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 œì˜ è«–è€ƒ] 民畵ë¼ëŠ” 용어와 ê°œë…ì˜ ë¹„íŒì  검토

해남 ì€ì ì‚¬ 약사전 별화, 1856ë…„, 가회민화박물관 ì´¬ì˜

*해남 ì€ì ì‚¬ 약사전 별화, 1856ë…„, 가회민화박물관 ì´¬ì˜

차례
  • â… . 들어가면서
  • â…¡. 민화ë¼ëŠ” 용어와 ê°œë…ì˜ ë¹„íŒì  검토
  • â…¢. 유êµì‹œëŒ€ì˜ 화가 ì‹ ë¶„ê³¼ ìž‘í’ˆì˜ íŠ¹ì„±
  • â…£. 민화 ìž‘ê°€ì˜ ë‹¤ì–‘ì„±ê³¼ ë¶ˆêµ ç•µåƒ§ì˜ ì—­í• 
  • â…¤. 민화 ìš©ì–´ì˜ ëŒ€ì•ˆ å‰ç¥¥ç•µ
  • â…¥. 마무리

※ 본 ë…¼ë¬¸ì€ 2013ë…„ 경주민화í¬ëŸ¼ì—서 <민화ë¼ëŠ” 용어와 ê°œë…, 다시 ìƒê°í•˜ê¸°>ë¼ëŠ” 제목으로 발표ë˜ì—ˆê³ , ì´ë¥¼ 보완하여 ë™ì•…미술사학회 발행 [ë™ì•…미술사학] ë…¼ë¬¸ì§‘ì— ìˆ˜ë¡ëœ ê²ƒì„ ì˜®ê¸´ 것입니다. 함께 소개하는 ë„íŒì€ 가회민화박물관ì—서 ì´¬ì˜í•œ 것입니다.

Ⅰ. 들어가면서

í•„ìžëŠ” 2013ë…„ë„ ê²½ì£¼ë¯¼í™”í¬ëŸ¼ì—서 <민화ë¼ëŠ” 용어와 ê°œë…, 다시 ìƒê°í•˜ê¸°>1)ë¼ëŠ” ì œëª©ì˜ ë…¼ê³ ë¥¼ 발표한 ë°” 있다. ìœ„ì˜ ë…¼ê³ ëŠ” 기본ì ìœ¼ë¡œ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ì— ì˜í•´ ë¹„ë¡¯ëœ ë¯¼í™”ë¼ëŠ” ìš©ì–´ì— ëŒ€í•œ 강한 불만과 ë”불어 í기를 위한 ëŒ€ì•ˆì˜ ëª¨ìƒ‰ì´ì—ˆë‹¤. ë•Œë¬¸ì— ë¯¼í™”ë¼ëŠ” ìš©ì–´ì˜ ê°œë… ì •ë¦¬ë¥¼ 새롭게 시ë„í•  í•„ìš”ì„±ì„ ì œì•ˆí–ˆê³ , ë”불어 수묵화와 ì±„ìƒ‰í™”ì˜ ê´€ê³„ì— ëŒ€í•œ ìœ„ìƒ ì •ë¦½ì˜ ìž¬ê³ ë¥¼ 요구했다. í•„ìžëŠ” ì´ë¯¸ í•œêµ­íšŒí™”ì‚¬ì˜ ì£¼ë¥˜ëŠ” 수묵 문ì¸í™”ê°€ ì•„ë‹ˆë¼ ì±„ìƒ‰í™”ìž„ì„ ì£¼ìž¥í•œ 논고를 발표한 ë°” 있다.2) ì±„ìƒ‰í™”ì˜ ë³µê¶Œì€ ê³§ ë¯¼í™”ì˜ ìœ„ìƒ ì œê³ ì— ì»¤ë‹¤ëž€ 기여ë„ê°€ ìžˆì„ ê²ƒì´ë‹¤. 하지만 미술사학계는 물론 작가 ì¤‘ì‹¬ì˜ ë¯¸ìˆ ê³„ì—서조차 ìš°ë¦¬ì˜ ì±„ìƒ‰í™”ëŠ” 그렇게 ê°ê´‘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ì´ë‹¤. 오늘날 민화 연구ì—서 가장 첨예한 부분 ê°€ìš´ë° í•˜ë‚˜ëŠ” 宮畵와 æ°‘ç•µì˜ ë³€ë³„ì  ë¬¸ì œì´ë‹¤. ê¸°ì™•ì˜ ë¯¼í™”ë¼ëŠ” 용어는 ê¶í™”까지 í¬í•¨í•˜ì—¬ 사용했다. 하지만 ê¶í™” 관련 연구가 깊어지면서 ê¶í™”와 ë¯¼í™”ì˜ ì„±ê²© ì°¨ì´ ë“±ì— ì˜í•´ êµ¬ë¶„ì„ ìš”êµ¬ë°›ê²Œ ë˜ì—ˆë‹¤. ì´ì— ë”°ë¼ ë¯¼í™”ë¼ëŠ” 용어로는 ê¶í™”를 í¬ìš©í•  수 없게 ë˜ì—ˆê³ , ë”불어 우리 ë¯¼ì¡±ì˜ ë¹›ë‚˜ëŠ” ë¶€ë¶„ì¸ ì±„ìƒ‰í™” 분야를 í¬ê´„ì ìœ¼ë¡œ 수용할 수 없는 ìš©ì–´ì˜ ë¬¸ì œì ì„ 안게 ë˜ì—ˆë‹¤. ì´ì— 본고는 ê¶í™”와 ë¯¼í™”ì˜ íŠ¹ì„±ì„ í•¨ê»˜ 아우르면서 ê¸°ì™•ì˜ ë¯¼í™”ë¼ëŠ” ìš©ì–´ì— ëŒ€í•œ 대체어를 ì œì‹œí•˜ê³ ìž í•œë‹¤.
민화ë¼ëŠ” ìš©ì–´ì— ëŒ€í•œ ëŒ€ì²´ì–´ì˜ í•˜ë‚˜ë¡œ í•„ìžëŠ” ê¸°ì™•ì˜ â€˜ë¯¼í™”â€™ë¥¼ ‘민간 íšŒí™”â€™ì˜ ì•½ìžë¼ê¸°ë³´ë‹¤ ‘민족 íšŒí™”â€™ì˜ ì•½ìžë¡œ 사용할 경우, ê¶í™”까지 í¬ìš©í•  수 있는 장ì ì´ 있ìŒì„ ì§€ì í•œ ë°” 있다. 그럼ì—ë„ ë¶ˆêµ¬í•˜ê³  ê¸°ì™•ì˜ â€˜ë¯¼í™”â€™ë¼ëŠ” ìš©ì–´ì˜ ê³ ì°©ëœ ê°•í•œ ì´ë¯¸ì§€ë¥¼ ê¹° 수 없어 â€˜í•œë¯¼ì¡±ì˜ ì±„ìƒ‰í™”â€™ë¼ëŠ” ìš©ì–´ì˜ ì•½ì¹­ìœ¼ë¡œ ‘韓彩畵(Hanchaehwa)’ë¼ëŠ” ëŒ€ì•ˆì„ ì œì‹œí•œ ë°” 있다.3) 물론 ê¶í™”나 ë¯¼í™”ì˜ ê³µí†µì ì€ 채색화ë¼ëŠ” ì ì´ë‹¤. 게다가 한국 íšŒí™”ì‚¬ì˜ ë¹›ë‚˜ëŠ” 전통 분야가 채색화 분야ì´ê¸° ë•Œë¬¸ì— ì´ ë¶€ë¶„ì˜ ê°•ì¡°ëŠ” 아무리 í•´ë„ ì§€ë‚˜ì¹˜ì§€ ì•Šì„ ê²ƒì´ë‹¤. 하지만 채색화ë¼ëŠ” ë¶€ë¶„ì˜ ê°•ì¡°ëŠ” 재료 등 ì™¸í˜•ì  íŠ¹ì§•ì— ëŒ€í•œ 주목ì´ê¸° ë•Œë¬¸ì— ë³¸ê³ ì—서는 ë‚´ìš© ì¤‘ì‹¬ì˜ ë˜ ë‹¤ë¥¸ 대체어를 ì œì•ˆí•˜ê³ ìž í•œë‹¤.
ë”불어 야나기가 ì •ë¦¬í–ˆë˜ ë¯¼í™”ë¼ëŠ” ê°œë…, 즉 ë¬´ëª…ì˜ ì €ì†í•œ ä¸‹æ‰‹ì˜ ê·¸ë¦¼ì´ë¼ëŠ” ì–¸ê¸‰ì— ëŒ€í•˜ì—¬ 비íŒì„ 시ë„í•˜ê³ ìž í•œë‹¤. 여기서 ‘민화’는 ê²°ì½” í•˜ìˆ˜ì˜ ê·¸ë¦¼ë„ ì•„ë‹ˆë©° 게다가 ë¬´ëª…ì˜ ì €ì†í•œ ê·¸ë¦¼ë„ ì•„ë‹ˆë¼ëŠ” ì ì„ ê°•ì¡°í•˜ê³ ìž í•œë‹¤. 민화는 당대 사회ì—서 나름대로 ì˜ˆìˆ ì„±ì„ ê°€ì§€ê³  있는 당당한 í™”ê°€ì˜ ìž‘í’ˆìž„ì„ í™•ì¸í•˜ë ¤ 한다. 실제 민화 ìž‘í’ˆì´ ê°€ì§€ê³  있는 품격과 ê°œì„±ì˜ í™”í’ì€ ì´ ì ì„ ìž…ì¦ì‹œí‚¤ê³  있다. 민화는 ê²°ì½” 야나기 ì‹ì˜ 저급한 ë¬´ëª…í™”ê°€ì˜ í•˜í’ˆì´ë¼ê³  ë³¼ 수 없다. ë”불어 민화작가 ê°€ìš´ë° ì¼ì •ë¶€ë¶„ì€ ì‚¬ì°° 소ì†ì˜ 畵僧ì´ì—ˆë‹¤ëŠ” ì ì„ ë…¼ì¦í•˜ë ¤ 한다. 그렇지 ì•Šì•„ë„ ì£¼ìš” ì‚¬ì°°ì˜ ë¶ˆí™”ì—서 민화í’ì˜ ì†Œìž¬ë¥¼ 쉽게 확ì¸í•  수 ìžˆì—ˆë˜ ë°”, ì´ëŠ” 불화와 ë¯¼í™”ì˜ ì¹œì—°ì„±ì„ ìž…ì¦ì‹œì¼œì£¼ëŠ” ìžë£Œì´ë‹¤. ì¡°ì„ í›„ê¸°ì˜ ì‚¬ì°°ê²½ì œëŠ” 매우 피í했었으며 민화 ì œìž‘ì€ ì‚¬ì›ê²½ì œì— ë„ì›€ì„ ì¤€ 수입ì›ì´ê¸°ë„ 했다. ë”°ë¼ì„œ 민화작가로 ë„화서 í™”ì›ë¶€í„° 민간 화가 그리고 í™”ìŠ¹ì— ì´ë¥´ê¸°ê¹Œì§€ 매우 광범위한 ìž‘ê°€ì¸µì„ ì§€ë‹ˆê³  있었다는 ì ì„ ê°•ì¡°í•˜ê³ ìž í•œë‹¤. ë•Œë¬¸ì— ë³¸ê³ ëŠ” ê¸°ì™•ì˜ <민화ë¼ëŠ” 용어와 ê°œë…, 다시 ìƒê°í•˜ê¸°>ì—서 <ë˜ ë‹¤ì‹œ ìƒê°í•˜ê¸°>로 확장시켜 논지를 ì‹¬í™”ì‹œí‚¤ê³ ìž í•œë‹¤.

1) 경주민화í¬ëŸ¼ 2013, ì‚¬ë‹¨ë²•ì¸ í•œêµ­ë¯¼í™”ì„¼í„° 주최, 2013, 3
2) 졸고, <ì±„ìƒ‰í™”ì˜ ë³µê¶Œê³¼ 회화사 ì—°êµ¬ì˜ ë°˜ì„±>, [한국민화](3), 한국민화학회, 2012
3) 졸고, <ì±„ìƒ‰í™”ì˜ íŠ¹ì„±ê³¼ ì°½ì¡°ì  ê³„ìŠ¹ 문제>, [ì˜ì›”국제박물관 í¬ëŸ¼], ì˜ì›”êµ°, 2013

â…¡. 민화ë¼ëŠ” 용어와 ê°œë…ì˜ ë¹„íŒì  검토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민화ë¼ëŠ” 신조어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ê°™ì´ ì•¼ë‚˜ê¸° 무네요시(柳宗悅)와 ì—°ê²°ëœë‹¤. 야나기는 1927ë…„ ‘민화’ë¼ëŠ” 용어를 사용하면서 다ìŒê³¼ ê°™ì´ ê°œë…ì„ ì •ë¦¬í–ˆë‹¤.

“단ë…으로 한 장 한 장 ì™„ì„±ëœ ê²ƒì´ ì•„ë‹ˆë¼, 민간ì—서 기ë…í’ˆì´ë¼ë“ ì§€ 봉납품 í˜¹ì€ ì‹¤ì œë¡œ 사용하기 위해 대량ìƒì‚°ëœ ê·¸ë¦¼ì„ ë‚˜ëŠ” 민화ë¼ê³  부른다. 예를 들어 오츠ì—(大津繪)ë¼ë“ ê°€ ì—마(繪馬)와 ê°™ì€ ì¢…ë¥˜ë¡œ, ë„로ì—(泥繪) ë˜í•œ ì¢‹ì€ ì¼ë¡€ê°€ ëœë‹¤. ë¯¼ê°„ì˜ ê²ƒì´ë¯€ë¡œ, 한마디로 ë§í•˜ë©´ 하수(下手), ì €ì†í•œ 그림ì´ë‹¤. ì¼ë°˜ë¯¼ì¤‘ì„ ìœ„í•´ ë¬´ëª…ì˜ í™”ê³µì´ ëŒ€ëŸ‰ìœ¼ë¡œ 그린 그림ì´ë‹¤.(…) ìš°ì„  ë¯¼í™”ì˜ íŠ¹ì„±ì„ ë§í•˜ë©´ ê³µì˜ˆì— ê°€ê¹ë‹¤. 아니 ì´ë³´ë‹¤ 공예와 ë¯¸ìˆ ì´ ì•„ì§ ë¶„ë¦¬ë˜ì§€ ì•Šì•˜ë˜ ì‹œëŒ€ì˜ ê·¸ë¦¼ì— ê°€ê¹Œìš´, ì†Œë°•í•˜ê³ ë„ ë¬´ì‹¬ì˜, 애완할 ìˆ˜ë°–ì— ì—†ëŠ” ì•„ë¦„ë‹¤ì›€ì´ ìžˆë‹¤.â€4)

야나기가 ë¯¼í™”ì˜ ê°œë…으로 제시한 ê²ƒì€ ë¯¼ê°„ì˜ ë¬´ëª…í™”ê³µì— ì˜í•œ 대량 ìƒì‚°ëœ 그림, 특히 í•˜ìˆ˜ì˜ ì €ì†í•œ 그림ì´ë¼ëŠ” 것ì´ë‹¤. 다만 민화는 소박하면서 무심한 ì•„ë¦„ë‹¤ì›€ì´ ìžˆëŠ” 그림ì´ë¼ê³  ì˜ë¯¸ 부여했다. ë¬´ëª…í™”ê³µì— ì˜í•œ, ê·¸ê²ƒë„ í•˜ìˆ˜ì˜ ì €ì†í•œ 그림, ì´ê²ƒì´ 과연 ë¯¼í™”ì˜ ì‹¤ì²´ì¼ê¹Œ. 특히 ì•¼ë‚˜ê¸°ì˜ ë¯¼í™” 관련 ê°œë…정리는 오늘날까지 위력ì ìœ¼ë¡œ 통용ë˜ê³  있는 ë°”, ì´ ë¶€ë¶„ì€ ë§¤ìš° 심ê°í•œ 재고를 요구하고 있다. ì§„ì • 민화는 무명 í•˜ìˆ˜ì— ì˜í•œ ì €ì†í•œ 그림ì¼ê¹Œ.
ìš°ì„  ë¯¼í™”ì˜ íŠ¹ì„±ìœ¼ë¡œ 강조한 ìž‘ê°€ì˜ ç„¡åæ€§ ë¶€ë¶„ì„ ì‚´íŽ´ë³´ìž. ì¼ë°˜ì ìœ¼ë¡œ 무명ì´ë¼ í•¨ì€ ìœ ëª…í•˜ì§€ ì•Šì€ ì‚¬ëžŒì„ ì¼ì»«ëŠ”ë‹¤. 그러니까 ë¬´ëª…í™”ê°€ë¼ í•¨ì€ í™”ê°€ëŠ” 화가ì¸ë° 유명하지 ì•Šì€ í™”ê°€ë¼ëŠ” ì˜ë¯¸ì´ë‹¤. 유명하지 않다는 ëœ»ì€ ì‹¤ë ¥ì´ ì—†ë‹¤ëŠ” ì˜ë¯¸ì™€ ìƒí†µí•˜ë©°, 민화는 바로 ë¬´ëª…ì˜ ì €ì†í•œ 하수 그림ì´ë¼ëŠ” 것ì´ë‹¤. 한마디로 ë¯¼í™”ìž‘ê°€ì— ëŒ€í•œ ì´ì™€ ê°™ì€ ì •ì˜ëŠ” ìž‘ê°€ì— ëŒ€í•œ ëª¨ë… ê·¸ ìžì²´ì¼ ë¿ì´ë‹¤. 민화작가는 야나기가 ìƒê°í–ˆë˜ 것처럼 그렇게 ë¬´ëª…í™”ê°€ë„ ì•„ë‹ˆê³  ì €ì†í•œ í•˜ìˆ˜ë„ ì•„ë‹ˆì—ˆë‹¤. ë•Œë¬¸ì— ë¯¼í™”ì˜ íŠ¹ì„±ì„ ì˜³ê²Œ 파악하고 내린 ê°œë…정리ë¼ê³  ë³¼ 수 없다. 민화 작가는 ì§€ë°°ê³„ì¸µì¸ ì™•ê³µì‚¬ëŒ€ë¶€ì™€ 비êµí•˜ì—¬, 무명ì´ê³ , ì €ì†í•˜ê³ , 하수ì¼ì§€ 모른다. ì´ëŠ” 유êµì‚¬íšŒì˜ ì´ë¶„ë²•ì  ì‹ ë¶„ 구조와 ë”불어 유êµì˜ 예술 천시ì´ë¡ ê³¼ ë§¥ë½ì„ ê°™ì´í•˜ëŠ” 피ìƒì ì¸ 시ê°ê³¼ 같다. ì¡°ì„  ì™•ì¡°ì˜ ì‚¬ëŒ€ë¶€ ê³„ì¸µì€ ì „ë¬¸ì  ë¯¸ìˆ í™œë™ì„ 높게 í‰ê°€í•˜ì§€ë„ 않았고, 특히 ìž‘ê°€ì˜ ì‚¬íšŒì  ëŒ€ìš°ëŠ” 매우 열악한 수준ì´ì—ˆë‹¤.
ë¯¼í™”ìž‘ê°€ì˜ ë¬´ëª…ì„±ê³¼ 관련하여 미리 결론부터 제시하ìžë©´ 다ìŒê³¼ 같다. 무엇보다 ‘민화’는 민화가 아니었다. ‘민화ë¼ëŠ” ìš©ì–´ì˜ ì í•©í•˜ì§€ 않ìŒâ€™, ì´ ê°™ì€ ì‚¬ì‹¤ ë•Œë¬¸ì— ê·¸ë™ì•ˆ 민화계는 ë§Žì€ í˜¼ëž€ì„ ìžì´ˆí–ˆë‹¤. ì´ë¥¸ë°” 민화ë¼ëŠ” 용어와 관련하여, ìƒì‚°ìžê³¼ 소비ìžì˜ 문제, ì™•ì¡°ì‚¬íšŒì˜ ì‹ ë¶„ë¬¸ì œ, 그리고 미술활ë™ì˜ 주체와 ê°ì²´ì˜ 문제, 작품 관련 형ì‹ê³¼ ë‚´ìš©ì˜ ë¬¸ì œ ë“±ì´ ê¹”ë”하게 정리ë˜ì§€ 못한 ì´ìœ  ë•Œë¬¸ì— ê°œë…ê³¼ 관련한 í˜¼ëž€ì´ ì§€ì†ë˜ì–´ 왔다고 본다. ì´ëŸ° 커다란 문제를 안고, 위ì—서 ì–¸ê¸‰í–ˆë˜ ë¬´ëª…ì„± 문제를 ê²€í† í•˜ê³ ìž í•œë‹¤.
‘민화’는 ë†ê²½ì‚¬íšŒ ê³µë™ì²´ì˜ 산물ì´ë‹¤. ê°œì„±ì„ ê¸°ë³¸ìœ¼ë¡œ 하는 특정 ë¯¸ìˆ ìž‘ê°€ì˜ ê°œì¸ì  산물ì´ë¼ê¸°ë³´ë‹¤ ê³µë™ì²´ ì‚¬íšŒì˜ ì˜ì‹ì„ 조형ì ìœ¼ë¡œ 표현한 시ê°ìžë£Œì´ë‹¤. ë•Œë¬¸ì— ë¯¼í™”ì˜ íŠ¹ì§•ìœ¼ë¡œ ê¼½ì€ ë¬´ëª…ì„± ë¶€ë¶„ì€ ë‹¹ì—°í•œ ê²°ê³¼ì´ë‹¤. 마ì„ê³µë™ì²´ì—서 íšŒí™”ì  ê¸°ëŸ‰ì´ ìžˆëŠ” 화가가 ê³µë™ì²´ì˜ ì—¼ì›ì„ í‰ë©´ìœ„ì— íŽ¼ì¹œ ê²ƒì´ ì´ë¥¸ë°” 민화ì´ë‹¤. ì´ë•Œ ê·¸ë¦¼ì˜ í˜•ì‹ê³¼ ë‚´ìš© 특히 수준 ë“±ì€ ìˆ˜ìš©ìžì¸ ê³µë™ì²´ì˜ 눈높ì´ì— 맞춘 것ì´ë‹¤. 수용ìžì˜ 취향과 처지를 고려하여 화가는 ê·¸ë¦¼ì„ ê·¸ë ¸ì„ ê²ƒì´ë‹¤. 그래서 왕공사대부 사회ì—서 소통ë˜ë˜ 그림과 다른 ë…특한 면모를 가질 수 있었다. ì´ë¥¸ë°” ë¯¼ê°„í™”ê°€ì˜ ë¯¼í™”ê°€ í™”ì›ì˜ 채색화보다 ìžìœ ìŠ¤ëŸ½ê³  분방한 필치와 í•´í•™ì  ìš”ì†Œê°€ ë§Žì€ ê²ƒì€ ê·¸ë§Œí¼ ìˆ˜ìš©ìžì¸ ê³µë™ì²´ì˜ 눈높ì´ì— 맞추었다는 ì˜ë¯¸ì´ë‹¤. ì´ëŸ° íŠ¹ì§•ì˜ ê·¸ë¦¼ì„ ë‘ê³  ìž‘ê°€ëª…ì´ ëˆ„ë½ë˜ì—ˆë‹¤í•˜ì—¬ ì €ì†í•œ í•˜ìˆ˜ì˜ ê·¸ë¦¼ì´ë¼ê³  í„하할 수 없다. ‘민화’는 요즘과 ê°™ì€ ìž‘ê°€ ê°œì¸ì£¼ì˜ì  산물ì´ë¼ê¸°ë³´ë‹¤ ë§ˆì„ ê³µë™ì²´ ì •ì‹ ì„ ê¸°ë°˜ìœ¼ë¡œ 한 â€˜ê³µë™ ì˜ì§€ì˜ 작품’ì´ì—ˆë‹¤. ë•Œë¬¸ì— ì§€ì—­ì— ë”°ë¼ ë¹„ìŠ·í•œ í™”í’ì˜ ë‹¤ëŸ‰ ìƒì‚°ë„ ê°€ëŠ¥í–ˆì„ ê²ƒìœ¼ë¡œ íŒë‹¨ëœë‹¤. ê³µë™ ì˜ì§€ì˜ 작품ì´ë¼ëŠ” 측면ì—서 아프리카 ë¯¸ìˆ ê³¼ë„ ë§¥ë½ì„ 공유할 수 있다.
아프리카 ë¯¸ìˆ ì€ êµ¬ë¯¸ ì‚¬íšŒì˜ ë¯¸ìˆ  ìƒí™©ê³¼ íŒì´í•œ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ì•„í”„ë¦¬ì¹´ì˜ ë¯¸ìˆ  작가는 구미사회처럼 ìž‘í’ˆì„ ì¶œì„¸ì˜ ìˆ˜ë‹¨ì´ë‚˜ 재화가치를 목ì ìœ¼ë¡œ 삼지 않았다. 그렇기 ë•Œë¬¸ì— ì•„í”„ë¦¬ì¹´ ë¯¸ìˆ ì˜ íŠ¹ì„±ì€ ë¬´ì—‡ë³´ë‹¤ ê±´ê°•ì„±ì„ ì œì¼ì˜ ë•목으로 꼽게 한다. ìž‘í’ˆì˜ ì¸ë„ ì¡°ê±´ì€ ìˆ˜ìš©ìžì˜ ë¯¸ì  ë§Œì¡±ê°ì— ì˜í•´ ê²°ì •ë˜ì§€ ìž‘ê°€ì˜ ì¼ë°©ì  ‘낙하산’으로 ê²°ì •ë˜ì§€ 않는다. 그래서 아프리카 미술ì—서 스타 í˜¹ì€ ìœ ëª…ìž‘ê°€ì˜ ì¡´ìž¬ëŠ” 특별한 ì˜ë¯¸ë¥¼ ê°–ì§€ 않는다. ì´ ì ì€ ìžì—°ìŠ¤ëŸ½ê²Œ 아프리카 ë¯¸ìˆ ì˜ ìµëª…성과 ì—°ê²°ëœë‹¤. 아프리카 ë¯¸ìˆ ì˜ ìµëª…ì„±ì— ëŒ€í•œ íŠ¹ì„±ì„ ìžì„¸í•˜ê²Œ 소개하면 다ìŒê³¼ 같다.

“무엇보다 중요한 ê²ƒì€ ìž‘ê°€ì˜ ìµëª…ì„±ì— ìžˆë‹¤. ëŒ€ë¶€ë¶„ì˜ ìž‘í’ˆì€ ê·¸ 작가가 구체ì ìœ¼ë¡œ 누구ì¸ì§€ 알려지지 않고 있다. ì´ë ‡ë“¯ ë¯¸ìˆ í’ˆì— ìžˆì–´ì„œì˜ ìµëª…성ì´ëž€ 특ì´í•œ 존재논리를 ë™ë°˜ì¼€ 한다. 작가명 없는 ìž‘í’ˆì€ ê·¸ë§Œí¼ ì œìž‘ìžë¡œì„œì˜ ì‚¬ì  ì„¸ê³„ê´€ì— ìž…ê°í–ˆë‹¤ê¸°ë³´ë‹¤ëŠ” 사회구성ì›ì˜ 보편ì ì¸ ë¯¸ì  ì¸ì‹ì— 주안ì ì„ ë‘었다는 ìƒì„±êµ¬ì¡°ì™€ ì¼ì¹˜í•œë‹¤. ë•Œë¬¸ì— ì•„í”„ë¦¬ì¹´ ë¯¸ìˆ ì€ í•œ ê°œì¸ì˜ ì˜ˆìˆ ì  ìš•êµ¬ê°€ 범람ë˜ê¸°ë³´ë‹¤ëŠ” 순진무구한 ë™ì‹¬ì˜ ì„¸ê³„ê°™ì´ ê°€ì‹ì´ 없다. 아프리카 미술ì—서 ì›ì´ˆì  ìƒëª…ë ¥ì„ ê°•í•˜ê²Œ ëŠë‚„ 수 있는 ê¹Œë‹­ì´ ì—¬ê¸°ì— ìžˆëŠ” 것ì´ë‹¤.(…) 아프리카 ì¡°ê°ì€ 수 천년ë™ì•ˆ 갈고 ë‹¦ì€ ë°œë‹¬ëœ ì–‘ì‹ì˜ ê²°ì •ì²´ìž„ì—는 틀림없다. 물론 여기서 ì›ì‹œë¯¸ìˆ ì´ë¼ 하여 ê·¸ 가치 ìžì²´ê°€ ë¶€ì •ì  ì˜ë¯¸ì˜ ì›ì‹œì ì¸ ê²ƒì€ ì•„ë‹ ê²ƒì´ë‹¤. ì¼ë¡€ë¡œ ì„œì–‘ì‹ ì¡°í˜•ì–¸ì–´ì—ë§Œ ìµìˆ™í•œ 시ê°ì—서는 아프리카 ë¯¸ìˆ ì€ ì˜ì›ížˆ ‘ì›ì‹œì â€™ì¸ 것ì´ë¼ê³  치부하고픈 ìŠµì„±ì´ ìžˆì„ ê²ƒì´ë‹¤. ìžê¸° 민족중심주ì˜ì  입장ì—서 아프리카 ë¯¸ìˆ ì„ ë³¼ 때 ê·¸ê²ƒì€ ì„œíˆ´ê³  단순하고 ìƒëž˜ì ì¸ 것ì¸ì§€ë„ 모른다. ì›ì‹œë¯¸ìˆ ì´ë¼ê³  불려지는 ì˜¤ëŠ˜ì˜ ì•„í”„ë¦¬ì¹´ ë¯¸ìˆ ì„ ë¶€ì •ì ì´ê³  ë°±ì¸ ìœ„ì£¼ì˜ ì‚¬ê³ ë°©ì‹ì— ì˜í•´ í„하할 근거는 진실로 í¬ë°•한 것ì´ë‹¤. ê²½ìš°ì— ë”°ë¼ì„œëŠ” 윈시미술ì´ë¼ê³  ì¼ì»¬ì–´ì§€ëŠ” 것ì—서 ê¹Šì´ ìžˆëŠ” 예술성ì´ë¼ë“ ê°€ 심지어는 현대성까지 ê°ì§€í•  ìˆ˜ë„ ìžˆëŠ” 것ì´ë‹¤.â€5)

우리 ë¯¼ê°„íšŒí™”ì˜ ìƒì„±ê³¼ì •ê³¼ 비êµí•˜ì—¬ 아프리카 ë¯¸ìˆ ì€ í›Œë¥­í•œ 참고ìžë£Œê°€ ëœë‹¤. 아프리카 ë¯¸ìˆ ì€ ë§ˆì„ ê³µë™ì²´ì˜ 산물ì´ì—ˆê¸° ë•Œë¬¸ì— â€˜ì‹œëŒ€ì •ì‹ â€™ì˜ ê³µìœ ë¥¼ 확ì¸í•˜ê²Œ 한다. ê³µë™ì²´ì˜ ê°ì„±ê³¼ 눈높ì´ì— 맞춘 ê²ƒì´ ê·¸ë“¤ì˜ â€˜ë¯¸ìˆ ìž‘í’ˆâ€™, 즉 ‘ì˜í˜¼ì˜ 그릇’ì´ì—ˆë‹¤. ì´ì™€ ê°™ì€ ë§¥ë½ì€ ìš°ë¦¬ì˜ ë¯¼ê°„íšŒí™”ì™€ ë§¥ë½ì„ 함께할 수 있는 부분ì´ë‹¤.
민화는 오늘날 ìžë³¸ì£¼ì˜ ë¯¸ìˆ ì‹œìž¥ì˜ íŠ¹ì§•ì²˜ëŸ¼ ìž‘ê°€ì˜ ê°œì„± í˜¹ì€ ì²œìž¬ì„± 우선주ì˜ì™€ 다른 ì‚¬íšŒì  íŠ¹ì„±ì„ ê°€ì§€ê³  있다. í˜„ëŒ€ë¯¸ìˆ ì€ ìž‘ê°€ ì´ë¦„ ê·¸ ìžì²´ê°€ í•˜ë‚˜ì˜ ë¸Œëžœë“œë¡œ 작용하여 재화가치로 환ì›ëœë‹¤. ì´ì™€ ê°™ì€ ë°”íƒ•ì—서 ì˜ˆìˆ ì  ì²œìž¬ì„±ì€ í›Œë¥­í•œ ë•ëª©ì´ ëœë‹¤. 하지만 ë¯¸ìˆ ì‹œìž¥ì€ ë¬¼ë¡  미술계조차 형성ë˜ì§€ ì•Šì•˜ë˜ ì¡°ì„ ì‹œëŒ€ì˜ ë¯¸ìˆ í™œë™ì€ íŠ¹ì„±ì„ ë‹¬ë¦¬í•œë‹¤. 왕공사대부ë¼ëŠ” ì§€ë°°ê³„ì¸µì€ ë‚˜ë¦„ëŒ€ë¡œ 특수사회를 만들어 ë¯¸ìˆ ì„ í•˜ë‚˜ì˜ é¤˜æŠ€ë¡œ ì¦ê¸¸ 수 있었다. 수묵문ì¸í™”ì˜ ì¡´ìž¬ê°€ì¹˜ëŠ” ì´ì™€ ê°™ì€ ë°”íƒ•ì—서 가능했다. 하지만 채색화는 무엇보다 ê³ ê°€ì˜ ìž¬ë£Œë¹„, 재료 다루는 기법과 훈련, ì‚¬ì‹¤ì  ë¬˜ì‚¬ë ¥ê³¼ 기량 등 기본ì ì¸ ìš”êµ¬ì‚¬í•­ì´ ìžˆë‹¤. 채색화는 ê²°ì½” 여기로서 다룰 수 있는 분야가 아니었다. ë•Œë¬¸ì— ì±„ìƒ‰í™”ëŠ” ì¼ì •부분 ì˜ˆìˆ ì  ê¸°ëŸ‰ê³¼ í›ˆë ¨ì„ ê±°ì¹œ í™”ê°€ë“¤ì— ì˜í•´ ì´ë£¨ì–´ì§€ëŠ” íŠ¹ì§•ì„ ì§€ë‹ˆê³  있다. ì´ ëŒ€ëª©ì„ ë‹¤ì‹œ 한번 강조하ìžë©´, ë¯¼í™”ì˜ íŠ¹ì§•ì¸ ì±„ìƒ‰í™”ë¼ëŠ” 재료는 아무나 다룰 수 없는 사회 ê²½ì œì  íŠ¹ì„±ì´ ìžˆë‹¤ëŠ” ì , ë”불어 ì´ì™€ ê°™ì€ ê³ ê°€ 재료를 사용하려면 ìµœì†Œí•œì˜ ê¸°ì´ˆì ì´ê³  예술ì ì¸ ê¸°ëŸ‰ì´ ìš”êµ¬ëœë‹¤ëŠ” ì ì´ë‹¤. ë•Œë¬¸ì— ê²½ì œì  ë°°ê²½ì´ ì—†ëŠ” ì´ë¥¸ë°” ‘저ì†í•œ 하수’는 비싼 채색 물ê°ì„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는 ê²½ì œì  íŠ¹ì„±ì„ ê°ì•ˆí•´ì•¼ 한다. 채색화 재료는 수묵처럼 값싼 ìž¬ë£Œë„ ì•„ë‹ˆì—ˆê³ , ë˜ ì±„ìƒ‰ì„ ë‹¤ë£° í™”ê°€ë“¤ì€ ê·¸ë¦¼ì„ ì¦ê¸¸ ì •ë„로 ì‚¬íšŒì  ê²½ì œì  ìžë¦½í•  ë°”íƒ•ë„ ì—†ëŠ” 중ì¸ê³„층 ë¯¸ë§Œì˜ ì‹ ë¶„ì´ì—ˆë‹¤. 한마디로 채색화가는 ìƒì¡´ë¬¸ì œì™€ ì—°ê²°ë˜ê¸° ë•Œë¬¸ì— ìž¬ë£Œë¥¼ 아껴가면서 치열하게 제작할 ìˆ˜ë°–ì— ì—†ì—ˆë˜ ì—´ì•…í•œ 환경 ì†ì˜ 존재였다. 치열한 환경ì—서 제작한 채색화를 ë¬´ëª…ì˜ ì €ì†í•œ 하수 그림ì´ë¼ê³  무조건 í„하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19세기 ë§ê¸°ì™€ 20세기 ì´ˆê¸°ì˜ í•œêµ­ì¸ì€ 무엇 ë•Œë¬¸ì— â€˜ë¯¼í™”â€™ë¥¼ 그렇게 좋아했ì„까. 왜 ì´ ì‹œê¸°ì— ì§‘ì¤‘ì ìœ¼ë¡œ ‘민화’ ìž‘í’ˆì´ ì œìž‘ë˜ì—ˆê³ , ê°ê´‘ 받는 화목으로 격ìƒí–ˆì„까. ì´ ë¶€ë¶„ì€ ì •ì¹˜ ê²½ì œì  ìƒí™©ê³¼ 맞물리고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 ê¶í•í–ˆë˜ ê²½ì œìƒí™©ê³¼ ë”불어 íƒê´€ì˜¤ë¦¬ì˜ 횡행 그리고 êµ­ì œ ì—´ê°•ë“¤ì˜ ì¡°ì„  침탈 등 국내외 ìƒí™©ì€ 위기 ê·¸ ìžì²´ì˜€ë‹¤. ë¯¼ì¤‘ì˜ ì‚¶ì€ ë‚ ë¡œ 피íí•  ìˆ˜ë°–ì— ì—†ëŠ” 구조ì—서 새로운 ëŒíŒŒêµ¬ê°€ 절실했다. ì´ ê°™ì€ æ…°æ’«ì˜ ëŒ€ì•ˆìœ¼ë¡œ ì´ë¥¸ë°” 민화를 선호할 수 있었다. 그러니까 18~19세기 사찰ì—서 甘露圖가 ìœ í–‰í–ˆë˜ ì‚¬ë¡€ì™€ 비êµë˜ëŠ” 부분ì´ì§€ 않ì€ê°€ 한다.6) ê°ë¡œë„는 亡者 특히 억울하게 ì£½ì€ ì´ë¥¼ 위한 ìœ„ë¬´ì˜ ì—­í• ì„ ê°ë‹¹í•˜ê³  있다. ì¸ê°„ì€ ë¬¼ë¡  물고기와 ì§ìŠ¹ì— ì´ë¥´ê¸°ê¹Œì§€ 모든 ìƒëª…체를 위무하는 水陸齋ë¼ëŠ” ì˜ì‹ì˜ ìœ í–‰ë„ ê°ë¡œë„와 함께 검토하게 하는 부분ì´ë‹¤. ê¶í•í–ˆë˜ ì‹œëŒ€, 한국ì¸ì€ í¬ë§ì˜ ì´ìƒí–¥ì„ 그리워하면서 해학과 ìžìœ ë¶„방한 세계를 꿈꾸었다. ë¹„ë¡ í˜„ì‹¤ì„¸ê³„ëŠ” 피í했고 억압 받는 사회였지만 ì´ ê°™ì€ ê³¤ê¶ì˜ ê·¹ë³µì„ ìœ„í•´ 민화í’ì˜ ê·¸ë¦¼ 세계를 대용하지 않았는가 여겨진다. 물론 18세기 ì´í›„ 민간 ìƒì—…ì˜ ë°œì „ì€ ì¼ìƒìƒí™œì—서 ë¯¸ìˆ ì„ ìˆ˜ìš©í•  수 있는 ê²½ì œì  ì—¬ê±´ì„ ë„“ì€ ì˜ë¯¸ì—서 호전시켰다. ‘민화’는 ê¶í•ê³¼ 고난 ì‹œëŒ€ì˜ ì—­ì„¤ì  ì‚°ë¬¼ìž„ì„ íŠ¹ê¸°í•˜ê²Œ 한다.

4) 柳宗悅, <å£ç¹ª 解說>, [柳宗悅全集](10), 0摩書房, 1983, 631쪽
5) 졸저, <아프리카 ë¯¸ìˆ ì˜ ìƒˆë¡œìš´ ì¸ì‹>, [미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 미진사, 1991, 314쪽
ìœ„ì˜ ê¸€ì€ 1987ë…„ 호암갤러리ì—서 주최한 <아프리카 미술> 전시ë„ë¡ì˜ 논고ì´ë‹¤. í•„ìžëŠ” 아프리카 ë¯¸ìˆ ì„ êµ­ë‚´ 최초로 본격 ì†Œê°œí•˜ê³ ìž ì „ì‹œê¸°íšì— 참여했고, 위와 ê°™ì€ ë…¼ê³ ë„ ìž‘ì„±í•˜ê²Œ ë˜ì—ˆë‹¤.
6) 졸고, <í•œêµ­ë¶ˆí™”ì˜ í•œêµ­ì„± 문제>, [실학사ìƒì—°êµ¬](14), 무악실학회, 2000, 6

â…¢. 유êµì‹œëŒ€ì˜ 화가 ì‹ ë¶„ê³¼ ìž‘í’ˆì˜ íŠ¹ì„±
남장사 별화, 가회민화박물관 ì´¬ì˜

▲남장사 별화, 가회민화박물관 ì´¬ì˜

ê·¸ë™ì•ˆ 미술사학계ì—서는 수묵 문ì¸í™” 중심으로 우리 회화사를 정리하고 ì˜ë¯¸ë¥¼,부여해 왔다. ë¬¸ì¸ ì‚¬ëŒ€ë¶€ë“¤ì€ ë¯¸ìˆ í–‰ìœ„ë¥¼ í•˜ë‚˜ì˜ é¤˜æŠ€ë¡œ ë³´ê³  시서화 三絶 ì°¨ì›ì—서 ì¦ê²¼ì„ 따름ì´ì—ˆë‹¤. ê·¸ë¦¼ì€ ì·¨ë¯¸ìƒí™œ ì •ë„였지 ê²°ì½” ì§ì—…ì  ëŒ€ìƒì€ 아니었다. 그래서 ì¡°ì„ ì‹œëŒ€ì˜ ìœ êµë¬¸í™”는 미술행위를 玩物喪志로 ë³´ì•„ ê¸ˆê¸°ì˜ ëŒ€ìƒìœ¼ë¡œ ì‚¼ê¸°ë„ í–ˆë‹¤. 문제는 수묵 문ì¸í™” ì¤‘ì‹¬ì˜ ì—¬ê¸°ë¬¸í™”ì— ë³„ë„로 채색문화가 ìƒëª…ë ¥ì„ ìžƒì§€ 않고 ì´ì–´ì¡Œë‹¤ëŠ” ì ì´ë‹¤. 그래서 í•œêµ­íšŒí™”ì‚¬ì˜ ì£¼ë¥˜ëŠ” 수묵문ì¸í™”ê°€ 아니고 채색화ë¼ê³  ì£¼ìž¥í–ˆë˜ ê²ƒì´ë‹¤. ë”불어 중국 ì‚¬ê³ ë°©ì‹ ì¤‘ì‹¬ì˜ ì¡°ì„  문ì¸í™”ì˜ í•œê³„ë¥¼ ì§€ì í•˜ì§€ ì•Šì„ ìˆ˜ 없고, ì—¬ê¸°ë¡œì„œì˜ ìˆ˜ë¬µë¬¸ì¸í™”ì˜ í•œê³„ 역시 냉철하게 ì§ì‹œí•´ì•¼ 한다고 강조했다. [í•œêµ­ì˜ ì±„ìƒ‰í™”](다할미디어 발행, 2015)ì— ì†Œê°œëœ ìˆ˜ ë°±ì ì˜ 채색 걸작품 ê°€ìš´ë° í•œ ì ì˜ 작품조차 ê¸°ì™•ì˜ í•œêµ­íšŒí™”ì‚¬ ì±…ì— ì†Œê°œëœ ë°” 없다는 사실, ì´ëŠ” ë¬´ì—‡ì„ ì˜ë¯¸í•˜ëŠ”ê°€. í•œêµ­íšŒí™”ì‚¬ì˜ ì¤‘ì‹¬ì€ ì±„ìƒ‰í™”ë¼ëŠ” ì‚¬ì‹¤ì˜ í™•ì¸, 여기서 한국회화사 ì—°êµ¬ì˜ ìƒˆë¡œìš´ 시ê°ì„ 강조하게 한다.
ì‹ ë¶„ê³„ê¸‰ì‚¬íšŒì˜€ë˜ ì¡°ì„ ì™•ì¡°ì˜ ì§€ë°°ê³„ì¸µê³¼ í”¼ì§€ë°°ê³„ì¸µì˜ ì‚¬íšŒì  êµ¬ì¡°ë¥¼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채색화ì—ì„œì˜ ë¯¼í™”ì™€ ê¶í™” 관계를 주목하게 한다. ê¶í™”와 ë¯¼í™”ì˜ íŠ¹ì„±ì´ ì•„ì§ ë³¸ê²©ì ìœ¼ë¡œ 연구ë˜ê¸° ì´ì „ì—는 채색화를 대개 민화ë¼ê³  불렀다. ê·¸ë™ì•ˆ ‘민화 ê±¸ìž‘ì „â€™ì— ì¶œí’ˆëœ ëŒ€í‘œìž‘ì˜ ìƒë‹¹ìˆ˜ëŠ” 민화ë¼ê¸°ë³´ë‹¤ ê¶í™” ìž‘í’ˆì´ ë§Žì•˜ë‹¤. ì´ ë§ì€ ë¯¼í™”ì˜ íŠ¹ì„±ì„ ì—­ì„¤ì ìœ¼ë¡œ 설명해주는 ì¢‹ì€ ìžë£Œê°€ ëœë‹¤. 왕실ì—서 사용ë˜ì—ˆë˜ 채색화, 즉 ê¶í™”ì˜ ì „êµ­ 단위 광역화를 ì˜ë¯¸í•  수 있기 때문ì´ë‹¤. 길ìƒì„ ì˜ë¯¸í•˜ëŠ” 왕실 사용 채색화는 ì ì°¨ì ìœ¼ë¡œ ì–‘ë°˜ 사대부 ê°€ë¬¸ì„ ê±°ì³ ì¤‘ì¸ ê³„ì¸µ ì´í•˜ì˜ 민간으로까지 확산ë˜ì—ˆë‹¤. ì´ì™€ ê°™ì€ í‘œí˜„ì€ í•œêµ­íšŒí™”ì‚¬ì˜ ì£¼ë¥˜ëŠ” 수묵 문ì¸í™”ê°€ 아니고 채색화ë¼ëŠ” ì‚¬ì‹¤ì„ ìž…ì¦í•˜ëŠ” 부분ì´ê¸°ë„ 하다. 물론 민화 부분 ê°€ìš´ë° ì™•ê³µì‚¬ëŒ€ë¶€ ê³„ì¸µì´ ì•„ë‹ˆê³  민간 ìžì²´ì ìœ¼ë¡œ ë°œìƒëœ 형ì‹ê³¼ ë‚´ìš©ì˜ ê·¸ë¦¼ë„ ë§Žë‹¤. 시대가 íë¥¼ìˆ˜ë¡ ë¯¼ê°„ì˜ ë…ìžì  í™”í’ ì „ê°œì˜ ë¹„ì¤‘ì€ ì»¤ì¡Œì„ ê²ƒì´ë‹¤. 아무튼 ë¬¼ì§ˆì  í’요로운 ì§€ì› ì•„ëž˜ ì œìž‘ëœ ë„화서 í™”ì›ì˜ ê¶í™”와 열악한 환경ì—서 ì œìž‘ëœ ë¯¼ê°„ì˜ ì±„ìƒ‰í™”ëŠ” 형ì‹ê³¼ ë‚´ìš©ì—서 차별ìƒì´ ìžˆì„ ìˆ˜ë°–ì— ì—†ë‹¤.7) 하지만 민간 주ë„ì˜ ì±„ìƒ‰í™”ì—서 보다 ë…ìžì ì¸ ê°œì„±ì  í‘œí˜„ì„ ë³¼ 수 있다면, ì´ëŠ” ì±„ìƒ‰í™”ì˜ ë°œì „ ì–‘ìƒê³¼ ê´€ë ¨ì´ ìžˆë‹¤.
ê¶í™”ì˜ ìƒì‚° 담당ìžëŠ” ë„화서 í™”ì›ì´ì—ˆë‹¤. 특히 í™”ì›ì€ 새해를 ë§žì•„ 歲畵 ì œìž‘ì— ëª°ìž…í•´ì•¼ 했다. 세화 ì œìž‘ì˜ ê²½ìš°, ë„화서 í™”ì›ì€ ê° 20장씩, ìžë¹„대령화ì›ì€ ê° 30ìž¥ì”©ì„ ì œìž‘í•˜ì—¬ ì§„ìƒí•´ì•¼ 했다. ì´ë“¤ 세화는 ê¶ì¤‘ì—서 사용하고 ì¼ë¶€ëŠ” êµ°ì™•ì´ ì‹ í•˜ë“¤ì—게 ì„ ë¬¼í•˜ê¸°ë„ í–ˆë‹¤. ì´ ë•Œì˜ ì„¸í™” 작가ì—게는 ë“±ê¸‰ì„ ì£¼ì–´ 시ìƒí•˜ê¸°ë„ 했다.8) ì´ë“¤ ê·¸ë¦¼ì€ ë¯¼í™”ì˜ ì›ë¥˜ì™€ ë§¥ë½ì„ ê°™ì´ í•˜ëŠ” 것으로 ì–‘í‰ì˜ê¸¸(禳凶迎å‰) ì œì•¡ì´ˆë³µì˜ é–€æŽ’ 그림 ë˜ëŠ” 歲畵ì—서 ì „ìŠ¹ëœ ê²ƒìœ¼ë¡œ 파악ëœë‹¤.9) ì´ëŠ” 辟邪와 å‰ç¥¥ì„ 근간으로 했다.
â€˜ë¯¼í™”â€™ì˜ í™”í’ìƒ íŠ¹ì§•ì€ ë°”ë¡œ â€˜ë¯¼í™”â€™ì˜ ê°œì„±ì  ì¡´ìž¬ê°€ì¹˜ì™€ 맞물리는 ì§€ì ì´ë‹¤. ê·¸ë™ì•ˆ ë§Žì€ ì—°êµ¬ìžë“¤ì´ ë¯¼í™”ì˜ íŠ¹ì§•ì— ëŒ€í•˜ì—¬ 언급해 왔다. ‘추ìƒì ì¸ 환ìƒâ€™(ì´ìš°í™˜), ‘꿈과 ì‚¬ëž‘ì˜ ì„¸ê³„â€™(김철순), ‘소박하다’ ‘순진무구하다’ ‘해학ì ì´ë‹¤â€™ ‘ìžìœ ë¶„방하다’ ‘아ì´ì™€ 같다’ 등등. ì¼ë‹¨ 권위ì ì´ê³  엄격한 ì§ˆì„œì˜ ê¶í™”와 비êµí•˜ì—¬ 민간 ì¤‘ì‹¬ì˜ â€˜ë¯¼í™”â€™ëŠ” 보다 ìžìœ ìŠ¤ëŸ° í™”í’ì„ ì¶”êµ¬í•  수 있다. ê¶Œë ¥ìœ¼ë¡œë¶€í„°ì˜ ê±°ë¦¬ëŠ” ê·¸ë§Œí¼ ì ˆëŒ€ì  ê·œë²”ìœ¼ë¡œë¶€í„° ìžìœ ìŠ¤ëŸ¬ìš´ 공간 확보가 ìš©ì´í•˜ê¸° 때문ì´ë‹¤. 그래서 ì´ ëŒ€ëª©ì—서는 ê¶í™”ì˜ ê¶Œìœ„ì  í™”í’ê³¼ 달리 민간 ì±„ìƒ‰í™”ì˜ íŠ¹ì„±ì„ ê³ ì°°í•˜ê³ ìž í•œë‹¤.10)
민간 ì±„ìƒ‰í™”ì˜ í™”í’ìƒ íŠ¹ì§•ìœ¼ë¡œ 먼저 들 수 있는 ê°œë…ì€ ë°”ë¡œ ‘질박하다’ë¼ëŠ” 키워드ì´ë‹¤. 여기서 質朴ì´ë¼ í•¨ì€ â€˜ìˆœë°•í•˜ê³  진솔한 ë³¸ìƒ‰â€™ì„ ì˜ë¯¸í•œë‹¤. 구체ì ìœ¼ë¡œ è³ªì€ ë³¸ì§ˆ, 본색, ë°”íƒ•ì„ ì˜ë¯¸í•˜ê³ , æœ´ì€ ê°€ê³µí•˜ì§€ ì•Šì€ ìˆœìˆ˜í•œ 목재ë¼ëŠ” ì˜ë¯¸ì—서 천연ìƒíƒœë¥¼ ì˜ë¯¸í•œë‹¤. 한마디로 단순하고 소박한 ìƒíƒœë¥¼ ì˜ë¯¸í•˜ëŠ” 것으로 질박ì´ì•¼ë§ë¡œ ì¡°ì„  민간 ì±„ìƒ‰í™”ì˜ ì„¸ê³„ì™€ ì§ê²°ë˜ëŠ” ê°œë…ì–´ê°€ 아닌가 한다. 수묵문ì¸í™”를 ë‘ê³  질박하다는 í‘œí˜„ì€ ì–´ìš¸ë¦¬ì§€ 않기 때문ì´ë‹¤. 그렇다면 질박하다 하여 ê±°ì¹ ê³  투박한 것ì´ê¸°ë§Œ 한가. 천연 ìƒíƒœ 즉 가공하지 ì•Šì€ ìƒíƒœë¼ 하여 조잡하다고만 표현할 수 없다. 투박하고 조잡하다고 해서 질박하지 ì•Šì€ ê²ƒì²˜ëŸ¼, 질박하다 해서 반드시 투박하거나 조잡한 ê²ƒì€ ì•„ë‹ˆë‹¤. 즉 소박하고, ê±°ì¹ ê³ , 강한 ê²ƒì€ ì¡°ìž¡í•œ 것과 다르다. 질박ì´ëž€ ê²ƒì€ ì •ì‹ ì  í’ˆê²©ì´ë©°, 조잡하다는 ê²ƒì€ ìž¬ë£Œì™€ 가공ì—서 ë¹„ë¡¯ëœ ì™¸í˜•ì  íŠ¹ì§•ì„ ì˜ë¯¸í•œë‹¤. 그래서 ì§ˆë°•ì€ í†µì†ì„±ê³¼ë„ 거리가 있다. 민간미술ì—서 ì§ˆë°•ì€ ì‹¤ìš©ì ì¸ 것과 심미ì ì¸ 것, ì •ì‹ ì ì¸ 것과 물질ì ì¸ ê²ƒì˜ ì¡°í™”ì™€ 통ì¼ë¡œ 표현ëœë‹¤ëŠ” ì ì„ ê°•ì¡°í•˜ê³ ìž í•œë‹¤.
ì¡°ì„  민간 ì±„ìƒ‰í™”ì˜ íšŒí™”ì  íŠ¹ì„±ì˜ í•˜ë‚˜ë¡œ 質朴美를 강조하면서, ë„화서 í™”ì›ì— ì˜í•œ ê¶í™”ì˜ ê·€ì¡±ì·¨í–¥ê³¼ 비êµí•˜ì—¬ 민간 ì±„ìƒ‰í™”ì˜ ì§ˆë°• ì·¨í–¥ì˜ ë¹„ì¤‘ì„ ì—¼ë‘ì— ë‘ê³ ìž í•œë‹¤. ë¯¼ê°„ë¯¸ìˆ ì˜ íŠ¹ì§•ìœ¼ë¡œ 질박함 ì´ì™¸ å¤©çœží•¨ì„ ë“¤ 수 있는 ë°”, ì´ëŠ” ë™ì‹¬ì˜ 세계와 ì—°ê²°ëœë‹¤. ë™ì‹¬ì˜ 세계ì—서는 호랑ì´ë¼ 하ë”ë¼ë„ ç¸æ€§ì„ 지우고 ì¸ìží•œ 천사처럼 표현할 수 있는 것ì´ë‹¤. ë™ìžê°€ 호랑ì´ë³´ë‹¤ í¬ê²Œ 그려진다 하여 ì´ìƒìŠ¤ëŸ¬ìš¸ ê²ƒë„ ì—†ë‹¤. ì´ëŠ” ì°½ì˜ì„±ì„ 기본으로 하는 ë™ì‹¬ì˜ 세계가 갖는 특권ì´ìž 장ì ì´ë‹¤. 저항 ê¸°ì§ˆì˜ í•™ìž ï§¡å“å¾ëŠ” ë§í–ˆë‹¤. â€œì²œí•˜ì˜ ì•„ë¦„ë‹¤ìš´ ìž‘í’ˆë“¤ì€ ëª¨ë‘ ë‹¤ ë™ì‹¬ì—서 나왔다.†바로 ë™ì‹¬ì€ 진심ì´ê³  질박과 ìƒí†µí•œë‹¤. 천진함과 ë”불어 ë¯¼ê°„ë¯¸ìˆ ì˜ íŠ¹ì„±ìœ¼ë¡œ ç”Ÿå‘½æ€§ì„ ë“¤ 수 있다. ìƒê¸°ë°œëž„ì€ ë¯¼ê°„ ë¯¸ìˆ ì˜ íŠ¹ì§•ì´ë‹¤. “ê¶ì¤‘ì˜ˆìˆ ì€ ì–¸ì œë‚˜ 화려한 ì¸ìƒì— 대한 ë§Œì¡±ì„ ìˆ¨ê¹€ì—†ì´ ì§ì ‘ì ìœ¼ë¡œ 표현한다. ë¯¼ê°„ì˜ˆìˆ ì´ í‘œí˜„í•˜ëŠ” ê²ƒì€ í•˜ë£¨ ë…¸ë™ì— 지친 ì¸ê°„ì˜ ìƒëª…ì— ëŒ€í•œ, ë˜ ê·¸ê²ƒì´ í–‰ë³µì— ëŒ€í•œ 열렬한 ê°ˆë§ê³¼ ì¶•ë³µ, 그리고 기ë„ì´ë‹¤. 표현형ì‹ì€ ì¼ë°˜ì ìœ¼ë¡œ 특별히 í•¨ì¶•ëœ ë‚´ìš©ì´ ì—†ëŠ” 듯 ë³´ì´ì§€ë§Œ ê³ê³¼ ì†ì´ ì¼ì¹˜í•˜ëŠ” 성실하고 ì§„ì‹¤ëœ ê²ƒì´ë‹¤.â€11) 우리 민간회화ì—ì„œë„ ìœ„ì™€ ê°™ì€ ì§€ì ì´ ìƒí†µí•œë‹¤ê³  믿어진다. 바로 ë¯¼í™”ì˜ ê±´ê°•í•œ ìƒëª…ì„±ì„ ì˜ë¯¸í•œë‹¤.

7) “ê¶í™”와 민화는 ê°™ì€ ì£¼ì œì— ê°™ì€ ì±„ìƒ‰í™”í’ì´ë¼ 하ë”ë¼ë„ 조형세계는 엄연히 다르다. ê¶í™”ì—서 ê¹Šì´ ìžˆëŠ” ê³µê°„ì„ êµ¬ì¶•í–ˆë‹¤ë©´, 민화ì—서는 í‰ë©´ì ì´ê³  구성ì ì¸ ê³µê°„ì„ ì±„íƒí–ˆë‹¤. ê¶í™”ì—서 세련ë˜ê³  ìˆ™ë ¨ëœ í•„ì„ ì„ ì‚¬ìš©í–ˆë‹¤ë©´, 민화ì—서는 í‰ë²”하고 질박한 í•„ì„ ì„ êµ¬ì‚¬í–ˆë‹¤. ê¶í™”ì—서 진지하고 장중한 스토리가 ì „ê°œë˜ì—ˆë‹¤ë©´, 민화ì—서는 ìµì‚´ìŠ¤ëŸ½ê³  í•´í•™ì ì¸ ê°ì„±ì´ ê³³ê³³ì— ë‚´ë¹„ì³¤ë‹¤. 민화는 주제와 기법ì—서 ê¶í™”ì˜ ì˜í–¥ì„ 받았지만, ì´ë¯¸ì§€ì— 나타난 취향과 ê°ê°ì€ 다른 ì°¨ì›ì˜ 세계다.â€(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ì ì¸ 그리고 한국ì ì¸], 2012, ëŒë² ê°œ, 47쪽)
8) [中宗實錄](中宗 5å¹´), 9ì›” 29ì¼ì¡°/ [承政院日記](正祖 5å¹´) 12ì›” 20ì¼ì¡° 등
9) í™ì„ í‘œ, <ì¡°ì„ ë¯¼í™”ì˜ ìƒˆë¡œìš´ ê´€ì ê³¼ ì´í•´>, [ì¡°ì„  회화], 한국미술연구소, 2014, 414쪽
10) ï¤¬ç´¹å› (ê¹€ìƒì²  ì—­), [중국 근현대미술], 시공아트, 2005, 300-306쪽
11) 郎紹å›, ì•žì˜ ì±…, 316쪽

â…£. 민화 ìž‘ê°€ì˜ ë‹¤ì–‘ì„±ê³¼ ë¶ˆêµ ç•µåƒ§ì˜ ì—­í• 
선운사 대웅전 천정 별화, 가회민화박물관 ì´¬ì˜

▲선운사 대웅전 천정 별화, 가회민화박물관 ì´¬ì˜

사찰 ë²½í™”ì— ë‚¨ì•„ 있는 민화í’ì˜ ìž‘í’ˆì„ ì£¼ëª©í•  필요가 있다.12) 통ë„사, í•´ì¸ì‚¬ë¥¼ 비롯 ì „êµ­ë„ì²˜ì˜ ì‚¬ì°°ì—서 ë³¼ 수 있는 민화í’ì˜ ìž‘í’ˆì€ ë¬´ì—‡ì„ ì˜ë¯¸í•˜ëŠ”ê°€. 결론부터 ë§í•˜ìžë©´ ì‚¬ì°°ì˜ ç•µåƒ§ ìƒë‹¹ìˆ˜ê°€ ë¯¼í™”ìž‘ì—…ì— ì§ì ‘ 참여했다는 사실ì´ë‹¤. 송헌 金é”基는 í•´ì¸ì‚¬ ë“±ì˜ ë¶ˆí™”ë¥¼ 제작한 화승ì´ì—ˆì§€ë§Œ 민화 ìž‘í’ˆë„ ìƒë‹¹ìˆ˜ 그린 것으로 알려졌다. ê·¸ì˜ ì•„ë“¤ê³¼ ì†ìžê¹Œì§€ 단청장으로 역시 ì±„ìƒ‰ìž‘ì—…ì˜ ê°€ì—…ì„ ì´ì–´ë°›ì•˜ë‹¤. ì´ë§Œë´‰ í˜¹ì€ ì›ë•문 ê°™ì€ ê²½ìš°ëŠ” 화승ì´ë©´ì„œ 단청 ì´ì™¸ 민화í’ì˜ ìž‘í’ˆì„ ì œìž‘í–ˆë‹¤. 불화 ì†ì— ë¯¼í™”ì  ìš”ì†Œê°€ 있고, ë˜ ê±°ê¾¸ë¡œì˜ ê²½ìš°ë„ í™•ì¸í•  수 있다. ë¬¸ì œì˜ í•µì‹¬ì€ ë¶ˆí™” ì œìž‘ì˜ í™”ìŠ¹ì´ ë¯¼í™”ë¥¼ 제작했다는 ì ì´ë‹¤. ì—ì¹´ë¥´íŠ¸ì˜ [한국미술사]ì— ì˜í•˜ë©´, 그는 1915ë…„ê²½ 화승 æ–‡å¤å±±ìœ¼ë¡œë¶€í„° í˜í•„화를 입수했다는 ì–¸ê¸‰ì´ ìžˆë‹¤.13) 여기서 å¤å±±ì€ 竺演(1875~1930 활ë™) í™”ìŠ¹ì„ ì§€ì¹­í•˜ëŠ” ë°”, 그는 ë¶ˆí™”ì˜ ë°°ê²½ì— ê¸ˆê°•ì‚°ì´ë¼ë“ ê°€ ë¯¼í™”ì  ìš”ì†Œë¥¼ 수용하여 작업했다. 현재 ê·¸ì˜ ë¶ˆí™” ìž‘í’ˆì€ 50ì  ì •ë„를 헤아리게 한다. ì‹ë¯¼ì§€ 시절 활ë™í•œ 普應(1867~1954) ìŠ¤ë‹˜ì˜ ë¶ˆí™” 작품 ì†ì—ì„œë„ ë¯¼í™”ì  ìš”ì†Œë¥¼ ì°¾ì„ ìˆ˜ 있다. 아니 ê·¸ì˜ <í¥ì²œì‚¬ ê°ë¡œë„>는 1930년대 ë„시 í’경과 ì „ìŸ í’ê²½ì„ ì‚¬ì‹¤ì ìœ¼ë¡œ 묘사하여 ë¶ˆí™”ì˜ ìƒˆë¡œìš´ 경지를 ì„ ë³´ì¸ ë°” 있다.

“(안양암 <치성광여래ë„>는) ì¹˜ì„±ê´‘ì—¬ëž˜ì˜ ê¶Œì†ì„ ë”ìš± ì ê·¹ì ìœ¼ë¡œ ë„êµ ì‹ ì„ ë„ì˜ ë„ìƒìœ¼ë¡œ 표현한 ê²ƒì´ í° íŠ¹ì§•ì´ë‹¤. ì£¼ì¡´ì¸ ì¹˜ì„±ê´‘ì—¬ëž˜ì™€ í˜‘ì‹œì¸ æ—¥å…‰ 月光 ë³´ì‚´ ì™¸ì— ì£¼ìš” ì¡´ìƒì¸ 七如來는 ê´‘ë°°ì˜ åŒ–ä½›ë¡œ 표현ë˜ì—ˆìœ¼ë©°, ì†Œì˜ ì–‘ìª½ í™”ë©´ì˜ í•˜ë‹¨ì—는 ë¶ë‘ì¹ ì„±ì˜ ë„êµì‹ ê²©ì¸ 七元星å›ì´ 3,4명으로 나뉘어 ì¤‘ì•™ì„ í–¥í•´ 있다. ê·¸ 앞쪽으로 ê°ê¸° 2ëª…ì˜ ë™ìžë“¤ì´ ‘佛’ìžì™€ â€˜å£½â€™ìž ëª¨ì–‘ìœ¼ë¡œ 휘어진 나무 분재를 들고 서 있다. ì´ ë™ìžë“¤ì˜ ë„ìƒì€ 민화 신선문ìžë„ì˜ ìœ í˜•ì„ ê·¸ëŒ€ë¡œ 차용한 것으로 보통 ë¶„ìž¬ì˜ ë‚˜ë­‡ê°€ì§€ëŠ” 壽, ç¦ ë¬¸ìžë¡œ 표현ë˜ì§€ë§Œ ì´ ê·¸ë¦¼ì—서는 ç¦ìžë¥¼ 여래를 뜻하는 ‘佛’ìžë¡œ 바꾸었다. 유사한 ë„ìƒì´ ê°™ì€ ì „ê°ì— ë´‰ì•ˆëœ ë˜ í•œ í­ì˜ <치성광여래ë„>ì—ì„œë„ ë‚˜íƒ€ë‚˜ê³  있는 ë°, ì´ ê·¸ë¦¼ì„ ì œìž‘í•œ í™”ìŠ¹ì¸ ê³ ì‚° ì¶•ì—°ì€ 1926ë…„ 통ë„사 <16 나한ë„>ì—ì„œë„ ê°™ì€ ë¥˜ì˜ ë„ìƒì„ 채íƒí•˜ê³  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다. ì´ ê°™ì€ ì‚¬ì‹¤ë“¤ì„ í†µí•´ì„œ 당시 민화와 불화가 ë„ìƒì„ 공유했으며, ë¶ˆí™”ì˜ ì œìž‘ìžì¸ í™”ìŠ¹ì´ ë¯¼í™”ë¥¼ ê·¸ë ¸ì„ ê°€ëŠ¥ì„±ë„ ì¶”ì •í•´ ë³¼ 수 있는 근거가 ëœë‹¤. ë¹„ë¡ ì‚¬ì§„ì´ê¸´ 하지만 안양암 <치성광여래ë„>(1924)ì˜ ì œìž‘ìžì¸ ê³ ì‚° ì¶•ì—°ì˜ ë¯¼í™” 문ìžë„í’ ê¸€ì”¨ì™€ ë³´ì‘ ë¬¸ì„±ì˜ ë¯¼í™”í’ ë´‰í™© ê·¸ë¦¼ì´ ë‚¨ì•„ 있고, 유사한 í™”í’ì˜ ë´‰í™© ì´ˆë³¸ì´ í•œêµ­ë¶ˆêµë¯¸ìˆ ë°•ë¬¼ê´€ì— ë‚¨ì•„ 있어 그러한 ê°€ëŠ¥ì„±ì„ ë’·ë°›ì¹¨í•œë‹¤. 안양암 <치성광여래ë„>는 민화 ì‹ ì„ ë„ì˜ ë„ìƒì„ 채íƒí•˜ì—¬ 수명장수ë¼ëŠ” ì¹˜ì„±ê´‘ì—¬ëž˜ì˜ ì‹ ì•™ ì„±ê²©ì„ ì‰½ê³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ê°™ì€ ì‹œê¸° ë„ìƒì„ 공유하는 비슷한 ê·¸ë¦¼ë“¤ì´ ì–‘ì‚°ë˜ëŠ” ê°€ìš´ë° ë§¤ìš° 개성 있고 ë…특한 ë„ìƒì„ ë³´ì´ê³  있다는 ì ì—서 주목할 만하다.â€14)

ìœ„ì˜ ì¸ìš©ë¬¸ì€ 불화와 ë¯¼í™”ì˜ ë„ìƒ ê³µìœ ë¼ëŠ” 사례를 들어 불화와 ë¯¼í™”ì˜ ì¹œì—°ì„±ì— ëŒ€í•˜ì—¬ 언급하고 있다. 연구ìžëŠ” 조심스럽게 ç•µåƒ§ì´ ë¯¼í™”ë¥¼ ê·¸ë ¸ì„ ê°€ëŠ¥ì„±ì„ ì¶”ì •í•˜ê¸°ë„ í–ˆë‹¤. 여기서 í•„ìžëŠ” ì´ë¥¸ë°” 민화 ìž‘ê°€ì˜ ìƒë‹¹ìˆ˜ëŠ” 화승ì´ì—ˆìŒì„ 강조하려 한다.
통ë„사ì—서 주ì„하면서 전통 미술재료 관련 기법과 ì œìž‘ì— ì¼ê°€ë¥¼ ì´ë£¬ æ€§å¡ ìŠ¤ë‹˜ì˜ ì¦ì–¸ì„ 먼저 ì†Œê°œí•˜ê³ ìž í•œë‹¤. ìŠ¤ë‹˜ì€ ì „í†µ ì œì§€ë²•ì„ ë¹„ë¡¯ 염색, 안료, 옻칠, ë„ìžê¸° 등 전통 미술재료학 분야ì—서 권위ìžì´ë©´ì„œ, 창작활ë™ë„ 겸하고 있는, ì¡°ê³„ì¢…ì˜ ì›ë¡œ 스님ì´ë‹¤.

“불ìƒì€ 개별ì ìœ¼ë¡œ 제작했지만 단청ì´ë‚˜ ë¶ˆí™”ìž‘ì—…ì€ ìˆ˜ 십명씩 모여 집단ì ìœ¼ë¡œ 작업했다. í° ì‚¬ì°°ì˜ ê²½ìš°, 단청ì´ë‚˜ 불화 불사는 집단ì ìœ¼ë¡œ ê·¸ê²ƒë„ ëª‡ ë…„ì— ê±¸ì³ ì§„í–‰í–ˆë‹¤. 중국ì—서는 벽화ë¼ëŠ” 용어를 사용했지만 우리는 ë²½ì— ê·¸ë ¤ë„ åˆ¥ç•µë¼ê³  불렀다. 별화는 ì†Œë¬˜ë ¥ì´ í•„ìš”í•˜ê¸° ë•Œë¬¸ì— ê·¸ë¦¼ 잘 그리는 화가가 맡았다. 수 ì‹­ëª…ì˜ ë‹¨ì²­ìž¥ ê°€ìš´ë° ë³„í™” 작가는 따로 있었다. ë§Œë…„ì„ í†µë„사ì—서 ì‚´ì•˜ë˜ ë‹¨ì²­ìž¥ í˜œê° ìŠ¤ë‹˜ì—게 ë“¤ì—ˆë˜ ë§ì”€ì´ ìƒê°ë‚œë‹¤. 스님 ë§ì”€ì— ì˜í•˜ë©´, 불화 작가가ë˜ë ¤ë©´ ë˜‘ê°™ì€ ê·¸ë¦¼ì˜ ë¶ˆí™” 초본(下圖)ì„ 3천장 그려야 겨우 화가 입문ìƒìœ¼ë¡œ 들어 ê°ˆ 수 있었단다. 3ì²œìž¥ì˜ ë¶ˆí™” 초를 연습해야 스스로 ë¶“ì„ ìž¡ì„ ìˆ˜ 있는 ëŠ¥ë ¥ì´ ìƒê²¼ê¸° 때문ì´ë‹¤. ì˜ˆì „ì˜ í™”ê°€ë“¤ì€ ì´ˆë¥¼ 뜰 때, 그림 ìœ„ì— í™”ì„ ì§€ë¥¼ 올려놓고 그대로 ë² ë¼ì§€ 않았다. ì›ë³¸ì„ ì˜†ì— ë†“ê³  확대하거나 ì¶•ì†Œí•´ë„ ê·¸ë¦¼ì˜ ë‚´ìš©ì€ ë˜‘ê°™ì•˜ë‹¤. 그러니까 불화 ìž‘ê°€ë¼ í•˜ë©´ ì›ë³¸ì˜ 축소 확대를 ìžìœ ìŠ¤ëŸ½ê²Œ í•  수 있는 ê¸°ëŸ‰ì´ ìžˆì—ˆë‹¤. ë¶ˆí™”ì˜ ê³µì‹ì€ 수ì§, 수í‰, ì¢Œìš°ëŒ€ì¹­ì˜ ì›ë¦¬ê°€ 있어, ì´ë¥¼ 잘 지켜야 했다.
ì‚¬ì°°ì˜ ë³„í™” ì†ì— 민화 ì†Œìž¬ì˜ ê·¸ë¦¼ì´ ë§Žë‹¤. 통ë„사는 고건축박물관ì´ë¼ëŠ” ì• ì¹­ì„ ë“£ê³  있는ë°, ì´ëŠ” ê³ ë ¤ ì–‘ì‹ë¶€í„° ì¡°ì„ ì‹œëŒ€ì˜ ë‹¤ì–‘í•œ ê±´ì¶• ì–‘ì‹ì´ 남아 있기 때문ì´ë‹¤. 통ë„사는 6.25ì „ìŸì˜ 피해를 ìž…ì§€ 않아 200~300ë…„ ì „ì˜ ê±´ì¶•ì´ ë‚¨ì•„ 있고, 특히 ê·¸ ë‹¹ì‹œì˜ ê·¸ë¦¼ë“¤ë„ ë§Žì´ ë‚¨ì•„ 있다. 그러니까 통ë„사는 ì¼ë°˜ì ìœ¼ë¡œ 민화가 유행하기 ì´ì „ì¸ 2백년 ì „ì˜ ë¯¼í™”í’ ê·¸ë¦¼ì´ ë§Žì´ ë‚¨ì•„ 있다. 혜장보ê°ì— 2백년 ì „ì¯¤ì— ê·¸ë¦° 까치 í˜¸ëž‘ì´ ê·¸ë¦¼ì´ ìžˆë‹¤. 대웅전 천정ì—ë„ ìˆ˜ 백년 ì „ì— ê·¸ë¦° 그림으로 ê°€ë“하다. 통ë„사는 ê³ ê±´ì¶• ì´ì™¸ 그림만 ê°€ì§€ê³ ë„ ë°•ë¬¼ê´€ì´ë¼ í•  수 있다. 채색 ê·¸ë¦¼ì€ ì‚¬ì°°ì—서 담당했고, ê·¸ ì „í†µì„ ì§€ì¼œì™”ë‹¤. ê¶ê¶ ë‹¨ì²­ë„ ì‚¬ì°°ì˜ ë‹¨ì²­ìž¥ì´ ë‹´ë‹¹í–ˆì§€ ê¶ê¶ì— ë‹¨ì²­ìž¥ì´ ë³„ë„로 있지 않았다. ë„화서 í™”ì›ì€ ì˜ê¶¤ë„와 ê°™ì€ ê¸°ë¡ì„± ì¤‘ì‹¬ì˜ ê·¸ë¦¼ì„ ì£¼ë¡œ 그렸지 ë‹¨ì²­ì„ ë‹´ë‹¹í•˜ì§€ 않았다. 하지만 사찰ì—서는 ë‹¨ì²­ìž¥ì´ í•­ìƒ ìžˆì—ˆê³ , ì¡°ì„  천지 ì–´ë””ì—선가는 늘 단청 불사를 시공했다.
경제 ì‚¬ì •ì´ ì–´ë ¤ì›Œì§„ ì¡°ì„  ë§ê¸°ì˜ 사찰ì—서는 대대ì ì¸ 불사를 ì¼ìœ¼í‚¬ 수 없었다. 그러다보니 ë‹¨ì²­ìž¥ë“¤ì´ ì¼ìžë¦¬ë¥¼ 잃게 ë˜ì–´ ì¡¸ì§€ì— ì‹¤ì—…ìžê°€ ë˜ì—ˆë‹¤. 실업ìžê°€ ëœ ë¶ˆí™”ìž‘ê°€ë“¤ì€ ë§ˆì„로 내려가 부잣집 사랑방ì—서 민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별화를 ê·¸ë¦¬ë˜ ì†œì”¨ë¡œ 종ì´ì— 그리면 바로 민화가 ë˜ì—ˆë‹¤. 병í’ì„ ë¹„ë¡¯ ê°–ê°€ì§€ì˜ ì±„ìƒ‰ ê·¸ë¦¼ì„ ê·¸ë ¤ì£¼ê³  ìŒ€ì„ ì–»ì—ˆë‹¤. 그래서 민화가 ë¯¼ê°„ì— ë³¸ê²©ì ìœ¼ë¡œ í¼ì§€ê¸° 시작했다. 민가ì—서는 채색 물ê°ì´ 없었다. ì„채 ê°™ì€ ë¬¼ê°ì€ 귀해 민가ì—서 사용할 수 없었다. ê¶ì¤‘í™”ê°€ë¼ í•´ë„ ë†ì±„ì˜ ë¬¼ê° ëŒ€ì‹  담채 ì •ë„를 사용했다. 강렬한 ì›ìƒ‰ì€ ë¶ˆí™”ì˜ ë¬¼ê°ì„ 사용한 것ì´ë‹¤. 사찰ì—서는 전통ì ìœ¼ë¡œ 채색 물ê°ì„ 사용해 왔기 ë•Œë¬¸ì— ìž¬ë£Œ 구하기와 사용 기법 ë“±ì„ ì›í™œí•˜ê²Œ 다룰 수 있었다. 실력 있는 별화 ìž‘ê°€ì˜ ë¯¼í™” 그리기는 ì¼ë„ 아니었다. ë•Œë¬¸ì— ë›°ì–´ë‚œ ë¯¼í™”ìž‘í’ˆì„ ë‹¤ìˆ˜ 제작할 수 있었다. 선비 화가는 ìˆ˜ë¬µì˜ ì‚¬êµ°ìž ì •ë„를 그릴 수 있었지 채색화는 ìƒìƒë„ 못했다. 민화는 ë¬¼ê° ìžì²´ê°€ 사찰용ì´ì—ˆê³ , 선비 ì§‘ì—서는 물ê°ì„ 사용하지 않았다. 오히려 ì±„ìƒ‰ì„ ë¬´ì‹œí–ˆë‹¤. ë¯¼í™”ì˜ ë¿Œë¦¬ëŠ” 사찰과 ì—°ê´€ì´ ìžˆë‹¤. 물ê°ë§Œ ë³´ì•„ë„ ë¯¼í™”ëŠ” 사찰ì—서 나온 것ì´ë‹¤.
ì ì°¨ì ìœ¼ë¡œ ì¡°ì„  ì²œì§€ì— ë¯¼í™”ê°€ í¼ì¡Œë‹¤. 특히 살기 어려운 시절 ë¯¼ê°„ì— ë§žë„ë¡ ê¸¸ìƒ ì£¼ì œë¡œ 그려준 ê²ƒì´ ë¯¼í™”ì´ë‹¤. 별화 작가는 시ì˜ì— 맞게 ë¯¼ì¡±ì˜ ì‚¬ìƒê³¼ ê°ì„±ì„ 개성ì ìœ¼ë¡œ 그렸다. ì‚¬ì°°ì€ ì´ë¯¸ 민화 소재, 즉 까치 호랑ì´ë¼ë“ ê°€, 토ë¼ê°€ 호랑ì´ì—게 ë‹´ë°° 물려주는 것, í˜¹ì€ ì‚°ì‹ ë„ì— ì´ë¥´ê¸°ê¹Œì§€ 다양한 민화í’ì˜ ê·¸ë¦¼ë“¤ì„ ê·¸ë¦° ì „í†µì´ ìžˆë‹¤. ì´ë“¤ ë¯¼í™”í’ ê·¸ë¦¼ì„ ë¯¼ê°„ì— ë§žê²Œ 그린 ê²ƒì´ ë¯¼í™”ì´ë‹¤. ì‚¬ì°°ì€ í”¼íí–ˆë˜ ì‚¬ì›ê²½ì œë¥¼ 해결하기 위해 민화를 그렸고, ë˜ ë¯¼ê°„ì€ ê¸¸ìƒ ì£¼ì œì˜ ë¯¼í™”ë¡œ 어려운 ì‹œì ˆì„ ê·¹ë³µí•˜ë ¤ 했다. 민화는 사찰ì—서 나온 채색 그림ì´ë¼ê³  보아야 한다.â€15)
성파 ìŠ¤ë‹˜ì˜ ìœ„ì™€ ê°™ì€ ì¦ì–¸ì€ 매우 소중하다. ì¡°ì„ ë§ê¸° 사찰경제가 ìµœì•…ì˜ ìƒíƒœë¡œ ë¹ ì¡Œì„ ë•Œ, ì‚¬ì°°ì€ ê²½ì œì  ìžêµ¬ì±…ì„ ë§ˆë ¨í•˜ê¸° 위해 다양한 수입ì›ì„ ë„모했다. 그런 ê°€ìš´ë° í•˜ë‚˜ê°€ 민화 그리기였다. 채색 물ê°ì„ ì¼ìƒì ìœ¼ë¡œ 다루고 있는 별화 ìž‘ê°€ì˜ ê²½ìš° 민화 ì†Œìž¬ì˜ ê·¸ë¦¼ 그리기는 지극히 ìžì—°ìŠ¤ëŸ¬ìš´ ì¼ì´ì—ˆë‹¤. 민화 관련 재료와 ë˜ ì œìž‘ì— ì¼ê°€ë¥¼ ì´ë£¬ 성파 ìŠ¤ë‹˜ì˜ ì‚¬ì°° 전래 ì¦ì–¸ì€ 새삼 ì£¼ëª©ì„ ìš”í•˜ëŠ” 부분ì´ë‹¤.
다ìŒì€ 화가 ê³ ì•” ì´ì‘ë…¸ì˜ ì¦ì–¸ì„ ì†Œê°œí•˜ê³ ìž í•œë‹¤. ê³ ì•”ì€ íŒŒë¦¬ì—서 작가활ë™í•˜ë©´ì„œ 20세기 í•œêµ­ì´ ë‚³ì€ ì •ìƒê¸‰ 화가로 ëª…ì„±ì„ ë“œë‚ ë¦° ë°” 있다. 그런 ê³ ì•”ì´ ìƒê²½í•˜ê¸° ì´ì „ 사찰ì—서 ì§ì ‘ 민화를 그렸다는 ìƒìƒí•œ ì¦ì–¸ì´ë‹¤. 민화 ì œìž‘ì— ì‚¬ì°°ì´ ì§ì ‘ì ìœ¼ë¡œ 참여했다는 í¬ê·€í•œ 사료가 아닌가 한다.

ì–‘ì‚° 통ë„사 í•´ìž¥ë³´ê° ë³„í™”, 1900ë…„, 가회민화박물관 ì´¬ì˜

▲양산 통ë„사 í•´ìž¥ë³´ê° ë³„í™”, 1900ë…„, 가회민화박물관 ì´¬ì˜

“거기서 ì´ëŸ°ì €ëŸ° ì´ì•¼ê¸°ë¥¼ ë‚˜ëˆ„ë˜ ì¤‘ì— ë§ˆì¹¨ 마ì„ì— ì‚°ì œë‹¹ì„ ìƒˆë¡œ 지어서 ê·¸ë¦¼ì„ ê·¸ë¦´ ì‚¬ëžŒì„ ì°¾ê³  있는ë°, 그려보지 않겠ëŠëƒê³  ì œì˜ë¥¼ 해왔습니다. ìƒê°ì§€ë„ ì•Šë˜ í–‰ìš´ì´ì—ˆì–´ìš”. 산제당ì´ëž€ ê²ƒì€ ë§ˆì„ì„ ì§€í‚¤ëŠ” ì‹ ì„ ëª¨ì‹  ê³³ì´ëžë‹ˆë‹¤. 나는 어릴 ì ë¶€í„° 가까운 ì ˆê°„ì— ë†€ëŸ¬ê°€ ê·¸ê³³ì— ê·¸ë ¤ì ¸ 있는 ê·¸ë¦¼ì„ ë³´ê³  했기 ë•Œë¬¸ì— ìž˜ 알고 있었지요. ì ˆì—는 탱화를 그리는 스님 ë°‘ì— â€˜ë‹¨ì²­â€™ì„ ê·¸ë¦¬ëŠ” í™”ê³µì´ ìžˆì–´ì„œ í‹ˆí‹ˆì´ ì‚°ì‹ ì´ëž‘ ì„ ë…€ 그림 ê°™ì€ ê²ƒì„ ê·¸ë¦¬ê¸°ë„ í–ˆì–´ìš”. ê·¸ 마ì„ì—서 세 ë¼ ë¨¹ì—¬ì£¼ê³  ì¼ë‹¹ 1ì›ì— ê·¸ë¦¼ì„ ê·¸ë¦¬ì§€ 않겠ëŠëƒëŠ” ê²ë‹ˆë‹¤. 당시 1ì›ì€ í°ëˆì´ì—ˆì§€ìš”. 건장한 남ìžë¼ë„ 겨우 20~30ì „ì„ ë²Œ ì •ë„였으니까요. 그러니 í•˜ë£¨ì— 1ì›ì´ë¼ë©´ 굉장한 거지요. 다ìŒë‚  청양으로 가서 그림 그릴 í™”í­ê³¼ ë¬¼ê° ë“±ì„ ì‚¬ë‹¤ê°€ 곧장 ì—¬ê´€ì— í‹€ì–´ë°•ížˆê²Œ ë˜ì—ˆìŠµë‹ˆë‹¤.â€16)
“고려 때ì—는 불êµê°€ 번성했고 무수한 불êµì˜ˆìˆ ì„ 만들어냈습니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들어선 후 5백년 ê°„ 불êµëŠ” ë°°ì²™ì„ ë°›ì•„ 쇠퇴해 갔지요. ë§Žì€ ì ˆë“¤ì´ ì“°ëŸ¬ì ¸ 가는 ì™€ì¤‘ì— ê·¸ë‚˜ë§ˆ ë¶ˆí™”ì˜ ë§¥ì€ ë¯¼ê°„ 무ì†ê³¼ 융화ë˜ì–´ ì´ì–´ì ¸ 토착화했지요. 그래서 불êµëŠ” 하층계급 ì‚¬ëžŒë“¤ì˜ ë³µì„ ë¹„ëŠ” 종êµë¡œì„œ 겨우 ëª…ë§¥ë§Œì„ ì§€ì¼œì™”ìŠµë‹ˆë‹¤. ì¤‘ë“¤ì€ ì²œë¯¼ ì·¨ê¸‰ì„ ë‹¹í–ˆê³ , 그나마 소ì†ëœ ì ˆë„ ì—†ëŠ” ì¤‘ë“¤ì€ ì§‘ì§‘ì„ ëŒë©° ìŒ€ì„ êµ¬ê±¸í•˜ëŠ” ê±°ì§€ê°™ì€ ìƒí™œì„ í•˜ê¸°ë„ í–ˆìŠµë‹ˆë‹¤. ì ˆì— ìžˆë”ë¼ë„ íƒë°œìŠ¹ë“¤ì€ íƒë°œì„ ë‚˜ê°€ê¸°ë„ í–ˆê³ ìš”. 불êµëŠ” 나ë¼ì—서는 ì¸ì •받지 못했지만, 민간ì—서는 ì‚¬ëžŒë“¤ì˜ ë‚´ì„¸ì˜ í–‰ë³µì„ ê¸°ì›í•´ 주거나 í˜„ì„¸ì˜ ë³µì„ êµ¬í•˜ê¸°ë„ í•˜ê³  ì£½ì€ ì‚¬ëžŒë“¤ì˜ ëª…ë³µì„ ë¹Œì–´ì£¼ê¸°ë„ í•˜ë©´ì„œ, 그렇게 ì´ì–´ì ¸ 왔다고 í•  수 있습니다.
그리고 ì ˆì˜ ìŠ¤ë‹˜ë“¤ì€ ê³ì¼ 삼아 여러 가지 ê·¸ë¦¼ì„ ê·¸ë ¸ì§€ìš”. 그중ì—ì„œë„ ì†Œë‚˜ë¬´ì— ê¹Œì¹˜ë¼ë“ ê°€ 호랑ì´ë¥¼ 그린 ê·¸ë¦¼ì´ ê°€ìž¥ 많았습니다. 까치는 호랑ì´ë‚˜ ë±€ ê°™ì€ ê²ƒì´ ë‚˜ì˜¤ë©´ 운다고 해서 ê¸¸ìš´ì„ ê°€ì ¸ì˜¤ëŠ” 새로 알려져 있었고, í˜¸ëž‘ì´ ê·¸ë¦¼ì„ ê±¸ì–´ë‘ë©´ ìž¡ì‹ ì´ ë¬¼ëŸ¬ê°„ë‹¤ê³ ë„ í•´ì„œ 민가ì—서는 그런 ê·¸ë¦¼ì„ ë¶€ì ìœ¼ë¡œ 붙여ë‘곤 하였지요. ë˜ ì ˆì—서는 불êµí–‰ì‚¬ë¥¼ 위해서 ë§Žì€ ê·¸ë¦¼ë“¤ì´ í•„ìš”í–ˆìœ¼ë‹ˆê¹Œìš”. 장수(長壽)ì— ê´€í•œ 것으로는 ì„ ì¸ ê·¸ë¦¼ì´ë‚˜ ì„ ë…€ 그림, 십장ìƒë„ ê°™ì€ ê²ƒì´ ìžˆì—ˆê³ , ì•¡ë•œì„ ìœ„í•œ 것으로서는 호랑ì´, 사ìž, ê°œ, ë‹­ ë“±ì´ ìžˆì—ˆìŠµë‹ˆë‹¤. ì¼ë³¸ì—ë„ ë‹¹ì‚¬ìž(å”ç…å­) ê·¸ë¦¼ì´ ìžˆìž–ìŠµë‹ˆê¹Œ? 우리나ë¼ì—ì„œë„ ê·¸ê±¸ ì„íŒì´ë‚˜ 목íŒìœ¼ë¡œ ì°ì–´ë‚´ 팔았는ë°, 아마 1ìž¥ì— 10ì „ì¸ê°€ 20ì „ì¸ê°€ 했지요.â€17)
“ìƒí™œì„ 위해서 í•  수 ì—†ì´ ì‹¤ìš©ì ì¸ ê·¸ë¦¼ì„ ê·¸ë¦¬ê²Œ ë˜ëŠ”ë° ë§ìž…니다. ë‚´ê°€ í™”ê°€ë¡œì„œì˜ ì²« ìž‘ì—…ì„ í•œ ê²ƒë„ ë°”ë¡œ ì„ ì¸ê³¼ 선녀와 호랑ì´ê°€ 온 ê·¸ë¦¼ì„ ì‚°ì œë‹¹ì— ê·¸ë¦° 것ì´ëžë‹ˆë‹¤. 어쨌든 온 íž˜ì„ ë‹¤í•´ì„œ 그렸ë”니 마ì„ì‚¬ëžŒë“¤ì´ â€˜ìž˜ 그렸네. 잘 그렸네’ 하면서 칭찬해 주었고, 난 ê·¸ë™ì•ˆì˜ ì¼ë‹¹ìœ¼ë¡œ 5ì›ì„ 받았지요. ê·¸ëŸ¬ìž ì´ë²ˆì—는 ì£¼ìž¬ì†Œì˜ ì¼ë³¸ì¸ 순사가 찾아와 í˜¸ëž‘ì´ ê·¸ë¦¼ì„ ê·¸ë ¤ë‹¬ë¼ê³  하ë”êµ°ìš”. 1ì›ì„ 받고 그려주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6ì›ì´ë¼ëŠ” ëˆì´ ìˆ˜ì¤‘ì— ë“¤ì–´ì™”ì–´ìš”. ê·¸ 6ì›ìœ¼ë¡œ ìš´ë™í™”와 기차표를 사고 나니 1ì›ì´ 남ë”êµ°ìš”. 그때 처ìŒìœ¼ë¡œ 기차란 걸 보게 ë˜ì—ˆì–´ìš”.â€
18)

í¥ë¯¸ë¡œìš´ ì¦ì–¸ì´ë‹¤. ì´ì‘노는 í™ì„± 출신으로 ìƒê²½í•˜ì—¬ 김규진 문하ì—서 묵죽화로 ì¡°ì„ ë¯¸ì „ì„ í†µí•˜ì—¬ í™”ë‹¨ì— ë“±ë‹¨í–ˆë‹¤. 그는 ìƒê²½í•˜ê¸° ì „ì— ìœ„ì˜ ì¦ì–¸ì²˜ëŸ¼ 사찰ì—서 ‘민화’를 그려 호구지책으로 삼았다. 당시 그는 민화를 그려 ìƒê²½ ìžê¸ˆìœ¼ë¡œ 활용할 수 있었다.19) ê³ ì•”ì˜ ì¦ì–¸, 사찰ì—서 민화를 제작했다는 확고한 ì¦ê±°ê°€ 아니고 무엇ì´ê² ëŠ”ê°€. ì´ì œ 우리가 ë³´ì•„ 온 ìƒë‹¹ìˆ˜ì˜ 채색화(민간회화)는 사찰ì—서 제작한 것ì´ê³ , ë˜ í™”ìŠ¹ì˜ ìž‘í’ˆì´ê¸° ë•Œë¬¸ì— êµ³ì´ ìž‘ê°€ëª…ì„ ë°ížˆì§€ 않았ìŒì„ ì´í•´í•  수 있게 ë˜ì—ˆë‹¤. ë¯¼í™”ì˜ ì£¼ì œê°€ 대개 길ìƒì„ ì˜ë¯¸í•˜ëŠ” 것ì´ë¼ë©´, ì‹ ë„ë“¤ì˜ í–‰ë³µ 추구를 위해 ì‚¬ì°°ì˜ ë³„í™” 작가가 êµ³ì´ ë¯¼í™” 그리기를 마다할 ì´ìœ ê°€ ì—†ì—ˆì„ ê²ƒì´ë‹¤. 다시 한번 강조한다면, 민화 ìž‘í’ˆì˜ ìƒë‹¹ë¶€ë¶„ì€ í™”ìŠ¹ì˜ ìž‘í’ˆì´ì—ˆë‹¤ëŠ” 사실ì´ë‹¤.

12) 졸고, <í–‰ë³µì„ ë‹´ì€ ê¸¸ìƒí™”ì˜ ì œìž‘, 사찰 민화>, [å¥‰æ© æ¿æ®¿], 2015, 4
13) Andreas Eckardt, [History of Koren Art], London, 1929, p.138
14) 최엽, <20세기 ì „ë°˜ ë¶ˆí™”ì˜ ìƒˆë¡œìš´ ë™í–¥ê³¼ í™”ìŠ¹ì˜ ìž…ì§€>, [미술사학연구](266), 한국미술사학회, 2010, 6, 194-196쪽
15) í•„ìžëŠ” 오랜 세월ë™ì•ˆ 성파 ìŠ¤ë‹˜ì„ ì˜ˆë°©í•˜ë©´ì„œ, ê·¸ì˜ ì „í†µ 미술재료 연구와 실험 그리고 ê·¸ê²ƒì„ í™œìš©í•œ 제작과정 ë“±ì„ ì°¸ê´€í•˜ë©´ì„œ 기ë¡í–ˆë‹¤. ì´ëŸ° 과정ì—서 위와 ê°™ì€ ì¦ì–¸ë„ 나오게 ë˜ì—ˆë‹¤. ìŠ¤ë‹˜ì˜ ì „í†µë¯¸ìˆ  관련 ì¦ì–¸ì€ 국립예술ìžë£Œì›ì˜ 구술사 ì‚¬ì—…ì„ í†µí•˜ì—¬ í•„ìžì— ì˜í•´ 체계ì ìœ¼ë¡œ ë°œê°„ë  ì˜ˆì •ì´ë‹¤.
16) ì´ì‘ë…¸, ë°•ì¸ê²½, ë„미야마 다ì—ì½”(富山妙å­) 대담집, [서울-파리-ë„ì¿„], 記錄社(æ±äº¬), 1985
([ê³ ì•” ì´ì‘ë…¸, ì‚¶ê³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ì—®ìŒ, 얼과 알, 2000, 394쪽 (재수ë¡))
17) ì•žì˜ ì±…, 394-395쪽
18) ì•žì˜ ì±…, 395-396쪽
19) 수ë•사 ê³ ì•”ç¦ªë¯¸ìˆ ê´€ì€ ê°œê´€ê¸°ë…ì „(2010, 10)으로 ê³ ì•” ì´ì‘ë…¸í™”ë°±ì˜ ë¯¸ê³µê°œ ìž‘í’ˆì „ì„ ê°œìµœí•œ ë°” 있다. 당시 전시는 ê³ ì•” 작품ì´ë¼ 하여 민화í’ì˜ ì±„ìƒ‰ <호랑ì´>(1930년대) 그림 한 ì ì„ 출품한 ë°” 있다. 진위문제는 따로 살펴야겠지만 ìž‘í’ˆì˜ ì„œëª…ì€ ê³ ì•”ì˜ ì´ˆê¸° ì•„í˜¸ì¸ ç«¹å²ë¼ê³  표기ë˜ì—ˆë‹¤. 아무튼 고암과 민화 제작 ì‚¬í•­ì€ ì‚¬ì°°ì—ì„œì˜ ë¯¼í™”ì œìž‘ ê´€ë ¨ì˜ ì¦ë¹™ìžë£Œë¼ëŠ” 측면ì—ì„œë„ í¥ë¯¸ë¡­ë‹¤.

â…¤. 민화 ìš©ì–´ì˜ ëŒ€ì•ˆ å‰ç¥¥ç•µ

å‰ç¥¥ì´ëž€ ìš©ì–´ì˜ ì¶œì²˜ëŠ” [易經]ì˜ <계사하전(繫辭下傳)>ì— ë‚˜ì˜¤ëŠ” ‘å‰äº‹æœ‰ç¥¥â€™ìœ¼ë¡œ ì¢‹ì€ ì¼ì—는 ìƒì„œë¡œì›€ì´ 있다는 것으로 ì¢‹ì€ ì§•í›„ë¥¼ ì˜ë¯¸í•œë‹¤. 길ìƒì´ëž€ 용어와 비슷한 것으로 å‰å…†, 嘉祥, 祥瑞 ë“±ì„ ë“¤ 수 있다. 행복 추구는 ì¸ê°„ì˜ ë³¸ëŠ¥ì— ê°€ê¹ë‹¤. 그래서 조형활ë™ë„ í–‰ë³µì¶”êµ¬ì˜ ì¸ê°„ 활ë™ê³¼ 커다랗게 무관하지 ì•Šì„ ê²ƒì´ë‹¤. ‘그림ì—는 반드시 ëœ»ì´ ìžˆê³ , ëœ»ì€ ë°˜ë“œì‹œ 길ìƒì´ë‹¤(åœ–å¿…æœ‰æ„ æœ‰å¿…å‰ç¥¥).’ ì˜ë¯¸ 없는 ê·¸ë¦¼ì€ ì—†ë‹¤. ì˜ë¯¸ëŠ” 길ìƒì„ ë™ë°˜í•œë‹¤. 그래서 ì±„ìƒ‰í™”ì˜ íŠ¹ì„±ìœ¼ë¡œ 길ìƒì„ 주목하게 한다.

“화조화는 세ì†ì ì¸ í–‰ë³µì„ ì¶•í•˜í•˜ê³  기ì›í•˜ëŠ” 미디어로, ì¡°ì„  ì‚¬ëžŒë“¤ì˜ ìƒí™œ ì†ì— ê¹Šì´ ì¹¨íˆ¬í•˜ê³  ìžˆì—ˆë˜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물론 ì¡°ì„ ì—서 길ìƒì ì¸ ê¸°ëŠ¥ì„ ë‹´ë‹¹í•œ ê²ƒì€ í™”ì¡°í™”ë¿ ë§Œì€ ì•„ë‹ ê²ƒì´ë‹¤. ì¡°ì„  ê³ ìœ ì˜ ë¬¸ë°©ë„와 맹호ë„, 문ìžë„, 고사ì¸ë¬¼ë„ ë“±ë„ ë„“ì€ ì˜ë¯¸ì—서는 길ìƒë„ì— í¬í•¨ë  수 있다고 ìƒê°í•œë‹¤. 오히려 ì´ëŸ¬í•œ ìž¥ë¥´ì˜ ìž‘í’ˆì€ ê·¸ 길ìƒì ì¸ ê¸°ëŠ¥ì„ ëˆˆì—¬ê²¨ë³¼ ë•Œë§Œì´ ì œëŒ€ë¡œ ì´í•´í•  수 있다. 물론 ì¡°ì„ ì˜ ì‹œê°ë¬¸í™”를 구성하고 ìžˆë˜ ê²ƒì€ é›…, ä¿—ì˜ ê³„ì¸µêµ¬ì¡°ë§Œì´ ì•„ë‹ˆë‹¤. ê¶ì¤‘, ë¯¼ê°„ì˜ ê³„ì¸µêµ¬ì¡°ë„ ì§€ë°°ì ì´ì—ˆìŒì´ 틀림없다. ì´ ê³„ì¸µêµ¬ì¡°ê°€ 문ì¸í™”가를 ê°ë³„한 존재로 여기며 ë„화서 í™”ì›, 여항 문ì¸í™”ê°€, 환ìŸì´ ë“±ì˜ ì§ì—…ì ì¸ 제작ìžì˜ 계층 êµ¬ì¡°ì— ëŒ€ì‘하고 있지만, â€˜æ°‘â€™ì— ì†í•˜ëŠ” ë„ìƒ ìª½ì´ ì„¸ì†ì ì¸ í–‰ë³µì„ ë” ì§ì ‘ì ì¸ 형태로 제시하고 ìžˆì„ ê°€ëŠ¥ì„±ì€ ë†’ë‹¤. 그러므로 민화를 길ìƒì˜ ë§¥ë½ì—서 ì´í•´í•˜ë ¤ê³  하는 경우, â€˜ë¯¼â€™ì„ ì €ë³€ì—서 지지하는 ë„ìƒ ìª½ìœ¼ë¡œ ê´€ì‹¬ì´ ê¸°ìš¸ì–´ì§€ëŠ” ê²ƒì€ ë‹¹ì—°í•˜ë‹¤. 어쨌든 ì¡°ì„ ì˜ ì‹œê°ë¬¸í™” ì†ì—서 민화=길ìƒë„ì˜ ì—­í• ì€ ë§¤ìš° í¬ë‹¤.â€20)

2013ë…„ 경주민화í¬ëŸ¼ì˜ 종합토론 ì‹œê°„ì€ ë¯¼í™”ë¼ëŠ” 용어와 관련하여 í•™ìžë“¤ë¼ë¦¬ì˜ ‘ë장 í† ë¡ â€™ì„ ì‹œë„하게 했다. 당시 ì¢Œìž¥ì„ ë§¡ì•˜ë˜ í•„ìžëŠ” 민화ë¼ëŠ” ìš©ì–´ì˜ í기를 주장하면서 새로운 ëŒ€ì²´ì–´ì˜ ë„ì¶œì„ ìœ ë„했다. ì´ëŸ¬ì €ëŸ¬í•œ 견해가 제출ë˜ì—ˆì§€ë§Œ 커다란 ë°˜í–¥ì„ ì–»ì§€ 못했고, 다만 기시 후미카즈(岸文和) êµìˆ˜ì˜ ‘幸ç¦ç•µâ€™ë¼ëŠ” ì œì•ˆì´ ìž”ìž”í•œ ë°˜ì‘ì„ ë³´ì˜€ë‹¤. 여기서 행복화ë¼ëŠ” 용어는 ì˜ë¯¸ì „ë‹¬ì˜ ìˆ˜ì›”ì„±ì´ë¼ëŠ” 측면ì—서 ì£¼ëª©ì„ ìš”í–ˆë‹¤. 하지만 행복ì´ëž€ ë‹¨ì–´ì˜ ì–´ê°ì´ 주는 ì‹ ì„ ë„ì˜ ê²°ì—¬ëŠ” 새로운 대체어를 요구했다. 그래서 í•„ìžëŠ” ì´ ìžë¦¬ë¥¼ 빌려 ê³µì‹ì ìœ¼ë¡œ 행복화와 버금갈 수 있으면서 ì¶œì „ì´ í™•ì‹¤í•œ ‘å‰ç¥¥ç•µâ€™ë¼ëŠ” 용어를 ì œì‹œí•˜ê³ ìž í•œë‹¤. ê¸°ì™•ì˜ ê¶í™”와 ë¯¼í™”ì˜ ì£¼ì œê°€ 행복추구였다면 êµ³ì´ ê¸¸ìƒí™”ë¼ëŠ” ìš©ì–´ì— ëŒ€í•˜ì—¬ 거부반ì‘ì„ í¬ê²Œ 내세울 ê²ƒë„ ì•„ë‹ˆë¼ê³  믿기 때문ì´ë‹¤.21)

“민화가 ê¶ê·¹ì ìœ¼ë¡œ 소ë§í•˜ëŠ” ê²ƒì€ í–‰ë³µì´ë‹¤. 장수로부터 ê°€ì •ì˜ í–‰ë³µ, 사회ì ìœ¼ë¡œ 출세하는 ì¼ì— ì´ë¥´ê¸°ê¹Œì§€, ê°œì¸ì˜ 행복ì—서 ì‚¬íšŒì  í–‰ë³µê¹Œì§€ ë§ë¼í•œë‹¤. ì´ ê°€ìš´ë° ê°€ìž¥ 중시한 ê²ƒì´ ê°€ì •ì˜ í–‰ë³µì´ë‹¤. 행복한 ê°€ì •ì„ ê¾¸ë¦¬ê³  행복하게 살려는 소ë§ì´ 민화 ì†ì—는 넘ì³ë‚œë‹¤. 그러한 ì ì—서 민화는 í–‰ë³µì´ ê°€ë“한 그림ì´ë‹¤. ë³µì„ ë§Žì´ ë°›ê³  출세하며 오래 살게 ë˜ë‹ˆ, ì´ë³´ë‹¤ ë” í–‰ë³µí•œ ê·¸ë¦¼ì´ ì–´ë”” 있겠는가? í–‰ë³µì€ ë¯¼í™”ì˜ í‚¤ì›Œë“œì´ìž 다른 회화와 구분ë˜ëŠ” 중요한 ìƒì§•ì½”ë“œì¸ ê²ƒì´ë‹¤. ë¯¼í™”ì˜ ì•„ë¦„ë‹¤ìš´ ì´ë¯¸ì§€ëŠ” 대부분 í–‰ë³µì„ ì¶”êµ¬í•˜ëŠ” ìƒì§•ì´ ë°”íƒ•ì´ ë˜ì–´ ìžˆê¸°ì— ê·¸ ì´ë¯¸ì§€ê°€ ë”ìš± 소중하고 í’요로워 ë³´ì´ëŠ” 것ì´ë‹¤. 민화는 ì¸ê°„ì˜ ì›ì´ˆì ì¸ ìš•ë§ì— 기초하고 있다. 격조와 ì´ì„±ì˜ 세계를 중시하는 문ì¸í™”와 달리 민화ì—서는 ê°ì„±ê³¼ ìš•ë§ì„ ê±°ì¹¨ì—†ì´ í’€ì–´ë†“ì•˜ë‹¤. 민화 ì†ì— 펼ì³ì§„ í–‰ë³µì˜ ì„¸ê³„ëŠ” 매우 현실ì ì´ê³  ì¸ê°„ì ì´ë©° 탈권위ì ì¸ ì„±ê²©ì„ ë¤ë‹¤. 우아함보다는 실질ì ì¸ ê²ƒì„ ì¶”êµ¬í•˜ê³ , ì´ë…ì ì´ê¸°ë³´ë‹¤ëŠ” 따뜻한 ì¸ê°„미를 중시하며, 권위로 지배하기보다는 í‰ë“±í•œ 세ìƒì„ 꿈꾼다. ì„œë¯¼ì˜ ì •ì„œì™€ ê°ì„±ê³¼ 위ìƒì´ ìˆ¨ê¹€ì—†ì´ ë“œëŸ¬ë‚œ 것ì´ë‹¤.â€22)

행복추구, ì´ëŠ” 우리 전통 채색화가 지니고 있는 íŠ¹ì„±ì˜ ë˜ ë‹¤ë¥¸ í‘œí˜„ì¼ ê²ƒì´ë‹¤. ì´ì œ 길ìƒí™”ë¼ëŠ” 용어로 ê³¼ê±°ì˜ ê¶í™”와 민화를 아우르면서, 보다 í­ë„“게 한국 ì±„ìƒ‰í™”ì˜ ìž…ì§€ë¥¼ 보다 굳건하게 í•  필요가 있다. 형ì‹ìƒìœ¼ë¡œëŠ” 채색화ì´ì§€ë§Œ ë‚´ìš©ìƒìœ¼ë¡œëŠ” 길ìƒí™”ë¼ëŠ” ì , ì´ì œ 민화/ê¶í™”ì˜ í¬ê´„ì  ëŒ€ì²´ 용어로 길ìƒí™”ë¼ëŠ” 용어를 심ê°í•˜ê²Œ 검토할 때가 아닌가 한다. ì´ë¥¸ë°” 민화 소재 ê°€ìš´ë° ì†ŒìƒíŒ”경과 ê°™ì€ ì‚°ìˆ˜í™” ë¶€ë¶„ë„ ë„“ì€ ì˜ë¯¸ë¡œëŠ” 길ìƒê³¼ ë§¥ë½ì„ ê°™ì´í•œë‹¤ê³  ë³¼ 수 있다.

“고리키는 ‘민요는 비관주ì˜ì™€ 완전히 ì¸ì—°ì„ ëŠì€ 것ì´ë‹¤â€™ë¼ê³  ë§í–ˆë‹¤. 민간미술 역시 마찬가지ì´ë‹¤. ë‚´ìš©ì—ì„œì˜ ë‚™ê´€, 길ìƒ, ì´ìƒ, ì •ê° ë“±ê³¼ ì–‘ì‹ì—ì„œì˜ ë§ˆì¹˜ ë¶‰ì€ ë¶ˆì´ íƒ€ì˜¤ë¥´ëŠ” 듯한 ì •ì—´ì ì¸ 아름다움 ë“±ì€ ëª¨ë‘ ë„˜ì³ë‚˜ëŠ” 활력과 낙관주ì˜ì˜ ë°˜ì˜ì´ 아닌 ê²ƒì´ ì—†ë‹¤. ì´ë¥¸ë°” ‘가진 것 없고 힘없는 ìžâ€™ì˜ ì‚¶ì— ëŒ€í•œ 태ë„와 ê·¸ë“¤ì˜ ë¶„íˆ¬ ì •ì‹ , ìƒëª…ì— ëŒ€í•œ 뜨거운 사랑, 그리고 ìžì‹ ê°ì´ 충만한 민족ì ì¸ 성격 ë“±ì€ ì´ë“¤ì˜ ì˜ˆìˆ ì´ ê°€ì§€ëŠ” ë‚™ê´€ì  ë°”íƒ•ì˜ ì›ì²œì´ ë˜ëŠ” 것들ì´ë‹¤.â€23)

20) 기시 후미카즈(岸文和), <ê¸¸ìƒ ë„ìƒí™” -민화와 행복>, [í•œêµ­ì˜ ì±„ìƒ‰í™”](2), 다할미디어, 2015, 344쪽
21) 졸고, <í–‰ë³µì„ ë‹´ì€ ìƒ‰ê¹”ê·¸ë¦¼ 길ìƒí™” 다시 보기>, [월간 미술], 2015, 4
22) 정병모, <ê·¸ë¦¼ì´ ì‚¶ì˜ í–‰ë³µì„ ê°€ì ¸ë‹¤ì¤„ 수 있ì„까?>, [그림으로 본 ì¡°ì„ ], ê·œìž¥ê° í•œêµ­í•™ì—°êµ¬ì› ì—®ìŒ, 글항아리, 2014, 216쪽
23) 郎紹å›, ì•žì˜ ì±…, 319쪽

Ⅵ. 마무리

화가 ìš´ë³´ ê¹€ê¸°ì°½ì€ ê·¸ì˜ ë¯¼í™”ë¡ ì—서 아래와 ê°™ì´ ë§í–ˆë‹¤.

“나는 í•­ìƒ ê±°ì§“ ì—†ì´ ì‚´ë ¤ê³  노력하고 있으며 ë‚˜ì˜ ì˜ˆìˆ ë„ ìˆœìˆ˜ì˜ ì„¸ê³„ë¥¼ 추구하고 있다. ì´ë¥¼í…Œë©´ ì¸ê°„ ë³¸ëŠ¥ì˜ ê±°ì§“ 없는 진솔한 그림- 어쩌면 ê·¸ê²ƒì€ íƒœê³ ì ë¶€í„° ì¸ê°„ì´ ì•„ë‹Œ 미ì˜ì‹ì„ 솔ì§í•˜ê²Œ 표현해 ë†“ì€ ì°¸ëœ ê·¸ë¦¼-ì„ ê·¸ë¦¬ê¸° 위해 무척 ê³ ì‹¬ì„ í•´ì™”ë‹¤. 나는 오랫ë™ì•ˆ ê·¸ ê·¼ì›ì„ 찾아 헤매다가 한국ì ì´ë©´ì„œë„ 순수한 ì¸ê°„ ê°ì •ì„ ê°€ìž¥ 잘 표현해 ë†“ì€ ê²ƒì´ ë°”ë¡œ 우리 ë¯¼í™”ìž„ì„ ì•Œê²Œ ë˜ì—ˆë‹¤.â€24)

민화, 아니 길ìƒí™”는 순수한 ì¸ê°„ ê°ì •ì„ ìž˜ 표현한 장르ì´ë‹¤. 한 ê±¸ìŒ ë” ë‚˜ê°€ 행복 ì¶”êµ¬ì˜ ì‹œê°ì  산물, ê·¸ê²ƒì€ ë°”ë¡œ 전통 ê¸°ë°˜ì˜ ì±„ìƒ‰í™”ì˜€ë‹¤. 재료와 형ì‹ì  측면ì—서는 채색화였지만 작품 ë‚´ìš©ìƒì˜ íŠ¹ì§•ì€ ê¸¸ìƒí™”였다. 하여 ë¯¼í™”ì˜ ëŒ€ì²´ 용어로 ê¶í™”를 í¬ìš©í•  수 있는 길ìƒí™”ë¼ëŠ” 용어 ì‚¬ìš©ì„ ì œê¸°í•˜ê³ ìž í•œë‹¤. ë³¸ê³ ì˜ ê²°ë¡ ì„ ì •ë¦¬í•œë‹¤ë©´, 다ìŒê³¼ 같다.
첫째, í–‰ë³µì¶”êµ¬ì˜ ì±„ìƒ‰í™”ë¥¼ 민화ë¼ê³  명명한 야나기 ë¬´ë„¤ìš”ì‹œì˜ ì£¼ìž¥ì€ ì˜¤ë¥˜ì˜€ë‹¤. ì´ë¥¸ë°” 민화는 ê²°ì½” ë¬´ëª…ì˜ ì €ì†í•œ í•˜ìˆ˜ì˜ ê·¸ë¦¼ë„ ì•„ë‹ˆì—ˆë‹¤. ë‹¹ëŒ€ì˜ ìˆ˜ì¤€ê¸‰ í™”ê°€ë“¤ì´ ê³µë™ì²´ ì˜ì‹ì— 맞추어 개성ì ì´ê³  ì°½ì˜ì ìœ¼ë¡œ 제작한 ê²ƒì´ ì´ë¥¸ë°” 민화였다. ì´ ì ì€ 오늘날 남아 있는 숱한 ìž‘í’ˆë“¤ì˜ ìˆ˜ì¤€ì´ êµ¬ì²´ì ìœ¼ë¡œ ìž…ì¦í•˜ê³  있다. í™”ê°€ì˜ ì°½ì˜ì„±ì„ 비롯 품격과 채색 재료 다루는 기량 특히 ê³ ê°€ì˜ ì±„ìƒ‰ìž¬ë£Œ ë“±ì„ ê³ ë ¤í–ˆì„ ë•Œ, ì´ ì  ì‰½ê²Œ 수ê¸í•  수 있다.
둘째, 길ìƒí™”(민화)ì˜ í™”í’ìƒ íŠ¹ì§•ì€ è³ªæœ´ç¾Žì´ë‹¤. 민화 ì†ì— ë™ì‹¬ê³¼ ê°™ì€ ì²œì§„í•¨ì„ íŠ¹ì„±ìœ¼ë¡œ ë‹´ê³  있다. ì™•ì‹¤ì˜ ê¶Œìœ„ì ì¸ í™”í’ì€ ì ì§„ì ìœ¼ë¡œ 민간사회ì—서 수용ë˜ë©´ì„œ 질박하고 천진한 세계와 접목ë˜ì—ˆë‹¤.
셋째, 채색 민화 작가 ê°€ìš´ë° ìƒë‹¹ë¶€ë¶„ì€ ì‚¬ì°°ì—서 別畵를 ê·¸ë¦¬ë˜ ç•µåƒ§ì´ì—ˆë‹¤. ì´ëŠ” ë„화서 í™”ì›ì„ 비롯 순수 민간화가 그리고 승려까지 길ìƒí™”ì˜ ìž‘ê°€ í­ì´ 매우 ë„“ì—ˆìŒì„ ì˜ë¯¸í•œë‹¤. 사찰ì—서 ì´ë¥¸ë°” 민화 ì œìž‘ì— ì ê·¹ 참여했다는 ì‚¬ì‹¤ì€ ì§€ê¸ˆê¹Œì§€ 정리ë˜ì—ˆë˜ 민화개ë…ì— ëŒ€í•˜ì—¬ 새로운 시ë„를 촉구한다.
넷째, 현재 민화ë¼ëŠ” 용어 ì†ì—는 ê¶í™”를 í¬ìš©í•˜ê³  있는 ëª¨ìˆœì´ ìžˆë‹¤. 아니 ê·¸ë™ì•ˆ 민화 ê±¸ìž‘ì „ì˜ ì¶œí’ˆìž‘ 대다수는 ê¶í™” ë¶€ë¶„ì´ ì°¨ì§€í–ˆë‹¤. ì´ì— ê¶í™”/ë¯¼í™”ì˜ í˜¼ìž¬ ìƒíƒœë¥¼ 불ì‹ì‹œí‚¤ë©´ì„œ, ë˜ í–‰ë³µì¶”êµ¬ë¼ëŠ” ë‚´ìš©ìƒì˜ 특징과 채색화ë¼ëŠ” 형ì‹ìƒì˜ íŠ¹ì§•ì„ ì‚´ë¦¬ë©´ì„œ, ì´ë“¤ì„ 아우르는 ë¯¼í™”ì˜ ëŒ€ì²´ìš©ì–´ë¡œ 길ìƒí™”ë¼ëŠ” 용어를 ì œì‹œí•˜ê³ ìž í•œë‹¤.

24) 김기창, [운보 김기창], API, 1989, 135쪽

 

글 : 윤범모(ê°€ì²œëŒ€í•™êµ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