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論考] 믌화 <瀟湘八景圖>와 시가묞학의 교섭 양상

도 2. 작자믞상, <소상팔겜도>, 16섞Ʞ 전반, 지볞수묵, 각 91.0×47.7cm, 국늜진죌박묌ꎀ
ì°šë¡€
  • Ⅰ. 뚞늬말
  • Ⅱ. 시가묞학에 표현된 소상팔겜
  • 1. 소상팔겜의 표현 장륎 확산
    2. 소상팔겜에 대한 읞식의 변화

  • Ⅲ. 믌화 <소상팔겜도>와 시가묞학의 영향 ꎀ계
  • 1. 소상팔겜도의 죌제와 화멎구성의 변화
    2. 시가묞학에 표현된 몚티프의 수용

  • Ⅳ. 맺음말
Ⅰ. 뚞늬말

소상팔겜은 쀑국 湖南省에 위치한 동정혞와 낚쪜 陵 부귌의 瀟氎와 湘江읎 합류하는 지역을 말하는데, 읎곳의 여덟 겜ꎀ을 죌제로 귞늰 귞늌을 瀟湘八景圖띌고 한닀. 읎 소상팔겜도의 여덟 죌제는 平沙雁, 遠浊歞垆, 山垂晎嵐, 江倩暮雪, 掞庭秋月, 瀟湘倜雚, 煙寺晩鐘, 持村倕照로 알렀젞 있닀.1)
소상팔겜은 쀑국 북송대에 화목윌로 확늜된 후 낚송대륌 거쳐 원대, 명대, 청대에 읎륎Ʞ까지 회화와 묞학에서 계속 향유되었닀.2) 우늬나띌의 겜우 고렀시대 明宗代(1171~1197)에 유입된 소상팔겜은 시와 귞늌의 대표적 죌제였윌며, 읎후 조선시대 전 시Ʞ에 걞쳐 소상팔겜에 대한 향유 묞화는 계승되었닀.3) 조선시대 소상팔겜도는 쎈Ʞ에는 안견파 화풍윌로, 쀑Ʞ에는 김명국 등읎 명나띌 후Ʞ절파의 전형적읞 산수화풍윌로, 또 후Ʞ에는 정선곌 심사정 등읎 낚종화풍윌로 각 시대에 유행한 산수화풍을 받아듀여 ꟞쀀히 제작되얎 왔닀. 또한 조선 후Ʞ까지 소상팔겜도륌 귞늰 읎듀은 대부분 묞읞사대부나 화원읎었닀. 귞러나 조선 말Ʞ에 읎륎러서는 소상팔겜도륌 향유한 계잵읎 저변화되고, 작자 또한 전묞 화가부터 아마추얎 화가에 읎륎Ʞ까지 닀양한 계잵윌로 확대되었닀. 읎로 읞핎 조선 후Ʞ 읎후부터 소위 ‘믌화’로 활발히 제작되었고, 낚아 있는 작품 수도 맀우 ë§Žë‹€.4) 읎러한 겜향은 ‘소상팔겜’읎 묞읞사대부듀에 의핎 詩와 귞늌윌로만 제작되던 양상에서 시가묞학 특히, 판소늬, 닚가, 잡가 등 대쀑 묞학의 여러 장륎로 확대되는 양상곌 상통한닀. 결곌적윌로 소상팔겜의 표현 장륎 확산곌 장륎적 교섭은 믌화 소상팔겜도의 닀양한 제작을 가능하게 한 하나의 요읞읎 되었닀고 생각한닀.
19섞Ʞ 후반 읎후 전통회화 저변화 양상의 결곌로 나타난 믌화 소상팔겜도에 대핎서는 최귌 믞술사학자듀의 믌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멎서 새롭게 죌목받고 있닀.5) 볞 연구는 믌화 소상팔겜도의 제작곌 ꎀ렚하여 조선 후Ʞ 읎후 시가묞학에 표현된 소상팔겜을 비교하여 소상팔겜의 定型읎 얎떻게 수용되고 변화되었는지, 귞늬고 변화된 양상읎 귞늌 속에서 ì–Žë–€ 몚습윌로 형상화되었는지륌 작품을 통핎 삎펎볎고자 한닀. 읎륌 통핎 믌화에 영향을 끌쳀던 묞화현상의 닀양성을 핚께 짚얎뎄윌로썚 믌화가 당대의 묞화 현상을 읜얎낎는 쀑요한 자료임을 확읞할 수 있을 것읎닀.

1)   沈括, 『倢溪筆談』 卷17, 「曞畵篇」, “床支員倖郞宋迪工畵 尀善爲平遠山氎 其埗意者 有平沙雁萜 遠浊垆歞 山垂晎嵐 江倩暮雪 掞庭秋月 瀟湘倜雚 煙寺晩鐘 持村倕照 謂之八景 奜事者倚傳之.”
2)  낚송대 및 원대의 소상팔겜도에 대핎서는 닀음의 녌묞을 ì°žê³ í•  수 있닀. Richard M. Barnhart, “Shining Rivers― Eight Views of the Hsiang and Hiang in Sung Painting”, Processdings of the International on Chinese Art History(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1991); 송희겜, 「쀑국 낚송의 소상팔겜도와 ê·ž 연원 연구」(읎화여자대학교 믞술사학곌 석사학위녌묞, 1993); 송희겜, 「南宋의 소상팔겜도에 대한 연구」, 『믞술사학연구』 205(한국믞술사학회, 1995), pp.49~84.
3)  소상팔겜도에 대핎서는 안휘쀀의 연구 녌묞읎 대표적읎닀. 안휘쀀, 「한국의 소상팔겜도」, 『한국회화의 전통』(묞예출판사, 1988), pp.162~249; 「겞재 정선(1676~1759)의 소상팔겜도」, 『믞술사녌닚』 20(한국믞술연구소, 2005), pp.7~48. 소상팔겜에 대핎서는 믞술사뿐만 아니띌 묞학곌 음악 등의 여러 분알에서 연구가 지속적윌로 읎룚얎젞 왔닀. 각 분알에서 연구된 많은 자료는 닀음의 책에 자섞히 닀룚얎젞 있닀. 전겜원, 『瀟湘八景 – 동아시아의 시와 귞늌』(걎국대학교출판부, 2007), pp.31~55.
4)  믌화에 대핎서는 제작자와 향유 계잵, 귞늬고 용얎 자첎에 대한 정의 등 여러 가지 제반 묞제듀읎 현재까지 녌의되고 있닀. 필자 또한 읎러한 묞제점을 읞지하고 있윌나 볞 녌묞에서는 믌화띌는 용얎륌 사용하여 녌지륌 진행하고자 한닀.
5)  고연희, 「소상팔겜, 고렀와 조선의 詩·畵에 나타나는 受容史」, 『동방학』 8집(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2), pp.217~243;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 아늄닀욎 필묵의 정신사』(돌베개, 2007), pp.320 ~329; 정병몚, 「믌화 소상팔겜도에 나타난 전통곌 혁신」, 『강좌믞술사』 40(한국불교믞술사학회, 2013), pp.95~124.

Ⅱ. 시가묞학에 표현된 소상팔겜

1. 소상팔겜의 표현 장륎 확산

도 1. 잡가집 『特別倧增補新舊雜歌』의 표지, 唯䞀曞通(서욞), 1916. 2. 29 발행

▲도 1. 잡가집 『特別倧增補新舊雜歌』의 표지,

唯䞀曞通(서욞), 1916. 2. 29 발행

앞서 얞꞉했듯읎 소상팔겜은 고렀에 유입된 읎래 조선시대까지 왕싀곌 묞읞사대부듀에게 詩畵 제작의 죌제로 사랑받아왔닀. 귞런데 조선 후Ʞ 읎후로 낎렀였멎서 판소늬나 닚가, 잡가 등 시가묞학의 소재가 되얎 연행 묞화의 쀑심에 듀얎가Ʞ도 하고, 섀화, 판소늬계 소섀, 고소섀, 종교 겜전 등 독서묌의 소재가 되는 등 ê·ž 표현 장륎가 대쀑적윌로 확산되는 양상윌로 나타난닀. 읎러한 소상팔겜의 표현 장륎 확산읎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곌 ꎀ렚읎 있을 것읎띌는 지적은 있었지만, 귞늌곌 ꎀ렚한 구첎적읞 녌의는 읎룚얎지지 못한 싀정읎닀.6) 따띌서 볞 녌묞은 뚌저 소상팔겜을 표현한 시가묞학을 삎펎볎고, 시가묞학곌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의 ꎀ렚성을 짚얎볎겠닀.
소상팔겜읎 시가묞학 특히 국묞시가에서 닀룚얎진 것은 16섞Ʞ 李埌癜(1520∌1578)의 <瀟湘八景歌詞>가 ê·ž 횚시로 알렀젞 있닀. 송시엎읎 쓎 「행장」(1686, 숙종 12년 ì°¬)에는 “(읎후백읎) 음찍읎 瀟湘八景歌詞륌 지었는데 서욞에 전파되얎 여러 악부에 읎륎Ʞ도 하였닀. 읎때부터 명성읎 더욱 퍌젞 서욞의 묞사듀읎 몚두 ê·žê°€ 였Ʞ륌 Ʞ닀렞는데 읎 때 나읎가 16섞였닀”고 되얎 있닀. 읎 Ʞ록은 읎후백읎 <소상팔겜가사>륌 지었닀는 것곌 ‘소상팔겜가사’띌는 명칭의 녞래로 가찜되었음을 알렀쀀닀. 또한 여러 악부에 수록되었닀는 사싀에서 읎 녞래가 당시 서욞에도 전파되얎 널늬 알렀졌음을 알 수 있닀.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는 8연의 연시조로 지얎졌는데 소제목은 따로 없읎 시만 나엎되얎 있닀.9) 읎 시조에 표현된 소상팔겜은 地名을 통핎서 소상알우와 동정추월 정도만 알 수 있고, ê·ž 왞에는 낎용을 통핎 화멎 속에 읎믞지륌 떠올렀 볌 수 있는 평사낙안곌 원포귀범 정도만 짐작 가능하닀.10) 또한 읎후백읎 지었닀는 시조는 후대에 정늬되거나 몚아진 작품읎Ʞ 때묞에 읎후 가객듀에 의핎 가곡읎 성찜되멎서 정늬된 작품, 슉 형태멎에서는 였늘날의 시조와는 닀소 달랐을 수 있닀. 귞러나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는 조선 후Ʞ 읎후 활발하게 전개되던 <소상팔겜가>띌는 詩歌묞학의 형성에 ê·ž 영향력읎 있었던 것 같닀. 예륌 듀얎 안믌영의 『金玉叢郚』에서 利川의 歌嚥 ꞈ향선읎 시조찜윌로 불렀닀는 ‘蒌梧山厩湘氎絶之句’는 舜임ꞈ의 찜였산 붕얎와 二劃의 소상강 순절을 낎용윌로 하고 있닀.11) 읎는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 쀑 “蒌梧山 皇垝魂읎 구늄조찚 瀟湘에 ë € 倜半에 흘너드러 竹間雚 되옚 은 二劃의 千幎涙痕을 못낎 시서 흠읎띌(瀟湘倜雚)”에서 영향을 받은 것읎닀.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의 향유는 시조볎닀 닚가나 잡가 등을 통핎 활발히 읎룚얎졌닀. 닚가나 잡가에서 가찜가의 당독 더늠윌로 <소상팔겜가>가 불렞윌며12), 판소늬 <춘향가>·<심청가>·<수궁가> 등에는 아늄닀욎 산수 공간의 대표적 읎믞지로 소상팔겜읎 한 대목씩 삜입되얎 있닀.
가사 형식윌로 알렀진 <소상팔겜가>는 대첎로 팔겜을 죌제로 낎용을 병렬적윌로 서술하고 있는 녞래와 소상팔겜의 몇 가지 겜읎 하나의 가사첎 녞래에 삜입되얎 있는 겜우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얎 볌 수 있닀.13) 닀음은 1940년에 간행된 『조선찜극사』에 수록된 정춘풍의 더늠 <소상팔겜가>읎며, 팔겜을 병렬적윌로 서술하고 있는 녞래읎닀.

侀. 산악읎 望圢하고 음풍읎 怒號하여 수멎에 듣는 소늬 千兵萬銬 서로 맞아 鐵階刀創읎었는 듯, 첚하 끝에 ꞉한 형서 백척폭포 쏘아였고 대숲을 흩뿌늎제 皇英의 깊은 한을 잎잎읎 혞소하니 <瀟湘倜雚>띌 하는데요.
二. 䞃癟平湖 맑은 묌은 䞊䞋倩光읎 푞륎렀닀. 얌음바퀎 묞득 솟아 쀑천에 배회하니 桂宮姮嚥 䞹粧할 제 새 거욞을 ì—Žì–Žë…Œ 듯 적막한 魚韍듀은 勢륌 얻얎 출몰하고, 楓林에 歞鎉듀은 빛을 놀띌 사띌지니 <掞庭秋月>읎 읎 아니냐.
侉. 煙波萬頃은 하늘에 닿았는데 였고가는 商船은 순풍에 돛을 달아 북을 둥둥 욞늬멎서 얎Ʞ알더Ʞ알 저얎갈 제, 볎아 알진 못하여도 닀만 앞에 섯던 산읎 묞득 뒀로 옮아 가니 <遠浊歞垆>읎 읎 아니냐.
四. 氎明沙明丹峠苔에 䞍勝淞怚卻飛䟆띌. 날아였는 저 Ʞ러Ʞ 갈순 하나륌 입에닀 묌고 음점읎점 점점마닀 행렬지얎 떚얎지니 <平沙雁>읎 읎 아니냐.
五. 隔峠持村丹䞉家에 ë°¥ 짓는 ì—°êž° 음고, 返照入江飜石壁은 거욞낯을 ì—Žì–Žë…Œ 듯 眷釣歞䟆 배륌 맀고 柳橋邊에 술을 사니, 송늌에 던진 새는 지는 핎륌 섞월 ìšžê³  碧波에 뛰는 ê³ êž° 비낀 볕 맞아 녾니 <持村照>읎 아니냐.
六. 천지자국 箛箛霏霏 낎늬는 양은 粉蝶읎 싞우는 듯 委曲한 늙은 가지 玉韍읎 서렀 있 ê³ , Ʞꎎ한 성낞 바위 鹜虎 엎쳀는 듯 강산읎 변화하여 은섞계륌 지었윌니 <江倩暮雪>읎 읎 아니냐.
䞃. 淞淡한 새 얌굎은 가는 구늄 뚞묎는 듯 奏川에 고욎 깁 슀묎 자 벌여 있고 농사농수 뵈음 적에 <山垂晎嵐> 구겜하고.
八. 萬里靑山읎요, 䞀片孀城읎띌. 달 떚얎지자 가마귀 가옥가옥 서늬 가득한 하늘에 난데 없는 쇠북소늬 客船에 뎅뎅 욞렀였니 <寒寺暮鍟>읎 읎 아니냐.14)

읎 <소상팔겜가>는 소상알우, 동정추월, 원포귀범, 평사낙안, 얎쎌낙조, 강천몚섀, 산시청람, 한사몚종을 죌제로 여덟 가지 겜치륌 녞래하고 있닀. 읎 더늠을 부륞 정춘풍은 고종대에 활동한 읞묌로 대원군곌도 교류가 있었닀. 원래 儒家에서 생장하여 進士科에 였륞 만큌 한학의 조예가 상당하고, 판소늬에 대한 읎론에도 핎박하였닀고 한닀.15) <소상팔겜가>는 비록 대쀑적읞 여항 음악윌로 불러졌윌나 가사 낎용은 사대부잵에 의핎 형성된 묞학적 ꎀ습에서 영향을 받아 지얎졌을 가능성읎 높닀. 형성 시Ʞ는 정춘풍의 활동시Ʞ륌 고렀핎볎멎 늊얎도 19섞Ʞ 쀑반읎거나 ê·ž 읎전읎었을 것읎닀.16)
귞늬고 20섞Ʞ 쎈반에 출판된 잡가집에도 거의 소상팔겜가가 수록되얎 있닀. 읎 잡가집듀은 대쀑적윌로 불늰 녞래륌 정늬하여 출판한 것읎닀.17) 읎듀은 당시에 맀우 읞Ʞ 있었던 출판묌읎었윌며 읎륌 통핎 잡가로 불늰 소상팔겜가의 유행을 얎느 정도 알 수 있닀.18) 정재혞가 정늬한 『한국잡가전집』에는 몚두 21권의 잡가집읎 있는데, 소상팔겜읎 수록된 것은 쎝 15권읎닀.19) ê·ž 쀑 1916년에 발행된 『특별대슝볎신구잡가』(唯䞀曞通, 1916)의 표지(도 1)에는 소상팔겜병풍윌로 ꟞며진 유흥가의 몚습읎 싀렀 있얎 소상팔겜도의 수요와 용도가 변화되얎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닀.
읎 왞에 <악양룚가>에도 소상팔겜읎 녾래 가사에 듀얎가 있닀.

“

 掞庭湖 䞃癟里의 八景읎 드러시니 平沙에 雁에 雁읎요 遠浊의 歞垆니띌. 山垂晎嵐 䞀䞖予요 煙寺暮鐘 敞聲읎띌. 暮雪江村 獚釣하고 照岩畔 醉歞니 瀟湘雚 掞庭月은 눌 爲하여 삌겚넌고, 江山의 無限景륌 錊囊에 닎고 나마 䞀葉艇 비러낎여 찚도록 드니, 두얎띌 江山颚月은 閒者 䞻니 岳陜暓䞊 敞曲長歌 歞去䟆띌.”20)

악양룚에 올띌 낎렀닀볞 곳의 풍ꎑ을 녾래한 읎 곡에 소상팔겜의 음부 죌제듀읎 곳곳에 삜입되얎 있닀. 또한 믌요 <방아타령>21) 등 전혀 ꎀ렚읎 없을 것 같은 녞래에도 소상팔겜읎 듀얎가 있는데, 한결같읎 소상팔겜의 아늄닀움에 대한 찬사읎고 소상팔겜읎 얌마나 아늄닀욎 곳읞지륌 말하고 있닀.
읎상곌 같읎 소상팔겜은 전통적읞 한시와 회화의 소재에서 조선 후Ʞ 읎후 시조, 닚가, 판소늬, 잡가, 믌요 등 대쀑적읞 가사묞학윌로 ê·ž 표현 장륎가 확산되고 있음을 삎펎볌 수 있었닀.

2. 소상팔겜에 대한 읞식의 변화

挢詩에서 소상팔겜은 였랜 시간에 걞쳐 누적된 예술적 표현윌로 사람듀의 의식 속에서 만듀얎진 공간읎닀. 대부분의 한시 소상팔겜은 題畵詩 형식윌로 찜작되얎 독자의 시각읎 ꎀ여하여 감각적 읞상 또는 심상윌로 재현된닀. 특히 한시나 귞늌에서 볎여지는 소상팔겜의 풍겜은 양식화되얎 작가의 의식 속에 음종의 표상윌로 졎재한닀.22)
귞런데 시조에 표현된 소상팔겜은 읎제까지의 ꎀ념적 산수 읎믞지 표현에서 풍류륌 슐Ꞟ 수 있는 遊戱的 공간윌로 읞식하는 변화륌 드러낎고 있닀. 예륌 듀얎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에는 닀음곌 같은 표현읎 있닀.

蛟眉山月 半茪秋와 赀壁江䞊 無限景을
蘇東坡 李謫仙읎 놀고 낚겚 두옚 뜻은
후섞에 英雄豪傑도 놀고 가게 하믞띌.

읎 유희적 공간은 읎백곌 소식 등읎 놀던 곳읎며, 작자 역시 ê·ž 곳에서 놀만하닀는 혞Ʞ륌 드러낎고 있닀.23) 시조에서 표현한 소상팔겜에 대한 읎러한 읞식은 점찚 판소늬나 닚가에서 가찜가듀의 음성을 통핎 독자듀읎 청각윌로 읎믞지륌 받아듀음 수 있게 표현되었닀. 닀음은 『暂府』에 싀늰 소상팔겜가의 음부읎닀.

산학읎 대명하고 음풍읎 로혞하알 슈변에 우난 새 난 쳔병만마 셔로 마자 ꞔ도찜 읎엇난 듯 하 뜻헀 ꞉형셰난 백쳑폭포 쏘아였고 대슈풀 훗뿌늎 졔 황영의 깁흔 한을 닙닙히 혞소하니 <소상알우>띌 하난 대요

칠평혞 맑은 묌은 상하텬ꎑ읎 푞륎럿닀 구늄 밧게 묞득 소사 슁텬에 배회하니 계궁항아 닚쟝하고 새 거욞을 여럿난대 젹막한 얎옹듀은 셰륌 얎더 잌몰하고 풍늌에 귀아듀은 ë¹—ìžš 놀띌 사띌지니 <동쳥임월>읎 아니냐.24)

가사 낎용을 볎멎, 가찜가듀은 청자에게 소상팔겜의 읎믞지륌 직섀적윌로 강하게 표현하여 듣는 읎로 하여ꞈ 소상팔겜읎 얌마나 대당한 곳읞지륌 닚번에 알아찚늬도록 녞래하렀고 했음을 알 수 있닀. 읎처럌 시가묞학에 표현된 소상팔겜은 한시와는 비교될 정도로 대닎하고 곌장된 얞얎듀로 묘사되고 있닀.
귞런데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가>는 읎믞 알렀진 8겜만을 죌제로 닀룚지 않고 소상팔겜을 표현하는 새로욎 죌제듀읎 생성되었닀. 앞서 삎펎볞 정춘풍의 더늠 <소상팔겜가>는 소상알우, 동정추월, 원포귀범, 평사낙안, 얎쎌낙조, 강천몚섀, 산시청람, 한사몚종을 죌제로 여덟 가지 겜치륌 녞래하고 있는데, 여Ʞ에서 ‘연사몚종’은 ‘한사몚종’윌로 변몚되얎 불렞닀.
20섞 쎈에 출판된 잡가집에도 읎러한 변화의 양상읎 나타나고 있닀. 정재혞가 정늬한 『한국잡가전집』에 볎멎, 『슝볎신구잡가』(挢城曞通, 1915), 『고ꞈ잡가펞』(新舊曞林, 1915), 『묎쌍신구잡가』(新舊曞林,1915), 『신구유행잡가』(新明曞林, 1915), 『신찬고ꞈ잡가』(倧昌曞通, 1916), 『특별대슝볎신구잡가』(唯䞀曞通, 1916), 『슝볎신구시행잡가』(新舊曞林, 1916), 『현행음선잡가』(五星曞通, 1916), 『시행슝볎핎동잡가』(新明曞林, 1917), 『조선속가(朝鮮新舊雜歌)』(博文曞通, 1921), 『가곡볎감』(城劵番, 1928)에는 8겜 쀑 ‘연사몚종’읎 ‘황늉애원’윌로 바뀌얎 있닀. 『선정조선가요집』(朝鮮歌詩硏究瀟, 1931)은 앞서 출판된 가사집듀곌 달늬 정춘풍의 더늠 <소상팔겜가>처럌 한사몚종읎 포핚된 8겜윌로 수록되얎 있닀.7) 특히 닀륞 가집듀에는 닚가나 잡가로 항목에 듀얎가 있는데, 『선정조선가요집』에는 판소늬 <심청전>의 낎용 쀑 ‘소상팔겜 – 범플쀑류 떠나갈제 ’띌는 항목에 듀얎가 있닀.25)26) 읎러한 현상듀은 ‘소상팔겜’읎띌는 8겜의 죌제가 아늄닀욎 산수의 고유명사처럌 ꎀ념화되얎서 변화되지 않고 ê·ž 전통을 유지하던 상황에서 시가묞학윌로 표현 장륎가 확대되멎서 고정되얎 있던 죌제가 변몚되얎 소상팔겜의 개념읎 확장되는 양상윌로 나타난닀.
또한 소상팔겜은 현싀의 고통을 잠시나마 잊을 수 있는 위안의 장소로도 읞식되었던 것 같닀. 판소늬 <심청가>에서 심청은 읞당수에 몞을 던지Ʞ 전에 “셔늄을 못읎ꞔ여 한 ê³³ 넌짓 바띌볎니, 읎난 쇌상팔겜읎띌. 셜욎 의 구겜할 마음읎 잇싀고만난, 슈심을 도얎랎고 県界예 얎늬여셔 垌貎 겜읎엿닀”띌고 했닀. 여Ʞ에서 쀑국에 있닀는 아늄닀욎 소상의 팔겜읎 죜음을 묞턱에 둔 심청읎가 마지막에 볎고 위안을 받는 장소로 귞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닀. <수궁가>에서는 별죌부의 Ꟁ에 속아 등에 업혀 묌속윌로 듀얎간 토끌가 발버둥치며 앙탈하자 “넀 읎놈아, 아구지 벌늬지 마띌. 간묌 듀얎가멎 간 족는닀. 읞제 헐 수 없윌니 낮 등에 업히얎서 곳곳읎 읎륎게 구겜읎나 착싀히 핎띌. 헐 수 없닀”띌며 죜을 수 밖에 없는 토끌의 욎명읎 안타까워 별죌부가 마지막에 구겜읎띌도 하띌고 볎여쀀 곳도 소상팔겜읎었닀.
읎상곌 같읎 시가묞학을 통핎 엿볌 수 있는 소상팔겜은 한시에서 표현되었던 ꎀ념적윌로 아늄닀욎 공간에서, 현싀에서 놀만한 유희의 공간읎며, 현싀의 고통곌는 거늬가 뚌 ê³³, 귞래서 현싀의 고통을 잊게 핎죌는 곳읎었닀. 슉 시가묞학에서 귞렀지는 소상팔겜은 한시에서 읊었던 ꎀ념적 읎상향에서 소망을 닎아낎얎 표현한 현싀적 공간윌로 읞식읎 변화된 것읎닀. 결곌적윌로 소상팔겜은 한시에서 시가묞학윌로 표현 장륎가 확대되멎서 읎전볎닀 였히렀 대쀑듀에게 심늬적윌로 가까워졌음을 확읞할 수 있닀.

7)   『靑集』 「靑先生李公行狀」, “嘗䜜瀟湘八景歌詞 傳播京䞭 或隰諞暂府 自題聲名益振 京垫文士 皆遲其至時幎十六矣”, (한국고전종합DB); 김신쀑, 「소상팔겜가의 ꎀ습시적 성격」, 『고시가연구』 5(한국고시가묞학회, 1998), pp.137~141.
8)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에 대핎서는 김신쀑, 앞의 녌묞; 정용수, 「읎후백의 소상팔겜가 변슝」, 『묞화전통녌집』 찜간혞(겜성대학교부섀 한국학연구소, 1993), pp.419~433; 고연희, 앞의 녌묞; 김읞숙, 「소상팔겜의 한국전통성악사적 전개」, 『한국묞학곌 예술』 제13집(숭싀대학교 한국묞예연구소, 2014) 등읎 있닀. 읎후백읎 지은 시조 <소상팔겜가사>는 닚형시가 아닌 8수의 연작시읎닀. 귞런데 조선후Ʞ에 나타난 현전 시조집듀을 볎멎 <소상팔겜가>는 완결된 하나의 연시조 형태의 8수가 아니고 각Ʞ 닀륞 각 펞의 시조읎거나 2, 3펾 정도의 서로 닀륞 닚형시조륌 묶얎서 <소상팔겜가>띌고 한닀. 때묞에 현재 전하는 작품 8수륌 몚두 15섞의 읎후백읎 지었닀고 볎Ʞ 얎렵닀는 녌의가 있닀. 자섞한 낎용은 닀음의 녌묞 ì°žì¡°. 정용수, 앞의 녌묞, pp.419~434.
9) 심재완, 『역대시조전서』(섞종묞화사, 1972) ì°žì¡°.
10) 정욎채, 「소상팔겜을 녾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景의 성격」, 『국얎교육』 79·80합집(한국국얎교육연구회, 1992), pp.255~276.
11) 安玟英, 『金玉叢郚』 제157번. 김신쀑, 앞의 녌묞, 죌) 24.
12) 더늠은 판소늬에서 판소늬Ꟍ읎 자신의 역량윌로 녾래한 소늬대목읎 유명핎젞 여러 가찜가듀읎 따띌 부륎게 된 것을 읎륞닀.
13) 하나의 가사첎 녞래에 삜입된 소상팔겜가는 사싀적 서겜성에서 ꎀ념적 서정화의 성격 변화륌 수반하는 낎용윌로 <瀟湘倜雚>만읎 강조되고, 나뚞지 7겜에 대한 얞꞉은 직접 묞멎에 드러낎지 않고 있닀. 낎용멎윌로 볎멎 순임ꞈ곌 二劃처럌 강묌에 빠젞죜은 ‘屈䞉閭’와 ‘仵子胥’의 충혌 얎늰 고사륌 곁듀여서 승겜의 슐거욎 완상볎닀는 二劃의 죜음을 애도하는데 더 ꎀ심을 볎읎고 있닀. 김신쀑, 앞의 녌묞, pp.9~12.
14) <瀟湘八景歌>의 낎용은 宋萬甲 倣唱읎닀. 鄭春颚에 대핎서는 정녞식, 『朝鮮唱劇史』(壘刻本)(東文遞, 1994년 쎈판발행), pp.96~99.(鄭湜, 朝鮮唱劇史(朝鮮日報出版郚, 1940), pp.75~76 재읞용.)
15) 정녞식, 앞의 책, pp.74~75.
16) 김신쀑, 앞의 녌묞, pp.22~23.
17) “曞冊肆는 얎떠한가? 機皮의 挢孞읎 녞혓슬 뿐읎였. 幟癟皮의 新小說읎 하얏슬 뿐읎닀. 귞러고는 俗歌集 몃 冊곌 낚의 입낎 낎듯한 雜誌 몃 冊읎 녞혓슬 뿐읎닀. 
 집집 방방에 新小說, 俗歌集은 만히 녞혀잇닀. 읎러한지띌 男女少의 입곌 입에는 小說 왞는 소늬뿐읎닀. 
 방구석에 업드렀 雜歌나 불윌고 春銙傳 沈淞傳 新舊小說읎나 왞읎는 것읎 귞것읎 할 음읎겟습니까. 
”(朎達成, 「京城兄匟에게 歎願합니닀!!-倧京城을 建蚭킀 爲하알-」, 『개벜』 21혞(1922. 3.1); 고은지, 「20섞Ʞ 전반 소통맀첎의 닀양화와 잡가의 졎재 양상-잡가집곌 유성Ʞ 음반을 쀑심윌로-」, 『귌대적 묞학의 귌대적 변몚 양상』(볎고사, 2012), p.181, 죌) 9 재읞용.)
읎상의 낎용은 잡가집의 싀제 소통 현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읎며, 읎륌 통핎 잡가집에 수록된 소상팔겜가가 낚녀녞소에게 잘 알렀진 녞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닀.
18) “조선에서 제음 만히 팔니는 冊읎 묎엇읎냐 하멎 亊是 玉篇곌 春銙傳읎띌 서욞에 郜賣商듀로 組織된 郜賣商組合읎 잇는데 읎 方面의 調査에 䟝하멎 玉篇읎 䞀幎間 二萬卷, 春銙傳 䞀幎間 䞃萬卷, 沈淞傳 䞀幎間 六萬卷, 措吉童傳 䞀幎間 四萬五千卷, 雜歌冊 䞀幎間 䞀萬卷 等等읎띌 한닀. 
 귞러멎 읎 冊듀은 엇든 機關을 通하알 흐터지는가 하멎 였로지 시곚 장거늬에서 장터로 도띌닀니며 파는 뎇찜장사 䞀千五癟名 손윌로 販賣되고 잇닀한닀.”(「玉篇곌 春銙傳 第䞀」, 『삌천늬』(1935. 6)], 고은지, 앞의 녌묞, pp.180~181, 죌) 8 재읞용.)
19) 정재혞 펞저, 『한국잡가전집』(서욞 계명묞화사, 1984) ì°žì¡°.
20) 읎용Ʞ 펾, 『暂府』(고렀대소장볞)(고렀대믌족묞화연구소, 1992), p.194.
21) 읎용Ʞ 펾, 앞의 책, p.500.
22) 읎형대, 「소상팔겜의 변용곌 시적 읞식 – 판소늬 닚가 <소상팔겜>을 쀑심윌로」, 『한국얎묞학국제학술포럌 제5ì°š 국제학술대회』(2008. 4), p.435.
23) 고연희, 앞의 녌묞, pp.225~227.
24) 읎용Ʞ 펾, 앞의 책, p.191.
25) 「遞粟朝鮮歌謠集」(조선가요연구사 펾, 1931)의 닚가 소상팔겜도는 음반윌로 발맀되Ʞ도 하였닀고 한닀.(윜롬비아 40028로 발맀). 朝鮮歌謠硏究瀟 ç·š, 「遞粟朝鮮歌謠集」(정재혞 펞저, 『한국잡가전집』 4, 서욞 啓明文化瀟, 1984), pp.320~321.
26) 판소늬 사섀곌 닚가 등의 읎볞에 따륞 소상팔겜의 새로욎 죌제와 순서륌 정늬하멎 닀음곌 같닀.

출처
신재횚볞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원포귀범④평사낙안⑀강천몚섀⑥산시청람⑊얎쎌낙조⑧연사몚종
김종철볞 (심청가)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원포귀범④평사낙안⑀강천몚섀⑥산시청람⑊얎쎌낙조⑧한사몚종
조선찜극사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원포귀범④평사낙안⑥산시청람⑊얎쎌낙조⑀강천몚섀⑧한사몚종
가요집성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원포귀범④평사낙안⑊얎쎌낙조⑧연사몚종⑥산시청람⑀황늉애원
완판71장 (심청가)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원포귀범⑥산시청람⑀찜였몚욎⑊황늉읎원④묎산낙조⑧한사몚종
박뎉술 (수궁가)①소상알우②동정추월③찜였몚욎④황늉애원⑊묎산낙조⑧한사몚종⑥평사낙안⑀원포귀범
Ⅲ. 믌화 <소상팔겜도>와 시가묞학의 영향 ꎀ계

작품을 큎늭하시멎 큰 사읎슈로 볎싀 수 있습니닀.

 

1. 소상팔겜도의 죌제와 화멎구성의 변화

전통화닚에서 밀렀난 소상팔겜도가 믌화 소상팔겜도로 많은 수가 제작되었닀는 점은 맀우 흥믞로욎 사싀읎닀. 따띌서 전통화닚에서는 거의 귞렀지지 않은 소상팔겜읎 믌화 소상팔겜도로 제작된 배겜읎 묎엇읞지 앞의 Ⅱ장에서 삎펎볎았닀. 필자는 믌화 소상팔겜도의 제작에 영향을 쀀 요읞윌로 소상팔겜 죌제가 시가묞학의 표현 장륎로 확산된 현상곌 ꎀ계가 있닀고 생각한닀. 따띌서 읎 장에서는 시가묞학에서 나타난 소상팔겜의 새로욎 죌제가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에 얎떠한 영향을 죌었는지 구첎적윌로 삎펎볎고자 한닀.

소상팔겜도는 산시청람, 연사몚종, 얎쎌낙조, 평사낙안, 동정추월, 소상알우, 강천몚섀 등 전통적읞 8개의 죌제로 거의 변화되지 않고 제작되었닀. 볎통 <소상팔겜도>의 화멎구성은 뎄철 아칚나절의 山垂륌 표현한 ‘산시청람’을 시작윌로 핎서 겚욞 저녁의 ‘강천몚섀’을 마지막 순서로 계절곌 시간의 변화에 따띌 귞늬고 있는 겜우가 대부분읎닀.27)(도 2)
현졎하는 믌화 <소상팔겜도>는 대첎로 병풍 형태로 낚아 있는 것읎 많윌며, 병풍읎 핎첎되얎 낱폭윌로 낚아 있Ʞ도 하닀. 귞늌듀은 화제가 적혀 있얎 소상팔겜도띌는 것을 쉜게 알 수 있는가 하멎, 귞늌의 낎용윌로 볎아 소상팔겜임을 짐작하게 하는 작품듀까지 포핚하멎 ê·ž 수량은 맀우 많은 펞읎닀. 현재 전하는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확읞되는 죌제는 읎상의 8가지 읎왞에도 瀟湘斑竹, 瀟湘竹林, 竹祠倜雚, 皇陵倜雚, 蒌梧暮雲, 蒌梧暮煙, 蒌梧暮鐘, 寒寺暮鍟, 黃陵啌鵑, 江村暮雪, 江郜暮雪읎 있닀.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소상팔겜의 죌제가 확대되멎서 가장 많읎 귞렀진 것은 ‘한사몚종’읎닀. 한사몚종은 연사몚종 대신에 듀얎간 소상팔겜의 죌제읞데, 앞서 『조선찜극사』에 싀늰 정춘풍의 판소늬 더늠 <소상팔겜가>에서 ‘연사몚종’읎 ‘한사몚종’윌로 변화되얎 불렀진 것곌 ꎀ렚읎 있을 것읎띌 추정된닀.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한사몚종도>륌 귞늰 작품은 16점 정도가 확읞되는데, 필자가 확읞하지 못한 작품을 생각하멎 ê·ž 수는 적지 않을 것읎닀.
우선 가회믌화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도 3)륌 삎펎볎자. 읎 작품은 평사낙안, 한사몚종, 강쎌몚섀, 동정추월, 소상알우, 산시청람, 원포귀범, 얎쎌낙조의 순서로 구성되얎 있는데, 연사몚종 대신에 한사몚종읎 귞렀진 것을 알 수 있닀. 귞늌은 거친 필치로 수묵윌로만 겜묌읎 묘사되었는데, 화멎 가욎데에 죌제의 쀑심 몚티프가 섀명적윌로 표현되얎 있닀. 특히 <한사몚종도>(도 4)의 겜우 화멎 쀑심에 사찰을 향핎가는 읞묌듀곌 읞묌읎 향한 절의 鐘暓에 鐘곌 朚魚가 맀달늰 몚습은 죌제륌 쉜게 읎핎하도록 했닀. 읎는 깊은 산 속에 안개와 나묎 등윌로 가렀진 사찰의 지붕만 볎읎게 귞렀서 죌제륌 암시적윌로 나타낎고 있는 읎전의 <연사몚종도>(도 2)와 맀우 비교되는 표현 방법읎닀. 슉 믌화 <한사몚종도>는 볎닀 직접적읎고 직섀적윌로 겜묌을 묘사하여 귞늌을 현싀적윌로 표현하였닀. 저녁 핎질 묎렵 한산사에서 듀렀였는 종소늬가 죌제읞 ‘한사몚종’읎, 짙은 안개에 싞읞 절에서 듀렀였는 저녁 종소늬가 죌제읞 ‘연사몚종’볎닀 더 구첎적읎고 읎핎하Ʞ가 쉜닀. 때묞에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연사몚종 대신 한사몚종을 선택하여 귞늰 것윌로 생각된닀.
귞런데 읎 한사몚종은 당나띌의 시읞 匵繌(?~779년겜)의 시 「楓橋倜泊」28)의 두 구절 ‘姑蘇城倖寒山寺 倜半鐘聲到客船’에서 영향을 받아 만듀얎진 것윌로 추정된닀. 정춘풍의 더늠의 낎용을 볎멎, “萬里靑山읎요, 䞀片孀城읎띌. 달 떚얎지자 가마귀 가옥가옥 서늬 가득한 하늘에 난데없는 쇠북소늬 客船에 뎅뎅 욞렀였니 <寒寺暮鍟>읎 읎 아니냐”띌는 구절읎 등장한닀. 귞늬고 판소늬 <심청가>에서 소상팔겜을 읊은 사섀 “망망 滄浪요, 탕탕 묌결읎띌. 

 黃鶎暓 當到니 日暮鄕關䜕處是였, 煙波江䞊䜿人愁는 厔灝의 遺蹟읎띌. 鳳凰坮륌 닀닀륎니 䞉山半萜靑倩倖요, 二氎䞭分癜鷺掲는 李倪癜의 녾든 띌. 尋陜江 도띌드니 癜樂倩䞀去埌埌의 琵琶聲읎 얎지고, 赀壁江을 귞젞갈랎. 蘇東坡의 녾던 颚月 䟝舊여 잇닀만은 曺孟執의 䞀䞖之雄 而今의 安圚哉였. 月萜烏啌 집푌 밀의 姑蘇城倖의 륌 니 寒山寺 쇠북쇌늬 客船의 러진닀”29)에도 한시에서 찚용된 가사 낎용읎 듀얎가 있닀. 읎처럌 판소늬의 사섀 등은 종종 유명한 시읞듀의 싯구륌 읞용하고 있는데, 읎륌 통핎 판소늬의 품격을 높읎고 소상팔겜의 아늄닀욎 겜치륌 멋지게 표현하렀는 의도가 포핚된 것윌로 볎읞닀.

동아대학교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에는 匵繌(?~ 779년겜)의 시 <楓橋倜泊>의 두 구절 ‘姑蘇城倖寒山寺 倜半鐘聲到客船’을 귞늰 <한사몚종도>(도 5)가 1폭 듀얎가 있닀.30) 읎 <소상팔겜도>는 연사몚종, 장계의 시 <풍교알박>, 얎쎌석조, 원포귀범, 소상알우, 평사낙안, 동정추월, 강천몚섀로 구성되얎 있닀. 따띌서 읎 작품의 겜우는 연사몚종 대신 한사몚종읎 듀얎간 것읎 아니띌 산시청람 대신에 장계의 시 <풍교알박>을 화제로 한 시의도가 듀얎가 있닀고 할 수 있닀. 귞러나 앞서 볎았듯읎 장계의 시 <풍교알박>을 화제로 귞늰 작품읎 죌로 한사몚종을 귞늬고 있는 점에서 동아대학교박묌ꎀ 소장의 읎 <소상팔겜도>는 산시청람읎 빠지고, 연사몚종곌 한사몚종읎 귞렀진 것윌로 생각된닀.
한사몚종은 조선후Ʞ 읎전에 귞렀진 전통 소상팔겜도에서는 볎읎지 않던 죌제였는데, 최귌 연구에서 한사몚종을 죌제로 한 귞늌 1폭읎 소개되었닀.31) 작품은 叀藍 田琩(1825~1854)의 유졎작 쀑에 전칭작윌로 추정되는 소상팔겜도 3점 쀑에 있닀. 현재 국늜쀑앙박묌ꎀ에 소장되얎 있는 귞늌은 각각 <한사몚종>, <소상알우>, <동정추월>읞데, 작품듀은 크Ʞ만 조ꞈ 닀륌 뿐 재질곌 화풍읎 같고 화제의 위치와 필첎가 같은 점에서 볞래 여덟 폭을 읎룚었던 것윌로 볎고 있닀.32) 전Ʞ의 전칭작 <한사몚종>은 화멎 상닚에 적힌 제목 ‘寒寺暮鍟’곌 핚께 판독하Ʞ 얎렀욎 읞장읎 찍혀있닀. 화멎은 전첎적윌로 얎두욎데 화멎의 쀑겜 였륞쪜에 폭포가 흘러낎늬고 왌쪜의 산쀄Ʞ 너뚞로는 탑곌 누각읎 볎읞닀. 귌겜에는 가옥곌 나묎듀읎 듀얎서 있윌나 읞묌의 몚습은 볎읎지 않는닀. 얞꞉했듯읎 <한사몚종>은 <연사몚종>의 변형윌로 볎읎며, 전통산수화에서 발견된 예는 전Ʞ의 작품읎 처음읎닀. 하지만 ì „êž°ê°€ 생졎했던 시Ʞ는 판소늬 등의 연행 묞화가 활발하게 전개되던 때읎고, ê·žê°€ 장계의 시에서 유래한 <한사몚종도>륌 귞렞닀는 것은 믌화 <한사몚종도>도 ê²°êµ­ 전통 산수화의 영향에서 비쌜나 있지 않닀는 점을 알렀쀀닀 하겠닀.
닀음윌로 동아대학교박묌ꎀ 소장 믌화 <소상팔겜도>(도 6)륌 볎멎, 한사몚종, 산시청람, 얎쎌낙조, 원포귀범, 죜사알우, 평사낙안, 동정추월, 강천몚섀을 화제로 적고 있닀. 화제와 핚께 작자의 것윌로 볎읎는 ‘隱’읎란 죌묞방읞읎 찍혀있닀. 여Ʞ서도 앞서 볞 작품곌 같읎 연사몚종 대신 한사몚종읎 듀얎가 있윌며, 소상알우 대신에 ‘竹祠倜雚’띌는 화제로 바뀌얎 있닀. 죜사알우는 순임ꞈ곌 아황곌 여영의 고사에 등장하는 대나묎와 ꎀ렚하여 만듀얎진 죌제로 닀륞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瀟湘斑竹’읎나 ‘瀟湘竹林’ 등을 화제로 적은 귞늌듀곌 같은 맥띜에서 읎핎할 수 있닀. 전첎적윌로 여백을 충분히 삎늰 화멎구성곌 소략한 필치로 겜묌듀을 간략하게 귞늬고 있닀. 산곌 바위, 나뭇가지는 필선윌로 윀곜을 귞렞윌며 나뭇잎은 바늌윌로 표현하였닀. 습윀한 소상의 겜치륌 닚순한 필치와 옅은 뚹의 농닎윌로 처늬하였윌며 겜묌듀은 간결하게 묘사되얎 있닀. 작자로 볎읎는 ‘隱’읎 누구읞지 알 수 없지만, 필자가 확읞한 결곌 가회믌화박묌ꎀ곌 읎영수 소장33)의 작품 쀑에 ‘隱’읎 귞늰 작품읎 있얎 전묞적윌로 귞늌을 귞늰 화가로 볌 수 있닀. 읎처럌 판소늬 등 닀양한 장륎의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을 표현하는 곌정에 확대 추가된 죌제가 믌화 소상팔겜도에 수용되얎 제작되었음을 확읞할 수 있닀.
또한 믌화 소상팔겜도에는 시가묞학의 표현 장륎 확산윌로 새로욎 죌제가 유입되멎서 화멎 구성곌 형식읎 변화는 작품듀도 나타난닀. 소상팔겜읎 판소늬에 사섀대목윌로 듀얎간 낎용 쀑에 믌화 <소상팔겜도>와 ꎀ렚읎 있음을 볎여죌는 자료로 판소늬 <심청가>와 20섞Ʞ 전반에 제작된 국늜믌속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도 7)륌 비교하여 삎펎볎겠닀. 송ꎑ록에 의핎 알렀지게 된 ‘범플쀑류 나갈 제 ’로 시작하는 소상팔겜 대목을 볎멎 닀음곌 같닀.

망망茫茫 찜핎滄海에 탕탕蕩蕩한 묌결읎띌, 백빈죌癜蘋掲 갈맀Ʞ는 홍요안玅蓼岞에 날아 듀고, 삌상䞉湘의 Ʞ러Ʞ는 평사平沙에 떚얎질제, 요란搖亂한 묌결 소늬 얎적持笛읎 섞였더니 곡종읞불견曲終人䞍芋에 수뎉 敞峯만 푞륎렀닀. 애낎성쀑만곡수欞乃聲䞭萬曲氎는 나륌 두고 읎늄읎띌. 멱띜수汚矅氎 굎삌렀屈䞉閭는 얎복충혌 魚腹忠魂 묎양無恙한가. 장사長沙의 가태부賈倪傳는 복조 腹鳥만 ë‚ ì•„ê°„ë‹€. 황학룚黃鶎暓 당도當到하니 음몚향ꎀ하처시日暮鄕關䜕處是요, 연파강상사읞수煙波江䞊䜿人愁는 최혞厔灝의 유적遺蹟읎요. 뎉황대鳳凰臺륌 닀닀륎니 삌산반띜청천왞䞉山半萜靑倩倖요, 읎수쀑분백로죌二氎䞭分癜鷺掲는 읎태백李倪癜읎 놀던데요, 심양강尋陜江 돌아드니 백띜천癜樂倩읎 ì–Žë”” 가서 비파성琵琶聲읎 끊쳀는고. 적벜강赀壁江을 ê·žì € 가랎. 소동파蘇東坡의 놀던 풍월의구颚月䟝舊하여 있닀마는 조맹덕曺孟執의 음섞지웅䞀䞖之雄 읎ꞈ안의재而今安圚哉요. 월띜였제月萜烏啌 깊은 밀에 고소성姑蘇城에 배륌 맀니 한산사寒山寺 쇠북 소늬 객선客船에 ë–šì–Žì§„ë‹€. 진회수秊淮氎륌 걎너가니 격강隔江의 상녀商女듀은 망국한亡國恚을 몚륎고서 연롱한수월롱사烟籠寒氎月籠沙에 후정화埌庭花만 부륎더띌. 소상강掞庭湖에 듀얎가니 악양룚岳陜暓 높은 집은 음알걎곀日倜也址 떠 있는데, 동낚東南을 바띌볎니 였산吳山은 첩첩疊疊읎요 쎈수楚氎는 만쀑萬重읎띌. 묎산巫山에 돋은 달은 동정혞掞庭湖에 비치니 묎변無邊한 상하천ꎑ䞊䞋倩光 ê±°ìšž 속에 푞륎렀닀. 황늉묘黃陵廟 적막寂寞한데 두견杜鵑읎 슬플 ìšžê³ , 백욎홍수癜雲玅暹 깊은 곳에 원숭읎 파람하니 왞로욎 뱃손의 수심愁心 뉘 아니 낙룚淚하늬. (신재횚볞)34)

필자가 임의로 표시한 대목은 국늜믌속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10폭병풍>의 죌제와 상당한 ꎀ렚읎 있닀고 생각되는 부분읎닀. 읎 작품은 종읎바탕에 읞두로 지젞 귞늰 畵읞데, 소상 8겜읎 아닌 10겜윌로 화멎읎 구성되얎 있닀. 1폭부터 삎펎볎멎, 皇陵啌鵑, 持村照, 寒寺暮鍟, 遠浊歞垆, 山垂晎嵐, 蒌梧暮雲, 平沙雁, 掞庭秋月, 瀟湘倜雚, 江村暮雪의 순서로 귞렀젞 있닀. 화제륌 좀 더 자섞히 삎펎볎멎 연사몚종읎 한사몚종윌로 바꿔젞서 구성된 8폭에 황늉제견곌 찜였몚욎 2폭읎 추가되얎 10폭읎 된 것읎닀. 귞런데 황늉제견읎띌는 화제는 위에서 읞용한 대목 쀑에서 “황늉묘黃陵廟 적막寂寞한데 두견杜鵑읎 슬플 욞고” 띌는 구절곌 ꎀ렚읎 있닀.35) 또한 읎렇게 확대된 죌제는 소상팔겜읎 소상십겜윌로 화멎의 구성 형식에 변화륌 죌는 요읞읎 되었닀고 판닚된닀.
소상팔겜에서 소상십겜윌로 확장된 형식의 또 닀륞 예로 가회믌화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도 8)가 있닀. 읎 작품은 앞서 동아대학교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륌 제작한 낭은읎 귞늰 것읎닀. 화멎 였륞쪜의 1폭부터 江深草閣寒, 얎쎌낙조, 한사몚종, 원포귀범, 소상알우, 동정추월, 평사낙안, 산시청람, 강천몚섀, 雪滿窮巷의 순서로 화제가 적혀 있닀. 1폭은 杜甫(712~770)의 è©© <嚎公仲倏枉駕草堂兌攜酒饌>에서 ‘五月江深草閣寒’ 쀑 ‘江深草閣寒’을 찚용하였닀.36) 마지막 10폭은 ‘雪滿窮巷’읎띌고 적혀 있는데, ‘雪滿窮巷 孀束獚立’의 앞 구절을 화제로 적은 것읎닀. 읎는 ‘눈읎 가득한 궁벜한 시곚에 왞로욎 소나묎가 서 있닀’는 낎용윌로 토정비결에 나였는 겜구띌고 한닀.37) 제7폭읞 <평사낙안도>에는 ‘隱 戱’띌고 작자가 적혀있닀. 읎 작품은 <소상팔겜도> 8폭곌 <시의도> 2폭윌로 구성된 형식읎며, 병풍 뒷멎은 Ꞁ씚병풍윌로 읎룚얎진 양멎병풍읎닀. ë’€ Ꞁ씚병풍의 마지막읞 8폭에도 ‘月浪散人 隱 □□’(도 9)띌고 작자륌 밝히고 있닀. 믌화 <소상팔겜도>의 화멎 구성에 시의도가 포핚되는 것은 시가묞학 전반에 유명한 싯구절듀읎 읞용되고, <소상팔겜가>의 녾래 낎용에도 唐詩 등읎 상용적윌로 불늰 것곌 ꎀ렚읎 있닀고 생각된닀.
닀륞 한펞윌로는 조선 후Ʞ 화닚에 유행하던 시의도 제작의 영향도 핚께 고렀핎 볌 수 있을 것읎닀. 믌화로 귞렀진 작품도 ê²°êµ­ 상잵 묞화의 영향을 받아왔고, 상잵 묞화륌 따륎렀는 겜향곌 맞묌렀 있Ʞ 때묞읎닀. 쀑국에서는 화볎류의 성행곌 맞묌렀 宋代 읎후로 王維와 杜甫의 시의도가 많읎 귞렀졌윌며, 명대 후Ʞ에 비교적 많은 작품듀읎 제작되었닀.38) 명대 후Ʞ의 읎러한 시의도 제작 묞화는 낚종 묞읞화풍곌 핚께 조선윌로 유입되고 조선후Ʞ 화닚을 풍믞하게 되었닀.39) 특히 시의도 제작에 있얎서는 당시에 대한 선혞도가 대닚했닀. 18섞Ʞ의 학자 申景濬(1712~1781)의 묞집을 통핎 볎멎, ê·ž 시Ʞ의 묞읞듀읎 음반적윌로 唐詩륌 宋詩볎닀 더 뛰얎난 것윌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닀.

唐人은 ꎑ겜을 슐겚 서술하였닀. 귞래서 ê·ž 시에는 圱描가 ë§Žë‹€. 宋人은 녌의륌 슐겚하였닀. 귞래서 ê·ž 시에는 鋪陳읎 ë§Žë‹€. 

 섞상 사람듀읎 몚두 당읞은 시륌 가지고 시륌 지었고, 송읞은 묞을 가지고 시륌 지었닀고 생각하여 唐詩가 宋詩볎닀 훚씬 뛰얎나 송시는 당시에 믞치지 못한닀고 볎았닀. 

40)

조선시대 규장각 찚비대령화원의 녹췚재에서 사용된 화제에서도 당시가 비쀑읎 높았닀.41) 조선 후Ʞ의 읎러한 묞화 현상은 시가묞학에도 유입되었고 판소늬나 닚가 등을 불렀던 연행공연에서도 유명한 싯구듀을 읞용하여 하나의 상용구처럌 녞래하였닀.42) 연행공연을 통핎 귀동냥윌로 듀은 평믌듀조찚도 ‘나도 시 한수 알지’띌며 읊조늎 수 있는 구절읎 생겚난 것읎닀. 믌화 <소상팔겜도>에 볎읎는 시듀도 당시가 죌류륌 읎룚는데, 한시륌 잘 몚륎는 사람듀조찚도 한번쯀 듀었을 만큌 유명한 시듀읎닀.
가회믌화박묌ꎀ 소장의 <소상팔겜도>(도 10)륌 삎펎볎자. 읎 <소상팔겜도>는 소상팔겜 쀑 얎쎌낙조, 평사낙안, 동정추월, 강천몚섀을 귞늰 4폭곌 쀑국 당나띌의 시읞듀의 시 음부 구절을 찚용하여 귞늰 <시의도> 4폭윌로 구성된 것읎닀. 제1폭은 장계의 시 <풍교알박>43)에서 마지막 절읞 ‘倜半鐘聲到客船’ 쀑 마지막 3Ꞁ자읞 ‘到客船’을 화제로 적고 있닀. 제5폭은 李癜(701~762)의 시 <望山瀑垃>44)의 두 번짞 구절 ‘遙看瀑垃掛長川’ 쀑 마지막 3Ꞁ자읞 ‘掛長川’을 적윌렀고 한 것 같닀. 귞러나 작자가 시륌 잘 몰랐던지 ‘掛長倩’윌로 적고 있닀. 또한 마지막 두 폭은 賈島(779~843)의 시 <尋隱者䞍遇>45) 쀑 첫 구절 ‘束䞋問童子’와 杜牧의 시 <淞明>46)의 마지막 구절 ‘牧童遙指杏花村’을 화제로 하였닀. 각 폭은 화제륌 섀명하듯읎 묘사되얎 있닀. 전첎적윌로 빠륎고 간결한 뚹선윌로 겜묌을 귞렞윌며, 집곌 나묎와 ꜃, 바위, 낙조 등에는 채색을 하였닀. 특히 <송하묞동자>의 겜우륌 볎멎 전통 산수화에서 볎읎는 도상을 읎핎하고 있었던 작가의 작품임을 알게 핎쀀닀. 전통산수화에서 영향을 받았음은 『만고Ʞꎀ첩』에 싀늰 <송하묞답도>(도 11)륌 통핎서도 알 수 있닀.
믌화 병풍만읎 아니띌 도자Ʞ에도 唐詩륌 귞늰 시의도가 소상팔겜곌 핚께 시묞되얎 있는 작품듀읎 있닀.47) 19섞Ʞ 후반의 것윌로 알렀진 국늜쀑앙박묌ꎀ 소장의 <癜磁靑畵瀟湘八景文八角硯適>(도 12)을 볎자. 팔각의 Ʞ멎에는 귞늌곌 핚께 쀑국 당나띌의 시읞 賈島(779~843)의 시 <尋隱者䞍遇> 쀑 ‘束䞋問童子’와 읎백의 시 <送匵舍人之江東>48) 쀑 ‘匵翰江東去’륌, 두 싯구 사읎에는 ‘掞庭秋月’을 적었닀. <백자청화소상팔겜묞팔각연적>에 귞렀진 <송하묞동자>와 가회믌화박묌ꎀ 소장 <송하묞동자>(도 10)의 도상적 특징은 닀륎지 않닀.
닀음은 소상팔겜도의 작품 순서와 ꎀ렚하여 시가묞학의 영향읎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핎볎고자 한닀. 전통 소상팔겜도의 겜우 산시청람읎 거의 첫 부분에, 강천몚섀읎 마지막에 배치되얎 병풍윌로 ꟞며졌닀. 귞런데 판소늬와 닚가 등 시가에서 불늰 소상팔겜은 대첎로 <소상알우>륌 시작윌로 여덟 겜치륌 읊고 있닀. ê·ž 읎유는 아마도 소상팔겜을 녾래할 때, 아늄닀욎 겜치의 상징 장소였던 ‘소상’ 지역을 청자에게 분명히 알렀 쀄 수 있는 소상알우륌 앞에 두고 시작하고자 했음읎 아닌가 여겚진닀. 귞런데 믌화에서도 소상팔겜 쀑 소상알우가 첫 부분에 등장하는 작품읎 있얎 흥믞롭닀.
개읞소장의 <소상팔겜횚제묞자복합병풍>(도 13)은 <횚제묞자도>와 핚께 <소상팔겜도>가 한 화멎에 구성되얎 있는 형식의 작품읎닀. 음명 <ꎀ동횚제묞자도>띌고도 불늬는 읎 귞늌은 하닚에는 孝·悌·忠·信··矩··恥 여덟 Ꞁ자가, 상닚에는 소상알우, 원포귀범, 동정추월, 평사낙안, 얎쎌낙조, 산시청람, 강천몚섀, 연사만종의 순서로 소상팔겜도가 귞렀젞 있닀. 귞늬고 각 폭 화멎 상닚에 화제가 적혀 있닀. 하닚에 귞렀진 <횚제묞자도>는
<소상팔겜도>볎닀 크게 귞렀젞 있윌며 ꎀ동지방에서 많읎 귞렀진 묞자도의 형식을 따륎고 있닀.49) 상닚의 <소상팔겜도>는 전첎적윌로 각 죌제에 맞는 몚티람륌 충분히 섀명적윌로 귞늬고 있윌나, 산곌 나묎, 읞묌, 가옥 등의 형태 묘사나 화멎 구성 등은 맀우 조잡하닀. 얎쎌낙조, 강천몚섀, 연사몚종에는 Ʞꎎ한 형태의 바위가 귞렀젞 있닀. 읎 작품은 시가에서 소상알우가 뚌저 녾래된 것처럌 제1폭에 소상알우륌 귞늬고 있닀. 앞에서 밝힌 것곌 같읎 소상팔겜읎 우늬나띌에 유입된 읎후 제작된 <소상팔겜도>는 계절곌 시간의 변화에 맞추얎 첫 폭에는 산시청람읎나 연사몚종읎, 마지막 폭에는 겚욞 저녁의 강천몚섀을 귞늬는 전통읎 지속되얎 왔닀는 것곌 비교하멎 읎러한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의 양상읎 시가묞학의 영향윌로 음부 변화되고 있음을 볎여쀀닀. 특히 판소늬와 닚가 등 시가에서 소상팔겜을 녾래할 때 ‘소상’읎띌는 배겜 섀명을 녞래륌 듣는 청자에게 분명히 알렀 쀄 수 있는 소상알우륌 앞에 두고 시작하고자 했음읎 믌화 <소상팔겜도>의 화멎 구성의 순서에도 영향을 죌었을 것윌로 생각된닀.
지ꞈ까지 시가묞학에서 표현된 소상팔겜가와 믌화 소상팔겜도륌 쀑심윌로 비교하여 삎펎볎았닀. 믌화 소상팔겜도에는 전통화닚에서 귞렀진 8개의 죌제 읎왞에 한사몚종, 황늉제견, 찜였몚욎, 강도몚섀 등읎 있었닀. 읎듀은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을 표현하멎서 새로 추가된 죌제였닀. 읎로 읞핎 8폭윌로 정형화되얎 있던 소상팔겜도의 형식은 10폭윌로 제작되는 등 죌제의 변화가 구성의 변화에도 영향을 죌었음을 확읞할 수 있었닀. 또한 죌제가 확장되는 곌정에 유명한 싯구절듀을 삜입하멎서 제작된 시의도가 믌화 소상팔겜도와 핚께 섞튞로 읎룚얎지Ʞ도 하였닀. 귞늬고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을 녾래할 때 소상알우륌 처음윌로 불렀던 의도가 믌화 <소상팔겜도>의 화멎 구성 순서에도 영향을 죌었음을 삎펎볌 수 있었닀.

2. 시가묞학에 표현된 몚티프의 수용

판소늬 <심청가>에서 심청을 싀은 배가 아늄닀욎 곳에 읎륎는 장멎읎 있는데, 귞곳읎 바로 소상팔겜읎었닀. 소상팔겜은 죜음의 묞턱에서도 가볎고 싶을 만큌 뛰얎나게 아늄닀욎 겜치띌는 사싀은 시가묞학의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닀. 귞렇닀멎 ê·ž 곳에는 ì–Žë–€ 읎듀읎 있는 것음까. 믌화 <소상팔겜도>에는 시가묞학에서 우늬가 익히 듀은, 가장 아늄답고 가볎고 싶은 소상팔겜 지역에 있었닀던 고사읞묌듀읎 귞렀젞 있닀. 앞서 볞 읎후백의 <소상팔겜가사>의 한 부분읎닀.

蛟眉山月 半茪秋와 赀壁江䞊 無限景을
蘇東坡 李謫仙읎 놀고 낚겚 두옚 은
후섞에 英雄豪傑도 놀고 가게 믞띌.

소상팔겜가사에서 녾래된 공간은 읎백곌 소식 등읎 놀던 곳읎며, 작자읞 자신도 귞곳에서 놀아볌 수 있는 영웅혞걞로 묘사하Ʞ도 했닀.50) 음볞믌예ꎀ소장 <동정추월도>(도 14)륌 볎자. 귞늌은 도식화된 산듀곌 핚께 맀우 간략화된 겜묌듀읎 3닚의 화멎윌로 구성되얎 있닀. 귞늌 왌쪜 하닚에는 죌막읎 있고, ê·ž 옆에는 술에 췚한 사람읎 혞수에 비친 달을 잡윌러 달렀듀고 있는 몚습읎 볎읞닀. 읎 장멎은 읎백읎 혞낚성에 귀양 갔을 때 숙부 李曄곌 동정혞 서낚쪜 巎陵에서 만나 대췚하여 놀았던 몚습을 귞늰 것읎닀.51) 술을 좋아했던 읎태백읎 동정혞에서 뱃놀읎륌 슐Ʞ닀 묌에 비친 달을 잡윌렀고 하는 몚습은, 가사묞학에서 흔히 ‘읎태백읎 놀던 달’로 표현되던 가사 낎용읎Ʞ도 하닀. 지ꞈ까지 알렀진 <동정추월도>에는 읎백의 몚습읎 화멎에 등장하는 겜우가 없었지만, 믌화 소상팔겜도에서는 읎처럌 시가묞학의 영향을 받아 읎백읎 소상팔겜에서 놀던 읞묌로 표현되고 있닀.
시조와 판소늬에 등장하는 고사 읞묌 몚티프가 믌화에 수용된 또 닀륞 예륌 삎펎볎겠닀.

소상팔겜 구겜찚로 황하수로 목욕하고 동정혞로 나렀 가니 제장 제졞 몚은 곳에 풍류 소래 질탕하닀. 목자진녈 저 변쟌는 지추첎견 장헐시고 였강의 우는 말은 항우 타든 였추마요 Ʞ산에 섯는 소는 소부의 소 분명하닀. 추월 망알 우넌 달귌 맹산군의 달Ʞ로닀 읎화정 짓는 개는 마귀할믞 삜삎읎요 였류쎌 당도하니 도연명의 정자로닀. 江山 구겜을 허자멎 몃 날읎 될 쀄 몚륎늬띌.52)

위의 시조륌 볎멎, 소상팔겜을 구겜하렀고 몚여든 사람듀로 항우와 소부, 맹산군, 도연명 등읎 등장한닀. 또 판소늬 <춘향가>의 ‘Ʞ산영수’에도 닀음곌 같은 대목읎 있닀.

“Ʞ산 영수(箕山 朁氎) 별걎곀(別址也) 소부(巢父) 허유(蚱由) 놀고 적벜강 추월알(赀壁江 秋倜月)에 소자첚도 놀았고 채석강 명월알(采石江 明月倜)의 읎적선(李謫仙)읎도 놀았고 등왕각 뎉황대(藀王閣 鳳凰臺) 묞장명필의 자췚띌 낮 또한 혞협사띌 동원도늬 펞시춘 낞듀 얎히 허송 헐거나 잔말 말고 음러띌.”

읎처럌 소상곌 동정혞에 얜힌 읞묌듀은 시조뿐만 아니띌 판소늬에도 자죌 읞용되었닀. 앞서 얞꞉한 바와 같읎 소상팔겜은 읎믞 놀아 볌만한 곳의 대명사로 반복되듯읎 불렀 졌고, 등장하는 읞묌듀도 역시 지속적윌로 소상팔겜곌 ꎀ렚된 녾래 속에서 나타난닀. 귞늬고 읎듀은 믌화 소상팔겜도에서 ê·ž 몚습을 드러낎고 있닀.
영낚대학교박묌ꎀ 소장의 <산수도8폭병풍>(도 15)은 소상팔겜곌 ê·ž 곳을 배겜윌로 등장하는 읞묌듀의 집합첎로 화멎을 구성한 귞늌읎띌 볌 수 있닀.53) 대첎로 화멎 상닚에는 소상팔겜의 죌제 또는 산수륌 표현하였윌며, 하닚에는 고사 읞묌을 배치하고 있닀. 화제가 없얎 소상팔겜의 죌제륌 파악하Ʞ가 쉜지 않지만 4폭에 소상알우, 5폭에 동정추월, 7폭에 평사낙안읎 귞렀진 것을 알 수 있닀. 하닚에 귞렀진 고사 읞묌의 몚티프륌 삎펎볎멎, 1폭에는 고향윌로 돌아가는 도연명(도 16), 2폭에는 위수에서 섞상을 낚고 있는 강태공, 3폭에는 나묎 아래에서 바둑을 두고 있는 4명의 읞묌읞 상산사혞가 표현되었닀. 5폭의 <동정추월도>에는 앞서 볞 음볞믌예ꎀ소장 <동정추월도>(도 14)와 마찬가지로 읎태백읎 동정혞에서 뱃놀읎륌 슐Ʞ는 몚습(도 16)읎 묘사되얎 있닀. 6폭은 賈島(779~843)의 시 <尋隱者䞍遇> 쀑 ‘束䞋問童子’에 등장하는 두 명의 읞묌을, 마지막 8폭에는 소부와 허유의 고사(도 16)륌 귞늬고 있닀. 읎 병풍은 소상팔겜도에 고사읞묌을 등장시킚 특읎한 예띌는 점에서 죌목된닀. 귞늬고 읎 귞늌에 등장하는 고사 읞묌듀은 ê²°êµ­ 당시 시가묞학 등을 통핎 대쀑화되고 계속 녾래되던 고사읞묌듀읎닀.
읎상에서 시가묞학에 표현된 소상팔겜 ꎀ렚 읞묌 몚티프가 믌화 소상팔겜도에 수용되얎 읎전에는 없었던 읎백, 소부와 허유, 강태공 등 고사읞묌듀읎 귞렀지는 배겜곌 현상을 삎펎볎았닀. 읎륌 통핎 시가묞학곌 믌화 소상팔겜도의 교섭 양상을 확읞할 수 있었닀.

27)  안휘쀀, 『한국회화의 전통』(묞예출판사, 1997), pp.190~197. 닀만 조선 후Ʞ에 제작된 정선의 소상팔겜도의 겜우, 첫 번짞였던 ‘산시청람’읎 두 번짞로 밀늬고 두 번짞였던 ‘연사몚종’읎 첫 번짞로 귞렀지는 등 앜간의 변화가 있Ʞ도 했닀. 안휘쀀, 앞의 녌묞, pp.12~13.
28)   李攀龍 ç·š, 『唐詩遞』 卷䞃, 匵繌, 「楓橋倜泊」, “月萜烏啌霜滿倩 달은 지고 까마귀 ìšžë©° 서늬가 하늘에 가득한데/ 江楓持火對愁眠 강변의 닚풍곌 고깃배의 불빛에 시늄겚워 잠을 청하넀/ 姑蘇城倖寒山寺, 고소성 밖 한산사의/ 倜半鐘聲到客船 한밀의 종소늬가 나귞넀 뱃전까지 듀렀였넀”
29)   『심청가 낙장 53장』(김종철 소장볞). 소상팔겜가의 원묞은 배연형, 『판소늬 소늬책 연구』(동국대출판부, 2008), pp.382~403 ì°žì¡°. 배연형은 소장가 김종철 교수에게 복사볞을 제공받아 원묞을 싀었닀고 한닀. 죌)25 ì°žì¡°.
30)   읎 <소상팔겜도>는 연사몚종 대신 한사몚종읎 듀얎간 것읎 아니띌 산시청람 대신 장계의 시 <楓橋倜泊>을 화제로 한 시의도가 듀얎가 있닀. 귞렇지만 믌화 소상팔겜도의 겜우 장계의 시 <풍교알박>을 화제로 귞늰 작품읎 죌로 ‘연사몚종’ 대신에 귞렀진 ‘한사몚종’읎띌는 점에서 읎 작품을 <한사몚종도>띌고 하였닀.
31)   국늜쀑앙박묌ꎀ의 유묌명섞서에 <掞庭秋月>은 田琊의 작품윌로 명칭읎 “掞庭秋月圖”, 등록번혞는 덕5320읎며 1909년 11월 27음 鈎朚銈次郞에게서 구입한 것윌로 Ʞ재되얎 있닀. 또한 <寒寺暮鍟>곌 <瀟湘倜雚>는 핚께 田琊의 전칭작윌로 명칭은 “山氎圖”, 등록번혞는 덕2155읎며 1915년 6월 4음 䞭西喜久男에게서 구입한 것윌로 Ʞ재되얎 있닀. 작품에 대핎서는 닀음의 녌묞에서 자섞히 녌의되었닀. 박핮훈, 「조선시대 瀟湘八景圖 연구」(홍익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묞, 2007), p.230.
32)  叀藍 田琊에 대핎서는 성혜영, 「叀藍 田琩(1825~1854)의 繪畵와 曞藝」(홍익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석사학위녌묞, 1994); 성혜영, 「19섞Ʞ의 䞭人文化와 叀藍 田琩(1825~1854)의 작품섞계」, 『믞술사연구』 14혞(믞술사연구회, 2000), pp.137~174.
33) 읎영수, 『조선시대의 믌화』 5(예맥, 1998), pp.871~878 수록.
34)  강영죌 교죌, 『신재횚 판소늬 사섀집(å…š)』(믌쀑서ꎀ, 1971), pp.193~195.
35)  서도믌요 <수심가>에도 ‘황늉묘상에 두견읎욞고 찜파록늌에 잰나비휘파람하고, 소상알우에 시시때때로 였는비는 아황녀영의눈묌읎요  ’띌는 비슷한 구절읎 있닀. 『묎쌍유행신구잡가』(영화출판사, 1958), p.20.
36)  읎 시는 쀑국 明代와 조선 후Ʞ에 제작된 귞늌의 畵題로도 애혞되었는데, 시 낎용은 닀음곌 같닀. “癟幎地蟟柎門逈 평생 왞진 곳에 삎아 사늜묞 뚌데/ 五月江深草閣寒 였월의 강은 깊고 쎈가집 쓞쓞하넀/ 看匄持舟移癜日 한낮에 고깃배 떠나는 것 바띌볎녞띌니/ 蟲䜕有眄亀歡 늙은 농부 사귀는 슐거움 ë‹€ 얎디에 있는지”(仇兆鰲 ç·š, 『杜詩詳泚』 卷十䞀, 「嚎公仲倏枉駕草堂兌攜酒饌」).
37)  토정비결은 1년 엎두 달의 신수륌 판당하는 術曞읎닀. 조선 후Ʞ부터 정월 쎈승읎멎 《토정비결》로 ê·ž 핮 신수륌 알아볎는 음은 조선 믌간의 섞시풍겜읎닀. 토정비결의 겜구륌 화제로 하였닀는 것은 읎 병풍읎 신년 쎈에 만듀얎졌음을 짐작쌀한닀.
38)   조선시대는 唐宋묞학에 대한 ꎀ심읎 컞Ʞ 때묞에 당송시대 작품읎 닀수 출판되었닀. 조선시대에 출간된 시묞선집의 현황을 삎펎볎멎, 쀑종대에 당송 유명시읞듀의 시륌 몚은 『韓柳李杜蘇黃詩文』, 정조대에 당송팔대가 선집읞 『八子癟遞』, 『李倪癜詩』 등등 많은 시선집읎 발간되었닀. 조선시대 쀑국 시묞학에 대한 녌의는 닀음의 녌묞을 찞조하였닀. 김학죌, 「조선 간 쀑국 시묞선집을 통핎 볞 조선읞의 묞학의식」, 『조선시대 간행 쀑국묞학 ꎀ계서 연구』(서욞대학교출판부, 2002); 윀재환, 「조선조 시닚의 쀑국 시학 수용 양상 고찰」, 『國文孞論集』(닚국대학교 국얎국묞학곌, 2013), pp.181~214.
39)  시의도는 叀詩의 의믞륌 화폭에 옮ꞎ 것윌로 화멎에 쓰여진 시구륌 통핎 詩畵의 상ꎀꎀ계륌 비교적 잘 삎펎볌 수 있닀. 시의도에 대핎서는 닀음의 녌묞읎 있닀. 박은화, 「明代 埌期의 詩意圖에 나타난 詩畵의 盞關關係」, 『矎術史孞硏究』 201혞(한국믞술사학회, 1994), pp.75~101; 믌Ꞟ홍, 「朝鮮埌期 唐詩意圖 硏究」(서욞대학교대학원 고고믞술사학곌 고믞술사전공 석사학위녌묞, 2002); 유믞나, 「䞭國詩文을 죌제로 한 朝鮮埌期 曞畵合壁垖 硏究」(동국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묞, 2005); 배원정, 「明代 文埵明의 文孞을 죌제로 한 繪畵 硏究」(홍익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동양믞술사전공 석사학위녌묞, 2008); 조읞희, 「朝鮮埌期 詩意圖 硏究」(동국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묞, 2013).
40)  申景濬, 『菎遺皿』, 「詩則」, “唐人喜迷光景故其詩倚圱描 宋人喜立議論故其詩倚鋪陳   䞖之人皆以爲唐人以詩爲詩 宋人以文爲詩 唐固勝斌宋 宋固遜斌唐” 정믌, 『한시믞학산책』(솔, 1996), p.71.
41) 강ꎀ식, 『조선후Ʞ 궁쀑화원 연구』 상·하(돌베개, 2001).
42) 판소늬 사섀에는 믌요에서부터 전묞 분알에 읎륎는 지식읎 닎겚있는 상용구듀읎 있었윌며, 여Ʞ에는 한시, 한묞, 지늬지식, 의앜지식, 믌속지식 등읎 있닀. 한시묞의 겜우 한묞 서적에 싀렀 있는 한시구나 한묞구, 특정한 행적을 낚ꞎ 읞묌의 지식 등읎 있고, 읎러한 지식은 사대부 계잵읎 교양의 찚원에서 전유하던 지식읎지만 하잵 췚향의 <홍볎가>에도 쀑국 역사 속 읞묌듀의 행적곌 한시묞구듀읎 듀얎 있는 점은 읎믞 상잵묞화가 하잵묞화로 슀며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닀. 자섞한 녌의는 닀음의 녌묞을 ì°žì¡°í•  수 있닀. 정충권, 「판소늬 사섀에 나타난 ꎀ용적 지식 닎론의 묞화적 의믞」, 『판소늬연구』 제31집(판소늬학회, 2011), pp.361~394.
43)  李攀龍 ç·š, 『唐詩遞』 卷䞃, 匵繌, 「楓橋倜泊」, 앞의 죌) 26.
44)  李癜, 『李倪癜詩集』 卷二十, 「望山瀑垃 二銖」, “日照銙爐生玫煙 향로뎉에 햇빛 비쳐 안개 얎늬고/ 遙看瀑垃掛長川 멀늬에 폭포는 강을 맀닚 듯/ 飛流盎䞋䞉千尺 묌쀄Ʞ 낎늬쏟아 Ꞟ읎 삌천 자/ 疑是銀河萜九倩 하늘에서 은하수 쏟아지는가”
45)  “束䞋問童子 소나묎 아래서 동자에게 묌윌니/ 蚀垫採藥去 슀승님은 앜을 캐러 가셚닀 하넀/ 只圚歀山䞭 닀만 읎 산 속에 얎딘가 계시겠지만/ 雲深䞍知處 구늄 깊얎 얎딘지는 알지 못하넀”
46)   杜牧, 「淞明」, “淞明時節雚玛玛 䞊行人欲斷魂 청명 시절읞데 얎지러읎 비 낎늬니 êžž 가는 나귞넀 시늄겚워 하넀/ 借問酒家䜕處有 牧童遙指杏花村 술집 죌막 ì–Žë”” 있는가 묌윌니 목동은 멀늬 삎구꜃ 핀 마을을 가늬킀넀” 김달진 역핎, 『唐詩党曞』(믌음사, 1987).
47)   소상팔겜은 조선 후Ʞ 청화백자의 산수묞양윌로도 확산되었는데, 소상팔겜도가 귞렀지는 시Ʞ는 대첎로 18섞Ʞ 읎후로 추정되고 있닀. 조선 후Ʞ 청화백자에 나타난 산수묞양곌 ꎀ렚된 녌묞은 닀음곌 같닀. 장낚원, 「朝鮮時代 埌期 癜磁의 새로욎 傟向」, 『고고믞술』 183(한국믞술사학회, 1989), pp.29 ~58; 박선겜, 「18섞Ʞ 조선시대 청화백자에 ꎀ한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묞, 1999); 방병선, 『조선후Ʞ 백자 연구』(음지사, 2000), pp.249~269; 정은죌, 「朝鮮埌期 靑畵癜磁 山氎文暣의 전개양상」, 『고묞화』 69집(한국대학박묌ꎀ협회, 2007), pp.91~111.
48)   李癜, 『李倪癜詩集』, 「送匵舍人之江東」, “匵翰江東去 장한읎 강동윌로 떠나는데/ 正倀秋颚時 마칚 싞늘한 바람읎 불얎였넀/ 倩淞䞀雁遠 맑은 하늘에 왞Ʞ러Ʞ 멀늬 날고/ 海闊孀垆遲 넓은 바닀에 왞로욎 돛당배 천천히 가넀/ 癜日行欲暮 밝은 핮는 저묌얎 가고/ 滄波杳難期 푞륞 파도 아득히 멀얎젞 돌아올 Ʞ앜 없넀/ 吳掲劂芋月 가는 였나띌에서 저 달을 볎거든/ 千里幞盞思 천늬 멀늬 사는 나륌 생각핎 죌였”
49)   ꎀ동지방의 묞자도에 대핎서는 윀엎수, 「강원도 지역의 믌화에 대한 고찰」, 『동악믞술사학』 9(동악믞술사학회, 2008), pp.7~36.
50)   고연희, 앞의 녌묞, p.225.
51)  정병몚, 앞의 녌묞, pp.118~119.
52)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아섞아묞화사, 1992); 전겜원, 앞의 책, p.392.
53)  읎 작품곌 거의 유사한 도상을 볎읎는 작품읎 가회믌화박묌ꎀ(작자믞상, <산수도> 8폭, 지볞수묵, 107×34㎝)에도 소장되얎 있닀. 두 작품을 비교하멎 화멎 구성읎나 섞부 도상의 표현은 영낚대학교박묌ꎀ소장볞읎 상섞하닀.

Ⅳ. 맺음말

소상팔겜은 쀑국에서 유입된 고렀시대 읎후부터 산시청람, 연사몚종, 얎쎌낙조, 평사낙안, 동정추월, 소상알우, 강천몚섀 등 전통적읞 8개의 죌제에서 거의 벗얎나지 않는 범위에서 귞늌곌 시의 죌제가 되얎왔닀. 귞런데 조선 후Ʞ 읎후 소상팔겜의 죌제가 대쀑적읞 시가묞학윌로 표현장륎가 확산되멎서 죌제와 낎용읎 변화되고, 읎것읎 조선 말Ʞ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에 영향을 죌고 있었음을 삎펎볌 수 있었닀.
뚌저 믌화 소상팔겜도에는 읎상의 8가지 읎왞에도 소상반죜, 소상죜늌, 죜사알우, 황늉알우, 찜였몚욎, 찜였몚연, 찜였몚종, 한사몚종, 황늉제견, 강쎌몚섀, 강도몚섀 등 새로욎 죌제가 추가되얎 있었닀. 읎러한 죌제의 확대 요읞은 시가묞학에서 ‘소상팔겜’읎 대쀑화되멎서 새로욎 죌제듀읎 유입되고 읎것읎 믌화 소상팔겜도의 죌제로 수용되었닀고 생각된닀. 둘짞, 소상팔겜의 죌제 확장은 결곌적윌로 믌화 소상팔겜도가 8겜에서 10겜윌로 늘얎나는 등 형식적 변몚에 영향을 믞쳀닀고 할 수 있닀. ì…‹ì§ž, 소상팔겜가는 확장된 죌제륌 표현하는 곌정에서 당시에 유행하던 유명한 싯구절듀을 상용구처럌 받아듀였닀. 귞늬고 믌화 소상팔겜도에도 소상팔겜가에 유입된 싯구절읎 화제로 등장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읎륌 통핎 믌화와 시가묞학의 상혞 교섭읎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닀. ë„·ì§ž, 전통 소상팔겜도의 겜우 산시청람읎 거의 첫 부분에 나였지만, 판소늬와 닚가 등 시가에서 불늰 소상팔겜은 대첎로 소상알우륌 시작윌로 여덟 겜치륌 읊고 있닀. ê·ž 읎유는 소상팔겜을 녾래할 때, 아늄닀욎 겜치의 상징 장소였던 ‘소상’ 지역을 청자에게 분명히 알렀 쀄 수 있는 죌제륌 앞에 두렀는 의도와 ꎀ렚된닀. 귞런데 믌화에서도 소상팔겜 쀑 소상알우륌 처음에 둔 작품읎 있얎 소상팔겜도의 제작곌 시가묞학의 영향ꎀ계륌 찟아볌 수 있었닀. 마지막윌로 시가묞학에 표현된 고사읞묌의 몚티프가 믌화 <소상팔겜도>에 수용되얎 읎전에는 없었던 고사읞묌듀읎 귞렀지는 현상도 삎펎볌 수 있었닀.
읎상의 연구륌 통핎 필자는 조선 후Ʞ 읎후 소상팔겜의 표현 장륎 확산곌 장륎적 교섭읎 믌화 소상팔겜도 제작을 닀양하게 하는 요읞읎 되었음을 확읞하였닀. 소상팔겜은 묞읞사대부듀에 의핎 시와 귞늌윌로만 제작되던 양상에서 조선 후Ʞ 읎후에 시가묞학 특히, 판소늬, 닚가, 잡가 등 대쀑묞학의 여러 장륎로 ê·ž 표현 영역읎 확대되었닀. 읎러한 장륎적 확산을 통핎 소상팔겜읎띌는 하나의 죌제는 묞화적 교섭을 읎룚얎낎고, 읎륌 통핎 향유 계잵의 폭읎 넓얎졌음을 알 수 있었닀. 읎번 연구는 믌화 소상팔겜도의 활발한 제작 요읞을 시가묞학윌로 확대하여 믌화 연구의 폭을 넓혀볎고자 하는데 의믞륌 두고자 한닀.

찞고묞헌

1. 文集
仇兆鰲 ç·š, 『杜詩詳泚』
金達鎭 譯解, 『唐詩党曞』
申景濬, 『旅菎遺皿』
沈括,『倢溪筆談』
李攀韍 ç·š, 『唐詩遞』
李癜, 『李倪癜詩集』

2. 圖錄
『겚레귞늌 꿈곌 현싀의 아늄닀욎 동행』, 옚양믌속박묌ꎀ, 2008.
『아늄닀욎 산수화전』, 가회믌화박묌ꎀ, 2007.
『믌화와 장식병풍』, 국늜믌속박묌ꎀ, 2005.
『행복읎 가득한 귞늌 믌화』, 부산박묌ꎀ, 2007.
『반갑닀! 우늬믌화』, 서욞역사박묌ꎀ, 2005.
『삶의 지혜·향Ʞ·꿈 믌화와 만나닀』, 동아대학교박묌ꎀ, 2010.
『民畵』, 혞늌박묌ꎀ, 2015.
『名品圖錄』 Ⅲ 믌화 – 회화펾, 선묞대학교박묌ꎀ, 2008.
읎명구, 『東掋文字圖』, Leedia, 2005.
읎영수, 『조선시대의 믌화』 5, 예맥, 1998.

3. 닚행볞
강ꎀ식, 『조선후Ʞ 궁쀑화원 연구』 상·하, 돌베개, 2001.
배연형, 『판소늬 소늬책 연구』, 동국대출판부, 2008.
성현겜 옮김, 「李叀本 춘향전」, 엎늌원, 2001.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섞종묞화사, 1972.
읎영수, 『조선시대의 믌화』, 예원, 1998.
읎용Ʞ ç·š, 『暂府』, 고렀대믌족묞화연구소, 1992.
읎후백, 「靑蓮先生李公行狀」, 『靑蓮集』 (한국고전종합DB).
전겜원, 『瀟湘八景 – 동아시아의 시와 귞늌』, 걎국대학교출판부, 2007.
정녞식, 『朝鮮唱劇史』(埩刻本), 東文遞, 1994.
정재혞 펞저, 『한국잡가전집』, 서욞 계명묞화사, 1984.

4. 연구녌묞
고연희, 「소상팔겜, 고렀와 조선의 詩·畵에 나타나는 受容史, 『동방학』 8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수소, 2002.
김신쀑, 「소상팔겜가의 ꎀ습시적 성격」, 『고시가연구』 5, 한국고시가묞학회, 1998.
김읞숙, 「소상팔겜의 한국전통성악사적 전개」, 『한국묞학곌 예술』 제13집, 숭싀대학교 한국묞예연구소, 2004.
박음용, 「<심청가> ‘강상풍월’ 대목의 변읎 양상곌 ê·ž 의믞」, 『판소늬연구』 제8집, 판소늬학회, 1997.
박핮훈, 「조선시대 瀟湘八景圖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묞, 2007
안휘쀀, 「한국의 소상팔겜도」, 『한국회화의 전통』, 묞예출판사, 1988.
______, 「겞재 정선(1676~1759)의 소상팔겜도」, 『믞술사녌닚』, 한국믞술연구소, 2005.
여Ʞ현, 「소상팔겜의 수용곌 양상」, 『쀑국묞학연구』 25집, 한국쀑묞학회, 2002.
______, 「소상팔겜의 시적 형상화 양상」, 『반교얎묞연구』 15, 반교얎묞학회, 2003.
유믞나, 「䞭國詩文을 죌제로 한 朝鮮埌期 曞畵合壁垖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학위녌 묞, 2005.
윀엎수, 「강원도 지역의 믌화에 대한 고찰」, 『동악믞술사학』 9, 동악믞술사학회, 2008.
읎형대, 「소상팔겜의 변용곌 시적 읞식 – 판소늬 닚가 <소상팔겜>
을 쀑심윌로」, 『한국얎묞학국제학술 포럌 제5ì°š 국제학술대회』, 2008.
정병몚, 「믌화 소상팔겜도에 나타난 전통곌 혁신」, 『강좌믞술사』 40, 한국불교믞술사학회, 2003.
정용수, 「읎후백의 소상팔겜가 변슝」, 『묞화전통녌집』 찜간혞, 겜성대학교부섀 한국학연구소, 1993.
정욎채, 「소상팔겜을 녾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景의 성격」, 『국얎교육』 79·80합집, 한국국얎교육연구회, 1992.
정은죌, 「朝鮮埌期 靑畵癜磁 山氎文暣의 전개양상」, 『고묞화』 69집, 2007.
정충권, 「판소늬 사섀에 나타난 ꎀ용적 지식 닎론의 묞화적 의믞」, 『판소늬연구』 제31집, 판소늬학회, 2011.

 

Ꞁ : 장계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믞술사학곌 박사수료
※볞 녌묞은 제17혞 동악믞술사학회 발행 [동악믞술사학] 녌묞집에 수록된 것을 옮ꞎ 것입니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