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한국민화학회 추계학술대회

‘수집가와 민화’ ë‘ ë²ˆì§¸ 연구
ê°€íšŒë¯¼í™”ë°•ë¬¼ê´€ì˜ ë¯¼í™”ë¥¼ ëŒì•„보다

한국민화학회(회장 유미나)ê°€ 지난 9ì›” 4ì¼(토) 온ë¼ì¸ 2021 추계학술대회를 진행했다.
ì´ë²ˆ í•™ìˆ ëŒ€íšŒì˜ ì£¼ì œëŠ” ‘수집가와 민화(2)’로 김철순 ìˆ˜ì§‘ê°€ì˜ ë¯¼í™”ë¥¼ 살펴본 지난 ì‹œê°„ì— ì´ì–´ ê°€íšŒë¯¼í™”ë°•ë¬¼ê´€ì˜ ì†Œìž¥í’ˆì„ ëŒ€ëŒ€ì ìœ¼ë¡œ 살펴보았다. 산수화부터 책거리, 나아가 초본까지 가회민화박물관 ì†Œìž¥í’ˆì´ ì§€ë‹Œ 조형성과 ìƒì§•성, ë¯¸ìˆ ì‚¬ì  ì˜ë¯¸ë¥¼ í­ë„“게 연구하는 ëœ»ê¹Šì€ ì‹œê°„ì´ì—ˆë‹¤.

글 ê¹€ì†¡í¬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매년 괄목할만한 연구 성과로 민화 ì—°êµ¬ì˜ ì™¸ì—°ì„ í™•ìž¥í•´ 온 한국민화학회가 ì´ë²ˆ 추계학술대회ì—서 가회민화박물관 ì†Œìž¥í’ˆì„ ì¤‘ì‹¬ìœ¼ë¡œ ì‹¬ë„ ìžˆëŠ” ë…¼ì˜ë¥¼ 펼쳤다. 유미나 íšŒìž¥ì„ ë¹„ë¡¯í•œ 회ì›ë“¤ì€ 약 2주간 가회민화박물관 민화를 실견하고 연구했으며, ë…¼ì˜í•´ë³¼ 가치가 있는 ìž‘í’ˆì— ëŒ€í•´ 발표했다. ì´ë²ˆ 학술대회는 추후 ë” ë§Žì€ ë°•ë¬¼ê´€ ì†Œìž¥í’ˆì„ ë“¤ì—¬ë‹¤ë³´ê³ ,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 수 있ë„ë¡ í•˜ëŠ” í•˜ë‚˜ì˜ ë§ˆì¤‘ë¬¼ì´ ë˜ì—ˆë‹¤.

민화산수ë„부터 책거리, ë¬´ì‹ ë„ ì´ˆë³¸ê¹Œì§€

유미나 ë¯¼í™”í•™íšŒìž¥ì€ â€œì½”ë¡œë‚˜19로 ì¸í•´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ì ì´ 아쉽지만 회ì›ë¶„ë“¤ì˜ ì‹ì§€ ì•Šì€ ì—´ì • ë•ë¶„ì— í•™ìˆ ëŒ€íšŒê°€ í’성해졌다â€ê³  전하며 í¬ë¬¸ì„ 열었다. ì´ì–´ 윤열수 ê°€íšŒë¯¼í™”ë°•ë¬¼ê´€ìž¥ì´ ê¸°ì¡°ë°œí‘œë¥¼ 진행했다. 그는 ì–´ëŠ í™”ëª©ë³´ë‹¤ë„ ì§€ì—­ì , 시대ì , 사회문화ì ìœ¼ë¡œ ì¶”ìƒì„±ì´ 강하고 ìƒìƒë ¥ì´ í’부한 그림으로 남아있는 민화산수ë„ì— ì§‘ì¤‘í–ˆë‹¤. 가회민화박물관 ì†Œìž¥ì˜ ì†ŒìƒíŒ”ê²½ë„, 금강산ë„, ê´€ë™íŒ”ê²½ë„, 무ì´êµ¬ê³¡ë„ ë“±ì„ ì‚´í”¼ë©° 산수ë„ê°€ 지닌 ê°ê°ì˜ 특징과 ì˜ë¯¸ë¥¼ 조명했다. 윤열수 ê´€ìž¥ì€ â€œì•„ì§ ë¯¼í™”ì‚°ìˆ˜ë„ì˜ ì§€ì—­ì—°êµ¬ì— ëŒ€í•œ ìžë£Œê°€ 충분치 ì•Šê¸°ì— ì´ ë¶€ë¶„ì— ëŒ€í•œ 연구가 ë”ìš± 활발해지길 바란다â€ë©° ë°©í–¥ì„ ì œì‹œí•˜ê¸°ë„ í–ˆë‹¤. 그런 ì˜ë¯¸ì—서 ê³ ì—°í¬ ì„±ê· ê´€ëŒ€í•™êµ êµìˆ˜ê°€ 진행한 <무ì´êµ¬ê³¡ë„ 12첩병>ì— ëŒ€í•œ 발표는 í¥ë¯¸ë¡œì› ë‹¤. 1곡부터 9곡까지 ì‹œì— í‘œí˜„ëœ ìž¥ì†Œ, 장면, 주ìžì˜ 모습 ë“±ì´ í™”í­ì—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조명했다. 특히 ì—°í­ì˜ 파노ë¼ë§ˆ 형ì‹ìœ¼ë¡œ ì§„í–‰ë˜ëŠ” <무ì´êµ¬ê³¡ë„ 12첩병>ì€ ì–´ëˆŒí•˜ì§€ë§Œ 섬세한 필치와 정갈한 í•´ì„œì²´ì˜ ë¬µì„œê°€ ë‹ë³´ì˜€ë‹¤. ë‘ ë²ˆì§¸ 발표ìžë¡œ 나선 ì´ìƒêµ­ 가회민화아카ë°ë¯¸ ì›ìž¥ì€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ë„> 7ì ì˜ ì–‘ì‹ì  íŠ¹ì§•ì„ ì—°êµ¬í•˜ë©´ì„œ 주요한 ìž¥ë©´ì¸ â€˜ì„êµìž¥â€™ì€ 빠지지 않고 ê¼­ 등장한다는 ì ì— 집중했다. ë”불어 ì†Œì„¤ì˜ ì„œì‚¬ 순서와 다르게 ìž¥í™©ëœ ê²ƒì´ ëŒ€ë¶€ë¶„ì´ë¼ëŠ” íŠ¹ì§•ì„ ë°œê²¬í–ˆë‹¤. ì´ì–´ 장계수 ë™êµ­ëŒ€í•™êµ ë¬¸í™”ìž¬ì—°êµ¬ì†Œìž¥ì€ ìž‘ê°€ ‘낭ì€â€™ì´ 그린 <소ìƒíŒ”경시ì˜ë„> ì‹­í­ ë³‘í’ì„ ì‚´íˆëŠ”ë°,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외 ë‚­ì€ì˜ ë˜ ë‹¤ë¥¸ ìž‘í’ˆì„ í•¨ê»˜ 비êµí•˜ë©° ë‚­ì€ë§Œì˜ 고유한 필치와 세밀한 ì¸ë¬¼ 표현법 ë“±ì„ ë‘루 ì‚´íˆë‹¤.
2ë¶€ì˜ í¬ë¬¸ì„ ì—° 발표ìžëŠ” 김수진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ë¡œ, 가회민화박물관 소장품 ì±…ê±°ë¦¬ì˜ ìœ í˜•ê³¼ ì„±ê²©ì— ëŒ€í•´ ë…¼ì˜í–ˆë‹¤. 다양한 책거리 ìž‘í’ˆì„ ëˆˆì†ìž„ 유형, ë…립 유형, íƒìž 유형으로 분류하여 ì„¤ëª…í•˜ì˜€ëŠ”ë° ì—¬ê¸°ì„œ ë” ë‚˜ì•„ê°€ 정병모 민화학êµêµìž¥ì´ 최근 재분류한 서가ì‹, 나열ì‹, íƒìžì‹, ë°€ì§‘ì‹ ì±…ê±°ë¦¬ë¡œ ë”ìš± 세분화하여 ì‚´í”¼ê¸°ë„ í–ˆë‹¤. 특히 ìž‘í’ˆì˜ ì¸ìž¥ì„ 통해 작가 ë˜ëŠ” ê·¸ ë‹¹ì‹œì˜ ê³µë°©ì„ ì¶”ë¡ í•´ë³´ê¸°ë„ í•˜ê³ , 다른 ê³³ì—서 보기 어려운 책거리 ì´ˆë³¸ì„ ì‚´í”¼ëŠ” 등 í¥ë¯¸ì§„진한 발표를 ì´ì–´ê°”다. ë으로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ì‹ ë„ ì´ˆë³¸ì„ ì¤‘ì‹¬ìœ¼ë¡œ 발표했다. 그는 장ì‹ì„ 목ì ìœ¼ë¡œ ë‘었단 ì ê³¼ 토ì†ì‹ ì•™ê³¼ ì£¼ìˆ ì  ì‹ ì•™ì´ ë°˜ì˜ë˜ì—ˆë‹¤ëŠ” ì , 그리고 ì§‘ë‹¨ì  ê°ìˆ˜ì„±ì˜ 표현ì´ìž 본 그림ì´ë¼ëŠ” 몇 가지 íŠ¹ì§•ì„ í† ëŒ€ë¡œ ë¬´ì‹ ë„ ì´ˆë³¸ì„ ë¯¼í™” 초본으로 ë°”ë¼ë³´ì•˜ë‹¤. 칠성ë„, 오방산신ë„, ì‚°ì‹ ë„, ë³´ì‚´ë„ ë“±ì˜ ë‹¤ì±„ë¡œìš´ ë¬´ì‹ ë„ ì´ˆë³¸ì„ ì‚´íŽ´ë³´ë©´ì„œ ì§€ì—­ì  íŠ¹ì„±ì€ ë¬¼ë¡ ì´ê³ , êµ­ì–´ 연구를 통해 ë¬´ì‹ ë„ ì œìž‘ 시기를 ì¶”ë¡ í•´ë³´ê¸°ë„ í–ˆë‹¤.
김용권 ê²¸ìž¬ì •ì„ ë¯¸ìˆ ê´€ìž¥ì´ ì¢Œìž¥ì„ ë§¡ì•„ ì§„í–‰ëœ ì¢…í•©í† ë¡ ì—서는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유정서 월간민화 발행ì¸, ì¡°ì¸í¬ ë™êµ­ëŒ€í•™êµ ëŒ€í•™ì› ë¯¸ìˆ ì‚¬í•™ê³¼ 박사, ê°•ì‹ ì•  ì„œìš¸ëŒ€í•™êµ ê·œìž¥ê° í•œêµ­í•™ì—°êµ¬ì›, ê°•ì˜ì£¼ 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ì´ 지정 토론ìžë¡œ 나서 ì—´ë¤ í† ë¡ ì„ ì´ì–´ê°”다. ì´ë²ˆ 학술대회는 비대면으로 ì´ë£¨ì–´ì¡ŒìŒì—ë„ ë¶ˆêµ¬í•˜ê³  가회민화박물관 ì†Œìž¥í’ˆì„ ê¹Šì´ ìžˆê²Œ 들여다봤다는 ì ì—서 민화 ì—°êµ¬ì— ì£¼ìš”í•œ 시금ì„ì´ ë˜ì—ˆë‹¤.

2021 한국민화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ìž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장
기조발표 – 민화 산수



ê³ ì—°í¬ | ì„±ê· ê´€ëŒ€í•™êµ êµìˆ˜
치밀한 ì°©ê°éŒ¯è¦º,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ì´êµ¬ê³¡ë„æ­¦å¤·ä¹æ›²åœ– 12첩병》고찰



ì´ìƒêµ­ | 가회민화아카ë°ë¯¸ ì›ì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ë„>ì˜ ì–‘ì‹ì  특징 연구



장계수 | ë™êµ­ëŒ€í•™êµ 문화재연구소장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소ìƒíŒ”경시ì˜ë„ì‹­í­ë³‘í’ ç€Ÿæ¹˜å…«æ™¯è©©æ„圖å幅屛風》 연구



김수진 |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ê±°ë¦¬ì˜ ìœ í˜•ê³¼ 성격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민화 ì´ˆë³¸ì— ëŒ€í•œ 연구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ì‹ ë„ ì´ˆë³¸ì„ ì¤‘ì‹¬ìœ¼ë¡œ


사회 | ì´ìž¥í›ˆ
(한국공예디ìžì¸ë¬¸í™”ì§„í¥ì› 프로ì íЏ 매니저)


종합토론(좌장) | 김용권
(겸재정선미술관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