²ˆ ê³µëª¨ì „ì˜ ëŒ€ìƒìž‘ì€ í™ì„±í˜„ ìž‘ê°€ì˜ <장막 ì† ë‘ ê°œì˜ ì‹ ê¸°ë£¨>ê°€ ì„ ì •ë˜ì—ˆë‹¤. í™ì„±í˜„ 작가는 책거리를 모태로 하면서 ìžì‹ ë§Œì˜ ìƒì§•물로 í™”ë©´ì„ êµ¬ì„±í•¨ìœ¼ë¡œì¨ ì‹ ì„ í•œ 미ê°ì˜ ìž‘í’ˆì„ ì™„ì„±í–ˆë‹¤. 특히 전통ì ì¸ ë„ìƒì—서 벗어나 ì±…ì„ ìƒˆë¡œìš´ ê°ê°ì˜ 현대ì ì¸ 조형 언어로 표현한 ì ì—서 호í‰ì„ 받았다. ì´ì–´ ë°•ì •í¬ ìž‘ê°€ì˜ <í¼íŽ™íŠ¸ 스톰>ì´ ìµœìš°ìˆ˜ìƒ ìž‘í’ˆìœ¼ë¡œ ì„ ì •ë˜ì—ˆìœ¼ë©°, 유경란 ìž‘ê°€ì˜ <ì¸ì—° 화수>, 윤세나 ìž‘ê°€ì˜ <입신양명>, ì´ì„ ì˜ ìž‘ê°€ì˜ <매스 미디어>, ê³ ì •ì•„ ìž‘ê°€ì˜ <모란>ì´ ë‚˜ëž€ížˆ 우수ìƒì— ì´ë¦„ì„ ì˜¬ë ¸ë‹¤. ë’¤ì´ì–´ ì œ9회 ì¡°ìžìš© 문화ìƒì— 대한 시ìƒì´ ì§„í–‰ë다. ì´ë²ˆ 수ìƒìžë¡œëŠ” 김재춘 부산전통민화연구소 소장과 ì •ìŠ¹í¬ ì„œìš¸ì‹œë¬´í˜•ë¬¸í™”ìž¬ ì œ18호 ë¯¼í™”ìž¥ì´ ì„ ì •ë다. ë§Žì€ í™˜í˜¸ ì†ì— ì§„í–‰ëœ ë‘ ì‹œìƒì‹ì€ 현대민화 í™”ë‹¨ì„ ì´ëŒì–´ê°ˆ 잠재력 있는 ìž‘ê°€ë“¤ì˜ í¬ë¶€ë¥¼ 들어볼 수 있는 ê²ƒì€ ë¬¼ë¡ , 앞서 오랜 시간 ê¸¸ì„ ë‹¦ì•„ì˜¨ 베테랑 ìž‘ê°€ë“¤ì˜ ê°ë™ 어린 ë°œìžì·¨ë¥¼ 다시금 ëŒì•„ë³¼ 수 있는 ëœ»ê¹Šì€ ì‹œê°„ì´ì—ˆë‹¤.

ì œ10회 대갈문화축제를 ë”ìš± í’성하게 해준
전시 ë° í–‰ì‚¬ì˜ ì´ëª¨ì €ëª¨


개막ì‹ê³¼ 제례 / ë˜ ì•žìœ¼ë¡œì˜ 10ë…„ì„ ê¸°ëŒ€í•˜ë©°




개막ì‹ì—서는 김종규 ì¡°ìžìš©ê¸°ë…사업회 íšŒìž¥ì˜ ì¸ì‚¬ë§ì„ 비롯한 여러 주요 ë‚´ë¹ˆë“¤ì˜ ì¶•ì‚¬ê°€ 오고 갔다. ì´í˜¸ìž¬ 가나아트 íšŒìž¥ì€ â€œì¡°ìžìš© ì„ ìƒë‹˜ê³¼ì˜ ê¹Šì€ ì¸ì—°ìœ¼ë¡œ 대갈문화축제를 ì—´ê³ ìž ì´ ìžë¦¬ë¥¼ 제공한 ê²ƒë„ ë²Œì¨ 10ë…„ì´ ë˜ì—ˆë‹¤. 그간 ì• ì¨ ì˜¤ì‹  김종규 회장님과 윤열수 ê´€ìž¥ë‹˜ì„ ë¹„ë¡¯í•œ ë§Žì€ ê´€ê³„ìžë¶„께 ê°ì‚¬í•˜ë‹¤ëŠ” ë§ì”€ì„ 전하고 ì‹¶ê³ , 대갈 ì¡°ìžìš© ì„ ìƒë‹˜ì„ 애정하는 사람으로 ì´ ì¶•ì œê°€ 앞으로 ë”ìš± 발전할 수 있ë„ë¡ ë¬¼ì‹¬ì–‘ë©´ ë•겠다â€ê³  전했다. 개막ì‹ì´ ì§„í–‰ëœ 1ì›” 2ì¼(ì›”) 오후 6시ì—는 제례를 통해 ì¡°ìžìš© ì„ ìƒì˜ ì—…ì ê³¼ ì •ì‹ ì„ ê¸°ë ¸ë‹¤


시ìƒì‹ / 민화 í™”ë‹¨ì„ ì´ë„는 주역들




ì œ10회 현대민화공모전ì—서 대ìƒì„ 수ìƒí•œ í™ì„±í˜„ 작가는 â€œë‚˜ì˜ ë©˜í† ì´ìž ì„ ìƒë‹˜ì´ë©° 반려ìžì¸ ë¬¸ì„ ì˜ ìž‘ê°€ì—게 ê°ì‚¬ì˜ 마ìŒì„ 전한다â€ëŠ” ë§ë¡œ 수ìƒì†Œê°ì˜ ìš´ì„ ë„웠으며 “앞으로 ë”ìš± 노력해서 민화계 ë°œì „ì— ì´ë°”지할 수 있는 ì¢‹ì€ ì•„í‹°ìŠ¤íŠ¸ê°€ ë  ìˆ˜ 있ë„ë¡ ë…¸ë ¥í•˜ê² ë‹¤â€ê³  ë§ë¶™ì˜€ë‹¤. ì œ9회 ì¡°ìžìš©ë¬¸í™”ìƒì˜ 첫 번째 수ìƒìžì¸ 김재춘 작가는 â€œë¯¼í™”ì˜ ë°œì „ì„ ìœ„í•´ 파ì´íŒ… 한 번 외치ìž!â€ë©° 강렬한 소ê°ì„ 전했으며, ë‘ ë²ˆì§¸ 수ìƒìžì¸ ì •ìŠ¹í¬ ì„œìš¸ì‹œë¬´í˜•ë¬¸í™”ìž¬ ì œ18호 ë¯¼í™”ìž¥ì€ â€œìŠ¤ìŠ¹ì´ì‹  æ•… ê¹€ë§Œí¬ í™”ë°±ê³¼ í•˜ëŠ˜ì— ê³„ì‹  ì–´ë¨¸ë‹ˆê»˜ì„œë„ ë¿Œë“¯í•˜ê²Œ ë°”ë¼ë³´ì‹œë¦¬ë¼ ìƒê°í•œë‹¤â€ë©° â€œì•žìœ¼ë¡œë„ ë¯¼í™”ì¸ë“¤ì—게 조금ì´ë¼ë„ ë” ë„ì›€ì´ ë  ìˆ˜ 있ë„ë¡ íž˜ë‹¿ëŠ” ë°ê¹Œì§€ 노력하겠다â€ê³  ë§ë¶™ì˜€ë‹¤. 한편, ëŒ€ê°ˆë¬¸í™”ì¶•ì œì˜ ë˜ í•˜ë‚˜ì˜ í•µì‹¬ í–‰ì‚¬ì¸ â€˜ì œ19회 세계 ì–´ë¦°ì´ ë¯¼í™”ê·¸ë¦¬ê¸° 대회’ì—서 ê¹Œì¹˜í˜¸ëž‘ì´ ìƒì„ ë°›ì€ ì¡°ì€ì„œ 어린ì´ê°€ 참여ìžë“¤ì„ 대표해 수ìƒì˜ 기ì¨ì„ 누렸다.


전시현장 / 한층 다채롭게 ë”ìš± 탄탄하게







ì œ10회 대갈문화축제ì—서는 한층 다채롭고 탄탄해진 ì „ì‹œë“¤ì„ ë§Œë‚˜ë³¼ 수 있었다. ì œ10회 현대민화공모전 수ìƒìž‘展ì—서는 ì°½ìž‘ë¯¼í™”ì˜ ê²½í–¥ì„ ì—¿ë³¼ 수 있었으며, 소재나 주제, ìŠ¤í† ë¦¬í…”ë§ ë©´ì—서 보다 í™•ìž¥ëœ ë©´ëª¨ë“¤ì„ í™•ì¸í•  수 있었다. ì œ11회 가회민화아카ë°ë¯¸ 회ì›ì „ê³¼ 대갈화사 회ì›ì „ì—서는 오랜 시간 ê³µë ¥ì„ ë‹¤ì ¸ì˜¨ 회ì›ë“¤ì˜ 탄탄한 필치를 다시 한 번 확ì¸í•  수 있었다. ì œ8회 현대민화공모전ì—서 대ìƒì„ 수ìƒí•œ ìµœë‹¤ì˜ ìž‘ê°€ëŠ” íŠ¹ë³„ì „ì„ í†µí•´ 그간 견고하게 다져온 작품세계를 마ìŒê» 선보였으며, 소소하게 열린 í† ë¼ ì„¸í™”ì „ì´ ìƒˆí•´ë§žì´ ì¶•ì œì— ì˜ë¯¸ë¥¼ ë”했다.


한국민화학회 학술세미나 / ëŒ€ê°ˆë¬¸í™”ì¶•ì œì— ì˜ë¯¸ë¥¼ ë”하다




한국민화학회가 1ì›” 2ì¼(ì›”) 오후 4시부터 학술세미나를 진행했다. ì´ë²ˆ 세미나ì—서는 ê¹€ì˜ê·  ì¡°ìžìš©ê¸°ë…사업회 ì´ì‚¬, ì´ìœ¤ì„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ì›ì´ 발표ìžë¡œ 나섰다. ê¹€ì˜ê·  ì¡°ìžìš©ê¸°ë…사업회 ì´ì‚¬ëŠ” ‘ë„깨비 ë°©ë§ì´ì˜ ç”·æ ¹ ìƒì§•ì— ê´€í•œ å°è€ƒâ€™ëž€ 주제로 ì¡°ìžìš©ì˜ ‘ë„깨비 í¥í’€ì´â€™ë¥¼ 중심으로 발표를 ì´ì–´ê°”다. ì´ìœ¤ì„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ì›ì€ ‘민화ì—서 ë” ë¯¼í™”ë¡œ, ì—ë°€ë ˆë°•ë¬¼ê´€ì— ë‚¨ì€ ì¡°ìžìš©ì˜ ì•„ìš°ë¼â€™ì— 대해 발표하며 ì˜ë¯¸ 있는 í† ë¡ ì˜ ìž¥ì„ ë§ˆë ¨í–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