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 œì˜ è«–è€ƒ] 송학ë„ì— ëŒ€í•œ 새로운 ê³ ì°°, í•™é¶´ì€ ë‚˜ë¬´ì— ì•‰ì§€ 못한다

(ë„ 1) ì†¡í•™ë„ (æ¾é¶´åœ–, 傳趙之耘, ë¹„ë‹¨ì— ì±„ìƒ‰, 66.8x59.7cm, 17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송규태 模寫, 50×60cm (송창수 제공)
차례
  • I. 머리ë§
  • II. 그림 ì† ë‘루미
  • III. ë‘루미는 ì–´ë–¤ 새ì¸ê°€
  • â…£. ë‘ë£¨ë¯¸ì˜ ë°œê°€ë½
  • â…¤. ë‘루미와 비슷한 백로, 황로, 왜가리, 황새
  • 1. 백로, 황로, 왜가리
    2. 황새

  • â…£. 맺ìŒë§
â… . 머리ë§

우리 ê²¨ë ˆì˜ ê·¸ë¦¼ 민화民畵Minhwa는 한화韓畵 중 실용회화實用繪畵로서 서민ë¿ë§Œ ì•„ë‹ˆë¼ ìƒë¥˜ê³„층 사람들까지 ì¦ê²¼ë˜ 우리 êµ­ë¯¼ì˜ ê·¸ë¦¼ì´ë‹¤.(1)(2)(3) 민화ì†ì—는 민ì†í™”民俗畵ì ì¸ ë¯¼í™”ë„ ìžˆê³ , 민족화民æ—畵ì ì¸ ë¯¼í™”ë„ ìžˆê³ , 민중화民衆畵ì ì¸ ë¯¼í™”ë„ ìžˆìœ¼ë©°, 민체화民體畵ì ì¸ ë¯¼í™”ë„ ìžˆë‹¤.(1)(2) 민화ì—는 ìš°ë¦¬ì˜ ì—¼ì›, 꿈, í–‰ë³µì´ í‘œí˜„ë˜ì–´ 있다. 민화는 ìš°ë¦¬ì˜ ë§ˆìŒì´ë‹¤. 한 사람 한 ì‚¬ëžŒì˜ í•¨ì¶•ëœ ì¸ê°„미를 안고 역사를 달려온 겸허한 ìš°ë¦¬ì˜ í¬ë§ì´ë‹¤. í•œë¯¼ì¡±ì˜ ê²ƒì´ë©´ì„œ 우리 ì¸ë¥˜ 모ë‘ì˜ ê²ƒì´ë‹¤. ìš°ë¦¬ì˜ ê¸°ì¨ê³¼ ìŠ¬í””ì´ ì¸ê°„ ë³¸ëž˜ì˜ ê³µí†µëœ ì—¼ì›ìœ¼ë¡œ 승화ë˜ì–´ ê¾¸ë°ˆì—†ì´ ìžì—°ìŠ¤ëŸ½ê²Œ 그려져 있다. 민화는 우리 마ìŒì˜ 노래ì´ë‹¤. 우리들 마ìŒì˜ 꽃ì´ë‹¤. 우리들 마ìŒì˜ 거울ì´ë‹¤. 우리들 마ìŒì˜ ì‚¶ì´ë‹¤.(4)
í•œÂ·ì¤‘Â·ì¼ ì‚¼êµ­ì˜ ë¬¸í™”ë¥¼ ì§ê´€ì ìœ¼ë¡œ ì¡°ë§í•´ ë³´ë©´, 중국문화는 화려기예è¯éº—技è—하고, ì¼ë³¸ 문화는 ë‹¨ìˆœì„¬ì„¸å–®ç´”çº–ç´°í•œë° ë¹„í•˜ì—¬, 우리문화는 ì„œë¯¼ì˜ ìš°ì§ì§ˆë°•愚直質朴, 선비문ì¸ê³¼ í™”ì›ì˜ 솔ì§ë‹´ë°±çŽ‡ç›´æ·¡ç™½ 한 íŠ¹ì§ˆì´ ìžˆì–´ ë³´ì¸ë‹¤. ì´ì ì´ ë¬¸í™”ì— ìžˆì–´ í•œêµ­ì„±ì„ ê²°ì •í•˜ëŠ” ë‚´ìš©ì´ë¼ê³  본다. 우리 ë¯¼ì¡±ì˜ ì´ëŸ° ë¬¸í™”íŠ¹ì§•ì„ ì••ì¶•ì ìœ¼ë¡œ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민화를 꼽지 ì•Šì„ ìˆ˜ 없다.(5)
민화는 장ì‹ì  필요로 그린 그림ì´ë‹¤. 민화는 토ì†ì‹ ì•™ê³¼ ì„¸ê³„ê´€ì´ ë°˜ì˜ëœ 그림ì´ë‹¤. 민화는 ì£¼ìˆ ì  ì‹ ì•™ì´ ë°˜ì˜ë˜ì–´ 있다. 민화는 ì§‘ë‹¨ì  ê°ìˆ˜ì„±ì˜ 표현ì´ë‹¤. 민화는 뽄그림ì´ë‹¤. 민화는 ê·¸ 주제와 í‘œí˜„ì˜ ì›ë¥˜ì— 있어서 문ì¸í™”나 ë„화서 í™”ê³µë“¤ì˜ ê·¸ë¦¼ì„ ì² ì €ížˆ 모방하고 ìžˆìœ¼ë©´ì„œë„ ë‹´ì•„ë‚´ëŠ” ë‚´ìš©ì´ë‚˜ í‘œí˜„ê¸°ë²•ì€ ë‹¤ë¥´ë‹¤. ì´ëŠ” 민화가 ì†ì¹­ ‘뽄그림’ì´ë¼ê³  하여 ì¼ì •한 ë³¸ì— ì˜í•´ì„œ 반복ì ìœ¼ë¡œ 그려지는 ê°€ìš´ë° ì ì°¨ 오늘날 우리가 대하는 íŠ¹ì§•ì„ ê°–ì¶”ê²Œ ë˜ì—ˆê¸° 때문ì´ë¼ 여겨진다. 즉 ë³¸ì„ ë°˜ë³µì ìœ¼ë¡œ 그리는 ê°€ìš´ë° ì¡°ì„ ì‹œëŒ€ ìƒë¥˜ì¸µê³¼ 왕권 중심으로 í˜•ì„±ëœ ìœ êµì ì¸ ì„¸ê³„ê´€ì´ í† ì†ì ì´ê³  종êµì ì¸ ë¯¼ì¤‘ë“¤ì˜ ì„¸ê³„ê´€ìœ¼ë¡œ ì „ì´ë˜ì—ˆìœ¼ë©°, 민화가 ì–‘ì‚°ë˜ê³  보급ë˜ë©´ì„œ ì ì°¨ ì„œë¯¼ë“¤ì´ ì§€ë°°ì¸µì˜ ì„¸ê³„ê´€ì—서 벗어나 ìžì‹ ë“¤ì˜ ì„¸ê³„ê´€ì„ í˜•ì„±í–ˆë˜ ê²ƒì´ë‹¤.(6)
민화는 우리 ë¯¼ì¡±ì˜ ê°ì •ê³¼ 정서를 대변하는 ë…특한 문화 ì–‘ì‹ì´ë‹¤. 민화ì—는 분명한 ëœ»ì´ ìžˆë‹¤. 기복 등과 ê°™ì€ ì—¬ëŸ¬ ê°€ì§€ì˜ ì˜ë¯¸ë¥¼ ë‹´ê³  있다. ìž‘í’ˆì— ì˜ë¯¸ê°€ 빠져서는 안ë˜ì§€ë§Œ ì˜ë¯¸ë¡œë§Œ ì§€ë°°ë‹¹í•´ì„œë„ ì•ˆ ëœë‹¤. ì´ì œ 복사ì—서 넘어 í˜„ëŒ€ì˜ íšŒí™”ë¡œ 민화가 발전할 수 있으면 ë¯¼í™”ì˜ ê´€ì‹¬ì€ êµ­ì œì ìœ¼ë¡œ ì ì  높아질 것ì´ë‹¤.(7)
민화는 지나간 ê³¼ê±°ì˜ ê·¸ë¦¼ì´ ì•„ë‹ˆë‹¤. í˜„ìž¬ì˜ ìš°ë¦¬ê°€ 계승, 발전시켜야 í•  그림ì´ë‹¤. 융복합 창조시대를 ë§žì•„ 서로 다른 ì—…ì¢…ì˜ ì‚¬ëžŒë“¤ì´ í˜‘ì—…í•˜ì—¬ 민화를 현대회화로 발전시키고 한류로드로 수출하는 문화ìƒí’ˆì´ ë˜ì–´ì•¼ 한다고 ìƒê°í•œë‹¤.
ì´ì œëŠ” 민화 ì†ì— 등장하는 새, 나비, 꽃, 나무 등 여러 ì‚¬ë¬¼ì„ ì‹¤ì œë¡œ ë³¼ ê¸°íšŒë„ ëŠ˜ì—ˆê³  í•´ìƒë„ê°€ ë†’ì€ ì‚¬ì§„ì˜ìƒì„ 통해서 ìžì„¸ížˆ 관찰하고 묘사를 í•  ìˆ˜ë„ ìžˆê²Œ ë˜ì—ˆë‹¤. í•„ìžëŠ” 2013년부터 페ì´ìŠ¤ë¶ ê·¸ë£¹ “새를사랑하는사람들(8)â€ ì„ ê°œì„¤ ìš´ì˜í•˜ë©° 다양한 ìƒˆë“¤ì„ ìžì£¼ 접하고 있다. ë¯¼í™”ê³„ì˜ ì›ë¡œ 巴人송규태 ì„ ìƒë‹˜ìœ¼ë¡œë¶€í„° 민화를 배우기 시작하며 2014ë…„ì— â€œíŽ˜ì´ìФë¶ë¯¼í™”미술관â€(9)ì„ ê°œì„¤í•œ í•„ìžëŠ” ì†¡í•™ë„ ì†ì˜ í•™é¶´ì„ ë” ì‹¤ê° ë‚˜ê²Œ 표현할 수 있는 ë½„ì„ ìƒˆë¡œ 만들어 ë³´ê³ ìž ì¡°ë¥˜ 사진 ì „ë¬¸ê°€ì¸ ì¹œì§€ì—게 소나무 ìœ„ì— ì•‰ì•„ìžˆëŠ” í•™ ì‚¬ì§„ì„ ìš”ì²­í•˜ì˜€ë‹¤. 하지만 친지로부터 ëŒì•„온 첫 ëŒ€ë‹µì€ â€œí•™ì€ ë‚˜ë¬´ì— ì•‰ì§€ 못한다. ë°œê°€ë½ êµ¬ì¡°ê°€ ì•‰ì„ ìˆ˜ 없게 ë˜ì–´ìžˆë‹¤.(10)â€ì˜€ë‹¤. 조류학박사ì—게 다시 문ì˜í•˜ì—¬ë³´ë‹ˆ â€œì¡°ë¥˜ì˜ ë’·ë°œê°€ë½ì„ 1ì§€ë¼ê³  ë¶€ë¥´ëŠ”ë° ëŒ€ê°œ 산새를 í¬í•¨í•´ íšƒëŒ€ì— ì•‰ì„ ìˆ˜ 있는 ìƒˆë“¤ì€ 1지가 길고 ë°œí†±ë„ ê¸´ 편ì¸ë° 반해 ë‘루미는 1지가 ê±°ì˜ í‡´í™”í•œ 형태로 물리ì ìœ¼ë¡œ 횃대를 ìž¡ì„ ìˆ˜ 없는 구조입니다.(11)â€ë¼ê³  하였다. ì´ëŸ¬í•œ í•™ì˜ ìƒíƒœí•™ì  특성과 ê´€ë ¨ëœ ë¬¸í—Œë“¤ì„ ì¡°ì‚¬í•˜ê³ , í•™ì„ ê·¸ë¦´ 때 ë„ì›€ì´ ë  ë§Œí•œ ì‚¬ì§„ë“¤ì„ ì œê³µ 받아 함께 정리하여 ë³´ê³  í•™ì˜ ë¯¼í™” ì† ì˜ë¯¸ë¥¼ ì•Œì•„ë³´ê³ ìž í•œë‹¤.

â…¡. 그림 ì† ë‘루미

ë‘루미鶴는 ê·¸ 고결한 í°ë¹›ê³¼ ë‚ ê°œ ëì˜ ê²€ì€ ê¹ƒìœ¼ë¡œ 호ì˜í˜„ìƒç¸žè¡£çŽ„è£³ 즉 í°ì˜·ì— ê²€ì€ ì¹˜ë§ˆë¥¼ 입었다고 했고, ì´ë§ˆì˜ ë¶‰ì€ ì ìœ¼ë¡œ ì¸í•´ 단정학丹頂鶴ì´ëž€ ì´ë¦„ìœ¼ë¡œë„ ë¶ˆë ¸ë‹¤. ì‹ ì„ ë“¤ì´ í•™ì˜ ë“±ì— ì˜¬ë¼íƒ€ 하늘로 오르내렸으므로 ì—¬ê¸°ì— ì‹ ì„ ì  ì´ë¯¸ì§€ê°€ ë§ë³´íƒœì ¸ ì„ í•™ä»™é¶´Â·ì„ ê¸ˆä»™ç¦½Â·íƒœê¸ˆèƒŽç¦½ë“±ì˜ ë³„ì¹­ìœ¼ë¡œë„ ë¶ˆë ¸ë‹¤.
ìµœí‘œå´”è±¹ì˜ ê³ ê¸ˆì£¼å¤ä»Šæ³¨ì—는 í•™ì´ ì²œ ë…„ì´ ë˜ë©´ ë¹›ê¹”ì´ í‘¸ë¥´ëŸ¬ì§€ê³ , ë˜ ì²œ ë…„ì´ ì§€ë‚˜ë©´ 검어진다고 했다. 지리산ì—는 ê³ ë ¤ 때부터 ì²­í•™ë™é‘é¶´æ´žì´ë¼ëŠ” 유토피아가 있다는 ì „ì„¤ì´ ì „í•´ì™”ë‹¤. ì´ê³³ì— ì‚´ê³  있다는 ì²­í•™é‘é¶´ì€ ë°”ë¡œ 천 ì‚´ ëœ í•™ì„ ë§í•œë‹¤. ì²­í•™ì€ ë”°ë¡œ 먹는 ê²ƒì´ ì—†ê³  ì´ìŠ¬ë§Œ 먹고 ì‚´ë©° ì‹ ì„ ë“¤ì˜ íƒˆê²ƒì´ ëœë‹¤ê³ ë„ 했다. ë˜ ì´ì²œ ì‚´ì´ ëœ í•™ì€ í˜„í•™çŽ„é¶´ì´ë¼ê³  한다.(13)
í•™ì€ ì´ë ‡ë“¯ 신령스런 존재로 ê¹Šì´ ìƒˆê²¨ì ¸ 왔으므로 옛 그림ì—는 í•™ì„ ê·¸ë¦° ê²ƒì´ ìœ ë‚œížˆ 많다. í•™ì´ ë‚˜ì˜¤ëŠ” 그림ì—는 몇 가지 형ì‹ì´ 있다. 그중 í”한 세 가지만 들어보면, 첫째는 학만 한 마리 그린 ê²ƒì´ ìžˆê³ , 둘째는 í•™ì´ ì†Œë‚˜ë¬´ ë“±ê±¸ì— ì„œ 있는 ëª¨ìŠµì„ ê·¸ë¦° 것, 셋째는 í•™ì´ ì†Œë‚˜ë¬´ ê°€ì§€ì— ì˜¬ë¼ì„œ 있는 것ì´ë‹¤. ê·¸ ë°–ì— í•™ 한 마리가 ë°”ë‹·ê°€ì— ì™¸ë¡­ê²Œ 서 있는 모습, í˜¹ì€ í•™ì„ ëŒ€ë‚˜ë¬´ 숲과 함께 그린 ì–‘ì‹ì´ 있다.(12)
í•™ 한 마리가 ‘수壽’ë¼ë©´ ì—¬ê¸°ì— ëŒ€ë‚˜ë¬´, 소나무 ë“±ì„ ë°°ì¹˜í•˜ì—¬ 여러 가지 ì˜ë¯¸ë¥¼ 만들어 낼 수 있다. 십장ìƒåé•·ç”Ÿì˜ í•˜ë‚˜ì¸ í•™ì€ ê±°ë¶ì´ì™€ ë”불어 오래 사는 ì§ìŠ¹ì˜ ëŒ€í‘œê²©ìœ¼ë¡œ 천년장수åƒå¹´é•·å£½ì˜ ìƒì§•ì´ì—ˆë‹¤. 그래서 학수鶴壽하면 수ì„壽石처럼 장수를 뜻한다.
í•™ì€ ê¸¸ìƒå‰ç¥¥ì„ ìƒì§•하는 ìƒì„œë¡œìš´ ì˜ë¯¸ë¡œ 세화ì—ë„ ìžì£¼ 등장했다. í•™ì´ ë“±ìž¥í•˜ëŠ” 세화로 송학ë™ì¶˜ë„æ¾é¶´åŒæ˜¥åœ–ê°€ 있다. ì´ëŠ” 학수송령ë„鶴壽æ¾é½¡åœ–ë¼ê³ ë„ 한다. í•™ì´ ì²œ ë…„, 소나무가 ë°± ë…„ì„ ëœ»í•˜ë¯€ë¡œ 장수를 ì¶•ì›í•˜ëŠ” ì˜ë¯¸ë¥¼ ë‹´ê³  있다. ë˜ ì†Œë‚˜ë¬´ëŠ” 사시장철 푸르니 ìž¥ì¶˜é•·æ˜¥ì˜ ëœ»ì´ ìžˆê³ , ë‘ ë§ˆë¦¬ í•™ì€ ë¶€ë¶€ê°€ 해로하며 오래오래 ì‚´ë¼ëŠ” ë™ì¶˜åŒæ˜¥ì˜ ëœ»ì„ ë‹´ê³  있다. 소나무 ìœ„ì— í•™ì´ í•œ 마리만 앉아 있으면 ê·¸ ì‚¬ëžŒì˜ ìž¥ìˆ˜ë¥¼ ì¶•ì›í•˜ëŠ” ì˜ë¯¸ê°€ ëœë‹¤. 그림 ì†ì—ë„ â€œí•™ì˜ ìˆ˜ëª…ì€ ê·¸ 나ì´ë¥¼ 알지 못하리 학수불여기기야鶴壽ä¸å¦‚其紀也â€ë¼ëŠ” 구절과 함께 그림 ë°›ì„ ì‚¬ëžŒì˜ ì´ë¦„ì„ ì¨ë‘었다.(13)
오래 사는 ê²ƒë“¤ì„ í•œë° ëª¨ì•„ì„œ 구성하면서 ì´ë•Œ í•™ì´ ì†Œë‚˜ë¬´ 위ì—서 사는지 그렇지 않는지는 문제 삼지 않았다. 사실 í•™ì€ ì†Œë‚˜ë¬´ ê°€ì§€ì— ì˜¬ë¼ê°€ì§€ 않는다. í•™ì€ ì´ˆì›ì´ë‚˜ ëŠªì§€ì— ì‚¬ëŠ” 새ì´ë‹¤. ì´ëŸ° ê³³ì—서는 ë±€ì´ë‚˜ 족제비 등 설치류들ì—게 해를 받기 쉽지만, 워낙 í° ìƒˆì´ê¸° ë•Œë¬¸ì— ë³„ ìœ„í—˜ì„ ëŠë¼ì§€ 않는다. ë˜ í•´ë¶€í•™ì ìœ¼ë¡œë„ ë°œê°€ë½ ì…‹ì´ ì•žìœ¼ë¡œ ë»—ì–´ 있고 ë©°ëŠë¦¬ë°œí†±ì´ 위쪽으로 올ë¼ë¶™ì–´ 있어 나뭇가지를 ì›€ì¼œìž¡ì„ ìˆ˜ 없기 ë•Œë¬¸ì— ë‚˜ë¬´ 위ì—서 사는 것樹上棲æ¯ì´ 불가능하다. 소나무 ìœ„ì— ì˜¬ë¼ê°€ 사는 새는 황새로 학과 혼ë™í•˜ê¸° 쉽다. 그러나 ì´ í•™ìˆ˜ì†¡ë ¹ì´ë¼ëŠ” ëœ»ì„ ë‚˜íƒ€ë‚´ê¸° 위해서는 반드시 í•™ì´ë¼ì•¼ ë˜ì—ˆë˜ 것ì´ë‹¤.

(ë„ 1) ì†¡í•™ë„ (æ¾é¶´åœ–, 傳趙之耘, ë¹„ë‹¨ì— ì±„ìƒ‰, 66.8x59.7cm, 17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송규태 模寫, 50×60cm (송창수 제공)
(ë„ 2) 십장ìƒë„ 10곡병, 18세기 후반, 비단·채색, 151.0×370.7cm, (삼성미술관 Leeum 제공)

ë‹¨ì› í˜¹ì€ ì¡°ì§€ìš´, í˜¹ì€ í™”íˆ¬ 그림ì—서 보는 â€œí•™ì´ ì†”ê°€ì§€ ìœ„ì— ì˜¬ë¼ì„œ 있는 그림(ë„ 1)â€ì€ ì†”ê°€ì§€ì˜ ì‹ è–ªìžê°€ ìƒˆí•´ì˜ ì‹ ë…„æ–°å¹´ì„ ëœ»í•˜ê³  í•™ì´ ìž¥ìˆ˜é•·å£½ë¥¼ 뜻하므로 ì‹ ë…„ìµìˆ˜æ–°å¹´ç›Šå£½, ìƒˆí•´ë„ ë”ìš±ë” ë¬´ë³‘ìž¥ìˆ˜í•˜ì…”ì„œ 건강하시ë¼ëŠ” ëœ»ì„ ë‚˜íƒ€ë‚¸ë‹¤. ì‹ è–ªìœ„ì— í•™å£½ì´ ì˜¬ë¼ê°€ ë”하여 ìµç›Š 있는 í˜•êµ­ì„ ê¸€ìžë¡œ 푼 것ì´ë‹¤.(12)
소나무 대신 대나무를 그리면 죽학ë„竹鶴圖가 ëœë‹¤. ì£½ç«¹ì€ ì¶•ç¥ê³¼ 중국 ìŒì´ 같아서, 대나무와 í•™ì´ ë§Œë‚˜ë©´ 바로 축수ë„ê°€ ëœë‹¤. 죽학ë„는 대숲ì—서 í•™ì´ ê¸¸ê²Œ ëª©ì„ ë¹¼ 울ìŒì„ 울고 있는 장면ì´ë‹¤. êµ¬ë¦„ì„ í•¨ê»˜ 그린 ê²ƒì€ ì²­ìš´é‘é›²ì˜ ë²¼ìŠ¬ê¸¸ì—서 ì´ë¦„ì„ í¬ê²Œ 떨치ë¼ëŠ” ì˜ë¯¸ë¥¼ ë‹´ê³  있다.
ì¼í’ˆë‹¹ì¡°ë„는 í•™ì´ ë°”ë‹¤ ë¬¼ê²°ì„ ì•žì— ë‘ê³  서 있는 ê·¸ë¦¼ì„ ë§í•œë‹¤. í•™ì€ ìƒˆ ê°€ìš´ë° ê°€ìž¥ ìš°ë‘ë¨¸ë¦¬ì˜ ìœ„ì¹˜ë¥¼ 차지해 ì¼í’ˆì¡°ä¸€å“鳥로 ì¼ì»¬ì–´ì§„다. 당조當æœëŠ” ì¡°ì •ì— ì„ ë‹¤ëŠ” ë§ì´ë‹ˆ, ì¼í’ˆê´€ì˜ ë†’ì€ ë²¼ìŠ¬ë¡œ ì¡°ì •ì— ì„ ë‹¤ëŠ” 뜻ì´ë‹¤. ì´ë•Œ 당조는 íŒŒë„ ì•žì— ì„œ 있다는 당조堂潮와 ìŒê´€ëœë‹¤. 본디 í•™ì€ íŒŒë„치는 ë°”ë‹·ê°€ì— ì‚´ì§€ 않는다. ì´ì¹˜ì— ë§žì§€ 않ìŒì—ë„ ë¶ˆêµ¬í•˜ê³  그리는 ì´ìœ ëŠ” ì¼í’ˆë‹¹ì¡°ä¸€å“ç•¶æœ (ë‹¹ëŒ€ì˜ ì¡°ì •ì—서 ë²¼ìŠ¬ì´ ì¼í’ˆì— 오르다)로 ì½ížˆë„ë¡ í•˜ê¸° 위해서ì´ë‹¤.(12) 함께 그려진 바위와 대나무 그리고 소나무는 ì¶•ìˆ˜ì˜ ëœ»ì´ê³ , ë¬¼ê²°ì„ í•¨ê»˜ 그려 오래 ì‚´ ë¿ ì•„ë‹ˆë¼ ë†’ì€ ë²¼ìŠ¬ì— ì˜¬ë¼ ë¶€ê·€ì™€ ì˜í™”를 ë”불어 누리ë¼ê³  ì¶•ì›í–ˆë‹¤.(13)
송학ë„는 푸른 소나무 ìœ„ì— ê³ ê³ í•œ ë‘루미(í•™)ê°€ 앉아 있는 모습으로 고고함과 ì ˆê°œì˜ ìƒì§•ì¸ ì†Œë‚˜ë¬´ì™€ ë‘루미를 ë‹®ê³ ìž í•˜ëŠ” 우리 ì„ ë¹„ë“¤ì˜ ìƒê°ì´ ê·¸ ì•ˆì— ê¹ƒë“¤ì–´ 있다. ê·¸ëŸ°ë° ì‹¤ì œ ìƒíƒœê³„ì—서 ë‘루미는 소나무를 비롯한 나무 ìœ„ì— ì•‰ê±°ë‚˜ 둥지를 만들지 않는다. ë‘루미는 습지나 ë…¼, ì´ˆì› ë“±ì—서 서ì‹í•˜ì§€, 나무 ìœ„ì— ë‚´ë ¤ì•‰ì§€ 않는다. 나무 ìœ„ì— ì•‰ê±°ë‚˜ 둥지를 트는 새는 백로나 황새와 ê°™ì€ ì¢…ë“¤ì´ë‹¤. 소나무 ìœ„ì— ì•‰ì•„ 있는 백로나 황새를 ë‘루미로 ì°©ê°í–ˆê±°ë‚˜ ìž„ì˜ë¡œ ì¢‹ì€ ì˜ë¯¸ê°€ 있는 소나무와 ë‘루미를 í•˜ë‚˜ì˜ í™”í­ì— ê°™ì´ ê·¸ë¦° 것으로 ìƒê°ëœë‹¤.(14)
사실 송학æ¾é¶´ì€ 학과 외양과 ìƒíƒœê°€ 비슷한 황새와 혼ë™í•´ ì†Œë‚˜ë¬´ì— ê¹ƒë“œëŠ” í™©ìƒˆì˜ ìŠµì„±ì„ ë³¸ë”” ë•… ìœ„ì— ë‘¥ì§€ë¥¼ 트는 í•™ì— ì´ìž…시켜 만든 것ì´ë‹¤. ì´ëŠ” í•™ ë³¸ì—°ì˜ ìƒíƒœì™€ 무관한 ë¬¸í™”ì  ì–¸ì–´ë¡œì„œ 시대가 내려오면서 í•˜ë‚˜ì˜ ì°½ìž‘ 문법으로 ì •ì°©í–ˆë˜ ê²ƒì´ë‹¤.(15)
ë˜í•œ, í•™ì€ ì‹­ìž¥ìƒì˜ 하나로 장수를 ìƒì§•하는 새다. 옛 ê¸°ë¡ ìƒí•™ê²½ç›¸é¶´ç¶“ì— ë”°ë¥´ë©´ í•™ì€ ì²œ ë…„ ì´ìƒ 산다고 했다. 십장ìƒë„는 오봉병과 ë”불어 조선시대 ê¶ì¤‘회화를 대표하는 주제다.(16) ‘십장ìƒå長生(ë„ 2)â€™ì€ ìž¥ìˆ˜ë¥¼ ìƒì§•하는 ìžì—°, ë™ì‹ë¬¼ë“¤ì„ ë§í•˜ëŠ” 것으로, 예부터 오래 산다고 여겨진 ê±°ë¶ì´ë‚˜ í•™, 사슴 ë“±ì˜ ë™ë¬¼ê³¼ í•˜ëŠ˜ì˜ í•´, 구름, ë•…ì˜ ì‚°, 바위, 물 ë“±ì˜ ì§€ìƒê³„地上系,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ä¸è€è‰, 천ë„天桃 ë“±ì´ ìžˆë‹¤. ì´ë“¤ì€ ëª¨ë‘ ë¬´ë³‘ìž¥ìˆ˜ç„¡ç—…é•·å£½ì˜ ìƒì§•으로 ì‹­ìž¥ìƒ ê·¸ë¦¼ì˜ ì£¼ìš”í•œ 소재였다. ì´ ì¤‘ 십장ìƒì€ í•´, 구름, ì‚°, 바위, 물, í•™, 사슴, ê±°ë¶, 소나무, 불로초를 ë§í•œë‹¤. 십장ìƒì˜ ì†Œìž¬ë“¤ì€ ìš°ë¦¬ ê³ ìœ ì˜ ì²œì‹ å¤©ç¥ž, ì¼ì›”신日月神, 산악신山岳神 ë“±ì˜ ë¬´ì† ì‹ ì•™ ìœ„ì— ì¤‘êµ­ì˜ ì‹ ì„ ì‚¬ìƒì„ 수용하여 ë°œìƒí•œ 것으로 ìƒê°ëœë‹¤. 십장ìƒì€ ìƒì„œë¡œìš´ ì˜ë¯¸ ë•Œë¬¸ì— íšŒí™”ë¿ ì•„ë‹ˆë¼ ë„ìžê¸°, 공예품 ë“±ì˜ ìž¥ì‹ì— ë§Žì´ í™œìš©ë˜ì—ˆë‹¤. 특히 회화ì—서는 왕실 í–‰ì‚¬ì— ì‚¬ìš©ë˜ì–´ 사악한 기운으로부터 ì™•ì‹¤ì„ ë³´í˜¸í•˜ê³  장수와 ì˜ì›í•¨ì„ 기ì›í•˜ëŠ” ì˜ë¯¸ë¥¼ 지니고 있다.(17)

â…¢. ë‘루미는 ì–´ë–¤ 새ì¸ê°€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ë¼ì™€ 중국ì—서는 예부터 ë‘루미를 ì‹ ì„  ê°™ì€ ìƒˆë¡œ 여기고 ì‚°, 물, ëŒ, 태양, 구름, 소나무, ê±°ë¶, 사슴, 불로초와 ë”불어 십장ìƒå長生 가운ë°ì— 하나로 믿어 왔다. ì´ ìƒˆëŠ” ì ˆì‹ç¯€é£Ÿ ëŠ¥ë ¥ì´ ë›°ì–´ë‚˜ì„œ 천 ë…„ì´ë‚˜ 산다는 ì„¤ì´ ìžˆìœ¼ë‚˜ 믿기 어렵고,(25) 야ìƒì—서 약 30ë…„ ì´ìƒ ì‚¬ëŠ”ë° ì¸ê³µ 번ì‹í•œ 경우 61ë…„ì„ ì‚° ê²½ìš°ë„ ìžˆì—ˆìœ¼ë©°, ë™ë¬¼ì›ì—서 최고 87년까지 ìƒì¡´í•œ ê²½ìš°ë„ ìžˆë‹¤.(18)
í•™é¶´ì˜ ìˆœìˆ˜ 우리ë§ì€ ë‘루미ì´ë‹¤. 울ìŒì†Œë¦¬ ‘뚜루루루~ 뚜루루루~â€™ì— ëª…ì‚¬í˜• 어미 ‘-ì´â€™ë¥¼ 붙여 ë‘ë£¨ë¯¸ë¼ ë¶€ë¥´ê²Œ ë˜ì—ˆë‹¤. ë‘루미는 í•œìž ë¬¸í™”ê¶Œì— ì†í•œ 우리나ë¼ë‚˜ 중국, ì¼ë³¸ì—서 학鶴ì´ë¼ê³  한다. 우리가 í”히 ë‘루미ë¼ê³  부르는 ì¢…ì€ ì˜ˆë¡œë¶€í„° 단정학丹頂鶴으로 알려졌으며, 암수 ëª¨ë‘ ì´ë§ˆÂ·ë¨¸ë¦¬ê¼­ëŒ€ê¸°Â·ëˆˆì•žê¹Œì§€ 붉ì€ìƒ‰ì˜ 피부가 노출ë˜ì–´ 있고(ë„ 3, ë„ 4), ë…¸ì¶œëœ í”¼ë¶€ì˜ ì•žê³¼ ë’¤ëì—는 뻣뻣한 ê²€ì€ìƒ‰ í„¸ì´ ì´˜ì´˜í•˜ê²Œ 나 있다. ë¨¸ë¦¬ì˜ ë¶‰ì€ìƒ‰ì€ 번ì‹ê¸°ì— ë”ìš± ë°ì•„지며, 다 ìžëž€ ë‘ë£¨ë¯¸ì˜ ê¹ƒí„¸ì€ ëª¨ë‘ í°ìƒ‰ì„ ë ê³ , 목과 둘째·셋째 ë‚ ê°œê¹ƒì€ ê²€ì€ìƒ‰, 다리는 íšŒìƒ‰ì„ ë ëŠ” ê²€ì€ìƒ‰ì´ë‹¤. ë‘루미 무리는 ì „ 세계 9천여 ì¢…ì˜ ìƒˆë“¤ ê°€ìš´ë° ê°€ìž¥ í° ë¬´ë¦¬ë¥¼ ì´ë£¨ë©°, ìž‘ì€ ê²ƒì´ ëª¸ê¸¸ì´ ì•½ 90ãŽì´ê³  í° ê²ƒì€ 150㎠ì´ìƒì´ë‹¤. 모든 ë‘루미는 ì•”ìˆ˜ì˜ ì™¸ë¶€ 형태가 같고 보통 ìˆ˜ì»·ì´ ì•”ì»·ë³´ë‹¤ í¬ë‹¤.
ë‘루미는 남아메리카와 ë‚¨ê·¹ì„ ì œì™¸í•œ ì „ 세계 모든 ëŒ€ë¥™ì— ì„œì‹í•˜ë©°, 현재 ì „ ì„¸ê³„ì— 15ì¢…ì˜ ë‘루미 종류가 있다. ë‘루미는 ë‘ë£¨ë¯¸ê³¼ì— ì†í•˜ë©°, ë‘ ê°œì˜ ì•„ê³¼(ë‘루미아과와 관학아과)로 구성ë˜ì–´ 있다. ê´€í•™ì•„ê³¼ì— ì†í•˜ëŠ” ë‘루미 종류는 유럽과 ë¶ë¯¸ì—서 지난 5천만 ë…„ ë™ì•ˆ 서ì‹í•˜ì˜€ë‹¤. ê·¸ 중 현재 아프리카 대륙ì—서 서ì‹í•˜ëŠ” ê´€í•™ì•„ê³¼ì˜ ê´€ë¨¸ë¦¬ë‘루미와 í°ë³¼ê´€ë¨¸ë¦¬ë‘루미 2ì¢…ë§Œì´ ì‚´ì•„ë‚¨ì•˜ê³  15ì¢…ì˜ ë‘루미 무리 중ì—서 유ì¼í•˜ê²Œ 나무 위ì—서 ìž ì„ ìž”ë‹¤. 우리나ë¼ì—서 ì›”ë™í•˜ëŠ” ë‘루미는 ë‘ë£¨ë¯¸ì•„ê³¼ì— ì†í•˜ë©°, í‘ë‘루미, 미국í°ë‘루미, ê²€ì€ëª©ë‘루미 등과 함께 ê°™ì€ ë¶„ë¥˜êµ°ì— ì†í•œë‹¤.(18) ë‘ë£¨ë¯¸ì•„ê³¼ì— ì†í•˜ëŠ” ë‘루미는 뒷발가ë½ì´ 매우 ì§§ê³  다리 ìœ„ìª½ì— ë¶™ì–´ 있어 쉽게 ê±¸ì„ ìˆ˜ 있으나 나뭇가지ì—는 ì•‰ì„ ìˆ˜ê°€ 없다. ë‘루미는 주로 ìŠµì§€ì— ì‚´ê¸° ë•Œë¬¸ì— ê·¸ ìƒí™œì¡°ê±´ì—서 ì‚´ì•„ë‚¨ì„ ìˆ˜ 있ë„ë¡ ê¸´ 목과 긴 부리, 긴 다리, 가늘고 긴 발가ë½ì˜ 형태를 발달시켜 왔다(ë„ 5, ë„ 6).

â…£. ë‘ë£¨ë¯¸ì˜ ë°œê°€ë½
(ë„ 7) ë‘루미

â–² (ë„ 7) ë‘루미

ë‘ë£¨ë¯¸ì˜ ê¸¸ê³  깡마른 다리는 ëª¸ì˜ í„¸ì´ ì –ì§€ 않고 ë¬¼ì— ì˜¤ëž˜ 서 있는 ë° ì í•©í•˜ê³  ë˜ ìƒˆê°€ ë‚  때 길고 깡마른 ëª©ê³¼ì˜ ê· í˜•ì„ ìž¡ëŠ” ë° ìœ ìš©í•˜ë‹¤. ë‘루미 새ë¼ê°€ 알ì—서 부화할 때는 다리가 짧다. 새ë¼ë“¤ì€ ì‹ë¬¼ì´ ì•„ì§ í¬ê¸° ì „ì— ì¼ì° 부화하고 ì‹ë¬¼ì´ ìžë¼ëŠ”ë° ë§žì¶”ì–´ 아주 빨리 다리가 ìžë¼ì„œ 풀과 나뭇잎 너머 부모를 ë°”ë¼ë³¼ 수 있다.
ë‚˜ë¬´ì— ì•‰ì§€ 않는 오리, 거위 그리고 ë„요새와 ê°™ì€ ëŒ€ë¶€ë¶„ ë¬¼ìƒˆë“¤ì€ ë’·ë°œê°€ë½ì´ 짧거나 없다. 뒷발가ë½ì€ ìƒˆë“¤ì´ ì§„í™ì— ë¹ ì ¸ 움ì§ì¼ 수 없게 하지만 ìƒˆë“¤ì´ ë‚˜ë­‡ê°€ì§€ì— ì•‰ì„ ë•ŒëŠ” 매우 유용하다. 왜가리는 ë‚˜ë¬´ì— ë‘¥ì§€ì— í‹€ê¸° ë•Œë¬¸ì— ê¸´ 뒷발가ë½ì„ 가지고 있다. ë‘루미는 ë•…ë°”ë‹¥ì— ë‘¥ì§€ë¥¼ 틀기 ë•Œë¬¸ì— ë‹¤ë¥¸ ëŒ€ë¶€ë¶„ì˜ ë¬¼ìƒˆì™€ 마찬가지로 뒷발가ë½ì´ 아주 작다. 나머지 발가ë½ë“¤ì€ 질척질척한 ì§„í™ ìœ„ì—서 ë‘루미 ëª¸ì˜ ê· í˜•ê³¼ ì§€íƒ±ì„ í•˜ê¸°ì— ì í•©í•˜ê²Œ 충분히 길다(ë„ 7).(19)
ë‘루미는 뒷발가ë½ì´ ê±°ì˜ ê¸°ëŠ¥ì„ í•˜ì§€ 못해 나뭇가지를 ìž¡ì„ ìˆ˜ 없다. 대신 사람보다 빠른 ì†ë„로 달릴 수 있다. 타조는 ë§Žì´ ë›°ì–´ë‹¤ë…€ì•¼ 하기 ë•Œë¬¸ì— ì•žë°œê°€ë½ë„ 3ê°œì—서 2개로 줄어들었다. 마치 ë¼ì§€ë‚˜ 소가 2ê°œì˜ ë°œêµ½ì„ ê°–ê³  있어 잘 뛸 수 있는 것과 같다.(20)

â…¤. ë‘루미와 비슷한 백로, 황로,왜가리, 황새
(ë„ 8) 황로

â–² (ë„ 8) 황로

우리 ì£¼ë³€ì— ë°±ë¡œ, 황로, 왜가리, 황새 ë“±ì˜ í¬ê³  í° ìƒˆë“¤ì´ ê´€ì°°ë˜ê³  있지만, ë³´í†µì‚¬ëžŒë“¤ì˜ ëˆˆìœ¼ë¡œëŠ” 분류가 잘ë˜ì§€ 않는다. 형태ì ìœ¼ë¡œ 긴 다리, 긴 목 그리고 긴 부리를 가지고 있는 새들ì´ê¸° 때문ì´ë‹¤.(21) ë‘루미와 달리 ë‚˜ë¬´ì— ë‘¥ì§€ë¥¼ 트는 백로, 왜가리, 황로 그리고 í™©ìƒˆë“¤ì˜ ë’·ë°œê°€ë½ì€ 퇴화하지 않고 잘 발달해 있다(ë„ 8).

1. 백로, 황로, 왜가리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ë‘루미는 종종 백로白鷺와 혼ë™ë˜ê¸°ë„ 한다. 백로 역시 목과 다리가 길어 외모가 비슷할 ë¿ ì•„ë‹ˆë¼, 소나무 ìˆ²ì— ë‚˜ë­‡ê°€ì§€ë¥¼ 모아 집단으로 번ì‹í•˜ê¸¸ ì¢‹ì•„í•˜ê¸°ì— ë³‘í’ì´ë‚˜ ë™ì–‘í™”ì— ì†Œë‚˜ë¬´ì™€ 함께 그려진 학으로 혼ë™í•˜ê¸° 쉽다. 하지만 백로는 ë‘루미와 달리 머리 위가 붉지 않고 ì˜¨ëª¸ì´ í°ìƒ‰ì´ë©° í¬ê¸°ë„ 작다. 백로류가 대부분 ì—¬ë¦„ì² ì— ë³´ì´ëŠ” ë° ë¹„í•´ ë‘루미는 ì˜í•˜ë¡œ ê¸°ì˜¨ì´ ë–¨ì–´ì§€ëŠ” 겨울철ì—나 ë³¼ 수 있다. í•™ë™é¶´æ´žì´ë¼ëŠ” ì´ë¦„ì„ ê°€ì§„ 마ì„ì„ ë³´ë©´ ê³¼ê±°ì— ë‘루미가 ì‚´ì•˜ë˜ ê³³ì´ ì•„ë‹ˆë¼ ë°±ë¡œê°€ ë§Žì´ ì‚´ì•˜ì„ í™˜ê²½ì„ ì§€ë‹Œ ê³³ì´ ë§Žë‹¤. ë‘루미는 ë‚˜ë¬´ì— ì•‰ì§€ë„ ì•Šìœ¼ë©°, 넓게 펼ì³ì§„ 습지와 í•˜ì²œì„ ì¢‹ì•„í•œë‹¤. ê·¸ì— ë¹„í•´ 백로는 심산계곡ì´ë¼ë„ ë‹¤ëž‘ë…¼ì´ ìžˆìœ¼ë©´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ë‘루미는 머리가 ë¶‰ì€ ê²ƒ ì´ì™¸ì— 목 주변과 꼬리 ìª½ì´ ê²€ì€ìƒ‰ì´ì–´ì„œ 백로와 구별ëœë‹¤. ë‘루미 ë¨¸ë¦¬ì— ë¶‰ì€ìƒ‰ì´ ë„는 ë¶€ë¶„ì€ ê¹ƒí„¸ì´ ë¶‰ì–´ì„œê°€ ì•„ë‹ˆë¼ ìž‘ê³  무수한 피부 ëŒê¸°ì— í˜ˆì•¡ì´ ëª¨ì—¬ì„œ í˜•ì„±ëœ ê²ƒì´ë‹¤. 꼬리처럼 ë³´ì´ëŠ” ê²€ì€ìƒ‰ 부위는 실제 꼬리가 ì•„ë‹ˆë¼ ë‚ ê°œê¹ƒì´ ê¸¸ê²Œ 늘어져 ë®ì€ 것ì´ê¸°ë„ 하다.(22) 백로는 외형ì ì¸ ì°¨ì´ëŠ” 없으나 í¬ê¸°ì— ë”°ë¼ ì¤‘ëŒ€ë°±ë¡œ (ë„ 9, ë„ 10), 중백로, 쇠백로(ë„ 11, ë„ 12)로 구분한다.
백로와 왜가리는 긴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ë‚  때 ëª©ì„ Sìžë¡œ 굽히는 ê²ƒì´ íŠ¹ì§•ì´ë‹¤. 백로와 왜가리는 서 있거나 앉아 ìžˆì„ ë•Œë„ ëª©ì„ ì•½ê°„ 구부리고 있는ë°, ì´ëŸ¬í•œ 특성으로 물고기 ë“±ì˜ ë¨¹ì´ë¥¼ ìž¡ì„ ë•Œ ëª©ì„ ìŠ¤í”„ë§ì²˜ëŸ¼ 재빠르게 펴서 ìž¡ì„ ìˆ˜ 있다. 반면, ë‘루미는 잠잘 때를 제외하고 ë•…ì— ì•‰ì•„ ìžˆì„ ë•Œë‚˜ ë‚  때 대부분 ëª©ì„ ê³§ê²Œ 편다.
백로는 다리와 부리를 제외한 나머지 ë¶€ë¶„ì€ ê±°ì˜ í•˜ì–€ 깃털로 ë®ì—¬ 있고, 왜가리(ë„ 13)는 ì „ë°˜ì ìœ¼ë¡œ íšŒìƒ‰ì„ ë ëŠ” ê¹ƒí„¸ì„ ê°€ì§€ê³  있다. 그래서 백로는 ë‘루미로, 왜가리는 재ë‘루미(ë„ 14)로 ì°©ê°í•˜ëŠ”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재ë‘루미는 ëº¨ì´ ë¶‰ì€ìƒ‰ì„ ë ê³  ë’·ëª©ì´ ìœ ë‚œížˆ í° ë°ë‹¤ ë‚ ê°œê¹ƒì´ ê¼¬ë¦¬ 쪽으로 길게 늘어져 우아하게 ë³´ì¸ë‹¤. 왜가리는 머리를 ë³´ë©´ ê²€ì€ìƒ‰ì˜ 눈ì¹ì´ 길게 발달해 머리 뒤까지 ë»—ì–´ 있다.
왜가리는 í˜¼ìž ê°€ë§Œížˆ 서 있는 ì¼ì´ 많으나, 재ë‘루미는 대부분 ê°€ì¡±ì´ í•¨ê»˜ 걸어 다니며 먹ì´ë¥¼ 찾기 ë•Œë¬¸ì— ìŠµì„±ì—ì„œë„ ë‹¤ë¥´ë‹¤. 재ë‘루미는 왜가리와 달리 나무 위ì—는 앉지 않는다. 왜가리와 백로는 네 번째 뒷발가ë½ì´ 길어서 나뭇가지를 ìž¡ì„ ìˆ˜ 있기 ë•Œë¬¸ì— ë‚˜ë¬´ 위ì—ë„ ì•‰ì„ ìˆ˜ 있고 ë‘¥ì§€ë„ ë‚˜ë¬´ ìœ„ì— ë§Œë“ ë‹¤.(22) ë˜í•œ ë‘루미는 ë°œìžêµ­ì„ ë³´ë©´ 뒷발가ë½ì´ 퇴화하여 세 ë°œê°€ë½ ìžêµ­ë§Œ ì°ížˆê³ , 백로나 황새는 네 ë°œê°€ë½ ìžêµ­ì´ ì°ížˆë¯€ë¡œ êµ¬ë³„ì´ ëœë‹¤.(18)

<표 1> ë‘루미와 백로, 왜가리 비êµ(18)

ë‘루미(단정학)백로, 왜가리
몸길ì´ì•½ 140cm약 50~90cm
볼 수 있는 시기겨울철새(10월~3월)여름철새(4월~9월)
나는 모습목과 다리를 길게 펴고 난다. 간혹 다리를 ì ‘ê³  나는 ê²½ìš°ë„ ìžˆìŒ.ëª©ì„ Sìžë¡œ ì ‘ê³  다리를 길게 펴고 난다.
깃털몸통과 꼬리는 í°ìƒ‰. 목과 둘째·셋째 ë‚ ê°œê¹ƒì€ ê²€ì€ìƒ‰. 다리는 íšŒìƒ‰ì„ ë¤ ê²€ì€ ìƒ‰ë°±ë¡œëŠ” ë¶€ë¦¬Â·ë‹¤ë¦¬Â·ë°œì„ ì œì™¸í•œ 몸 ì „ì²´ê°€ í°ìƒ‰. 왜가리는 ì „ë°˜ì ìœ¼ë¡œ 회색.
먹ì´ë¬¼ê³ ê¸°, 수ìƒë™ë¬¼, 파충류, 양서류, 육ìƒê³¤ì¶©, ìž‘ì€ ì„¤ì¹˜ë¥˜, ë²¼ 낟알, 사초과 수ìƒì‹ë¬¼ 뿌리물고기, 수ìƒë™ë¬¼, 파충류, 양서류, 육ìƒê³¤ì¶©
기타 특징ë‘ë£¨ë¯¸ì˜ ë’·ë°œê°€ë½ì€ ì§§ì€ ë°ë‹¤ê°€ 다리 ìœ„ìª½ì— ë¶™ì–´ 있어서 발가ë½ìœ¼ë¡œ 나뭇가지를 ìž¡ì„ ìˆ˜ 없기 ë•Œë¬¸ì— ë‚˜ë¬´ 위ì—는 ì•‰ì„ ìˆ˜ê°€ ì—†ìŒ.뒷발가ë½ì´ 길어서 ë‚˜ë¬´ì— ì•‰ê³  ë‘¥ì§€ë„ ë‚˜ë¬´ ìœ„ì— ë§Œë“ ë‹¤. ìžìœ ë¡­ê²Œ 구부릴 수 있는 ëª©ì€ ë¨¹ì´ë¥¼ 잡는 ë° ì´ìš©.
번ì‹íˆ°ë“œë¼ 지역ì—서 보통 2ê°œì˜ ì•Œì„ ë‚³ê³ , ë‘루미 한 ìŒì´ 단ë…으로 습초지(ì§€ìƒ)ì— ë‘¥ì§€ë¥¼ ì§“ê³  ì„¸ë ¥ê¶Œì„ ê°€ì§€ê³  번ì‹. 집단으로 번ì‹í•˜ì§€ 않는다.우리나ë¼ì—서 보통 4ê°œì˜ ì•Œì„ ë‚³ê³ , ê°™ì€ ì§€ì—­ì—서 백로와 왜가리가 함께 집단으로 ë‚˜ë¬´ì— ë‘¥ì§€ë¥¼ ì§“ê³  ë²ˆì‹ (ë„ 15).

황로는 멀리서 ë³´ë©´ í¬ê¸°ê°€ 작아서 쇠백로와 비슷하지만, ì—¬ë¦„ê¹ƒì´ ì–´ê¹¨Â·ê°€ìŠ´Â·ë¨¸ë¦¬ ê¼­ëŒ€ê¸°ì— ì˜¤ë Œì§€ìƒ‰ì„ ë ê³  있어서 구별ë˜ëŠ” 새다. ê°€ê¹Œì´ ë³´ë©´ 쇠백로는 부리가 ê²€ì€ìƒ‰ìœ¼ë¡œ ë³´ì´ê³ , 황로는 오렌지색으로 ë³´ì¸ë‹¤(ë„ 16, ë„ 17). 다른 백로류와 함께 ë‚˜ë¬´ì— ë‘¥ì§€ë¥¼ 만들며, ì ì€ 수가 번ì‹í•œë‹¤.

2. 황새

ë‘루미는 í™©ìƒˆì™€ë„ í˜¼ë™í•˜ê¸° 쉽다. ë‘루미처럼 ë‚ ê°œ ëì´ ê²€ê³  í‚¤ë„ ì»¤ì„œ ìƒê¹€ì´ 비슷하지만, 황새는 눈 주변만 붉고 ëª©ì€ í¬ë‹¤. 다리 ë˜í•œ 붉ì€ìƒ‰ì´ì–´ì„œ ê²€ì€ìƒ‰ì„ ë¤ ë‘루미와 구별ëœë‹¤.(22) 황새는 ë‘ê»ê³  긴 부리를 가진 í° ë¬¼ìƒˆë¡œ 몸뚱ì´ê°€ 하얗고 ë‚ ê°œ ë’¤ì˜ ë°˜ìª½ì€ ê²€ê³  ê·¸ 사ì´ì— ì€íšŒìƒ‰ ë°˜ì ì´ 있다. 호반, 하구, 소íƒì§€, ë…¼, ë°­ 등 ë„“ì€ ë²”ìœ„ì˜ ìŠµì§€ëŒ€ 물가ì—서 ì‚´ë©° í˜¼ìž í˜¹ì€ ë‘ ë§ˆë¦¬ ë”러는 ìž‘ì€ ë¬´ë¦¬ë¥¼ ì´ë£¨ì–´ ìƒí™œí•˜ëŠ” 조용하고 ê²½ê³„ì‹¬ì´ ê°•í•œ 새ì´ë‹¤. ì˜¨ëª¸ì˜ ê¸¸ì´ëŠ” 112ãŽì´ê³ , 편 ë‚ ê°œ 길ì´ëŠ” 200ãŽì´ë‹¤(ë„ 18, ë„ 19).
우리나ë¼ì—서는 예부터 ì´ í™©ìƒˆë¥¼ 백관白鸛, 부금負金, í‘구黑勼, ì¡°ê·¼, 관조觀鳥, 한새, 항새, 참항새 등으로 불러왔다. 황새가 한국ì—서 예로부터 í”한 새였다는 ê²ƒì€ ì†Œë‚˜ë¬´ ìœ„ì— ì•‰ì•„ 있는 황새를 ì†¡ë‹¨æ¾æª€ 황새 ë˜ëŠ” 관학鸛鶴’ì´ë¼ 하여 그림과 ìžìˆ˜ 등ì—서 í”히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ì—ì„œë„ ëŠ¥ížˆ 알 수 있다.(23)
황새는 우리 ì£¼ë³€ì— í”히 발견ë˜ëŠ” 백로와는 분류학ì ìœ¼ë¡œ 매우 다르다. 게다가 ë‘루미와는 분류학ì ìœ¼ë¡œ 백로보다 ë” ë©€ë‹¤. 쉽게 ë§í•´ 황새는 ë…수리와 오히려 ê°€ê¹ê³ , ë‘루미는 ë‹­ê³¼ ê°€ê¹ë‹¤ê³  ì´í•´í•˜ë©´ 간단하다<표 2>.(21)

<표 2> 계통ë„(21)(24)
계통ë„

예부터 소나무 ìœ„ì— ì•‰ì€ í•™ìœ¼ë¡œì„œ 사람들 ìž…ì— ì˜¤ë¥´ë‚´ë¦¬ë˜ ìƒˆê°€ 바로 ë‘루미가 ì•„ë‹ˆë¼ í™©ìƒˆì´ë‹¤. ë‘루미는 ë‚˜ë¬´ì— ì•‰ëŠ” ë²•ì´ ì—†ìœ¼ë©°, ë‘¥ì§€ë„ ë•… ìœ„ì— ë§Œë“¤ê³  ìƒí™œë„ ë•…ì—서 주로 한다. 황새는 소나무를 비롯하여 미루나무, ëŠë¦…나무, 팽나무, 물푸레나무, ê°ë‚˜ë¬´, ì€í–‰ë‚˜ë¬´ 등 주로 ë§ˆì„ ê°€ê¹Œìš´ ê³³ì— í™€ë¡œ ì„  í° ë‚˜ë¬´ì—서 새ë¼ë¥¼ 친다. 둥지는 5~20mì— ì´ë¥´ëŠ” 키가 í° ë‚˜ë¬´ì˜ ê°€ì§€ ìœ„ì— ìžˆê¸°ë„ í•˜ì§€ë§Œ 주로 나무 꼭대기 ê³¨ë¼ ë‚˜ë­‡ê°€ì§€ë¥¼ 엉성하게 쌓아 올린 다ìŒì— ì§šê³¼ 풀과 í™ìœ¼ë¡œ 굳혀 접시 ëª¨ì–‘ì˜ í° ë‘¥ì§€ë¥¼ 튼다.(25)
황새는 뒷발가ë½ì´ 있어 나뭇가지를 움켜ì¥ê±°ë‚˜ 서 ìžˆì„ ìˆ˜ 있지만, 황새 역시 ìžì£¼ 걸어 다녀야 하기 ë•Œë¬¸ì— ë’·ë°œê°€ë½ì´ 그리 길지는 않다. ë”°ë¼ì„œ 나무 ìœ„ì— ì¦ê²¨ 앉지 않으며 번ì‹ì„ í•  때만 둥지를 만들어 앉는다. 유럽황새는 부리가 붉ì€ìƒ‰ì´ì§€ë§Œ 우리나ë¼ì˜ 황새는 부리가 ê²€ì€ìƒ‰ì´ë‹¤. 임금새란 ì˜ë¯¸ë¡œ 임금 í™©ì„ ì¨ì„œ 황새ë¼ê³ ë„ 한다.(20)

â…¥. 맺ìŒë§

민화는 지나간 ê³¼ê±°ì˜ ê·¸ë¦¼ì´ ì•„ë‹ˆë‹¤. í˜„ìž¬ì˜ ìš°ë¦¬ê°€ 계승, 발전시켜야 í•  그림ì´ë‹¤. ë‚˜ë¬´ì— ì•‰ì§€ 않는 ëŒ€ë¶€ë¶„ì˜ ë¬¼ìƒˆë“¤ì€ ë’·ë°œê°€ë½ì´ 짧거나 없다. 뒷발가ë½ì€ ìƒˆë“¤ì´ ë‚˜ë­‡ê°€ì§€ì— ì•‰ì„ ë•ŒëŠ” 매우 유용하다.(19)

(ë„ 20) 송학ë„, 월전 장우성, 1992ë…„, 88×103cm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장준구 제공)
(ë„ 21) 화조ë„8í­ë³‘í’ ì¤‘1í­,20세기, 94.3×29.5cm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장준구 제공)

우리가 겨울ì—ë§Œ ë³¼ 수 있는 ê²¨ìš¸ì² ìƒˆì¸ ë‘루미는 뒷발가ë½ì´ 매우 ì§§ê³  다리 ìœ„ìª½ì— ë¶™ì–´ 있어 쉽게 ê±¸ì„ ìˆ˜ 있으나 나뭇가지ì—는 ì•‰ì„ ìˆ˜ê°€ 없다.(18) 대신 사람보다 빠른 ì†ë„로 달릴 수 있다.(20)
ë‘ë£¨ë¯¸ì˜ ë°œìžêµ­ì„ ë³´ë©´ 네 번째 뒷발가ë½ì´ 퇴화하여 첫 번째 발가ë½ë¶€í„° 세 번째 발가ë½ê¹Œì§€ 세 ë°œê°€ë½ ìžêµ­ë§Œ ì°ížˆê³ , 백로나 황새는 네 ë°œê°€ë½ ìžêµ­ì´ ì°ížˆë¯€ë¡œ êµ¬ë³„ì´ ëœë‹¤.(18)
현재 ì „ ì„¸ê³„ì— 15ì¢…ì˜ ë‘루미 종류가 있다. ë‘루미는 ë‘ë£¨ë¯¸ê³¼ì— ì†í•˜ë©°, ë‘ ê°œì˜ ì•„ê³¼(ë‘루미아과와 관학아과)로 구성ë˜ì–´ 있다. ê´€í•™ì•„ê³¼ì— ì†í•˜ëŠ” ë‘루미 종류는 유럽과 ë¶ë¯¸ì—서 지난 5천만 ë…„ ë™ì•ˆ 서ì‹í•˜ì˜€ë‹¤. 그중 현재 아프리카 대륙ì—서 서ì‹í•˜ëŠ” ê´€í•™ì•„ê³¼ì˜ ê´€ë¨¸ë¦¬ë‘루미와 í°ë³¼ê´€ë¨¸ë¦¬ë‘루미 2ì¢…ë§Œì´ ì‚´ì•„ë‚¨ì•˜ê³  15ì¢…ì˜ ë‘루미 무리 중ì—서 유ì¼í•˜ê²Œ 나무 위ì—서 ìž ì„ ìž”ë‹¤.(18)
ë‘루미는 습지나 ë…¼, ì´ˆì› ë“±ì—서 서ì‹ì„ 하며 소나무를 비롯한 나무 ìœ„ì— ì•‰ê±°ë‚˜ 둥지를 만들지 않는다. 나무 ìœ„ì— ì•‰ê±°ë‚˜ 둥지를 트는 새는 백로, 황로, 왜가리, 황새와 ê°™ì€ ì¢…ë“¤ì´ë‹¤. 송학ë„ì˜ í•™ì€ ì†Œë‚˜ë¬´ ìœ„ì— ì•‰ì•„ 있는 백로나 황새를 ë‘루미로 ì°©ê°í–ˆê±°ë‚˜ ìž„ì˜ë¡œ ì¢‹ì€ ì˜ë¯¸ë¥¼ 가지고 있는 소나무와 í•™ì„ í•˜ë‚˜ì˜ í™”í­ì— ê°™ì´ ê·¸ë¦° 것으로 ìƒê°ëœë‹¤.(14) í™©ìƒˆì˜ ìŠµì„±ì„ ë³¸ë”” ë•… ìœ„ì— ë‘¥ì§€ë¥¼ 트는 í•™ì— ì´ìž…시켜 만든 것으로 í•™ ë³¸ì—°ì˜ ìƒíƒœì™€ 무관한 ë¬¸í™”ì  ì–¸ì–´ë¡œì„œ 시대가 내려오면서 í•˜ë‚˜ì˜ ì°½ìž‘ 문법으로 ì •ì°©í–ˆë˜ ê²ƒì´ë‹¤.(15)
í•™ì´ ì²œ ë…„, 소나무가 ë°± ë…„ì„ ëœ»í•˜ë¯€ë¡œ í•™ì´ ì†Œë‚˜ë¬´ì— ì˜¬ë¼ì•‰ì€ ê·¸ë¦¼ì€ í•™ìˆ˜ì†¡ë ¹ë„鶴壽æ¾é½¡åœ–ê°€ ëœë‹¤. 오래 사는 ê²ƒë“¤ì„ í•œë° ëª¨ì•„ì„œ 구성하면서 ì´ë•Œ í•™ì´ ì†Œë‚˜ë¬´ 위ì—서 사는지 그렇지 않는지는 문제 삼지 않았다. 소나무 ìœ„ì— ì˜¬ë¼ê°€ 사는 새는 황새로 학과 혼ë™í•˜ê¸° 쉽다. 그러나 ì´ í•™ìˆ˜ì†¡ë ¹ì´ë¼ëŠ” ëœ»ì„ ë‚˜íƒ€ë‚´ê¸° 위해서는 반드시 í•™ì´ë¼ì•¼ ë˜ì—ˆë˜ 것ì´ë‹¤.(12)
ìƒì„œë¡œìš´ 기운으로 경사스러운 ì¼ì„ ë°”ë¼ëŠ” 길ìƒå‰ç¥¥, 장수를 ì¶•ì›, 부부가 해로하며 오래오래 ì‚´ë¼ëŠ” ë™ì¶˜åŒæ˜¥, 벼슬길ì—서 ì´ë¦„ì„ í¬ê²Œ 떨치ë¼, ë†’ì€ ë²¼ìŠ¬ì— ì˜¬ë¼ ë¶€ê·€ì™€ ì˜í™”를 ë”불어 ëˆ„ë¦¬ë¼ ë“±ê³¼ ê°™ì€ ì¢‹ì€ ì˜ë¯¸ë¥¼ 갖는 ê·¸ë¦¼ì— ì†Œë‚˜ë¬´ë‚˜ 대나무, 바위나 바다물결, 구름 등과 함께 í•™ì´ ìžì£¼ 등장한다. ìž¥ìš°ì„±ì˜ ì†¡í•™ë„(ë„ 20)를 ë³´ë©´ í•™ì˜ í‡´í™”í•œ 뒷발가ë½ì„ í¬í•¨í•œ ìƒíƒœí•™ì  íŠ¹ì„±ì´ ìž˜ 묘사ë˜ì–´ 있다.(26) 그러나 í•™ì˜ ìƒíƒœí•™ì  íŠ¹ì„±ì„ ìž˜ 알기 ì „ì— ì¢‹ì€ ì˜ë¯¸ë§Œì„ ìƒê°í•˜ë©° 그린 민화(ë„ 21)를 ë³´ë©´ 소나무 ìœ„ì— ì„œ 있는 í•™ì˜ ë’·ë°œê°€ë½ì´ 백로 등과 ê°™ì´ ê¸¸ë©° 다리 ìœ„ìª½ì— ë¶™ì–´ 있지 않고 바닥 í‰ë©´ì— ë‹¿ì•„ 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다.
ë‘루미는 ë‚˜ë¬´ì— ì•‰ì„ ìˆ˜ 있는 백로나 황새와 형태가 비슷해 ë³´ì´ì§€ë§Œ 분류학ì ìœ¼ë¡œ 매우 다른 조류ì´ë©°, ìƒíƒœí•™ì ìœ¼ë¡œ ë‚˜ë¬´ì— ì•‰ì„ ìˆ˜ 없다. 그러나 í•™ì„ ê·¸ ìƒíƒœí•™ì  íŠ¹ì„±ì— ëŒ€í•œ ì´í•´ë¥¼ 바탕으로 ë¬¸í™”ì  ì–¸ì–´ë¡œì„œì˜ ë¯¼í™” ì† í•™ì„ ì´í•´í•œë‹¤ë©´ 우리 ë¯¼í™”ì— ëŒ€í•œ ì´í•´ê°€ 한층 ë” ê¹Šì–´ì§ˆ 것ì´ë‹¤.

본 ì›ê³ ìž‘ì„±ì„ ìœ„í•˜ì—¬ ë„ì›€ì„ ì£¼ì‹  민화계 ì›ë¡œ 巴人송규태 ì„ ìƒë‹˜, ì„œìš¸ëŒ€í•™êµ ë¯¸ìˆ ëŒ€í•™ 최종태 명예êµìˆ˜ë‹˜, 가회박물관 윤열수 관장님, ì„œìš¸ëŒ€í•™êµ ë†ì—…ìƒëª…과학대학 ì´ìš°ì‹  êµìˆ˜ë‹˜, í•™êµë²•ì¸ ë°±ê°•í•™ì› ìµœí˜„ê·œ ì´ì‚¬ìž¥ë‹˜, ê°€í†¨ë¦­ëŒ€í•™êµ ì˜ê³¼ëŒ€í•™ 조승호 명예êµìˆ˜ë‹˜, 서울êµìœ¡ëŒ€í•™êµ 미술과 조용진 ì „ êµìˆ˜ë‹˜, ê²½ì£¼ëŒ€í•™êµ ë¬¸í™”ìž¬í•™ê³¼ 정병모 êµìˆ˜ë‹˜, 한국민화협회 송창수 부회장님, 국립공ì›ê´€ë¦¬ê³µë‹¨ 황보연 박사님, í•œêµ­ë¬¼ìƒˆë„¤íŠ¸ì›Œí¬ ëŒ€í‘œ ì´ê¸°ì„­ 박사님, ì˜ˆì‚°í™©ìƒˆê³µì› ê¹€ìˆ˜ê²½ 박사님, í•œêµ­ì˜ˆìˆ ì¢…í•©í•™êµ ë°•ì •ì•  박사님,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장준구 박사님과 ì›ê³ ì •리를 ë„와주신 국립암센터 김민정 ì„ ìƒë‹˜ê³¼ 박서진 연구ì›ë‹˜, 한국세í¬ì£¼ì—°êµ¬ìž¬ë‹¨ 김해림연구ì›ë‹˜ 그리고 삼성미술관 Leeumì— ê°ì‚¬ë“œë¦½ë‹ˆë‹¤.

참고문헌
1) è¶™å­åº¸, 金哲淳, æŽä»²æ¤, 『æœé®®æ™‚代 民畵ã€, è—耕産業社, 1989.
2) 윤열수, 『민화ì´ì•¼ê¸°ã€, ë””ìžì¸í•˜ìš°ìФ, 2012.
3) 정병모, ã€Ží•œêµ­ì˜ ì±„ìƒ‰í™”: ê¶ì¤‘회화와 ë¯¼í™”ì˜ ì„¸ê³„ã€, 다할미디어, 2015.
4) 金基昶: è¶™å­åº¸, 金哲淳, æŽä»²æ¤, 『æœé®®æ™‚代 民畵〠è—耕産業社, 1989, 중ì—서.
5) 조용진, ê°œì¸êµì‹ , 2015.
6) 송규태, 巴人민화연구소 www.minwha.co.kr, 2015 검색.
7) å´”é˜æ³°, ê°œì¸êµì‹ , 2014.
8)새를사랑하는사람들, www.facebook.com/groups/551781908205645, 2013.
9)페ì´ìФë¶ë¯¼í™”미술관, www.facebook.com/groups/493284357478715, 2014.
10) 최현규, ê°œì¸êµì‹ , 2014.
11) 황보연, ê°œì¸êµì‹ , 2014.
12) 조용진, 『ë™ì–‘í™” ì½ëŠ” 법ã€, 집문당, 2014.
13) 정민, 『새 문화사전〠글항아리,2014.
14) 임신재, 『ë™ë¬¼í–‰ë™í•™ã€, eBook ㈜살림출íŒì‚¬, 2006.
15)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ìƒë„ 연구ã€(í™ìµëŒ€í•™êµ ëŒ€í•™ì› ë¯¸ìˆ ì‚¬í•™ê³¼ ì„사학위논문, 2002, 33~36쪽: 『å長生ã€(ê¶ì¤‘유물전시관,2004); ë°•ì •ì• , 『조선 후기 íšŒí™”ì— ë‚˜íƒ€ë‚œ é¶´ì˜ ì´ë¯¸ì§€ì™€ 표현 ì–‘ìƒã€, 미술사연구, 2012, 105-138쪽ì—서 ì¸ìš©.
16) 정병모, ã€Žë¬´ëª…í™”ê°€ë“¤ì˜ ë°˜ëž€ 민화ã€, 다할미디어, 2011.
17) 삼성미술관 Leeum, ê°œì¸êµì‹ , 2015.
18) 배성환, 『ë‘루미ã€, 다른세ìƒ, 2000.
19) Annenberg Learner, 『Whooping Cranesã€, Journey North, www.learner.org/jnorth, 2015.
20) ì´ê¸°ì„­, ê°œì¸êµì‹ , 2015.
21) 박시룡, 박현숙, 윤종민, 김수경, 『황새, ìžì—°ì— 날다ã€, 지성사, 2014.
22) ì´ì¢…ë ¬, ì´ê¸°ì„­, 『ë‘루미 ì²œë…„í•™ì„ ê¿ˆê¾¸ë‹¤ã€, FIELD GUIDE, 2010.
23) ë‘산백과, 『황새 white storkã€, 네ì´ë²„ ì§€ì‹ë°±ê³¼, 2015검색.
24) 김수경, ê°œì¸êµì‹ , 2015.
25) ì´ìš°ì‹ , 김수만, 『우리가 ì •ë§ ì•Œì•„ì•¼ í•  우리 새 백가지ã€, 현암사, 2009.
26)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瑞鶴飛翔: 서학비ìƒÂ·í•œêµ­ 근현대 í•™ 그림ã€,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2013.

 

글 : 박재갑(국립암센터 초대 ë° 2대 ì›ìž¥, ì„œìš¸ëŒ€í•™êµ ì˜ê³¼ëŒ€í•™ 명예êµìˆ˜, 한국세í¬ì£¼ì—°êµ¬ìž¬ë‹¨ ì´ì‚¬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One comment on “[í™”ì œì˜ è«–è€ƒ] 송학ë„ì— ëŒ€í•œ 새로운 ê³ ì°°, í•™é¶´ì€ ë‚˜ë¬´ì— ì•‰ì§€ 못한다

  1. ìž‘ë…„ì— êµ¬ë¡€ ì‚°ë™ë©´ì— 지리산ìžë½ì—서 난ìƒì²˜ìŒ ë³´ì•˜ëŠ”ë° ì •ë§ ì•„ë¦„ë‹µë”êµ°ìš”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