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 œì˜ è«–è€ƒ]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가능성과 ì „ë§

차례
  • I. 서론
  • II. 민화관련 박물관 현황분ì„
  • 1. 소장ìžë£Œ
    2. 관람ê°
    3. 연간 개최전시
    4. ì—°ê°„ ìš´ì˜í”„로그램

  • â…¢.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가능성
  • 1. ë°•ë¬¼ê´€ì˜ ìµœê·¼ ë™í–¥
    2. 민화관련 ë°•ë¬¼ê´€í™”ì˜ ìž¥ì 
    3.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화 유형

  • â…£.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ì „ë§
  • 1.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ã€ìƒ ì§€ì› ê·œì •
    2. ì§„í¥ì •ì±…
    3. ì§€ì› í”„ë¡œê·¸ëž¨
    4. 민화관련 ë°•ë¬¼ê´€ì˜ ë“±ë¡

  • IV. ê²°ë¡ 
  • ※ 참고 문헌 ë° ìžë£Œ
  • ※ ë¶€ë¡

※ 본 ë…¼ë¬¸ì€ 2014ë…„ 11ì›” 29ì¼ í•œêµ­ë¯¼í™”í•™íšŒ í•™ìˆ ì„¸ë¯¸ë‚˜ì— ë°œí‘œí•œ ë…¼ë¬¸ì„ ë¶€ë¶„ 보완한 것입니다.

Ⅰ. 서론

ìš°ë¦¬ë‚˜ë¼ ë°•ë¬¼ê´€ì€ ê³µì‹ì ìœ¼ë¡œ 1,100ê´€ì´ ë„˜ì–´ì„°ë‹¤. êµ­ë¯¼ì˜ ì‚¶ì˜ ì§ˆ í–¥ìƒ ë° ì—¬ê°€ê¸°íšŒ(주5ì¼ì œ 근무, í•™êµ ì£¼5ì¼ì œ 수업 ì •ì°©) í™•ëŒ€ì— ë”°ë¥¸ 문화향유욕구와 기회 ì¦ê°€, 개정9ì°¨ êµìœ¡ê³¼ì • ë“±ì— ë”°ë¥¸ í•™êµêµìœ¡ íŒ¨ëŸ¬ë‹¤ìž„ì˜ ë³€í™” ë“±ì€ ê´€ ì¦ê°€ì˜ ê°„ì ‘ì ì¸ ì›ì¸ìœ¼ë¡œ 지목ëœë‹¤.
ë˜í•œ 지방ìžì¹˜ì œ ì •ì°©ì— ë”°ë¥¸ 지역특화 욕구 ìƒìй, 박물관 ì‹œì„¤ì˜ ë“±ë¡ ì¦ê°€, 박물관·미술관(ì´í•˜ 박물관)ì— ëŒ€í•œ 정부정책강화 ë° ì§€ì›í™•대, ì»¬ë ‰í„°ì˜ ê³µìµì  ì¸ì‹ 확산, 작가와 ìœ ì¡±ì˜ ê¸°ì¦ í™œì„±í™”, 특수·전문박물관화 경향 확산 ë° ì¸ì‹í™•대, ìƒì¡´ ìž‘ê°€ë“¤ì˜ ë¯¸ìˆ ê´€í™” 욕구 ì¦ê°€, 기존 박물관형ì‹ì˜ 탈피욕구 ì¦ê°€, ì´ì— 따른 유물 수집 ë°©í–¥ì˜ ëŒ€ì•ˆì  ëª¨ìƒ‰ì— ë”°ë¥¸ ìžë£Œì˜ ìž¬í•´ì„ ë° ì‘용욕구 ì¦ê°€ ë“±ì€ ë³´ë‹¤ ì§ì ‘ì ì¸ ì›ì¸ìœ¼ë¡œ ë³´ì¸ë‹¤.

[표 1] ì—°ë„별 박물관 수 ì¶”ì´1)

구분‘92‘93‘94‘99‘00‘01‘02‘03‘04
박물관101117140206220235276289328
미술관172025434653606669
과학관---------
수목ì›------323541
합계118137165249266288368390438
구분‘05‘06‘07‘08‘09‘10‘11‘12‘13
박물관364431511579630655694740779
미술관93103115128141145153171190
과학관--62708290959595
수목ì›434547495660676767
합계500597735826909950100910731131

ë°•ë¬¼ê´€ì€ ìµœê·¼ ì—°í‰ê·  60∼70ê°œê´€ì´ ì‹ ê·œ 확충ë˜ê³  있다. ì‹ ì„¤ë°•ë¬¼ê´€ì€ ì¢…í•©ë³´ë‹¤ëŠ” ì „ë¬¸ë°•ë¬¼ê´€ì´ ì£¼ë„하고 있으며, 설립 ë° ìš´ì˜í˜•태로는 공립과 ì‚¬ë¦½ì´ ë§Žë‹¤.
그러나 ì´ëŸ¬í•œ ì–‘ì ì¦ê°€ê°€ ì „ì ìœ¼ë¡œ ë‚´ì‹¤ì˜ ì œê³ ë¥¼ 담보한다는 ì˜ë¯¸ëŠ” 아니며, 국내외 ê²½ì œì—¬ê±´ì˜ ìž¥ê¸°ì¹¨ì²´, 세월호 참사와 ê°™ì€ ì˜ˆì¸¡ 불가능한 ëŒë°œë³€ìˆ˜ ë“±ì€ ë°•ë¬¼ê´€ 현장 ìƒí™©ì„ ë”ìš±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ì‚¬ë¦½ë°•ë¬¼ê´€ì€ ì™¸ë¶€ í™˜ê²½ì  ìš”ì¸ì´ ê²½ì˜ì—¬ê±´ê³¼ 보다 유기ì ìœ¼ë¡œ 관계하고 있어 ê³¼ê±°ì˜ ìš´ì˜í˜•íƒœì— ë¹„í•´ ë¶€ëŒ€í™œë™ ìª½ìœ¼ë¡œ 빠르게 진화하는 ì–‘ìƒì„ ë³´ì´ê³  있다.
ë”°ë¼ì„œ, 설립단계ì—서부터 다양한 í™˜ê²½ì  ìš”ì¸ì— ì ê·¹ 대ì‘하기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ìž…ì²´ì  í™œë™ì´ ìš©ì´í•œ 특수한 í…Œë§ˆì˜ ìžë£Œë¥¼ 소장품으로 하는 ë°•ë¬¼ê´€ì´ ê¾¸ì¤€ížˆ 늘어나고 있다. ì†Œìž¥í’ˆì€ ë°•ë¬¼ê´€ì˜ ì„±ê²©ê³¼ 시스템, 활ë™ê³¼ 부대사업 등 ì œ ë°©í–¥ì„ ê²°ì •í•˜ëŠ” 핵심ì´ë‹¤. 특히 ì‚¬ë¦½ì€ ì˜¤ê°ì„ ìžê·¹í•˜ëŠ” 콘í…츠와 ì´ë¥¼ 통한 ìž…ì²´ì ì¸ 활ë™, ë™ì„œê³ ê¸ˆì€ 물론 남녀노소ì—ê²Œë„ ì¹œê·¼ê°ì„ ì–»ì„ ìˆ˜ 있으며, í­ë„“ì€ ê³µê°ëŒ€, ê¸ì •ì  ì´ë¯¸ì§€ë¥¼ 바탕으로 한 êµìœ¡ì  기능 강화까지를 담보하는 등 ì´ì— 부합한 콘í…ì¸ ì˜ ë°œêµ´ì€ ë°•ë¬¼ê´€ 존립과 ì§ê²°ë˜ëŠ” 과제로 ë¶€ê°ë˜ê³  있는 것ì´ë‹¤. ì´ì ì€ 보다 ë†’ì€ ê°€ì¹˜ìž¬(價値財, Merit Goods)2)ì  ì§€ìœ„ì—ë„ ë¶ˆêµ¬í•˜ê³  사회ì ìœ¼ë¡œ ìžìƒì  ìš´ì˜ì˜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공공박물관ì—ë„ ì ì°¨ 고민해야할 과제로 ë¶€ê°ë˜ê³  있다.
본 ë…¼ë¬¸ì€ ì´ëŸ¬í•œ 기저ì—서 ë¯¼í™”ì˜ ë°•ë¬¼ê´€í™” 가능성과 ì „ë§ì„ ì¡°ë§í•˜ê³ ìž 한다. 먼저, 민화관련 박물관 í˜„í™©ì„ ì†Œìž¥ìžë£Œ 수, ì—°ê°„ ê´€ëžŒê° ìˆ˜, ì—°ê°„ 개최전시 건수, ì—°ê°„ ìš´ì˜í”„로그램 수를 중심으로 파악해 ë¶„ì„í•´ë³´ê³ ìž í•œë‹¤. ì´ í•­ëª©ë§Œì„ ëŒ€ìƒìœ¼ë¡œ 한 ê²ƒì€ ì´ ë„¤ 분야가 ë°•ë¬¼ê´€ì˜ í˜„ìƒê³¼ 활ë™ì„ 최소한으로나마 가늠할 수 있는 지표ì´ê¸° 때문ì´ë‹¤. ì´ë¥¼ 통해 2013ë…„ ë§ í˜„ìž¬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ã€(ì´í•˜ 박미법)ì— ì˜í•´ 등ë¡ëœ ì „ì²´ 박물관과 민화와 보다 ì§ì ‘ì ì¸ 7ê°œ 박물관, ì´ì™€ 유관한 79ê°œ ë°•ë¬¼ê´€ì„ ë¹„êµí•´ 민화 ë°•ë¬¼ê´€ì˜ í˜„í™©ì„ ë¶„ì„í•˜ê³ ìž í•œë‹¤. ì´ëŠ” 민화관련 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화 가능성과 ì „ë§ì„ 가늠하는 기초ìžë£Œê°€ ë˜ê¸° 때문ì´ë‹¤.
다ìŒìœ¼ë¡œ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ê°€ëŠ¥ì„±ì„ ë°•ë¬¼ê´€ì  ìž…ìž¥ì—서 ì œì‹œí•˜ê³ ìž í•œë‹¤. ë으로 ì „ë§ì— 대해서는 박물관 법령과 ì •ì±…, ì§€ì›, 등ë¡ì„, ì§€ì›ì— ì´ˆì ì„ ë§žì¶° 대입해가며 ë¯¼í™”ì˜ ë°•ë¬¼ê´€í™” 시 ì œë°˜ì—¬ê±´ì„ ì¶”ë¡ í•´ë³´ê³ ìž í•œë‹¤. ì´ëŠ” 박물관화 시 현실ì ì¸ 외부ìƒí™©ê³¼ì˜ ì ‘ì ì„ 연계하여 보다 ìž…ì²´ì  ë¶„ì„ì„ í†µí•œ ì „ë§ì„ 현실ì ìœ¼ë¡œ 보여주기 위함ì´ë‹¤.
다만, 연구ìžê°€ ë¶„ì„대ìƒì´ë‚˜ ë°ì´í„°ë¡œ ì‚¼ì€ ë¯¼í™” ë˜ëŠ” 민화관련 박물관, ì „ì²´ ë°•ë¬¼ê´€ì€ ì •ë¶€ì—ì„œë„ ì‹ ë¢°ë„ ë†’ì€ ë°ì´í„°ê°€ 없어 본 연구ì—ì„œë„ í•œê³„ë¡œ 남는다. 한편, ê° ìž¥ë³„ë¡œ ë¶„ì„ê³¼ ì‚¬ë¡€ì˜ ëŒ€ìƒì´ ë˜ëŠ” ë°•ë¬¼ê´€ì€ ê°œë…ê³¼ ì œë„, ì •ì±…, ì§€ì› ë“±ì€ ë°•ë¯¸ë²•ì„ ê¸°ì¤€ìœ¼ë¡œ 하였다. ì´ì™¸ì— ë°•ë¯¸ë²•ì— ê·¼ê±°í•œ ìžì¹˜ë‹¨ì²´ë³„ ì¡°ë¡€, ì •ì±…, ì§€ì›ì— 국한하였으며, 사례로 제시한 박물관 역시 ë°•ë¯¸ë²•ìƒ ë“±ë¡í•œ 관으로 제한하였다. ë”°ë¼ì„œ 박미법과 ì§ì ‘ì ì´ì§€ 못한 박물관(수목ì›, ì‹ë¬¼ì›, 과학관 등)ë„ ë³¸ ë…¼ë¬¸ì˜ ì£¼ì œì™€ ì—°ê´€ì´ ìžˆì„ ìˆ˜ 있지만 본 논문ì—서는 ì´ë¥¼ í¬í•¨ì‹œí‚¤ì§€ëŠ” 않았다.

1) 본 집계는 연구ìžê°€ ì§ì ‘ 조사한 것으로 박물관과 ë¯¸ìˆ ê´€ì€ ë¬¸í™”ì²´ìœ¡ê´€ê´‘ë¶€ì—서 발간하는 ì—°ë„별(1993년~2014ë…„) 〈문화기반시설ì´ëžŒã€‰ì— 근거를 하고 있다. 다만, 통계ì—서 과학관과 수목ì›ì€ 2012ë…„ê³¼ 2013ë…„ì˜ í˜„í™©ì´ 2011ë…„ë„와 ê°™ìŒì€ ê³¼í•™ê´€ì„ ê´€ìž¥í•˜ëŠ” 미래창조과학부와 수목ì›ì„ 관할하는 ë†ë¦¼ì¶•ì‚°ì‹í’ˆë¶€ 외청 산림청ì—서 정확한 ë°ì´í„°ë¥¼ 제공받지 못했기 때문ì´ë‹¤.
2) 개ì¸ì˜ ìžë°œì ì¸ ì„ íƒì— ì˜í•´ì„œëŠ” ì¼ì •수준 ì´ìƒê¹Œì§€ì˜ 소비가 ì¼ì–´ë‚˜ì§€ 않는 재화나 서비스, 위키백과사전 참조(ko.wikipedia.org/wiki/%EA%B0%80%EC%B9%98%EC%9E%AC)

â…¡. 민화관련 박물관 현황분ì„

2013ë…„ë„ ë°•ë¯¸ë²•ìƒ ë“±ë¡ 779ê°œ 박물관(미술관 제외) 중 유물 수와 ê´€ëžŒê° ìˆ˜ ëˆ„ë½ 39ê°œê´€ì„ ì œì™¸í•œ 740개관(ì´í•˜ ‘전체 박물관’ ë˜ëŠ” ‘전체’로 약기)ê³¼ ì „ì²´ 박물관 중 박물관 ëª…ì¹­ì— ë¯¼í™”ì™€ ìžìˆ˜ê°€ 들어있는 박물관(ì´í•˜ ‘민화박물관’ ë˜ëŠ” ‘민화’로 약기)3) 그리고 ì „ì²´ 박물관 중 민ì†, 민화, ìžìˆ˜, ë„ìž, 옹기, ë„기 등 민화와 관련한 콘í…츠를 ì§ê°„ì ‘ì ìœ¼ë¡œ 보유하고 있다고 í•  수 있는 박물관(ì´í•˜ ‘민화관련 박물관’ ë˜ëŠ” ‘민화관련’으로 약기, 해당 관명 [ë¶€ë¡: 민화관련 79ê°œ 박물관 현황] 참조)4)으로 구분지어 ì´ë“¤ 세 ê·¸ë£¹ì„ ëŒ€ìƒ5)으로 소장ìžë£Œ 수, ì—°ê°„ ê´€ëžŒê° ìˆ˜, ì—°ê°„ 개최전시 건수, ì—°ê°„ ìš´ì˜í”„로그램 수를 ê°ê° 비êµë¶„ì„하였다.
ë¶„ì„ í•­ëª©ì„ ì†Œìž¥ìžë£Œ, 관람ê°, 전시, 프로그램으로 제한한 ê²ƒì€ ì´ ë„¤ 가지가 ë°•ë¬¼ê´€ì˜ í˜„ìƒê³¼ 활ë™ì„ 최소한으로나마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본 논문ì—서 지향하는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가능성과 ì „ë§ì„ ì¶”ë¡ í•˜ëŠ”ë° ê°€ìž¥ê¸°ë³¸ì´ ë˜ë©´ì„œë„ 중요한 근거를 제공해주기 때문ì´ë‹¤.
한편, ìžìˆ˜ì™€ ìžìˆ˜ê´€ë ¨ì˜ 경우 소장ìžë£Œ ì „ì²´ê°€ 민화와 정확히 ì¼ì¹˜í•˜ëŠ” ê²ƒì€ ì•„ë‹ˆì§€ë§Œ 타 ë°•ë¬¼ê´€ì— ë¹„í•´ ìƒë‹¹ìˆ˜ ë˜ëŠ” ì¼ë¶€ì˜ ìžë£Œê°€ 민화와 유관하다고 íŒë‹¨í•˜ì—¬ 대ìƒì— 넣었다. ì´ëŠ” ì´ ì™¸ì˜ ë°•ë¬¼ê´€ì—ë„ ë¯¼í™”ê´€ë ¨ ìžë£Œê°€ ì ì§€ 않ìŒì„ ê°ì•ˆí•  때, ìƒí˜¸ ìƒì‡„ì˜ ì˜ë¯¸ëŠ” 충분하다고 íŒë‹¨í•œ 조치ì´ë©°, 대체ì ìœ¼ë¡œ í° ë¬´ë¦¬ëŠ” ì—†ì„ ê²ƒìœ¼ë¡œ ë³´ì¸ë‹¤.
다만, ë¶„ì„ì˜ ê¸°ë³¸ ìžë£Œì¸ ë¬¸í™”ê¸°ë°˜ì‹œì„¤ì€ ë¬¸ì²´ë¶€ì—서 취합해 발표하는 것ì´ë‹¤.
그럼ì—ë„ ë¶ˆêµ¬í•˜ê³  ì •ë¶€ 관리 ë¶€ì²˜ì˜ ìƒì´í•¨ìœ¼ë¡œ ì¸í•´ ë°•ë¯¸ë²•ìƒ ë°•ë¬¼ê´€ì˜ ë²”ì£¼ì— í•´ë‹¹í•˜ëŠ” 과학관, 수목ì›, 수족관, ë™Â·ì‹ë¬¼ì› ë“±ì´ ëˆ„ë½ë˜ê³  ìžˆì„ ë¿ ì•„ë‹ˆë¼ ê·¸ë‚˜ë§ˆë„ ë°ì´í„°ê°€ 매우 수ë™ì ìœ¼ë¡œ 취합 ë¶„ì„ë˜ê³  있다. ë”°ë¼ì„œ ë†’ì€ ì •í™•ë„를 ë³´ì´ê³  있지는 못해 ì´ë¥¼ ê³µì‹ êµ­ê°€ 박물관통계로 ë°›ì•„ë“¤ì¼ ìˆ˜ 있ì„지는 미지수ì´ë‹¤. ì´ëŸ¬í•œ 한계ì—ë„ ì´ ìžë£Œë¥¼ ë¶„ì„í•  ìˆ˜ë°–ì— ì—†ìŒì€ ì´ ìžë£Œê°€ 유ì¼í•œ 국가통계ì´ê¸° 때문ì´ë‹¤.

1. 소장ìžë£Œ

먼저 ì „ì²´ 박물관 소장ìžë£Œ 수는 1,100ë§Œì ì— ì´ë¥¸ 것으로 나타났다. ì´ëŠ” ê´€ 당 í‰ê·  14,800ì ì— 해당한다. 민화 ë˜ëŠ” 민화관련 ë°•ë¬¼ê´€ê³¼ì˜ í˜„ì‹¤ì ì¸ 비êµë¥¼ 위해 ì „ì²´ 박물관 중 ìƒëŒ€ì ìœ¼ë¡œ 소장ìžë£Œê°€ ë§Žì€ êµ­ë¦½ì„ ì œì™¸í•˜ë©´ ì´ ìžë£ŒëŠ” 922ë§Œ ì—¬ì ì´ë©°, ê´€ 당 í‰ê·  13,029ì ìœ¼ë¡œ 조사ë˜ì—ˆë‹¤.
그러나 ë°•ë¯¸ë²•ìƒ 1종 100ì , 2종 60ì  ì´ìƒì´ 등ë¡ê¸°ì¤€ì¸ ë§Œí¼ ì†Œìž¥í’ˆ 전체를 등ë¡í•˜ëŠ” êµ­ê³µë¦½ì„ ì œì™¸í•œ 사립과 ëŒ€í•™ì˜ ê²½ìš° ìžë£Œ 전부를 등ë¡í•˜ì§€ ì•Šì€ ì‚¬ë¡€ê°€ ì ì§€ 않아 실제 소장ìžë£ŒëŠ” ì´ê²ƒë³´ë‹¤ ì¤‘Â·ì†Œí­ ë§Ž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표 2] 박미법 ìƒ ë“±ë¡ ë°•ë¬¼ê´€(미술관 제외) ì „ì²´ 박물관, 민화(7개관) 박물관, 민화관련(79개관) 박물관 ëŒ€ìƒ 2013ë…„ë„ ë§ í˜„ìž¬ ã€ì†Œìž¥ìžë£Œã€‘ 현황

구분전체
박물관
수
ì „ì²´
박물관
ì ìˆ˜
ì „ì²´
박물관
í‰ê· 
민화
박물관
수
민화
박물관
ì ìˆ˜
민화
박물관
í‰ê· 
민화관련
박물관
수
민화관련
박물관
ì ìˆ˜
민화관련
박물관
í‰ê· 
국립321,706,64553,333---1107,707107,707
공립3261,771,005 5,433---11109,3482,485
사립2875,668,53319,751613,8432,30733215,0006,515
대학951,785,28318,79219669661966966
합계740
(708)
10,931,466
(9,224,821)
97,309
(13,029)
702,11679
(78)
433,021
(325,314)
5,481
(4,171)

[표 2-1] ‘전체’, ‘민화’, ‘민화관련’ ë°•ë¬¼ê´€ì˜ ã€ì†Œìž¥ìžë£Œã€‘ 비êµí‘œ
m082003

ì „ì²´ 박물관 비해 민화 ë° ìžìˆ˜ë°•ë¬¼ê´€ì€ ì „ì²´ê°€ 사립과 대학으로 구성ë˜ì–´ìžˆì–´ í‰ê·  ì†Œìž¥í’ˆì€ ì „ì²´ í‰ê· (14,772ì ) 대비 14.3%ì— í•´ë‹¹í•˜ëŠ” 2,116ì ì— ì´ë¥´ê³  있다. ë˜í•œ êµ­ê³µë¦½ë¹„ì¤‘ì´ ìƒëŒ€ì ìœ¼ë¡œ ë†’ì€ ë¯¼ì†ê³¼ 향토를 í¬í•¨í•œ 민화관련 ë°•ë¬¼ê´€ì˜ ìžë£Œ í‰ê· (5,481ì )ê³¼ 비êµí•´ë„ 38.6%ë°–ì— ë˜ì§€ 않ìŒì„ 알 수 있다.
êµ­ë¦½ì„ ì œì™¸í•œ ì „ì²´ í‰ê· ì´ 13,029ì ì´ë©°, 역시 êµ­ë¦½ì„ ì œì™¸í•œ 민화관련 박물관 í‰ê· ìžë£Œê°€ 4,171ì ì¸ 것과 비êµí–ˆì„ 때, ê°ê° 16.2%, 50.7%로 다소 ì¦ê°€í•¨ì„ 보여준다.

2. 관람ê°

ìš°ë¦¬ë‚˜ë¼ ì „ì²´ ë°•ë¬¼ê´€ì˜ ì—°ê°„ê´€ëžŒì¸ì›ì€ 1ì–µ ëª…ì— ê·¼ì ‘í•œ ì´ 9,260ë§Œ ëª…ì— ì´ë¥´ê³  있다. 한편, 관람료를 무료로 ìš´ì˜í•˜ê³  있는 문체부 산하 êµ­ë¦½ì´ ê´€ëžŒê° ìˆ˜ë¥¼ 주ë„하면서 í‰ê·  48ë§Œ 6천명, ì„œìš¸ì„ ë¹„ë¡¯í•œ ìƒë‹¹ìˆ˜ì˜ ê³µë¦½ë„ ë¬´ë£Œë¡œ ìš´ì˜í•¨ì— ë”°ë¼ ê³µë¦½ì€ 12ë§Œ 8천명으로 êµ­ë¦½ì˜ ë’¤ë¥¼ ë”°ë¼ê³  있다. ì‚¬ë¦½ì€ ë†ë¦¼ì–´ì´Œ 지역 박물관과 제주ë„를 비롯해 강릉, ê±°ì œë„ ë“± ê´€ê´‘ì§€ì— ìž…ì§€í•œ 대규모 박물관 ê°„ 편차가 심할 것으로 추정ë˜ëŠ” 가운ë°, 공립보다는 다소 ì ì€ 12ë§Œ ëª…ì— ê·¼ì ‘í•˜ê³  있다. 한편 ìƒëŒ€ì ìœ¼ë¡œ 활ë™ì´ 저조한 ëŒ€í•™ì€ 1ë§Œ 4ì²œëª…ì— ëª» 미치고 있다.
ì „ì²´ 박물관 í‰ê· ì€ êµ­ë¦½ì´ ì••ë„ì ìœ¼ë¡œ ë§Žì€ ê°€ìš´ë° 12ë§Œ 5천여 명ì´ë©°, 민화와 민화관련 ë°•ë¬¼ê´€ê³¼ì˜ ë¹„êµë¥¼ 위해 ìƒëŒ€ì ìœ¼ë¡œ 편차가 í° êµ­ë¦½ì„ ì œì™¸í–ˆì„ ì‹œ 10ë§Œ 9ì²œëª…ì— ì´ë¦„ì„ ì•Œ 수 있다.

[표 3] 박미법 ìƒ ë“±ë¡ ë°•ë¬¼ê´€(미술관 제외) ì „ì²´ / 민화(7개관), 민화관련(79개관) ëŒ€ìƒ 2013ë…„ë„ ë§ í˜„ìž¬ ã€ê´€ëžŒê°ã€‘ 현황

구분전체
박물관
수
ì „ì²´
박물관
ì¸ì›
ì „ì²´
박물관
í‰ê· 
민화
박물관
수
민화
박물관
ì¸ì›
민화
박물관
í‰ê· 
민화관련
박물관
수
민화관련
박물관
ì¸ì›
민화관련
박물관
í‰ê· 
국립3215,553,254486,039---12,640,2652,640,265
공립32641,773,167128,139---444,626,660105,151
사립28733,963,924118,341655,4609,243337,116,947215,665
대학951,309,00413,77918,2708,27018,2708,270
합계740
(708)
92,599,349
(77,046,095)
125,134
(108,822)
763,7309,10479
(78)
14,392,142
(11,751,877)
182,179
(150,665)

[표 3-1] ‘전체’, ‘민화’, ‘민화관련’ ë°•ë¬¼ê´€ì˜ ã€ê´€ëžŒê°ã€‘ 비êµí‘œ

m082004

다시 ë§í•˜ë©´ 민화관련 79ê°œ 박물관 당 í‰ê· ì€ 182,179명으로 ì „ì²´ 박물관과 대비 í–ˆì„ ë•Œ 45.6%ê°€ ë§ŽìŒì„ 알 수 있다. 그러나 사립과 ëŒ€í•™ì´ ì „ë¶€ì¸ ë¯¼í™” ë° ìžìˆ˜ë°•ë¬¼ê´€ì€ ì „ì²´ 박물관 대비 7.3%, 민화관련 박물관 비êµí•´ì„œëŠ” 5.0%ë°–ì— ë˜ì§€ 않는 9,104ëª…ìž„ì„ ë³´ì´ê³  있는 것ì´ë‹¤. 한편, êµ­ë¦½ì„ ì œì™¸í•œ ì „ì²´ í‰ê·  108,822명과 역시 êµ­ë¦½ì„ ëº€ 민화관련 박물관 í‰ê·  ì—°ê°„ ê´€ëžŒê° 150,665명과 비êµí•˜ë©´, ê°ê° 8.3%, 6.0%로 역시 ì†Œí­ ìƒìŠ¹í•¨ì„ ë³´ì—¬ì¤€ë‹¤.

3. 연간 개최전시

특별, 기íšì „시는 êµ­ë¦½ì´ ì£¼ë„한 ê°€ìš´ë° ì—°í‰ê·  1.5ê±´ì´ ì´ë£¨ì–´ì§€ê³  있으며, ì—°ê°„ ìš´ì˜í”„로그램 ìˆ˜ë„ ê³µÂ·ì‚¬ë¦½, 대학과 편차를 벌리며 êµ­ë¦½ì´ ì£¼ë„한 ê°€ìš´ë° 3.3ê±´ì´ ìš´ì˜ë˜ëŠ”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êµ­ë¦½ì„ ì œì™¸í•˜ë©´ 2.9건으로 낮아ì§ì„ 알 수 있다.
그러나 민화는 다른 í•­ëª©ì— ë¹„í•´ 오히려 ì „ì²´ ë°•ë¬¼ê´€ì˜ ì—°í‰ê· ë³´ë‹¤ 2ë°° ê°€ê¹Œì´ ë§Žì€ 2.9ê±´, 민화관련 ë°•ë¬¼ê´€ì€ ì „ì²´ í‰ê· ë³´ë‹¤ëŠ” ì ì€ 1.2ê±´ì´ ê°œìµœë˜ì—ˆìŒì„ 알 수 있다. êµ­ë¦½ì„ ì œì™¸í•˜ë©´ ì´ íŽ¸ì°¨ëŠ” ë” ì»¤ì ¸ 국립 제외 전체는 1.4건으로 민화대비 48.3% 수준, êµ­ë¦½ì„ ì œì™¸í•œ ë¯¼í™”ê´€ë ¨ì€ 37.9% ìˆ˜ì¤€ì— ë¨¸ë¬¼ê³  있다.

[표 4] 박미법 ìƒ ë“±ë¡ ë°•ë¬¼ê´€(미술관 제외) ì „ì²´ / 민화(7개관), 민화관련(79개관) ëŒ€ìƒ 2013ë…„ë„ ë§ í˜„ìž¬ ã€ì—°ê°„ 개최전시】 현황

구분전체
박물관
수
ì „ì²´
박물관
ì´ìˆ˜
ì „ì²´
박물관
í‰ê· 
민화
박물관
수
민화
박물관
ì´ìˆ˜
민화
박물관
í‰ê· 
민화관련
박물관
수
민화관련
박물관
ì´ìˆ˜
민화관련
박물관
í‰ê· 
국립321063.3---11220
공립3264561.3---44430.9
사립2874361.56152.533401.2
대학951051.1111.0111.0
합계740
(708)
1,103
(997)
1.5
(1.4)
7162.979
(78)
96
(84)
1.2
(1.1)

[표 4-1] ‘전체’, ‘민화’, ‘민화관련’ ë°•ë¬¼ê´€ì˜ ã€ì—°ê°„ 개최전시】 비êµí‘œ
m082005

4. ì—°ê°„ ìš´ì˜í”„로그램

ì—°ê°„ ìš´ì˜í”„로그램 수는 공·사립, 대학과 편차를 벌리며 êµ­ë¦½ì´ ì£¼ë„한 ê°€ì›ë° 전체는 3.3ê±´ì´ ë¯¼í™”ë§Œì€ 3.1ê±´, ë¯¼í™”ê´€ë ¨ì€ 2.7건순으로 ìš´ì˜ë˜ëŠ” 것으로 나타났다. êµ­ë¦½ì„ ì œì™¸í•˜ë©´ ì „ì²´ê°€ 2.9ê±´, 역시 êµ­ë¦½ì„ ì œì™¸í•œ ë¯¼í™”ê´€ë ¨ì€ 2.3건으로 ë¯¼í™”ë°•ë¬¼ê´€ì˜ 3.1ê±´ì— ëª» 미치는 것으로 조사ë˜ì—ˆë‹¤.

[표 5] 박미법 ìƒ ë“±ë¡ ë°•ë¬¼ê´€(미술관 제외) ì „ì²´ / 민화(7개관), 민화관련(79개관) ëŒ€ìƒ 2013ë…„ë„ ë§ í˜„ìž¬ ã€ì—°ê°„ ìš´ì˜í”„로그램】 현황

구분전체
박물관
수
ì „ì²´
박물관
ì´ìˆ˜
ì „ì²´
박물관
í‰ê· 
민화
박물관
수
민화
박물관
ì´ìˆ˜
민화
박물관
í‰ê· 
민화관련
박물관
수
민화관련
박물관
ì´ìˆ˜
민화관련
박물관
í‰ê· 
국립3240613---13434.0
공립3269613---44711.6
사립28783936172.8331063.2
대학952523155.0155.0
합계740
(708)
2,458
(2,052)
3.3
(2.9)
7223.179
(78)
216
(182)
2.7
(2.3)

[표 5-1] ‘전체’, ‘민화’, ‘민화관련’ ë°•ë¬¼ê´€ì˜ ã€ì—°ê°„ ìš´ì˜í”„로그램】 비êµí‘œ
m082006

ìƒê¸°ì™€ ê°™ì€ ë„¤ 가지 í•­ëª©ì˜ ë¶„ì„ì„ ì¢…í•©í•˜ë©´, 모든 지표ì—서 안정ì ì¸ ìš´ì˜ì‹œìŠ¤í…œì„ êµ¬ì¶•í•˜ê³  있는 êµ­ë¦½ì´ ì£¼ë„한 ê°€ìš´ë° ì „ì²´ 박물관ì—서 소장ìžë£Œì™€ 관람ê°ì€ 공립, 사립, 대학 순으로 전시는 사립, 공립, 대학 순, ì—°ê°„ ìš´ì˜í”„ë¡œê·¸ëž¨ì€ êµ­ë¦½ì´ ì›”ë“±ížˆ ë†’ì€ ê°€ìš´ë° ê³µë¦½ê³¼ 사립, ëŒ€í•™ì€ ë¹„ìŠ·í•˜ê²Œ ìš´ì˜ë˜ëŠ” 것으로 나타났다.
ì´ì— 반해 민화관련 박물관 ëŒ€ìƒ ì†Œìž¥ìžë£ŒëŠ” ì „ì²´ 박물관과 ê°™ì€ ì¶”ì´ë¥¼ ë³´ì´ê³  있으나 관람ê°ê³¼ 전시, ìš´ì˜í”„로그램ì—서는 ì‚¬ë¦½ì´ ê³µë¦½ë³´ë‹¤ 지표가 높ìŒì„ ë³´ì´ê³  있다. 민화박물관과 ì „ì²´ 박물관, 민화관련 ë°•ë¬¼ê´€ì„ ë¹„êµí•´ ë³´ë©´, ë¶„ì„ëŒ€ìƒ 7ê°œ 민화박물관 ì „ì²´ê°€ 사립과 ëŒ€í•™ì¸ ê´€ê³„ë¡œ 소장ìžë£Œì™€ 관람ê°ì€ ìƒëŒ€ì ìœ¼ë¡œ ì ìœ¼ë‚˜ 전시는 êµ­ë¦½ì„ í¬í•¨ì‹œí‚¨ë‹¤ê³  하ë”ë¼ë„ 전체와 민화관련 박물관보다 개최 빈ë„ê°€ 높게 나타나 민화 콘í…츠가 타 콘í…츠보다 활용ë„ê°€ 높ìŒì„ 가늠하게 한다. ì—°ê°„ ìš´ì˜í”„ë¡œê·¸ëž¨ì— ìžˆì–´ì„œë„ êµ­ë¦½ì„ ì œì™¸í•œ 전체와 êµ­ë¦½ì´ í¬í•¨ëœ 민화관련보다 높ìŒì„ 알 수 있다. ë¯¼í™”ë°•ë¬¼ê´€ì€ ì†Œìž¥ìžë£Œ 수와 관람ê°ì´ 저조한 가운ë°ì„œë„ 전시와 ìš´ì˜í”„ë¡œê·¸ëž¨ì´ í™œì„±í™”ë˜ê³  있ìŒì„ 보여주고 있어, 민화ìžë£Œì˜ ë†’ì€ í™œìš©ë„와 êµìœ¡ì  가치를 ë§í•´ì£¼ê³  있다.

3) 세부 대ìƒìœ¼ë¡œëŠ” 가회민화박물관, 조선민화박물관 ì´ìƒ 민화명칭 2개관, ë™ì–‘ìžìˆ˜ë°•물관, ë°•ì„ë³µìžìˆ˜ë°•물관, 숙명여ìžëŒ€í•™êµ ì •ì˜ì–‘ìžìˆ˜ë°•물관, 한국ìžìˆ˜ë°•물관, 한ìƒìˆ˜ìžìˆ˜ë°•물관 등 ìžìˆ˜ëª…ì¹­ 5개관 등 ì´7개관임
4) 문화체육관광부 발간 〈2014ë…„ 전국문화기반시설 ì´ëžŒã€‰ì— (공립)어촌민ì†ì „시관, (사립)치악민ì†ë°•물관, 제주중문민ì†ë°•물관 ì´ìƒ 3ê°œê´€ì€ ê´€ëžŒê° ìˆ˜ 누ë½. (사립)치악민ì†ë°•물관, 중문민ì†ë°•물관 ì´ìƒ 2ê°œê´€ì€ ìœ ë¬¼ 수 누ë½ë¨
5) 문화체육관광부 발간 〈2014ë…„ 전국문화기반시설 ì´ëžŒã€‰(2013.12.31. 기준) 참고

â…¢.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가능성

1. ë°•ë¬¼ê´€ì˜ ìµœê·¼ ë™í–¥

최근 박물관 ë™í–¥ì˜ 하나는 과거 ë°•ë¬¼ê´€ì— ë¹„í•´ ìžë£Œê°€ 매우 다ì›í™”ë˜ê³  있다는 것ì´ë‹¤. 컵박물관, ê³°ì¸í˜•박물관, 트릭아트뮤지엄, 초콜릿박물관, 소ì¸êµ­ë°•물관, 허브박물관, 장난ê°ë°•물관, 만화박물관, ì°¨(ï§¾)박물관, 호ë‘박물관, 장류박물관, 해변박물관, 족보박물관, 번개박물관 ë“±ì´ ê·¸ê²ƒì´ë‹¤. ê³ ê³ , ì¸ë¥˜, 역사 등 ê¸°ì¡´ì˜ ë°•ë¬¼ê´€ ìžë£Œì™€ 테마가 ì´ë¯¸ í¬í™”ìƒíƒœì— 와 ìžˆì„ ë¿ë§Œ ì•„ë‹ˆë¼ ê¸°ì¡´ ë°•ë¬¼ê´€ì˜ ìžë£Œ í‰ê°€ê¸°ì¤€ì„ 대입할 때 관련 ìžë£Œì˜ ê³ ê°ˆ ë˜ëŠ” 질 ë†’ì€ ìžë£Œìˆ˜ì§‘ 기회 ê°ì†Œ, 가격ìƒìŠ¹ì— ë”°ë¥¸ ìˆ˜ì§‘ì˜ í•œê³„ 등으로 기성 박물관ì—서는 ìƒê°ì§€ ëª»í–ˆë˜ ìžë£Œì™€ 재분류와 재해ì„으로 ì „ë¬¸í™”ëœ íŠ¹ìˆ˜ 박물관 ê±´ë¦½ì´ í–¥í›„ì—ë„ ì§€ì†ì ìœ¼ë¡œ í™•ì¶©ë  ê²ƒìœ¼ë¡œ ë³´ì¸ë‹¤.
ì´ëŸ¬í•œ ë°•ë¬¼ê´€ì€ ë°•ë¬¼ê´€ì— ëŒ€í•œ ì¸ì‹ì„ 부드럽고 친숙하게 해줄 ë¿ ì•„ë‹ˆë¼, 보다 전문ì ì¸ í–¥ìœ ì˜ ê¹Šì´ë¥¼ 제공할 수 있어 ê¸ì •ì ì¸ ì¸¡ë©´ì´ ìžˆë‹¤. ì „ë¬¸ë°•ë¬¼ê´€ì˜ ì§‘í•©ì²´ì¸ ì¢…í•©ë°•ë¬¼ê´€ì—서 특정한 ìžë£Œë§Œì„ 떼어내어 한 ë¶„ì•¼ë§Œì„ ë°€ë„ ìžˆê²Œ 다루는 형태로 바뀌고 있는 것ì´ë‹¤. ì´ì™€ ê°™ì€ ì „ë¬¸ë°•ë¬¼ê´€ì€ ì‚¬ë¦½ì´ ì£¼ë„하고 있으며, ê´‘ì—­ ë° ê¸°ì´ˆìžì¹˜ë‹¨ì²´ì—서 설립하는 ê³µë¦½ë„ ì§€ì—­ íŠ¹í™”ì „ëžµí™”ì— ë¶€í•©í•œ ë°©í–¥ì—서 차츰 ì´ì— 편승하고 있는 모양새다. ì´ì™€ ê°™ì€ í˜„ìƒì€ 후발주ìžë¡œì„œ ì¢…í•©ë°•ë¬¼ê´€í™”ì˜ ì–´ë ¤ì›€, 기성 박물관ìžë£Œì™€ì˜ 차별화욕구 ìƒìй, 공간과 ì‹œì„¤ì˜ í•œê³„, 설립ìžì˜ 기호ë„, ìš´ì˜ì˜ 효율성 제고, ìžë£Œ í™•ë³´ì˜ ìš©ì´ì„± ë“±ì´ ë”해지면서 활성화 ì–‘ìƒì„ ë³´ì´ê³  있다.
ë¬´ì—‡ë³´ë‹¤ë„ ìµœê·¼ ì¦ê°€í•˜ëŠ” ë°•ë¬¼ê´€ì€ ê³ ìœ ê¸°ëŠ¥ê³¼ ë”불어 실ìµì— 보다 중ì ì„ ë‘ì–´ ìš´ì˜í•˜ëŠ” 사례가 많다. 외부 ìžê¸ˆíˆ¬ìž…ì„ ì „ì œë¡œ 하지 않는 ì „ì—… 박물관 ìš´ì˜ìžì˜ 경우보다 실ìµì„ 고려하지 ì•Šì„ ìˆ˜ 없으며, ë°•ë¬¼ê´€ì„ ì‚¬ì—…ìœ¼ë¡œ ì¸ì‹í•˜ê¸° 시작한 관광지 ìž…ì§€ 대규모 박물관ì´ë‚˜ í¥í–‰ì´ ê²€ì¦ëœ 해외 ì¸ê¸° 콘í…츠를 ë„입한 프랜차ì´ì¦ˆí˜• ë°•ë¬¼ê´€ì€ ì´ì— 보다 ì ê·¹ì ì¸ 입장ì´ë‹¤.

[표 6] 현대 박물관 활ë™ì˜ ì „ê°œ ì–‘ìƒ

기존 박물관 형태현대 ë°•ë¬¼ê´€ì˜ ë³€í™” ì–‘ìƒ
권위, ê²½ì§ì¹œìˆ™, 유연
ë³´ì¡´, 발굴, ìžë£Œêµìœ¡, 향유(개방), 마케팅, 활ë™ì˜ì—­ 확대
역사, ê³ ê³ , ì¸ë¥˜ 유물범위 제한 ì—†ìŒ(세계민ì†, ë™Â·ì‹ë¬¼, 기호품 등)
국·공립공·사립 중심으로
ìœ ë¬¼ì˜ ë‹¨íŽ¸ì  ê°€ì¹˜ê¸°ì¤€ê°€ì¹˜ íŒë‹¨(기준)ì˜ ë‹¤ì›í™”
ì œí•œëœ ë¶„ì•¼ì˜ ì „ë¬¸ì¸ë ¥â†’전문ì˜ì—­ë³„로 확대
ìœ ë¬¼ìˆ˜ì˜ ì •í™•í•œ 제한제한무시(실체가 없는 유물1)
ê°œë³„ìœ ë¬¼ì˜ ê°€ì¹˜ 중심스토리텔ë§
대규모중소규모
비ì˜ë¦¬í™œë™ì˜ë¦¬ì™€ ê²½ì˜
고유기능부대기능

ì´ëŸ¬í•œ ë°•ë¬¼ê´€ì€ ê´€ëžŒê°ê³¼ ì¼ë°˜ì¸ë“¤ì˜ 관심 ìƒìй, í™ë³´ ë° ë§ˆì¼€íŒ…ì˜ íš¨ìœ¨ì ì¸ 추진, ì „ì‹œì˜ í™•ìž¥ì„± ìš©ì´, 프로그램 개발 ë° ì§„í–‰ì˜ íš¨ìœ¨ì„±, 문화ìƒí’ˆ 개발·íŒë§¤ ìš©ì´ ë“± ë¶€ëŒ€ì‚¬ì—…ì˜ íŠ¹í™”ê°€ëŠ¥ 등으로 안정ì ì¸ ìš´ì˜ì„ ë‹´ë³´í•´ í•­êµ¬ì  í™œë™ì´ 가능할 수 있다는 ì°¨ì›ì—서 ê¸ì •ì ì¸ ë°©í–¥ì´ë¼ í‰ê°€ í•  수 있다.

2. 민화관련 ë°•ë¬¼ê´€í™”ì˜ ìž¥ì 

â‘  êµìœ¡ì  콘í…츠

민화는 가장 한국ì ì¸ 조형양ì‹ê³¼ 내용으로 ìš°ë¦¬ë¯¼ì¡±ì˜ ì˜¤ëžœ ì¼ìƒì„ 근거리ì—서 ë‹´ì•„ë‚´ë©° 형성ë˜ì–´ì™”다. 기복祈ç¦, 벽사辟邪, 장수, 부귀, ìž…ì‹ , 행복, êµí™” 등 ì¸ê°„ì˜ ê°€ìž¥ 기본ì ì¸ ìš•ë§ì„ ë‹´ì€ ë¯¼ì¡±ì •ì„œì˜ ì§‘í•©ì²´ë¡œ 서민ì ì¸ 정서가 ê¹Šì´ ë‚´ìž¬ë˜ì–´ 있다. 민화는 ì •í†µíšŒí™”ì— ë¹„í•´ ë¬˜ì‚¬ì˜ ì„¸ë ¨ë¯¸, 격조 ë“±ì´ ë’¤ë–¨ì–´ì§€ëŠ” íŠ¹ì§•ì´ ìžˆë‹¤. 그러나 오늘날 ì´ ì ì´ ìš°ë¦¬ì •ì²´ì„±ì„ ì ì ˆížˆ ë‹´ê³  있다는 í‰ê°€ì™€ 함께 친근성과 ê³µê°ëŒ€ë¥¼ 갖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ë˜ê³  있다. ë˜í•œ ìµì‚´ìŠ¤ëŸ½ê³ ë„ í•´í•™ì ì´ë©° 소박한 형태와 ëŒ€ë‹´í•˜ê³ ë„ íŒŒê²©ì ì¸ 구성, 아름다운 색채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ì–‘ì‹ì€ 오히려 í•œêµ­ì  ë¯¸ì˜ íŠ¹ìƒ‰ì„ ê°•ë ¬í•˜ê²Œ 드러내고 있다. ë”°ë¼ì„œ 민화는 í‰ë²”한 ì‚¬ëžŒë“¤ì˜ ì‚¶ê³¼ 밀접한 ê´€ë ¨ì„±ì´ ìžˆì–´ 친근하고 대중ì ì´ë‹¤.
ìƒê¸°ì˜ ë‚´ìš©ì„ ë³¼ 때, 민화는 í•œêµ­ì  ì¡°í˜•ì–‘ì‹ê³¼ ì¸ê°„본성ì—ì˜ ë°€ì ‘ì„±, 친근한 대중성과 ê³µê°, 소박한 형태, 파격ì ì¸ 구성, 아름다운 색ê°ì„ ë‹´ê³  있어 매우 ê¸ì •ì ì´ë©° ìž…ì²´ì ì¸ 박물관 콘í…츠ì´ë‹¤. ì´ëŠ” êµìœ¡ì˜ ì „ ì˜ì—­ê³¼ë„ 잘 ì—°ê³„ë  ìˆ˜ 있다는 것으로 [표 3]ê³¼ [표 4-1]ì˜ ì—°ê°„ ìš´ì˜í”„로그램 현황분ì„ì—ì„œë„ ë¯¼í™”ê´€ë ¨ 콘í…츠가 êµìœ¡ì ìœ¼ë¡œ 활용ë„ê°€ 높ìŒì„ 알게 한다. ë˜í•œ 민화는 매우 êµìœ¡ì ì¸ 콘í…츠ë¼ëŠ” ê²ƒì„ ì˜ë¯¸í•˜ëŠ” 것으로, 오늘날 ë°•ë¬¼ê´€ì´ í•™êµêµìœ¡ì˜ 대안공간으로 ë˜ í‰ìƒêµìœ¡ì˜ 학습장으로 변모해가고 있는 현ìƒì„ ê°ì•ˆí•  때, 민화는 미래지향ì ì¸ 박물관 콘í…ì¸ ë¡œì¨ ìž¥ì ì´ í´ ê²ƒìž„ì„ ì§ìž‘ì¼€ 한다.

â‘¡ í­ë„“ì€ ê³µê°ëŒ€

민화는 대단히 한국ì ì´ì§€ë§Œ 한편으로는 한국ì ì¸ ê²ƒë§Œì€ ì•„ë‹ˆë¼ëŠ” 사실ì´ë‹¤. ë¯¼í™”ì— ë‚˜íƒ€ë‚œ 조형세계는 한국ì ì¼ 수 있지만 ê·¸ê²ƒì˜ í˜•ì„±ì— ì˜í–¥ì„ ë¼ì¹œ ì—­ì‚¬ì  ë§¥ë½ì€ ë™ì•„ì‹œì•„ì˜ ë³´íŽ¸ì ì¸ íŠ¹ì„±ì„ ë‹´ì•„ë‚´ê³  있기 때문ì´ë‹¤. 17~19세기 ë™ì•„시아ì—서는 ì¤‘êµ­ì˜ ë¯¼ê°„ì—°í™”æ°‘é–“ï¦Žç•µê°€ ì¤‘ì‹¬ì´ ë˜ì–´, 한국ì—서는 민화가 ì¼ë³¸ì—서는 우키요ì—(浮世繪)와 오즈ì—(大津絵), ë² íŠ¸ë‚¨ì€ í…ŒíŠ¸(Tet)í™” ë“±ì˜ ë¯¼ê°„íšŒí™”ê°€ 유행하였다.
ì´ëŸ¬í•œ 회화장르는 ê° ë‚˜ë¼ë³„로 당시 ê° ì‹œëŒ€ì  ìƒí™©ì„ ë°˜ì˜í•˜ë©°, 당면한 ì—­ì‚¬ì  í™˜ê²½ê³¼ ì •ì²´ì„±ì„ ë‚´ì œí•œ 채 ë…특한 문화를 창출해 나아갔다. ì´ëŸ¬í•œ íë¦„ì„ íƒ€ê³  우리 민화 역시 ë™ì•„ì‹œì•„ì™€ì˜ ì—°ê³„ì„± ì†ì—서 특히 ì¤‘êµ­ì˜ ë¯¼ê°„ì—°í™”ì™€ 밀접한 ê´€ë ¨ì„ ë§ºì–´ì™”ë˜ ê²ƒì´ë‹¤.6)
ë”°ë¼ì„œ 민화는 앞ì—서 언급한 êµìœ¡ì ì¸ ê°•ì ì„ 통한 í­ë„“ì€ ê³µê°ëŒ€ì™€ ë”불어 ë™ì•„시아를 중심으로 한 êµ­ì œì  ê³µê°ëŒ€ê¹Œì§€ë„ íšë“하고 있는 것ì´ë‹¤. 대중성 ë˜ëŠ” ì¹œê·¼ì„±ê³¼ë„ ë¶€í•©í•œ ì´ëŸ¬í•œ ì–‘ìƒì´ 민화가 ì‚¬ëžŒë“¤ì˜ ì‚¶ê³¼ 가장 밀접한 관계 ì†ì—서 재ì¸ì‹ë˜ì–´ 확산 ë  ìˆ˜ ìžˆì—ˆë˜ ê²ƒì´ë‹¤. ë˜í•œ 지역과 시대ìƒì„ 효과ì ì´ë©° 표피ì ìœ¼ë¡œ ë°˜ì˜í•˜ë©° ì§„í™”í–ˆë˜ ê²ƒì´ë‹¤. ì´ëŠ” 민화가 ë™ì–‘ì¸ì˜ ì‚¶ì„ ê³ ìŠ¤ëž€ížˆ ë°˜ì˜í•˜ë©°, ìƒí™œë°©ì‹ì€ 물론 ì •ì‹ ê¹Œì§€ë„ ë‹´ì•„ë‚´ê³  있다는 것과 ì‚¬ëžŒë“¤ì˜ ì •ì„œì— ìž˜ 부합하는 ìžì—°ìŠ¤ëŸ¬ìš´ ê³µê°ëŒ€ë¥¼ 형성했ìŒì„ ì˜ë¯¸í•œë‹¤.

â€œì¡°ì„ ì˜ ë¯¼í™” ì—¬ê¸°ì— ë¹›ë‚œë‹¤. (-중략-) 회화를 위해 그려진 ê·¸ë¦¼ì´ ì•„ë‹ˆë¼ ì € 멀리 ê¹Šìˆ™ì´ ë¯¼ì¤‘ ì†ì— 있고 ê·¸ ë¯¼ì¤‘ì˜ ê·¸ ë¯¼ì¤‘ì˜ ìƒí™œ ì†ì—서 태어나며 ìƒí™œì— 필요한 쓰임用ì´ë©° 장ì‹ì´ëž€ë‹¤. 그대야ë§ë¡œ ë없는 ìžìœ ë‹¤(-중략).7)

ì¼ë³¸ì¸ ê±´ì¶•ê°€ ì´íƒ€ë¯¸ 준ã„ãŸã¿ã˜ã‚…ã‚“(1937~2011)ì€ ë¯¼í™”ì˜ ë¯¼ì¤‘ê³¼ 함께하는 ëŒ€ì¤‘ì  ì“°ìž„ì„ ê°•ì¡°í•œë°” 있다. ë˜í•œ 프랑스 민ì†í•™ìž 샤를 ë°”ë¼Charles Louis Varat(1842∼1893)는 ì¡°ì„ ì¸ë“¤ì˜ 색깔과 ì¡°í˜•ì— ëŒ€í•œ 미ê°ì„ 문ìžë„ 병í’ì—서 확ì¸í–ˆë‹¤. ì´ë¥¼ 통해 ì¡°ì„ ì˜ ë¯¸ìˆ ì— ëŒ€í•œ ì•„ë¦„ë‹¤ì›€ì„ ì¸ì§€í–ˆë˜ 것ì´ë‹¤. 당시 ì ì§€ ì•Šì€ ì™¸êµ­ì¸ë“¤ì´ ì´ëŸ° ìš°ë¦¬ë¯¼í™”ì— ë§¤ë£Œë˜ì—ˆê³  ì´ë“¤ì— ì˜í•´ ë°˜ì¶œëœ ë¯¼í™”ë“¤ì€ í˜„ìž¬ 세계 ê°êµ­ì˜ ë°•ë¬¼ê´€ì— ì†Œìž¥Â·í™œìš©ë˜ê³  있다. 우리 민화는 ì´ë“¤ì—게 ì´êµ­ì ì´ë©° 한국ì ì¸ 조형언어로 ì¸ì‹ë˜ì—ˆë˜ 것ì´ë‹¤.8)

[표 7] 해외박물관 한국실 ë° ì†Œìž¥í’ˆ 현황(2010ë…„ 12ì›” 20ì¼ í˜„ìž¬)

미국ìºë‚˜ë‹¤ë©•시코ì˜êµ­ë…ì¼í”„랑스네ëœëž€ë“œë²¨ê¸°ì—ë´ë§ˆí¬
박물관2611461121
소장품14,11673064,1215,2371,050920821,160
스위스êµí™©ì²­ì˜¤ìŠ¤íŠ¸ë¦¬ì•„ì²´ì½”ëŸ¬ì‹œì•„ì¼ë³¸í˜¸ì£¼ë‰´ì§ˆëžœë“œí•©ê³„
박물관2112241157
소장품4615002,3006022,3628,0002825741,932

[표 8] 국외소재 문화재 현황(2013ë…„ë„ ë§ í˜„ìž¬): 20개국 152,915ì 

국가별소장품주요소장처
ì¼ë³¸66,824ë™ê²½êµ­ë¦½ë°•물관 등
미국42,325메트로í´ë¦¬íƒ„박물관 등
ì˜êµ­7,954ì˜êµ­ë°•물관 등
ë…ì¼10,727쾰른ë™ì•„시아박물관 등
러시아4,067모스í¬ë°”국립ë™ì–‘박물관 등
프랑스2,896국립기메박물관 등
중국8,278ë¶ê²½ê³ ê¶ë°•ë¬¼ì› ë“±
ë´ë§ˆí¬1,278국립박물관
ìºë‚˜ë‹¤2,192 로얄온타리오박물관 등
네ëœëž€ë“œ35 리ì´ë´êµ­ë¦½ë¯¼ì†ë°•물관 등
ìŠ¤ì›¨ë´ 51ë™ì•„시아박물관 등
오스트리아1,511빈민ì†ë°•물관 등
바티칸298민족박물관
스위스119 민족학박물관 등
벨기ì—56왕립예술역사박물관
호주41뉴사우스웨ì¼ì¦ˆë°•물관 등
ì´íƒˆë¦¬ì•„17국립ë™ì–‘예술박물관
ì¹´ìží스탄1,024국립ë„서관
대만2,881국립고ê¶ë°•ë¬¼ì› ë“±
í—가리341 훼렌쯔호프ë™ì–‘미술박물관
합계(20개국)152,915579개 처

민화는 우리민족과 예술, ì •ì‹ ì„ ë§¤ìš° 잘 표현하고 있는 문화ì‘집체로 ì´ëŠ” ê³§ ìš°ë¦¬ë¬¸í™”ì •ì²´ì„±ì˜ íšë“ì„ ì˜ë¯¸í•˜ëŠ” 것ì´ë©°, êµ­ì œì ìœ¼ë¡œë„ ì¸ì •ë°›ì„ ìˆ˜ 있ìŒì„ 뜻한다. ë”°ë¼ì„œ 민화는 외국ì¸ì—게 ì ì§€ ì•Šì€ ê´€ì‹¬ìœ ë°œê³¼ 박물관 콘í…ì¸ ë¡œì˜ ê²½ìŸë ¥ì„ íšë“í•˜ê¸°ì— ì¶©ë¶„í•˜ë‹¤. 민화관련 ë°•ë¬¼ê´€ì˜ ì „ë§ê³¼ ê°€ëŠ¥ì„±ì´ í° ì´ìœ ê°€ ì—¬ê¸°ì— ìžˆë‹¤.

â‘¢ í° í™•ìž¥ì„±
오늘날 ë°•ë¬¼ê´€ì€ ìž…ì²´ì ì¸ 활ë™ì„ 요구한다. 특히, ìš´ì˜ìžë¦½ë„ 확보가 관건으로 ë¶€ê°ë˜ê³  있는 사립ì—게는 ë” ì¤‘ìš”í•œ 요소ì´ë‹¤. ë•Œë¬¸ì— ì˜¤ëŠ˜ë‚  ë°•ë¬¼ê´€ì€ ì˜¤ê°ì„ ìžê·¹í•˜ëŠ” 콘í…츠로 전문화 하는 ê²½í–¥ì´ ëšœë ·í•˜ë‹¤. ì´ì ì—서 민화는 매우 ìž…ì²´ì ì´ë©° ê°ê°ì ì¸ 콘í…츠 중 í•˜ë‚˜ë¼ í•  수 있다.
한편 í˜„ëŒ€ì˜ ë°•ë¬¼ê´€ì€ ìˆ˜ì§‘, 관리, ë³´ì¡´, 조사, 연구, 전시, êµìœ¡ ë“±ì˜ ë²•ë ¹ì  ê¸°ëŠ¥ 중 관람ê°ê³¼ 가장 ì§ì ‘ì ì¸ êµê°ì€ 전시와 êµìœ¡ì„ 통해서 ì´ë£¨ì–´ì§„다.

[표 9]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êµìœ¡í™œë™ 예시

언어활ë™ìž‰ì–´ 뽑기달고나ìŒì•…활ë™
(ì†ë‹´)
개천ì—서 용난다.
(고사)
등용문登龍門
(소설)
별주부전
m082008m082007(ë™ìš”)
할미꽃, 여름 냇가, 개구리, 바둑ì´ì™€ ê³ ì–‘ì´, 엄마ë¼ì§€ 아기ë¼ì§€ 등

특히, 박물관ì—서 êµìœ¡ì€ 다양한 ì²´í—˜ì„ ìˆ˜ë°˜í•œ ìž…ì²´ì ì¸ 활ë™ìœ¼ë¡œ 변화하고 있다. ë”°ë¼ì„œ 박물관 êµìœ¡ ë° ì²´í—˜ì˜ì—­ 즉 언어활ë™, 미술활ë™(그리기, 만들기, ê°ìƒêµìœ¡ 등), ìŒì•…활ë™, 단순 ê°•ìŠµí™œë™ ë“±ì€ ì—°ê´€ì˜ì—­ê³¼ ì‘용할 수 있는 확장성여부가 중요하다. ì´ì™€ ë”불어 부대 활ë™(사업í¬í•¨) 즉, 문화ìƒí’ˆ 개발 ë° íŒë§¤, ì‹ìŒë£Œì‚¬ì—… ë“±ì€ ë°•ë¬¼ê´€ì˜ ìš´ì˜íš¨ìœ¨ì„± ë° ê´€ëžŒê°ì— 대한 ì„œë¹„ìŠ¤ì œê³ ì˜ ê´€ì ì—서 오늘날 중요한 ì˜ì—­ìœ¼ë¡œ ë¶€ê°ë˜ê³  있다.
ì´ëŸ¬í•œ ì‚¬í•­ì„ ëŒ€ìž…í•  때, 민화관련 ìžë£ŒëŠ” 매우 유리한 ì§€ì ì— 있는 콘í…츠ë¼ê³  í‰ê°€ëœë‹¤. ë¯¼í™”ì  ìš”ì†Œì˜ í­ë„“ì€ ë¶„í¬, ê¸ì •ì  ê°€ì¹˜, 사람과 ë™Â·ì‹ë¬¼ 등 ë¯¼í™”ì— ì†Œìž¬ê°€ ë˜ê³  있는 ì‚¬ë¬¼ì„ ëŒ€ìƒìœ¼ë¡œ 한 다양한 ì¡°í˜•ì  í‘œí˜„ê³¼ ì˜ë¯¸, 한국ì¸ì˜ 정체성 ë‚´í¬, ìˆ˜ì§‘ì˜ ìš©ì´ì„±, ë¯¼í™”ì˜ ì†Œìž¬ê°€ ë˜ëŠ” 꽃과 ì‹ë¬¼ì—서 파ìƒë˜ëŠ” ìƒ‰Â·í–¥Â·ë§›Â·ì´‰ê° ë“±ì„ ëŠë‚„ 수 있는 ìž…ì²´ì  íŠ¹ì„±ì€ ë¯¼í™”ê°€ 갖는 ìµœëŒ€ê°•ì  ì¤‘í•˜ë‚˜ì´ë‹¤.
ë°•ë¬¼ê´€ì˜ í˜•íƒœì— ìžˆì–´ì„œë„ ë‹¨ìˆœí•œ 민화주제(예: 민화박물관)를 비롯하여 민화연계 êµìœ¡ì£¼ì œ(예: 민화êµìœ¡ë°•물관), ì´ìš©ìžê´€ì (민화어린ì´ë°•물관), 민화소재별 주제(까치호랑ì´ë°•물관), ë¯¼í™”ì˜ íŠ¹ì •ì˜ì—­ 주제(민화역사관), 민화 제작시기 ë˜ëŠ” ìž‘ê°€ì— ë”°ë¥¸ 주제(18세기민화박물관, 신윤복민화미술관), 민화관련 ìžë£Œë³„ 주제(예: 민화ìžë£Œê´€), 민화ë™ë¬¼ì›, 민화향기ì‹ë¬¼ì›, 민화문양(ë˜ëŠ” ë””ìžì¸)미술관, 민화문학관, 민화체험관 등 기존 박물관 형태와는 달리 보다 특화 ë° ì„¸ë¶„í™”ëœ í˜•ì‹ì˜ 박물관화가 가능하다. 한편, 향후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화ì—서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는 ë¯¼í™”ìž‘ê°€ë“¤ì´ ìžì‹ ì˜ ìž‘í’ˆì„ ì¤‘ì‹¬ìœ¼ë¡œ 한 미술관 건립ì´ë‹¤. 물론 민화작가를 순수미술(fine art: ë¯¸ì˜ ì¶”êµ¬ í˜¹ì€ ê°œë… í‘œí˜„ì„ ëª©ì ìœ¼ë¡œ 하는 미술)ì´ ì•„ë‹Œ ì‘ìš© ë˜ëŠ” 장ì‹ë¯¸ìˆ ì˜ ì˜ì—­ìœ¼ë¡œ ë³¼ 것ì¸ì§€ëŠ” 여기ì—서 중요하지 않다. 다만, 현대 ë¯¼í™”ìž‘ê°€ë“¤ì„ í†µí•´ ì „í†µì„ ê³„ìŠ¹í•˜ê³  새롭게 변용한 ìž‘í’ˆì´ ì§€ì†ì ìœ¼ë¡œ ìƒì‚°ëœë‹¤ëŠ” ì‚¬ì‹¤ì´ ë³´ë‹¤ 중요한 가치ì´ê¸° 때문ì´ë‹¤. 다시 ë§í•˜ë©´ 민화가 ë¯¸ëž˜ì§€í–¥ì  ë°œì „ê°€ëŠ¥ì„±ì´ í° ì˜ì—­ì´ë¼ëŠ” ì‚¬ì‹¤ì´ ì£¼ëª©í•´ì•¼í•  ì ì¸ 것ì´ë‹¤.

â‘£ ìžë£Œ í™•ë³´ì˜ ìš©ì´ì„±
ë¯¼í™”ì  ìš”ì†ŒëŠ” 서화, ë„기, ë„ìž, ìžìˆ˜, 가구와 목기류, 장신구, ê±´ì¶•, 종êµìžë£Œ 등 ìœ ë¬¼ì˜ ì „ ìž¥ë¥´ì— ë‚˜íƒ€ë‚˜ê³  있다. ë˜í•œ ì´ë¯¸ 언급한 바와 ê°™ì´ í˜„ëŒ€ìž‘ê°€ì— ì˜í•´ì„œë„ ìƒì‚°ë˜ê³  있는 미래지향ì ì¸ í’부한 콘í…츠ì´ë‹¤. ë˜í•œ, í•œêµ­ì  ì •ì²´ì„±ì„ ìž˜ ë°˜ì˜í•´ 글로벌한 ê°€ì¹˜ë¡œë„ í‰ê°€ë°›ê³  있어 êµ­ì œì  ê³µê°ëŒ€ê°€ í˜•ì„±ëœ ì´ì ì„ 가지고 있다.
ë”°ë¼ì„œ, 민화관련 ìžë£ŒëŠ” ìˆ˜ì§‘ì´ ë¹„êµì  ìš©ì´í•˜ë‹¤. 해외ì—ì„œë„ í™œë°œí•˜ê²Œ 거래ë˜ê³  있으며, ì´ë¦„ 없는 ë¯¼í™”ìž‘ê°€ì˜ ìž‘í’ˆì´ë¼ê³  í• ì§€ë¼ë„ 현 ì œë„ìƒì—서 미술관으로 설립하는 것ì—는 문제 ë  ìˆ˜ 없기 ë•Œë¬¸ì— ìžë£Œìˆ˜ì§‘ì˜ ì „ë§ì€ 매우 í¬ë‹¤.
다만, 박물관ìžë£Œë¥¼ í‰ê°€í•˜ëŠ” ê¸°ì¤€ì„ ì—­ì‚¬ ë° ë¯¸í•™ì  ê°€ì¹˜, í¬ì†Œì„±, 제작과 ì¡°í˜•ì  ìˆ˜ì¤€, 특정 ìœ ëª…ìž‘ê°€ì˜ ìž‘í’ˆ 등 기성 박물관ìžë£Œì˜ ìˆ˜ì§‘ê¸°ì¤€ì„ ê·¸ëŒ€ë¡œ ì ìš©í•œë‹¤ë©´ ê·¸ ê°€ëŠ¥ì„±ì˜ í­ ì—­ì‹œ 제한ì ì¼ 수 있다.

[표 10] 최근 해외 경매시장ì—서 민화관련 ìžë£Œì˜ ìƒìž¥ 사례9)

m082009

    책거리병í’(A Korean Chaekkori Two Panel Folding Screen)

  • 경매회사 : Leslie Hindman Auctioneers
  • 경매명 : The Phillip and Kay Cha Asian Art Collection
  • 경매ì¼ìž : 2014.6.11.
  • 경매장소 : 미국 ì¼ë¦¬ë…¸ì´ 주 시카고
  • 유물 품목번호 : LOT 320
  • 추정가 : US $300~500
  • í¬ê¸° : 1í­ 177.8×77.25ãŽ
  • URL : www.liveauctioneers.com/item

m082011   m082010

    Antique Korean Painting on Silk “Empress, Children and

  • 경매회사 : ê°ê° KODNER GALLERIES INC.
  • 경매명 : ANTIQUES, FINE ART, JEWELRY & DECORATIVE ART
  • 경매ì¼ìž : ê°ê° 2014.10.29.
  • 경매장소 : ê°ê° 미국 플로리다 주 ë°ë‹ˆì•„ 비치
  • 유물 출품번호 : LOT 33 / LOT 36
  • 추정가 : ê°ê°US 300~500$
  • í¬ê¸°(좌) : 그림 30×17 3/4in, ì „ì²´ 55×21 3/4in
  • í¬ê¸°(ìš°) : 26 3/4×16 3/4in
  • URL : www.liveauctioneers.com/item

m082012   m082013

    Korean Painting Scroll æŽæœ Yi dynasty tiger Paper Korea makuri old ink minhwa g69/g70

  • 경매회사 : ê°ê° eBay
  • ìž…ì°°ë§ˆê° : ê°ê° 2014. 11. 5.
  • 현 소재지 : ê°ê° ì¼ë³¸ ë„ì¿„ ë„ ì„¸íƒ€ê°€ì•¼ 구
  • 시작가 : ê°ê° US $249.95
  • 제작시기 : ê°ê° ì¡°ì„ 
  • URL : www.ebay.com/itm

m082014   m082015

    Korean Hanging Scroll “Magpie and Tiger”

  • 경매회사 : eBay/å¤è£‚
  • ìž…ì°°ë§ˆê° : 2014.8.19./9.11
  • 현 소재지(좌) : ì¼ë³¸(미공개)
  • 경매장소(ìš°) : ì¼ë³¸êµí† 
  • 시작가 : US $130/Â¥250,000∼
  • í¬ê¸° : 65.8×169.5(좌) / 64×184cm(ìš°)
  • URL : (좌)www.ebay.com/itm / (ìš°)issuu.com/kogire-kai

m082016

    PAIR OF BLUE AND WHITE

  • 경매회사 : BABUINO CASA D’ASTE
  • 경매ì¼ìž : 2014.10.28~31.
  • 경매장소 : ì´íƒˆë¦¬ì•„ 로마
  • 출품번호 : LOT 772
  • 추정가 : 400~500
  • 제작시기 : ì¡°ì„ , 19세기
  • í¬ê¸° : 32.5×25cm
  • 경매명 : FOUR DAY SALE OF IMPORTANT OLD MASTER PAINTINGS, ANTIQUE 19TH CENTURY ART & FURNISHINGS, CHINESE & ASIAN ART, SILVERWARE, JEWELS & COLLECTABLES
  • URL : www.the-saleroom.com

그러나 오늘날 ë°•ë¬¼ê´€ì´ ì§€í–¥í•˜ëŠ” 목표와 ì ë¬¸ì ì¸ 활ë™ì—서 ë³¼ 때, 박물관 콘í…ì¸ ì˜ í•´ì„ê³¼ ì¡°í•©ë°©í–¥ì€ ë§¤ìš° 다양해 질 수 있다. 입지한 지역, 설립ìžì˜ 기호, ì´ìš©ëŒ€ìƒ, 콘í…츠 ìˆ˜ì§‘ì˜ ê¸°ì¤€ê³¼ 활용 목ì , 박물관 ìš´ì˜ë°©í–¥, ì´ìš©ëŒ€ìƒ, ì‘ìš©(확장)방법 ë“±ì€ ë¯¼í™”ê´€ë ¨ ìžë£Œì˜ 수집과 í™œìš©ë°©í–¥ê¹Œì§€ë„ ê²°ì •í•  수 있ìŒì€ 중요한 대목ì´ë‹¤.
예컨대, 가칭)민화ë™ë¬¼ì›ì˜ 경우 ë¯¼í™”ì— ë“±ìž¥í•˜ëŠ” ë™ë¬¼ 중 현존하지 ì•Šì€ ìƒìƒì˜ ë™ë¬¼ì€ 기ë¡ê³¼ 작품, 애니메ì´ì…˜ ì˜ìƒìœ¼ë¡œ 재현하고 현존하는 ë™ë¬¼ì€ ì§ì ‘ 사육해 ìž…ì²´ì ì¸ 박물관활ë™ì„ 지향 í•  수 있다. 가칭)민화ì‹ë¬¼ì› 역시 ê°™ì€ ë°©í–¥ì—서 수집과 ìš´ì˜ì´ 가능하다. ì´ëŸ¬í•œ í˜•íƒœì˜ ë°•ë¬¼ê´€ì—서는 기존 ë°•ë¬¼ê´€ì´ ê¸°ì¤€ìœ¼ë¡œ 삼고 있는 ìœ ë¬¼ì˜ ê°€ì¹˜ê°€ 새롭게 재해ì„ë  ìˆ˜ 있다. 민화와 관련한 ë™Â·ì‹ë¬¼ ê·¸ìžì²´ë¡œ ì˜ë¯¸ê°€ 있으며 그만ì´ì§€ ë¯¸í•™ì  ê°€ì¹˜ë‚˜ ì¡°í˜•ì  ìš°ìˆ˜ì„±ì€ íŒë‹¨ì˜ ê¸°ì¤€ì´ ë  ìˆ˜ 없는 것ì´ë‹¤. 사육과 ìƒìœ¡í•´ì•¼í•˜ëŠ” ìƒë¬¼ì€ 비êµì  ì •ì ì¸ ìƒë‹¹ìˆ˜ì˜ ë°•ë¬¼ê´€ì´ ê°–ëŠ” ì¸ì‹ì˜ í‹€ì„ ê¹° 수 있ìŒì€ 물론ì´ë‹¤.
ë”°ë¼ì„œ, 박물관 ìš´ì˜ì˜ 방향과 ì‘ìš©ì— ì˜í•´ 민화관련 ìžë£Œì˜ í­ë„ 넓어질 수 있으며, ìˆ˜ì§‘ì˜ ê¸°íšŒì™€ ì „ë§ ì—­ì‹œ ë°ë‹¤ê³  하겠다.

3.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화 유형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ë°•ë¬¼ê´€ì˜ ìœ í˜•ì€ ë§¤ìš° 다양하다. 오늘날 박물관ì—ì„œì˜ ìžë£ŒëŠ” 미학과 ì˜ë¯¸, í¬ê·€ì„±, 가격 ë“±ì˜ ê°€ì¹˜ì™€ 함께 박물관ì—서 어떻게 재해ì„í•´ í­ë„“게 활용 í•  수 있ëŠëƒì— ë¬´ê²Œì¤‘ì‹¬ì´ ì˜®ê²¨ê°€ê³  있다. ë”°ë¼ì„œ ë°•ë¬¼ê´€ì˜ ê°œë…ê³¼ 미래 ë°•ë¬¼ê´€ì´ ì§€í–¥í•˜ëŠ” ë°©í–¥ì„±ì„ ë³´ë‹¤ í­ë„“게 ì´í•´í•˜ì—¬ ìœ ë¬¼ì„ ë°”ë¼ë³´ëŠ” ê¸°ì¡´ì˜ í‹€ì„ í™•ìž¥í•˜ëŠ” ë…¸ë ¥ì€ ë§¤ìš° 중요하다.

[표 11] 민화관련 박물관화(안)ì˜ ìœ í˜•ê³¼ 특징

형태 유형ìžë£ŒëŸ‰ì†Œìž¥ìžë£Œê·œëª¨ì„¤ë¦½ 주체확장성
민화(ë°•)종합ìƒë¯¼í™”+ìžë£ŒëŒ€ê´€í•˜
민화êµìœ¡(ë°•)종합ìƒë¯¼í™” êµìœ¡ì „ë°˜ 중관하
í’ì†í™”(ë°•)전문중í’ì†í™”+ìžë£Œì¤‘ê´€/ê°œì¸ì¤‘
세화(ë°•)전문하/중세화+ìžë£Œì†Œê°œì¸ì¤‘
까치호랑ì´(ë°•)전문하작호ë„+ìžë£Œì†Œê°œì¸í•˜/중
춘화(ë°•)전문하춘화+ìžë£Œì†Œê°œì¸ì¤‘/ìƒ
í•´í•™(미)전문ìƒí•´í•™ì  작품중개ì¸ì¤‘/ìƒ
현대민화(미)종합ìƒí˜„대민화중/대관/ê°œì¸ì¤‘/ìƒ
민화디ìžì¸(미)전문ìƒë¯¼í™”관련디ìžì¸ì¤‘ê´€/ê°œì¸í•˜/중
책거리(미)전문하민화+ìžë£Œì¤‘ê°œì¸í•˜/중
○○○민화(미)전문ìƒê°œì¸ìž‘ê°€ 작품소개ì¸ìƒ
민화역사(ë°•)종합ìƒë¯¼í™” 역사전반중관하
민화ìžë£Œ(ë°•)종합ìƒë¯¼í™”ìžë£Œì¤‘/대관/ê°œì¸í•˜
í•´í•™ìžë£Œ(ë°•)전문ìƒí•´í•™ìžë£Œì¤‘ê°œì¸ì¤‘

[표 12] 민화관련 박물관화(안)ì˜ ìš´ì˜ìƒ 특징

형태 대중ë„주요기능
(2가지)
ì´ìš©ëŒ€ìƒ
(중요 순 2ì˜ì—­)
부대 ì‚¬ì—…ê²½ì˜ ì „ë§
민화(ë°•)ìƒì¡°ì‚¬, 전시학ìƒ, 연구ìžìžë£ŒëŒ€ì—¬í•˜/중
민화êµìœ¡(ë°•)중전시, êµìœ¡í•™ìƒ, ì¼ë°˜ìžë£ŒëŒ€ì—¬í•˜
í’ì†í™”(ë°•)ìƒìˆ˜ì§‘, 전시학ìƒ, 외국ì¸ë¬¸í™”ìƒí’ˆì¤‘/ìƒ
세화(ë°•)중전시, êµìœ¡ì—°êµ¬ìž, í•™ìƒë¬¸í™”ìƒí’ˆì¤‘
까치호랑ì´(ë°•)중수집, 전시 í•™ìƒ, 연구ìžìžë£ŒëŒ€ì—¬ì¤‘
춘화(ë°•)하/중수집, 전시성ì¸, 외국ì¸ë¬¸í™”ìƒí’ˆí•˜/중
í•´í•™(미)중연구, 전시연구ìž, í•™ìƒìžë£ŒëŒ€ì—¬ì¤‘/ìƒ
현대민화(미)대전시, êµìœ¡ì¼ë°˜, 작가대관사업ìƒ
민화디ìžì¸(미)중/ìƒì—°êµ¬, 전시ì¼ë°˜, 작가대관사업중
책거리(미)중/ìƒì „시, êµìœ¡ ì¼ë°˜, 작가대관사업중
○○○민화(미)하전시, êµìœ¡ ì¼ë°˜, 작가대관사업하/중
민화역사(ë°•)중조사, 연구연구ìž, í•™ìƒìžë£ŒëŒ€ì—¬í•˜/중
민화ìžë£Œ(ë°•)중수집, 조사연구ìž, í•™ìƒìžë£ŒëŒ€ì—¬í•˜
í•´í•™ìžë£Œ(ë°•)하/중수집, 연구연구ìž, í•™ìƒìžë£ŒëŒ€ì—¬í•˜/중

ì´ë¥¼ 기반으로 ë°•ë¬¼ê´€ì˜ ë¯¸ì…˜ì„ ì°½ì˜ì ìœ¼ë¡œ 설정하고 민화관련 ìžë£Œë¥¼ 재해ì„하고 재조합해 고유 ë° ë¶€ëŒ€ì‚¬ì—…ì„ ìˆ˜í–‰í•  수 있는 ëŠ¥ë ¥ì„ ê°–ì¶°ì•¼í•œë‹¤. 민화박물관, 민화역사관, 민화역사박물관, 민화문화관, 민화문학관, 어린ì´ë¯¼í™”미술관, 사랑방민화박물관, 민화미술관, í™ê¸¸ë™ë¯¼í™”미술관, 민화ë™Â·ì‹ë¬¼ì›, 종로민화박물관, 민화(êµìœ¡)ìžë£Œê´€, 민화정보관, 까치호랑ì´ë¯¸ìˆ ê´€, 민화전시장, 현대민화미술관, 신윤복기ë…ê´€, 민화ìƒí’ˆì „시관 ë“±ì€ ë°•ë¬¼ê´€ì˜ ì„¤ë¦½ëª©ì ê³¼ 활ë™ë°©í–¥, 소장ìžë£Œì˜ 범위가 보다 ì„¸ë¶„í™”ëœ ë°•ë¬¼ê´€ì˜ í˜•ì‹ìž„ì„ ë³´ì—¬ì¤€ë‹¤.
ìƒê¸° 사례를 참조하여, ì „ì‹œì˜ ì£¼ ëŒ€ìƒ ì¸µê³¼ 테마, 미션과 지향 ì ì„ ì‹¬ë„ ìžˆê²Œ 고민하고 다ì›í™”하여 ì´ë¥¼ 활용한 êµìœ¡ê³¼ ì²´í—˜, ì´ë²¤íЏ ë“±ì„ ê³ ë¯¼í•´ì•¼í•œë‹¤. 아울러, 소장ìžë£Œë¥¼ 활용한 2ì°¨ ìƒì‚°ë¬¼ì— ëŒ€í•´ì„œë„ ì°½ì˜ì ì¸ ëª¨ìƒ‰ì´ ìš”êµ¬ëœë‹¤. ì´ëŸ¬í•œ ë°©í–¥ì—서 박물관화를 모색한다면 민화ìžë£Œì˜ ê¸ì •ì ì¸ 가치가 ë”í•´ì ¸ 박물관화 가능성과 ì „ë§ì€ 매우 ë°ë‹¤ê³  하겠다.

6) 정병모, 〈한국 민화와 중국 ë¯¼ê°„ì—°í™”ì˜ ë¹„êµã€‰, 《ë™ì•„ì‹œì•„ì˜ ë¯¼í™” 국제학술대회 ìžë£Œì§‘》 p.60참조, 2006.11.7., 국립민ì†ë°•물관 발행
7) ì´íƒ€ë¯¸ 준, ã€ˆì¡°ì„ ì˜ ë¯¼í™”-ë°©ëž‘ì˜ í™”ê°€ë“¤ã€‰, 《반갑다! 우리민화》 p.222참조
8) 김윤정, 〈한국 ë¯¼í™”ì˜ ì¡´ìž¬ì™€ ì–‘ìƒ – 19세기 후반 20세기 ì „ë°˜ì„ ì¤‘ì‹¬ìœ¼ë¡œã€‰, 《ë™ì•„ì‹œì•„ì˜ ë¯¼í™” 국제학술대회 ìžë£Œì§‘》 p.136ì¸ìš©, 2006.11.7., 국립민ì†ë°•물관 발행
9)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 〈국외한국문화재 주간경매정보〉 참조

â…£.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ì „ë§

1.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ã€ìƒ ì§€ì› ê·œì •

ë°•ë¯¸ë²•ìƒ ë“±ë¡ ë°•ë¬¼ê´€Â·ë¯¸ìˆ ê´€ìœ¼ë¡œ 국한해서 ë³¼ 때, 우리나ë¼ëŠ”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는 물론 ì „ 세계 ì–´ëŠ ë‚˜ë¼ì—ì„œë„ ë¯¼ê°„ì˜ì—­ê¹Œì§€ ê³µì ìžê¸ˆì„ í­ë„“게 ì§€ì›í•˜ê³  있다. 문화융성 등 ì •ë¶€ì‹œì±…ì´ ë”해지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차ì›ì˜ ì§€ì›ì€ ì§€ì†ì ìœ¼ë¡œ í™•ëŒ€ë  ê²ƒìœ¼ë¡œ 예측ëœë‹¤. 그러나 ì§€ì›ê²°ê³¼ì— 대한 투명성확보, ì§€ì›ì£¼ì²´ì˜ 다ì›í™”ì— ë”°ë¥¸ ì¤‘ë³µì§€ì› ë“±ì€ ì‹œê¸‰ížˆ í•´ê²°í•´ 나아가야 í•  과제로 ì§€ì ëœë‹¤.
박물관 ì§€ì›ì˜ ë°©í–¥ì€ í¬ê²Œ 전문ì¸ë ¥, 전시 ë° êµìœ¡í”„로그램 ì§€ì›ìœ¼ë¡œ 대별ëœë‹¤. ì´ì™€ ê°™ì´ ì§€ì›ì˜ ì˜ì—­ì´ 분명하고 제한ì ì¸ ë§Œí¼ ì¤‘ë³µì§€ì›ê³¼ ì´ì— 따른 박물관별 혼란ìƒí™©ì€ 문제ì ì´ ì•„ë‹ ìˆ˜ 없다. ë¿ ë§Œ ì•„ë‹ˆë¼ ì •í™•í•œ 현장ìƒí™©ì„ 파악하지 못하고 시행ë˜ëŠ” ì§€ì›ì€ ì§€ì›ì˜ ë‹¹ìœ„ì„±ì€ ë¬¼ë¡  êµ­ê³ ë‚­ë¹„ë¡œë„ ì´ì–´ì§ˆ 수 있어 ì´ë¥¼ 체계ì ìœ¼ë¡œ 정리해 나아갈 수 있는 ì‹œìŠ¤í…œêµ¬ì¶•ì´ ìš”êµ¬ëœë‹¤. 한편, ì „ì²´ ë°•ë¬¼ê´€Â·ë¯¸ìˆ ê´€ì„ ëŒ€ìƒìœ¼ë¡œ 문체부와 한국박물관협회가 ê³µë™ìœ¼ë¡œ 구축한 박물관종합정보시스템 êµ¬ì¶•ì‚¬ì—…ì€ ì£¼ëª©ëœë‹¤. 여기ì—는 ë°•ë¬¼ê´€ì˜ ì†Œìž¥ìœ ë¬¼, 재무ìƒíƒœ, ê´€ëžŒê° ìˆ˜, ë‚´ë¶€ì¸ë ¥ ì¸ì ì‚¬í•­ 등 개별 ê´€ì˜ ì„¸ë¶€ì‚¬í•­ì€ ë¬¼ë¡  발간ìžë£Œ, 전시현황, 향후 ì‚¬ì—…ê³„íš ë“±ê¹Œì§€ë„ ì›¹ìƒì—서 공개ë˜ê¸° ë•Œë¬¸ì— íˆ¬ëª…ì„±ì œê³ ì™€ 국민들ì—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ê¸°ëŠ¥ê¹Œì§€ë„ ìˆ˜í–‰í•  수 있다. ì´ë¥¼ 통해 êµ­ë‚´ ë°•ë¬¼ê´€ì˜ ì •í™•í•œ 현황파악, ì •ë¶€ ì§€ì›ì‚¬ì—…ì˜ íˆ¬ëª…ì„± 제고, ë°•ë¬¼ê´€ì˜ ê³µê³µì¸ì‹ ê°•í™” ë“±ì´ ê°€ëŠ¥í•  수 있어 고무ì ì¸ 조치로 í™œìš©ë„ ì—­ì‹œ í´ ê²ƒìœ¼ë¡œ 기대ëœë‹¤.
ì§€ì›ì˜ ë²•ì  ê·¼ê±°ëŠ” 박미법ì´ë©° ê·œì •ì— ë”°ë¼ í¬ê²Œ ì§ì ‘ì§€ì›ê³¼ ê°„ì ‘ì§€ì›ìœ¼ë¡œ 요약할 수 있다. 먼저, ì§ì ‘ ì§€ì›ì— 대한 ê·œì •ì€ ë°•ë¯¸ë²• 19조와 24ì¡°ì— í•´ë‹¹í•œë‹¤. 19조는 지방ìžì¹˜ë‹¨ì²´(ì´í•˜ ì§€ìžì²´)는 소유 ìœ íœ´ê³µê°„ì„ ë°•ë¬¼ê´€ìœ¼ë¡œ ìš©ë„ ë³€ê²½í•˜ì—¬ 활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ì´ëŠ” 공립과 ì‚¬ë¦½ì— í•´ë‹¹ëœë‹¤. ë˜í•œ ê°œì¸(사립)ì´ ì´ ìœ íœ´ê³µê°„ì„ í™œìš©í•˜ê³ ìž ì‹ ì²­í•  경우ì—는 무ìƒìœ¼ë¡œ 대여할 수 있다고 ê·œì •í•¨ì— ë”°ë¼ ì •ë¶€ì˜ ì ê·¹ì ì¸ 박물관 유치와 확충 ì˜ì§€ë¥¼ ë°˜ì˜í•˜ê³  있다.

[표 13] 박미법 ìƒ ë°•ë¬¼ê´€Â·ë¯¸ìˆ ê´€ ì§€ì›ê´€ë ¨ 규정
[시행 2010.12.11] [법률 ì œ10367호, 2010. 6.10, ì¼ë¶€ê°œì •]

‘ì§ì ‘ì§€ì›â€™ 관련
제19조(유휴 공간 활용)
â‘  지방ìžì¹˜ë‹¨ì²´ì˜ ìž¥ì€ ê·¸ 지방ìžì¹˜ë‹¨ì²´ ì†Œìœ ì˜ ìœ íœ´ ê³µê°„ì„ (-중략-) 박물관, 미술관(-중략-)으로 ìš©ë„ ë³€ê²½í•˜ì—¬ 활용할 수 있다.
â‘¡ 지방ìžì¹˜ë‹¨ì²´ì˜ ìž¥ì€ ë°•ë¬¼ê´€, 미술관 (-중략-)ì„ ì„¤ë¦½Â·ìš´ì˜í•˜ë ¤ëŠ” ìžê°€ (-중략-) 유휴 ê³µê°„ì„ ëŒ€ì—¬(貸與)í•  ê²ƒì„ ìš”ì²­í•˜ë©´ 무ìƒìœ¼ë¡œ 대여할 수 있다.

제24조(경비 보조 등)
â‘  국가나 지방ìžì¹˜ë‹¨ì²´ëŠ” (-중략-) 사립 박물관ì´ë‚˜ 미술관 설립 계íšì˜ 승ì¸ì„ ë°›ì€ ìžì—게는 ì„¤ë¦½ì— í•„ìš”í•œ 경비를, 등ë¡í•œ 박물관ì´ë‚˜ ë¯¸ìˆ ê´€ì— ëŒ€í•˜ì—¬ëŠ” ìš´ì˜ì— 필요한 경비를 (-중략-) ê°ê° ë³´ì¡°í•  수 있다.
â‘¡ 정부는 êµ­ì˜ ìˆ˜ì†¡ ê¸°ê´€ì— ì˜í•œ 박물관ì´ë‚˜ 미술관ìžë£Œì˜ ìˆ˜ì†¡ì— ê´€í•˜ì—¬ ìš´ìž„ì´ë‚˜ ê·¸ ë°–ì˜ ìš”ê¸ˆì„ í• ì¸í•˜ê±°ë‚˜ ê°ë©´í•  수 있다.
‘간접지ì›â€™ 관련
ì œ9ì¡°(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œì±… 수립)
â‘  ë¬¸í™”ì²´ìœ¡ê´€ê´‘ë¶€ìž¥ê´€ì€ êµ­Â·ê³µÂ·ì‚¬ë¦½ 박물관 ë° ë¯¸ìˆ ê´€ì˜ í™•ì¶©, (-중략-) ì§€ì›Â·ìœ¡ì„±, 학예사 양성 등 (-중략-)ì„ ìœ„í•œ 기본 ì‹œì±…ì„ ìˆ˜ë¦½Â·ì‹œí–‰í•˜ì—¬ì•¼ 한다.
â‘¢ 지방ìžì¹˜ë‹¨ì²´ìž¥ì€ (-중략-) 박물관 ë° ë¯¸ìˆ ê´€ ì§„í¥ê³„íšì„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제4장 사립 박물관과 사립 미술관

제13조(설립과 육성)
â‘¡ 국가나 지방ìžì¹˜ë‹¨ì²´ëŠ” (-중략-) 박물관 ë° ë¯¸ìˆ ê´€ì˜ ì„¤ë¦½ì„ ë•ê³ , (-중략-) 문화 기반 시설로서 ì§€ì›Â·ìœ¡ì„±í•˜ì—¬ì•¼ 한다.

ì œ23ì¡°(ìžë£Œì˜ ì–‘ì—¬ 등)
â‘  박물관ì´ë‚˜ ë¯¸ìˆ ê´€ì€ ìƒí˜¸ê°„ì— ë°•ë¬¼ê´€ìžë£Œë‚˜ 미술관ìžë£Œë¥¼ êµí™˜Â·ì–‘ì—¬(讓與) ë˜ëŠ” 대여하거나 ê·¸ ìžë£Œì˜ ë³´ê´€ì„ ìœ„íƒí•  수 있다.
â‘¡ 국가나 지방ìžì¹˜ë‹¨ì²´ëŠ” 박물관ìžë£Œë‚˜ 미술관ìžë£Œë¡œ 활용할 수 있는 ìžë£Œë¥¼ (-중략-) 박물관ì´ë‚˜ ë¯¸ìˆ ê´€ì— ë¬´ìƒì´ë‚˜ 유ìƒìœ¼ë¡œ 양여·대여하거나 ê·¸ ìžë£Œì˜ ë³´ê´€ì„ ìœ„íƒí•  수 있다.
â‘£ 국가나 지방ìžì¹˜ë‹¨ì²´ëŠ” (-중략-) ìžë£Œì˜ ë³´ê´€ì„ ìœ„íƒí•  경우ì—는 ì˜ˆì‚°ì˜ ë²”ìœ„ì—서 ê·¸ 보존·처리 ë° ê´€ë¦¬ì— í•„ìš”í•œ 경비를 ì§€ì›í•  수 있다.

[표 13-1] 박물관 3대 ì¡°ê±´(ìžë£Œ, 시설, 사람)ì— ëŒ€í•œ 박미법 ìƒ ì§€ì› ë‚´ìš© ë„표

m082017

ì œ24ì¡°ì— ë”°ë¥´ë©´ 사립ì—ê²Œë„ ì„¤ë¦½ê³¼ ìš´ì˜ê²½ë¹„를 ì§€ì›í•  수 있으며, êµ­ì˜ ìˆ˜ì†¡ ê¸°ê´€ì— ì˜í•œ ìžë£Œ(소장품) ìˆ˜ì†¡ì„ í•  경우는 ìš´ìž„ì´ë‚˜ ê·¸ ë°–ì˜ ìš”ê¸ˆì„ í• ì¸ ë˜ëŠ” ê°ë©´í•´ 줄 수 있게 ë˜ì–´ìžˆì–´ 비êµì  í­ë„“ì€ ì§€ì›ì˜ì§€ë¥¼ 표명하고 있다.
다ìŒìœ¼ë¡œ ê°„ì ‘ì§€ì›ê³¼ 관련한 것으로는 ë™ë²• ì œ9ì¡°, ì œ13ì¡°, ì œ23ì¡°ì—서 명시하고 있다. ì œ9조는 문체부장관ì—게 ë°•ë¬¼ê´€ì˜ í™•ì¶©ê³¼ ì§€ì›Â·ìœ¡ì„±, 학예사 양성 ë“±ì„ ìœ„í•´ 기본 ì‹œì±…ì„ ìˆ˜ë¦½Â·ì‹œí–‰í•  ê²ƒì„ ì£¼ë¬¸í•˜ê³  있으며, ìžì¹˜ë‹¨ì²´ìž¥ì—게는 관내 ë°•ë¬¼ê´€ì— ëŒ€í•´ ì§„í¥ê³„íšì„ 수립·시행할 ê²ƒì„ ì˜ë¬´í™”하고 있다. ì œ13조는 국가나 ìžì¹˜ë‹¨ì²´ëŠ” ì‚¬ë¦½ë°•ë¬¼ê´€ì— ëŒ€í•´ì„œë„ ë¬¸í™”ê¸°ë°˜ì‹œì„¤ë¡œì„œ ì¸ì‹í•´ ì ê·¹ ì§€ì›Â·ì§€ì›í•  ê²ƒì„ ìš”êµ¬í•˜ê³  있어 í° í‹€ì—서 ì œ9조와 유사한 ë‚´ìš©ìž„ì„ ì•Œ 수 있다.
ì œ23조는 ë°•ë¬¼ê´€ì˜ 3대 ì¡°ê±´(ìžë£Œ, 시설, 사람) 중 가장 í•µì‹¬ì¸ ìžë£Œ(소장품)ì— ëŒ€í•œ 내용으로 박물관ì´ë‚˜ 미술관 ìƒí˜¸ê°„ ë˜ëŠ” 국가나 ìžì¹˜ë‹¨ì²´ê°€ 박물관ì´ë‚˜ ë¯¸ìˆ ê´€ì— ìžë£Œë¥¼ 무ìƒì´ë‚˜ 유ìƒìœ¼ë¡œ 양여·대여하거나 ê·¸ ìžë£Œì˜ ë³´ê´€ì„ ìœ„íƒí•  수 있다.ê³  명시해 ì‚¬ì‹¤ìƒ ìžë£Œê°€ ì—†ì–´ë„ ë°•ë¬¼ê´€ì„ í•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ì´ë¥¼ 위해 ìžë£Œì˜ ë³´ê´€ì„ ìœ„íƒí•  경우 ì˜ˆì‚°ì˜ ë²”ìœ„ì—서 ê·¸ 보존·처리 ë° ê´€ë¦¬ì— í•„ìš”í•œ 경비를 ì§€ì›í•  수 있다고 명시해, ìžë£Œì™€ 관련한 ìž…ì²´ì  ì§€ì›ì„ 강조하고 있다.
다만, ì§ì ‘ì ì¸ ì§€ì›ì´ë“  ê°„ì ‘ì ì´ë“  ì´ë¥¼ 구체화 í•  수 있는 ê°€ì´ë“œë¼ì¸ì´ 마련ë˜ì–´ìžˆì§€ 않아 ì¡°í•­ì— ë”°ë¼ì„œëŠ” ì ê·¹ì ì¸ ì‹¤í–‰ì´ ìž˜ ë˜ê³  있지 않는 형편ì´ë‹¤. ë”°ë¼ì„œ ì´ë¥¼ 보완하는 ì˜ì§€ì˜ ì„¸ë¶€ì§€ì¹¨ì´ ë°•ë¯¸ë²•ì‹œí–‰ë ¹ì´ë‚˜ ë™ë²•ì‹œí–‰ê·œì¹™ì„ í†µí•´ 명시화하는 ë…¸ë ¥ì´ ì‹œê¸‰ížˆ 필요한 ìƒí™©ì´ë‹¤.

2. ì§„í¥ì •ì±…10)

ìš°ë¦¬ë‚˜ë¼ ëŒ€ë‹¤ìˆ˜ì˜ ë°•ë¬¼ê´€ ì •ì±…ì„ ê´€ìž¥í•˜ëŠ” 문체부는 2012ë…„ 5ì›” 「박물관 발전 기본구ìƒã€(ì´í•˜ 기본구ìƒ)ì„ ë°œí‘œí–ˆë‹¤. 기본구ìƒì˜ 발표 ë°°ê²½ì€ ì²«ì§¸, 대내외ì ìœ¼ë¡œ ë°•ë¬¼ê´€ì˜ ì‚¬íšŒì  ì—­í• ì— ëŒ€í•œ 기대 ë° ìˆ˜ìš” ì¦ê°€ 둘째, 향후 100ë…„ì„ ì¤€ë¹„í•˜ëŠ” 새로운 ê°œë…ì˜ ë°•ë¬¼ê´€ìœ¼ë¡œ 나가야 í•  시기 ë„래 마지막으로 박물관 ì´ìš©ìž ì—° 1ì–µ 명 시대 준비 ë“±ì— ë‘ê³  있다.
ì •ë¶€ì˜ ë°•ë¬¼ê´€ 확충정책 등으로 ‘13ë…„ ë§ í˜„ìž¬, ìš°ë¦¬ë‚˜ë¼ ë°•ë¬¼ê´€ 수는 969ê´€(공립 375ê´€), ì¸êµ¬ 5.3ë§Œ 명당 1ê´€(OECD í‰ê·  5ë§Œ 명당 1ê´€)ì— ì´ë¥´ë €ìœ¼ë‚˜ ì´ëŸ¬í•œ ì–‘ì  ì„±ìž¥ì—ë„ ë¶ˆêµ¬í•˜ê³  콘í…츠 다양성 부족, 관람률 저조, ìžìƒ 기반과 역량 미í¡, í˜¼ìž¬ëœ ê´€ë¦¬ì²´ê³„ë¡œ 정책추진 효율성 저하 등 새로운 숙제를 남기고 있다.

[표 14] ì „êµ­ 박물관과 미술관 ì´ê³„(2013.12.31. 기준)

구분국립공립사립대학소계
박물관3732831599779
미술관14713111190
ì´ê³„38375446110969

ì´ëŸ¬í•œ 문제ì ì„ ê°œì„ í•˜ê³ ìž ì •ë¶€ëŠ” 2012ë…„ 기본구ìƒì„ 수립·발표했다. ì´ë¥¼ 뒷받침하기위해 정부는 기본구ìƒì˜ 4대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박물관 ì—­í•  ê°•í™” ë° ì§ˆì  ìˆ˜ì¤€ 제고와 ì„±ìž¥ì„ ìœ„í•œ 새로운 박물관 ì •ì±…ì„ ì¶”ì§„í•˜ê³  있다.
4대 추진과제는 첫째, 박물관 ì¸ë ¥ì˜ 전문화ì´ë‹¤. ì´ë¥¼ 위해 학예사 ì œë„를 ì „ë¬¸ì—­ëŸ‰ì„ ê²€ì¦í•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박물관 업무ì˜ì—­ì„ 박물관 íŠ¹ì„±ì— ë¶€í•©í•˜ë„ë¡ ì„¸ë¶„í™”í•˜ê² ë‹¤ëŠ” 방침ì´ë‹¤. ë˜í•œ 학술연구 ë° ë°•ë¬¼ê´€ì˜ êµ­ì œêµë¥˜ë¥¼ ì§„í¥í•˜ê³ ,
박물관 ì •ì±… 추진체계를 중앙 ë° ì§€ë°©ì •ë¶€ê°„ ì—­í• ì„ ë¶„ëª…ížˆ 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예정ì´ë‹¤.
둘째, 박물관 ì œë„ì˜ ì²´ê³„í™”ì´ë‹¤. 설립·운ì˜ì˜ ê°€ì´ë“œë¼ì¸ì„ 제시하는 등 최소 ê¸°ì¤€ì„ ë§ˆë ¨í•˜ê³ , ê³µë¦½ì„ ì¤‘ì‹¬ìœ¼ë¡œ 난립하는 ë°•ë¬¼ê´€ì— ëŒ€í•´ 사전í‰ê°€ì™€ 사후 ê°ë¦¬ì œë¥¼ ë„입하여 건전한 박물관활ë™ì„ ë•겠다는 것ì´ë‹¤. ë˜í•œ 박물관 등ë¡ì œë„ì— ëŒ€í•´ì„œë„ ë³´ë‹¤ ë§Žì€ ìžë£Œ 등ë¡ì„ 유ë„하고 학예사 배치 ë“±ì— ìžˆì–´ì„œë„ ì •ì²´ì„±ê³¼ 규모 ë° í™œë™ì— 결부한 ì¸ë ¥ê³¼ ì¸ì›ì„ 배치하ë„ë¡ ê°œì„ í•˜ê² ë‹¤ëŠ” 것ì´ë‹¤.
ì‚¬ë¦½ì€ ë°•ë¯¸ë²•ì— ì˜í•´ 등ë¡ë˜ì—ˆë‹¤ 하ë”ë¼ë„ ì‚¬ì‹¤ìƒ ì‚¬ìœ ìž¬ì‚°ì— í•´ë‹¹ë˜ê¸° 때문ì—, 내외부사정 등으로 등ë¡ì´ 취소ë˜ë©´ 소장ìžë£Œë¥¼ ìžìœ ìŠ¤ëŸ½ê²Œ 거래할 ìˆ˜ë„ ìžˆë‹¤. ì´ëŸ¬í•œ ì œë„ì  í•œê³„ì—ì„œë„ ë°•ë¯¸ë²• 등 ê´€ê³„ë²•ë ¹ì— ë‹¤ì–‘í•œ í˜•íƒœì˜ ì§€ì›ê³¼ ì„¸ì œìƒ í˜œíƒì´ 명시ë˜ì–´ìžˆìœ¼ë©°, ì´ë¥¼ 근거로 ì •ë¶€ì˜ ì§€ì›ì´ ì´ë£¨ì–´ì§€ê³  있다. ì§€ì›ì˜ ëª…ë¶„ì„ ë¶„ëª…ížˆ 하고 í•­êµ¬ì  ìš´ì˜ì„ ë‹´ë³´í•  수 있는 비ì˜ë¦¬ë²•ì¸í™”ê°€ 시급한 ì´ìœ ì´ë‹¤. 현행 법ì¸í™”는 박물관ìžë£ŒëŠ” 물론 ë¶€ë™ì‚°ì¸ ë°•ë¬¼ê´€ì„ ë¹„ë¡¯í•´ ìš´ì˜ì„ 위한 예산까지 출연할 ê²ƒì„ ìš”êµ¬í•˜ê³  있어 사립ì—게 í¬ê²Œ 부담스러운 ì œë„ì´ë‹¤. ì´ë¥¼ ì›í™œí•˜ê²Œ 하기위한 ë°©ë²•ì„ ëª¨ìƒ‰í•˜ê² ë‹¤ëŠ” 것과 ë°•ë¬¼ê´€ì˜ ê±´ì „í•œ 활ë™ì„ 담보하기 위한 í‰ê°€ì¸ì¦ì œ ë„ìž…ë„ ì œì‹œí•˜ê³  있다.
세 번째는 박물관 ê²½ì˜ì˜ 효율화로 ì‚¬ë¦½ì„ ëŒ€ìƒìœ¼ë¡œ 한 LED 조명 êµì²´ ì§€ì›, 소장품 DB구축, 박물관 세제 개선 추진, 국제간 전시êµë¥˜ë¥¼ 활성화하기 위한 ì •ë¶€ 지불보ì¦ì œë„ ë„ìž… 검토, ì§€ìžì²´ 연계 사립 ìš´ì˜í™œì„±í™”, ì§€ìžì²´ê°€ 설립·운ì˜í•˜ê³  있는 공립과 ëŒ€í•™ë°•ë¬¼ê´€ì„ ëŒ€ìƒìœ¼ë¡œ 한 í‰ê°€ë„ 추진할 계íšì— 있다.
마지막으로 전시와 í”„ë¡œê·¸ëž¨ì˜ ëŒ€ì¤‘í™”ì´ë‹¤. ë°•ë¬¼ê´€ì„ ì§€ì—­ ê´€ê´‘ì˜ ê±°ì ê³¼ 사회문화예술êµìœ¡ ê±°ì ìœ¼ë¡œ 육성하고, ë¬¸í™”ì†Œì™¸ê³„ì¸µì„ ìœ„í•œ 서비스를 개선해 나아가겠다는 ê²ƒì„ í‘œë°©í•˜ê³  있다. 용산 미국부대 ì´ì „ 시 ì´ê³³ì— 국립박물관 단지 조성, 국립ìžì—°ì‚¬ë°•물관 건립 추진, 해외박물관 한국실 ì§€ì›ì˜ 체계화 ë“±ë„ ë°•ë¬¼ê´€ ëŒ€ì¤‘í™”ì˜ ì¤‘ìš” 실천과제로 정부는 제시했다. 특히, 사회ì ìœ¼ë¡œ ì§€ì†ì ì¸ 문제가 야기ë˜ê³  있는 ê³µë¦½ë°•ë¬¼ê´€ì€ ì „ì²´ì ì¸ 기본구ìƒê³¼ 새로운 í™˜ê²½ì— ë¶€í•©í•˜ëŠ” 기능과 ì—­í• ì„ ìˆ˜í–‰í•˜ë„ë¡ ì •ì±…ì„ ê°•í™”í•˜ê² ë‹¤ê³  문체부는 기본구ìƒì„ 통해 강조했다.
ìƒê¸°ì™€ ê°™ì€ ì •ë¶€ì˜ ê¸°ë³¸êµ¬ìƒì€ ë°•ë¬¼ê´€ì— ëŒ€í•œ 관리ê°ë…ì„ ê°•í™”í•˜ëŠ” 대신 ë°•ë¬¼ê´€ì˜ ì§ˆì  ì„±ìž¥ì„ ìœ„í•´ ì œë„개선과 ì§€ì›ê°•í™”ì— ë°©ì ì„ 맞추겠다는 ì˜ì§€ì´ë‹¤. 특히, ì‚¬ë¦½ì— ëŒ€í•´ì„œëŠ” ì œìž¬ì— ì•žì„œ ì§€ì›ì˜ ëª…ë¶„ì„ íšë“í•˜ê³ ìž í–ˆìœ¼ë©°, ì§€ì›ì— 보다 í° ì—­ëŸ‰ì„ ì§‘ì¤‘í•˜ê² ë‹¤ëŠ” ì˜ì§€ë¡œ í•´ì„ë˜ì–´ ì‚¬ë¦½ì˜ ìš´ì˜í™œì„±í™”를 목표로 하고 있ìŒì„ 알 수 있다.

3. ì§€ì› í”„ë¡œê·¸ëž¨11)

우리나ë¼ì˜ ë°•ë¬¼ê´€ì€ ë§¤ìš° 급변하고 있다. ìš°ì„ , 최근 ê´€ ì¦ê°€ì¶”ì´ëŠ” ì§€ì†ì ì¸ ìƒìŠ¹ì„¸ë¥¼ ë³´ì´ê³  있다.([표 1] 참조) ì´ëŸ¬í•œ ê´€ ì¦ê°€ì˜ 중요한 ìš”ì¸ ì¤‘ 하나는 ì •ë¶€ì˜ ì •ì±…ê³¼ ì§€ì›ì— 있다.
ì¤‘ì•™ì •ë¶€ì— ì˜í•´ ì‚¬ë¦½ë°•ë¬¼ê´€ì— ë³µê¶Œê¸°ê¸ˆì´ ê³µì‹ì ìœ¼ë¡œ ì§€ì›ë˜ê¸° 시작한 2004ë…„ë„ ì´í›„ 학예ì¸ë ¥ ë° êµìœ¡ì‚¬, 해설사 등 박물관 필수 ì¸ë ¥ì§€ì›, 한국박물관협회, 한국문화예술위ì›íšŒ, 한국문화예술êµìœ¡ì§„í¥ì›, í•œêµ­ë¬¸í™”ê´€ê´‘ì—°êµ¬ì› ë“±ì„ í†µí•œ 박물관명예êµì‚¬ 파견, 전문ì¸ë ¥ 양성 ì§€ì›, 박물관 관련 êµìœ¡(ì°½ì˜ì  체험활ë™)ì§€ì› ë“± 다양한 ê°„ì ‘ì§€ì› ì—­ì‹œ ì ì°¨ 확대ë˜ê³  있다. 그러나 ê´€ 수 ì¦ê°€ëŒ€ë¹„ ì •ë¶€ ë° ì§€ë°©ì •ë¶€ì˜ ì§€ì›ì€ ì•„ì§ ì¶©ë¶„í•˜ì§€ 못한 ìƒí™©ì´ë‹¤. 그럼ì—ë„ ë¶ˆêµ¬í•˜ê³  사립박물관(사립대학박물관 í¬í•¨)ì— ëŒ€í•œ 체계ì ì´ê³  장기ì ì¸ ì§€ì›ì€ 다른 êµ­ê°€ì—서는 ë³¼ 수 없는 것으로 ë°•ë¬¼ê´€ì— ëŒ€í•œ ê³µê³µì˜ ì—­í• ì„ êµ­ê°€ì—서 ì¸ì •해주고 있는 것ì´ë‹¤.
중앙정부와 ë”불어 지방정부차ì›ì˜ ì§€ì›ì—­ì‹œ í¬ê²Œ 확대ë˜ê³  있다. 2006ë…„ë„ì— ê²½ê¸°ë„ê°€ 제정한 ã€Œê²½ê¸°ë„ ë°•ë¬¼ê´€ ë° ë¯¸ìˆ ê´€ ì§„í¥ ì¡°ë¡€ã€ë¥¼ 시작으로 ê° ê´‘ì—­ìžì¹˜ë‹¨ì²´ëŠ” 물론 기초ìžì¹˜ë‹¨ì²´ë¡œë„ ì§„í¥ì„ 목ì ìœ¼ë¡œ 한 ì¡°ë¡€ì œì •ì´ í™•ëŒ€ë˜ê³  있다. ì´ë¥¼ 통해 안정ì ì´ê³  체계ì ì¸ ì§€ì›ì´ ì´ë£¨ì–´ì§€ê³  있으며, ê·¸ ì§€ì› ê·œëª¨ëŠ” ì¤‘ì•™ì •ë¶€ì˜ ì§€ì›ê³¼ 버금가는 ê²½ìš°ë„ ë‚˜íƒ€ë‚˜ê³  있다.

[표 15] ìžì¹˜ë‹¨ì²´ë³„ 박물관·미술관 ì§„í¥, ì§€ì›, 기금운용(ìš´ì˜) ì¡°ë¡€ 현황

지역조례명제정ì¼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박물관 ë° ë¯¸ìˆ ê´€ ì§„í¥ì¡°ë¡€2011.7
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 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ë¡€2011.2
ì¸ì²œê´‘역시ì¸ì²œê´‘역시 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ë¡€2010.1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박물관 ë° ë¯¸ìˆ ê´€ ì§„í¥ì¡°ë¡€2011.5
경기ë„ê²½ê¸°ë„ ë°•ë¬¼ê´€ ë° ë¯¸ìˆ ê´€ ì§„í¥ ì¡°ë¡€2006.4
ê²½ìƒë‚¨ë„ê²½ìƒë‚¨ë„ 박물관 ë° ë¯¸ìˆ ê´€ ì§„í¥ì¡°ë¡€2008.7
충청남ë„ì¶©ì²­ë‚¨ë„ ì‚¬ë¦½ë°•ë¬¼ê´€ ë° ì‚¬ë¦½ë¯¸ìˆ ê´€ ì§„í¥ ì¡°ë¡€2008.7
ì „ë¼ë¶ë„ì „ë¼ë¶ë„ 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ë¡€ 2012.4
경기 부천시부천시 박물관 설치 ë° ìš´ì˜ ì¡°ë¡€2001.11
경기 하남시하남시박물관·미술관지ì›ë°ê¸°ê¸ˆìš´ìš©ì¡°ë¡€2002.5
ê°•ì› ì˜ì›”êµ°ì˜ì›”êµ° 사립박물관 ë° ì‚¬ë¦½ë¯¸ìˆ ê´€ ì§€ì›ì— 관한 ì¡°ë¡€2008.8
충남 아산시아산시 사립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ë¡€ 2007.11
전남 신안군신안군 박물관·미술관 ìœ ì¹˜ì§€ì› ë° ê¸°ê¸ˆìš´ì˜ì¡°ë¡€2009.1
ì „ë¶ ì „ì£¼ì‹œì „ì£¼ì‹œ 사립박물관 ë° ë¯¸ìˆ ê´€ ì§„í¥ ì¡°ë¡€2001.9

[표 16] 중앙 ë° ì§€ë°©ì •ë¶€ 주요 박물관·미술관 ì§€ì›ì‚¬ì—… 현황(개별 ê´€ ì§€ì›ì‚¬ì—… 제외)
(â‘  ë³µê¶Œê¸°ê¸ˆì˜ ê²½ìš° ëŒ€í•™ë°•ë¬¼ê´€ì€ 2005ë…„ í•œí•´ì— í•œí•´ 1,110ë°± ë§Œ ì›ì´ ì§€ì›ë¨.)

– 중앙 ì •ë¶€

ì§€ì› í”„ë¡œê·¸ëž¨ì‹œí–‰ì£¼ì²´ì§€ì›ê¸ˆ 성격시행년ë„ì§€ì›ëŒ€ìƒì‚¬ì—…비 (천ì›)
â‘  복권기금 ì§€ì›ì‚¬ì—…국무ì´ë¦¬ì‹¤ 기íšìž¬ì •ë¶€ë¯¼ê°„ê²½ìƒ ë³´ì¡°2004사립 (ë°•)·(미), 대학(ë°•)
2010ë…„ ì´í›„ 공립까지 확대
16,687,500
(2004ë…„~2012ë…„)
â‘¡ ë¯¼ì† ìƒí™œì‚¬ (ë°•)í˜‘ë ¥ë§ ì‚¬ì—…êµ­ë¦½ë¯¼ì†(ë°•)ë°•ë¯¸ë²•ì— ì˜í•œ í˜‘ë ¥ë§ ì‚¬ì—…2005공사립 ìƒí™œì‚¬(ë°•)
(미등ë¡ê´€ í¬í•¨)
500,000(2005)
600,000(2006)
550,000(2007)
430,000(2008)
430,000(2009)
ì¸í„´ì§€ì› 프로그램문화 예술위ì›íšŒë…¸ë™ë¶€ 청년실업 대책2005사립(ë°•)·(미)ì›”600(2005/80명) ì›”660(2006/62명) ì›”730(2007/38명) ì›”790(2008/41명) â‘¢ 전년대비 ì¸ì›ê°ì†Œí˜„황 â–²3(+7.3%)
â‘£ ì „êµ­(ë°•)·(미) 협력ë§ì‚¬ì—…국립중앙(ë°•)ë°•ë¯¸ë²•ì— ì˜í•œ í˜‘ë ¥ë§ ì‚¬ì—…2007국공사립, 대학(ë°•)·(미)2007/300,000
2008/125,000213)
문화예술 êµìœ¡ 전문 ì¸ë ¥ 양성 ì§€ì›ì‚¬ì—…문화예술 êµìœ¡ì§„í¥ì›ì „문ì¸ë ¥ 파견(Educator) 2007국공사립, 대학(ë°•)·(미)2007/2,119,781
2008/1,147,775
2009/1,100,000
ë“±ë¡ ì‚¬ë¦½ (ë°•)·(미) 학예ì¸ë ¥ ì§€ì›ì‚¬ì—…(ë°•)·(미) 정책과학예ì¸ë ¥(Curator) ì§€ì›2007사립(ë°•)·(미)
(2012ë…„ë„ ì‚¬ì—…ë¶€í„°ëŠ” ê´€ 매칭으로 ìš´ì˜)
2007/1,800,000
2008/1,800,000
2009/1,800,000
2010/1,800,000
2011/1,752,000
2012/1,709,000
(ë°•)·(미) 어린ì´ëŒ€ìƒ (작품) 해설사 배치 ì§€ì›ì‚¬ì—…문화예술 êµìœ¡ì§„í¥ì› ë…¸ë™ë¶€ 부처공모형07.12 ~ 08.11국공사립, 대학(ë°•)·(미)2007/약3,000,000
(280명)14)
(ë°•)·(미) 어린ì´ëŒ€ìƒ (작품) 해설사 배치 ì§€ì›ì‚¬ì—…문화체육 관광부토토복권기금2009사립(미)
사립(박)
2009/107,915
2008/200,000
대학(ë°•) 겨울방학 프로그램지ì›ë¬¸í™” 체육관광부
한국(ë°•)협회 ìš´ì˜í™œì„±í™”
2010대학(박)
2012년 복권기금사업으로 통합
명예êµì‚¬ ì§€ì›ë¬¸í™”예술êµìœ¡ì§„í¥ì›ë¬¸í™”체육관광부2010국공사립, 대학(ë°•)·(미)2010/121,300
2011/100,000
문화예술 기관 문화학êµë¬¸í™”예술êµìœ¡ì§„í¥ì›ë¬¸í™”체육관광부2011êµ­ê³µ, 대학(ë°•)·(미), 사립(ë°•)195,000
ë“±ë¡ ì‚¬ë¦½(ë°•) ì—듀케ì´í„° ì§€ì›ì‚¬ì—…문화여가정책과문화체육관광부2012ë“±ë¡ ì‚¬ë¦½(ë°•)
(ê´€ 매칭운ì˜)
870,000

– 지방 ì •ë¶€

êµ¬ë¶„ì§€ì› í”„ë¡œê·¸ëž¨ì‹œí–‰ì£¼ì²´ì§€ì›ê¸ˆ 성격시행년ë„ì§€ì›ëŒ€ìƒì‚¬ì—…비 (천ì›)
서울특별전시서울 문화 관광디ìžì¸ 본부2011사립 (ë°•)·(미)2011/680,000
부산사립, 대학 활성화 ì§€ì›ë¶€ì‚°ì§€ë°©ë¹„2010ë“±ë¡ ì‚¬ë¦½, 대학 (ë°•)·(미)2010ë…„ 단 ë…„ë„ ì§€ì› 60,000 (3개관: 20,000)
대구관내 (ë°•) 안내 ë„서 제작 ì§€ì›ëŒ€êµ¬ì§€ë°©ë¹„2011국공사립, 대학(ë°•)·(미)60,000
대구사립 (ë°•)·(미)대구지방비2011ìžì—°ì—¼ìƒ‰(ë°•) 송광매기ë…관관당 4,750
ì¸ì²œí˜‘회 활성화 ì§€ì›ì¸ì²œì§€ë°©ë¹„ ì§€ì›2010ì¸ì²œì‹œ(ë°•) 협ì˜íšŒ100,000 (ë°•)축제는 ë³„ë„ ì§€ì›
경기특별전, êµìœ¡í”„로그램, ê´€ ê³µë™ì‚¬ì—…ê³¼ ì´ì™€ ì—°ê³„ëœ ìš´ì˜ë¹„ (ì¸ê±´ë¹„ í¬í•¨)
/ 협회 ìš´ì˜ë¹„
경기 문화관광국 문화정책과 ê²½ê¸°ë„ (ë°•) ë° (미) ì§„í¥ ì¡°ë¡€2006공사립 (ë°•)·(미)
2012ë…„ ìƒê¸°ì‚¬ì—… 중 복합문화 공간조성만 매칭사업임
(ë„3, 시군4, ìž3)
2006/660,000
2007/1,150,000
2008/1,200,000
2009/1,400,000
2010/1,200,000
2011/3,500,000
2012/2,477,545
경기특별전, êµìœ¡í”„로그램, ê´€ ê³µë™ì‚¬ì—…ê³¼ ì´ì™€ ì—°ê³„ëœ ìš´ì˜ë¹„ (ì¸ê±´ë¹„ í¬í•¨) / 협회 ìš´ì˜ë¹„ 경기 문화관광국 문화정책과 ê²½ê¸°ë„ (ë°•) ë° (미) ì§„í¥ ì¡°ë¡€2006ê²½ê¸°ë„ (ë°•)협회2010/90,000
2011/500,000
ê²½ë¶(ë°•)·(미) 활성화 ì§€ì›ê²½ë¶ 지방비경ìƒë¶ë„ (ë°•) ë° (미)ì§„í¥ ì¡°ë¡€2011사립 (ë°•)·(미)100,000
ê²½ë¶(ë°•)·(미) 활성화 ì§€ì›ê²½ë¶ 지방비경ìƒë¶ë„ (ë°•) ë° (미)ì§„í¥ ì¡°ë¡€2011ê²½ìƒë¶ë„ (ë°•) 협ì˜íšŒ47,500
ìƒê¸° 1ì–µì— í¬í•¨
ê²½ 남(ë°•)·(미) 활성화 ì§€ì›ê²½ë‚¨ 지방비경ìƒë‚¨ë„ (ë°•) ë° (미)ì§„í¥ ì¡°ë¡€2009사립 (ë°•)·(미) ë„슨트 96,000
ê²½ 남(ë°•)·(미) 활성화 ì§€ì›ê²½ë‚¨ 지방비경ìƒë‚¨ë„ (ë°•) ë° (미)ì§„í¥ ì¡°ë¡€2009ì €ì†Œë“ ê³„ì¸µ ì²´í—˜ 학습ìžë£Œ 30,000
ê²½ 남(ë°•)·(미) 활성화 ì§€ì›ê²½ë‚¨ 지방비경ìƒë‚¨ë„ (ë°•) ë° (미)ì§„í¥ ì¡°ë¡€2011사립 (ë°•)·(미) LED êµì²´ 17,000
ì „ 남운ì˜ë¹„ (ì¸ê±´ë¹„ í¬í•¨)전남 문화 관광국 문화예술과지방비 2004사립(미) ê° ê´€ 당
지방비 10,000
군비 10,000
ì „ 남운ì˜ë¹„ (ì¸ê±´ë¹„ í¬í•¨)전남 문화 관광국 문화예술과지방비 20042011ì—는 (ë°•)까지 확대2011/280,000
ê° ê´€ 당지ì›ì€ ìƒê¸° 내용과 ë™ì¼
ì¶© 남(ë°•)·(미) 활성화경남 ì§€ë°©ë¹„ì¶©ì²­ë‚¨ë„ (ë°•) ë° (미)ì§„í¥ ì¡°ë¡€2010사립 (ë°•)·(미)2010/200,000
2011/150,000
(ê°ê´€ í‰ê·  10,000)
ì œ 주(ë°•)·(미) í™ë³´ì±…ìž ì§€ì› ì œì£¼ë„지방비2010국공사립, 대학 (ë°•)·(미) 2010ë…„ 단 ë…„ë„ ì§€ì› 50,000

현행과 ê°™ì´ ìš°ë¦¬ë‚˜ë¼ëŠ” 박물관 ì§„í¥ì— 목ì ì„ ë‘”, 법ì ê·¼ê±°ë¥¼ 토대로 ê°œì¸ì´ ìš´ì˜í•˜ëŠ” 사립과 민화를 비롯한 다양한 í…Œë§ˆì˜ ë°•ë¬¼ê´€ì—까지 ë§Žì€ ì§€ì›ì„ 통해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ì´ì™€ ê°™ì€ ì¤‘ì•™ ë° ì§€ë°©ì •ë¶€ì˜ ì§€ì›í”„ë¡œê·¸ëž¨ì€ êµ­ì œì ìœ¼ë¡œë„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ì´ë‹¤.
그러나 ì§€ê¸ˆê¹Œì§€ì˜ ì§€ì›ë°©í–¥ì€ ë°•ë¬¼ê´€ì„ ê±°ì ìœ¼ë¡œ 한 단순 비축ì ì„±ì§€ì› ê·¸ê²ƒë„ ì¼íšŒì„±ì— 머물고 있는 실정ì´ë‹¤. 먼저 ê° ê´€ì— ê¼­ 필요한 하드웨어부터 ì§€ì›í•œ 후 다ìŒìœ¼ë¡œëŠ” 기본ì ìœ¼ë¡œ 요구ë˜ëŠ” ìš´ì˜ë¹„ì§€ì›ì´ 뒤따ë¼ì•¼ 한다. ê·¸ 후 관람ê°ì„ 최종 목ì ì§€ë¡œ 하는 비축ì ì„± ì§€ì›ì´ ê³ ë ¤í•¨ì´ ì˜³ë‹¤. ëˆì„ 투입하면 ë¬¼ê±´ì´ ë°”ë¡œ 나오는 공장과 ê°™ì´ ë°•ë¬¼ê´€ì˜ ì‹œì„¤ë„ ë°”ë€” 수 있다. 그러나 관람ê°ì˜ ë°˜ì‘ê³¼ 변화는 ë”디게 나타나는 게 문화 ë¶„ì•¼ì˜ íŠ¹ì§•ì´ë‹¤.
ì´ë¥¼ ê°ì•ˆí•´ ì¸ë‚´ì‹¬ì„ ê°–ê³  장기ì ìœ¼ë¡œ ì§€ì›í•˜ë˜ 성급한 성과를 기대해서는 안 ëœë‹¤. 물론 ì„ í–‰ë˜ì–´ì•¼ í•  ì ì€ 투명한 ì§€ì›ê³¼ 집행절차와 ê³¼ì •ìž„ì€ ìž¬ë¡ í•  필요가 없다. ì´ë¥¼ 위해 ì •ì±…ê³¼ ì§€ì›ì˜ ê°€ì´ë“œë¼ì¸ì„ 마련하고 전문ì ì¸ ì»¨ì„¤íŒ…ì„ ì •ë¶€ì°¨ì›ì—서 해주어야 한다. ë°•ë¬¼ê´€ì— ëŒ€í•œ 정부지ì›ì€ ê¶ê·¹ì ìœ¼ë¡œ ë°•ë¬¼ê´€ì„ ì•ˆì •í™”í•˜ê³  활성화하여 ì´ë¥¼ 통해 소장ìžë£Œì˜ 활용과 ë³´ì¡´ì— ê¸°ì´ˆí•˜ì—¬ì•¼ 한다. ì´í›„ 향유ìžì—게 다양한 í˜•íƒœì˜ ì§ˆ ì¢‹ì€ ì„œë¹„ìŠ¤ì™€ êµìœ¡ì„ 제공할 수 있다. ë˜ ì§€ì›ê¸°ê´€ì€ 관리와 ê°ë…보다는 수í‰ì  ê´€ì ì—서 ìƒí˜¸ 문제ì ì„ 찾아 개선해주는 ë…¸ë ¥ì„ í•´ì•¼ 한다.

4. 민화관련 ë°•ë¬¼ê´€ì˜ ë“±ë¡

민화관련 ìžë£Œì˜ 박물관화를 위해서는 박미법 ìƒ ë“±ë¡ì˜ 절차가 필요하다. ì´ ë²•ì— ì˜í•´12) 시설명세서, 민화관련 ìžë£Œ 목ë¡ê³¼ 학예사 명단 그리고 관람료 ë° ìžë£Œì˜ ì´ìš©ë£Œ 등 ë°•ë¬¼ê´€ì˜ ê°€ìž¥ê¸°ë³¸ì ì¸ ì‚¬í•­ì„ ê´€í•  특별시장·광역시장·ë„지사 ë˜ëŠ” 특별ìžì¹˜ë„지사ì—게 제출(ì „ìžë¬¸ì„œì— ì˜í•œ ì œì¶œì„ í¬í•¨í•œë‹¤)해야 한다.
ì´í›„ 담당ìžì˜ 검토와 ì „ë¬¸ê°€ë“¤ì˜ í˜„ìž¥ì‹¤ì‚¬ë¥¼ 통해 ë“±ë¡ ì—¬ë¶€ê°€ ê²°ì •ë˜ëŠ” ê³¼ì •ì„ ê±°ì¹œë‹¤. 물론 ì´ë•Œ 박물관 ìžë£Œì˜ 수와 기본시설, ë©´ì , í•™ì˜ˆì‚¬ì— ì˜í•´ 1종과 2종으로 구분ë¨ì€ 물론ì´ë‹¤. ì´ë ‡ë“¯ 비êµì  간단한 절차를 요한다. ì´ë¥¼ 통해 ë°•ë¬¼ê´€ì´ ê°€ì§€ê³  있는 기본ì ì¸ 활ë™ì„ 수행할 때 비로소 명실 공히 박물관ì´ë¼ê³  í•  수 있는 것ì´ë‹¤. 그러나 ì´ëŸ° 등ë¡ì œë„는 다소 형ì‹ì ì´ê³  정량ì ì¸ ì¸¡ë©´ë§Œì„ ê°•ì¡°í•˜ê³  있어 ì „ë¬¸ê°€ë“¤ì˜ í˜„ìž¥ì‹¤ì‚¬ 시 정성ì ì¸ ë…¼ì˜ì—서 다소 ë§ˆì°°ì´ ë¹šì–´ì§€ê¸°ë„ í•œë‹¤. 비êµì  간단한 절차와 ê³¼ì •ì„ í†µí•œ 등ë¡ì œë„는 박물관 건립과 ìš´ì˜ì² í•™, ë°•ë¬¼ê´€ì˜ ì •ì²´ì„±, 활ë™ì— 대한 ê²€ì¦ ë“±ì„ í‰ê°€í•˜ëŠ” ë°ëŠ” 한계가 있어 문제ì ì´ ì ì§€ 않다.

[표 17] ë°•ë¯¸ë²•ìƒ ë“±ë¡ìš”ê±´(ì œ10ì¡° 관련)13)

[제1종 박물관]

유형박물관 ìžë£Œí•™ì˜ˆì‚¬ì‹œì„¤
ì¢…í•©ë°•ë¬¼ê´€ê° ë¶„ì•¼ë³„ 100ì  ì´ìƒê° 분야별 1명 ì´ìƒê° 분야별 ì „ë¬¸ë°•ë¬¼ê´€ì˜ í•´ë‹¹ 전시실 / 수장고(æ”¶è—庫) / 작업실 ë˜ëŠ” 준비실 / 사무실 ë˜ëŠ” 연구실 / ìžë£Œì‹¤Â·ë„서실·강당 중 1ê°œ 시설 / 화재·ë„난 방지시설, ì˜¨ìŠµë„ ì¡°ì ˆìž¥ì¹˜
전문박물관(미술관)100ì  ì´ìƒ1명 ì´ìƒ100제곱미터 ì´ìƒì˜ 전시실 ë˜ëŠ” 2,000제곱미터 ì´ìƒì˜ 야외전시장 / 수장고 / 사무실 ë˜ëŠ” 연구실 / ìžë£Œì‹¤Â·ë„서실·강당 중 1ê°œ 시설 / 화재·ë„난 방지시설, ì˜¨ìŠµë„ ì¡°ì ˆìž¥ì¹˜
ë™ë¬¼ì›100종 ì´ìƒ1명 ì´ìƒ300제곱미터 ì´ìƒì˜ 야외전시장(ì „ì‹œì‹¤ì„ í¬í•¨í•œë‹¤) / 사무실 ë˜ëŠ” 연구실 / ë™ë¬¼ 사육·수용 시설 / ë™ë¬¼ 진료·검역 시설 / 사료창고 / 오물·오수 처리시설
ì‹ë¬¼ì›1. 실내: 100종 ì´ìƒ
2. 야외: 200종 ì´ìƒ
1명 ì´ìƒ200제곱미터 ì´ìƒì˜ 전시실 ë˜ëŠ” 6,000제곱미터 ì´ìƒì˜ 야외전시장 / 사무실 ë˜ëŠ” 연구실 / 육종실 / 묘í¬ìž¥ / ì‹ë¬¼ë³‘리시설 / 비료저장시설
수족관100종 ì´ìƒ1명 ì´ìƒ200제곱미터 ì´ìƒì˜ 전시실 / 사무실 ë˜ëŠ” 연구실 / 수족치료시설 / 순환장치 / 예비수조

[제2종 박물관]

유형박물관 ìžë£Œí•™ì˜ˆì‚¬ì‹œì„¤
ìžë£Œê´€Â·ì‚¬ë£Œê´€Â·ìœ ë¬¼ê´€Â·ì „시장·전시관·향토관·êµìœ¡ê´€Â·ë¬¸ì„œê´€Â·ê¸°ë…관·보존소·민ì†ê´€Â·ë¯¼ì†ì´ŒÂ·ë¬¸í™”ê´€ ë° ì˜ˆìˆ ê´€60ì  ì´ìƒ1명 ì´ìƒ82제곱미터 ì´ìƒì˜ 전시실 / 수장고 / 사무실 ë˜ëŠ” 연구실·ìžë£Œì‹¤Â·ë„서실 ë° ê°•ë‹¹ 중 1ê°œ 시설 / 화재·ë„난 방지시설, ì˜¨ìŠµë„ ì¡°ì ˆìž¥ì¹˜
ë¬¸í™”ì˜ ì§‘ë„서·비디오테ì´í”„· CD ê° 300ì  ì´ìƒ-363제곱미터 ì´ìƒì˜ 문화공간으로서 다ìŒì˜ ì‹œì„¤ì„ ê°–ì¶”ì–´ì•¼ 함. ì¸í„°ë„· 부스(PC 4대 ì´ìƒ) / 비디오 부스(VTR 2대 ì´ìƒ) / CD 부스(CD플레ì´ì–´ 4대 ì´ìƒ) / 문화관람실(ë¹” 프로ì í„° 1대) / 문화창작실(공방) / 안내ë°ìŠ¤í¬ ë° ì •ë³´ìžë£Œì‹¤ / 문화사랑방(전통문화사랑방) / 화재·ë„난 방지시설

ë”°ë¼ì„œ ë°•ë¬¼ê´€ì˜ ì™¸í˜•ì  ê·œëª¨ë‚˜ ì‹œì„¤ì˜ ì •ë„보다는 í™œë™ ê³„íš ë“± ë‚´ìš©ì— ì¶©ì‹¤í•œ ë°©í–¥ìœ¼ë¡œì˜ ê°œì„ ì´ í•„ìš”í•œ 시ì ì´ë‹¤. ë˜í•œ, 박물관으로 ì¸ì •ë˜ëŠ” ì‹œì„¤ì˜ ë²”ìœ„ê°€ 매우 방대14)하여 ê·¸ ê¸°ì¤€ì„ ë³´ë‹¤ 분명하게 정리하는 ë…¸ë ¥ë„ ë³‘í–‰ë˜ì–´ì•¼ 한다. 박물관ì´ë¼ê³  하는 í° ê°œë…ì—서 보다 í†µí•©ì  ì ‘ê·¼ì´ ì‹œê¸‰í•˜ë©°, ìš°ì„  등ë¡(ë³€ê²½ë“±ë¡ í¬í•¨)ê³¼ 관련해서는 ê° í•­ëª©ë³„ ê°€ì´ë“œë¼ì¸ì„ 설정하여 ì„¤ë¦½ì„ ì¤€ë¹„í•˜ëŠ” ì´ë“¤ì—게 ì´í•´ë¥¼ 쉽게 해주어야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는 물론 ì¼ë°˜ 국민들ì—게까지 í˜¼ëž€ì„ ê°€ì¤‘ì‹œí‚¬ 수 있기 때문ì´ë‹¤.
민화관련 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화 역시, ì´ë¥¼ 통해 가능해ì§ì€ 물론ì´ë©°, 관련학회나 협회 등 단체ì—서는 항구ì ì¸ 비ì˜ë¦¬ì‹œì„¤ì´ 갖춰야할 ìœ¤ë¦¬ì  ì¸¡ë©´ì—ì„œì˜ ê°€ì´ë“œë¼ì¸ì„ 설정하여 스스로 ìˆ˜ì¤€ì„ í–¥ìƒì‹œí‚¤ëŠ” ë…¸ë ¥ì„ ê²½ì£¼í•´ì•¼ 한다. ìƒê¸°ì™€ ê°™ì€ ì •ë¶€ì™€ 민간차ì›ì˜ 기준과 정보는 민화ìžë£Œë¥¼ 활용한 박물관과 예비설립ìžë“¤ì—ê²Œë„ ê³µìœ í•˜ì—¬ 설립과 ì§€ì›, ìš´ì˜ ë“± ì „ 분야ì—서 발전ì ìœ¼ë¡œ 활용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한 시ì ì´ë‹¤.

10) 〈2014 박물관·미술관 담당 ê³µì§ìž êµìœ¡ã€‰ìžë£Œ, pp.9~10참조, 한국박물관협회 발간, 2014
11) 윤태ì„, 〈한국 ë°•ë¬¼ê´€ì˜ í˜„í™©ê³¼ ê·¸ ì§„ë‹¨ì„ í†µí•œ ì •ì±… 제언〉pp.126~131참조, êµ­ë¯¼ëŒ€í•™êµ ëŒ€í•™ì› ë¬¸í™”ì˜ˆìˆ í•™ì „ê³µ 박사학위 논문, 2011
12)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제8ì¡°(등ë¡ì‹ ì²­ 등)
13)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 시행령〠제10ì¡° (등ë¡ìš”ê±´) 법 ì œ16ì¡°ì œ3í•­ì— ë”°ë¥¸ 박물관 ë˜ëŠ” ë¯¸ìˆ ê´€ì˜ ë“±ë¡ì€ 박물관 ë˜ëŠ” ë¯¸ìˆ ê´€ì˜ ì†Œìž¥ìžë£Œ, 시설규모 ë“±ì— ë”°ë¼ ì œ1종 박물관 ë˜ëŠ” 미술관, ì œ2종 박물관 ë˜ëŠ” 미술관으로 구분하여 등ë¡í•œë‹¤.
14)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 시행령ã€(ì œ5ì¡°, ì ìš© 범위)ì— ì ìš©ë˜ëŠ” 박물관 ì‹œì„¤ì˜ ë²”ìœ„: ìžë£Œê´€, 사료관, 유물관, 전시장, 전시관, 향토관, êµìœ¡ê´€, 문서관, 기ë…ê´€, 보존소, 민ì†ê´€, 민ì†ì´Œ, 문화관, 예술관, ë¬¸í™”ì˜ ì§‘, 야외 전시 ê³µì› ë° ì´ì™€ 유사한 명칭과 ê¸°ëŠ¥ì„ ê°–ëŠ” 문화시설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ë°”ì— ë”°ë¼ ë¬¸í™”ì²´ìœ¡ê´€ê´‘ë¶€ìž¥ê´€ì´ ì¸ì •하는 시설[ë°•ë¯¸ë²•ì— ë”°ë¥¸ 사업(박미법 ì œ4ì¡°ì œ1í•­)ì„ ìˆ˜í–‰í•  목ì ìœ¼ë¡œ 설치·운ì˜ë˜ëŠ” ë™ë¬¼ì›ì´ë‚˜ ì‹ë¬¼ì› ë˜ëŠ” 수족관 중ì—서 ì¸ì •]. 다만, 다른 ë²•ë¥ ì— ë”°ë¼ ë“±ë¡í•œ 시설(과학관, 수목ì›ì´ ì´ì— 해당하며, ë°•ë¯¸ë²•ì— ë”°ë¥¸ 사업(박미법 ì œ4ì¡°ì œ1í•­)ì„ ìˆ˜í–‰í•˜ì§€ 않고 있는 ë™ë¬¼ì›, 수족관 그리고 ì´ì™€ëŠ” ë³„ê°œì¸ ì‚°ì—…ê´€, 기술관 ë“±ì€ ê´€ê³„ ë²•ë ¹ì´ ì—†ì–´ êµ­ê°€ 박물관 통계ì—ë„ ëˆ„ë½ë˜ì–´ 있ìŒ)ì€ ì œì™¸í•˜ê³  있다.

â…¤. ê²°ë¡ 

우리나ë¼ì˜ ë°•ë¬¼ê´€ì€ ë§¤ìš° 급변하고 있다. 공립과 ì‚¬ë¦½ì„ ì¤‘ì‹¬ìœ¼ë¡œ ì—° í‰ê·  70개관 ì •ë„ê°€ 신설ë˜ê³  있으며, ìœ í˜•ì€ íŠ¹ìˆ˜ë°•ë¬¼ê´€ì˜ í˜•íƒœê°€ ì´ë¥¼ 주ë„하고 있다. 박물관 í™œì„±í™”ì˜ ìš”ì¸ì€ OECDêµ­ê°€ë“¤ì€ ë¬¼ë¡  ê·¸ ì–´ëŠ ë‚˜ë¼ì—ì„œë„ ë³¼ 수 없는 ê³µì ìžê¸ˆ ì§€ì›, ë°•ë¯¸ë²•ì— ê·¼ê±°í•œ 활성화 ì •ì±…, êµ­ë¯¼ë“¤ì˜ ì‚¶ì˜ ì§ˆ í–¥ìƒì— 따른 문화향유욕구 ì¦ëŒ€, 여가기회 í™•ëŒ€ì— ë”°ë¥¸ 문화향유기회 ì¦ê°€, 현장êµìœ¡ì„ 강조하고 있는 í•™êµêµìœ¡ íŒ¨ëŸ¬ë‹¤ìž„ì˜ ë³€í™”, 지방ìžì¹˜ì œì˜ ì •ì°©, ë¬¸í™”ìœµì„±ì— ê¸°ë°˜ 한 국정기조 추진, 소장ìž(작가)ì˜ ê³µê³µì  ì¸ì‹ê°•í™”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럼ì—ë„ ë¶ˆêµ¬í•˜ê³  국내외 경기침체 장기화, 세월호 참사, ë°•ë¬¼ê´€ì˜ ì™¸í˜• í™•ëŒ€ì— ë¹„ë¡€í•˜ì§€ 못하는 êµ­ë¯¼ë“¤ì˜ ë¬¸í™”ì¸ì‹ 수준, 국립박물관 관람료 무료화 ë“±ì€ ì¼ì„  박물관 ì—¬ê±´ì„ ì–´ë µê²Œ 하고 있다. 문화 ë³µì§€ì˜ ëª©ì ì´ ì €ë³€ì— ê¹”ë ¤ìžˆëŠ” 박물관 ì§„í¥ì •ì±…ê³¼ ì§€ì›ì€ ìš´ì˜ì—¬ê±´ì˜ 어려움과 ê²°ë¶€ë˜ì–´ 박물관운ì˜ì— 있어 ê³µì ìžê¸ˆì˜ ì˜ì¡´ìœ¨ì´ 높아지는 현ìƒìœ¼ë¡œ ì´ì–´ì ¸ ìƒëŒ€ì ìœ¼ë¡œ ë°•ë¬¼ê´€ì˜ ìžìƒë ¥ì„ 잃게 하는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ë°•ë¬¼ê´€ì˜ ìƒì¡´ì „ëžµì´ ê·¸ ì–´ëŠ ë•Œë³´ë‹¤ 중요하게 ë¶€ê°ë˜ëŠ” ì´ìœ ì´ë‹¤. ì´ì— 반해 제주ë„를 중심으로 ì†Œìž¥í’ˆì˜ ê°€ì¹˜ ë˜ëŠ” ì§„ë³¸ì—¬ë¶€ì— ì•žì„œ ê°ê°ì ì¸ ìžë£Œê°€ ì¤‘ì‹¬ì´ ëœ í…Œë§ˆ ë°•ë¬¼ê´€ì´ ì¦ê°€í•˜ê³  있다. ê·¸ ì¢‹ì€ ì‚¬ë¡€ê°€ ìžê·¹ì ì¸ 콘í…ì¸ ì¸ ì„±(sex)ê³¼ 초콜릿, ì‹¤ë¬¼ì˜ ê·œëª¨ë¥¼ 축소하거나 복제한 소ì¸êµ­, 걸리버, 그리스로마, 신화神話, 선녀와 나무꾼 등ì´ë‹¤. ì´ëŸ¬í•œ ë°•ë¬¼ê´€ì€ ë°•ë¬¼ê´€ì˜ ê¸°ë³¸ì ì¸ 기능보다는 관광ìžì›ìœ¼ë¡œì„œ ì˜ë¦¬ì˜ 목ì ì´ 보다 í° ê²½í–¥ì„ ë³´ì´ê³  있다. ë˜í•œ 정부는 보존하고 관리해야할 박물관 ìžë£Œì˜ 형ì‹ì´ 다양해ì§ì— ë”°ë¼ ì´ë¥¼ ë°˜ì˜í•˜ê¸° 위해 ë°•ë¯¸ë²•ì˜ ê°œì •(2009ë…„ 3ì›”)ì„ í†µí•´ ìžë£Œì˜ ì •ì˜ì— 무형15)ì˜ ì˜ì—­ê¹Œì§€ë¥¼ í¬í•¨16)했다. ë¬´í˜•ì  ìžë£Œì˜ í¡ìˆ˜ëŠ” ê°œì •ì˜ ì·¨ì§€ì™€ 함께 ë°•ë¬¼ê´€ì˜ ë‹¤ì›ì ì´ë©° ìž…ì²´ì  í™œë™ì€ 물론 ìžë£Œì˜ í­ë„“ì€ í•´ì„ê³¼ ì‘ìš©ì„ í†µí•œ 특수박물관화ì—ë„ ê¸ì •ì ì¸ 조치로 í‰ê°€ëœë‹¤. ì´ëŠ” 수집·관리·보존·조사·연구·전시·êµìœ¡ì´ë¼ê³  하는 ì¼ë°˜ì ì¸ 활ë™ì„ 뛰어넘어 대관사업, 다양한 ì²´í—˜ ë° ì´ë²¤íЏ, 주변 관광ì¸í”„ë¼ì™€ì˜ 협업과 ë¶€ëŒ€ì‚¬ì—…ì— ë³´ë‹¤ 유리한 í™˜ê²½ì¸ ì…ˆì´ë‹¤. ì‚¬ë¦½ì˜ ì˜ë¦¬ì  활ë™ì€ ìš´ì˜ì„ 위한 ë°©ì±…ì´ì§€ë§Œ ê³ ìœ ì‚¬ì—…ì˜ ìœ ì§€ë¥¼ 위한 필수불가결한 ì„ íƒì¼ ìˆ˜ë°–ì— ì—†ëŠ” ê²ƒì´ ì˜¤ëŠ˜ë‚  ë°•ë¬¼ê´€ì˜ í™˜ê²½ì´ê¸°ë„ 하다.
ë°•ë¬¼ê´€ì˜ 3대 ì¡°ê±´ì—서 가장 우선한 ê²ƒì€ ìžë£Œ(소장품)ì´ë‹¤. ì†Œìž¥í’ˆì´ ì–´ë–¤ 것ì´ëƒì— ë”°ë¼ í™œë™ì˜ í­ê³¼ 범위가 ê²°ì •ë¨ì€ ê°•ì¡°í•  í•„ìš”ë„ ì—†ë‹¤.
ì´ëŸ¬í•œ 측면ì—서 ë³¼ 때, 민화는 매우 ê¸ì •ì ì´ê³  미래지향ì ì¸ 박물관 콘í…츠 중 하나ì´ë‹¤. ìš°ë¦¬ì˜ ì •ì„œë¥¼ 가장 잘 ë°˜ì˜í•˜ê³  있는 í¬ìš©ë ¥ê³¼ ì‘ì§‘ë ¥, 보편타당한 ê³µê°ëŒ€, 재미있는 형ìƒê³¼ ì˜ë¯¸ëŠ” ì‹¬ë¯¸ê° ë§ˆì € 주고 있다. ë˜, ì¹¼ë¼ê°€ 있어 ì£¼ëª©ì„±ì´ ë†’ê³ , 오늘날ì—ë„ ì¡´ìž¬í•˜ëŠ” ì‚¬ë¬¼ì„ ë‹´ì•„ë‚´ê³  있어 ì†Œí†µì˜ ì½˜í…ì¸ ë¡œë„ í‰ê°€ëœë‹¤. ë¯¼í™”ì— ë“±ìž¥í•˜ëŠ” ì†Œìž¬ë“¤ì€ í˜„ì¡´í•˜ëŠ” ë™ì‹ë¬¼ì´ ë§Žì•„ ì´ë¥¼ 잘 활용하면 ë™ì ì¸ 활ë™ë„ 가능하며, ì´‰ê°ê³¼ 후ê°, ë§›ë„ ë³¼ 수 있어 오ê°ì— ê¸°ë°˜ì„ ë‘” í™•ìž¥ì„±ë„ ë†’ë‹¤.
ë™ì„œê³ ê¸ˆì€ 물론 남녀노소ì—게 민화는 ë°ê³  기ì›ì ì´ë©°, ì¸ë¬¸ì ì´ê³  ê¸ì •ì ì¸ ì˜ë¯¸ì—서 í­ë„“ì€ í˜¸ê°ì„ 가질 수 있다. ì¸ë¬¸ì— 기초한 ì¸ë³¸ê³¼ ìžì—°ì£¼ì˜ë¥¼ ë™ì‹œì— ë‚´í¬í•´ 친근하며 ê±°ë¶€ê°ì´ 없어 ìž ìž¬ì  í–¥ìœ  ì¸µì´ ë„“ë‹¤ëŠ” ê²ƒë„ ë°•ë¬¼ê´€ì˜ ë°œì „ì  í…Œë§ˆë¡œ í° ìž¥ì ì´ ëœë‹¤. 조형과 ìŒìœ¨, 역사와 문학, ì¸ë¬¸ê³¼ 사회, 과학과 ìƒë¬¼ 등 ì „ ì˜ì—­ê³¼ë„ 잘 연계ë˜ì–´ í•™êµ ë° í‰ìƒêµìœ¡ì˜ ìžë£Œë¡œë„ 매우 ê¸ì •ì ì¸ 가치가 있다.
ì´ëŸ¬í•œ ë¯¼í™”ì˜ ì´ì ì€ 다양한 êµìœ¡ê³¼ ì²´í—˜ì„ ì´ëŒì–´ë‚¼ 수 있으며, 문화ìƒí’ˆê°œë°œì—ë„ í° ìž¥ì ìœ¼ë¡œ ë¶€ê°ëœë‹¤. ê³¼ê±°ì— êµ­í•œí•œ 고고역사, ì¸ë¥˜í•™ì  박물관 í…Œë§ˆì— ë¹„í•´ 비êµì  ì§€ì†ì ìœ¼ë¡œ ìƒì‚°ë˜ê³  ì†Œë¹„ë  ìˆ˜ 있는 콘í…츠ë¼ëŠ” ì‚¬ì‹¤ì€ ë”ìš± 매력ì ì¸ 요소ì´ë‹¤. ë¯¼í™”ì˜ ìž‘ê°€ êµ°ë„ í­ë„“게 형성ë˜ì–´ìžˆì–´ íŠ¹ì •ìž‘ê°€ì˜ ìž‘í’ˆì´ë‚˜ 주제별 테마를 중심으로 한 ë¯¸ìˆ ê´€ì´ ì‹ ì„¤ë  ìˆ˜ 있으며, ì´ë¥¼ 통해 현대 ë¯¼í™”ìž‘ê°€ì˜ ì§€ì†ì ì¸ 유입과 민화발전ì—ë„ ê¸ì •ì  ì˜í–¥ì„ 줄 수 있다.
민화가 ë‹´ì•„ë‚´ê³  있는 ìš°ë¦¬ë¯¼ì¡±ì˜ ì •ì²´ì„±ê³¼ 글로벌한 가치는 í­ë„“ê³  ìž…ì²´ì ì¸ 박물관 활ë™ì˜ 기í­ì œê°€ ë  ìˆ˜ 있으며 ì •ë¶€ì˜ ë°•ë¬¼ê´€ ì§„í¥ì •ì±…ê³¼ë„ ë¶€í•©ë˜ì–´ 민화ìžë£Œì˜ 박물관화 가능성과 ì „ë§ì€ 매우 ë°ë‹¤ê³  하겠다.

15)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 시행령〠[대통령령 ì œ23759호] 2. ë¬´í˜•ì  ì¦ê±°ë¬¼ì˜ 경우 부호·문ìžÂ·ìŒì„±Â·ìŒí–¥Â·ì˜ìƒ 등으로 í‘œí˜„ëœ ìžë£Œë‚˜ ì •ë³´ì¼ ê²ƒ(본조신설 2009.6.4.)
16)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법률 ì œ10367호] ì œ2ì¡°(ì •ì˜) 3. “박물관ìžë£Œ”란 ë°•ë¬¼ê´€ì´ ìˆ˜ì§‘Â·ê´€ë¦¬Â·ë³´ì¡´Â·ì¡°ì‚¬Â·ì—°êµ¬Â·ì „ì‹œí•˜ëŠ” 역사·고고·ì¸ë¥˜Â·ë¯¼ì†Â·ì˜ˆìˆ Â·ë™ë¬¼Â·ì‹ë¬¼Â·ê´‘물·과학·기술·산업 ë“±ì— ê´€í•œ ì¸ê°„ê³¼ í™˜ê²½ì˜ ìœ í˜•ì Â·ë¬´í˜•ì  ì¦ê±°ë¬¼ë¡œì„œ 학문ì Â·ì˜ˆìˆ ì  가치가 있는 ìžë£Œ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ê¸°ì¤€ì— ë¶€í•©í•˜ëŠ” ê²ƒì„ ë§í•œë‹¤.(2009.3.5.개정)

참고문헌 ë° ìžë£Œ

김윤정, 〈한국 ë¯¼í™”ì˜ ì¡´ìž¬ì™€ ì–‘ìƒ – 19세기 후반 20세기 ì „ë°˜ì„ ì¤‘ì‹¬ìœ¼ë¡œã€‰, 《ë™ì•„ì‹œì•„ì˜ ë¯¼í™” 국제학술대회 ìžë£Œì§‘》, 2006.11.7, 국립민ì†ë°•물관 발행
정병모, 〈한국 민화와 중국 ë¯¼ê°„ì—°í™”ì˜ ë¹„êµã€‰, 《ë™ì•„ì‹œì•„ì˜ ë¯¼í™” 국제학술대회 ìžë£Œì§‘》, 2006.11.7, 국립민ì†ë°•물관 발행
윤태ì„, 〈한국 ë°•ë¬¼ê´€ì˜ í˜„í™©ê³¼ ê·¸ ì§„ë‹¨ì„ í†µí•œ ì •ì±… 제언〉, êµ­ë¯¼ëŒ€í•™êµ ëŒ€í•™ì›
문화예술학전공 박사학위 논문, 2011
ì´íƒ€ë¯¸ 준, ã€ˆì¡°ì„ ì˜ ë¯¼í™”-ë°©ëž‘ì˜ í™”ê°€ë“¤ã€‰, 《반갑다! 우리민화》 1993~2014ë…„ë„ ë¬¸í™”ì²´ìœ¡ê´€ê´‘ë¶€ 발간, 〈전국문화기반시설 ì´ëžŒã€‰
한국박물관협회 발간, 〈2014 박물관·미술관 담당 ê³µì§ìž êµìœ¡ã€‰ìžë£Œ, 2014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 〈국외한국문화재 주간경매정보〉
위키백과사전(ko.wikipedia.org)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ã€
「박물관 ë° ë¯¸ìˆ ê´€ ì§„í¥ë²• 시행령

ë¶€ë¡ : 민화관련 79ê°œ 박물관 현황] (ê°ê° 가나다순 정리)

〈민ì†, 향토_61개관〉
거제민ì†ë°•물관, 거제어촌민ì†ì „시관, 고양민ì†ì „시관, 공주민ì†ê·¹ë°•물관, 광주시립민ì†ë°•물관, 괴산향토민ì†ìžë£Œì „시관, 구미시립민ì†ê´€, 국립민ì†ë°•물관, 금산지구촌ìƒí™œë¯¼ì†ë°•물관, 금산향토관, 금오민ì†ë°•물관, 김해민ì†ë°•물관, 낙안ì성민ì†ìžë£Œê´€, 남ì›í–¥í† ë°•물관, 대구향토역사관, ë™ì§„수리민ì†ë°•물관, ë¡ë´‰ë¯¼ì†êµìœ¡ë°•물관, 롯ë°ì›”드민ì†ë°•물관, 미리벌민ì†ë°•물관, ë°°ë‹¤ê³¨í…Œë§ˆíŒŒí¬ ë¯¼ì†ë°•물관, ë³´ì€í–¥í† ë¯¼ì†ìžë£Œì „시관, 부산í¬ë¯¼ì†ë°•물관, 부천향토역사관, 세종시립민ì†ë°•물관, 안ë™ì‹œë¦½ë¯¼ì†ë°•물관, 안산어촌민ì†ë°•물관, 안산향토사박물관, 양구팔랑민ì†ê´€, 어촌민ì†ì „시관, 여수민ì†ì „시관, 연기향토사료관, 연천향토사료관, ì˜ì²œë¯¼ì†ê´€, 예뿌리민ì†ë°•물관, 옛터민ì†ë°•물관, 옥천향토전시관, 외암민ì†ê´€, 유진민ì†ë°•물관, ìŒì„±êµ°í–¥í† ë¯¼ì†ìžë£Œì „시관, ì˜ì™•향토사료관, ì¸ì œì‚°ì´Œë¯¼ì†ë°•물관, 재)구정문화재단 온양민ì†ë°•물관, 정선향토박물관, 제주ë„민ì†ìžì—°ì‚¬ë°•물관, 제주민ì†ë°•물관, 제주민ì†ì´Œë°•물관, 중문민ì†ë°•물관, ì¦í‰ë¯¼ì†ì²´í—˜ë°•물관, ì°½ì›ì—­ì‚¬ë¯¼ì†ê´€, 청송민ì†ë°•물관, 치악민ì†ë°•물관, 태ì˜ë¯¼ì†ë°•물관, 통ì˜ì‹œí–¥í† ì—­ì‚¬ê´€, í¬í•­(ì˜ì¼)민ì†ë°•물관, 한국민ì†ì´Œë°•물관, 한림민ì†ë°•물관, í•©ë•수리민ì†ë°•물관, 향토민ì†ìžë£Œì „시관, í™ì²œí–¥í† ì‚¬ë£Œê´€, 화성시 향토박물관, 화천민ì†ë°•물관

〈ìžìˆ˜_5개관〉
ë™ì–‘ìžìˆ˜ë°•물관, ë°•ì„ë³µìžìˆ˜ë°•물관, 숙명여ìžëŒ€í•™êµ ì •ì˜ì–‘ìžìˆ˜ë°•물관, 한국ìžìˆ˜ë°•물관, 한ìƒìˆ˜ìžìˆ˜ë°•물관

〈민화_2개관〉
가회민화박물관, 조선민화박물관

〈ë„ìžê¸° 관련_11개관〉
경기ë„ìžë°•물관, ë™ì‚°ë„기박물관, 무애ì›ë„예박물관, 문경ë„ìžê¸°ì „시관, 부천옹기박물관, ì˜ì•”ë„기박물관, 옹기민ì†ë°•물관, 옹청박물관, 제주옹기박물관, 청주옹기박물관, 한향림옹기박물관

 

글 : 윤태ì„*

 

* 한국박물관협회 기íšì§€ì›ì‹¤ìž¥, 문화학 박사(박물관학, 박물관정책), 미술사 박사수료, 한국박물관학회 ë° í•œêµ­ë°•ë¬¼ê´€êµìœ¡í•™íšŒ ì´ì‚¬, 국립 태권ë„ì›ë°•물관 ìš´ì˜ìžë¬¸ìœ„ì›, ê²½ìƒë¶ë„ë„립박물관 건립ìžë¬¸ìœ„ì›, 송파구 책박물관 ì •ì±…ìžë¬¸ìœ„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