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 œì˜ è«–è€ƒ] 세화와 í˜¸ëž‘ì´ ê·¸ë¦¼

(ë„24) 용호ë„, 중요문화재, 남송 1265ë…„, ê° 147.8×94.0, ì¼ë³¸ 大德寺 소장
차례
  • I. 머리ë§
  • II. 세화와 ë¶€ì ì— 그려진 호랑ì´
  • 1. 세화와 문배
    2. 벽사용 ë¶€ì 

  • â…¢. 민화 í˜¸ëž‘ì´ ê·¸ë¦¼ì˜ ìœ í˜•
  • 1. ê¹Œì¹˜í˜¸ëž‘ì´ ê·¸ë¦¼
    2. 용호ë„
    3. ì‚°ì‹ ë„
    4. 호렵ë„
    5. 호피ë„

  • â…£. 맺ìŒë§

※ ì´ ê¸€ì€ 2015ë…„ 1ì›” 5ì¼, ‘대갈문화축제 세미나’ì—서 ë°œí‘œëœ ë…¼ë¬¸ì„ ì˜®ê¸´ 것입니다.

â… . 머리ë§

옛날 ì´ì•¼ê¸°ëŠ” 으레 â€˜í˜¸ëž‘ì´ ë‹´ë°° í”¼ìš°ë˜ ì‹œì ˆì—…’ 하면서 시작한다. 호랑ì´ê°€ 주ì¸ê³µì´ 아닌 ì´ì•¼ê¸°ìž„ì—ë„ í˜¸ëž‘ì´ë¡œ ìš´ì„ ë—„ ë§Œí¼ í˜¸ëž‘ì´ëŠ” ì´ ë•…ì˜ ì‚¬ëžŒë“¤ì—게 ê°€ê¹Œì› ë˜ ì¡´ìž¬ì´ë‹¤. 우리나ë¼ì˜ 신화·전설·설화ì—서 í˜¸ëž‘ì´ ì´ì•¼ê¸°ì˜ ë¹„ì¤‘ì€ ë‹¨ì—° 세계 ìœ¼ëœ¸ì¸ ë°”, ìµœë‚¨ì„ ì˜ ë§ëŒ€ë¡œ í˜¸ëž‘ì´ ë§Œìœ¼ë¡œ ‘천ì¼ì•¼í™”(åƒä¸€å¤œè©±)’를 꾸밀 수 있는 ‘호담국(虎談國)’ì´ì—ˆë‹¤.1) ì¤‘êµ­ì˜ ë¬¸í•™ê°€ì´ìž 사ìƒê°€ì¸ 루쉰(魯迅)ë„ â€œì¡°ì„ ì˜ í˜¸ëž‘ì´ ì´ì•¼ê¸°ëŠ” 세계 ì–´ëŠ ë‚˜ë¼ì— 비해서 가장 다양하고 다채롭다â€ë©´ì„œ ì¡°ì„  ì‚¬ëžŒì„ ë§Œë‚˜ë©´ 반드시 í˜¸ëž‘ì´ ì´ì•¼ê¸°ë¥¼ 청했다고 한다.2)
옛 ì´ì•¼ê¸° ì†ì˜ 호랑ì´ëŠ” 힘세고 ë‚ ëž˜ë©´ì„œë„ í•œíŽ¸ 어리ì„ì–´ 우스ê½ìŠ¤ëŸ¬ìš´ 모습ì´ë‹¤. 반면 ì‹ í†µë ¥ì„ ì§€ë‹Œ ì˜ë¬¼ë¡œ 사람ì´ë‚˜ ì§ìŠ¹ìœ¼ë¡œ ë³€ì‹ ë„ í•˜ê³ , 미래를 내다볼 줄 알며 ì˜(義)를 지키고, 약ìžì™€ 효ìž, ì˜ì¸(義人)ì„ ë„ìš°ë©° ë¶€ì •í•¨ì„ ë©€ë¦¬í•˜ëŠ” 신비스럽고 êµí›ˆì ì¸ 면모를 ë³´ì´ê¸°ë„ 하고, 어리ì„ì–´ 바보가 ë˜ê±°ë‚˜ ìž”ì¸í•˜ì—¬ 잡아먹는 ëª¨ìŠµì„ ë³´ì´ê¸°ë„ 한다. 『조선왕조실ë¡ã€ì˜ í˜¸ëž‘ì´ ê´€ë ¨ 기사 중 다수는 호랑ì´ê°€ 나타나 가축ì´ë‚˜ ì‚¬ëžŒì„ ìž¡ì•„ë¨¹ì—ˆë‹¤ëŠ” ‘호환(虎患)â€™ì— ê´€í•œ 것ì´ì—ˆìœ¼ë‹ˆ, 호랑ì´ëŠ” 친근하기보다는 대ì í‚¤ 힘든 맹수였ìŒì´ 보다 ì§„ì‹¤ì— ê°€ê¹Œìš¸ 것ì´ë‹¤. ì˜êµ­ì¸ ì´ì‚¬ë²¨ë¼ 버드 비ìˆì€ 구한ë§ì¸ 1894ë…„ 겨울과 1897ë…„ ë´„ 사ì´ì— ì¡°ì„ ì„ ë„¤ 차례나 여행한 ë’¤ ì“´ ì±…ì—서 “‘조선 ì‚¬ëžŒì€ ì¼ë…„ì˜ ë°˜ì„ í˜¸ëž‘ì´ë¥¼ ì«“ëŠë¼ ë³´ë‚´ê³  ì¼ë…„ì˜ ë‚˜ë¨¸ì§€ ë°˜ì„ í˜¸ëž‘ì´ì—게 잡아먹힌 ì‚¬ëžŒì˜ ë¬¸ìƒì„ ê°€ëŠë¼ 보낸다’는 중국 ì†ë‹´ì´ ê±°ì§“ì´ ì•„ë‹ˆë‹¤.â€ê³  하면서 당시 í˜¸í™˜ì˜ ì‹¬ê°ì„±ê³¼ ì¡°ì„ ì¸ì˜ 호랑ì´ì— 대한 ë‘ë ¤ì›€ì„ ì„œìˆ í•˜ì˜€ë‹¤.3)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부터, 사ë¼ì ¸ê°€ëŠ” í•œêµ­ì˜ ê¸°ì¸µë¬¸í™”ì™€ 민화 ì—°êµ¬ì— ì²œì°©í•˜ë©°, ê·¸ 중ì—ì„œë„ í˜¸ëž‘ì´ ê·¸ë¦¼ì— ê´€ì‹¬ì´ ê¹Šì—ˆë˜ ì¡°ìžìš©(1926-2000) ì„ ìƒë„ ì²­ì†Œë…„ë“¤ì„ í–¥í•´ â€œâ€¦ì¤‘êµ­ì— ê°€ë‹ˆê¹Œ 중국 ì‚¬ëžŒë“¤ì´ í•œêµ­ì— ì•„ì§ë„ 호랑ì´ê°€ ë§Žì´ ìžˆëŠëƒê³  물어요. ì¼ë³¸ì— 가보았ë”니 ì¼ë³¸ ì‚¬ëžŒë“¤ë„ í•œêµ­ í˜¸ëž‘ì´ ì´ì•¼ê¸°ë¥¼ 물어봅니다. 물론 ê·¸ ì‚¬ëžŒë“¤ì€ í•œêµ­ 호랑ì´ë¥¼ 무서워합니다. 월남 ì‚¬ëžŒë“¤ì€ ë”ìš± 무서워하ë”êµ°ìš”. 우리 맹호부대 êµ°ì¸ ì•„ì €ì”¨ë“¤ì´ í˜¸ëž‘ì´ ê°™ì´ ë¬´ì„œìš°ë‹ˆê¹Œìš”.…â€ë¼ê³  했다.4)
호랑ì´ì˜ 무시무시한 íž˜ì€ â€˜ë²½ì‚¬(辟邪)’와 ‘용맹(勇猛)â€™ì˜ ìƒì§•ì´ ë˜ì—ˆìœ¼ë‹ˆ, ì •ì´ˆì— ì„¸í™”(歲畵)로 그린 í˜¸ëž‘ì´ ê·¸ë¦¼ì´ë‚˜ 용호문배(é¾è™Žé–€æŽ’), 그리고 í˜¸ëž‘ì´ ë°œí†±ì´ë‚˜ ì´ë¹¨ì„ 장신구로 만들어 착용하거나, ì‹ ë¶€ì˜ ê°€ë§ˆë¥¼ í˜¸ëž‘ì´ ê°€ì£½ìœ¼ë¡œ ë®ì–´ì”Œìš´ 것 ë“±ì€ ë°”ë¡œ 여기ì—서 기ì¸í•œ 것ì´ë‹¤. ë˜í•œ 조선시대 ë¬´ê´€ì„ â€˜í˜¸ë°˜(虎ç­)’ì´ë¼ê³  별칭하며, ë¬´ê´€ì˜ ê´€ë³µ ì•žë’¤ì— í˜¸ëž‘ì´ ë¬´ëŠ¬ í‰ë°°ë¥¼ ë‹¬ì•˜ë˜ ê²ƒë„ ì´ ìƒì§•ê³¼ ì—°ê´€ëœë‹¤.
ì´ ê¸€ì€ ë¨¼ì € 조선후기ì—서 ë§ê¸° 세화와 문배 ë° ë²½ì‚¬ë¶€ì (辟邪符ç±)ì— ëŒ€í•œ 기ë¡ì„ 확ì¸í•˜ê³ , ê·¸ 중ì—ì„œë„ í˜¸ëž‘ì´ ê·¸ë¦¼ì´ ì ìš©ëœ 사례와 ê¸°ëŠ¥ì— ëŒ€í•˜ì—¬ ì•Œì•„ë³´ê³ ìž í•œë‹¤. ì´ì–´ì„œ 민화 í˜¸ëž‘ì´ ê·¸ë¦¼ì˜ ìœ í˜•ë“¤ì¸ í˜¸ìž‘ë„(虎鵲圖)·용호ë„(é¾è™Žåœ–)·산신ë„(山神圖)·호렵ë„(虎çµåœ–)·호피ë„(虎皮圖) ë“±ì— ê·¸ë ¤ì§„ 호랑ì´ì˜ 특징과 ì˜ë¯¸ì— 대해서 ì‚´íŽ´ë³´ê³ ìž í•œë‹¤.

1) “범 ì´ì•¼ê¸° 수효 많기로 조선만한 ë°ê°€ 없으려니와, 그것만 듣기 좋아하긴들 조선만한 ë°ê°€ ë˜ ìžˆì„ ê²ƒì¸ê°€. ì¸ë„나 ê·¸ 외 ì–´ë–¤ 나ë¼ê°€ 있다 í•´ë„ ë²” ì´ì•¼ê¸° 하나만으로 다 ì¡°ì„ ì˜ ì ì´ 아니다. ë²” ì´ì•¼ê¸°ë§Œì„ 모아서 『åƒä¸€å¤œè©±ã€, 『太平廣記ã€, 『ë°ì¹´ë©”론〠등 ì´ëŸ° ìœ ì˜ ì±…ì„ ê¾¸ë°€ 나ë¼ëŠ” 세계가 넓다 í•´ë„ ì˜¤ì§ ì¡°ì„ ì´ ìžˆì„ ë¿ì´ë‹¤. ë²”ì˜ ì´ì•¼ê¸° 하나만 가지고 안ë°ë¥´ì„¼, 그림 형제 노릇ì´ë“ ì§€ 다 í•  것ì´ë‹¤. ë˜ ì–¸ì œë“ ì§€ ì´ê²ƒì˜ ì‹¤í˜„ì„ ë³¼ ë‚ ë„ ìžˆì„ ê²ƒì´ë‹¤â€ 최남선, 「æœé®®æ­·å² ë° æ°‘ä¿—å²ä¸Šì˜ 虎, ê±´êµ­ì´ˆë‘ ì´ëž˜ ä¹…é æœé®®ì˜ 표ìƒã€, 『æ±äºžæ—¥å ±ã€(1926ë…„ 1ì›”~2ì›”); 김호근, 윤열수 ì—®ìŒ, 『한국 호랑ì´ã€(열화당,1986), 16-18쪽. 발췌 수ë¡.
2) ì´ê°€ì› ì—®ìŒ, 『조선 í˜¸ëž‘ì´ ì´ì•¼ê¸°ã€(학민사, 1993), 4쪽.
3) ì´ì‚¬ë²¨ë¼ 버드 ë¹„ìˆ ì§€ìŒ, ì´ì¸í™” 옮김, 『한국과 ê·¸ ì´ì›ƒë‚˜ë¼ë“¤ã€(살림, 1994), 154쪽.
4) ì¡°ìžìš©, 『청소년ì—게 드리는 í•œì–¼ì˜ ë¯¸ìˆ ã€(ì—밀레미술관, 1971), 34쪽.

â…¡. 세화와 ë¶€ì ì— 그려진 호랑ì´

1. 세화와 문배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세화는 ì—°ë§ì—°ì´ˆì— 새해를 송축하고 ìž¬ì•™ì„ ë§‰ê¸° 위해 그려지는 그림ì´ë‹¤. 질병ì´ë‚˜ 재난 ë“±ì˜ ë¶ˆí–‰ì„ ì‚¬ì „ì— ì˜ˆë°©í•˜ê³  한해 ë™ì•ˆ í–‰ìš´ì´ ê¹ƒë“¤ì´ê¸°ë¥¼ 기ì›í•˜ëŠ” 벽사ì (辟邪的)ì´ê³  기복ì (祈ç¦çš„)ì¸ ì„±ê²©ì„ ë ê³  ì „ê°œë˜ì—ˆìœ¼ë©°, 새해 ì²«ë‚ ì˜ ì„¸ì‹œí’ì†ì˜ 하나로 ì´ë£¨ì–´ì¡Œë‹¤.5) ì„¸í™”ì˜ ë‚´ìš©ìœ¼ë¡œëŠ” ì‹ ë¼ì‹œëŒ€ ì´ëž˜ë¡œ 역귀를 쫓는 ë²½ì‚¬ì‹ ì¸ ì²˜ìš©(處容)(ë„1)ì´ ì¡°ì„  ì´ˆê¸°ì— ì œìž‘ë˜ê¸°ë„ 하였지만, 주로 ì¤‘êµ­ì˜ ë„êµ(铿•Ž)와 ê´€ë ¨ëœ ë¬¸ì‹ (門神)ë“¤ì´ ë§Žì´ ê·¸ë ¤ì¡Œë‹¤. ì¼ë°˜ 민간ì—서는 ë™ë¬¼ ì¤‘ì— ë²½ì‚¬ë ¥ì„ ì§€ë‹Œ 것으로 ë¯¿ì–´ì ¸ì˜¤ë˜ ë‹­ê³¼ 호랑ì´ë¥¼ 비롯하여 해태 ëª¨ì–‘ì˜ ì‚¬ìžì™€ 개를 그려 붙였으며, 삼재(三ç½)ê°€ ë“  í•´ì—는 특별히 매 그림(鷹圖)ì„ ë¶™ì˜€ë‹¤. 그리고 기복ì ì¸ 송축(é Œç¥) 등으로는 장수를 ìƒì§•하는 수성(壽星)ê³¼ ì„ ë…€(仙女)ê·¸ë¦¼ì„ ë¹„ë¡¯í•˜ì—¬ 길ìƒì ì¸ ì„±ê²©ì„ ì§€ë‹Œ ì¸ë¬¼Â·í™”훼ì˜ëª¨Â·ëˆ„ê° ë“±ì´ ê·¸ë ¤ì¡Œë‹¤. 화훼ì˜ëª¨ë¥˜ì˜ 그림 ê°€ìš´ë° ì„¸í™”ë¡œ 그려진 소재는 십장ìƒê³¼ í™”ì¡°ë„ ëª¨ëž€ ë“±ì´ ìžˆë‹¤.6)

조선후기 ì„¸ì‹œê¸°ì¸ ã€Žê²½ë„잡지ã€, 『열양세시기ã€, 『ë™êµ­ì„¸ì‹œê¸°ã€ì—는 1800ë…„ì„ ì „í›„í•œ ì‹œê¸°ì˜ ì„¸í™” ë° ë¬¸ë°°ì— ëŒ€í•œ 기ë¡ì´ 있다. 대체로 ë‚´ìš©ì´ ì¤‘ë³µë˜ë¯€ë¡œ í™ì„모(洪錫謨, 1781-1857)ê°€ 1840ë…„ê²½ ì „í›„ì— ì§€ì€ ã€Žë™êµ­ì„¸ì‹œê¸°(æ±åœ‹æ­²æ™‚記)ã€â€˜ì›ì¼(元日)â€™ì˜ ê¸°ë¡ë§Œ 제시한다.7)

ì„œí™”ì— ê´€í•œ 임무를 ë§¡ê³  있는 ë„화서(圖畵署)ì—서는 수성선녀ë„(壽星仙女圖)나 ì§ì¼ì‹ ìž¥ë„(直日神將圖) ê·¸ë¦¼ì„ ê·¸ë ¤ 임금ì—게 바치고 ë˜ ì„œë¡œ ì„ ë¬¸í•˜ëŠ”ë° ì´ê²ƒì„ 세화(歲畵)ë¼ê³  하며 축하하는 ëœ»ì„ ë‚˜íƒ€ë‚¸ë‹¤. ë˜ ê¸ˆê°‘ì˜·ì„ ìž…ì€ ë‘ ìž¥êµ°ì˜ í™”ìƒì„ 그려 임금ì—게 ë°”ì¹˜ëŠ”ë° í‚¤ê°€ 한 ê¸¸ì´ ë„˜ëŠ” ìž¥êµ°ë“¤ì€ ê°ê° 천ìžì˜ ì‹ ìž„ì„ ìƒì§•하는 ë„ë¼ì™€ 절월(節鉞)8)ì„ ë“¤ê³  있다. ì´ ê·¸ë¦¼ì„ ëŒ€ê¶ë¬¸ ì–‘ìª½ì— ë¶™ì´ëŠ”ë°, ì´ê²ƒì„ 문배(門排)ë¼ê³  한다. ë˜ ë¶‰ì€ ë„í¬ë¥¼ ìž…ê³  까만 사모를 ì“´ í™”ìƒì„ 그려 íŽ¸ì „ì˜ ê²¹ ëŒ€ë¬¸ì— ë¶™ì´ê¸°ë„ 하고, 사악한 ê·€ì‹ ì„ ìž¡ëŠ” 종규(é¾é¦—)9)ë¼ëŠ” 귀신ìƒì„ 그려 ë¬¸ì— ë¶™ì´ê¸°ë„ 하며, ë˜ ê·€ì‹ ì˜ ë¨¸ë¦¬ë¥¼ 그려 문 ìƒë°©ì— ë¶™ì´ëŠ” ë“±ì˜ ë°©ë²•ìœ¼ë¡œ 사귀와 ì „ì—¼ë³‘ì„ ë¬¼ë¦¬ì¹œë‹¤. 모든 왕실 ë‚´ì™¸ì²™ë“¤ì˜ ë¬¸ê°„ì—ë„ ì´ëŸ° ê²ƒë“¤ì„ ë¶™ì´ë©° ì¼ë°˜ 백성 ì§‘ì—ì„œë„ ì´ë¥¼ ë§Žì´ ë”°ë¼ í•œë‹¤. ê¸ˆê°‘ì˜·ì„ ìž…ì€ ë‘ ìž¥êµ°ì€ ì‚¬ì²œì™•(四天王)10) ì‹ ìƒì´ë¼ê³ ë„ 하고 í˜¹ì€ ë‹¹ë‚˜ë¼ íƒœì¢… ë•Œì˜ ëª…ìž¥ì¸ ìš¸ì§€ê³µ(尉鲿­)11)ê³¼ 진숙보(秦å”寶)12)ë¼ê³ ë„ 하며, ì§„í™ìƒ‰ ë„í¬ë¥¼ ìž…ì€ ìžëŠ” ë‹¹ë‚˜ë¼ ë•Œ í•™ìžì¸ 위정공(é­é„­å…¬)13)ì´ë¼ê³  한다. ë‚´ ìƒê°ì—는 ì†¡ë‚˜ë¼ ì‚¬ëžŒ 송민구(å®‹æ•æ±‚)14)ê°€ ì“´ 『춘명퇴조ë¡(春明退æœéŒ„)ã€ì— ë„ê°€(é“å®¶)ì—서 ìƒì†Œë¥¼ 올려 천문(天門)ì„ ì§€í‚¤ëŠ” ê¸ˆê°‘ì˜·ì„ ìž…ì€ ë‘ ì‚¬ëžŒ 중 갈장군(葛將è»)15)ì€ ê¸°ë¥¼ 잡고 있고 주장군(周將è»)16)ì€ ì ˆì›”ì„ ìž¡ê³  있는 것으로 그린 ê²ƒì„ ë³´ë©´ 지금 ìš°ë¦¬ë‚˜ë¼ ë¬¸ë°°ì— ë‚˜ì˜¤ëŠ” ê·¸ë¦¼ì€ ì´ ê°ˆÂ·ì£¼ ë‘ ìž¥êµ°ì¸ ë“¯ 하며, 세ì†ì—서 ê´´ë‹´ì†Œì„¤ì— ë‚˜ì˜¤ëŠ” ë‹¹ë‚˜ë¼ íƒœì¢… ë•Œì˜ ì¼ì´ë¼ê³  한 ê²ƒì€ ì–µì§€ë¡œ 붙여낸 ë§ì´ë‹¤.17)

ìœ„ì˜ ì„¸ íŽ¸ì˜ ì„¸ì‹œê¸°ì— ë‚˜ì˜¤ëŠ” 세화 ë° ë¬¸ë°°ë¥¼ 정리해보면 다ìŒê³¼ 같다.

구분세화 ë° ë¬¸ë°° ê·¸ë¦¼ì˜ ì¢…ë¥˜ê°„í–‰, 작성년대
ê²½ë„잡지
(유ë“ê³µ)
수성선녀ë„(壽星仙女圖), ì§ì¼ì‹ ìž¥ë„(直日神將圖), 금갑(金甲)ì˜ ë‘ ìž¥êµ°-울지공(尉鲿­)ê³¼ 진숙보(秦å”寶), 위정공(é­é„­å…¬), 갈장군(葛將è»), 주장군(周將è»)1800ë…„ 전후
열양세시기
(김매순)
금갑신장(金甲神將), ì‹ ì„ ì„ ê·¸ë¦° 그림, ë‹­ì´ë‚˜ ë²”ì„ ê·¸ë¦° 그림1819ë…„
ë™êµ­ì„¸ì‹œê¸°
(í™ì„모)
수성선녀ë„(壽星仙女圖), ì§ì¼ì‹ ìž¥ë„(直日神將圖), ê¸ˆê°‘ì˜·ì„ ìž…ì€ ë‘ ìž¥êµ°, 종규(é¾), 사천왕(四天王), 울지공(尉鲿­), 진숙보(秦å”寶), 위정공(é­é„­å…¬), 갈장군((葛將è»), 주장군(周將è»)1840ë…„ê²½ 전후

ì´ë¥¼ 다시 요약해보면 ìœ„ì˜ ì„¸ì‹œê¸°ì—서 공통ì ìœ¼ë¡œ 언급한 19세기 ë¬´ë µì˜ ì„¸í™”ì™€ 문배용 ê·¸ë¦¼ì€ â‘ ìˆ˜ì„±ì„ ë…€ë„, â‘¡ì§ì¼ì‹ ìž¥ë„, ③울지공, ④진숙보, ⑤위정공, ⑥갈장군, ⑦주장군, ⑧종규, ⑨사천왕, â‘©ë‹­ì´ë‚˜
ë²”ì„ ê·¸ë¦° 그림 등ì´ì—ˆë˜ 것으로 파악ëœë‹¤.
먼저 수성선녀ë„는 수성노ì¸ê³¼ 선녀를 그려 장수를 ì¶•ì›í•œ ê·¸ë¦¼ì¼ ê²ƒì´ë‹¤. 수성노ì¸ë„는 ë‚¨ë°©ì˜ ë³„ìžë¦¬ì¸ ë…¸ì¸ì„±ì„ ì˜ì¸í™”하여 그린 그림으로 수노ì¸ë„(壽è€äººåœ–)·노ì¸ì„±ë„(è€äººæ˜Ÿåœ–)·남극성ë„(å—æ¥µæ˜Ÿåœ–)ë¼ê³ ë„ 불린다(ë„2). 수성노ì¸ì€ 보통 ìž‘ì€ í‚¤ì— í° ìˆ˜ì—¼, 위로 불룩 튀어나온 정수리, 발목까지 내려오는 ë„í¬ì°¨ë¦¼ì˜ ë…¸ì¸ìœ¼ë¡œ 그려진다. ì†ì— ë‘루마리 ì±…ì´ë‚˜ 불로초, 복숭아, ì§€íŒ¡ì´ ë“±ì„ ë“¤ê³  있는 ê²½ìš°ë„ ìžˆê³  나무를 배경으로 사슴ì´ë‚˜ í•™, ì„ ë™ìžì™€ 함께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ë˜ê¸°ë„ 한다. 수성노ì¸ì´ 하는 ì¼ì€ ì„¸ìƒ ì‚¬ëžŒì˜ ìˆ˜ëª…ê³¼ ë¶€ê·€ë¹ˆì²œì„ ë‹¤ìŠ¤ë¦°ë‹¤.18)
ì§ì¼ì‹ ìž¥ë„(直日神將圖)(ë„3)는 ê·¸ ë‚ ì„ ë‹´ë‹¹í•˜ëŠ” ë„êµì˜ ìˆ˜í˜¸ì‹ ì¸ ì‹­ì´ì§€ì‹ ìž¥ì„ 그린 그림ì´ë‹¤. 현존하는 민화 ê°€ìš´ë° ì¥Â·ì†ŒÂ·í˜¸ëž‘ì´ ë“± ì‹­ì´ì§€ ë™ë¬¼ì„ ì˜ì¸í™”하여 그린 ê·¸ë¦¼ë“¤ì´ ìžˆëŠ”ë°, 세화 ì§ì¼ì‹ ìž¥ë„ë„ ì´ì™€ ê°™ì€ í˜•ì‹ì˜ 그림ì´ë¼ ìƒê°ëœë‹¤. 옛날ì—는 ì •ì´ˆì— ë‹­ë‚ , ë¼ì§€ë‚ , 소날 등 해당ë˜ëŠ” 날마다 지켜야 하는 특별한 í’습과 금기가 있었다. ì§ì¼ì‹ ìž¥ì€ ì´ì™€ 관련해 ê·¸ë‚ ì˜ ì•ˆë…•ì„ ìœ„í•´ 그려 주거 ê³µê°„ì— ìž¥ì‹í–ˆë˜ 것으로 믿어진다.19)
ì˜›ë‚ ì— ì •ì´ˆê°€ ë˜ë©´ ê°‘ì˜·ì„ ìž…ê³  ì†ì— ë„ë¼ë¥¼ ë“  문신(門神)ì„ ê·¸ë ¤ ê¶ê¶ ëŒ€ë¬¸ì— ë¶™ì´ëŠ” í’ìŠµì´ ìžˆì—ˆë‹¤. ë¬¸ì— ë¶™ì´ëŠ” 그림ì´ë¼ê³  해서 문배(門排)ë¼ê³  불렀는ë°, 그림 í¬ê¸°ê°€ ë§ ê·¸ëŒ€ë¡œ 대문ì§ë§Œ 했다. ì¼ì œê°•ì ê¸° 전까지만 í•´ë„ ê²½ë³µê¶ ê´‘í™”ë¬¸ì— ë¬¸ì‹ ì´ ê·¸ë ¤ì ¸ 있었다. ëŒ€ë¬¸ì— ë¬¸ì‹  ê·¸ë¦¼ì„ ê·¸ë¦¬ê±°ë‚˜ ë¶™ì´ëŠ” ê²ƒì€ ëŒ€ë¬¸ì„ í†µí•´ ë“¤ì–´ì˜¬ì§€ë„ ëª¨ë¥¼ ì—­ì‹ (疫神)·사신(邪神)·화난(ç«é›£)·재앙(ç½æ®ƒ) 등 ìƒì„œë¡­ì§€ 못한 ê²ƒë“¤ì„ ìž…êµ¬ì—서부터 막아 ê¶ê¶ì˜ 경사스러운 ì¼ê³¼ í‰ì•ˆì„ ë„모하기 위함ì´ì—ˆë‹¤.20) ê·¼ëŒ€ê¸°ì— ë¬¸ì‹  í’ì†ì„ ì‚´í•„ 수 있는 ìžë£Œê°€ 한 ì  ìžˆë‹¤. <기ë…êµ ì„ êµì‚¬ê°€ 제작한 1931ë…„ 달력>(ë„4)ì€ ë¬¸ì‹ (門神)ì´ ê·¸ë ¤ì§„ 표지 ì™¸ì— 12ë‹¬ì´ í•œ 장씩 넘기는 형태로 제작ë˜ì—ˆë‹¤. ê° ìž¥ë§ˆë‹¤ ìœ—ë©´ì— í•œêµ­ì¸ì˜ ìƒí™œ ëª¨ìŠµì„ ë³´ì—¬ì£¼ëŠ” 그림ì´, 아랫면ì—는 월별 달력과 ê·¸ë¦¼ì˜ ì„¤ëª…ì´ ì˜ë¬¸ìœ¼ë¡œ ì¸ì‡„ë˜ì–´ 있다.21)
ë¬¸ì‹ ì€ ë³´í†µ 진숙보[秦瓊], 울지공[è”šé²æ•¬å¾·], 신다[神茶], 울루[鬱壘], 그리고 종규[é¾é¦—] ë“±ì„ ë§í•œë‹¤(ë„5, 6, 7). ì´ë“¤ì€ 위엄 있고 용맹스러우며 ëˆˆë¹›ì´ ë‚ ì¹´ë¡œìš´ íŠ¹ì§•ì„ ê°€ì§€ê³  있다. ë²½ì‚¬ì˜ íš¨í—˜ê³¼ ëŠ¥ë ¥ì´ ìžˆë‹¤ê³  알려져 고대ì¸ë“¤ì˜ 숭배 대ìƒì´ ë˜ì—ˆë‹¤. 중국ì´ë‚˜ ëŒ€ë§Œì˜ ë¯¼ê°€ì—서는 ì•„ì§ë„ ì •ì´ˆì— ë¬¸ì‹  ê·¸ë¦¼ì„ ê·¸ë ¤ ëŒ€ë¬¸ì— ë¶™ì´ëŠ” 습ì†ì´ 남아 있지만 ìš°ë¦¬ì˜ ê²½ìš°ì—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ëŒ€ë¬¸ì— ìž…ì¶˜ë°©ì„ ë¶™ì´ëŠ” í’ì† ì¼ë¶€ê°€ 남아 ìžˆì„ ë¿ì´ë‹¤. ë¬¸ì‹ ì˜ ëŒ€í‘œê²©ì¸ ì§„ìˆ™ë³´ì™€ ìš¸ì§€ê³µì€ ì›ëž˜ ë‹¹ë‚˜ë¼ ë¬´ìž¥(武將)ì¸ë°, 당 íƒœì¢…ì˜ ì•ˆìœ„ë¥¼ 보좌하는 ì—­í• ì„ ë§¡ê³  있었다. ì „ì„¤ì— ì˜í•˜ë©´ ì–´ëŠ ë‚  íƒœì¢…ì´ ë¶ˆíŽ¸í•œ ëª¸ì„ ì´ëŒê³  신하들ì—게 ë§í•˜ê¸°ë¥¼, â€œë°¤ì´ ë˜ë©´ 침실 문밖ì—서 ë²½ëŒê³¼ ê¸°ì™“ìž¥ì„ ë˜ì§€ëŠ” 소리가 나고, ê·€ì‹ ì´ ìš°ëŠ” ì†Œë¦¬ë„ ë‚˜ë‹ˆ, 대낮부터 ë°¤ì´ ì˜¤ëŠ” 게 ë‘렵다â€ê³  했다. ì´ ë§ì„ ì „í•´ ë“¤ì€ ì§„ìˆ™ë³´ëŠ” 울지공과 함께 그날 ì €ë… ê¸ˆê³¼(金瓜)와 월부(鉞斧)를 들고 갑옷투구를 갖추고 ê¶ê¶ 문밖ì—서 보초를 섰다. 그날 ë°¤ 다시는 ì•…ê·€ì˜ ì¹¨ìž…ì´ ì—†ì—ˆê³ , íƒœì¢…ì€ ëª¨ì²˜ëŸ¼ í‰ì•ˆí•˜ê²Œ ìž ì„ ìž¤ë‹¤. ë‹¤ìŒ ë‚  ì™•ì€ í™”ê³µì— ëª…í•˜ì—¬ ë³´ì„ì´ ìž¥ì‹ëœ 전투용 ë„ë¼ë¥¼ 들고 채ì°ê³¼ 사슬, 활과 í™”ì‚´ì„ í—ˆë¦¬ì— ë‘˜ëŸ¬ 완전무장한 그들 ëª¨ìŠµì„ ë‘ ìž¥ 그리ë„ë¡ í–ˆë‹¤. ì´ ê·¸ë¦¼ì„ ê¶ì„±ì˜ 오른쪽 문과 왼쪽 ë¬¸ì— ê±¸ì–´ 놓았ë”니 ë” ì´ìƒ 악귀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í›„ëŒ€ì— ì‚¬ëžŒë“¤ì€ ì´ ë‘ ìž¥êµ°ì„ ë¬¸ì‹ ìœ¼ë¡œ 삼았는ë°, 진숙보는 ì–¼êµ´ì„ í•˜ì–—ê²Œ, ìš¸ì§€ê³µì€ ì–¼êµ´ì„ ê²€ê²Œ 표현했다.22)
ê·¸ëŸ°ë° ë¬¸ì‹ ì¸ ë‘ ìž¥êµ°ì— ëŒ€í•´ì„œ 『ë™êµ­ì„¸ì‹œê¸°ã€ì˜ ì €ìž í™ì„모는 다른 견해를 ë°ížˆê³  있다. 그는 ì´ ë‘ ìž¥êµ°ì´ ì´‰í•œì˜ ëª¨ì‚¬(謀士) 제갈량과 오(å³)ì˜ ì§€ëžµê°€ 주유(周瑜)ì¼ ê²ƒì´ë¼ê³  했다. ì£¼ìž¥ì˜ ê·¼ê±°ë¡œ 내세운 ê²ƒì€ ì†¡ë‚˜ë¼ í•™ìž ì†¡ë¯¼êµ¬(å®‹æ•æ±‚)ê°€ ì“´ 『춘명퇴조ë¡(春明退æœéŒ„)ã€ì˜ 기사 ë‚´ìš©ì´ë‹¤. 즉 “ë„ê°€ì— ìƒì†Œí•˜ì—¬ 황금빛 ê°‘ì˜·ì„ ìž…ì€ ë‘ ì‚¬ëžŒì˜ ì²œë¬¸(天門) 수위(守衛)를 그렸는ë°, ê°ˆ(è‘›) ìž¥êµ°ì€ ê¹ƒë°œì„ ë“¤ê³ , 주(周) ìž¥êµ°ì€ ì ˆì›”(節鉞)ì„ ë“¤ì—ˆë‹¤â€ëŠ” 기사ì—서 ê°ˆ 장군, 주 ìž¥êµ°ì´ ã€Žì‚¼êµ­ì§€ã€ì˜ 주ì¸ê³µì¸ 제갈량과 주유를 가리킨다는 것ì´ë‹¤.23)
한편 문배 ê·¸ë¦¼ì˜ ì£¼ì¸ê³µìœ¼ë¡œ ìžì£¼ 등장하는 신다·울루ë¼ëŠ” ë¬¸ì‹ ì´ ìžˆë‹¤(ë„6). ì‹ ë‹¤Â·ìš¸ë£¨ì— ì–½ížŒ ì „ì„¤ì˜ ë‚´ìš©ì€ ì´ë ‡ë‹¤. 아주 먼 ì˜›ë‚ ì¸ ìƒê³ ì‹œëŒ€ì— 신다와 울루ë¼ëŠ” 형제가 있었다. 푸른 바다 ê°€ìš´ë° ë„ì‚­(度朔)ì´ëž€ ì‚°ì´ ìžˆì—ˆëŠ”ë°, ì´ ì‚° 위ì—는 í° ë³µìˆ­ì•„ë‚˜ë¬´ê°€ 있었고, ê·¸ 가지 사ì´ì—는 삼천 리나 ë˜ëŠ” 긴 êµ´ì´ ìžˆì—ˆë‹¤. ì´ êµ´ì˜ ë™ìª½ì— 있는 귀문(鬼門)으로 ìˆ˜ë§Žì€ ê·€ì‹ ì´ ë“¤ì–´ì˜¤ê³  나가고 했다. ê·¸ ë™ìª½ 문 입구를 지키는 ë¬¸ì‹ ì´ ì‹ ë‹¤ì™€ 울루 형제였다. 형제는 ë°±ì„±ë“¤ì„ ê´´ë¡­ížˆëŠ” 악귀를 잘 잡았는ë°, ì•…ê·€ë“¤ì€ ë‘ í˜•ì œ 앞ì—서는 ê¼¼ì§ ëª»í–ˆë‹¤ê³  한다. ë‘ í˜•ì œëŠ” ë¬¸ì„ ì§€í‚¤ë©° 사악한 ê·€ì‹ ì´ ê·¸ êµ´ 밖으로 나오려고 하면 갈대 ëˆìœ¼ë¡œ 묶어 ëŠ™ì€ í˜¸ëž‘ì´ì—게 먹였다고 한다. 그래서 황제는 ì˜ì‹ì„ 집행할 때 í° ë³µìˆ­ì•„ ì¸í˜•ì„ ì„¸ìš°ê³ , 문ì—는 신다와 울루 그리고 호랑ì´ë¥¼ 그려 놓고 갈대 ëˆì„ ë‹¬ì•„ë‘ ìœ¼ë¡œì¨ ì•…ê·€ë¥¼ 막았다.24)
ì •ì´ˆì—는 종규(ë„7)ë¼ê³  하는 ë¬¸ì‹ ì„ ê·¸ë ¤ 대문ì´ë‚˜ 문 ìœ„ì— ë¶™ì´ê¸°ë„ 하는ë°, ì´ê²ƒì€ 진숙보·울지공 ë‘ ìž¥êµ° ê·¸ë¦¼ì„ ëŒ€ë¬¸ì— ë¶™ì´ëŠ” 것과 ê°™ì´ ê·€ì‹ ì„ ë¬¼ë¦¬ì¹˜ê³  경사스러운 ì¼ì„ ëŒì–´ë“¤ì´ê¸° 위함ì´ë‹¤. 『사물기ì›(事物起原)ã€ì— ì˜í•˜ë©´ ë‹¹ë‚˜ë¼ í˜„ì¢…ì´ ë³‘ì„ì— ëˆ„ì›Œ ìžˆì„ ë•Œ 다ìŒê³¼ ê°™ì€ ê¿ˆì„ ê¾¸ì—ˆë‹¤ê³  한다. 꿈ì†ì— 허모(虛耗)ë¼ê³  하는 ìž‘ì€ ê·€ì‹ ì´ ë‚˜íƒ€ë‚˜ í‰ì†Œ í˜„ì¢…ì´ ì†Œì¤‘í•˜ê²Œ ê°„ì§í•˜ê³  있는 향주머니를 í›”ì¹˜ê¸°ë„ í•˜ê³  옥피리를 ë¶ˆê¸°ë„ í•˜ë©° 법ì„ì„ ë–¨ì—ˆë‹¤. ì´ì— í˜„ì¢…ì´ í° ì†Œë¦¬ë¡œ 신하를 ë¶€ë¥´ìž í•œ í° ê·€ì‹ ì´ ë‚˜íƒ€ë‚˜ì„œ ê·¸ ìž‘ì€ ê·€ì‹ ì„ ë¶™ìž¡ì•„ ì†ê°€ë½ìœ¼ë¡œ ëˆˆì•Œì„ íŒŒ 먹고 죽여버렸다. í˜„ì¢…ì´ ë†€ë¼ì„œ 누구ëƒê³  물으니 답하기를 종남산(終å—å±±) 진사(進士) 종규ë¼ê³  하는ë°, 관리 채용시험ì—서 낙제하여 ìžì‚´í•œ ìžë¡œì„œ ë§Œì¼ ì •ì¤‘í•˜ê²Œ 장례를 치러준다면 ì²œí•˜ì˜ í•´ì•…(害惡)ì„ ì—†ì• ì£¼ê² ë‹¤ê³  했다. í˜„ì¢…ì´ ê¿ˆì—서 ê¹¨ì–´ë‚¬ì„ ë•Œ ë³‘ì€ ê¹¨ë—ì´ ë‚˜ì•„ 있었다. í˜„ì¢…ì€ ê¿ˆì—서 본 대로 ê²€ì€ ì˜ê´€ì„ 걸치고 ëˆˆì´ í¬ê³  ìˆ˜ì—¼ì´ ë§Žì€ ë¬´ì„œìš´ ì–¼êµ´ì— ì¹¼ì„ ì°¨ê³  있는 ì¢…ê·œì˜ ëª¨ìŠµì„ í™”ê³µ 오ë„ìž(å³é“å­)ì—게 명하여 그리게 했고, ì´ë•Œë¶€í„° ì¢…ê·œì˜ ê·¸ë¦¼ì„ ëŒ€ë¬¸ì— ë¶™ì—¬ 사악한 귀신과 고치기 힘든 ë³‘ì„ ì«“ëŠ” í’ìŠµì´ ìƒê²¼ë‹¤ê³  한다 처ìŒì—는 ì„¸ì‹œì˜ í’습ì´ì—ˆìœ¼ë‚˜ í›„ì— 5ì›” 5ì¼ë¡œ 옮겨졌고, 종규가 ì¹¼ì„ ë“¤ì–´ ë°•ì¥ë¥¼ ì³ì„œ 떨어뜨리는 ê·¸ë¦¼ì„ ì„ í˜¸í–ˆë‹¤. ì´ê²ƒì€ ë°•ì¥ì˜ 한ìžë§ 편복(è™è )ì˜ ë³µ(è )ìžê°€ 복복(ç¦)ìžì™€ 비슷해 ì´ê²ƒì„ 통해서 ë³µì„ ì–»ê³ ìž í•˜ëŠ” 마ìŒì„ 표현한 것ì´ë‹¤. 그와 ê°™ì€ í’ìŠµì€ ìš°ë¦¬ë‚˜ë¼ì—ë„ ì „í•´ì ¸ 종규가 악귀를 잡는 ê·¸ë¦¼ì„ ê·¸ë ¤ ë²½ì´ë‚˜ ë¬¸ì— ë¶™ì´ê³  ê·€ì‹ ì˜ ë¨¸ë¦¬ë¥¼ 그려 ë¬¸ì„¤ì£¼ì— ë¶™ì´ê¸°ë„ 했다.25)
한편 ì§€ê¸ˆì˜ ì„œìš¸ ê´‘êµ(廣橋)ì— í•´ë‹¹í•˜ëŠ” 청계천(淸溪å·) ìž…êµ¬ì˜ ê´‘í†µêµì—서 ê·¸ë¦¼ì„ íŒ”ë˜ ê·¸ë¦¼ ì‹œìž¥ì˜ ëª¨ìŠµì„ ìœ ì¶”í•´ë³¼ 수 있는 기ë¡ì´ 있다. 1844ë…„ê²½ì˜ ì €ìž‘ìœ¼ë¡œ 추정ë˜ëŠ” 『한양가(漢陽歌)ã€ì—는 광통êµì—서 íŒ”ë˜ ê·¸ë¦¼ë“¤ì´ ë§¤ìš° ìžì„¸í•˜ê²Œ 묘사ë˜ì–´ 있어 광통êµì˜ 그림 시장 ëª¨ìŠµì„ ì–´ë ´í’‹ì´ ì§ìž‘í•  수 있게 í•´ 준다.

광통êµ(廣通橋) 아래 가게 ê°ìƒ‰(å„色) 그림 걸렸구나.
보기 ì¢‹ì€ ë³‘í’ì°¨(屛風次)ì˜ ë°±ìžë„(百å­åœ–) 요지연(瑤池宴)ê³¼
곽분양(郭汾陽) í–‰ë½ë„(行樂圖)ë©°, 강남(江å—) 금릉(金陵) ê²½ì§ë„(耕織圖)ë©°
한가(閑暇)한 소ìƒíŒ”ê²½(瀟湘八景) 산수(山水)ë„ ê¸°ì´(奇異)하다
다ë½ë²½ 계견사호(鷄犬ç…虎), 장지문 어약용문(é­šèºé¾é–€)
í•´í•™(æµ·é¶´) ë°˜ë„(蟠桃) 십장ìƒ(å長生)ê³¼ 벽장문차 매죽난국(梅竹蘭èŠ).
… 중략(中略) …
ë¬¸ì— ë¶€ì¹  신장(神將)들과 모대(帽帶)한 문비(門裨)들ì„
진채(眞彩) 매워 그렸으니 화려하기 측량 없다
26)

ì´ ë…¸ëž˜ì—서 ‘병í’ì°¨(屛風次)’란 병í’ì„ ê¾¸ë°€ 그림ì´ë‚˜ 글씨를 ë§í•˜ë¯€ë¡œ 여기서는 ê³§ 병í’ìš© 그림ì´ë‹¤. 세화는 처ìŒì— 주로 ê¶ê¶ì„ 중심으로 왕공 ëŒ€ë¶€ë“¤ì— ì˜í•´ 향유ë˜ì—ˆë‹¤. ê·¸ëŸ¬ë˜ ê²ƒì´ ì‹œê°„ì´ í르면서 ì¼ë°˜ 서민층ì—까지 ê·¸ í’ì†ì´ 확산ë˜ì—ˆë‹¤. ì„œë¯¼ë“¤ë„ ê¶ì¤‘ í’ì†ì„ í‰ë‚´ ë‚´ì–´ 정초가 ë˜ë©´ 세화로 ê·¸ë“¤ì´ ì‚¬ëŠ” ê³³ì„ ìž¥ì‹í–ˆë‹¤. 특히 조선시대 ë§ê¸°ì— ì´ë¥´ëŸ¬ì„œëŠ” ì´ëŸ° ê·¸ë¦¼ì´ ëŒ€ëŸ‰ìœ¼ë¡œ 제작ë˜ì–´ ì‹œìž¥ê±°ë¦¬ì˜ ê°€ê²Œì—까지 나올 ì •ë„로 보편화ë˜ì—ˆë‹¤.27)
ì´ ë…¸ëž˜ì— ì–¸ê¸‰ëœ ê·¸ë¦¼ë“¤ 중ì—서 â€˜ë‹¤ë½ ë²½ 계견사호’와 ê´€ë ¨ëœ ì‚¬ì§„ì´ ìžˆë‹¤. 지금으로부터 110여년 ì „ì¸ 1902년부터 1903년까지 7개월간 주한 ì´íƒˆë¦¬ì•„ ì˜ì‚¬ë¥¼ ì§€ëƒˆë˜ ì¹´ë¥¼ë¡œ 로제티(Carlo Rossetti, 1876-1948)ê°€ í•œêµ­ì— ë¨¸ë¬¼ë©´ì„œ 수집한 그림들 중ì—는 바로 ì´ ê³„ê²¬ì‚¬í˜¸(鷄犬ç…虎) ê·¸ë¦¼ì´ ë“¤ì–´ 있다(ë„8).28) ë˜ 1919ë…„ì— ì²˜ìŒìœ¼ë¡œ í•œêµ­ì„ ì—¬í–‰ 온 스코틀랜드 태ìƒì˜ í™”ê°€ì¸ ì—˜ë¦¬ìžë² ìФ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ê°€ 한옥 내부를 그린 그림과 ì„¤ëª…ì€ ë¯¼í™”ë¥˜ì˜ ì¹˜ìž¥ê³¼ 관련ë˜ì–´ 있다(ë„9).

비êµì  여유 있는 ì§‘ì˜ ë‚´ë¶€ í’ê²½ì´ë‹¤. ì´ ê·¸ë¦¼ì„ ê·¸ë¦° ê²ƒì€ ì—¬ë¦„ì´ì—ˆë‹¤. 한국ì—서는 ë°© 출입문 í° ë²½(앉아 있는 ì—¬ìžì˜ 양쪽 ë²½)ì— ê°’ì‹¼ 종ì´ì— 그린 전통ì ì¸ ë¬¸ì–‘ì„ ë¶™ì´ëŠ”ë°, ì²˜ìŒ ë¶™ì˜€ì„ ë•ŒëŠ” ìƒ‰ê¹”ì´ ìœ ì¹˜í•˜ì§€ë§Œ, ì‹œê°„ì´ ì§€ë‚˜ 퇴색하면 아름답고 부드러운 색으로 변한다. ì´ëŠ” ì‹œê°„ì„ ìƒì§•한다고 한다. 개는 ë„ë‘‘ì„ ë°©ì§€í•´ 주고, 사납게 ìƒê¸´ 사ìžë‚˜ 호랑ì´ì˜ ê·¸ë¦¼ì€ ì•…ê·€ë¥¼ 쫓는다고 믿어진다.29)

ì¼ì œ ê°•ì ê¸° 비êµì  부유한 ì§‘ì•ˆì˜ ì¹˜ë ˆë¥¼ 꼼꼼하게 그림과 글로 묘사하였다. 대청마루 기둥 마다 주련(柱è¯)ì´ ë¶™ì–´ 있고, 열린 ë°©ë¬¸ì˜ ì–‘íŽ¸ì—는 ì„ ë©´í™”(扇é¢ç•µ)나 백납병(百ç´å±›) ê°™ì€ ìž‘ì€ ê·¸ë¦¼ë“¤ì´, ìƒì¸ë°©(上引枋) 위ì—는 가로 방향으로 화려한 ì±„ìƒ‰ì˜ ì‹­ìž¥ìƒ(å長生) í’ì˜ ê·¸ë¦¼ì´ ê±¸ë ¤ 있다. ‘값싼 종ì´ì— 그린 ì „í†µë¬¸ì–‘â€™ì„ â€˜ì²˜ìŒ ë¶™ì˜€ì„ ë•ŒëŠ” ìƒ‰ê¹”ì´ ìœ ì¹˜í•˜ì§€ë§Œ, ì‹œê°„ì´ ì§€ë‚˜ 퇴색하면 아름답고 부드러운 색으로 변한다’고 한 ëŒ€ëª©ì´ ì¸ìƒì ì´ë‹¤. ë˜ ê·¸ë¦¼ì— ë‚˜ì˜¤ì§€ëŠ” 않았지만, 집안 ì–´ë”˜ê°€ì— ì—˜ë¦¬ìžë² ìФ 키스가 언급한 ‘ë„ë‘‘ì„ ë°©ì§€í•´â€™ì£¼ëŠ” 개나 ‘악귀를 쫓는, 사납게 ìƒê¸´ 사ìžë‚˜ 호랑ì´â€™ê·¸ë¦¼ì´ 걸려 ìžˆì„ ê²ƒë§Œ 같다.

2. 벽사용 ë¶€ì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ê¶ì¤‘ì„ ì¤‘ì‹¬ìœ¼ë¡œ í–‰í•´ì§€ë˜ ë¬¸ë°° 관련 세시í’ì†ì€ ë¯¼ê°„ì— í¼ì ¸ 다양한 ì–‘ìƒìœ¼ë¡œ ì „ê°œë˜ì—ˆë‹¤. 민간ì—서는 ì§‘ ë²½ì´ë‚˜ ëŒ€ë¬¸ì— ë‹­ê³¼ 호랑ì´ì˜ ê·¸ë¦¼ì„ ë¶™ì˜€ë‹¤(ë„10, 11). ì •ì´ˆì— ë²½ì‚¬ì˜ ëª©ì ìœ¼ë¡œ ì–‘(陽)ì˜ ì„±ì§ˆì„ ê°€ì§„ ë‹­ì˜ í”¼ë¥¼ ë¬¸ì— ë°”ë¥´ê±°ë‚˜ ë‹­ 머리를 ë¬¸ì— ê±¸ì–´ ë‘는 í’ìŠµì´ ìžˆì—ˆëŠ”ë°, ì´ê²ƒì´ ë‹­ 그림으로 대체ë˜ì—ˆë‹¤. í˜¸ëž‘ì´ ê·¸ë¦¼ì€ ì •ì›”ì´ ì¸ì›”(寅月)ì´ë¯€ë¡œ ë°±ìˆ˜ì˜ ì™•ì¸ í˜¸ëž‘ì´ë¥¼ 길ìƒì˜ ë™ë¬¼ë¡œ 삼고 호랑ì´ì˜ ìš©ë§¹ì„±ì„ ë¹Œì–´ ìž¬ì•¡ì„ ë¬¼ë¦¬ì¹˜ë ¤ëŠ” 마ìŒì—서 그려졌다.30)
í™ì„ëª¨ì˜ ã€Žë™êµ­ì„¸ì‹œê¸°ã€â€˜ì›ì¼â€™ì¡°ì—서는 계ì†í•´ì„œ 다ìŒê³¼ ê°™ì´ ì ê³  있다.31)

ì¼ë°˜ ë°±ì„±ë“¤ì€ ë°”ëžŒë²½ì— ë‹­ê·¸ë¦¼ê³¼ 호랑ì´ê·¸ë¦¼ì„ 붙여 ì•¡ì„ ë¬¼ë¦¬ì¹œë‹¤. ë‚´ ìƒê°ì—는 후한시대 í•™ìžì¸ ë™í›ˆ(董勛)ì˜ ã€Žë¬¸ë¡€(å•禮)ã€ì— “세ì†ì— 초하룻날 ë‹­ì„ ê·¸ë¦°ë‹¤.â€ê³  했다.32) ë˜ ìƒê°ê±´ëŒ€ 『형초세시기ã€ì— “정월 초하룻날 ë‹­ì„ ê·¸ë ¤ 창호 ìœ„ì— ë¶™ì¸ë‹¤.â€ê³  하였는ë°, ì§€ê¸ˆì˜ í’ì†ì´ 여기ì—서 ë¹„ë¡¯ëœ ê²ƒìœ¼ë¡œ 호랑ì´ë¥¼ 그리는 ê²ƒì€ ì¸ì›”(寅月), 즉 호랑ì´ë‹¬ì´ëž€ ëœ»ì„ ì·¨í•œ 듯하다.33)

ì´ì–´ì„œ ì‚¼ìž¬ì— ëŒ€í•´ì„œë„ ë‹¤ìŒê³¼ ê°™ì´ ì„œìˆ í•˜ì˜€ë‹¤.34)

남녀 ëª¨ë‘ ë‚˜ì´ê°€ 삼재(三ç½)35)ì— ë“  ìžëŠ” 매 세 마리를 그려 문 ìƒë°©ì— ë¶™ì¸ë‹¤. 삼재법(ä¸‰ç½æ³•)ì´ëž€ 사(å·³)·유(é…‰)·축(丑)ì´ ë“  í•´ì— íƒœì–´ë‚œ ì‚¬ëžŒì€ í•´(亥)·ìž(å­)·축(丑)ì´ ë˜ëŠ” í•´ì—, ì‹ (申)·ìž(å­)·진(è¾°)ì´ ë“  í•´ì— íƒœì–´ë‚œ ì‚¬ëžŒì€ ì¸(寅)·묘(å¯)·진(è¾°)ì´ ë˜ëŠ” í•´ì—, í•´(亥)·묘(å¯)·미(未)ê°€ ë“  í•´ì— íƒœì–´ë‚œ ì‚¬ëžŒì€ ì‚¬(å·³)·오(åˆ)·미(未)ê°€ ë˜ëŠ” í•´ì—, ì¸(寅)·오(åˆ)·술(戌)ì´ ë“  í•´ì— ë‚´ì–´ë‚œ ì‚¬ëžŒì€ ì‹ (申)·유(é…‰)·술(戌)ì´ ë˜ëŠ” í•´ì—, ê°ê° 삼재가 든다는 것ì´ë‹¤. 세ì†ì—서는 ì´ ë³µì„¤(åœèªª)36)ì„ ë¯¿ê³  매 ê·¸ë¦¼ì„ ì‚¬ìš©í•˜ì—¬ ì•¡ì„ ì˜ˆë°©í•œë‹¤. 태어난 해로부터 9ë…„ ë§Œì— ì‚¼ìž¬ê°€ 들기 ë•Œë¬¸ì— ì´ ì‚¼ìž¬ì˜ í•´ì— í•´ë‹¹í•˜ëŠ” 3ë…„ 안ì—는 ë‚¨ì˜ ì¼ì— 간섭하지 않고 삼가고 꺼리는 ì¼ë„ 많다.

ì‚¬ëžŒì€ ëˆ„êµ¬ë‚˜ 구 ë…„ì— í•œ 번씩 ì‚¼ìž¬ì— ë“¤ê²Œ ëœë‹¤. 민간ì—서는 삼재가 들면 ì •ì›” 초하룻날 삼재부ì ì„ ëŒ€ë¬¸ì— ë¶™ì—¬ ê·¸ í•´ì˜ ì•¡ì„ í”¼í•˜ê³ ìž í–ˆë‹¤. 대개 삼재부는 머리가 ì…‹ 달린 매 그림과 호랑ì´ê°€ 그려진 ê²ƒì„ ë§Žì´ ì‚¬ìš©í–ˆë‹¤(ë„12, 13, 14). 호랑ì´ë¥¼ ì‚¼ìž¬ë¶€ì˜ ì¤‘ì‹¬ë™ë¬¼ë¡œ 그린 ê²ƒì€ ë§¤ì™€ 달리 야행성ë™ë¬¼ì´ë¼ëŠ” ì ê³¼ 잡귀를 능히 ìž¡ì„ ìˆ˜ 있는 ëŠ¥ë ¥ì„ ì§€ë‹Œ ë™ë¬¼ë¡œ ìƒê°í•´ì™”기 때문ì´ë‹¤. ì´ì™¸ì—ë„ í˜¸ëž‘ì´ì™€ 함께 매를 그린 삼재부, 관재부(官ç½ç¬¦) 등 여러 가지 ë¶€ì ì´ 전해진다.37)
í˜¸ëž‘ì´ ë¶€ì ì€ 삼재를 ì«“ê³  ìžì†ì°½ì„±ì„ ë„ìš°ë©° ì—…ìž¥ì„ ì†Œë©¸ì¼€ 하고 ë²¼ìŠ¬ê¸¸ì„ ì—´ì–´ì¤€ë‹¤ê³  했다. 주사로 그린 í˜¸ëž‘ì´ ë¶€ì ì„ 지니면 병귀가 달아나고 출입문 ìœ„ì— ë¶™ì—¬ë‘ë©´ ê·€ì‹ ì„ ì«“ëŠ”ë‹¤ê³  했다. ë˜í•œ 민화ì—서 악귀를 퇴치하고, 임신부ì—게는 태êµì˜ 방편으로 쓰였다. ì´ì™€ëŠ” 별개로 ë¬´ë¤ ì•žì˜ ëŒí˜¸ëž‘ì´ëŠ” ì£½ì€ ìžë¥¼ ë§ëŸ‰(é­é­Ž, ë„깨비) 귀신으로부터 ì§€ì¼œì¤€ë‹¤ê³ ë„ í–ˆë‹¤. í˜¸ëž‘ì´ ë¶€ì ì€ 호랑ì´ë§Œ 나타나는 ë¶€ì , 호랑ì´ì™€ 매가 함께 그려진 ë¶€ì , 그리고 호랑ì´ì™€ ìš©, 호랑ì´ì™€ 현무 ë“±ì´ ê·¸ë ¤ì§„ ë¶€ì  ë“±ìœ¼ë¡œ 다양하게 나타난다.38)

– 안전사귀치소멸(眼å‰é‚ªé¬¼é½’消滅)
– 축삼재(é€ä¸‰ç½)
– ì‚¼ìž¬ì†Œë©¸ê¸¸ìƒ í˜¸ì‹ ì§„ì–¸(ä¸‰ç½æ¶ˆæ»…å‰ç¥¥ 護身眞言)
– 호랑ì´ì™€ 현무
– ë…수리
– 금난장(ç¦äº‚å°‡)
– 부귀수호 삼재관재소멸부(富貴守護 三ç½å®˜ç½æ¶ˆæ»…符)

ìœ„ì˜ ë¶€ì ì—는 ëª¨ë‘ í˜¸ëž‘ì´ê°€ 그려져 있다. 축삼재ì—는 호랑ì´ì™€ 매가 그려져 있고, ì‚¼ìž¬ì†Œë©¸ê¸¸ìƒ í˜¸ì‹ ì§„ì–¸ì—는 호랑ì´ì™€ 삼ë‘매가 그려져 있다. ì´ ë°–ì—ë„ í˜¸ëž‘ì´ì™€ 현무가 어우러져 ìžˆê¸°ë„ í•˜ê³ , 호랑ì´ë§Œ 그려진 금난장(ç¦äº‚å°‡)ë„ ìžˆë‹¤(ë„15). ê¸ˆë‚œìž¥ì€ ì–´ì§€ëŸ¬ìš´ ê²ƒì„ ê¸ˆì§€í•˜ëŠ” 장군ì´ë¼ëŠ” 뜻으로 호랑ì´ê°€ 그러한 ì—­í• ì„ ë§¡ê³  있ìŒì„ ì˜ë¯¸í•œë‹¤. 호랑ì´ì˜ ê°•ì¸í•œ íž˜ì€ ì£¼ìˆ ì ìœ¼ë¡œë„ ê°•ì¸í•¨ì„ 나타낸다. 호랑ì´ëŠ” 홀로 ì¡´ìž¬í•˜ê¸°ë„ í•˜ì§€ë§Œ, 까치나 삼ë‘매, 현무, ë…수리 등과 ê³µì¡´í•˜ê¸°ë„ í•œë‹¤. 까치나 삼ë‘매와 공존하는 ê²ƒì€ ì‚¼ë‘ì¼ì¡±ì‘ì´ ê·¸ë ¤ì§„ 삼재소멸부와 마찬가지로 삼재를 소멸하는 ë¶€ì ìœ¼ë¡œ 사용ëœë‹¤. 그러나 호랑ì´ë§Œì„ 그린 ë¶€ì ì€ ëˆˆì•žì˜ ì‚¬ì•…í•œ ê·€ì‹ ì„ ì†Œë©¸ì‹œí‚¤ëŠ” ë° ì´ìš©ëœë‹¤.39)

5) 세화는 문ì§ì— 주로 ë¶™ì´ê¸° ë•Œë¬¸ì— é–€æŽ’ ë˜ëŠ” 門畵ë¼ê³ ë„ 하였다. ì„¸í™”ì˜ ê¸°ì›ì— 대해서는 중국 ë‚¨ë°©ì˜ ë†ê²½ì  å·«ë¬¸í™”ì¸ å„ºç¦®ì™€ ì—°ê´€ëœ â€˜é–€ç¥žâ€™ì—서 왔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즉 é™¤å¤•ì— ìž¡ê·€ë¥¼ ì«“ê³  ìƒˆë²½ì´ ë˜ë©´ ëŒ€ë¬¸ì— é–€ç¥žåƒì„ ë¶™ì´ëŠ” 중국 ê¶ì¤‘ì˜ ë‚˜ë¡€ê°€ 우리나ë¼ì— ì „í•´ì ¸ 세화í’ìŠµì´ ì‹œìž‘ë˜ì—ˆë‹¤ê³  본다. ì´ ê³¼ì •ì—서 ì¤‘êµ­ì˜ ç¥žåƒ ëŒ€ì‹  ì‹ ë¼ì˜ ç–«ç¥žæ”¾æžšé¬¼ì˜€ë˜ è™•å®¹ì˜ í˜•ìƒì´ ë¬¸ì— ê·¸ë ¤ì§€ë©´ì„œ ì ì°¨ 우리 ì‹ì˜ 門神 í’ìŠµì´ ìžë¦¬ 잡고 ì ì°¨ 길ìƒì  ì„±ê²©ì´ ì²¨ê°€, ê°•í™”ë˜ë©´ì„œ 세화 í’ìŠµì´ í˜•ì„±ëœ ê²ƒì´ë‹¤. 전경욱, 「탈놀ì´ì˜ í˜•ì„±ì— ë¼ì¹œ ë‚˜ë¡€ì˜ ì˜í–¥ã€, ã€Žæ°‘æ—æ–‡åŒ–ç¡ç©¶ã€ 28 (1995), 199-223 ; í™ì„ í‘œ, ì•žì˜ ì±…, 317-318쪽 ; 정병모 êµìˆ˜ëŠ” 門排ì—서 길ìƒ, ê°ê³„ ë“±ì˜ ê¸°ëŠ¥ì´ í™•ëŒ€ë˜ë©´ì„œ 세화로 발전하였고, 세화가 ë¯¼ê°„ì— í™•ì‚°ëœ ê²ƒì´ æ°‘ç•µë¡œ ì „ê°œë˜ì—ˆë‹¤ëŠ” 견해,즉 門排→歲畵→民畵로 ì—°ê²°ë˜ëŠ” 순차ì ì¸ 전후관계를 설정하였다.(정병모, 「민화와 민간년화ã€, 『강좌미술사ã€7(한국미술사연구소, 1995), 그러나 문배와 세화는 순차ì ì¸ ê´€ê³„ì— ìžˆê¸°ë³´ë‹¤ëŠ” 병렬ì ì¸ 관계로 공존한 그림ì´ë¼ê³  본다. 김윤정, 「æœé®®å¾ŒæœŸ 歲畵 ç¡ç©¶ã€(ì´í™”ì—¬ìžëŒ€í•™êµ ëŒ€í•™ì› ì„사학위 논문, 2002), 13쪽 참조.
6) 김윤정, 위 논문, 67쪽.
7) ì´ ì±…ì€ ë§¤ ë‹¬ì˜ í’ì†ì„ 왕실, ì–‘ë°˜, ì„œë¯¼ì˜ ìˆœì„œë¥¼ 지키며 기술하였고, ê° ë‹¬ì˜ ë 부분ì—는 「월내(月內)ã€ë¼ê³  하여 ê·¸ ë‹¬ì˜ íŠ¹ì •í•œ ë‚ ì„ ì§€ì •í•  수 없는 세시 ë‚´ìš©ë“¤ì„ ë‹´ì•˜ë‹¤. 마지막ì—는 ìœ¤ë‹¬ì˜ í’ì†ì„ 간략히 정리하여 실었다. 그리고 ê° ì„¸ì‹œ 내용마다 『형초세시기(èŠæ¥šæ­²æ™‚記)〠등 ì¤‘êµ­ì˜ ì˜ˆë¥¼ 들어 ê·¸ ê·¼ì›ì„ ë°ížˆë ¤ 하였다. 국립민ì†ë°•물관 편, 『조선대세시기-ê²½ë„잡지, 열양세시기, ë™êµ­ì„¸ì‹œê¸°ã€(국립민ì†ë°•물관, 2007), 160쪽 í•´ì œ ë° 179-180쪽 본문 ì¸ìš©. ì´í•˜ ë³¸ë¬¸ì˜ êµ¬ì ˆì— ëŒ€í•œ 세세한 ê°ì£¼ëŠ” ìœ„ì˜ ì±…ì—서 ì¸ìš©.
8) 절월(節鉞)ì€ ë¶€ì ˆ(符節)ê³¼ 부월(斧鉞)로 ì´ê²ƒì„ 장수ì—게 ë‚´ë ¤ ê¶Œë ¥ì„ ë”하는 ëœ»ì„ ë‚˜íƒ€ë‚´ì—ˆë‹¤.
9) 종규(é¾é¦—)는 ì—­ê·€(疫鬼)나 마귀를 쫓는다는 ì¤‘êµ­ì˜ ì‹ ìœ¼ë¡œ, ì´ê²ƒì˜ 형ìƒì„ ë¬¸ì— ë¶™ì—¬ 악귀를 막는 í’ì†ì´ 당송(å”宋) 때 성행했다고 한다.
10) ì‚¬ì²œì™•ì€ ìˆ˜ë¯¸ì‚°(須彌山)ì˜ ì¤‘í„±ì— ìžˆëŠ” 네 ì‹ (神)으로 ì‚¬ë°©ì„ ì§„í˜¸(鎭護)하는 주신(主神)ì´ë‹¤.
11) ìš¸ì§€ê³µì€ ì¤‘êµ­ ë‹¹ë‚˜ë¼ ì„ ì–‘(善陽) 사람으로 울지는 성ì´ê³  ê³µì€ ì´ë¦„ì´ë©° ìžëŠ” ê²½ë•(敬德)ì´ë‹¤. íƒœì¢…ì„ ë„와 ì „ê³µì„ ì˜¬ë¦° 공로로 ì•…êµ­ê³µ(鄂國公)ì— ë´‰í•´ì¡Œë‹¤.
12) 진숙보는 중국 ë‹¹ë‚˜ë¼ ì—­ì„±(歷城) 사람으로 울지공과 ë™ì‹œëŒ€ì¸ì´ë©° íƒœì¢…ì„ ë„와 ì „ê³µì„ ì˜¬ë¦° 공로로 ìµêµ­ê³µ(益國公)ì— ë´‰í•´ì¡Œë‹¤.
13) ìœ„ì •ê³µì€ ì¤‘êµ­ ë‹¹ë‚˜ë¼ íƒœì¢… ë•Œì˜ í•™ìžì´ìž 재ìƒì¸ 위징(é­å¾µ)ì„ ë§í•œë‹¤. ìžëŠ” 현성(玄æˆ)ì´ë‹¤. ì •êµ­ê³µ(鄭國公)ì— ë´‰í•´ì¡Œë‹¤.
14) 송민구는 중국 ì†¡ë‚˜ë¼ ë•Œ í•™ìžë¡œ ìžëŠ” ì°¨ë„(次é“)ì´ë‹¤. ë‹¹ì˜ ë¬´ì¢…(武宗) ì´í›„ì˜ ì‹¤ë¡ì„ 사찬(ç§æ’°)하였고 ìš©ë„ê°(é¾åœ–é–£) ì§í•™ì‚¬(直學士)를 지냈다. 유명한 장서가다. 『춘명퇴조ë¡(春明退æœéŒ„)ã€, 『당대조령집(å”大詔令集)ã€, 『장안지(長安志)ã€ ë“±ì´ ìžˆë‹¤. 『춘명퇴조ë¡ã€ì€ ìƒì¤‘하 3권으로 구성ë˜ì–´ 있다.
15) 갈장군(葛將è»)ì€ ì¤‘êµ­ 삼국시대 ì´‰í•œì˜ ëª¨ì‚¬(謀士)ì¸ ì œê°ˆëŸ‰(諸葛亮)ì„ ë§í•œë‹¤. ì œê°ˆëŸ‰ì´ ìž¥(æ–)ê³¼ ì ˆ(節)ì„ êµ°ë¬¸(è»é–€)ì— ì„¸ì›Œ ìƒëŒ€ë°©ì„ ì´ê¸´ 고사ì—서 ë¹„ë¡¯ëœ ê²ƒì´ë‹¤.
16) 주장군(周將è»)ì€ ì¤‘êµ­ 삼국시대 ì˜¤ë‚˜ë¼ ì„œ(舒) 지방 ì‚¬ëžŒì¸ ì£¼ìœ (周瑜)를 ë§í•œë‹¤. ìžëŠ” 공근(公瑾)ì´ë‹¤.
17) 문황(文皇) ë•Œì˜ ê´´ë‹´ì´ëž€ ë‹¹ì‹œì˜ ìž¬ìƒ ìœ„ì§•(é­å¾µ)ì´ ë‚¨í•´ì˜ ìš©ì™•ì—게 해를 가한 ì´í›„ ìš©ì™•ì´ ë¬¸í™©ì„ ìžì£¼ ê´´ë¡­ížˆìž ì´ë¥¼ 울지공과 진숙보가 막아주었다는 ë‚´ìš©ì´ë‹¤.
18) 허균,ã€Ží—ˆê· ì˜ ìš°ë¦¬ 민화 ì½ê¸°ã€(ë¶í´ë¦¬ì˜¤, 2006), 188-191쪽 본문 ë° ë„íŒ ì¸ìš©.
19) 허균, ìœ„ì˜ ì±…, 207-209쪽 본문 ë° ë„íŒ ì¸ìš©.
20) 허균, ìœ„ì˜ ì±…, 192-198쪽 ì¸ìš©.
21) 『달력, ì‹œê°„ì˜ ìžì·¨ã€(실학박물관, 국립민ì†ë°•물관, 2014), 93쪽 ë„íŒ 50.
22) 허균, 위와 ê°™ìŒ.
23) “용맹스럽고 ì§€ëžµì´ ë›°ì–´ë‚œ ê³ ì†Œì„¤ì˜ ì£¼ì¸ê³µì´ë‚˜ 실제 ì¸ë¬¼ì´ ë²½ì‚¬ì§„ê²½ì— ê´€ì—¬í•˜ëŠ” 수호신으로 숭배ë˜ëŠ” 경우는 ì ì§€ 않다. 관왕묘(關王廟)기 『삼국지ã€ì— 등장하는 관우(關羽)를 모시는 사당ì´ë¼ëŠ” ê²ƒì€ ìž˜ 알려진 사실ì´ë‹¤. 소설 ì„œìœ ê¸°ì˜ ì£¼ì¸ê³µì¸ 당삼장(å”三è—)ì„ ë¹„ë¡¯í•˜ì—¬ 저팔계, ì†í–‰ìž, ì‚¬í™”ìƒ ë“±ì˜ ë“±ìž¥ì¸ë¬¼ì´ ê¶ê¶ 지붕 ìœ„ì— ìž¡ìƒìœ¼ë¡œ 올려진 ê²ƒë„ ê°™ì€ ë§¥ë½ì—서 ì´í•´ë  수 있다. ì´ë“¤ì—게 ì‹ ê²©ì„ ë¶€ì—¬í•œ ê²ƒì€ ì‹¤ì œë‚˜ 소설 ì†ì—서 보여준 지략과 ìš©ë§¹ì„±ì„ ì•…ê·€ë¥¼ 물리치는 ë° ë°œíœ˜ì¼€ 하려는 ì˜ë„ê°€ 담겨 있다. ì´ëŸ° ì‚¬ë¡€ë“¤ì„ ì¢…í•©í•´ì„œ ìƒê°í•´ë³¼ 때 문배 ê·¸ë¦¼ì˜ ì£¼ì¸ê³µì´ 제갈량과 ì£¼ìœ ì¼ ê²ƒì´ë¼ëŠ” í™ì„ëª¨ì˜ ë§ë„ 설ë“ë ¥ì´ ìžˆì–´ ë³´ì¸ë‹¤.â€í—ˆê· , 위와 ê°™ìŒ.
24) 허균, ìœ„ì˜ ì±…, 196-197쪽 본문 ì¸ìš© ë° ë„íŒ.
25) 허균, ìœ„ì˜ ì±…, 196-197쪽 본문 ì¸ìš©.
26) 강명관, 『한양가ã€(신구문화사, 2008), 81-85쪽
27) 허균, ìœ„ì˜ ì±…, 186-188쪽.
28) ì´ëˆìˆ˜Â·ì´ìˆœìš°, 『꼬레아 ì— ê¼¬ë ˆì•„ë‹ˆã€(사진해설íŒ)(하늘재, 2009), 314쪽 ë„íŒ.
29) 엘리ìžë² ìФ 키스. 엘스펫 K. 로버트슨 스콧 ì§€ìŒ, 송ì˜ë‹¬ 옮김,『ì˜êµ­í™”ê°€ 엘리ìžë² ìФ í‚¤ìŠ¤ì˜ ì½”ë¦¬ì•„ 1920~1940ã€(ì±…ê³¼ 함께, 2006), 62-63쪽. ë°‘ì¤„ì€ í•„ìž.
30) 허균, ìœ„ì˜ ì±…, 192-198쪽.
31) 국립민ì†ë°•물관 편,『조선대세시기-ê²½ë„잡지, 열양세시기, ë™êµ­ì„¸ì‹œê¸°ã€(국립민ì†ë°•물관, 2007), 182-183쪽.
32) ë™í›ˆ(董勛)ì€ ì¤‘êµ­ 후한시대 사람ì´ë‹¤. 『문례(å•禮)ã€ëž€ 『한위유서초소ë¡ë¬¸ì˜ˆì†(æ¼¢é­éºæ›¸éˆ”所錄å•禮俗)ã€ì´ëž€ ì±…ì˜ ì•½ì¹­ì´ë‹¤. ì´ ì±…ì— ë‚˜ì˜¤ëŠ” 그가 한 ë§ ì¤‘ì— ì„¤ë‚  ë„소주(屠蘇酒)를 ë‚˜ì´ ì–´ë¦° 사람부터 마시게 하는 ì´ìœ ì— 대해서 어린 ìžëŠ” ë‚˜ì´ ë¨¹ëŠ” ì¼ì´ 축하할 ì¼ì´ì§€ë§Œ ëŠ™ì€ ìžëŠ” ì„¸ì›”ì„ ìžƒì—ˆìœ¼ë¯€ë¡œ ë²Œì„ ì£¼ëŠ” ì˜ë¯¸ë¼ê³  하였고, 설 다ìŒë‚ ë¶€í„° 서로 불러 ìŒì‹ì„ 나누어 ë¨¹ì—ˆëŠ”ë° ì´ê²ƒì„ 전좌(傳座)ë¼ê³  하였다. 국립민ì†ë°•물관 편, 위와 ê°™ìŒ.
33) ê° ë‹¬ì€ ì—¬ëŸ¬ 가지 ì´ë¦„ì´ ìžˆëŠ”ë°, 가장 í”히 ì“°ì´ëŠ” ê²ƒì€ ê³„ì ˆì— ë”°ë¼ êµ¬ë¶„í•œ 것으로 1월부터 12월까지 ê°ê° 맹춘(孟春), 중춘(仲春), 계춘(季春), 맹하(å­Ÿå¤), 중하(仲å¤), 계하(å­£å¤), 맹추(å­Ÿç§‹), 중추(仲秋), 계추(季秋), ë§¹ë™(孟冬), 중ë™(仲æ±), 계ë™(季冬) 등으로 부른다. 12ê°„ì§€ì˜ ë™ë¬¼ì„ ë¶™ì¸ ì´ì¹­(異稱)ë„ ìžˆëŠ”ë°, ë™ì§€ê°€ 들어있는 11월부터 다ìŒí•´ 10월까지 ê°ê° ì¥ë‹¬[å­æœˆ], 소달[丑月], 호랑ì´ë‹¬[寅月], 토ë¼ë‹¬[坿œˆ], 용달[辰月], 뱀달[巳月], ë§ë‹¬[åˆæœˆ], 양달[未月], 잔나비달[申月], 닭달[酉月], 개달[戌月], ë¼ì§€ë‹¬[亥月]로 부른다. ê·¸ ë°–ì—ë„ íŠ¹ë³„í•œ ì˜ë¯¸ê°€ 들어있는 ë‹¬ì˜ ë³„ì¹­ì´ ìžˆëŠ”ë°, 1ì›”ì€ ì›ì›”(元月), ë™ì§€ê°€ 들어있는 11ì›”ì€ ì§€ì›”(至月), 12ì›”ì€ ë‚©ì›”(臘月) ë“±ì´ ê·¸ 예다. 국립민ì†ë°•물관 편, 위와 ê°™ìŒ.
34) 국립민ì†ë°•물관 편, 위와 ê°™ìŒ.
35) 삼재(三ç½)는 수재(æ°´ç½), 화재(ç«ç½), í’재(風ç½)를 ë§í•œë‹¤.
36) 복설(åœèªª)ì€ ë¯¸ëž˜ì˜ ìš´ì„¸ë‚˜ 길í‰ì„ 알기 위해 치는 ì ì— 관한 설명체계를 ë§í•œë‹¤.
37) 김종대,『33가지 ë™ë¬¼ë¡œ 본 ìš°ë¦¬ë¬¸í™”ì˜ ìƒì§•세계ã€(다른세ìƒ, 2001), 422~439쪽.
38) ê¹€ì˜ìž,ã€Ží•œêµ­ì˜ ë²½ì‚¬ë¶€ì ã€(대ì›ì‚¬, 2008), 149-150쪽.
39) ê¹€ì˜ìž, 위와 ê°™ìŒ.

â…¢. 민화 í˜¸ëž‘ì´ ê·¸ë¦¼ì˜ ìœ í˜•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ë¼ì—서 호랑ì´ë¥¼ 소재로 한 ì—­ì‚¬ì  ì¡°í˜•ë¬¼ë¡œëŠ” 울주 반구대 ì•”ê°í™”를 비롯하여 고구려 ê³ ë¶„ë²½í™”ì˜ ì‚¬ì‹ ë„, 통ì¼ì‹ ë¼ì‹œëŒ€ ì‹­ì´ì§€ì‹ ìƒ, 고려시대 ì„관과 ì„호 ë“±ì„ ë“¤ 수 있다.40) 조선시대ì—ë„ ì™•ë¦‰ì˜ ì„호 ì¡°ì„±ì€ ê³„ì† ì´ì–´ì§€ê³  특히 í˜¸ëž‘ì´ ê·¸ë¦¼ì´ ë§Žì´ ê·¸ë ¤ì¡Œë‹¤. 호랑ì´ë¥¼ í¬í•¨í•˜ì—¬ ë™ë¬¼ê³¼ 새를 그린 ì˜ëª¨í™”(翎毛畵)ê°€ ê°ìƒìš© 회화로서 본격ì ì¸ ë°œì „ì„ ì‹œìž‘í•œ ê²ƒì€ ê³ ë ¤ì‹œëŒ€ë¶€í„°ì´ê³ , 중국 ì˜ëª¨í™”ì˜ ì˜í–¥ì„ 받아들ì´ë©´ì„œ ì´ë¥¼ 토대로 내재ì ì¸ ë°œì „ì„ ëª¨ìƒ‰í–ˆì„ ê²ƒìœ¼ë¡œ 여겨진다.41) ì¡°ì„ ì „ê¸°ì˜ ê¸°ë¡ì¸ 성현(æˆä¿”, 1439-1504)ì˜ ã€Žìš©ìž¬ì´í™”ã€ì— 수ë¡ëœ ë‚´ìš©ì„ ë³´ë©´ 당시ì—ë„ í˜¸ëž‘ì´ ê·¸ë¦¼ì´ ë²½ì‚¬ì ì¸ ì˜ë¯¸ì˜ 문배로서 ì§€ì†ì ìœ¼ë¡œ 제작ë˜ê³  있었ìŒì„ 알려준다.42) ì´ëŸ¬í•œ ë¥˜ì˜ í˜¸ëž‘ì´ ê·¸ë¦¼ì€ ì¡°ì„ ë§ê¸°ì— ì´ë¥´ê¸°ê¹Œì§€ ì§€ì†ë˜ì—ˆìŒì„ 앞ì—서 ë³´ì•˜ë˜ ì—¬ëŸ¬ ì„¸ì‹œê¸°ì˜ ê¸°ë¡ì„ 통해서 확ì¸í•  수 있었다.
예로부터 우리 ë¯¼ì¡±ì€ í˜¸ëž‘ì´ì™€ í‘œë²”ì„ í•œ 종류로 ë³´ê³  ë²”ì´ë¼ê³  통칭했었다. 호랑ì´ë¼ê³  하면 줄범[虎] ë§Œì„ ê°€ë¦¬í‚¤ì§€ë§Œ, ë²”ì€ ì¤„ë²”ê³¼ ëˆë²”[è±¹] 모ë‘를 ì¼ì»«ê²Œ ëœë‹¤. 민화ì—는 í”히 줄범과 ëˆë²”ì„ í•¨ê»˜ 그려 어미와 새ë¼ë¡œ 보거나 암수 관계로 표현했다(ë„16, 17).43)
ë¯¼í™”ì— ë“±ìž¥í•˜ëŠ” í•œêµ­ì˜ í˜¸ëž‘ì´ë“¤ì€ 사납고 í—˜ìƒê¶‚ì€ ëª¨ìŠµì´ ì•„ë‹ˆë¼ ì ìž–게 ìž…ì„ ë‹¤ë¬¼ê³  있거나 í˜¹ì€ ë¹™ê·¸ë ˆ 웃ìŒì„ 머금고 있거나 때로는 ë°”ë³´ê°™ì€ ìš°ìŠ¤ê½ìŠ¤ëŸ¬ìš´ ëª¨ìŠµì„ í•˜ê³  있어 마치 ì¸ìží•œ 옆집 할아버지를 대하는 듯 다정스럽고 ì¹œìˆ™í•¨ì„ ëŠë¼ê²Œ 한다(ë„18). 호랑ì´ë¥¼ 소재로 한 ê·¸ë¦¼ì€ ìˆ˜í˜¸ì‹ ì ì¸ ì—­í• ì„ í–ˆë˜ ì‚¬ì‹ ë„(四神圖)ì˜ í•œ 변형으로 ë³´ì´ë©° 좌청룡(å·¦é‘é¾), 우백호(å³ç™½è™Ž)로 ì™¼íŽ¸ì€ ìš©ì´ ë§‰ì•„ì£¼ê³  ë°”ë¥¸íŽ¸ì€ í˜¸ëž‘ì´ê°€ 막아준다는 벽사용으로 그렸다고 ë³¼ 수 있다. 엘리ìžë² ìФ 키스가 그린 <결혼ì‹ì— 온 ì†ë‹˜>(ë„19)ì´ëž€ ê·¸ë¦¼ì„ ë³´ë©´ 조바위를 ì“°ê³  앉아 있는 ì—¬ì¸ì˜ 뒤편 ë²½ì— í˜¸ëž‘ì´ ê·¸ë¦¼ì´ ê±¸ë ¤ 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다.45)
호랑ì´ì˜ ëª¨ìŠµì€ ë‹¨ë…으로 ê·¸ë ¤ì§€ê¸°ë„ í•˜ê³  여러 마리가 ê·¸ë ¤ì§€ê¸°ë„ í•œë‹¤(ë„20). ì†Œë‚˜ë¬´ì— ì•‰ì€ ê¹Œì¹˜ì™€ 함께 그려지는 í˜¸ëž‘ì´ ê·¸ë¦¼(í˜¸ìž‘ë„ ë˜ëŠ” 작호ë„)ì´ ë‹¨ì—° 민화 í˜¸ëž‘ì´ ê·¸ë¦¼ì˜ ë‹¤ìˆ˜ë¥¼ 차지한다고 하겠다. ë˜ ìš©ê³¼ 함께 그려지는 용호ë„, 산신령과 함께 그려진 ì‚°ì‹ ë„, ìœ ëª©ë¯¼ì¡±ì˜ ì‚¬ëƒ¥ 장면 ì†ì— 호랑ì´ê°€ 등장하는 호렵ë„, 그리고 호랑ì´ë‚˜ í‘œë²”ì˜ ê°€ì£½ì„ ê·¸ë¦° í˜¸í”¼ë„ ë“±ì´ ë¯¼í™” í˜¸ëž‘ì´ ê·¸ë¦¼ì˜ ìœ í˜•ì— ì†í•œë‹¤ê³  í•  수 있다.

1. ê¹Œì¹˜í˜¸ëž‘ì´ ê·¸ë¦¼

í˜¸ëž‘ì´ ê·¸ë¦¼ì€ ì¡°ì„ í›„ê¸°ì˜ ì˜ëª¨í™”(翎毛畵)와 ë¯¼í™”ì˜ ì£¼ì œë¡œ ë„리 그려진 그림ì´ë‹¤. 여러 ìƒì§•ê³¼ ì€ìœ ê°€ 담긴 ì¡°ì„ ì‹œëŒ€ì˜ í˜¸ëž‘ì´ ê·¸ë¦¼ì€ í™”ì›í™”ê°€ ì–‘ì‹ê³¼ 민화로 나뉘어져 다양한 층위를 ì´ë£¨ë©° 그려졌다. 시기ì ìœ¼ë¡œëŠ” í™”ì›í™”ê°€ë“¤ì˜ í˜¸ë„ê°€ 18ì„¸ê¸°ì— ì£¼ë¡œ 그려졌고, 민화 호ë„는 19ì„¸ê¸°ì— ì œìž‘ëœ ì‚¬ë¡€ê°€ 많았다. 지금까지 í™”ì›ì–‘ì‹ì˜ 호랑ì´ì— 대해서는 ê¹€í™ë„와 몇몇 í™”ì› í™”ê°€ë“¤ì˜ ê·¸ë¦¼ì„ ì¤‘ì‹¬ìœ¼ë¡œ ì •í˜•ì„ ì œì‹œí•œ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명대 ‘출산호ë„(出山虎圖)’양ì‹ì˜ 전래가 확ì¸ë˜ê³ , 관련 ë„ìƒì´ 소개ë¨ìœ¼ë¡œì¨ í™”ì›ë“¤ì´ 남긴 호ë„ì˜ ê³„í†µì„ ì¢€ë” ìžì„¸ížˆ 다룰 수 있게 ë˜ì—ˆë‹¤.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ë„ìƒì€ ì›ëŒ€(元代)ì— ì •ë¦½ë˜ì–´ ë²”ë™ì•„ì‹œì•„ì  ì œìž¬ë¡œ ë„리 유통ë˜ë˜ 것ì´ë‹¤. 그러나 다양한 표현방법과 ë”불어 ë™ì•„시아ì—서 가장 ë§Žì´ ê·¸ë ¤ì§„ ê²ƒì€ ì¡°ì„ í›„Â·ë§ê¸°ì˜ ë¯¼í™”í™”ëœ ê¹Œì¹˜í˜¸ëž‘ì´ ê·¸ë¦¼ì´ë‹¤. 만력(è¬æ›†) 임진년(1592ë…„)ì— ì œìž‘ëœ ê°œì¸ ì†Œìž¥ì˜ <호작ë„>(ë„21)는 ë‘ ë§ˆë¦¬ì˜ ê¹Œì¹˜ê°€ 가지 ìœ„ì— ì•‰ì•„ 지저귀고 있는 ëŠ™ì€ ì†Œë‚˜ë¬´ ë°‘ì—서, 세 ë§ˆë¦¬ì˜ ìƒˆë¼ë¥¼ ê±°ëŠë¦¬ê³  있는 호랑ì´ì˜ ëª¨ìŠµì„ ë‹¤ë£¬ 것ì´ë‹¤. 새ë¼ì™€ 함께 그려지는 유호ìƒ(乳虎åƒ)ì˜ ê²½ìš°, 어미 호랑ì´ê°€ 앉아 있거나 엎드린 ‘좌호(å虎)’와 ‘복호(ä¼è™Ž)’ ìƒíƒœë¡œ 그려지는 ê²ƒì´ ì¼ë°˜ì ì¸ë°, 여기ì—는 ì‚°ì´ë‚˜ 수풀ì—서 ì •ë©´ì„ í–¥í•´ 고개를 ëŒë ¤ ë°©í–¥ì„ í‹€ë©° 걸어 나오는 ‘출산호(出山虎)’ ë˜ëŠ” ‘출림호(出林虎)â€™ì˜ ë„ìƒì„ 토대로 ë¬˜ì‚¬ëœ ê²ƒì´ ë‹¤ë¥´ë‹¤. 출산호는 ë¶ì†¡ëŒ€ì— ìµœê³ ì˜ í˜¸ëž‘ì´ í™”ê°€ë¡œ ì†ê¼½ížŒ 조막착(趙邈齪)ì— ì˜í•´ 그려지기 시작한 것으로, 앞 다리와 뒷다리를 ëª¨ë‘ ì„œë¡œ êµì°¨ì‹œí‚¤ë©° 걸어나오는 ë™ìž‘ì„ ë‚˜íƒ€ë‚¸ 것과, ë‘ ë°œì„ ì¢Œìš°ë¡œ 벌려 잠시 멈춘 ìƒíƒœë¡œ 공경 ìžì„¸ë¥¼ 취하는 듯한 ëª¨ìŠµì˜ ë‘ ìœ í˜•ìœ¼ë¡œ 나뉘어 ì „ê°œë˜ì—ˆë‹¤. ì´ë“¤ ìœ í˜•ì— ë¹„í•´ 임진년 <호작ë„>는 좌호ìƒì—서처럼 ì•žë°œì„ ë‚˜ëž€ížˆ 모으고, ë’·ë°œë„ ì•½ê°„ 벌린 채 ë™ì¼ ì„ ìƒì—서 ì§€ë©´ì„ ë””ë””ê³  ì„  ì •ì§€ëœ í˜•íƒœë¡œ 그려져 있다. 임진년 호작ë„ì˜ ì „ë°˜ì ì¸ 구ë„와 ë„ìƒì€ ëª…ëŒ€ì˜ ìž‘í’ˆìœ¼ë¡œ íŒë‹¨ë˜ëŠ” ê°œì¸ì†Œìž¥ì˜ <출산호작ë„(出山虎鵲圖)>(ë„22)와 대체로 유사하다. ë‘ ê·¸ë¦¼ ëª¨ë‘ í™”ë©´ 왼쪽 í•˜ë‹¨ì˜ ê·œê°ì´ 심하고 í‘백대비가 강한 ì„ë‘ì˜ ë¬˜ì‚¬ë²•ê³¼ 배치ì—서 절파화í’ì„ ì™„ì—°í•˜ê²Œ 보여준다. 간략하게 살펴보았듯ì´, 1592ë…„ ìž„ì§„ë…„ì˜ <호작ë„>는 현재 알려진 ìš°ë¦¬ë‚˜ë¼ ê¹Œì¹˜í˜¸ëž‘ì´ ê·¸ë¦¼ ê°€ìš´ë° ê°€ìž¥ ì˜¤ëž˜ëœ ìž‘í’ˆìœ¼ë¡œ, ê·¸ 시ì›ì  주제ì˜ì‹ê³¼ í™”í’ì„ íŒŒì•…í•˜ëŠ” ë° ë§¤ìš° 중요한 ì˜ì˜ë¥¼ 지닌다. í”히 ìƒê°í•˜ê³  있는 것처럼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ì²´í’ì˜ ì†¡í˜¸ë„ì— ê¹Œì¹˜ê°€ 첨가ë˜ì–´ ë¯¼í™”í™”ëœ ê²ƒì´ ì•„ë‹ˆë¼, í˜¸ëž‘ì´ ê·¸ë¦¼ì˜ í•œ 화제로서 ì›ëŒ€ë¶€í„° 유형화ë˜ì–´ ë™ì•„시아로 í™•ì‚°ëœ ê²ƒì´ë‹¤.46)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ë¯¼ê°„ì—서 주로 ì œìž‘í–ˆë˜ ì„¸í™” 중 하나로 까치와 호랑ì´, 그리고 소나무를 기본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때로 바위나 불로초, 난초 ë˜ëŠ” í•´ê°€ ê³ë“¤ì—¬ì§€ê¸°ë„ 한다. 삼성미술관 ë¦¬ì›€ì— ì†Œìž¥ëœ í•œ ê¹Œì¹˜í˜¸ëž‘ì´ ê·¸ë¦¼(ë„23)ì—는 ‘갑술년 설날 ì•„ì¹¨ì— ì‹ ìž¬í˜„ì´ ê·¸ë ¸ë‹¤(甲戌元旦 申在鉉寫)’는 관지(款識)와 함께 ‘호랑ì´ê°€ 남산ì—서 부르짖으니 ê¹Œì¹˜ë“¤ì´ ëª¨ë‘ ëª¨ì—¬ë“¤ì—ˆë‹¤(虎嘯å—å±± 群鵲都會)’는 화제가 ì í˜€ 있는 ê²ƒì„ ë³´ë©´ ê¹Œì¹˜í˜¸ëž‘ì´ ê·¸ë¦¼ë¥˜ê°€ ì„¸í™”ì˜ í•˜ë‚˜ë¡œ ê·¸ë ¤ì§€ë˜ ê·¸ë¦¼ì´ë¼ëŠ” ê²ƒì„ í™•ì¸í•  수 있다.47)
중국ì—서는 까치와 í‘œë²”ì„ í•¨ê»˜ 그리는ë°, ì´ ê·¸ë¦¼ì€ â€˜ê¸°ì¨ì„ 전한다’는 길ìƒí™”ê°€ ëœë‹¤. 중국어로 í‘œë²”ì„ ëœ»í•˜ëŠ” ‘표(è±¹, bào)â€™ì˜ ë…ìŒê³¼ 알린다는 ëœ»ì˜ â€˜ë³´(å ±, bào)â€™ì˜ ë…ìŒì´ 같고, 까치는 ‘í¬ìž‘(喜鵲)’ì´ë¼ 부른다. 그러므로 표범과 까치가 함께 있는 ê·¸ë¦¼ì€ â€˜ë³´í¬(報喜)’가 ë˜ë©° ì—¬ê¸°ì— ì •ì›”ì„ ëœ»í•˜ëŠ” 소나무가 함께 있으면 ‘신년보í¬(新年報喜)’, 즉 새해를 ë§žì•„ ê¸°ìœ ì†Œì‹ì´ 들어온다는 ëœ»ì´ ëœë‹¤. ì¤‘êµ­ì˜ ê¹Œì¹˜ì™€ 표범 ê·¸ë¦¼ì´ ìš°ë¦¬ë‚˜ë¼ì— 전해지면서 표범 대신 호랑ì´ë¥¼ 그린 것으로 ë³¼ 수 있는ë°, í‘œë²”ì´ í˜¸ëž‘ì´ë¡œ ë°”ë€ ê²ƒì€ ë‘ ê°€ì§€ë¡œ ìƒê°í•  수 있다. 하나는 ì‹ ë…„ë³´í¬ë¼ëŠ” í™”ì˜ë¡œë¶€í„° 역추론하여 ì‹ ë…„ì˜ ì •ì›”ì„ ëœ»í•˜ëŠ” 호랑ì´ë¡œ 대체ë˜ì—ˆì„ 가능성과, ‘신년보í¬â€™ì˜ ‘보’가 í‘œë²”ì„ ëœ»í•˜ëŠ” ‘표’ì—서 온 ê²ƒìž„ì„ ëª°ëžë˜ í™”ê³µë“¤ì´ ìš°ë¦¬ì—게 ìµìˆ™í•œ 호랑ì´ë¡œ ëŒ€ì²´í–ˆì„ ê°€ëŠ¥ì„±ì´ ë‹¤ë¥¸ 하나다. 어쨌든 옛 사람들ì—게는 ê·¸ë¦¼ì˜ ì†Œìž¬ê°€ 호랑ì´ê±°ë‚˜ 표범ì´ê±°ë‚˜ 별 문제가 ë˜ì§€ ì•Šì•˜ë˜ ê²ƒìœ¼ë¡œ ë³´ì¸ë‹¤.48)

2. 용호ë„

용과 호랑ì´ê°€ 함께 나타나는 용호ë„(é¾è™Žåœ–)는 ì˜ì›…ì´ë‚˜ 왕과 ê°™ì€ ê¶Œìœ„ì™€ ìœ„ì—„ì„ ìƒì§•하는 것ì—서 시작했다. 아울러 한대(漢代)부터 호랑ì´ë¥¼ ë²½ì‚¬ì˜ ìƒì§•으로 ì¸ì‹í•˜ë©´ì„œ, 용과 호랑ì´ë¥¼ ì •ì´ˆì— ëŒ€ë¬¸ ì•žì— ë¶™ì´ëŠ” 문신 í˜¹ì€ ë¬¸ë°°ì˜ í’ì†ìœ¼ë¡œ ì „ê°œë˜ì—ˆë‹¤. ì¡°ì„ ì˜ ìš©í˜¸ë„는 기본ì ìœ¼ë¡œ ë‚¨ì†¡ì˜ í™”ìŠ¹ 목계(牧谿, 1225-1265)ì˜ ìš©í˜¸ë„ê°€ ì „í˜•ì´ ë˜ì—ˆë‹¤(ë„24). ëª…ë‚˜ë¼ ìš©í˜¸ë„ì˜ ì˜í–¥ë„ ê°ì§€ë˜ì§€ë§Œ, ì´ë“¤ 그림 역시 ê·¸ ê¸°ë³¸ì€ ëª©ê³„ì˜ ê·¸ë¦¼ìœ¼ë¡œ 거슬러 올ë¼ê°„다. ëª©ê³„ì˜ ìš©í˜¸ë„는 ì œë¬¸ì— ì“°ì—¬ ìžˆë“¯ì´ ì˜ì›…ì˜ ì¶œí˜„ì„ ìƒì§•한다. ì´ëŸ¬í•œ 용호ë„는 임진왜란 ì§í›„ ëª…ë‚˜ë¼ ìš©í˜¸ë„ê°€ ì¡°ì„ ì— ì „ëž˜ë˜ë©´ì„œ 16세기 용호ë„ê°€ 유행하게 ë˜ì—ˆë‹¤. ì´ ë‹¹ì‹œ ì œìž‘ëœ ìš©í˜¸ë„를 ë³´ë©´ 기본ì ìœ¼ë¡œ 목계와 ê°™ì€ ì†¡ë‚˜ë¼ ë•Œì˜ ë„ìƒì´ì§€ë§Œ í™”í’ì€ ëª…ë‚˜ë¼ ì ˆíŒŒí™”í’ì„ ë³´ì—¬ 송대 용호ë„ì˜ ëª…ëŒ€ ë²„ì „ì˜ ì˜í–¥ì„ ë°›ì€ ê²ƒì„ ì•Œ 수 있다. ì´ëŸ¬í•œ 목계í’ì˜ ìš©í˜¸ë„ ë„ìƒì€ 19세기까지 ì˜í–¥ì„ 미쳤는ë°, ê·¸ ìš©ë„는 ëª©ê³„ì˜ ìš©í˜¸ë„처럼 ê¶Œë ¥ì„ ìƒì§•하는 장ì‹ìš©ê³¼ ë”불어 세시í’ì†ìš©ìœ¼ë¡œ 사용ë˜ê¸°ë„ 한다. 세시í’ì†ìš©ì˜ 용호ë„란 바로 용수오복(é¾è¼¸äº”ç¦, ìš©ì€ ì˜¤ë³µì„ ê°€ì ¸ì˜¨ë‹¤), 호축삼재(虎é€ä¸‰ç½)ì˜ ê¸¸ìƒê³¼ 벽사를 ìƒì§•하는 문배ë„ì´ë‹¤. 민화 용호ë„는 용호문배ë„ê°€ 주류를 ì´ë£¨ë©´ì„œ 용호ë„ì˜ ì› ì˜ë¯¸ì¸ 권위를 ìƒì§•하는 장ì‹í™”ë„ í¬í•¨ë˜ì–´ ìžˆëŠ”ë° í•´í•™ì ì¸ ì´ë¯¸ì§€ë¡œ 탈바꿈하였다(ë„25, 26).49) 한편 ìš©í˜¸ë„ ëŒ€ì‹  글ìžë¥¼ ì¨ì„œ ê·¸ ë²½ì‚¬ì  ê¸°ëŠ¥ì„ ëŒ€ì‹ í•˜ê²Œ 하는 ê²½ìš°ë„ ìžˆë‹¤(ë„27).

3. ì‚°ì‹ ë„

ì‚°ì‹ ë„(山神圖)ì— ê·¸ë ¤ì§€ëŠ” 호랑ì´ëŠ” ì‚°ì‹ ì„ ë“±ì— íƒœìš°ê³  가는 모습ì´ë‚˜ ì‚°ì‹  ì˜†ì— ì—„ìˆ™í•œ 표정으로 얌전하게 엎드려 있는 ìžì„¸ë¥¼ 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대로 호랑ì´ëŠ” ì˜ë¬¼ë¡œ 모셔지면서 언제부터ì¸ì§€ 모르게 무ì†ì‚¬ìƒê³¼ ì—°ê²°ë˜ì–´ 민간 신앙으로 뿌리를 내렸다. ì‚°ì‹ ì´ íƒ€ê³  다니는 것으로, í˜¹ì€ ì‚°ì‹ ì˜ ì‹¬ë¶€ë¦„ê¾¼ìœ¼ë¡œì„œ 으레 ì‚°ì‹ ê³¼ 함께 등장하는 것ì´ë‹¤. 때로는 í˜¸ëž‘ì´ ìžì²´ë¥¼ 산신령으로 모시는 ê²½ìš°ë„ ìžˆë‹¤(ë„28, 29).50)
ì‚°ì‹ ë„는 ì‚°ì‹ ì„ ì¤‘ì‹¬ìœ¼ë¡œ 호랑ì´, ë™ìž, 천녀, ê·¸ ë°–ì˜ ìžì—° 경물과 함께 그려져 있으며 불화 중ì—ì„œë„ íšŒí™”ì ì¸ í‘œí˜„ì´ ë§Žë‹¤. ê·¸ 중 호랑ì´ëŠ” ì‚°ì‹ ì´ ê±°ëŠë¦¬ê³  있는 ëŒ€ìƒ ê°€ìš´ë° ì œì¼ í° ë¹„ì¤‘ì„ ì°¨ì§€í•˜ë©° 다양하다. ì‚°ì‹ ë„ì— ë‚˜íƒ€ë‚˜ëŠ” 호랑ì´ì˜ íŠ¹ì§•ì€ ìœ í˜•ë³„ë¡œ ìžì„¸ì— ë”°ë¼ ì„œ 있는 호랑ì´ì¸ 입호(立虎), 앉아 있는 호랑ì´ì¸ 좌호(å虎), 엎드려 있는 í˜¸ëž‘ì´ ë³µí˜¸(ä¼è™Ž) 등으로 나눌 수 있다.51) 형태별로는 ë¬´ëŠ¬ì— ë”°ë¼ í˜¸ëž‘ì´ ë¬´ëŠ¬ 호(虎)와 표범무늬 표(è±¹), 호랑ì´ì™€ 표범 무늬가 섞여 있는 호표(虎豹)로 구별할 수 있다. ë˜í•œ 호랑ì´ì˜ 눈과 발톱, ê¼¬ë¦¬ì˜ í‘œí˜„ ë“±ì„ í†µí•´ì„œ 형ì‹ì„ 분류할 수 있다. 호표는 í˜¸ëž‘ì´ ë¬´ëŠ¬ì™€ 표범 무늬가 섞여 있는 형태로 실제로는 ë³¼ 수 없지만, ì‚°ì‹ ë„ì—서 가장 ë§Žì´ ë³´ì´ëŠ” 형태ì´ë‹¤. 호랑ì´ì™€ í‘œë²”ì˜ íŠ¹ì§•ì„ í•œ ë§ˆë¦¬ì˜ ë‹¨ì¼ ë™ë¬¼ë¡œ ì´ë¯¸ì§€í™” 한 ê²ƒì€ ì¤‘êµ­ì´ë‚˜ ì¼ë³¸ì˜ 호랑ì´ì—서 ë³¼ 수 없는 조선시대 í˜¸ëž‘ì´ ê·¸ë¦¼ë§Œì˜ íŠ¹ì§•ì´ë¼ í•´ë„ ë¬´ë¦¬ê°€ 없다.52) í˜¸í‘œì˜ ê²½ìš° 주로 ëª¸ì€ í˜¸ëž‘ì´ ë¬´ëŠ¬ì¸ë° 가슴과 얼굴, 등 ë¶€ë¶„ì— í‘œë²” 무늬를 하고 있다.
ì‚°ì‹ ë„ì— ë‚˜ì˜¤ëŠ” 호랑ì´ì˜ 눈과 관련하여 『삼재ë„회ã€ì™€ 『오주연문장전산고ã€ì˜ 「안ë™ê°ìš©ë³€ì¦ì„¤(眼瞳å„用辨證設)ã€ì„ ë³´ë©´, ë²”ì€ ë°¤ê¸¸ì„ ê±°ë‹ë©´ì„œ 한 눈으로는 ë¹›ì„ ë°œì‚¬í•˜ê³  한 눈으로는 ì‚¬ë¬¼ì„ ë³¸ë‹¤ê³  했다.53) 즉 호랑ì´ì™€ ê°™ì€ ì¢…ë¥˜ì˜ ë§¹ìˆ˜ëŠ” ë°¤ì— ì£¼ë¡œ 활ë™í•˜ë¯€ë¡œ 눈ì—서 ë¹›ì„ ë°œí•˜ëŠ” ê²ƒì„ ë§í•œë‹¤. ì‚°ì‹ ë„ì— ë³´ì´ëŠ” í˜¸ëž‘ì´ ëˆˆì˜ ë™ê³µ í‘œí˜„ì„ 3가지로 나누어보았다. ì‚¬ëžŒì˜ ë™ê³µì²˜ëŸ¼ ë™ê·¸ëž—게 ìƒê²¨ 공안(孔眼). ê³ ì–‘ì´ì˜ 눈ë™ìžì™€ ê°™ì€ ë¬˜ì•ˆ(猫眼), ë¬˜ì•ˆì„ ì¶”ìƒí™”시킨 금강ì„안(金剛石眼)으로 나누었다.54) ë‘ ê°œì˜ ë§ˆë¦„ëª¨ê¼´ì´ í•©ì³ì ¸ 금강ì„ê°™ì´ ë¹›ë‚œë‹¤ê³  하여 ì´ë¦„ 붙여졌다. ê³ ì–‘ì´ì˜ ëˆˆì„ ì¶”ìƒí™”시킨 것으로 금박ì´ë‚˜ í™©ìƒ‰ì„ ì£¼ë¡œ ì“°ë©° ë²½ì‚¬ì˜ ìƒì§•ì´ ê°•í•˜ë‹¤. ë¬˜ì•ˆì€ ê³ ì–‘ì´ì˜ 눈처럼 ìƒê¸´ 것으로, <ì‚°ì‹ ë„> í˜¸ëž‘ì´ ëˆˆì—서 ë³¼ 수 있다. ë¬˜ì•ˆì€ ì™„ì „ ë§ˆë¦„ëª¨ê¼´ì€ ì•„ë‹ˆê³  가로로 긴 타ì›í˜•으로 표현ë˜ì—ˆë‹¤. ê·¸ ë°–ì˜ ì‚°ì‹ ë„ í˜¸ëž‘ì´ì— ë³´ì´ëŠ” í‘œí˜„ì€ ë°œí†±, ì´ë¹¨, 꼬리부분ì´ë‹¤. ì‚°ì‹ ë„ì— ë³´ì´ëŠ” 호랑ì´ëŠ” 대부분 ë°œí†±ì„ ë“œëŸ¬ë‚´ê³  있지 않다. 그러나 간혹 ë°œí†±ì„ ë³´ì´ê³  있는 호랑ì´ëŠ” ìš©ë§¹ì„±ì„ ê°•ì¡°í•˜ê³  있는 것으로 ë³´ì¸ë‹¤. 호랑ì´ëŠ” 위험한 ì ì„ 만나면 방어책으로 ë°œí†±ì„ ë“œëŸ¬ë‚´ê³  귀치를 드러내며 으르ë ê±°ë¦°ë‹¤ê³  한다. ì¡°ì„  호랑ì´ì˜ ë©‹ì€ ë‹¤ë¦„ì•„ë‹Œ 바로 천하를 휘ë‘를 듯 기개 넘치는 멋들어진 ê¼¬ë¦¬ì— ìžˆë‹¤ê³  ë§í•œë‹¤. ê¼¬ë¦¬ì˜ ëì´ ì‚´ì§ ê¼¬ë¶€ë¼ì ¸ 있어 í‰ì†Œ 호랑ì´ê°€ 활ë™í•  ë•Œì˜ ìƒíƒœë¥¼ 정확하게 ë°˜ì˜í•œ 것ì´ë¼ 한다.55) ì‚°ì‹ ë„ì— í‘œí˜„ëœ í˜¸ëž‘ì´ë„ 활기찬 꼬리를 하고 있다. ìž…í˜¸ì˜ ê²½ìš° 반드시 꼬리가 위로 올ë¼ê°€ 있고 좌호는 앉아 있기 ë•Œë¬¸ì— ê¼¬ë¦¬ê°€ 내려져 있다. ë˜í•œ ë³µí˜¸ì˜ ê²½ìš° 산신보위형과 ì›…í¬ë¦¬ê³  엎드려 있는 복호를 제외하고 움ì§ìž„ì´ ê°•í•˜ë‹¤.

4. 호렵ë„

호렵ë„(胡çµåœ–)는 ì¡°ì„ ì—서 18세기 ì´í›„ì— ìœ í–‰í•˜ì˜€ëŠ”ë° ê·¸ ì—°ì›ì„ 살펴본 ê²°ê³¼ 청나ë¼ì˜ 황실기ë¡í™”ì—서 유래하였ìŒì„ 알 수 있다. 청나ë¼ëŠ” ë§Œì£¼ì¡±ì´ ì„¸ìš´ 나ë¼ë¡œì„œ ë§Œì£¼ì¡±ì€ ê¸°ì‚¬ìˆ˜ë µ(騎射狩çµ) ì „í†µì„ ê°€ì§„ 유목민족ì´ì—ˆê³  ë§Œì£¼ì¡±ì€ ì´ë¥¼ 바탕으로 ì¤‘êµ­ì„ í†µì¼í•˜ì˜€ë˜ 것ì´ë‹¤. 청나ë¼ì—서는 수렵ë„를 황실기ë¡í™”로 제작하여 보관하며 ì´ë¥¼ í†µì¹˜ì— í™œìš©í•˜ì˜€ë‹¤. ì²­ í™©ì‹¤ì˜ ê¸°ë¡í™”로 그려진 수렵ë„ê°€ ì¡°ì„ ì— ì „ëž˜ëœ ê²ƒì€ ë¶€ì—°ì‚¬í–‰(赴燕使行)ì„ í†µí•œ 것으로 ë³´ì¸ë‹¤. ê·¸ëŸ°ë° ì¡°ì„ ì—서는 17세기 ì´í›„ 청나ë¼ë¡œë¶€í„° 병ìží˜¸ëž€ì„ 당한 ì´í›„ ë°°ì²­ì˜ì‹(排淸æ„è­˜)ì´ í•œì¸µ ê³ ì¡°ë˜ì—ˆë‹¤. 그럼ì—ë„ ë¶ˆêµ¬í•˜ê³  18세기 ì´í›„ì— ì²­ë‚˜ë¼ í™©ì‹¤ì˜ ì¤‘ìš”í•œ 기ë¡í™”ì¸ ìˆ˜ë µë„ê°€ ì¡°ì„ ì— ì „ëž˜ë˜ì–´ ìžë¹„대령화ì›ì˜ 녹취재ì—ë„ ì¶œì œë  ë§Œí¼ ìœ í–‰í•˜ê²Œ ë˜ì—ˆëŠ”ë°, ê·¸ê²ƒì€ ì´ì´ì œì´(以夷制夷)로 ì´í•´í•  수 있다. 청나ë¼ì˜ 기마전술(騎馬戰術)ì— ì˜í•´ ë‘ ì°¨ë¡€ì˜ í˜¸ëž€ì„ ê²ªì€ í›„ ê¸°ë§ˆì „ìˆ ì„ ê¸°ë³¸ìœ¼ë¡œ 하는 융정(戎政)ì„ ì‹œí–‰í•˜ì˜€ë˜ ì‹œëŒ€ì  ë°°ê²½ê³¼ 무관하지 않다. ê²°êµ­ ì¡°ì„ ì˜ ì™•ì‹¤ì—서는 청나ë¼ë¥¼ 극복하는 ê¸¸ì€ ì²­ë‚˜ë¼ë¥¼ 유지하는 정체성과 ê°™ì€ ê¸°ì‚¬ìˆ˜ë µì„ í†µí•œ 팔기제를 ëª¨ë°©í•˜ê³ ìž ê¸°ë§ˆì „ìˆ ì„ ì±„ìš©í•˜ì˜€ê³ , ì´ëŸ¬í•œ ê¸°ë§ˆì „ìˆ ì„ ì‹œê°ì ìœ¼ë¡œ 가장 잘 표현한 청대 수렵ë„를 ìˆ˜ìš©í•˜ì˜€ë˜ ê²ƒì´ë‹¤. ë”°ë¼ì„œ 청대수렵ë„를 ì¡°ì„ ì˜ ê´€ì ì—서 재해ì„하여 그린 ê·¸ë¦¼ì´ í˜¸ë µë„ì¸ë° ê·¸ ìš©ë„ê°€ ê°ê³„ìš©(鑑戒用)ì´ì—ˆë˜ 것ì´ë‹¤. 청대 수렵ë„를 수용하여 호렵ë„(胡çµåœ–)란 명칭으로 ê¶ì¤‘ì˜ ê°ê³„í™”(鑑戒畵)로 사용ë˜ë‹¤ê°€ ì‹œê°„ì´ ì§€ë‚¨ì— ë”°ë¼ ì €ë³€í™”ë˜ê³  토착화ë˜ë©´ì„œ ì‚¬ëŒ€ë¶€ì˜ ê°ìƒìš©(鑑賞用), 민간장ì‹ìš©ìœ¼ë¡œ ìš©ë„ê°€ ë¶„í™”ë˜ì—ˆë‹¤. 사대부가 그린 호렵ë„는 대개 여기용으로 그린 것으로 ë³´ì´ê³  민간ì—서는 장ì‹ìš©ìœ¼ë¡œ 사용하면서 벽사·길ìƒì˜ ì˜ë¯¸ë¥¼ ë§ë¶™ì¸ 것으로 ë³´ì¸ë‹¤(ë„30).56)
호렵ë„는 대체로 벽사와 길ìƒì˜ ê¸ì •ì  ì˜ë¯¸ë¥¼ ìƒì§•í•˜ë˜ í˜¸ëž‘ì´ê°€, 오랑ìºë“¤ì—게 잡히는 사냥ê°ìœ¼ë¡œ ì „ë½ë˜ê³  있다. ì´ëŸ¬í•œ 호격(虎格) 하ë½ì—는 ë™ì¢…주술(åŒç¨®å‘ªè¡“, 비슷한 ê²ƒì€ ë¹„ìŠ·í•œ ê²ƒì„ ë‚³ëŠ”ë‹¤) ê´€ë…ì´ ìž‘ìš©í•˜ê³  있는ë°, ë²½ì‚¬ë ¥ì´ ì™•ì„±í•œ 양물(陽物)ì¸ í˜¸ëž‘ì´ë¥¼ 제어할 수 ìžˆì„ ë§Œí¼ ìš©ë§¹í™œë‹¬í•œ 호ì¸(胡人)ì´ ìˆ˜ë µì˜ ì£¼ì²´ë¡œ 묘사ëœë‹¤. 즉 호랑ì´ì˜ 사나움과 ìš©ë§¹ì„±ì— ëŒ€ì  ê°€ëŠ¥í•œ 호ì¸ì˜ 활달한 기ìƒì— ì´ˆì ì„ ë‘” ê²ƒì´ í˜¸ë µë„ì´ë‹¤. ì´ëŸ¬í•œ 용맹, 기ìƒ, íž˜ì˜ ì´ë¯¸ì§€ëŠ” 무ì¸ë“¤ì˜ ë•ëª©ì— ë¶€í•©í•˜ì˜€ê³ , ì´ì— 호렵ë„는 무ì¸ë“¤ì˜ 모임ì´ë‚˜ ê·¸ë“¤ì˜ ì§‘ì•ˆ 장ì‹ìš© 병í’으로 애호ë˜ì—ˆë‹¤. 아울러 민간ì—서는 호ì¸ë“¤ì˜ í¬ì•…í•¨ì„ ê°•ì¡°í•˜ì—¬ 액막ì´ìš© 그림으로 사용하였다.57)

5. 호피ë„

호피ë„(虎皮圖)는 화면 ê°€ë“히 호랑ì´ë‚˜ í‘œë²”ì˜ í„¸ì´ ê·¸ëŒ€ë¡œ 있는 ê°€ì£½ì„ ìž¥ì‹ìœ¼ë¡œ 그린 그림ì´ë‹¤. ì§„ì§œ í˜¸ëž‘ì´ ê°€ì£½ì„ íŽ¼ì³ë†“ì€ ë“¯í•œ 형태로 그린 민화를 호피ë„(虎皮圖)ë¼ê³  하며, 호피장막ë„(虎皮帳幕圖)ë¼ê³ ë„ 한다(ë„31). 주로 ë‚±ìž¥ì˜ ê·¸ë¦¼ë“¤ì„ ë³‘í’으로 꾸민 ê²ƒì´ ë§Žë‹¤. í˜¸ëž‘ì´ í„¸ë¬´ëŠ¬ë¥¼ 사실ì ìœ¼ë¡œ 섬세하게 묘사하고 주로 황색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묵화로 ëœ ìžë£Œë„ 발견ë˜ì—ˆë‹¤. 똑 ê°™ì€ êµ¬ë„ê°€ ì—¬ëŸ ë²ˆ 반복ë˜ëŠ” 호피ë„ì˜ ë‹¨ì¡°ë¡œìš°ë©´ì„œë„ ë°•ë ¥ìžˆëŠ” í™”í’ì€ ì‚¬ëžŒì„ ì••ë„하는 ëŠë‚Œì„ 주고, 특히 í‘œë²”ì˜ ê°€ì£½ì„ ë¬˜ì‚¬í•œ 바둑무늬가 별다른 ì˜ë¯¸ì—†ì´ 마ìŒëŒ€ë¡œ ë„려진 호피ë„는 í˜„ëŒ€ì  ê°ê°ì— ì§ê²°ë˜ëŠ” ê¹Œë‹­ì— ê²½ì•…ì„ ëŠë¼ê²Œ 한다는 í‰ì„ ë°›ê¸°ë„ í•œë‹¤. í˜¸ëž‘ì´ ê°€ì£½ ì™¸ì— í‘œë²” ê°€ì£½ì„ ê·¸ë¦° ê²ƒë„ ë§Žì€ë°, 무늬를 매우 세밀하게 그려 미학ì ì¸ 가치를 ë¶€ê°ì‹œí‚¤ê³  있다. 우리 나ë¼ì—서는 줄범ì´ë‚˜ í‘œë²”ì„ ì°¨ë³„ ì—†ì´ í˜¸ëž‘ì´ë¼ê³  부르기 ë•Œë¬¸ì— í‘œë²”ì˜ ê°€ì£½ê·¸ë¦¼ë„ í‘œí”¼ë„(豹皮圖)ë¼ê³  하지 않고 호피ë„로서 통용ë˜ê³  있다. 호피ë„는 책거리 그림과 마찬가지로 장ì‹ì„±ì— ì—­ì ì„ ë‘ê³  있으나, 장ì‹ì ì¸ ìš©ë„ë§Œ 있는 ê²ƒì€ ì•„ë‹ˆê³  잡귀를 쫓는 액막ì´ë¡œì„œì˜ 벽사용 ì—­í• ì„ í•˜ì˜€ë‹¤.58) 혼례 때 신부가 타는 ê°€ë§ˆì˜ ë®ê°œë¡œ 호피 ê·¸ë¦¼ì„ ì‚¬ìš©í–ˆëŠ”ë°(ë„32), 처ìŒì—는 ì§„ì§œ 호피를 사용하다가 호피가 귀해진 후부터는 호피무늬 담요를 대신 ì¼ë‹¤.
모피는 ê·¸ ìžì²´ê°€ í¬ì†Œí• ë¿ë”러 복잡한 제작 ê³µì •ì„ ê±°ì³ì•¼ 했기 때문ì—, 대단히 ê³ ê°€ì— ê±°ëž˜ë˜ì—ˆë‹¤. ë”°ë¼ì„œ 모피는 단순한 ì˜ë³µìž¬ë£Œë¡œì„œì˜ 가치ë¿ë§Œ 아니ë¼, 권위와 ì‹ ë¶„ì„ ê³¼ì‹œí•˜ëŠ” 위신재(å¨èº«è²¡), êµ­ê°€ ê°„ì˜ ë¬´ì—­í’ˆ, ë¶€ìœ ì¸µì˜ ì‚¬ì¹˜í’ˆìœ¼ë¡œ 선호ë˜ì–´ì™”다.59) ì¼ì œê°•ì ê¸°ì—ë„ í˜¸ëž‘ì´ ê°€ì£½ì€ ì¼ë³¸ì—서 귀히 여겨져, ìˆœì‚¬ë“¤ì€ í˜¸ëž‘ì´ë¥¼ 잡아 ê·¸ ê°€ì£½ì„ ë²—ê²¨ ê³ êµ­ì˜ ê³ ê´€ë“¤ì—게 선물로 주는 ì¼ì„ ìžëž‘스럽게 여겼다.60) ì´ ë‚˜ë¼ ì € 나ë¼ì—서 ê³ ê´€ë“¤ì€ í˜¸ëž‘ì´ë‚˜ í‘œë²”ì˜ ê°€ì£½ì„ ìžê¸°ì˜ ê¶Œë ¥ì„ ê³¼ì‹œí•˜ëŠ” ìƒì§•ì ì¸ 징표로 사용했다. 그런 ê°€ì£½ë“¤ì„ ì´ì²˜ëŸ¼ 권위주ì˜ì˜ 징표로 사용하는 ì¼ì€ 지구 ì´ê³³ì €ê³³ì—서 나타나곤 í–ˆë˜ í’습ì´ê¸°ë„ 하다.61)
ì´ ë°–ì—ë„ ë¯¼í™” 중ì—는 모란 그림ì´ë‚˜ 십장ìƒë„, ì–´í•´ë„ ë“±ì˜ ì¼ë¶€ì— 호랑ì´ë¥¼ 집어넣어 í™”ë©´ì„ êµ¬ì„±í•˜ê³  있는 ìž¥ë©´ì„ ë³¼ 수 있다.

40) 윤열수, 「한국 전통예술과 호랑ì´ã€, 『12지신 호랑ì´ã€(ìƒê°ì˜ 나무, 2009), 188-192쪽.
41) í™ì„ í‘œ, ã€Œí•œêµ­ì˜ ì˜ëª¨í™”ã€, 『국보 10호 회화ã€(ì›…ì§„ì¶œíŒì‚¬, 1992), 242-243쪽.
42) 성현, 『용재ì´í™”ã€, ì œ2ê¶Œ, “섣달 ê·¸ë¯ë°¤ì˜ ì „ë‚ ì—는 (中略) ì´ë¥¸ ìƒˆë²½ì— ê·¸ë¦¼ì„ ê·¸ë¦° 종ì´ë¥¼ 문, ì°½, ì‚¬ë¦½ë¬¸ì— ë¶™ì¸ë‹¤. ê·¸ ê·¸ë¦¼ì€ (中略) ë˜ëŠ” ë‹­, í˜¸ëž‘ì´ ë“±ì˜ ê·¸ë¦¼ 따위ì´ë‹¤.(é™¤å¤œå‰æ—¥(中略)淸辰附畵物於門戶窓扉(中略)畵鷄虎之類也)â€
43) ì´í•­,「대한민국 êµ­ê°€ìƒì§•ë™ë¬¼ë¡œì„œì˜ 호랑ì´ã€, 『경주민화í¬ëŸ¼ 2014, 꽃 피고 새 울제ã€(한국민화센터, 2014), 97-100쪽.;“…옛날ì—는 ì¤„ë²”ì„ ì°¸í˜¸ëž‘ì´ë¼ê³  불렀고 í‘œë²”ì„ ê°œí˜¸ëž‘ì´ë¼ê³  불렀답니다.…â€ì¡°ìžìš©, 『청소년ì—게 드리는 í•œì–¼ì˜ ë¯¸ìˆ ã€(ì—밀레미술관, 1971), 34쪽.
44) 윤열수,『민화ì´ì•¼ê¸°ã€(ë””ìžì¸í•˜ìš°ìФ, 1995), 127-137쪽.
45) 윤진ì˜,「조선중·후기 è™Žåœ–ì˜ ìœ í˜•ê³¼ ë„ìƒ-ê¸°ë…„ìž‘ì„ ì¤‘ì‹¬ìœ¼ë¡œã€,『장서ê°ã€28(한국학중앙연구ì›, 2012. 10), 192쪽.
46) í™ì„ í‘œ, 「만력 임진년(1592) ì œìž‘ì˜ <호작ë„>: 한국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ë¥˜ã€,『조선회화ã€(한국미술연구소, 2014), 384-390쪽. ; “대개 측면으로 그려진 ëª¸ì²´ì— ì •ë©´ì„ í–¥í•´ ì–¼êµ´ì„ ëŒë¦¬ê³  걸어가고 있는 ìžì„¸ë¡œ 그려지는 ì¼ë ¨ì˜ 호랑ì´ë“¤ì„ 출산호(出山虎)ë¼ëŠ” ì´ë¦„으로 묶어볼 수 있다. 出山虎(ë˜ëŠ” 出林虎)는 ê¸€ìž ê·¸ëŒ€ë¡œ ‘산ì—서 나온 호랑ì´â€™ë¼ëŠ” ëœ»ì„ ë‹´ê³  있는ë°, 여기ì—는 ‘호랑ì´ê°€ ìžì‹ ì˜ 주거지ì—서 나와 ëŒì•„다니다(橫行, å·¡é¶)’ë¼ê³  하는 ì˜ë¯¸ê¹Œì§€ í¬í•¨í•œë‹¤ 하겠다.…좌호(å虎)는 간단히 ë§í•´ 앉아있는 호랑ì´ë¥¼ 가리키는ë°, 보통 제화시ì—서는 è¹²(ì›…í¬ë¦´ 준)ê³¼ 踞(ì›…í¬ë¦´ ê±°)ë¼ëŠ” å­—ë¡œì¨ í‘œí˜„ëœë‹¤. ‘蹲踞(í˜¹ì€ è¸žè¹²)’는 ë¬´ë¦Žì„ ì„¸ìš°ê³  ì›…í¬ë ¤ 앉아 있는 양태를 나타내는 ë§ë¡œì„œ, ‘虎踞(호랑ì´ì²˜ëŸ¼ ë¬´ë¦Žì„ ì„¸ìš°ê³  앉ìŒ)’와 ê°™ì´ ê´€ìš©ì–´ë¡œ ì‚¬ìš©ë  ë§Œí¼ í˜¸ëž‘ì´ì˜ 특징ì ì¸ ìžì„¸ë¥¼ ì¼ì»«ëŠ”ë‹¤ê³  하겠다.â€ì´ì œì›, 「ë™ì•„시아 í˜¸ëž‘ì´ ê·¸ë¦¼ 연구-‘出山虎’와 ‘å虎’를 중심으로-ã€(ì´í™”ì—¬ìžëŒ€í•™êµ ëŒ€í•™ì› ì„사학위논문, 2005), 10-13쪽.
47) 허균,ã€Ží—ˆê· ì˜ ìš°ë¦¬ 민화 ì½ê¸°ã€(ë¶í´ë¦¬ì˜¤, 2006), 91-96쪽.
48) 윤열수, ì•žì˜ ì±…, 133-135쪽.
49) 정병모,「민화 용호ë„ì˜ ë„ìƒì  ì—°ì›ê³¼ 변모양ìƒã€,『강좌미술사ã€37ê¶Œ(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259-282쪽.
50) 윤열수, ì•žì˜ ì±…, 135쪽.
51) 정효심,「19세기 후반 ì‚°ì‹ ë„ì— í‘œí˜„ëœ í˜¸ëž‘ì´ ì—°êµ¬ã€,『미술사와 문화유산ã€2(ëª…ì§€ëŒ€í•™êµ ë¬¸í™”ìœ ì‚°ì—°êµ¬ì†Œ, 2013), 181-208쪽.
52) 윤진ì˜, ì•žì˜ ë…¼ë¬¸, 197-201쪽. 호랑ì´ì™€ í‘œë²”ì˜ ë„ìƒì€ ì„ í–‰ì—°êµ¬ì— ì˜í•˜ë©´ ëª…ë‚˜ë¼ ë²•ì „ì¸ ã€Žå¤§æ˜Žæœƒå…¸ã€ì˜ ë„ìƒì„ 따른 것ì´ë¼ 한다. ëª…ëŒ€ì˜ í˜¸í‘œí‰ë°°ëŠ” 15ì„¸ê¸°ì— ì „ëž˜ëœ ì‚¬ë¡€ê°€ ë§Žì•˜ëŠ”ë° ì´ë•Œ 건너온 ëª…ëŒ€ì˜ í‰ë°°ëŠ” ì¡°ì„ ì‹ í˜¸í‘œí‰ë°°ì˜ 선행양ì‹ì´ ë˜ì—ˆì„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53) 『삼재ë„íšŒã€ é³¥ç¸ ê¶Œ3. … 若鋸夜視市以一目放光一目物…“;『오주연문장전산고ã€ã€Œì•ˆë™ê°ìš©ë³€ì¦ì„¤(眼瞳å„用辨證設)ã€, â€â€¦è™Žå¤œè¡Œâ€¦â€¦ç›®æ”¾å…‰ä¸€ç›®çœ‹ç‰©â€¦â€œ, 한국고전종합DB.; 정효심, ì•žì˜ ë…¼ë¬¸, 198쪽. 재ì¸ìš©.
54) 구본호는 ë¯¼í™”ì— ë“±ìž¥í•˜ëŠ” 호랑ì´ì˜ ë™ê³µì„ 點眼, 孔眼, 金剛石眼, 猫眼, 三角眼, 鬼眼 등으로 나누었다. í˜¸ëž‘ì´ ëˆˆì˜ í˜•íƒœì— ë”°ë¼ ìž‘ê°€ê°€ ë‚˜íƒ€ë‚´ê³ ìž í–ˆë˜ ì˜ë¯¸ë¥¼ 벽사ì , í¬ë³´ì , í’ìžì ì˜ë¯¸ë¡œ 분류하였다. 구본호,ã€Œë¯¼í™”ì— ë‚˜íƒ€ë‚œ 호랑ì´ì˜ 눈 연구ã€, 『예술논문집ã€13(ë¶€ì‚°ëŒ€í•™êµ ì˜ˆìˆ ëŒ€í•™, 1998), 370쪽; 정효심, ì•žì˜ ë…¼ë¬¸, 재ì¸ìš©
55) 오주ì„, 『옛 그림 ì½ê¸°ì˜ ì¦ê±°ì›€ã€(솔, 2006), 40-41쪽. 정효심, ì•žì˜ ë…¼ë¬¸, 199쪽. 재ì¸ìš©
56) ì´ìƒêµ­,「조선 í›„ê¸°ì˜ í˜¸ë µë„ì˜ ìˆ˜ìš©ê³¼ ìš©ë„ã€,『한국민화ã€3호(한국민화학회, 2012), 56-89쪽.
57) 엄소연,「조선시대 í˜¸ëž‘ì´ ë¯¼í™”ì˜ ë™ë¬¼ ìƒì§• ë° ê·¸ ì‚¬íšŒì  ë§¥ë½ã€, 『조형예술학연구ã€6(2004), 53-54쪽.
58) 윤열수,「호피ë„ã€,『å‰ç¥¥, 우리 채색화 걸작전ã€(가나아트센터, 2013), 256쪽.
59) â€œì¤‘êµ­ì˜ ì˜› 기ë¡ì„ ë³´ë©´ ê³ ì¡°ì„  시대부터 ëª¨í”¼ì˜ ìˆ˜ì¶œì´ ì´ë£¨ì–´ì¡Œìœ¼ë©°, 『후한서(後漢書)ã€ì˜ 기ë¡ì— 따르면 ê°•ì›ë„와 í•¨ê²½ë‚¨ë„ ì§€ì—­ì— ìœ„ì¹˜í•œ 예(濊)ì—서는 무늬 있는 표범(文豹)ì´ ë‚œë‹¤ê³  하였다. 조선시대ì—ë„ í•¨ê²½ë„와 í‰ì•ˆë„, ê°•ì›ë„ ì¼ëŒ€ëŠ” 모피를 ìƒì‚°í•˜ëŠ” 대표ì ì¸ 지역ì´ì—ˆë‹¤. ì´ë³´ë‹¤ ë” ë¶ìª½ ì§€ì—­ì¸ ë§Œì£¼ëŠ” 모피ë™ë¬¼ì´ ì‚´ì•„ê°€ê¸°ì— ì¢‹ì€ ê³³ì´ì—ˆë‹¤. ë”°ë¼ì„œ 부여와 고구려는 모피 ìƒì‚°ì´ 활발할 수 있었다.â€ê¹€ìš©ë§Œ, 「모피와 한국사, ë°©í•œë³µì„ ë„˜ì–´ ì‹ ë¶„ê³¼ ê¶Œë ¥ì„ ìƒì§•하는 품목ã€, 네ì´ë²„ìºìŠ¤íŠ¸ [한국 ìƒí™œì‚¬] 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41&contents_id=9299
60) 예컨대, 1922ë…„ì— ì£¼ìž¬ì†Œì— ê·¼ë¬´í•˜ë˜ ì¼ë³¸ì¸ 미야케(三宅) 순사는, ê²½ì£¼ì˜ ëŒ€ë•ì‚°ì—서 김유근 할아버지를 ë¬¼ì€ í˜¸ëž‘ì´ë¥¼ 몰ì´ê¾¼ë“¤ì˜ ë„움으로 사살한 후, ê·¸ ê°€ì£½ì„ ê·¸ ë¬´ë µì— ê²½ì£¼ë¥¼ 방문한 ì¼ë³¸ 황족ì—게 í—Œìƒí–ˆë‹¤. ì—”ë„키미오(é è—¤å…¬ç”·) ì§€ìŒ, ì´ì€ì˜¥ 옮김, 『한국 호랑ì´ëŠ” 왜 사ë¼ì¡ŒëŠ”ê°€?ã€(ì´ë‹´, 2009), 342-343쪽.
61) 안건훈, 「í¬ê·€ì„± 멸종위기ë™ë¬¼ ë³µì›ì˜ 필요성과 ê·¸ 대책(â…¡)-호랑ì´ë¥¼ 중심으로-ã€,『환경철학ã€9ê¶Œ(한국환경철학회, 2010), 117-144쪽.

â…£. 맺ìŒë§

ì´ìƒì—서 세화와 ë¶€ì ì— 그려진 í˜¸ëž‘ì´ ê·¸ë¦¼ê³¼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ë¹„ë¡¯í•˜ì—¬ 용호ë„, ì‚°ì‹ ë„, 호렵ë„, í˜¸í”¼ë„ ë“± 여러 ìœ í˜•ì˜ í˜¸ëž‘ì´ ê´€ë ¨ ê·¸ë¦¼ì„ ì‚´íŽ´ë³´ì•˜ë‹¤.
세화는 질병ì´ë‚˜ 재난 ë“±ì˜ ë¶ˆí–‰ì„ ì‚¬ì „ì— ì˜ˆë°©í•˜ê³  한해 ë™ì•ˆ í–‰ìš´ì´ ê¹ƒë“¤ì´ê¸°ë¥¼ 기ì›í•˜ëŠ” 벽사ì ì´ê³  기복ì ì¸ ì„±ê²©ì„ ë ê³  ì „ê°œë˜ì—ˆìœ¼ë©°, 새해 ì²«ë‚ ì˜ ì„¸ì‹œí’ì†ì˜ 하나로 ì´ë£¨ì–´ì¡Œë‹¤. ì¼ë°˜ 민간ì—서는 ë™ë¬¼ ì¤‘ì— ë²½ì‚¬ë ¥ì„ ì§€ë‹Œ 것으로 ë¯¿ì–´ì ¸ì˜¤ë˜ ë‹­ê³¼ 호랑ì´ë¥¼ 비롯하여 해태 ëª¨ì–‘ì˜ ì‚¬ìžì™€ 개를 그려 붙였으며, 삼재(三ç½)ê°€ ë“  í•´ì—는 특별히 매 ê·¸ë¦¼ì„ ë¶™ì˜€ë‹¤. í˜¸ëž‘ì´ ë¶€ì ì€ 삼재를 ì«“ê³  ìžì†ì°½ì„±ì„ ë„ìš°ë©° ì—…ìž¥ì„ ì†Œë©¸ì¼€ 하고 ë²¼ìŠ¬ê¸¸ì„ ì—´ì–´ì¤€ë‹¤ê³  했다. 주사로 그린 í˜¸ëž‘ì´ ë¶€ì ì„ 지니면 병귀가 달아나고 출입문 ìœ„ì— ë¶™ì—¬ë‘ë©´ ê·€ì‹ ì„ ì«“ëŠ”ë‹¤ê³  했다. í˜¸ëž‘ì´ ë¶€ì ì€ 호랑ì´ë§Œ 나타나는 ë¶€ì , 호랑ì´ì™€ 매가 함께 그려진 ë¶€ì , 그리고 호랑ì´ì™€ ìš©, 호랑ì´ì™€ 현무 ë“±ì´ ê·¸ë ¤ì§„ ë¶€ì  ë“±ìœ¼ë¡œ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로부터 우리 ë¯¼ì¡±ì€ í˜¸ëž‘ì´ì™€ í‘œë²”ì„ í•œ 종류로 ë³´ê³  ë²”ì´ë¼ê³  통칭했었다. 민화ì—는 í”히 ì´ ë‘˜ì˜ ê´€ê³„ë¥¼ 암수 ë˜ëŠ” 어미와 새ë¼ë¡œ 표현했다. ë¯¼í™”ì— ë“±ìž¥í•˜ëŠ” í•œêµ­ì˜ í˜¸ëž‘ì´ë“¤ì€ 사납고 í—˜ìƒê¶‚ì€ ëª¨ìŠµì´ ì•„ë‹ˆë¼ ì ìž–게 ìž…ì„ ë‹¤ë¬¼ê³  있거나 í˜¹ì€ ë¹™ê·¸ë ˆ 웃ìŒì„ 머금고 있거나 때로는 ë°”ë³´ê°™ì€ ìš°ìŠ¤ê½ìŠ¤ëŸ¬ìš´ ëª¨ìŠµì„ í•˜ê³  있다.
호랑ì´ì˜ ëª¨ìŠµì€ ë‹¨ë…으로 ê·¸ë ¤ì§€ê¸°ë„ í•˜ê³  여러 마리가 ê·¸ë ¤ì§€ê¸°ë„ í•œë‹¤. ì†Œë‚˜ë¬´ì— ì•‰ì€ ê¹Œì¹˜ì™€ 함께 그려지는 í˜¸ëž‘ì´ ê·¸ë¦¼ì´ ë‹¨ì—° 민화 í˜¸ëž‘ì´ ê·¸ë¦¼ì˜ ë‹¤ìˆ˜ë¥¼ 차지한다고 하겠다. ë˜ ìš©ê³¼ 함께 그려지는 용호ë„, 산신령과 함께 그려진 ì‚°ì‹ ë„, ìœ ëª©ë¯¼ì¡±ì˜ ì‚¬ëƒ¥ 장면 ì†ì— 호랑ì´ê°€ 등장하는 호렵ë„, 그리고 호랑ì´ë‚˜ í‘œë²”ì˜ ê°€ì£½ì„ ê·¸ë¦° í˜¸í”¼ë„ ë“±ì´ ë¯¼í™” í˜¸ëž‘ì´ ê·¸ë¦¼ì˜ ìœ í˜•ì— ì†í•œë‹¤ê³  í•  수 있다.
최근 ì—°êµ¬ì— ì˜í•˜ë©´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ê·¸ ë„ìƒì´ ì›ëŒ€ì— 정립ë˜ì–´ ë²”ë™ì•„ì‹œì•„ì  ì œìž¬ë¡œ í™•ì‚°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특히 조선후기 ì´í›„ì˜ ë¯¼í™”í™”ëœ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ë‹¤ì–‘í•œ 표현방법과 ë”불어 ë™ì•„시아ì—서 가장 ë§Žì´ ê·¸ë ¤ì§„ 것ì´ë‹¤. 중국ì—서는 까치와 í‘œë²”ì„ í•¨ê»˜ 그려 ‘기ì¨ì„ 전한다(報喜)’는 ëœ»ì„ ê°–ê²Œ ë˜ë©° ì—¬ê¸°ì— ì •ì›”ì„ ëœ»í•˜ëŠ” 소나무가 함께 있으면 ‘새 해를 ë§žì•„ ê¸°ìœ ì†Œì‹ì´ 들어온다(新年報喜)’는 뜻으로 통용ëœë‹¤.
용과 호랑ì´ê°€ 함께 나타나는 용호ë„는 ì˜ì›…ì´ë‚˜ 왕과 ê°™ì€ ê¶Œìœ„ì™€ ìœ„ì—„ì„ ìƒì§•하는 것ì—서 시작했는ë°, 용과 호랑ì´ë¥¼ ì •ì´ˆì— ëŒ€ë¬¸ ì•žì— ë¶™ì´ëŠ” 문신 í˜¹ì€ ë¬¸ë°°ì˜ í’ì†ìœ¼ë¡œ ì „ê°œë˜ì—ˆë‹¤. 세시í’ì†ìš©ì˜ 용호ë„는 바로 용수오복(é¾è¼¸äº”ç¦)ê³¼ 호축삼재(虎é€ä¸‰ç½)ì˜ ê¸¸ìƒê³¼ 벽사를 ìƒì§•하는 문배ë„ì´ë‹¤. 민화 용호ë„는 ì ì°¨ í•´í•™ì ì¸ ì´ë¯¸ì§€ë¡œ 변화ë˜ê¸°ë„ 하고, 그림 대신 글ìžë¥¼ ì¨ì„œ ê·¸ ë²½ì‚¬ì  ê¸°ëŠ¥ì„ ëŒ€ì‹ í•˜ê²Œ 하는 ê²½ìš°ë„ ìžˆë‹¤.
ì‚°ì‹ ë„ì—서 호랑ì´ëŠ” ì‚°ì‹ ì´ íƒ€ê³  다니는 것으로, í˜¹ì€ ì‚°ì‹ ì˜ ì‹¬ë¶€ë¦„ê¾¼ìœ¼ë¡œ ì‚°ì‹ ê³¼ 함께 등장하는ë°, 서 있는 ìžì„¸ì˜ 입호(立虎), 앉아 있는 ìžì„¸ì¸ 좌호(å虎), 엎드려 있는 ìžì„¸ì¸ 복호(ä¼è™Ž) 등으로 나눌 수 있다. ê°€ì£½ì˜ ë¬´ëŠ¬ë„ ê°ê° 호랑ì´ì™€ í‘œë²”ì˜ ë¬´ëŠ¬ë¥¼ 하고 있는 것과 호표(虎豹) 무늬가 섞여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ë°, ì‚°ì‹ ë„ì—서는 호표무늬가 섞여 있는 경우가 가장 많다. ì´ë ‡ê²Œ 호랑ì´ì™€ í‘œë²”ì„ ë‹¨ì¼ ë™ë¬¼ì˜ ì´ë¯¸ì§€ë¡œ 만들어낸 ê²ƒì€ ì¤‘êµ­ì´ë‚˜ ì¼ë³¸ì˜ 호랑ì´ì—서 ë³¼ 수 없는 조선시대 í˜¸ëž‘ì´ ê·¸ë¦¼ì˜ í•œ 특징으로 ë³´ì¸ë‹¤. í˜¸í‘œì˜ ê²½ìš° 주로 ëª¸ì€ í˜¸ëž‘ì´ ë¬´ëŠ¬ì¸ë° 가슴과 얼굴, 등 ë¶€ë¶„ì— í‘œë²” 무늬를 하고 있다.
호렵ë„는 청나ë¼ì˜ 황실기ë¡í™”ì—서 유래하여 18세기 ì´í›„ ì¡°ì„ ì—서 유행한 그림ì´ë‹¤. 청나ë¼ì—서는 수렵ë„를 황실기ë¡í™”로 제작하여 보관하며 ì´ë¥¼ í†µì¹˜ì— í™œìš©í•˜ì˜€ëŠ”ë°, ì´ê²ƒì´ ì¡°ì„ ì— ì „ëž˜ëœ ê²ƒì€ ì¤‘êµ­ 사행(使行)ì„ í†µí•´ì„œì˜€ë‹¤. 병ìží˜¸ëž€ ì´í›„ ë°°ì²­ì˜ì‹(排淸æ„è­˜)ì—ë„ ë¶ˆêµ¬í•˜ê³  ì¡°ì„ ì€ ì²­ë‚˜ë¼ë¥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나ë¼ì˜ ê¸°ì‚¬ìˆ˜ë µì„ í†µí•œ 팔기제를 ëª¨ë°©í•˜ê³ ìž ê¸°ë§ˆì „ìˆ ì„ ì±„ìš©í•˜ì˜€ê³ , ì´ëŸ¬í•œ ê¸°ë§ˆì „ìˆ ì„ ì‹œê°ì ìœ¼ë¡œ 잘 표현한 청대 수렵ë„를 수용하였다. ë”°ë¼ì„œ 청대 수렵ë„를 ì¡°ì„ ì˜ ê´€ì ì—서 재해ì„하여 그린 ê·¸ë¦¼ì´ í˜¸ë µë„ì¸ë°, ê¶ì¤‘ì˜ ê°ê³„ìš©ì—서 저변화ë˜ì–´ ì‚¬ëŒ€ë¶€ì˜ ê°ìƒìš©ê³¼ 민간장ì‹ìš©ìœ¼ë¡œê¹Œì§€ ìš©ë„ê°€ ë¶„í™”ë˜ì—ˆë‹¤. 민간 장ì‹ìš© 호렵ë„ì˜ ê²½ìš° 벽사·길ìƒì˜ ì˜ë¯¸ë¥¼ ë„었다. 호렵ë„ì— ê·¸ë ¤ì§„ 호랑ì´ëŠ” 오랑ìºë“¤ì—게 잡히는 사냥ê°ìœ¼ë¡œ ì „ë½í•˜ê³  반면 ìˆ˜ë µì˜ ì£¼ì²´ì¸ í˜¸ì¸(胡人)ì˜ ìš©ë§¹í™œë‹¬í•œ 기ìƒê³¼ ì´ë¯¸ì§€ëŠ” 무ì¸ë“¤ì˜ 모임ì´ë‚˜ ê·¸ë“¤ì˜ ì§‘ì•ˆ 장ì‹ìš© 병í’으로 애호ë˜ì—ˆë‹¤.
호피ë„는 화면 ê°€ë“히 호랑ì´ë‚˜ í‘œë²”ì˜ í„¸ì´ ê·¸ëŒ€ë¡œ 있는 ê°€ì£½ì„ ìž¥ì‹ìœ¼ë¡œ 그린 그림ì´ë‹¤. 호피ë„는 장ì‹ì ì¸ ìš©ë„와 함께 잡귀를 쫓는 액막ì´ë¡œì„œì˜ 벽사용 ì—­í• ì„ í•˜ì˜€ë‹¤. 한편 ê³ ëŒ€ì˜ ëª¨í”¼ëŠ” ê·¸ ìžì²´ê°€ í¬ì†Œí•˜ê³  복잡한 제작 ê³µì •ì„ ê±°ì³ì•¼ 했기 ë•Œë¬¸ì— ê³ ê°€ì— ê±°ëž˜ë˜ì—ˆëŠ”ë°, 단순한 ì˜ë³µìž¬ë£Œë¡œì„œì˜ 가치ë¿ë§Œ ì•„ë‹ˆë¼ ê¶Œìœ„ì™€ ì‹ ë¶„ì„ ê³¼ì‹œí•˜ëŠ” 위신재(å¨èº«è²¡), êµ­ê°€ ê°„ì˜ ë¬´ì—­í’ˆ, ë¶€ìœ ì¸µì˜ ì‚¬ì¹˜í’ˆìœ¼ë¡œ 선호ë˜ì—ˆë‹¤. ì´ ë‚˜ë¼ ì € 나ë¼ì—서 ê³ ê´€ë“¤ì€ í˜¸ëž‘ì´ë‚˜ í‘œë²”ì˜ ê°€ì£½ì„ ìžê¸°ì˜ ê¶Œë ¥ì„ ê³¼ì‹œí•˜ëŠ” ìƒì§•ì ì¸ 징표로 사용했다.
호랑ì´ëŠ” ìš°ë¦¬ë‚˜ë¼ ì‚¬ëžŒë§Œì´ ì•„ë‹ˆë¼ ì „ 세계ì¸ì´ 좋아하는 ë™ë¬¼ì´ë‹¤. 하지만 우리나ë¼ì²˜ëŸ¼ í˜¸ëž‘ì´ ì´ì•¼ê¸°ë¥¼ ë§Žì´ ê°€ì§„ 나ë¼ëŠ” ì—†ì„ ê²ƒì´ë‹¤. 오래 ì „ ì´ ë•…ì—서는 í˜¸í™˜ì´ ë§Žì•˜ìœ¼ë¯€ë¡œ 호랑ì´ì— 대한 ë‘ë ¤ì›€ì´ ì—­ìœ¼ë¡œ 호랑ì´ì— 대한 숭배나 ê²½ë°°ì˜ ê°ì •ì„ ë¶ˆëŸ¬ ì¼ìœ¼ì¼°ìœ¼ë©°, 호랑ì´ì˜ ìš©ë§¹í•¨ì„ ë²½ì‚¬ì˜ í‘œìƒìœ¼ë¡œ 삼아 세화와 문배, ë¶€ì  ë“±ì— í™œìš©í•˜ê¸°ë„ í•˜ì˜€ë‹¤. 민화 호랑ì´ëŠ” 호랑ì´ì™€ í‘œë²”ì˜ êµ¬ë¶„ ì—†ì´ í˜¼ìš©ë˜ì–´ 표현하고, í•´í•™ì ì¸ 모습으로 그려진 ê²ƒì´ ë§Žì•„ 우리 ë¯¼ì¡±ì´ í˜¸ëž‘ì´ë¥¼ ë‘ë ¤ì›Œí•˜ë©´ì„œë„ í•œíŽ¸ìœ¼ë¡œëŠ” 친근하게 ìƒê°í–ˆë˜ 것으로 ì´í•´í•  수 있다.

참고문헌 ë° ìžë£Œ

ê°•ê´€ì‹, 『조선후기 ê¶ì¤‘í™”ì› ì—°êµ¬ã€ìƒ, ëŒë² ê°œ, 2001.
국립민ì†ë°•물관,『한국 í˜¸ëž‘ì´ ë¯¼ì˜ˆì¡°ã€, 국립민ì†ë°•물관, 1988.
국립민ì†ë°•물관 편, 『조선대세시기-ê²½ë„잡지, 열양세시기, ë™êµ­ì„¸ì‹œê¸°ã€, 국립민ì†ë°•물관, 2007.
ê¹€ì˜ìž, ã€Ží•œêµ­ì˜ ë²½ì‚¬ë¶€ì ã€, 대ì›ì‚¬, 2008.
김윤정, 「æœé®®å¾ŒæœŸ 歲畵 ç¡ç©¶ã€, ì´í™”ì—¬ìžëŒ€í•™êµ ëŒ€í•™ì› ì„사학위논문, 2002.
김윤정, 「조선 ì¤‘ê¸°ì˜ æ­²ç•µ í’습 – 16세기를 중심으로ã€, 『ìƒí™œë¬¸ë¬¼ì—°êµ¬ã€ì œ5호, 국립민ì†ë°•물관, 2002, 7.
김종대, 『33가지 ë™ë¬¼ë¡œ 본 ìš°ë¦¬ë¬¸í™”ì˜ ìƒì§•세계ã€, 다른세ìƒ, 2001.
김호근, 윤열수 ì—®ìŒ, 『한국 호랑ì´ã€, 열화당, 1986.
안건훈, 「í¬ê·€ì„± 멸종위기ë™ë¬¼ ë³µì›ì˜ 필요성과 ê·¸ 대책(â…¡)-호랑ì´ë¥¼ 중심으로-ã€,『환경철학ã€9ê¶Œ, 한국환경철학회, 2010, 117-144쪽.
엄소연, 「조선시대 í˜¸ëž‘ì´ ë¯¼í™”ì˜ ë™ë¬¼ ìƒì§• ë° ê·¸ ì‚¬íšŒì  ë§¥ë½ã€, 『조형예술학연구ã€6, 2004. 33-59쪽.
ì—”ë„키미오(é è—¤å…¬ç”·) ì§€ìŒ, ì´ì€ì˜¥ 옮김, 『한국 호랑ì´ëŠ” 왜 사ë¼ì¡ŒëŠ”ê°€?ã€, ì´ë‹´, 2009.
엘리ìžë² ìФ 키스.엘스펫 K. 로버트슨 스콧 ì§€ìŒ, 송ì˜ë‹¬ 옮김, 『ì˜êµ­í™”ê°€ 엘리ìžë² ìФ í‚¤ìŠ¤ì˜ ì½”ë¦¬ì•„ 1920~1940ã€, ì±…ê³¼ 함께, 2006
윤열수, 『민화ì´ì•¼ê¸°ã€, ë””ìžì¸í•˜ìš°ìФ, 1995, 127-137쪽.
윤열수, 『산신ë„ã€, 대ì›ì‚¬, 1998
윤열수, 「호피ë„ã€, 『å‰ç¥¥, 우리 채색화 걸작전ã€, 가나아트센터, 2013. 256쪽,
윤진ì˜, 「조선중·후기 è™Žåœ–ì˜ ìœ í˜•ê³¼ ë„ìƒ-ê¸°ë…„ìž‘ì„ ì¤‘ì‹¬ìœ¼ë¡œã€,『장서ê°ã€28, 한국학중앙연구ì›, 2012. 10, 192-234쪽.
ì´ëˆìˆ˜.ì´ìˆœìš°,『꼬레아 ì— ê¼¬ë ˆì•„ë‹ˆã€(사진해설íŒ), 하늘재, 2009.
ì´ì‚¬ë²¨ë¼ 버드 ë¹„ìˆ ì§€ìŒ, ì´ì¸í™” 옮김,『한국과 ê·¸ ì´ì›ƒë‚˜ë¼ë“¤ã€, 살림, 1994.
ì´ìƒêµ­, 「조선 í›„ê¸°ì˜ í˜¸ë µë„ã€,『한국민화ã€ì œ1ì§‘, 한국민화학회, 2009, 135-173쪽
ì´ìƒêµ­, 「조선 í›„ê¸°ì˜ í˜¸ë µë„ì˜ ìˆ˜ìš©ê³¼ ìš©ë„ã€,『한국민화ã€3호, 한국민화학회, 2012, 56-89쪽.
ì´ì„±ë¯¸.ê¹€ì •í¬ ê³µì €,『한국회화사용어집ã€, 다할미디어, 2003.
ì´ì–´ë ¹ 외, 『십ì´ì§€ì‹  호랑ì´ã€, ìƒê°ì˜ 나무, 2009.
ì´ì›ë³µ, 「조선시대 í˜¸ëž‘ì´ ê·¸ë¦¼(虎圖)ì˜ íŠ¹ì§•ã€, 『경주민화í¬ëŸ¼ 2014, 꽃 피고 새 울제ã€, 한국민화센터, 2014, 51-73쪽.
ì´ì œì›, 「ë™ì•„시아 í˜¸ëž‘ì´ ê·¸ë¦¼ 연구-‘出山虎’와 ‘å虎’를 중심으로-ã€, ì´í™”ì—¬ìžëŒ€í•™êµ ëŒ€í•™ì› ì„사학위논문, 2005.
ì´ í•­, 「대한민국 êµ­ê°€ìƒì§•ë™ë¬¼ë¡œì„œì˜ 호랑ì´ã€, 『경주민화í¬ëŸ¼ 2014, 꽃 피고 새 울제ã€, 한국민화센터, 2014, 97-100쪽.
정병모, 「民畵와 民間年畵ã€, 『講座 美術å²ã€7, 한국미술사연구소, 1995.
정병모, 「민화 용호ë„ì˜ ë„ìƒì  ì—°ì›ê³¼ 변모양ìƒã€,『강좌미술사ã€37ê¶Œ, 한국불êµë¯¸ìˆ ì‚¬í•™íšŒ(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259-282쪽.
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ì ì¸ 그리고 한국ì ì¸ã€, ëŒë² ê°œ, 2012.
정효심, 「19세기 후반 ì‚°ì‹ ë„ì— í‘œí˜„ëœ í˜¸ëž‘ì´ ì—°êµ¬ã€,『미술사와 문화유산ã€2, ëª…ì§€ëŒ€í•™êµ ë¬¸í™”ìœ ì‚°ì—°êµ¬ì†Œ, 2013. 11. 181-208쪽.
ì¡°ìžìš©, 『청소년ì—게 드리는 í•œì–¼ì˜ ë¯¸ìˆ ã€, ì—밀레미술관, 1971.
ì¡°ìžìš©, 「전통 ì†ì˜ 호랑ì´ã€, 『정신문화연구ã€16, 한국학중앙연구ì›, 1983, 190-196쪽.
ì¡°í¥ìœ¤, 『기산í’ì†ë„, 그림으로 본 19세기 한국í’ì†ê³¼ 민중ì˜ì‹ã€, 완ìžë¬´ëЬ, 2000.
천진기, ã€Žë¬¸í™”ì˜ ë¹„ë°€ì„ í‘¸ëŠ” ë˜ í•˜ë‚˜ì˜ ì—´ì‡  한국ë™ë¬¼ë¯¼ì†ë¡ ã€, 민ì†ì›, 2003
í—ˆ ê· , ã€Ží—ˆê· ì˜ ìš°ë¦¬ 민화 ì½ê¸°ã€, ë¶í´ë¦¬ì˜¤, 2006.
í™ì„ í‘œ, 「개ì¸ì†Œìž¥ì˜ã€ˆå‡ºå±±è™Žéµ²åœ–〉: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ë¥˜ã€,『미술사논단ã€9, 한국미술연구소, 1999.11 345-350쪽.
í™ì„ í‘œ, 「만력 임진년(1592) ì œìž‘ì˜ <호작ë„>: 한국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ë¥˜ã€,『조선회화ã€, 한국미술연구소, 2014, 384-390쪽.

 

글 : 박본수(경기문화재단 선임연구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