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요지연ë„ì˜ ìƒˆë¡œìš´ 사례

조선후기 ê¶ì¤‘íšŒí™”ì˜ ì£¼ìš” ì£¼ì œì¸ ìš”ì§€ì—°ë„瑤池宴圖는 현재 여러 ì ì´ 전하고 있다. 대부분 19ì„¸ê¸°ì— ê¶ì¤‘í™”ì›ë“¤ì´ 그린 작품ì´ë©°, 전설 ì† ì„œì™•ëª¨è¥¿çŽ‹æ¯ì˜ 처소와 바다를 건너는 ì‹ ì„ ë“¤ì´ í•µì‹¬ ìž¥ë©´ì„ ì´ë£¬ë‹¤. 구ë„ì— ë”°ë¼ ëª‡ 가지 유형으로 나뉘지만, 기본ì ì¸ ëª¨í‹°í”„ì˜ êµ¬ì„±ì—는 ì°¨ì´ê°€ 없다.
요지연ë„는 간혹 ë¯¸ê³µê°œìž‘ë“¤ì´ ì†Œê°œë˜ì—ˆì§€ë§Œ 대부분 ê¸°ì¡´ì˜ ìœ í˜•ì— ê·€ì†ë˜ì—ˆê³ , 새로운 ì „í˜•ì„ ì œì‹œí•˜ëŠ” 사례는 드물었다. ì—¬ê¸°ì— ì†Œê°œí•˜ëŠ”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 8í­ ë³‘í’ì€ ìˆ˜ì¤€ ë†’ì€ í™”ê²©ç•«æ ¼ì— ê¸°ì¡´ì˜ ìž‘í’ˆê³¼ 다른 íŠ¹ìƒ‰ì„ ì§€ë‹ˆê³  있어 조선후기 요지연ë„ì˜ ì „ê°œê³¼ì •ì— ë‹¤ì–‘í•œ 시사ì ì„ 제공해 준다. ìž‘í’ˆì˜ ì „ì²´ 구성과 ì„¸ë¶€ì˜ íŠ¹ì§•ì„ ì‚´íŽ´ë³´ê³ , 제작시기를 ì¶”ì •í•¨ìœ¼ë¡œì¨ ì‹¤ì¦ì ì¸ 연구 ìžë£Œë¡œì„œì˜ ì˜ì˜ë¥¼ 간략히 살펴본다.

– 글 윤진ì˜(í•œêµ­í•™ì¤‘ì•™ì—°êµ¬ì› ìˆ˜ì„연구ì›)


í™”ë©´ì˜ êµ¬ì„±

ì—¬ê¸°ì— ì†Œê°œí•˜ëŠ”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 8í­ ë³‘í’ì€ ê° í­ì˜ 너비가 60~64ãŽë¡œ ìƒë‹¹ížˆ ë„“ì€ íŽ¸ì´ë‹¤.(ë„1) ì „ì²´ ì—¬ëŸ í­ì´ì§€ë§Œ, 실제로는 ì¼ë°˜ ë³‘í’ ì—´ í­ì„ 넘어서는 í¬ê¸°ì—¬ì„œ 화면 안ì—ì„œì˜ ê²½ë¬¼ê³¼ ê³µê°„ì˜ ë°°ì¹˜ê°€ 여유로워 ë³´ì¸ë‹¤. ë³‘í’ ì™¼ìª½ì˜ ì„¸ í­(ì œ6~8í­)ì€ ì‹ ì„ ë“¤ì´ ë°”ë‹¤ë¥¼ 건너는 장면ì´ê³ , ê°€ìš´ë° ë‘ í­(ì œ5·6í­)ì—는 서왕모와 초대 ì†ë‹˜ì¸ ì£¼ë‚˜ë¼ ëª©ì™•ç©†çŽ‹ì„ ê°ê° 한 í­ì”© 배치하였다. ê·¸ 오른쪽 세 í­(ì œ1~3í­)ì—는 ì„œì™•ëª¨ì˜ ì²˜ì†Œë¥¼ 그려 ì „ì²´ì ì¸ ê· í˜•ì„ ë§žì¶”ì—ˆë‹¤.

ë„1-1 <요지연ë„>ì˜ ë°”ë‹¤ë¥¼ 건너는 ì‹ ì„ ë“¤ì˜ ëª¨ìŠµ

화면 ì™¼ìª½ì˜ ë„“ê²Œ íŠ¸ì¸ ê³µê°„ì—는 바다를 건너는 여러 ì‹ ì„ ê³¼ 공중ì—서 내려오는 ì„ ì¸ë“¤ì´ 등장하고, ë°”ë‹¤ì˜ ì•„ëž˜ìª½ì—는 ë…¸ìžë¥¼ 비롯한 ì‹ ì„ ë“¤ì´ ê±¸ì–´ 나오는 ê¸¸ì´ ë‚˜ 있다.(ë„1-1) ì´ë ‡ê²Œ ë³´ë©´ ì‹ ì„ ë“¤ì´ ì„œì™•ëª¨ë¥¼ 찾아오는 경로는 하늘과 ë•…, 그리고 바다 등 ëª¨ë‘ ì—´ë ¤ 있는 ì…ˆì´ë‹¤.
바다를 그린 ë³‘í’ ì™¼ìª½ì˜ ì„¸ í­ì„ 제외한 ì˜¤ë¥¸íŽ¸ì˜ ë‹¤ì„¯ í­ì€ ì„œì™•ëª¨ì˜ ì²˜ì†Œì¸ ìš”ì§€ë¥¼ 그린 것ì´ë‹¤. ì´ ê³µê°„ì—는 아래 ìœ„ìª½ì— ë°”ìœ„ì™€ 나무 사ì´ë¥¼ 경계로 ë‚œê°„ì´ ë‘˜ëŸ¬ì ¸ 있다. ì•„ë§ˆë„ ì´ ê³µê°„ì€ ì„œì™•ëª¨ì˜ ê¶ê¶ì— 딸린 누대樓臺로 ì§ìž‘ëœë‹¤. ê·¸ë¦¼ì˜ ì•„ëž˜ìª½ìœ¼ë¡œëŠ” 부분ì ìœ¼ë¡œ êµ¬ë¦„ì´ í”¼ì–´ì˜¤ë¥´ê³ , ì²­ë¡ìƒ‰ì˜ 바위를 드문드문 그려 넣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3천년 ë§Œì— ì—´ë§¤ë¥¼ 맺는 ë°˜ë„나무는 ëª¨ë‘ ì„¸ 그루가 그려져 있다. ë³‘í’ ì œ2í­ ìƒë‹¨ì˜ 바위 ë’¤íŽ¸ì— í•œ 그루가 있고, ì œ3í­ì˜ ì—°ëª»ê°€ì— í•œ 그루가 있는ë°, í¬ê¸°ê°€ 가장 í¬ê³  가지가 êµ½ì´ë¥¼ ì´ë£¨ë©° 힘차게 ë»—ì–´ ì˜¬ë¼ ìžˆë‹¤. ì œ5í­ì—는 바위 ìœ„ì— í•œ 그루가 뿌리를 ë°•ê³  있다. ê° ë°˜ë„나무ì—는 커다란 ì‹ ë¹„ì˜ ë³µìˆ­ì•„ê°€ íƒìŠ¤ëŸ½ê²Œ ì—´ë ¤ 있다.

ë„1-2 <요지연ë„>ì˜ ì„œì™•ëª¨ì™€ 목왕

ë„1-3 <요지연ë„>ì˜ ì„œì™•ëª¨ì˜ ì •ì› ë¶€ë¶„

서왕모와 ëª©ì™•ì€ ê°ê° 병í’ì„ ë°°ê²½ìœ¼ë¡œ 하여 대칭형으로 앉았으나 ì•žì— ì°¬íƒé¥Œå“ì€ ë†“ì§€ 않았다.(ë„1-2) ê·¸ 뒤편으로는 태호ì„太湖石과 ê°™ì€ ê¸°ì´í•œ 바위와 소나무, 오ë™ë‚˜ë¬´ë¥¼ ì •êµí•˜ê²Œ 그려 배경으로 삼았다. 서왕모와 ëª©ì™•ì˜ ì•žìª½ìœ¼ë¡œëŠ” ë„“ì€ ê³µê°„ì„ ë¹„ì›Œë‘었고, 조금 ì•„ëž˜ì— íŽ¸ê²½ê³¼ 편종, ë¶, 비파와 피리를 연주하는 ì—¬ì¸ë“¤ì´ 좌우로 나뉘어 ìžë¦¬ 잡았다. 빈 ê³µê°„ì˜ ì•„ëž˜ìª½ì—는 ìƒì„œë¡œìš´ ëª¨ì–‘ì˜ ë´‰í™© ë‘ ë§ˆë¦¬ê°€ ê±°ë‹ê³  있다.
í™”ë©´ì˜ ì˜¤ë¥¸ìª½ ê³µê°„ì€ ì„œì™•ëª¨ì˜ ì •ì›ìœ¼ë¡œ ë³´ì¸ë‹¤.(ë„1-3) íƒìž ìœ„ì˜ ë„ìžê¸°ë¥¼ 다루며 ìˆ ì„ ì¤€ë¹„í•˜ëŠ” ì—¬ì¸, ê³µìž‘ì„ ëŒë³´ëŠ” 시ë™, 학과 노니는 ì—¬ì¸ ë“±ì´ ê·¸ë ¤ì ¸ 있다. ê·¸ 아래ì—는 요지로 추측ë˜ëŠ” ì—°ëª»ì— ì—°ê½ƒì´ í”¼ì–´ì˜¬ëžê³ , 커다란 ê´´ì„ ë‘ ê°œê°€ ì—°ëª»ì— ìž ê²¨ 있으며, ê·¸ 위로 모란과 대나무가 부분ì ìœ¼ë¡œ ìžë¼ë‚˜ 있다. 맨 오른쪽 í­ì—는 요지로 나갈 수 있ë„ë¡ ë‚œê°„ì„ ì—´ì–´ë†“ì€ ë¶€ë¶„ì´ ìžˆë‹¤. ê·¸ 아래쪽ì—는 ëª©ì™•ì´ íƒ€ê³  온 마차와 준마駿馬, 그리고 ë§ˆë¶€ë“¤ì´ ë³´ì¸ë‹¤.
병í’ì´ ì ‘ížˆëŠ” 경계 ë¶€ë¶„ì— ì•½ê°„ ë³€ìƒ‰ëœ ë¶€ë¶„ì´ ë‚¨ì•„ 있지만, ì „ë°˜ì ì¸ ë³´ì¡´ ìƒíƒœëŠ” 양호하다.

í™”í’ì˜ íŠ¹ì§•ê³¼ 세부 묘사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ì—는 ì „ë°˜ì ìœ¼ë¡œ 19세기 요지연ë„ì— ë³´ì´ëŠ” 강렬하고 ë‘í„°ìš´ 색ê°ì€ 차분하게 ê°€ë¼ì•‰ì•„ 있다. 얼굴ì´ë‚˜ ë³µì‹ì—ë„ ìŒì˜ë²•ì´ë‚˜ ìž…ì²´ê°ì„ 드러내기 위한 복잡한 기êµëŠ” 사용하지 않았다. 그림 ì „ë°˜ì— ê±¸ì¹œ 세밀한 묘사와 ì‚°ëœ»í•˜ë©´ì„œë„ ë‹¨ì •í•œ ì±„ìƒ‰ì€ ì´ ê·¸ë¦¼ì˜ ì œìž‘ì‹œê¸°ë¥¼ ì¡°ì„ í›„ê¸°ì˜ ì•žìª½ìœ¼ë¡œ 다소 올려 잡게 한다.
ì²­ë¡ìƒ‰ì˜ 바위는 ê°ˆìƒ‰ì´ ê¹”ë¦° 채색 ìœ„ì— ë…¹ìƒ‰ì„ ì˜¬ë ¸ê³ , 부분ì ìœ¼ë¡œ ì§™ì€ ì²­ìƒ‰ì¡°ë¥¼ 가하여 ë‹´ë„ì˜ ì¡°ì ˆê³¼ 변화를 주었다. 예컨대 ì´ëŸ¬í•œ 채색 ë°©ì‹ì˜ ê²½í–¥ì€ 17세기 ìž‘ 채색화ì—서 ë³¼ 수 있다. 특히 <요지연ë„>ì˜ ë°”ìœ„ëŠ” 국립중앙박물관 ì†Œìž¥ì˜ 1695ë…„ ìž‘ <제갈무후ë„(諸葛武侯圖)>ì— ê·¸ë ¤ì§„ ë°”ìœ„ì˜ ë¬˜ì‚¬ì™€ 유사하다.(ë„2) <요지연ë„>ì˜ ì²­ë¡ìƒ‰ì€ 17세기 후반기부터 ë¹„ë¡¯ëœ ì±„ìƒ‰ ë°©ì‹ì˜ ì—°ìž¥ì„ ì— ìžˆë‹¤ê³  하겠다.
ë˜í•œ ì œ1í­ì—서 ì œ5í­ìœ¼ë¡œ ì´ì–´ì§€ëŠ” ìš”ì§€ì˜ ë•… 위ì—는 ë…¹ìƒ‰ì¡°ì˜ í’€ë“¤ì„ ì§§ì€ ì ê³¼ 선으로 드문드문 묘사하였다. ì´ëŸ¬í•œ 요소는 곽분양행ë½ë„ 등 조선후기 ê¶ì¤‘회화ì—서 ì¼ë°˜ì ìœ¼ë¡œ ë³¼ 수 있는 특징ì´ë‹¤. ì„œìš¸ëŒ€í•™êµ ë°•ë¬¼ê´€ ì†Œìž¥ì˜ 1689ë…„ ìž‘ <기로연회ë„병耆è€å®´æœƒåœ–å±›>ì˜ ì‚¬ë¡€ì—ì„œë„ ìž¡í’€ì˜ ë¬˜ì‚¬ë¥¼ ë³¼ 수 있다. 물론 ì´ëŸ¬í•œ í™”ë²•ë“¤ì€ 19세기 ìž‘ì—ë„ ë‚˜íƒ€ë‚˜ì§€ë§Œ, ê·¸ ì„ í–‰ 사례가 17세기 후반기부터 ë¹„ë¡¯ëœ í™”ë²•ì˜ íë¦„ì— ìžˆìŒì„ 주지하게 ëœë‹¤.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 8í­ ë³‘í’ì€ ì–´ëŠ ê·¸ë¦¼ë³´ë‹¤ 세부묘사가 ì••ë„ì ì¸ 우위를 차지한다. 서왕모와 목왕, ì‹ ì„ , ì‹œë…€ë“¤ì˜ ì„¸ë¶€ 묘사를 살펴보면, í•„ë ¥ì´ ë†€ë¼ìš¸ ì •ë„로 탄탄하고 묘사가 정밀하다. ì´ëŸ¬í•œ 그림과 ë™ì¼í•œ 수준으로 비êµí•  만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서왕모는 갸름한 ì–¼êµ´ì— ë´‰í™© 장ì‹ì´ 달린 오량관五æ¢å† ì„ ì¼ë‹¤.(ë„1-4) ì–¼êµ´ì˜ ìœ¤ê³½ì„ ê³¼ ì´ëª©êµ¬ë¹„를 그린 선묘ì—는 ìƒë‹¹ížˆ 날렵한 í•„ë ¥ì´ ê°ì§€ëœë‹¤. ì—¬ê¸°ì— ìŒì˜ì´ë‚˜ ìž…ì²´ê°ì„ ë‚˜íƒ€ë‚´ê³ ìž í•œ ë¶€ë¶„ì€ ë³´ì´ì§€ 않는다. 녹색 ìƒì˜ì™€ ì ìƒ‰ì˜ ì•ˆê° ì¹˜ë§ˆì—는 금분으로 ë¬¸ì–‘ì„ ê·¸ë ¤ ì‹¤ë¬¼ì˜ ì •êµí•¨ì„ ìž¬í˜„í•˜ê³ ìž í–ˆë‹¤. ì´ëŸ¬í•œ 섬세한 ì¸ë¬¼ 처리는 ì„œì™•ëª¨ì˜ ì‹œë…€ë“¤ì—ê²Œë„ ë™ì¼í•˜ê²Œ ì ìš©ë˜ì—ˆë‹¤. 특히 ì‹œë…€ë“¤ì€ ëª©ì—서 팔로 ì´ì–´ì§€ëŠ” í˜•íƒœì— ì–´ê¹¨ë¥¼ ì•½í™”ì‹œí‚´ìœ¼ë¡œì¨ ë”ìš± 갸름하고 날씬한 ì¸ìƒì„ 전해준다.
ëª©ì™•ì˜ ê²½ìš°ë„ ë©´ë¥˜ê´€ì„ ì“´ ì–¼êµ´ì€ ê°„ê²°í•˜ê²Œ 처리하였으나 ìˆ˜ì—¼ì˜ ë¬˜ì‚¬ëŠ” ì´ˆìƒí™”처럼 세밀하다.(ë„1-5) 옷 ì£¼ë¦„ì˜ ì„ ì€ ë§¤ìš° 단순화시켰지만 필세ì—는 ê¼¿ê¼¿í•¨ì´ ì„œë ¤ìžˆë‹¤. ë¶ì„ 연주하는 ì‹œë…€ë“¤ì˜ ëª¨ìŠµì—ë„ ì—­ë™ì ì¸ ë™ì„¸ì™€ 우아한 ìžíƒœê°€ ë‹ë³´ì¸ë‹¤.(ë„1-6) 특히 ë³µì‹ì˜ 색ê°ê³¼ 촘촘하게 그린 ë¬¸ì–‘ì€ íšŒí™”ì  ì‹¤ìž¬ê°ì„ 높여준다. ë¶ì˜ ë¶‰ì€ ê°€ì£½ 표면ì—는 발톱 다섯 ê°œì˜ ì˜¤ì¡°ë£¡äº”çˆªé¾ì´ 금분으로 그려져 있다. ì‹ ì„ ë“¤ì˜ ë¬˜ì‚¬ë„ ì†ë„ê° ìžˆëŠ” 필선으로 형ìƒì„ 규정하였다. 개성미 넘치는 얼굴 í‘œì •ì˜ ë¬˜ì‚¬ëŠ” ê°ê°ì˜ 신선마다 ê³ ìœ ì˜ ì¡´ìž¬ê°ì„ ê°•ì¡°í•´ 주고 있다.(ë„1-7) 특히 ì‹ ì„  ìž¥ì§€í™”å¼µå¿—å’Œì˜ ëª¨ìŠµì„ ë³´ë©´, í•„ì„ ì´ ë§ˆì¹˜ ìˆ˜ë¬µí™”ì˜ ì„ ë¬˜ì²˜ëŸ¼ 탄력있고, 형태ê°ì´ 매우 선명하고 명확하게 마무리 ë˜ì–´ 있다. ì´ëŸ¬í•œ 세부 묘사는 íƒì›”한 ê¸°ëŸ‰ì„ ì§€ë‹Œ ì •ìƒê¸‰ í™”ì›í™”ê°€ì˜ ì†œì”¨ê°€ 아니고서는 불가능할 것ì´ë‹¤.

(왼쪽) ë„1-4 <요지연ë„>ì˜ ì„œì™•ëª¨ 부분/ (오른쪽) ë„1-5 <요지연ë„>ì˜ ëª©ì™• 부분

(왼쪽) ë„1-6 <요지연ë„>ì˜ ë¶ì„ 연주하는 기녀 / (오른쪽) ë„1-7 <요지연ë„>ì˜ ì‹ ì„  부분

바다를 건너는 ì‹ ì„ ë“¤ì˜ êµ¬ì„±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ì—서 바다를 건너는 ì‹ ì„ ë“¤ì€ ëŒ€ë¶€ë¶„ 병렬ì ç«åˆ—的으로 구성ë˜ì–´ 있다. ì‹ ì„ ë“¤ì„ ë‚˜ì—´í•˜ë“¯ì´ ê°„ê²©ì„ ë‘ì–´ 그렸으며 ê²¹ì³ ê·¸ë¦° ë¶€ë¶„ì€ ê±°ì˜ ë³¼ 수 없다. ì´ ì ì€ ê¸°ì¡´ì˜ ìš”ì§€ì—°ë„ì— ê·¸ë ¤ì§„ 신선들과 다른 ì ì´ë‹¤. ê¸°ì¡´ì˜ ë„ìƒì—는 바다를 건너는 ì‹ ì„ ë“¤ì´ ì‚¼ì‚¼ì˜¤ì˜¤ 무리를 짓거나 ê²¹ì³ ê·¸ë ¤ì§„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ì´ <요지연ë„> ì†ì˜ ì‹ ì„ ë“¤ì€ ë§ˆì¹˜ ‘거리ë‘기’ë¼ë„ 한 듯 ëª¨ë‘ ì¼ì •한 ê°„ê²©ì„ ë‘ê³  듬성듬성 위치해
있다. ì‹ ì„ ë“¤ì˜ ê°œë³„ì ì¸ íŠ¹ìƒ‰ì„ ì •í™•í•˜ê²Œ 보여주는 ë°ì—는 효과ì ì´ë‹¤. ì´ëŸ¬í•œ êµ¬ì„±ì€ ìš”ì§€ì—°ë„ì— í•´ìƒêµ°ì„ æµ·ä¸Šç¾¤ä»™ì„ 결합하여 그린 초기 ë‹¨ê³„ì˜ ë„ìƒìœ¼ë¡œ 추정할 수 있다.
행렬ë„나 êµ°ì„ ë„群仙圖ì—서 사람ì´ë‚˜ ê²½ë¬¼æ™¯ç‰©ì„ ë‚˜ì—´í•˜ë“¯ 그리는 병치(juxtapose)ì‹ êµ¬ì„±ì€ ëŒ€ë¶€ë¶„ 초기 ë‹¨ê³„ì˜ ë„ìƒì—서 ë³¼ 수 있는 특징ì´ë‹¤. 그러한 묘사방ì‹ì´ ì§„ì „ë˜ë©´, â€˜ê²¹ì³ ê·¸ë¦¬ê¸°â€™ì‹ìœ¼ë¡œ 나타나는 ê²ƒì´ ë„ìƒì˜ ì¼ë°˜ì ì¸ 발전과정ì´ë‹¤. <요지연ë„> ì† ì‹ ì„ ë“¤ì˜ í–‰ë ¬ì— ë‚˜íƒ€ë‚œ ë³‘ë ¬ì‹ êµ¬ì„±ì€ êµ°ì„ ç¾¤ä»™ì´ ì„œì™•ëª¨ì˜ ì²˜ì†Œì™€ ê²°í•©ëœ ì´ˆê¸° ë‹¨ê³„ì˜ íŠ¹ì§•ì´ê±°ë‚˜ 아니면 ë’· ì‹œê¸°ì— ì œìž‘í•œ ê·¸ë¦¼ì— ì´ˆê¸°ì˜ ë„ìƒì„ ë°˜ì˜í•˜ì—¬ 그린 형ì‹ìœ¼ë¡œ ë³¼ 수 있다.

ë¶ˆêµ ê´€ë ¨ ë„ìƒì˜ 문제

ì¼ë°˜ì ì¸ ìš”ì§€ì—°ì˜ ì™¼ìª½ ìƒë‹¨ì—는 하늘ì—서 내려오는 여러 ì‹ ì„ ê³¼ êµ°ìƒë“¤ì´ 등장한다. ê·¸ ê°€ìš´ë° í•˜ë‚˜ê°€ ì„가釋迦와 사천왕四天王, ë³´ì‚´è©è–© 등ì¸ë°, ì´ <요지연ë„>ì—는 그려지지 않았다. 사실 불êµì™€ ê´€ë ¨ëœ ì¡´ìž¬ë“¤ì€ 19ì„¸ê¸°ì˜ ìš”ì§€ì—°ë„ì— ë¹ ì§ì—†ì´ 들어가 있어 유불ë„å„’ä½›é“ì˜ ì‚¬ìƒê³¼ ì˜ë¯¸ë¥¼ ë¶€ê°ì‹œì¼œ í•´ì„í•˜ê¸°ë„ í•œë‹¤. 그런ë°, ì„가를 비롯한 ë¶ˆêµ ê´€ë ¨ ì´ë¯¸ì§€ê°€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ì— ë¹ ì ¸ 있는 ì´ìœ ëŠ” 무엇ì¼ê¹Œ?
《서유기西éŠè¨˜ã€‹ë¥¼ 비롯한 중국 ëª…ëŒ€æ˜Žä»£ì˜ ì†Œì„¤ë¥˜ì—는 서왕모와 관련하여 승려, ì„ê°€, ë³´ì‚´, 선승, 나한 등 불êµì  ì¡´ìž¬ë“¤ì´ ì–¸ê¸‰ëœë‹¤ê³  한다. í•„ìžê°€ 사료를 ì§ì ‘ 확ì¸í•˜ì§€ 못했지만, ì´ëŸ¬í•œ 불êµì  ë„ìƒì€ ì¤‘êµ­ì˜ <요지선경ë„瑤池仙境圖>나 <ë°˜ë„회ë„蟠桃會圖>ì—서는 ë³¼ 수 없는 요소ì´ê³ , 19ì„¸ê¸°ì˜ ìš”ì§€ì—°ë„ì—서만 ë³¼ 수 있는 설정ì´ë‹¤. ì´ëŠ” ëª…ëŒ€ì˜ ì†Œì„¤ë¥˜ì— ë“±ìž¥í•˜ëŠ” 불êµê´€ë ¨ ì¡´ìƒì´ 특정 계기를 만나 ì¡°ì„ í›„ê¸°ì˜ ìš”ì§€ì—°ë„ì— ë°˜ì˜ë˜ì—ˆìŒì„ ë§í•´ì¤€ë‹¤. 즉 ì†Œì„¤ì˜ ë‚´ìš©ì´ ê·¸ë¦¼ì˜ ë„ìƒ í˜•ì„±ì— ì˜í–¥ì„ 준 것ì´ë‹¤. 다만 소설 ì†ì˜ 불êµì  모티프가 최초 ê·¸ë¦¼ì— ë°˜ì˜ëœ 시ì ì´ 언제ì¸ì§€ëŠ” 알 수 없다. 다만 ê°œì¸ ì†Œìž¥ <요지연ë„>는 불êµê´€ë ¨ ì´ë¯¸ì§€ê°€ ë„ìƒìœ¼ë¡œ ì ìš©ë˜ê¸° ì´ì „ ë‹¨ê³„ì— ì œìž‘ë˜ì—ˆì„ ê°€ëŠ¥ì„±ì´ ë†’ì•„ë³´ì¸ë‹¤.

(왼쪽부터)
ë„1-8 <요지연ë„>ì˜ ë´‰í™©
ë„2 <제갈무후ë„>, 1695ë…„, 견본채색, 164.2×99.4ãŽ, 국립중앙박물관
ë„3 <요지연ë„> 8í­ ë³‘í’(부분), 18~19세기, 견본채색, 160×430ãŽ, ê°œì¸ ì†Œìž¥

ì°¬íƒé¥Œå“ì´ ê·¸ë ¤ì§€ì§€ ì•Šì€ ì´ìœ 

ì—¬ê¸°ì— ì†Œê°œí•˜ëŠ” <요지연ë„>ê°€ ê¸°ì¡´ì— ì•Œë ¤ì§„ 그림과 다른 ì ì€ 서왕모와 ëª©ì™•ì„ ëŒ€ë“±í•˜ê²Œ 구성한 부분ì´ë‹¤. ì´ì „ì˜ 19세기 그림ì—는 서왕모가 ì •ë©´ì„ í–¥í•˜ì˜€ê³ , ëª©ì™•ì€ ì™¼íŽ¸ì—서 ê±°ì˜ ì§ê° 방향으로 ì°¬íƒé¥Œå“ì„ ë†“ê³  서왕모를 ë°”ë¼ë³´ëŠ” ìœ„ì¹˜ì— ìžˆì—ˆë‹¤.(ë„3) ì—°íšŒì˜ ì£¼ê´€ìžê°€ 서왕모ì´ë¯€ë¡œ 서왕모가 ì¤‘ì•™ì— ì•‰ëŠ” êµ¬ì„±ì´ íƒ€ë‹¹í•˜ë‹¤ê³  ë³¼ 수 있다.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ì—서 눈여겨 ë´ì•¼í•  ë˜ í•˜ë‚˜ì˜ íŠ¹ì§•ì€ ì„œì™•ëª¨ì™€ 목왕 ì•žì— ì°¬íƒì„ 그리지 ì•Šì€ ì ì´ë‹¤. 19세기 작으로 간주ë˜ëŠ” ëŒ€ë¶€ë¶„ì˜ ìš”ì§€ì—°ë„ì—는 ì°¬íƒì´ ë¹ ì§ì—†ì´ 등장한다. ì´ ìž¥ë©´ì€ ì„œì™•ëª¨ê°€ ëª©ì™•ì„ ì ‘ê²¬í•˜ì—¬ 연회를 ì—´ê³ , ëª©ì™•ì€ ì„œì™•ëª¨ë¥¼ 배알하고 축수하는 모습으로 í•´ì„ëœë‹¤. ì°¬íƒì„ 그리지 ì•Šì€ ê²ƒì€ ê·¸ê²ƒì´ ë“±ìž¥í•˜ê¸° ì´ì „ ì‹œê¸°ì˜ ê·¸ë¦¼ì¼ ì—¬ì§€ê°€ 있다. 요지연ë„ì— ì°¬íƒì´ 놓ì´ë©´, ê·¸ ì•žì— ì¶¤ì„ ì¶”ëŠ” 시녀가 등장하고 ì´ë‚´ ë‚´ë¶€ì˜ ë¶„ìœ„ê¸°ëŠ” ê³µì—°ì´ íŽ¼ì³ì§€ëŠ” 장면으로 바뀌게 ëœë‹¤. ë”°ë¼ì„œ ì°¬íƒì€ 연회를 ì˜ë¯¸í•˜ëŠ” 단서로 ë³¼ 수 있다.
요지연ë„ì—는 ì—°íšŒìž¥ë©´ì´ í° ë¹„ì¤‘ì„ ì°¨ì§€í•œë‹¤. ì´ëŠ” ì™•ì‹¤ì˜ ì—°íšŒì™€ 밀접한 ê´€ë ¨ì´ ìžˆëŠ” 것으로 ë³´ê¸°ë„ í•œë‹¤. 특히 ê¶ì¤‘ì˜ ì§„ì—°é€²å®´ê³¼ ì§„ì°¬é€²é¥Œì˜ ìž¥ë©´ì„ ê·¸ë¦° ê¶ì¤‘기ë¡í™”ì—는 어좌御座와 ì–´íƒå¾¡å“ì„ ì¤‘ì‹¬ìœ¼ë¡œ 한 ì—°íšŒì˜ ëª¨í‹°í”„ê°€ 그려진다. 요지연ë„ì— ì°¬íƒì´ 그려진 ê²ƒì€ ê¶ì¤‘기ë¡í™” ì†ì˜ ì°¬íƒì„ ì„œì™•ëª¨ì˜ ì—°íšŒ ìž¥ë©´ì— í¬í•¨ì‹œí‚¤ê±°ë‚˜ 재구성하여 그린 ê²ƒì€ ì•„ë‹ˆì—ˆì„까 ìƒê°í•´ 본다. ì´ëŸ¬í•œ 모티프를 요지연ë„ì— ì˜®ê²¨ 담게 ë˜ë©´ ì—°íšŒì˜ ë¶„ìœ„ê¸°ê°€ ê°•ì¡°ëœ ë„ìƒì˜ ì„¤ì •ì´ ê°€ëŠ¥í•´ì§„ë‹¤. 그러나 ì—¬ê¸°ì— ì†Œê°œí•˜ëŠ”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는 ì•„ì§ ì—°íšŒì˜ ìž¥ë©´ì´ ì„±ë¦½ë˜ê¸° ì´ì „ì˜ ë„ìƒìœ¼ë¡œ 간주ëœë‹¤.

봉황과 ì£¼ìž‘ì˜ ë¹„êµ

서왕모와 ëª©ì™•ì´ ë°”ë¼ë³´ëŠ” ì•žìª½ì˜ ê³µê°„ì—는 봉황 한 ìŒì´ 그려져 있다. ê·¸ëŸ°ë° ì´ ë´‰í™©ì˜ í˜•íƒœì™€ 색ê°ì—는 ê³ ì‹ì å¤å¼çš„ì¸ íŠ¹ìƒ‰ì´ ì—­ë ¥í•˜ë‹¤.(ë„1-8) 19세기 ì´í›„ íšì¼ì ìœ¼ë¡œ 그려진 봉황과는 ì°¨ì´ê°€ 있다. ë´‰í™©ì˜ ë¨¸ë¦¬ ë¶€ë¶„ì˜ í˜•íƒœëŠ” 《산릉ë„ê°ì˜ê¶¤å±±é™µéƒ½ç›£å„€è»Œã€‹ì˜ 사수ë„å››ç¸åœ–ì— ë‚˜ì˜¤ëŠ” 주작朱雀과 유사한 ë¶€ë¶„ì´ ë§Žë‹¤. ì˜ê¶¤ì— 그려진 사수ë„는 제작시기를 알 수 ìžˆê¸°ì— ì´ë¥¼ 기준으로 삼는다면, <요지연ë„> ì†ì˜ ë´‰í™©ì´ ê·¸ë ¤ì§„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요지연ë„> ì† ë´‰í™©ì˜ ë¨¸ë¦¬ì—는 붉ì€ìƒ‰ì˜ ìž…ê³¼ ì½§ë“±ì— ë‚œ ëŒê¸°, 그리고 ì •ìˆ˜ë¦¬ì— ë¶‰ì€ ë²¼ìŠ¬ì´ ìžˆê³ , 턱 아래와 목 좌우ì—는 ì—°ë…¹ìƒ‰ì˜ ê°ˆí€´ê°€ 그려져 있다. 그리고 목 쪽ì—는 ë¶„í™ìƒ‰ì˜ ìƒ‰ê° ìœ„ì— ì§§ê²Œ 반복한 선묘와 붉ì€ìƒ‰ì˜ ë°˜ì ì´ 들어가 있다. ì´ëŸ¬í•œ í‘œí˜„ì€ 18세기 ì „ë°˜ê¸°ì˜ ì‚¬ìˆ˜ë„ì— ë³´ì´ëŠ” 주작과 ìƒë‹¹ížˆ ê°€ê¹ë‹¤. 예컨대 1702ë…„ì˜ ã€Šì¸í˜„왕후명릉산릉ë„ê°ì˜ê¶¤ã€‹ì™€ 1721ë…„ ìž‘ 《숙종명릉肅宗明陵 산릉ë„ê°ì˜ê¶¤ã€‹ì˜ ì£¼ìž‘ì„ ë¹„êµí•´ ë³´ë©´(ë„4), ê³µê°ì„ ì´ëŒì–´ë‚¼ 만한 시대양ì‹ì˜ ì¼ë©´ì„ ì—¿ë³¼ 수 있다. ë”°ë¼ì„œ 18세기 전반기 산릉ë„ê°ì˜ê¶¤ì˜ ì£¼ìž‘ì€ <요지연ë„> ì†ì˜ ë´‰í™©ì´ 18세기 ì „ë°˜ê¸°ì— ì œìž‘ë˜ì—ˆì„ ê°€ëŠ¥ì„±ì„ ë°©ì¦í•˜ëŠ” 단서가 ëœë‹¤.

(왼쪽) ë„4 《숙종명릉 산릉ë„ê°ì˜ê¶¤ã€‹(1721ë…„)
<주작>, 국립중앙박물관 ì™¸ê·œìž¥ê° ì˜ê¶¤
(오른쪽) ë„5 <요지연ë„>, 18세기, 견본채색, 151.5×122.7ãŽ, 국립중앙박물관ìƒíƒœì´ë‹¤

중국 축수ë„ç¥å£½åœ–ì™€ì˜ ê´€ë ¨

서왕모와 ê´€ë ¨ëœ ì¤‘êµ­íšŒí™” ê°€ìš´ë° â€˜ìš”ì§€ì—°ë„’ë¼ëŠ” ì œëª©ì˜ ê·¸ë¦¼ì€ ì°¾ê¸° 어렵다. 하지만, 연회보다 장ìƒì„ ì¶•ì›í•˜ëŠ” ‘축수ç¥å£½â€™ì— ì´ˆì ì„ ë‘” ‘요지헌수ë„瑤池ç»å£½åœ–’나 ‘군선회축수ë„群仙會ç¥å£½åœ–’ ë“±ì˜ í™”ì œëŠ” ì¼ë¶€ 사례가 전한다. ì´ëŸ¬í•œ 축수ë„ì˜ ê³„í†µê³¼ 가장 가까운 중국 그림으로는 구ì˜ä¹è‹±ì˜ 《ì¸ë¬¼ê³ ì‚¬ë„책》 ë“±ì´ ì•Œë ¤ì ¸ 있다.
서왕모가 등장하는 중국 축수ë„ë¥˜ì˜ ê·¸ë¦¼ì€ 17세기 ë§ì´ë‚˜ 18세기 초반경 ì¡°ì„ ì— ë“¤ì–´ì™”ì„ ê²ƒìœ¼ë¡œ 본다. 그러한 ë„ìƒì„ 모방하여 그린 ì¡°ì„  í™”ì›ë“¤ì˜ 그림 ê°€ìš´ë° í•˜ë‚˜ê°€ êµ­ë¦½ì¤‘ì•™ë°•ë¬¼ê´€ì˜ <요지연ë„>로 추정ëœë‹¤.(ë„5) ì´ ê·¸ë¦¼ì€ ì¡°ì„ í›„ê¸° 요지연ë„ì˜ ë„ìƒì´ 성립ë˜ê¸° ì§ì „ ë‹¨ê³„ì˜ í˜„ìƒì„ ì§ìž‘하게 한다. ê·¸ë¦¼ì˜ í•µì‹¬ì€ ë°”ë‹·ê°€ 절벽 ìœ„ì˜ ëˆ„ëŒ€ì—서 서왕모를 배알하는 목왕과 그를 접견하는 ì„œì™•ëª¨ì˜ ëª¨ìŠµì„ ê·¸ë¦° 것ì´ë‹¤. 서왕모와 ëª©ì™•ì€ í™”ë©´ì— ë‚˜ëž€ížˆ 등장하지만, ì‹ ì„ ë“¤ì˜ ëª¨ìŠµì€ ë³´ì´ì§€ 않는다.
ì¶•ìˆ˜ë„ í˜¹ì€ ë°˜ë„회ì—서 한 단계 ì§„ì „ëœ ê·¸ë¦¼ì´ ìš”ì§€ì—°ë„ì´ë‹¤. 요지연ë„ê°€ ì¶•ìˆ˜íšŒë„ ë“±ê³¼ 다른 ì ì€ ì‹ ì„ ë“¤ì´ ë°”ë‹¤ë¥¼ 건너는 ìž¥ë©´ì´ ê²°í•©ë˜ì–´ 있다는 것ì´ë‹¤. ì¶•ìˆ˜íšŒì˜ ìž¥ë©´ê³¼ í•´ìƒì˜ ì‹ ì„ ë“¤ì€ ê°ê° ë…ë¦½ëœ ê·¸ë¦¼ì´ì§€ë§Œ, í˜„ìž¬ì˜ ìš”ì§€ì—°ë„는 ì´ ë‘ ê°€ì§€ ë„ìƒì„ 한 í™”ë©´ì— ê²°í•©ì‹œí‚¨ ìƒíƒœì´ë‹¤. ì—¬ê¸°ì— ì—°íšŒì˜ ëª¨í‹°í”„ê°€ 들어가면 현전하는 요지연ë„와 ê°™ì€ ê·¸ë¦¼ì´ ëœë‹¤. ì´ëŸ¬í•œ 형ì‹ì˜ 요지연ë„는 18세기 후반기와 19ì„¸ê¸°ì— í¬ê²Œ 유행했다. ì—¬ê¸°ì— ì†Œê°œí•˜ëŠ”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는 ì¼ë°˜ì ì¸ 요지연ë„ê°€ 본격ì ì¸ 연회ë„로서 유행하기 ì´ì „ì¸ 18세기 ì „ë°˜ê¸°ì— ê·¸ë ¤ì§„ 것으로 추정한다.

18세기 전반기 ë„ìƒì˜ 예시

요지연ë„ì˜ ê¸°ë³¸ ë„ìƒì€ 중국ì—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ë˜ì§€ë§Œ, ì¡°ì„ ì˜ í™”ì›ë“¤ì€ ì´ë¥¼ 단순히 모방하는 ë° ê·¸ì¹˜ì§€ 않았다. 조선시대 요지연ë„ì˜ ìœ ëž˜ëŠ” 서왕모와 ëª©ì™•ì´ ë§Œë‚˜ëŠ” 장면ì—서 출발한 축수ë„나 ë°˜ë„회ë„ì˜ í˜•ì‹ì´ì—ˆë‹¤. ì—¬ê¸°ì— ì‹ ì„ ë„ì˜ ì¼ì¢…ì¸ â€˜í•´ìƒêµ°ì„ â€™ì´ ê²°í•©ë˜ë©´ì„œ 연회ë„ì˜ ì„±ê²©ì„ ë ì—ˆê³ , 마침내 요지연ë„로 그려지고 불리게 ëœ ê²ƒì´ë‹¤.
앞ì—서 소개한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 8í­ ë³‘í’ì€ ë°˜ë„회와 êµ°ì„ ë„ê°€ ì ˆì¶©ëœ ì´ˆê¸°ì˜ ë„ìƒìœ¼ë¡œ 추측ë˜ë©°, 제작 시기는 18세기 전반기가 타당하다는 ê²ƒì„ ì—¬ëŸ¬ 단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사실 ê·¸ë™ì•ˆ ì†Œê°œëœ ìš”ì§€ì—°ë„는 ê¸°ì¡´ì— êµ¬ë¶„í•´ë†“ì€ ëª‡ ê°œì˜ ìœ í˜•ì— í¬í•¨ë˜ì—ˆì„ ë¿ ìƒˆë¡œìš´ 전형과 ì–‘ì‹ì€ 제시하지 못했다. 앞서 살펴본 ê°œì¸ ì†Œìž¥ì˜
<요지연ë„>는 놀ë¼ìš´ 묘사력과 새로운 형ì‹ì„ 통해 요지연ë„ì˜ ì™¸ì—°ì„ í™•ìž¥í•´ 준 작품ì´ë©°, 지금까지 알려진 ìš”ì§€ì—°ë„ ë„ìƒì˜ 성립과 ì „ê°œê³¼ì •ì— ë©´ë°€í•œ ìž¬ê²€í† ì˜ í•„ìš”ì„±ì„ ì•Œë ¤ì£¼ëŠ” 사례ì´ë‹¤.

참고문헌
禹賢å—, 「조선후기 ç‘¤æ± å®´åœ–ì— ëŒ€í•œ 연구ã€(ì´í™”ì—¬ìžëŒ€í•™êµëŒ€í•™ì› 미술사학과 ì„사학위논문, 1996).
박정혜 외 3ì¸, 《조선ê¶ê¶ì˜ 그림》(ëŒë² ê°œ, 2012).

ìœ¤ì§„ì˜ | í•œêµ­í•™ì¤‘ì•™ì—°êµ¬ì› ìˆ˜ì„연구ì›í•œêµ­ë¯¼í™”학회 í•™íšŒìž¥ì„ ì—­ìž„í–ˆìœ¼ë©° 현재 í•œêµ­í•™ì¤‘ì•™ì—°êµ¬ì› ìˆ˜ì„연구ì›, ë™ë•ì—¬ìžëŒ€í•™êµ íŠ¹ìˆ˜ëŒ€í•™ì› ë¯¼í™”í•™ê³¼ 겸임êµì›ì´ë‹¤. ê¶ì¤‘회화와 ë¯¼í™”ì˜ ë¹„êµë¥¼ 통한 ìƒí™œë¬¸í™”사 ë¶„ì•¼ì— ê´€ì‹¬ì„ ë‘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