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ëž‘ì´ ê¸°ìš´ì„ ë°›ì•„ë³´ìž – 까치 í˜¸ëž‘ì´ ì´ˆë³¸

ë„1 까치 í˜¸ëž‘ì´ ì´ˆë³¸, ì¡°ì„  후기, 69×80ãŽ, 지본수묵, ê°œì¸ ì†Œìž¥
(ë„íŒ ì¶œì²˜:국립민ì†ë°•물관, 《한국 í˜¸ëž‘ì´ ë¯¼ì˜ˆã€‹, 대ì›ì‚¬, 1988, p.55)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ê¹Œì¹˜ í˜¸ëž‘ì´ ì´ˆë³¸ì´ë‹¤.
ìž„ì¸ë…„ 호랑ì´í•´ë¥¼ ë§žì•„ 까치 í˜¸ëž‘ì´ ê·¸ë¦¼ì„ ë³´ë©´ì„œ 호랑ì´ì˜ ê¸°ìš´ì„ ë°›ì„ ìˆ˜ 있기를 바란다.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까치 í˜¸ëž‘ì´ ì´ˆë³¸ì„ ì‚´íŽ´ë³´ìž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까치 í˜¸ëž‘ì´ ì´ˆë³¸ì€ í•œì§€ì— ê·¸ë ¤ì§„ 작품으로 ê·¸ë¦¼ì— ë¨¹ ì–¼ë£©ì´ êµ°ë°êµ°ë° 남아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다(ë„1). 호랑ì´ì™€ 까치, 소나무가 한 í™”ë©´ì— ê·¸ë ¤ì ¸ 있으며, 소나무 ì¤„ê¸°ì— ë¹„ëŠ˜ì´ ë¬˜ì‚¬ë˜ì–´ 있는 반면, 소나무 가지는 둥글둥글하게 묘사ë˜ì–´ 있다.
까치 í˜¸ëž‘ì´ ì´ˆë³¸ì€ ì„¸ë°€í•˜ê²Œ 묘사ë˜ì–´ 있지 ì•Šì€ ê²ƒì²˜ëŸ¼ ë³´ì´ì§€ë§Œ, 우리가 까치 호랑ì´ë¥¼ 그릴 때 쓰는 초본과 í¬ê²Œ 다르지 않다는 ì‚¬ì‹¤ì„ ì•Œ 수 있다. 우리가 까치 í˜¸ëž‘ì´ ì´ˆë³¸ì„ ê·¸ë¦´ 때, ì´ˆë³¸ì„ ì„¸ë°€í•˜ê²Œ 그리는 경우가 얼마나 있었는지를 ìƒê°í•´ë³´ìž. ëŒ€ë¶€ë¶„ì˜ ê²½ìš° 그저 í˜¸ëž‘ì´ ìœ¤ê³½ì„  ì •ë„ë§Œ 그려놓고, ì´ˆë³¸ì„ ê·¸ë¦¼ 그릴 종ì´ì— ì˜®ê²¨ë†“ì„ ë•Œ 좀 ë” ì„¸ë°€í•˜ê²Œ 그리는 경우가 ë§Žì•˜ì„ ê²ƒì´ë¼ê³  ìƒê°í•œë‹¤. ì´ëŸ° 현ìƒì€ 우리ì—게 가장 ìµìˆ™í•œ 까치 í˜¸ëž‘ì´ ì¤‘ í•˜ë‚˜ì¸ í˜¸ì•”ë¯¸ìˆ ê´€ 소장 ìž‘í’ˆì„ ê·¸ë¦´ 때 잘 나타날 것ì´ë¼ ìƒê°í•œë‹¤.

(왼쪽부터) ë„2 호작ë„虎鵲圖, ì¡°ì„  후기, 지본채색, 92.5×63ãŽ, 가나문화재단 소장
ë„3 까치 호랑ì´, 1880년대, 지본채색, 103.5×61ãŽ, 가나문화재단 소장
ë„4 솔, ë²”, 까치 그림, ì¡°ì„  ë§ê¸°, 90×58ãŽ, 파리 국립기메ë™ì–‘박물관 소장

까치 호랑ì´ì˜ 변주곡

까치 호랑ì´ëŠ” ì´ì œ 사람들ì—게 유명한 ê·¸ë¦¼ì´ ë˜ì—ˆë‹¤ê³  ë³¼ 수 있다. 요즘 ì£¼ë³€ì„ ì‚´íŽ´ë³´ë©´ ìž„ì¸ë…„ì„ ë§žì´í•˜ì—¬ 까치 í˜¸ëž‘ì´ ê·¸ë¦¼ì„ í™œìš©í•œ ê´‘ê³ ë“¤ì„ ì •ë§ ë§Žì´ ì°¾ì•„ë³¼ 수 있다. ì´ë¯¸ì§€ë§Œ ìµìˆ™í•œ ê²ƒì´ ì•„ë‹ˆë‹¤. ì´ì œëŠ” ì´ˆë“±í•™êµ êµê³¼ì„œì—ë„ ë‹¹ë‹¹í•˜ê²Œ 까치 í˜¸ëž‘ì´ ê·¸ë¦¼ì„ ë¹„ë¡¯í•´ ë¯¼í™”ì— ëŒ€í•œ ë‚´ìš©ì´ ìˆ˜ë¡ë˜ì–´ 있어, 남녀노소 í•  것 ì—†ì´ ê¹Œì¹˜ í˜¸ëž‘ì´ ê·¸ë¦¼ì˜ ì˜ë¯¸ë¥¼ 모르는 ì‚¬ëžŒì´ ê±°ì˜ ì—†ëŠ” ì§€ê²½ì— ì´ë¥´ë €ë‹¤.
한편 까치 í˜¸ëž‘ì´ ì´ˆë³¸ì˜ ì¡´ìž¬ëŠ” 1988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ì§€ê¸ˆê¹Œì§€ë„ ê¹Œì¹˜ í˜¸ëž‘ì´ ì´ˆë³¸ì´ ë‚¨ì•„ìžˆë‹¤ëŠ” ì‚¬ì‹¤ì„ ì•„ëŠ” ì‚¬ëžŒì€ ë§Žì§€ 않다. 그런 ì˜ë¯¸ì—서 지금 ì†Œê°œí•˜ê³ ìž í•˜ëŠ” 까치 í˜¸ëž‘ì´ ì´ˆë³¸ì€ ì‚¬ëžŒë“¤ì˜ ì´ëª©ì„ ëŒê¸°ì— 충분하다. 그렇다면 ì´ ê¹Œì¹˜ í˜¸ëž‘ì´ ì´ˆë³¸ì„ ë°”íƒ•ìœ¼ë¡œ 그려진 ìž‘í’ˆì€ ì–´ë””ì— ìžˆì„까? 지금부터 ì´ ì´ˆë³¸ê³¼ 유사한 í˜•íƒœì˜ ê¹Œì¹˜ í˜¸ëž‘ì´ ê·¸ë¦¼ë“¤ì„ ì‚´íŽ´ë³´ìž.
세 ê·¸ë¦¼ì€ ëª¨ë‘ ê¹Œì¹˜ í˜¸ëž‘ì´ ê·¸ë¦¼ì´ë‹¤(ë„2), (ë„3), (ë„4). ì´ ì„¸ 그림과 까치 í˜¸ëž‘ì´ ì´ˆë³¸ì„ ë¹„êµí•´ì„œ 살펴보면 호랑ì´ì˜ ìžì„¸ì™€ 구ë„ê°€ 유사한 ê²ƒì„ ë³¼ 수 있다. ë„3ê³¼ ë„4는 까치 í˜¸ëž‘ì´ ì´ˆë³¸ê³¼ 좌우가 ë°˜ì „ëœ í˜•íƒœì¸ë°, ì´ëŠ” í•œì§€ì˜ íŠ¹ì„±ìƒ ì¢Œìš° 반전으로 그리기 쉬웠기 ë•Œë¬¸ì— ë‚˜íƒ€ë‚œ 현ìƒìœ¼ë¡œ ì´í•´í•  수 ìžˆì„ ê²ƒì´ë‹¤. 유사한 ê²ƒì€ ìžì„¸ì™€ 구ë„ë§Œì´ ì•„ë‹ˆë‹¤. 호랑ì´ì˜ 귀를 살펴보면 마치 귀가 4ê°œì¸ ê²ƒì²˜ëŸ¼ 그려져 있다. 모든 그림 ì† ê¹Œì¹˜ë“¤ì´ í•œìª½ 다리를 들고 있는ë°, ì´ ë˜í•œ 눈여겨볼 만한 특징ì´ë‹¤. ë”°ë¼ì„œ 세 그림 ëª¨ë‘ ê¹Œì¹˜ í˜¸ëž‘ì´ ì´ˆë³¸ê³¼ëŠ” ì–´ëŠ ì •ë„ ê´€ê³„ê°€ ìžˆì„ ê²ƒì´ë¼ê³  ìƒê°í•  수 있다.
그러나 세 그림 ëª¨ë‘ ê¹Œì¹˜ í˜¸ëž‘ì´ ì´ˆë³¸ê³¼ ì§ì ‘ì ìœ¼ë¡œ ì—°ê´€ì´ ìžˆë‹¤ê³  보기ì—는 확실한 ì¦ê±°ê°€ 부족하다. ê²°ì •ì ìœ¼ë¡œ í•„ìžê°€ 실제로 초본 ìœ ë¬¼ì„ ë³¸ ì ì´ 없기 ë•Œë¬¸ì— ë” ì´ìƒì˜ ì˜ê²¬ì„ ê°œì§„í•˜ê¸°ì— ì–´ë ¤ìš´ ìƒí™©ì´ë‹¤. 다만 비슷한 í˜•íƒœì˜ ê·¸ë¦¼ì´ ë§Žì´ ë‚¨ì•„ìžˆì„ ì •ë„로 ì´ ê¹Œì¹˜ í˜¸ëž‘ì´ ë„ìƒì´ ì¸ê¸°ê°€ ìžˆì—ˆë˜ ê²ƒì„ í™•ì¸í•  수 있다.
올해는 ê²€ì€ í˜¸ëž‘ì´ì˜ í•´ì´ë‹¤. ê²€ì€ í˜¸ëž‘ì´ê°€ 실재하는 ê²ƒì€ ì•„ë‹ˆì§€ë§Œ 우리 ëª¨ë‘ ë§ˆìŒì†ì— ê²€ì€ í˜¸ëž‘ì´ë¥¼ 비롯해 ì €ë§ˆë‹¤ì˜ ìƒ‰ê¹”ì„ ì§€ë‹Œ í˜¸ëž‘ì´ í•œ 마리씩 품고 있ìŒì„ 기억하고, ê·¸ 호랑ì´ì˜ ê¸°ìš´ì„ íž˜ìž…ì–´ 올 í•œí•´ë„ ë¬´íƒˆí•˜ê²Œ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