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ì œ6회 대갈문화축제 – 새해 ë³µì„ ê¸°ì›í•˜ëŠ” 민화 ì¶•ì œ 한마당

새해를 ë§žì•„ í•˜ëŠ˜ì— ëŒ€ê³  í° ì†Œë¦¬ë¡œ ë‚˜ìœ ì†Œì‹ì„ 몰아내고 ë³µì„ ë¶ˆëŸ¬ë³´ë©´ 어떨까? ë¯¼í™”ì˜ ëŒ€ë¶€ë¡œ 불리는 ì¡°ìžìš© ì„ ìƒì˜ 호 ‘대갈大å–â€™ì„ ê¸°ë¦¬ë©´ì„œ ë§ì´ë‹¤. ‘우리ì‹ìœ¼ë¡œ 먹고, 우리ì‹ìœ¼ë¡œ 놀ìžâ€™ëŠ” ì¡°ìžìš© ì„ ìƒì˜ ê°€ë¥´ì¹¨ì„ ìž‡ëŠ” ì œ6회 ëŒ€ê°ˆë¬¸í™”ì¶•ì œì— ê´€ëžŒê°ë“¤ì´ ë¶ì ì˜€ë‹¤. í•œê°•ì´ ì–¼ì–´ë¶™ëŠ” 추위ì—ë„ ë¶ˆêµ¬í•˜ê³  신명나는 민화 ì¶•ì œì˜ ì´ëª¨ì €ëª¨.


새롭게 ì¼ê¹¨ìš°ëŠ” ë¯¼í™”ì˜ ê°€ì¹˜

2019ë…„ ê¸°í•´ë…„å·±äº¥å¹´ì˜ ì²«ë¨¸ë¦¬ë¥¼ 장ì‹í•˜ëŠ” 민화 축제가 펼ì³ì¡Œë‹¤.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와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ì£¼ìµœí•˜ëŠ” ì œ6회 대갈문화축제가 서울 종로구 ì¸ì‚¬ë™ 거리와 ì¸ì‚¬ì•„트센터ì—서 1ì›” 1ì¼ë¶€í„° 7ì¼ê¹Œì§€ 열렸다. 올해로 6회를 ë§žì´í•œ 축제는 민화 전시, 학술세미나, 체험행사, 공연 등 다채로운 볼거리와 ì¦ê¸¸ê±°ë¦¬ë¡œ 채워졌다. 대갈문화축제는 우리 그림 ë¯¼í™”ì˜ ê°€ì¹˜ì™€ ì˜ì˜ë¥¼ 새롭게 조명한 대갈 ì¡°ìžìš©(1926~2000) ì„ ìƒì˜ ìƒì• ì™€ ì—…ì ì„ 기리기 위해 ë§ˆë ¨ëœ ë¬¸í™” 축제다. 대갈 ì¡°ìžìš© ì„ ìƒì€ 1960~70ë…„ëŒ€ì˜ ì²™ë°•í•œ ë¬¸í™”ì  í† ì–‘ì—서 전통 ê±´ì¶•ê³¼ ë¯¼í™”ì˜ ë³´ê¸‰Â·ì—°êµ¬ì— í—Œì‹ í•œ ì¸ë¬¼ì´ë‹¤.
ì´ë²ˆ ì¶•ì œì—서는 ì¼ì£¼ì¼ê°„ 다양한 ë¯¼í™”ì˜ í˜„ì£¼ì†Œë¥¼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열렸다. ì¸ì‚¬ì•„트센터 1ì¸µì— ì œ6회 현대민화공모전 수ìƒìž‘ì „, 2층과 3ì¸µì— ê±¸ì³ ì œ7회 가회민화아카ë°ë¯¸ 회ì›ì „, 3ì¸µì— ì œ4회 현대민화공모전 ëŒ€ìƒ íŠ¹ë³„ì „ì´ êµ¬ì„±ë˜ì–´ 관람ê°ì˜ ëˆˆê¸¸ì„ ì‚¬ë¡œìž¡ì•˜ë‹¤. 4층ì—는 ê±´ì¶•ê°€ë¡œì„œë„ ë›°ì–´ë‚œ ì—…ì ì„ ë§Žì´ ë‚¨ê¸´ ì¡°ìžìš© ì„ ìƒì˜ 건축세계를 사진으로 소개했다. 지하ì—는 ì œ4회 대갈화사 회ì›ì „ê³¼ ì œ15회 ì „êµ­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 수ìƒìž‘ 전시가 펼ì³ì¡Œë‹¤. 어린ì´ë“¤ì˜ 재치 있는 민화 ê·¸ë¦¼ì„ ë°°ê²½ìœ¼ë¡œ ë¼ì§€ ë¶€ì  ì°ê¸°ì™€ ì²­ì‚° ì •í™ì£¼ ì„ ìƒì˜ í˜í•„í™” ì²´í—˜ 부스가 마련ë다. 가족 ë‹¨ìœ„ì˜ ê´€ëžŒê°ë“¤ì€ 모여들어 저마다 소ì›ì„ 빌며 í–‰ì‚¬ì— ì°¸ì—¬í–ˆë‹¤. ì²´í—˜ 부스 반대편ì—는 ì±…ì˜ í–¥ê¸° 문화사와 월간 <민화>ê°€ ë„ë¡ ë“± 다양한 민화서ì ì„ íŒë§¤í–ˆë‹¤.

ë³µì„ ë¶€ë¥´ëŠ” 민화ì¸ì˜ ì—´ì •

1ì›” 2ì¼ 2시부터 ì‹ì „행사로 길놀ì´ì™€ ê±°ì°½ 우리문화연구회 íƒ€í˜¼æ‰“é­‚ì˜ ì‚¬ë¬¼ë†€ì´ ê³µì—°ì´ ì¶•ì œì˜ í¥ì„ ë‹ìš°ë©° ì¸ì‚¬ë™ ê±°ë¦¬ì— ìš¸ë ¤ í¼ì¡Œë‹¤. 4시ì—는 ì¸ì‚¬ì•„트센터 1층ì—서 개막ì‹ê³¼ ì œ6회 현대민화공모전 시ìƒì‹ê³¼ ì œ6회 ì¡°ìžìš© ë¬¸í™”ìƒ ì‹œìƒì‹ì´ ì§„í–‰ë다. ê°œë§‰ì‹ í˜„ìž¥ì—는 ì „êµ­ ê°ì§€ì—서 찾아온 민화ì¸ë“¤ê³¼ ê°ê³„ê°ì¸µì˜ ì¸ì‚¬ë“¤ë¡œ ì—„ë™ì„¤í•œì—ë„ ëœ¨ê±°ìš´ 열기를 ë”했다. 안휘준 ì„œìš¸ëŒ€í•™êµ ëª…ì˜ˆêµìˆ˜ëŠ” “ìŒë ¥ìœ¼ë¡œ 따지면 ì•„ì§ ê¸°í•´ë…„ì´ ì•„ë‹ˆì§€ë§Œ, 모ë‘들 건강하고 만사형통하기를 기ì›í•œë‹¤. 매년 대갈문화축제ì—서 ì„ ë³´ì´ëŠ” ìž‘í’ˆìˆ˜ì¤€ì´ ë†’ì•„ì§€ê³  있어 뿌듯하다â€ê³  ì¸ì‚¬ë§ì„ 전했다. 축사와 내빈소개가 ì´ì–´ì§„ 후 ì´ë‚ ì˜ 하ì´ë¼ì´íŠ¸ì¸ ì‹œìƒì‹ì´ ì§„í–‰ë다. ì œ6회 ì¡°ìžìš© ë¬¸í™”ìƒ ê³µë¡œìƒì€ ì‹ ì˜ìˆ™ (사)한국전통민화협회 회장ì—게 ëŒì•„갔다. ì œ6회 현대민화공모전 대ìƒì€ 김민정 작가가 받았다. ì œ15회 ì „êµ­ ì´ˆë“±í•™ìƒ ë¯¼í™” 그리기 ëŒ€íšŒì˜ ê¹Œì¹˜í˜¸ëž‘ì´ìƒ 수ìƒìžì¸ 권단아 í•™ìƒì´ 대표로 축하를 받았다.
1ì›” 5ì¼ì—는 한국민화학회 세미나와 ì¡°ìžìš© ì„ ìƒ 18주기 제례가 열렸다. 한국민화학회(회장 윤진ì˜)ê°€ 주최하는 학술세미나는 ìž¥í™©è£æ½¢ì„ 주제로 오후 2시 ì¸ì‚¬ì•„트센터 1층ì—서 ì§„í–‰ë다. 사회를 ë§¡ì€ ê³ ì˜í¬ êµìˆ˜ì˜ 소개로 전지연 국립민ì†ë°•물관 학예연구사와 김선호 ë°°ì²©ìž¥ì˜ ì—°êµ¬ 발표가 ì´ì–´ì¡Œë‹¤. 세미나를 마친 후 ê°™ì€ ìž¥ì†Œì—서 ì¡°ìžìš© ì„ ìƒ 18주기 제례를 봉행했다.
올해 ì œ6회 대갈문화축제는 ë¯¼í™”ì— ë‹´ê¸´ 시대정신과 가치를 ì§šì–´ë³´ê³  í­ë„“ì€ í•™ìˆ ì—°êµ¬ë¥¼ 하는 기회가 ë다. 한국ì ì¸ 아름다움과 문화를 ë˜ìƒˆê¸°ë ¤ëŠ” ì—¼ì›ì´ 해를 ê±°ë“­í• ìˆ˜ë¡ ëœ¨ê±°ìš´ 참여와 호ì‘ì„ ì´ëŒì–´ë‚´ê³  있다.

2019 ì œ6회 대갈문화축제 ìƒìƒí•œ 현장 스케치


í¥ê²¨ìš´ 민화 잔치를 열다

ì‹ì „ 전통공연
ê·¸ 옛날 그림ìŸì´ë“¤ì´ ëª¨ì˜€ë˜ ë„화서터ì—서 ë™ìª½ìœ¼ë¡œ 약 300m 떨어진 서울 종로구 ì¸ì‚¬ë™ 거리ì—서 í¥ê²¨ìš´ ê°€ë½ì´ ì‚¬ëžŒë“¤ì˜ ë°œê¸¸ì„ ìž¡ì•˜ë‹¤. ì œ6회 대갈문화축제가 ì‹œìž‘ëœ ê²ƒì´ë‹¤. 축제를 주최한 ì¡°ìžìš©ê¸°ë…사업회는 ë¯¼í™”ì˜ ì—°êµ¬ì™€ ë³´ê¸‰ì— ì•žìž¥ì„  ì¡°ìžìš© ì„ ìƒì˜ 민족문화 ì •ì‹ ì„ ì¼ê¹¨ìš°ê¸° 위해 2013ë…„ì— ì„¤ë¦½ëœ ë‹¨ì²´ë‹¤. ì¡°ìžìš©ë¬¸í™”ìƒ ì œì • ë° ì‹œìƒ, ì¡°ìžìš© 관련 세미나 개최 ë“±ì˜ ì‚¬ì—…ì„ ì¶”ì§„í•´ì™”ë‹¤.


ì¶•ì œì˜ í’ˆê²©ì„ ë†’ì´ë‹¤

개막ì‹ê³¼ 축사
개막ì‹ì—서는 한대수 타혼공연단 ê°ë…ì˜ ì‚¬íšŒë¡œ 방장산 ì²­í•™ë™ í•œí’€ì„ ì‚¬ê°€ 축사를 건네고, 정병모 ê²½ì£¼ëŒ€í•™êµ êµìˆ˜ì˜ 사회로 안휘준 ì„œìš¸ëŒ€í•™êµ ëª…ì˜ˆêµìˆ˜ê°€ ì¸ì‚¬ë§ì„ 전했다. 안휘준 êµìˆ˜ëŠ” ì¡°ìžìš© ì„ ìƒì„ 발굴한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 관장과 묵묵히 ìž‘ê°€ì–‘ì„±ì— íž˜ì“´ íŒŒì¸ ì†¡ê·œíƒœ í™”ë°±ì„ ì–¸ê¸‰í–ˆë‹¤. ì´ì–´ ê¹€ì˜ì¢… 종로구청장과 íŒŒì¸ ì†¡ê·œíƒœ 화백, 윤범모 가나문화재단 ìƒìž„ì´ì‚¬ê°€ 축사를 마무리했다. 윤범모 ìƒìž„ì´ì‚¬ëŠ” “모든 ë¶„ë“¤ì´ ìž‘í’ˆ ì† ê¸¸ìƒì˜ ê¸°ìš´ì„ ë°›ì•„ 올해 하시는 ì¼ì´ 잘 ë˜ê¸¸ 바란다. 한류를 ì´ë„는 국제경ìŸë ¥ ì¼ìˆœìœ„로서 ë¯¼í™”ì˜ ì—­í• ì„ ê¸°ëŒ€í•œë‹¤â€ê³  ë§í–ˆë‹¤.


ì˜ˆìˆ ì  ê°€ì¹˜ë¥¼ 알리다

학술세미나
ì¸ì‚¬ì•„트센터 1층 전시장 í•œíŽ¸ì— ë§ˆë ¨ëœ ì œ6회 대갈문화축제 한국민화학회 ìž¥í™©è£æ½¢ 세미나ì—는 60ì—¬ ëª…ì´ ì°¸ì„했다.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 ê´€ìž¥ì€ ì¸ì‚¬ë§ì„ 통해 “민화ì—서 병í’으로 제작ë˜ì§€ ì•Šì€ ê·¸ë¦¼ì€ ê±°ì˜ ì—†ë‹¤ê³  í•  수 있다. ì´ëŸ° ìƒí™©ì—서 ìž¥í™©ì— ëŒ€í•œ 연구는 ì˜ë¯¸ 있는 한걸ìŒâ€ì´ë¼ê³  ë§í–ˆë‹¤.
첫 번째 발표ìžë¡œ 나선 전지연 국립민ì†ë°•물관 학예연구사는 〈병í’ì˜ ìž¥í™© 연구 – 효제문ìžë„ 병í’ì„ ì¤‘ì‹¬ìœ¼ë¡œ 한 장황 사례 조사〉ë¼ëŠ” 주제로 19~20세기 지역별 ë³‘í’ ë¬¸í™”ë¥¼ 살펴보며, 국립민ì†ë°•ë¬¼ê´€ì˜ ë³‘í’ ë³´ì¡´ì²˜ë¦¬ í˜„í™©ì„ ì†Œê°œí–ˆë‹¤. ë‘ ë²ˆì§¸ 발표ì—서는 ì¸ì‚¬ë™ì—서 50ì—¬ ë…„ 넘게 활ë™í•´ì˜¨ 김선호 ë°°ì²©ìž¥ì´ ã€ˆí•œêµ­ ë³‘í’ í‘œêµ¬ì˜ ì‹¤ì œã€‰ë¼ëŠ” 주제로 진솔한 ê²½í—˜ë‹´ì„ í†µí•´ 병í’ì˜ ìž¥í™© 역사를 설명했다.


ëŒ€ê°ˆì˜ ëœ»ì„ ê¸°ë¦¬ë‹¤

제례와 ìŒë³µë¡€
ì¡°ìžìš© ì„ ìƒ 18주기 제례 í›„ì— ê¹€ì¢…ê·œ ì¡°ìžìš©ê¸°ë…사업회 íšŒìž¥ì€ â€œì´ˆëŒ€ í•œêµ­ë°•ë¬¼ê´€í˜‘íšŒìž¥ì„ ì§€ë‚¸ ì¡°ìžìš© ì„ ìƒì„ ì´ì–´, 40여년 ë§Œì— ìœ¤ì—´ìˆ˜ ê´€ìž¥ì´ ì œ11대 한국박물관협회 íšŒìž¥ì— ë‹¹ì„ ëœ ê²ƒì„ ì¶•í•˜í•œë‹¤â€ê³  전했다. 민화ì¸ë“¤ì€ ìŒë³µë¡€ ìžë¦¬ë¥¼ ì¦ê¸°ë©° ê·¸ë‚ ì˜ í–‰ì‚¬ë¥¼ 마쳤다.



정리 강미숙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