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목별 민화 특강 â‘£ 조선시대 ì™•ì„¸ìž ì±…ë´‰ì„ ê¸°ë…하는 ê¶ì¤‘회화로 그려진 요지연ë„

ë„1 요지연ë„, 1800ë…„, ë¹„ë‹¨ì— ì±„ìƒ‰, 8첩, ê° 145×54cm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지연ë„瑤池宴圖는 서왕모가 사는 곤륜산 요지瑤池ì—서 서왕모와 ì£¼ë‚˜ë¼ ëª©ì™•ì´ ë²Œì´ëŠ” 연회 장면과 함께 ìž”ì¹˜ì— ì´ˆëŒ€ë°›ì•„ 오고 있는 여러 ì‹ ì„  ë“±ì˜ ëª¨ìŠµì„ ê·¸ë¦° 그림ì´ë‹¤. 요지연ë„는 조선시대 ê¶ì¤‘ì—서 십장ìƒë„와 함께 장수를 ì—¼ì›í•˜ëŠ” 대표ì ì¸ 채색장ì‹í™”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ê°€ìš´ë° ìš”ì§€ì—°ë„를 주제로 ì™•ì„¸ìž ì±…ë´‰ì„ ê¸°ë…하여 그린 병í’화가 있어 주목ëœë‹¤.

글 박본수(경기ë„박물관 책임학예사)


ìš”ì§€ì—°ë„ ë„ìƒì˜ ì—°ì›ê³¼ 문헌기ë¡

화려한 ì²­ë¡ì§„채와 공필로 그린 ì¡°ì„ ì‹œëŒ€ì˜ ìš”ì§€ì—°ë„는 ì¤‘êµ­ì˜ ìš”ì§€ì„ ê²½ë„瑤池仙境圖나 ë°˜ë„회ë„蟠桃會圖, í•´ìƒêµ°ì„ ë„æµ·ä¸Šç¾¤ä»™åœ–ì˜ ì˜í–¥ì„ 받아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ì—는 ‘요지연ë„’ë¼ëŠ” ì œëª©ì´ ì—†ê³ , ‘요지헌수ë„瑤池ç»å£½åœ–’, ‘군선회축수ë„群仙會ç¥å£½åœ–’ 등 축수를 강조한 ê·¸ë¦¼ì´ ì¡´ìž¬í•˜ê³  있으며, 중국과 í•œêµ­ì˜ ìš”ì§€ì—° 관련 ê·¸ë¦¼ì€ ê·¸ 내용과 ë„ìƒì—서 ì°¨ì´ë¥¼ ë³´ì¸ë‹¤(ë„2). ì¤‘êµ­ì˜ ê²½ìš° 주로 세로로 긴 ì¶•ì˜ í˜•ì‹ìœ¼ë¡œ 제작ë˜ì—ˆë‹¤. 반면 현존하는 ì¡°ì„ ì‹œëŒ€ì˜ ìš”ì§€ì—°ë„는 대체로 가로로 긴 ì—°í­ì˜ ë³‘í’ í˜•ì‹ì´ë©° 요지ì—ì„œì˜ ì—°íšŒ 장면과 요지를 향해 ê°ê° 하늘과 바다, ë•…ì—서 오는 ì¸ë¬¼êµ°ì„ 그린 ë¶€ë¶„ì´ í™”ë©´ì˜ ì ˆë°˜ ì •ë„를 ì´ë£¬ë‹¤. 요지를 향해 오는 ì‹ ì„ ë“¤ì€ ëª…ì²­ ëŒ€ì— ìœ ìž…ëœ ì¤‘êµ­ì˜ ì†Œì„¤ì¸ ã€Šì„œìœ ê¸°è¥¿éŠè¨˜ã€‹ 등ì—서 ì–¸ê¸‰ëœ ì„가모니, ë…¸ìž, ë³´ì‚´, 수로ì¸ê³¼ íŒ”ì„ ì„ ë¹„ë¡¯í•˜ì—¬ ì„ ê³„ì˜ ìˆ˜ë§Žì€ ì‹ ì„ ë“¤ì´ë‹¤. 요지연ì´ë¼ëŠ” 주제와 기본ì ì¸ ë„ìƒì€ 중국ì—서 빌려온 것ì´ì§€ë§Œ 조선시대 í™”ê°€ë“¤ì€ ì´ë¥¼ 한국ì¸ì˜ 기호를 ì‚´ë ¤ ì‘용하였다. 서왕모가 ì´ì•¼ê¸°ì˜ ì¤‘ì‹¬ì¸ ë§Œí¼ ê¶ê·¹ì ìœ¼ë¡œ 장수와 ê¸°ë³µì˜ ì˜ë¯¸ë¥¼ ë‹´ì€ ì ì€ ì–‘êµ­ì´ ê³µí†µì ì´ì§€ë§Œ ì œìž¬ì˜ ì„ íƒê³¼ 화면 êµ¬ì„±ì— ìžˆì–´ì„œëŠ” ì°¨ì´ê°€ 있다.
ìš°ë¦¬ë‚˜ë¼ ê³ ë¬¸í—Œì—는 서왕모나 요지 관련 기ë¡ì´ 대략 ë³´ì•„ë„ 300ì—¬ ê±´ 넘게 산견ë˜ëŠ”ë°, ì¡°ì„  중기 정문부(鄭文孚, 1565~1624)ì˜ ë¬¸ì§‘ì— <요지연ë„瑤池宴圖>ë¼ëŠ” 시가 있다. ë˜ ì„œí™”æ›¸ç•µì— ëŒ€í•œ 취미가 ê°•í–ˆë˜ ìˆ™ì¢…ì€ <제요지대회ë„題瑤池大會圖> ë¿ë§Œ ì•„ë‹ˆë¼ <ì—¬ë™ë¹ˆë„呂洞賓圖>와 <팔선ë„八仙圖> 등 ì‹ ì„  ê·¸ë¦¼ì— ëŒ€í•œ ê¸€ì„ ë‚¨ê²¨ 놓았다. ì´ë¥¼ 통해 중국ì—서 요지연ë„ê°€ 전래ë˜ì–´ 그려지고 ê°ìƒì´ ëœ ë•ŒëŠ” 16세기부터ë¼ê³  í•  수 있으며, 숙종 ëŒ€ì¸ 17세기 ë§ê³¼ 18세기 ì´ˆì—는 요지연ë„와 함께 여러 ì‹ ì„ ë„ë“¤ì´ ê°ìƒí™”로서 향유ë˜ì—ˆìŒì„ 알 수 있다.


ë„2 전傳 유송년劉æ¾å¹´, 요지헌수ë„瑤池ç»å£½åœ–, 16세기 ì´ˆ, ë¹„ë‹¨ì— ì±„ìƒ‰, 198.7×109.1cm , 대만 국립고ê¶ë°•ë¬¼ì› ì†Œìž¥


요지연ë„로 그린 왕세ìžì±…례계병

현존하는 ì¡°ì„  후기 요지연ë„는 주로 ë³‘í’ í˜•ì‹ìœ¼ë¡œ 전하며 ê·¸ 수는 대략 30ì—¬ ì ì— ì´ë¥¸ë‹¤. 특히 왕세ìžì˜ 책례冊禮와 탄강誕é™ì„ 축하하는 계병으로 ì œìž‘ëœ ì‚¬ë¡€ê°€ 4~5ê±´ì´ë‚˜ ë˜ëŠ” 것으로 파악ë˜ê³  있으며, ê·¸ 중ì—서 가장 중요한 ìž‘í’ˆì´ êµ­ë¦½ì¤‘ì•™ë°•ë¬¼ê´€ 소장 <요지연ë„>ì´ë‹¤(ë„1). 8첩 ë³‘í’ ê° í­ì˜ í¬ê¸°ê°€ 세로 145cm, 가로 54cmì¸ ì´ ìž‘í’ˆì€ 1800ë…„(ì •ì¡°24)ì— í›—ë‚  순조 ìž„ê¸ˆì´ ë  ì™•ì„¸ìžì˜ ì±…ë´‰ì„ ê¸°ë…, 선전관청ì—서 ë°œì˜í•˜ì—¬ 제작한 왕세ìžì±…례계병王世å­å†Šç¦®å¥‘屛으로 알려져 있다. ì´ ìž‘í’ˆì—는 서문과 ì¢Œëª©ì´ ìžˆì–´ ê·¸ 제작 연대를 알 수 있고, ê·¸ë¦¼ì´ ë¹„êµì  온전히 ë³´ì¡´ë˜ì–´ ë¯¸ìˆ ì‚¬ì  ì˜ì˜ë¥¼ 충분히 지닌 작품ì´ë¼ê³  ìƒê°í•œë‹¤.


(좌) ë„2-2 <요지연ë„> ì œ8첩 좌목 (ìš°) ë„2-1 <요지연ë„> ì œ1첩 서문



병í’ì˜ ì˜¤ë¥¸ìª½ìœ¼ë¡œë¶€í„° 살펴보면 첫 번째(ì œ1첩)와 마지막 첩(ì œ8첩)ì€ ê°ê° 서문과 좌목ì´ê³ , ì œ2첩ì—서 7ì²©ê¹Œì§€ì˜ ì—¬ì„¯ ì²©ì— ê±¸ì³ ìš”ì§€ì—ì„œì˜ ìž”ì¹˜ 장면과 ìž”ì¹˜ì— ì˜¤ëŠ” 군선群仙과 여러 ì¸ë¬¼ë“¤ì´ 묘사ë˜ì–´ 있다.
서문(ë„2-1)ì„ ì§€ì€ ì´ì‹œìˆ˜(æŽæ™‚ç§€, 1745~1821)는 ì˜ì¡°ëŒ€ì— ì§„ì‚¬ì‹œì— í•©ê²©í•œ 후 ì¦ê´‘ë¬¸ê³¼ì— ë³‘ê³¼ë¡œ 급제, 병조·ì´ì¡°Â·í˜¸ì¡°ì˜ íŒì„œë¥¼ 역임하고 ìš°ì˜ì •ì´ ë˜ì—ˆë‹¤ê°€ ìˆœì¡°ëŒ€ì— ì¢Œì˜ì •ì„ ê±°ì³ ì˜ì˜ì •ì— ì˜¬ëžë˜ ì¸ë¬¼ë¡œ 정조와 ìˆœì¡°ì˜ ê·¼ì‹ è¿‘è‡£ì´ì—ˆë‹¤. ì„œë¬¸ì„ í†µí•´ 알 수 있는 ê²ƒì€ í¬ê²Œ 네 가지ì´ë‹¤. 첫째 ‘나ë¼ì— í° ê²½ì‚¬ìŠ¤ëŸ° 예ì‹ì´ ìžˆì„ ë•Œë©´ ê·¼ì‹ ë“¤ì´ ë³‘í’으로 ê·¸ ì¼ì„ 그리게 한 ë‹¤ìŒ ì™¼ìª½ì— ì´ë¦„ì„ ì¨ì„œ 후세 ì‚¬ëžŒë“¤ì´ ì˜› ì¼ì„ 살펴볼 수 있ë„ë¡ í•˜ê¸° 위함’ì´ë¼ê³  ê·¸ë¦¼ì˜ ì œìž‘ ë™ê¸°ë¥¼ ë°í˜”다. 둘째, ì •ì¡° 24ë…„(1800) 2ì›” 2ì¼ì— ì¡°ì„ ì˜ 23대 ì™•ì¸ ìˆœì¡°(純祖, 1790~1834) ìž„ê¸ˆì´ ë  ì™•ì„¸ìžì˜ 관례와 ì±…ë¡€ì˜ì‹ì„ 거행했다. 셋째, ê·¸ 행사를 기ë…한 병í’ê·¸ë¦¼ì„ ë§Œë“  í›„ì— ì„ ì „ê´€ì²­ì—서 ì„ ì „ê´€ì„ ê²¸ì§í•œ ì ì´ 있는 ìš°ì˜ì • ì´ì‹œìˆ˜ì—게 서문 ìž‘ì„±ì„ ë¶€íƒí•˜ì˜€ë‹¤ëŠ” ì ì´ë‹¤. 넷째, ì´ ê·¸ë¦¼ì€ ì²œ ë…„ì— í•œ 번 만날 성대한 예ì‹ì„ 기ë…하기 위해 그려진 ‘책례계병ë„冊禮稧屛圖’ë¼ëŠ” ì ì´ë‹¤. 순조는 ì •ì¡°ì˜ ë‘˜ì§¸ 아들ì´ë‹¤. 첫째 아들 문효세ìž(æ–‡å­ä¸–å­, 1782-1786)는 ë‘ ì‚´ 때 왕세ìžë¡œ ì±…ë´‰ë˜ì—ˆì§€ë§Œ 다섯 ì‚´ì„ ë„˜ê¸°ì§€ 못하고 세ìƒì„ 떠났다. 문효세ìžê°€ 죽고 나서 4ë…„ í›„ì— ìˆœì¡°ê°€ 태어났다. 정조는 ì›ìžê°€ 11ì‚´ì´ ë˜ê¸°ë¥¼ 기다려 왕세ìžë¡œ 책봉했다.
좌목(ë„2-2)ì—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선전관宣傳官 ì´ê²©æŽæ ¼â€™ì„ í•„ë‘로 하여 ì´ë™ì„ , ì´ì‹ ê²½, ì´ì–µ, ì´ì‘ë³µ, ê¹€ìƒìˆœ, ì´ì‹, ì´ê²½ë•, 신굉, 조문ì„, ì´ì¡´ê²½, 조윤ê¸, ì´ê¸°ì •, 한계í’, ì´ê¸¸íšŒ, 안광찬, ì´ê´‘ë„, 남ì„구, 안광질 등 19ëª…ì˜ ê´€ì§ëª…ê³¼ ì´ë¦„ì´ ê¸°ë¡ë˜ì–´ 있다. ì´ë“¤ì€ ëª¨ë‘ ì„ ì „ê´€å®£å‚³å®˜ì´ë‹¤. ì„ ì „ê´€ì€ ì¡°ì„ ì‹œëŒ€ êµ­ì™•ì˜ ëª…ë ¹ì„ ì „ë‹¬í•˜ëŠ” 임무를 ë§¡ì•˜ë˜ ê´€ì§ì´ë‹¤.
《조선왕조실ë¡ã€‹ì—서 ì„œë¬¸ì„ ì“´ ì´ì‹œìˆ˜ì˜ ê´€ì§ëª…ì´ ìš°ì˜ì •ì—서 좌ì˜ì •으로 ë°”ë€ ì‹œì ì„ 찾아보면 1800ë…„ 7ì›” 4ì¼ì´ë‹¤. ì´ì‹œìˆ˜ì˜ ê´€ì§ì€ 책봉례 당시ì—는 ìš°ì˜ì •ì´ì—ˆë‹¤ê°€ ì •ì¡°ê°€ 붕어한 í›„ì— ì¢Œì˜ì •ì´ ë˜ì—ˆë‹¤. 정조는 ì´ í•´ 2ì›” 2ì¼ì— ì™•ì„¸ìž ì±…ë´‰ì˜ ì˜ˆë¥¼ 치른 후 6ì›” 28ì¼ ìž¬ìœ„ 24ë…„ 3개월 ë§Œì— 49세로 ìƒì„ 마ê°í•˜ì˜€ë‹¤. 그러므로 ì´ ìž‘í’ˆì€ 1800ë…„ 2ì›” 2ì¼ ì´í›„ì—서부터 7ì›” 4ì¼ ì´ì „ê¹Œì§€ì˜ ì–´ëŠ ì‹œì ì— ê·¸ë¦¼ì˜ ì„œë¬¸ì„ ë°›ì•„ 병í’ì˜ í˜•ì‹ìœ¼ë¡œ ì™„ì„±ëœ ê²ƒìœ¼ë¡œ 추측할 수 있다.


(왼쪽부터) ë„1-3 <요지연ë„> ì œ4첩 / <요지연ë„> ì œ3첩 / <요지연ë„> ì œ2첩


ìš”ì§€ì—°ë„ ë° ê¶ì¤‘회화 ì–‘ì‹ ì¶”ì •ì˜ ê¸°ì¤€ì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지연ë„〉(ë„1)ì˜ í™”ë©´ 우반부 세 첩(ì œ2~4첩)ì— ê±¸ì³ ê·¸ë ¤ì§„ 요지연 ìž¥ë©´ì„ ë³´ë©´(ë„1-3), ìƒë‹¨ì— ìƒì„œë¡œìš´ êµ¬ë¦„ì´ ë“œë¦¬ì›Œì§€ê³  ì²­ë¡ì˜ 절벽과 바위로 ë‘˜ëŸ¬ì‹¸ì¸ ì„œì™•ëª¨ì˜ ê±°ì²˜ì—서 잔치가 벌어지고 있다. 서왕모와 주 ëª©ì™•ì€ ë³‘í’ì„ ë°°ê²½ìœ¼ë¡œ 앉아 있고, 그들 앞ì—는 복숭아와 ì„류 ë“±ì˜ ìŒì‹ì´ ì§„ì„¤ëœ ìƒì´ 놓여 있으며 좌우ì—는 ì‹œì¤‘ì„ ë“œëŠ” ì¸ë¬¼ë“¤ì´ ì¦ë¹„하다. 마당ì—는 편종과 편경, 피리와 ìƒí™© ë“±ì„ ì—°ì£¼í•˜ëŠ” ë™ìžë“¤, ë¶ê³¼ 박으로 ë°•ìžë¥¼ 맞추는 옥녀들, 봉황 ë‘ ë§ˆë¦¬ì™€ 함께 ì¶¤ì„ ì¶”ëŠ” ì˜¥ë…€ì˜ ëª¨ìŠµì´ ë¬˜ì‚¬ë˜ì–´ 있다. 요지연 잔치 ìž¥ë©´ì˜ ì˜¤ë¥¸ìª½ 윗 ë¶€ë¶„ì„ ë³´ë©´ ê³ ë™ê¸°ë¬¼ì´ ë†“ì¸ ìƒ ì£¼ìœ„ì—는 옥녀와 공작, 학과 함께 노는 ë™ìž, 그리고 길게 내려오는 계단 아래로는 주 ëª©ì™•ì´ íƒ€ê³  온 팔준마와 수행ì›ë“¤ì˜ ëª¨ìŠµì´ ë³´ì¸ë‹¤. 잔치 ìž¥ë©´ì˜ ì™¼ìª½ ë ë¶€ë¶„ì€ ëŒì„ 쌓아 만든 축대와 ê·¸ ìœ„ì˜ ë‚œê°„ì—서 잔치 장소로 오는 ì´ë“¤ì„ ë§žì´í•˜ëŠ” ì˜¥ë…€ë“¤ì˜ ëª¨ìŠµì´ ê·¸ë ¤ì¡Œë‹¤. ê³³ê³³ì— ë³´ì´ëŠ” ì†Œë‚˜ë¬´ì˜ ëª¨ìŠµì€ ê°ˆìƒ‰ì˜ ì¤„ê¸°ì— ì˜¹ì´ì˜ 묘사가 ë‘드러지며, 태호ì„ì˜ ìƒ‰ë„ ë¶‰ì€ìƒ‰, 파란색, ë¶„í™ìƒ‰ì¡°ë¥¼ ë ê³ , 3천년 ë§Œì— í•œ 번 열린다는 ë°˜ë„ì˜ ëª¨ìŠµë„ ëˆˆì— ë¤ë‹¤. 서왕모가 ì•‰ì€ ë³‘í’ ë’¤ë¡œ 사슴 ë‘ ë§ˆë¦¬ê°€ 유유히 지나가고 있다.


(왼쪽부터) ë„1-4 <요지연ë„> ì œ7첩 / <요지연ë„> ì œ6첩 / <요지연ë„> ì œ5첩



화면 좌반부 세 첩(ì œ5~7첩)ì—는 ë¬¼ê²°ì´ ë„˜ì‹¤ê±°ë¦¬ëŠ” 바다 위와 공중, 그리고 육지로 ì—°ê²°ëœ ê³³ê³³ì—서 요지를 향해 오고 있는 ë„ì„ì¸ë¬¼ìƒë“¤ì˜ ëª¨ìŠµì´ ê·¸ë ¤ì ¸ 있다(ë„1-4). 먼저 ê³µì¤‘ì˜ êµ¬ë¦„ì„ íƒ€ê³  있는 ì¸ë¬¼ë“¤ë¶€í„° 살펴보ë„ë¡ í•œë‹¤. í™”ë©´ì˜ ì¢Œì¸¡(ì œ7첩) ìƒë‹¨ì˜ 구름 위로 한 ë§ˆë¦¬ì˜ ì‚¬ìŠ´ê³¼ ë¶‰ì€ ì˜·ì„ ìž…ì€ ë™ìžì™€ 함께 서 있는 ì¸ë¬¼ì€ 수성노ì¸ì´ë‹¤. ëŒ€ë¶€ë¶„ì˜ ìš”ì§€ì—°ë„ì—는 높고 길다란 ì •ìˆ˜ë¦¬ì˜ ëª¨ìŠµìœ¼ë¡œ í•™ì„ íƒ„ ì¸ë¬¼ë¡œ 그려지는ë°, 여기ì—서는 지팡ì´ë¥¼ 들고 있는 스님 ê°™ì€ í˜•ìƒì´ë‹¤. ê·¸ 오른쪽 íŽ¸ì— ë‘ ëª…ì˜ ë™ìžì™€ 함께 ì„  ë¶‰ì€ ì˜·ì˜ ì—¬ì¸ì€ 월신 í•­ì•„ì´ë‹¤. í•­ì•„ì˜ ì•žì—는 사ìžì™€ ì½”ë¼ë¦¬ì˜ ë“±ì— ì˜¬ë¼íƒ„ 문수보살과 ë³´í˜„ë³´ì‚´ì˜ ì¼í–‰ì´ ë³´ì¸ë‹¤. ê·¸ 오른편으로는 êµ¬ë¦„ì„ íƒ„ ì„가여래와 ì‚¬ì²œì™•ì˜ ì¼í–‰ì´ 있는ë°, ì‚¬ì²œì™•ì˜ ì§€ë¬¼ 중ì—서는 비파와 ë³´ê²€, 보탑 ë“±ì´ ë³´ì¸ë‹¤. ì´ ì¼í–‰ 앞ì—는 ë¶‰ì€ ì˜·ì„ ìž…ì€ ë™ìžì™€ 대화를 하고 있는 ì›ìˆ­ì´ê°€ 그려져 í¥ë¯¸ë¡­ë‹¤. ì´ëŠ” ìš”ì§€ì—°ë„ ë„ìƒì´ ì¡°ì„ ì—서 ì ê·¹ì ìœ¼ë¡œ 구현ë˜ëŠ” 과정ì—서 《서유기》와 ê°™ì€ ì¤‘êµ­ 소설 ì‚½í™”ë¥˜ì™€ì˜ ê´€ë ¨ì„±ì„ ìƒê°í•˜ê²Œ 한다. ì„가여래보다 ë” ìœ„ìª½ì— í™€ë¡œ í•™ì„ íƒ€ë©´ì„œ 피리를 불고 있는 ì¸ë¬¼ì€ 왕ìžêµì´ë‹¤.
다ìŒìœ¼ë¡œëŠ” í•´ìƒì˜ ì¸ë¬¼ë“¤ì´ë‹¤(ë„2-3). ì œ5첩 중간 누대와 가장 가까운 바다 위ì—서 연꽃잎 í˜•íƒœì˜ ë°”êµ¬ë‹ˆì— ì˜ì§€ë¥¼ ê°€ë“ ë‹´ì•„ 들고 가는 ì´ëŠ” 팔선 중ì—서 유ì¼í•œ ì—¬ì„±ì¸ í•˜ì„ ê³ ì´ë‹¤. ì œ6첩 ì¤‘ê°„ì˜ ë¬´ë¦¬ëŠ” íŒ”ì„ ì˜ êµ¬ì„±ì›ë“¤ì¸ 장과로, 한ìƒìž, 조국구, 종리권으로 파악ëœë‹¤. ê°ìžì˜ ì§€ë¬¼ì¸ ì–´ê³ ê°„ìž, í‰ì†Œ, 딱따기, 부채로 ë³´ì´ëŠ” ë¬¼ê±´ì„ ë“¤ê³  있다. ì œ6첩 중간 í•´ìƒ, íŒ”ì„ ì˜ ë’¤ë¡œëŠ” ìžë£¨ ëª¨ì–‘ì˜ ë¬¼ê±´ì„ íƒ„ ì´ë°±ì´ 물 위를 떠간다, ê·¸ 뒤로 ì œ7첩 중간 í•´ìƒì— 나무로 ëœ ìžë¦¬ë¥¼ 타고 있는 장지화와 ê·¸ 뒤편으로는 물고기를 탄 ìžì˜ì´ 그려졌다.


(좌) ë„3-1 《선불기종》 ì‚½ë„ ì¤‘ ‘헌ì›ì§‘軒轅集’ / (ìš°) ë„3-2 《선불기종》 ì‚½ë„ ì¤‘ ‘í’ê°„ì„ è±å¹²ç¦ªâ€™



요지와 ì—°ê²°ëœ í™”ë©´ ì•„ëž˜ìª½ì˜ ìœ¡ì§€ ë¶€ë¶„ì„ ë³´ë©´ ì œ5첩 í•˜ë‹¨ì˜ ì˜ì§€ê°€ ë“  바구니를 지고 가는 ì¸ë¬¼ì€ 안기ìƒìœ¼ë¡œ 추측ëœë‹¤. ê·¸ ë’¤ ì •ìˆ˜ë¦¬ì— ë²„ë“œë‚˜ë¬´ê°€ ìžë¼ê³  있는 유ìžì„ ê³¼ 함께 오고 있는 ì¸ë¬¼ì€ 팔선 ì¤‘ì˜ í•œ ëª…ì¸ ì—¬ë™ë¹ˆì´ë‹¤. ì—¬ë™ë¹ˆì˜ 뒤로 ê²€ì€ ì†Œê°€ ë„는 수레를 탄 ì´ëŠ” ë…¸ìžì´ë‹¤. ë…¸ìž ì¼í–‰ì˜ ë’· 편으로 호랑ì´ë¥¼ 탄 ì¸ë¬¼ì´ 있는ë°, ë‘ ëª…ì˜ ë™ìžê°€ 앞뒤를 호위하는 듯한 모습ì´ë‹¤. ì´ ì¸ë¬¼ì€ ì •ì²´ê°€ 불확실하나, ì¤‘êµ­ì˜ ë„ì„ì¸ë¬¼í™” ìžë£Œì§‘ì¸ ã€Šì„ ë¶ˆê¸°ì¢…ä»™ä½›å¥‡è¸ªã€‹ì„ ì°¸ì¡°í•´ë³´ë©´ 호랑ì´ë¥¼ 탄[騎虎] ë„ìƒì¸ í—Œì›ì§‘軒轅集ì´ë‚˜ í’ê°„ì„ è±Šå¹²ç¦ªì˜ ëª¨ìŠµê³¼ ì—°ê´€ë  ìˆ˜ë„ ìžˆì„ ê²ƒìœ¼ë¡œ ë³´ì¸ë‹¤(ë„3-1, ë„3-2).
1800ë…„ì— ì™•ì„¸ìžì˜ ì±…ë´‰ì„ ê¸°ë…하여 ì œìž‘ëœ êµ­ë¦½ì¤‘ì•™ë°•ë¬¼ê´€ 소장 〈요지연ë„〉는 비êµì  온전한 형태를 지니고 있고, ê·¸ 서문과 좌목으로 ì¸í•´ 제작 배경과 함께 ì—­ì‚¬ì  ì˜ì˜ë¥¼ 알 수 있으며, ë¬´ì—‡ë³´ë‹¤ë„ ì œìž‘ 연대를 알 수 있다는 ì ì—서 매우 중요하다. ì´ëŠ” 요지연ë„ë¿ë§Œ ì•„ë‹ˆë¼ ì—¬íƒ€ ê¶ì¤‘íšŒí™”ì˜ ì–‘ì‹ ë° ì œìž‘ì—°ëŒ€ ì¶”ì •ì— ë‹¨ì„œë¥¼ 주는 ê¸°ì¤€ìž‘ì´ ë  ìˆ˜ 있다는 ì ì—서 ë¯¸ìˆ ì‚¬ì  ì¤‘ìš”ì„±ì„ ê°•ì¡°í•˜ê¸°ì— ì¶©ë¶„í•œ 작품ì´ë‹¤.

참고문헌


박본수, <《정묘조왕세ìžì±…례계병》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지연ë„를 중심으로>, <ê³ ê¶ë¬¸í™”>ì œ13호, 국립고ê¶ë°•물관, 2020


박본수 – 경기ë„박물관 책임학예사


삼성문화재단(호암미술관·삼성미술관), 문화체육관광부를 ê±°ì³
경기문화재단(경기ë„박물관, 경기ë„미술관, 실학박물관) 학예연구ì§ìœ¼ë¡œ ì¼í•˜ê³  있다.
한국민화학회 학술·ì´ë¬´ì´ì‚¬ë¥¼ 지냈으며 현재는 연구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