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기해년, ë¼ì§€ë ì˜ 해를 ë§žì´í•´ 들어보는 12지신 ì´ì•¼ê¸°

매년 새해가 ë°ì•„오면 ë ì™€ 함께 한 í•´ì˜ ìš´ì„¸ë¥¼ ì ì³ë³´ê³ ëŠ” 한다. ì´ëŠ” ìš°ì£¼ë§Œë¬¼ì´ ì£¼ì—­ì˜ ì´ì¹˜ì— ë”°ë¼ ìˆœí–‰í•œë‹¤ëŠ” ë™ì–‘ì  ì„¸ê³„ê´€ê³¼ ìŒì–‘사ìƒì´ ê²°í•©ëœ ê²°ê³¼ë¼ í•  수 있다. ë¼ì§€ë‚˜ 소, ê°œ 등 우리 민화ì—ë„ ë“±ìž¥í•˜ëŠ” 친근한 ë™ë¬¼ë“¤ê³¼ ë™ë¬¼í˜•ìƒì˜ 머리를 가진 12ì§€ ë™ë¬¼ë“¤ì— 얽힌 ì´ì•¼ê¸°ë¥¼ 통해 12ì§€ì˜ íŠ¹ì„±ê³¼ ìƒì§•ì„±ì„ ì•Œì•„ë³¸ë‹¤.


새해가 ë˜ë©´ 간지干支를 조합하여 ê·¸ í•´ì˜ ë ì™€ 함께 한 í•´ì˜ ìš´ì„¸ë¥¼ 보게 ë˜ëŠ”ë° ë§¤ìŠ¤ì»´ì—ì„œë„ ìž¬ì•¼ì˜ ì¢…ì†Œë¦¬ì™€ 함께 ë§žì´í•˜ëŠ” 새해 ë²½ë‘ì—는 반드시 ê·¸ í•´ì˜ ë ë¥¼ 나타내는 ë™ë¬¼ì— 대한 ì–¸ê¸‰ì´ ë¹ ì§€ì§€ 않는다. ì´ëŠ” 중국ì—서 ì‹œìž‘ëœ ìš°ì£¼ë§Œë¬¼ì´ ì£¼ì—­å‘¨æ˜“ì˜ ì´ì¹˜ì— ë”°ë¼ ìˆœí–‰í•œë‹¤ëŠ” ë™ì–‘ì  ì„¸ê³„ê´€ì´ ìŒì–‘사ìƒê³¼ ê²°ë¶€ë˜ë©´ì„œ 오래ë„ë¡ ì „ìŠ¹ë˜ì–´ì˜¨ ê²°ê³¼ë¼ ë³¼ 수 있겠다.

10ê°œì˜ ì²œê°„å¤©å¹², 12ê°œì˜ ì§€ì§€åœ°æ”¯ë¡œ êµ¬ì„±ëœ ê°„ì§€

여기ì—서 ê°„ì§€å¹²æ”¯ì— ëŒ€í•´ 짧게나마 ì–¸ê¸‰í•˜ê³ ìž í•œë‹¤. 간지는 10ê°œì˜ ì²œê°„å¤©å¹²ê³¼ 12ê°œì˜ ì§€ì§€åœ°æ”¯ë¡œ 구성ë˜ì–´ 있다. 10ê°„ì€ ê°‘ç”²Â·ì„乙·병丙·정ä¸Â·ë¬´æˆŠÂ·ê¸°å·±Â·ê²½åºšÂ·ì‹ è¾›Â·ìž„壬·계癸로 í•˜ëŠ˜ì˜ ì‹œê°„ì„ ë‚˜íƒ€ë‚¸ 것ì´ë©° 12지는 ë•…ì„ ì§€í‚¤ëŠ” 12ë§ˆë¦¬ì˜ ë™ë¬¼ì„ 신격화한 것으로 12ë°©ìœ„ì‹ ì„ ë§í•œë‹¤. 12ê°œì˜ ë°©ìœ„ë¥¼ 가리키는 ìžå­, 축丑, ì¸å¯…, 묘å¯, ì§„è¾°, 사巳, 오åˆ, 미未, 신申, 유酉, 술戌, í•´äº¥ì— ê°ê¸° ì¥, 소, 호랑ì´, 토ë¼, ìš©, ë±€, ë§, ì–‘, ì›ìˆ­ì´, ë‹­, ê°œ, ë¼ì§€ ë“±ì˜ 12마리 ë™ë¬¼ì„ 결부시킨 것ì´ë‹¤. 10ê°œì˜ ì²œê°„ê³¼ 12ê°œì˜ ì§€ì§€ê°€ 순서대로 맞물려서 ê°‘ìžç”²å­, ì„축乙丑, 병ì¸ä¸™å¯…, 정묘ä¸å¯, 무진戊辰 등과 ê°™ì´ ì§„í–‰ë˜ë‹¤ê°€ 처ìŒìœ¼ë¡œ 다시 ë˜ëŒì•„오기까지 60ë…„ì´ ê±¸ë¦°ë‹¤. 그리고 61ë…„ì´ ë˜ë©´ 태어난 해와 간지가 같아지는 것ì´ë‹¤. 태어난 ì§€ 60ë…„ì´ ì§€ë‚˜ 새로 ë§žì´í•˜ëŠ” ìƒì¼ì„ 환갑還甲, ë˜ëŠ” 회갑回甲ì´ë¼ 하는 ê²ƒì€ ì´ ë•Œë¬¸ì´ë‹¤.
간지는 주로 시간ì´ë‚˜ 방위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ì‚¬ëžŒì´ íƒœì–´ë‚œ 사주四ä½ê°€ ê·¸ ì‚¬ëžŒì˜ ìš´ëª…ì„ ë¯¸ë¦¬ 결정한다는 믿ìŒì€ 오래전부터 í˜•ì„±ëœ ë¯¼ê°„ì‹ ì•™ì˜ í•œ 형태로 오랫ë™ì•ˆ 우리 ë¯¼ì¡±ì˜ ê·¼ì €ì— ë¿Œë¦¬ë‚´ë ¤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사주는 새해가 시작ë˜ëŠ” 첫 날부터 시작하여 ê°œì¸ì˜ ì‚¬ì£¼ì— ì´ë¥´ê¸°ê¹Œì§€ ìƒí™œ ì „ë°˜ì— ê¹Šìˆ™ì´ ê´€ì—¬ë˜ì–´ 있다. 예를 들면 혼ì¸ì˜ íƒì¼, 남녀ê¶í•©, ì´ì‚¬ê°ˆ ì§‘ì˜ ë°©í–¥ê³¼ ë‚ ì§œ ë“±ì„ ê²°ì •í•  때 간지를 보는 경우ì´ë‹¤.

ë™ë¬¼í˜•ìƒì˜ 머리를 한 12지신

12ì§€ì‹ ì€ ë¨¸ë¦¬ëŠ” ë™ë¬¼í˜•ìƒì„ 한 무ì¸ì˜ 모습으로 그려지거나 ì¡°ê°ë˜ì—ˆëŠ”ë° í˜„ìž¬ 김유신묘와 성ë•왕릉, ì›ì„±ì™•릉, í¥ë•왕릉 ë“±ì„ ì§€í‚¤ëŠ” 호ì„護石으로 12지신ìƒì„ ì¡°ê°í•œ ê²ƒì´ ë‚¨ì•„ 있다. ì¡°ì„  세종실ë¡ì— ê¸€ì„ ëª¨ë¥´ëŠ” ë°±ì„±ë“¤ì„ ìœ„í•´ 12ì§€ì‹ ì„ ê·¸ë¦¼ìœ¼ë¡œ 그려 ì‹œê°„ì„ ì•Œê²Œ 했다고 기ë¡í•˜ê³  있다. 민화ì—서 ë³´ì´ëŠ” 12ì§€ ë™ë¬¼ì€ ì—­ì‹ ì„ ëª°ì•„ë‚´ê³  ë²½ì‚¬ì§„ê²½ì„ ìƒì§•하는 존재로 ê·¸ ëª¨ìŠµì€ ë°˜ì¸ë°˜ìˆ˜ì˜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렇다면 12ì§€ ë™ë¬¼ì€ ê°ê° ì–´ë–¤ 특성과 ìƒì§•ì„±ì„ ê°€ì§€ê³  ìžˆê¸°ì— ì˜¤ëž«ë™ì•ˆ 사랑받는 ìºë¦­í„°ë¡œ 남아 있게 ëœ ê²ƒì¼ê¹Œ?
12지신 중 첫 번째 ë™ë¬¼ ì¥ëŠ” ì˜ë¦¬í•˜ê³  í–‰ë™ì´ 민첩해서 민담ì—서는 ì€í˜œë¥¼ 갚거나 ì‚¬ëžŒì˜ ì¶œì„¸ë¥¼ ë•는다거나 어려운 문제를 í•´ê²°í•´ 주는 주ì¸ê³µìœ¼ë¡œ 나온다. ë˜í•œ ì¥ëŠ” ìƒë¬¼í•™ì ìœ¼ë¡œ 왕성한 번ì‹ë ¥ì„ 가지고 있어서 다산과 í’ìš”ì˜ ìƒì§•으로 여겼다. ì¥ì˜ ë¯¼ì²©ì„±ì€ ìžì—°ìŠ¤ëŸ½ê²Œ ê·¼ë©´ì„±ì„ ì—°ìƒì‹œì¼œ ë¶€ì˜ ìƒì§•으로 ì¸ì‹ë˜ì—ˆë‹¤. ì†ë‹´ì— 약삭빠르고 ì˜ë¦¬í•œ ì‚¬ëžŒì„ â€˜ì•½ê¸°ëŠ” ìƒì¥â€™, â€˜ì–¼êµ´ì— ìƒì¥ê°€ 오르ë½ë‚´ë¦¬ë½ 한다’ë¼ê³  하여 ìƒì¥ì— ë¹„ìœ í•˜ê¸°ë„ í•˜ì˜€ë‹¤.
소는 ë†ê²½ì‚¬íšŒì—서 부와 íž˜ì„ ìƒì§•한다. â€˜ê¿ˆì— í™©ì†Œê°€ 집으로 들어오면 ë¶€ìžê°€ ëœë‹¤â€™, â€˜ì†Œì˜ í˜•êµ­ì— ë¬ìžë¦¬ë¥¼ ì“°ë©´ ìžì†ì´ ë¶€ìžê°€ ëœë‹¤â€™ëŠ” ì†ë‹´ì€ 소가 í’요를 가져다주는 ë¶€ì˜ ìƒì§•으로 ì¸ì‹ë˜ì—ˆìŒì„ ë§í•´ì¤€ë‹¤. ë¹„ë¡ ëŠë¦¬ì§€ë§Œ ì¸ë‚´ì‹¬ê³¼ ì„±ì‹¤ì„±ì´ ë‹ë³´ì´ëŠ” 소는 근면함과 묵묵함으로 유유ìžì ì˜ 대ì¸å¤§äºº, ì€ìžéš±è€…ì˜ ì´ë¯¸ì§€ë¥¼ 대변한다.
호랑ì´ëŠ” 용과 함께 ë²½ì‚¬ì˜ ìƒì§•으로 ì¦ê²¨ 그린 화제ì´ë‹¤. 호랑ì´ì˜ ìš©ë§¹ì„±ì€ ë°±í˜¸ë¶€ëŒ€, 맹호부대와 ê°™ì€ ëª…ì¹­ì—서 보듯 ê¸ˆìˆ˜ì˜ ì™•ìœ¼ë¡œ ì†ìƒ‰ì´ 없다. ì‚¬ì°°ì˜ ì‚°ì‹ ê°ì—는 산신으로 모셔져 ì¸ê°„ì˜ ê¸¸í‰í™”ë³µì„ ê´€ìž¥í•˜ê³  있다. 특히 민화ì†ì—서 까치를 파트너 삼아 우스ê½ìŠ¤ëŸ½ê³  í•´í•™ì ìœ¼ë¡œ 그려진 호랑ì´ì˜ 모습ì—서 ì„ ì¡°ë“¤ì˜ ì—­ë°œìƒì  ê¸°ë°œí•¨ì´ ë‹ë³´ì¸ë‹¤.

ê±°ë¶ì´ì™€ ë±€, ë§, ì›ìˆ­ì´ì˜ 특성과 ìƒì§•성

다ìŒìœ¼ë¡œëŠ” ê±°ë¶ì´ì—게 ì†ì•„ ìš©ê¶ìœ¼ë¡œ 갔다가 기지를 발휘해 ëª©ìˆ¨ì„ ê±´ì§„ 꾀보 토ë¼ì— 대해 살펴보ìž. 토ë¼ëŠ” ê²½ë§í•¨ê³¼ ê²ìŸì´ë¥¼ ìƒì§•í•˜ê¸°ë„ í•˜ì§€ë§Œ 민간 설화ì—서는 달ì—서 떡방아를 찧거나 ë¶ˆì‚¬ì•½ì„ ë§Œë“œëŠ” 장ìƒë¶ˆì‚¬ì˜ 표ìƒìœ¼ë¡œ ì¸ì‹ë˜ì—ˆë‹¤. 특히 ë¯¼í™”ì— ë‚˜ì˜¤ëŠ” 계수나무 아래ì—서 ë°©ì•„ 찧는 토ë¼ë¥¼ í”히 ë³¼ 수 ìžˆëŠ”ë° ì´ê²ƒì€ 부부애를 ì€ìœ í•´ì„œ 표현한 것ì´ë¼ 한다.
ìš©ì€ ë¶ˆêµì—서는 ë¶ˆë²•ì„ ìˆ˜í˜¸í•˜ê³  역사 ì†ì—서는 호국신으로 ì¡´ìž¬í–ˆì—ˆë˜ 12ê°„ì§€ 중 유ì¼í•˜ê²Œ 현존하지 않는 ìƒìƒì˜ ë™ë¬¼ì´ë‹¤. 절대ì ìœ¼ë¡œ ì²œìˆ˜å¤©æŽˆì— ì˜ì¡´í•  ìˆ˜ë°–ì— ì—†ì—ˆë˜ ë†ê²½ì‚¬íšŒì—서 í’어와 í’ë…„ì„ ê¸°ì›í•˜ëŠ” ë¯¼ê°„ì‹ ì•™ì˜ ëŒ€ìƒìœ¼ë¡œ 가뭄으로 ê¸°ê·¼ì´ ë“¤ 때는 기우제를 지내고 바다ì—서는 용왕굿ì´ë‚˜ 용왕제를 지내 무사와 í’ì–´, 마ì„ì˜ í‰ì•ˆ ë“±ì„ ê¸°ì›í•˜ì˜€ë‹¤. ìžìœ ìžìž¬ë¡œ ê·¸ ëª¨ìŠµì„ ë°”ê¿€ 수 있는 변화무ìŒí•œ ì‹ í†µë ¥ì„ ê°€ì§„ 존재로 ì™•ê¶Œì„ ìƒì§•하였다.
ë±€ì€ ì§€í˜œë¡­ê³  ìƒí™©íŒë‹¨ì„ 잘 하는 ë™ë¬¼ë¡œ 민간신앙ì—서는 ‘업’으로 불리며 ìž¬ì‚°ì˜ ìˆ˜í˜¸ì‹ ìœ¼ë¡œ ì¸ì‹ë˜ì—ˆë‹¤. ë±€ì€ ë´„ì— ë•…ì†ì—서 나와 ê°€ì„ ì„œë¦¬ 내릴 무렵 다시 ë•… ì†ìœ¼ë¡œ 들어가 똬리를 틀고 ê²¨ìš¸ìž ì„ ìž”ë‹¤. ë˜í•œ 매년 í—ˆë¬¼ì„ ë²—ê³  ë³€ì‹ ì˜ ê³¼ì •ì„ ê±°ì¹˜ëŠ” ìƒíƒœì  특성으로 ì¸í•´ 죽ìŒê³¼ 탄ìƒì˜ ìˆœí™˜ì„ ë‚˜íƒ€ë‚´ëŠ” ì˜í˜¼ì„ ìƒì§•í•˜ê¸°ë„ í•œë‹¤.
ë§ì€ ìƒë™ê°ê³¼ 뛰어난 순발력, 지치지 않는 체력으로 기마민족ì—게는 정복활ë™ê³¼ ì •ë³µì§€ì˜ ì›í™œí•œ 지배를 위한 수단으로 ì´ìš©í•˜ê¸°ë„ 하였다. 고대국가ì—서는 ë§ìžäº¡è€…ê°€ ì´ìйì—서 저승으로 ê°ˆ 때 타고 가는 í•˜ëŠ˜ì˜ ì‚¬ì‹ (ì˜ë§¤ìž)으로서 매우 신성한 ë™ë¬¼ë¡œ ë¯¸ëž˜ì— ëŒ€í•œ 예언ìžì  존재로 여겼다. 현재 전하는 ê³µë¯¼ì™•ì˜ ì²œë§ˆë„는 걸작으로 꼽힌다.
ì–‘ì€ ì„¤í™”, 꿈, ì†ë‹´ 등ì—서 유순하고 ì¸ë‚´ì‹¬ 강한 ìƒì„œë¡œìš´ ë™ë¬¼ë¡œ 나온다. 유목민ì—게는 ìž¬ì‚°ì˜ ì²™ë„ì´ë©° ì œë‹¨ì— ë°”ì³ì§€ëŠ” í¬ìƒë¬¼ì´ì—ˆë‹¤. 고려시대 ê³µë¯¼ì™•ì´ ê·¸ë¦° ì´ì–‘二羊과 ìž‘ìžë¯¸ìƒì˜ 산양山羊 그림 ì •ë„ê°€ 남아 ìžˆì„ ë¿ ìš°ë¦¬ë‚˜ë¼ì—서 ì–‘ì— ê´€í•œ ìž‘í’ˆì€ ê±°ì˜ ì—†ë‹¤.
ì›ìˆ­ì´ëŠ” ë™ë¬¼ ê°€ìš´ë° ê°€ìž¥ ì˜ë¦¬í•˜ê³  재주 ë§Žì€ ë™ë¬¼ì´ì§€ë§Œ ë‚¨ì˜ í‰ë‚´ë¥¼ 잘 ë‚´ì–´ 오히려 재수 없는 ë™ë¬¼ë¡œ ê¸°í”¼í•˜ê¸°ë„ í•œë‹¤. ì´ëŸ° 연유로 ì›ìˆ­ì´ë¥¼ ìž”ë‚˜ë¹„ë¼ í‘œí˜„í•˜ëŠ” 것ì´ë‹¤. ì›ìˆ­ì´ì˜ ë”ì°í•œ ìžì‹ ì‚¬ëž‘ì€ ê·¸ë¦¼ì´ë‚˜ ì¡°ê°ìœ¼ë¡œ 표현ë˜ì–´ì ¸ ìžˆëŠ”ë° ì›ìˆ­ì´ê°€ í¬ë„ ì•Œì„ ë”°ë¨¹ê±°ë‚˜ í¬ë„나무 가지 사ì´ë¡œ 옮겨 다니는 모습ì´ë¼ë“ ê°€ 어미가 새ë¼ë¥¼ í’ˆì•ˆì— ì•ˆê³  있는 모습 ë“±ì´ ê·¸ê²ƒì´ë‹¤. 민화 ì†ì—서 천ë„복숭아를 먹고 있는 ì›ìˆ­ì´ëŠ” 장수를 ìƒì§•하며 구전 설화ì—서 ì›ìˆ­ì´ëŠ” 꾀와 재주가 ë§Žê³  í‰ë‚´ë¥¼ 잘 ë‚´ì–´ ì œ ë°œë“±ì„ ì°ëŠ” ìž¥ë©´ì´ ë“±ìž¥í•˜ê¸°ë„ í•œë‹¤.

신통력 있는 서조瑞鳥 ë‹­ê³¼ 친밀한 ë™ë¬¼ ê°œ

ë‹­ì€ ìƒˆë²½ì„ ì•Œë¦¬ëŠ” ìš°ë ì°¬ 울ìŒì†Œë¦¬ë¡œ ë°¤ì„ ë– ëŒì•„ë‹¤ë‹ˆë˜ ì›ê·€ë“¤ì„ ì«“ì•„ë‚´ê³  ìƒˆë²½ì„ ì—¬ëŠ” 신통력 있는 서조瑞鳥로 여겼다. 시계가 ì—†ì—ˆë˜ ì‹œì ˆ 울ìŒì†Œë¦¬ë¡œ ì‹œê°„ì„ ì•Œë ¤ì£¼ëŠ” 시보ìžì´ìž ë¯¸ëž˜ì— ëŒ€í•œ 예지능력 외ì—ë„ ê´‘ëª…ì„ ì—¬ëŠ” íƒœì–‘ì˜ ìƒˆë¡œì„œ 악귀와 ì•¡ì„ ë¬¼ë¦¬ì¹˜ëŠ” ì£¼ìˆ ì  ì¡´ìž¬ë¡œ ì¸ì‹í•˜ì˜€ë‹¤. ë˜í•œ ë‹­ ê·¸ë¦¼ì„ ê·¸ë ¤ ì„œìž¬ì— ê±¸ì–´ ë†“ê¸°ë„ í•˜ì˜€ëŠ”ë° ì´ëŠ” ë‹­ì˜ ë¨¸ë¦¬ì— ìžˆëŠ” ë³ì˜ ëª¨ì–‘ì´ ê´€å† ì„ ì“´ 것과 비슷하다 하여 입신출세와 ë¶€ê·€ê³µëª…ì„ ê¸°ì›í•˜ì˜€ê¸° 때문ì´ë‹¤. ë‹­ê³¼ 함께 맨드ë¼ë¯¸ë¥¼ ê·¸ë ¤ë„£ê¸°ë„ í•˜ëŠ”ë° ë§¨ë“œë¼ë¯¸ 역시 ë‹­ì˜ ë²¼ìŠ¬ê³¼ 비슷하게 ìƒê²¨ ê´€ìƒê°€ê´€å† ä¸ŠåР冠ì´ë¼ 하여 ë§ ê·¸ëŒ€ë¡œ ê´€ ìœ„ì— ê´€ì„ ë”한다는 ê²ƒì„ ëœ»í•˜ëŠ” 것으로 ìµœê³ ì˜ ìž…ì‹ ì¶œì„¸ë¥¼ ì˜ë¯¸í•œë‹¤. ìˆ˜íƒ‰ì´ ê¸¸ê²Œ 우는 ëª¨ìŠµì„ ëª¨ëž€ê³¼ 함께 ê·¸ë¦¬ê¸°ë„ í•˜ëŠ”ë° ì—¬ê¸°ì—서 ëª¨ëž€ì€ ë¶€ê·€ë¥¼, ìˆ˜íƒ‰ì€ ê³µëª…ì„ ìƒì§•하여 ë¶€ê·€ê³µëª…ì„ ë°”ë¼ëŠ” ëœ»ì´ ë‹´ê²¨ 있는 것ì´ë‹¤.
개는 역사 ì†ì—서 ì¸ê°„ê³¼ 가장 친밀한 ë™ë¬¼ì´ë‹¤. 충성과 ì˜ë¦¬ë¥¼ 가진 ì¶©ë³µ, 심부름꾼, 안내ìž, 지킴ì´, ì¡°ìƒì˜ 환ìƒ, ì¸ê°„ì˜ ë™ë°˜ìžë¡œì„œì˜ ì´ë¯¸ì§€ë¥¼ 가진다. ë¿ë§Œ ì•„ë‹ˆë¼ ìž¡ê·€ì™€ 병ë„깨비, 요귀 ë“±ì˜ ìž¬ì•™ì„ ë¬¼ë¦¬ì¹˜ê³  ì§‘ì•ˆì˜ í–‰ë³µì„ ì§€í‚¤ëŠ” ëŠ¥ë ¥ì´ ìžˆë‹¤ê³  전해진다. 특히 í°ê°œëŠ” 전염병, 병ë„깨비, 잡귀를 물리치는 ë“±ì˜ ë²½ì‚¬ëŠ¥ë ¥ì´ ìžˆì–´ ì§‘ì•ˆì„ í‰í™”롭게 한다고 믿었다. í˜„ëŒ€ì— ì™€ì„œëŠ” 반려견으로서 ê³ ì–‘ì´ì™€ 함께 가장 ë§Žì€ ì‚¬ëž‘ì„ ë°›ê³  있다.

ë³µì„ ê°€ì ¸ë‹¤ì£¼ëŠ” ë¶€ì˜ ìƒì§• ë¼ì§€

마지막으로 2019ë…„ì˜ ì£¼ì¸ê³µì´ìž 12번째 ë™ë¬¼ì¸ ë¼ì§€ì— 대해 알아보ìž. ë¼ì§€ì™€ ê´€ë ¨ëœ í•œìžë¡œëŠ” ë¼ì§€ 해亥, ë¼ì§€ 시豕, ë¼ì§€ ëˆè±š ë“±ì´ ìžˆë‹¤. ë¼ì§€ 해亥는 12ê°„ì§€ì— ë‚˜ì˜¤ëŠ” ë¼ì§€ë¥¼ 지칭할 때 ì“°ê³  제사ìƒì— 올리는 ë¼ì§€ëŠ” ë¼ì§€ ì‹œè±•ë¼ ì¹­í•œë‹¤. 오늘날 ë§Žì´ ì‚¬ìš©í•˜ëŠ” 한ìžëŠ” ë¼ì§€ëˆè±šìœ¼ë¡œ ë¼ì§€ê¿ˆì„ 꾸면 ëˆì´ 들어온다는 ì†ì„¤ì´ ìƒê¸´ ê²ƒì€ ë¼ì§€ë¥¼ 뜻하는 í•œìž â€˜ëˆè±šâ€™ê³¼ ê¸ˆì „ì„ ëœ»í•˜ëŠ” ‘ëˆâ€™ì˜ ë°œìŒì´ 같기 때문ì´ë‹¤. ì•¼ìƒ ë¼ì§€ì¸ ë©§ë¼ì§€ë¥¼ 지칭할 때는 ë¼ì§€ ì €çŒªë¼ í‘œê¸°í•˜ëŠ”ë° ìˆ˜í˜¸ì§€ì— ë‚˜ì˜¤ëŠ” ì†ì˜¤ê³µê³¼ 함께 삼장법사를 모시고 가는 저팔계豬八戒가 바로 ë©§ë¼ì§€ì´ë‹¤. 한ë™ì•ˆ ì´ë°œì†Œ 그림ì´ë¼ 하여 키치 아트가 유행ë˜ë˜ ì‹œì ˆì´ ìžˆì—ˆë‹¤. ê·¸ 중 어미 ë¼ì§€ê°€ ìƒˆë¼ ë¼ì§€ë“¤ì„ í’ˆì— ì•ˆê³  ì –ì„ ë¨¹ì´ëŠ” ëª¨ìŠµì„ ê·¸ë ¤ 문설주 ìœ„ì— ê±¸ì–´ 놓는 ìƒì ì´ ë§Žì•˜ëŠ”ë° ì´ëŠ” 번ì‹ì´ 빠른 ë¼ì§€ì˜ ì†ì„±ì„ 사업번창과 ê°™ì€ ì˜ë¯¸ë¡œ 보았기 때문ì´ë‹¤. 예로부터 ë¼ì§€ëŠ” ë³µì„ ê°€ì ¸ë‹¤ì£¼ëŠ” ë¶€ì˜ ìƒì§•ì´ë¼ 여겼다. ì–´ë¥´ì‹ ë“¤ì˜ ë•ë‹´ ì¤‘ì— â€˜ë³µìŠ¤ëŸ½ê²Œ ìƒê²¼ë‹¤â€™, ‘복스럽게 먹는다’ë¼ëŠ” ë§ì—는 ë¶€ìžë¡œ 잘 살기를 기ì›í•˜ëŠ” 마ìŒì´ 담겨 있다.

ë…ìžì ì¸ 개성과 호기심으로 민화 ì°½ìž‘ì— ìž„í•´ì•¼

ìš°ë¦¬ë‚˜ë¼ ì‚¬ëžŒë“¤ì€ ì„¸ìƒì— 나오면서 ‘ë â€™ë¥¼ 가지고 태어난다. 태어난 í•´ì˜ ë ë¥¼ 나타내는 ë™ë¬¼ì— 대해 ì¢‹ì€ ì´ì•¼ê¸°ë¥¼ 들으며 성장한다. 예를 들면, ‘ì¥ë ëŠ” ì‹ë³µì´ 많다’, ‘잔나비ë ëŠ” ì†ìž¬ì£¼ê°€ 많다’, ‘소ë ëŠ” 부지런하다’, ‘범ë ëŠ” ìš©ê°í•˜ë‹¤â€™ ë“±ì˜ ë§ì„ 듣고 ìžë¼ë©´ì„œ ìžì—°ížˆ ìžì‹ ì„ ë ì˜ ë™ë¬¼ê³¼ ë™ì¼ì‹œí•˜ê²Œ ë˜ëŠ” ê²½í–¥ì´ ìžˆë‹¤. ì´ë ‡ë“¯ 성장과정ì—ì„œì˜ 12지와 ê´€ë ¨ëœ í™˜ê²½ì€ ì‚¬ëžŒë“¤ì—게 심리ì ìœ¼ë¡œ ë§Žì€ ì˜í–¥ì„ 주었다. ì˜¤ëŠ˜ë‚ ê¹Œì§€ë„ ê°œì¸ì˜ 운명ì´ë‚˜ 심성, ìƒí˜¸ê°„ì˜ ìœµí™”Â·ìƒì¶©ê´€ê³„를 íŒŒì•…í•˜ëŠ”ë° ì¶œìƒë…„ë„ì˜ ì‚¬ì£¼ì™€ ë ë¥¼ ì´ìš©í•˜ëŠ”ë° ì´ëŸ¬í•œ ë ì™€ 사주문화는 ì•žìœ¼ë¡œë„ ê³¼í•™ê¸°ìˆ ì˜ ë°œë‹¬ê³¼ ìƒê´€ì—†ì´ 계ì†ë  것ì´ë‹¤.
우리는 ë™ì‹œëŒ€ë¥¼ 살지만 서로 다른 가치관과 í”„ë ˆìž„ì„ ê°€ì§€ê³  살아간다. 오래 살아서 ê²½í—˜ì´ ë§Žê³  ì§€ì‹ì´ 많다는 ê²ƒì„ ë§ˆì¹˜ 지혜가 있는 것으로 ì°©ê°í•˜ë©´ 안 ë˜ëŠ” 것처럼 민화를 그린 ì„¸ì›”ì´ ê¸¸ë‹¤ê³  해서, ë§Žì´ ê·¸ë ¸ë‹¤ê³  해서 잘 그린다고 ì°©ê°í•´ì„œëŠ” 안 ë  ì¼ì´ë‹¤. 경험과 ì§€ì‹ì´ 쌓ì¼ìˆ˜ë¡ 오히려 ì°½ìž‘ì— ëŒ€í•œ 호기심과 열정으로 다양하고 í’부한 ì´ì•¼ê¸°ë¥¼ ë” ë§Žì´ í™”í­ì— íŽ¼ì³ ë³´ì¼ ì¼ì´ë‹¤. ë„ˆë„ ë‚˜ë„ ë‹¤ ê°™ì€ ì‹ ë…ê³¼ 진리를 신봉한다면 ì´ ì„¸ìƒì€ 발전할 수 ì—†ì„ ê²ƒì´ë‹¤. 마찬가지로 너나 í•  것 ì—†ì´ ì „ìŠ¹ë¯¼í™”ë¥¼ 모사하거나 재현하는 작업만 한다면 ë‚´ê°€ ì‚´ê³  있는 ì´ ì‹œëŒ€ì˜ ì‚¬ìƒê³¼ ì‹ ë…, 그리고 정서와 ì‚¶ì„ ë‹´ì•„ë‚¼ 수 없다. 진정한 ë‚´ 것ì´ëž€ ì¡°ìƒìœ¼ë¡œë¶€í„° 전승ë˜ì–´ì§„ 것과 ê·¸ ì†ì— 녹아 있는 ë‚˜ë§Œì˜ ë…ìžì ì¸ ê°œì„±ì´ ìžˆì„ ë•Œë¼ì•¼ ì¡´ìž¬ì˜ ê°€ì¹˜ê°€ 있는 것ì´ë‹¤.


글 금광복(대한민국민화전승문화재, ìˆ­ì‹¤ëŒ€í•™êµ í‰ìƒêµìœ¡ì› 민화강사과정 ì§€ë„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