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채색으로 ìžì—°ì„ 담다 – í™”ì¡°ë„ ì´ˆë³¸

ë„1 í™”ì¡°ë„ ì´ˆë³¸,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í™”ì¡°ë„ ì´ˆë³¸ì´ë‹¤.
ëª¸ë„ ë§ˆìŒë„ 추워지는 요즘, 따뜻한 ë´„ë‚ ì„ ë‹´ì€ í™”ì¡°ë„를 ë³´ë©° 마ìŒì˜ 온기 한 ì¡°ê° ì–»ì–´ê°€ê¸°ë¥¼ 바란다.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í™”ì¡°ë„ ì´ˆë³¸ì„ ì‚´íŽ´ë³´ìž

ì´ ì´ˆë³¸ì€ ê°€íšŒë¯¼í™”ë°•ë¬¼ê´€ì—서 소장 ì¤‘ì¸ í™”ì¡°ë„ ì´ˆë³¸ì´ë‹¤(ë„1). ì´ ì´ˆë³¸ì€ ìœ ì‚°ì§€ì— ê·¸ë ¤ì§„ 그림ì´ë©°, ì´ˆë³¸ì— í•œê¸€ë¡œ ìƒ‰ì±„ëª…ì´ ì“°ì—¬ìžˆë‹¤. ì´ë¥¼ 미루어 ë´¤ì„ ë•Œ 60~70ë…„ëŒ€ì— ê·¸ë ¤ì§„ 초본으로 추정ëœë‹¤. 현재는 í•œì§€ì— ë°°ì ‘ëœ ìƒíƒœë¡œ 소장ë˜ì–´ 있다. ì´ ì´ˆë³¸ì˜ êµ¬ì„±ì„ ì‚´íŽ´ë³´ë©´, ê´´ì„ ì£¼ë³€ì— ëª¨ëž€ê½ƒ 가지가 í’성하게 ìžë¼ë‚˜ 있고, ê´´ì„ ìœ„ì—는 ë‘ ë§ˆë¦¬ì˜ ìƒˆê°€ 정답게 앉아 서로를 마주보고 있다. 공중ì—는 ë‘ ë§ˆë¦¬ 참새가 모란꽃 ìª½ì„ í–¥í•´ 나란히 날아오고 있다. 따뜻한 ë´„ë‚ ìž„ì„ ëŠë‚„ 수 있는 그림ì´ë‹¤. ê´´ì„ì—는 ìžìƒ‰ê³¼ 진녹색, ìží™©ìƒ‰ì„ 색칠하ë¼ëŠ” 표시가 있고 백색으로 ì ì„ ì°ìœ¼ë¼ëŠ” í‘œì‹œë„ ë˜ì–´ 있어, ì™„ì„±ëœ ë¯¼í™”ëŠ” ë°”ìœ„ì˜ ìƒ‰ì´ ë§¤ìš° 진하게 ì±„ìƒ‰ëœ í™”ë ¤í•œ 작품ì´ì—ˆìŒì„ 알 수 있다.


ë„2 ë„1 부분


초본 ì† ìƒˆëŠ” ì–´ë–¤ 새ì¼ê¹Œ

ì´ˆë³¸ì˜ ì™¼ìª½ 중앙ì—는 참새 ë‘ ë§ˆë¦¬ê°€ 그려져 있다(ë„2). ê·¸ëŸ°ë° ì°¸ìƒˆì¸ ê²ƒì„ ì–´ë–»ê²Œ 알 수 있ì„까? ì±„ìƒ‰ëœ ìƒíƒœì—서는 참새ì¸ì§€ 아닌지 비êµì  í•œëˆˆì— ì•Œ 수 있다. 참새는 ì¼ë‹¨ 몸 ìƒ‰ê¹”ì´ ë°°ë¥¼ 제외하고는 ì „ì²´ì ìœ¼ë¡œ 갈색ì´ê³ , 갈색 ê¹ƒí„¸ì— ê²€ì€ìƒ‰ 무늬가 있다. 민화ì—서 실제 새와 가장 비슷하게 그린 새를 찾아보ë¼ë©´ ì°¸ìƒˆë„ í•œìžë¦¬ë¥¼ 차지할 수 있다. ê·¸ëŸ°ë° ì´ˆë³¸ì˜ ê²½ìš°ëŠ” ì‚¬ì •ì´ ë‹¤ë¥´ë‹¤. ‘참새처럼 ìƒê²¼ìœ¼ë‹ˆê¹Œ 참새지’ë¼ê³  하면 좋겠지만, ì±„ìƒ‰ì´ ì—†ê¸° ë•Œë¬¸ì— ì°¸ìƒˆë¼ê³  주장하기 조금 어렵다. 그래서 ì°¸ìƒˆì˜ ë‹¤ë¥¸ íŠ¹ì§•ì„ ì°¾ì•„ì•¼ 한다. 참새는 ë³¼ì— ê²€ì€ìƒ‰ ë˜ëŠ” ì§™ì€ ê°ˆìƒ‰ì˜ ë‘¥ê·¼ ì ì´ 있고, ì˜¨ëª¸ì— ê²€ì€ìƒ‰ ë°˜ì ì˜ 무늬가 있다. 부리는 ì§§ê³ , ê¼¬ë¦¬ê¹ƒë„ ë§¤ìš° 짧다. ë‚ ê°œê¹ƒì€ ë§ˆì¹˜ ë¬¼ë°©ìš¸ì„ ì•„ì£¼ 길게 ëŠ˜ì—¬ë†“ì€ ê²ƒì²˜ëŸ¼ 그려져 있다. ì´ ì´ˆë³¸ ì† ìƒˆëŠ” ì°¸ìƒˆì˜ íŠ¹ì§•ì´ ìž˜ 드러나 있어 ì°¸ìƒˆìž„ì„ ì•Œ 수 있는ë°, 다른 색채명 ì—†ì´ ë¨¹ìœ¼ë¡œ 옅게 채색한 ê²ƒì„ ë³¼ 수 있다. ìƒ‰ì±„ëª…ì´ ì—†ëŠ” ì´ìœ ëŠ” ì´ ìƒˆê°€ 참새ì´ê¸° 때문ì—, 다른 ìƒ‰ì±„ëª…ì„ ì“¸ í•„ìš” ì—†ì´ ì°¸ìƒˆ ê³ ìœ ì˜ ìƒ‰ì„ ì“°ë©´ ëœë‹¤ëŠ” ê²ƒì„ ì˜ë¯¸í•œ 것으로 ë³´ì¸ë‹¤.
ì´ì œ ê´´ì„ ìœ„ì— ì•‰ì•„ìžˆëŠ” 새를 ìžì„¸ížˆ 살펴보ìž. 부리는 ì§§ê³ , ê¼¬ë¦¬ê¹ƒë„ ê¸´ íŽ¸ì´ ì•„ë‹ˆë©°, ë‹¤ë¦¬ë„ ê¸¸ì§€ ì•Šì€ ëª¨ìŠµì´ë‹¤. ìƒˆì˜ ëª¸ì—는 ê° ë¶€ë¶„ì˜ ìƒ‰ì±„ëª…ì´ ê¸°ë¡ë˜ì–´ 있다. ìƒˆì˜ ë¨¸ë¦¬ ë¶€ë¶„ì€ ë‚¨ìƒ‰, 부리는 녹청색, 목 ë¶€ë¶„ì€ í°ìƒ‰, 목 ë¶€ë¶„ì˜ ì ì€ 녹색ì´ë‹¤. 날개는 남색과 ë…¹ìƒ‰ì´ ë²ˆê°ˆì•„ ì“°ì—¬ 있고, ê¼¬ë¦¬ê¹ƒì€ ë…¹ìƒ‰ì´ë‹¤. ìƒˆì˜ ê°€ìŠ´ 부분과 ë‚ ê°œ ë부분ì—는 ë¶„ìƒ‰ì— ì ìƒ‰ìœ¼ë¡œ ì„ ì„ ë§ê·¸ë¦¬ë¼ëŠ” ì˜ë¯¸ì˜ ‘분ì ë§ì„ â€™ì´ë¼ëŠ” 글씨가 쓰여있다. ìƒˆì˜ ë°°ëŠ” 황색과 ë°±ìƒ‰ì´ ì“°ì—¬ìžˆë‹¤. ì „ì²´ì ìœ¼ë¡œ 화려한 ì±„ìƒ‰ì´ ë“¤ì–´ê°„ë‹¤ëŠ” ê²ƒì„ ì•Œ 수 있다. ì´ ìƒˆëŠ” 무슨 새ì¼ê¹Œ? ì¼ë‹¨ ê¼¬ë¦¬ê¹ƒì´ ì§§ê¸° ë•Œë¬¸ì— ê¿©ì€ í™•ì‹¤ížˆ 아니다. 부리가 굽어 있지 않기 ë•Œë¬¸ì— ì•µë¬´ìƒˆë„ ì•„ë‹ˆë‹¤. 그렇다면 ë‹­ì¼ê¹Œ? ë²¼ìŠ¬ì´ ì—†ì–´ì„œ ë‹­ë„ ì•„ë‹ˆë‹¤. ì´ ìƒˆì˜ ì •ì²´ëŠ” ë„대체 무엇ì¼ê¹Œ? 가장 ê°€ëŠ¥ì„±ì´ ë†’ì€ ê²ƒì€ ë¹„ë‘˜ê¸°ë‹¤. ê·¸ ì´ìœ ëŠ” ëª¸ì˜ í˜•íƒœê°€ 가장 í¡ì‚¬í•œ 형태를 ë ê³  있기 때문ì¸ë°, 여기ì—서 비둘기 ìƒ‰ì˜ ë¬¸ì œë¥¼ ì§€ì í•  수 있다. 비둘기 ìƒ‰ì€ ì›ëž˜ 화려하지 않ì€ë° 초본 ì† ìƒˆëŠ” 화려하고 ì§™ì€ ìƒ‰ìœ¼ë¡œ 채색하ë¼ê³  표기ë˜ì–´ 있다. ì´ëŠ” 민화가 장ì‹ì„ 목ì ìœ¼ë¡œ 제작ë˜ê¸°ì— 실제 형태와는 다르게 화려한 ì±„ìƒ‰ì„ ì‚¬ìš©í•˜ëŠ” 경우가 많기 때문ì´ë‹¤.
새들처럼 ìžìœ ë¡­ê²Œ í•˜ëŠ˜ì„ ë‚˜ëŠ” ëª¨ìŠµì€ ìƒìƒë§Œ í•´ë„ ìš°ë¦¬ì˜ ë§ˆìŒì— ìžì—°ì„ 불러온다. 어수선한 세ìƒì„ 벗어나 ìžì—°ìœ¼ë¡œ 나갈 수 없다면, 잠시 민화 ì† ìžì—°ìœ¼ë¡œ 떠나 í‰ì•ˆí•¨ì„ ëŠê»´ë³´ê¸¸ 바란다. 우리 민화는 우리 마ìŒì— ìœ„ì•ˆì„ ì£¼ê¸° 위해 그려진 ìš°ë¦¬ì˜ ë§ˆìŒì´ê¸° 때문ì´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