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ì—서 ì¡°ìžìš©ì„ 만나다

호눌룰루 ì•„ì¹´ë°ë¯¸ 미술관 정문 앞
ì¡°ìžìš© 연구ìž, ê·¸ì˜ í”ì ì„ 찾아나서다

우리 민화 ì—°êµ¬ì˜ ì„ ê°ìž 대갈 ì¡°ìžìš© ì„ ìƒì—게 미국 하와ì´ì— 있는 호놀룰루 ë¯¸ìˆ ê´€ì€ ì¤‘ìš”í•œ ì˜ë¯¸ë¥¼ 지닌 ê³³ì´ë‹¤. 그가 미국ì—서 우리 민화를 주제로 첫 민화 전시회를 ì—° 장소, 다시 ë§í•˜ë©´ ë¯¼í™”ì˜ ì„¸ê³„í™”ë¥¼ 위한 행보를 시작한 첫 ê³µê°„ì¸ ì…ˆì´ë‹¤. 그곳엔 ì•„ì§ë„ ê·¸ì˜ ì²´ì·¨ê°€ 남아있었다.

한국관 입구를 지키고 있는 민화 ‘운룡ë„’

í•„ìžëŠ” 우리 ë¯¼í™”ì˜ ëŒ€ì¤‘í™”ì™€ 세계화를 위해 í‰ìƒì„ 헌신한 대갈 ì¡°ìžìš© ì„ ìƒì— 대한 ë…¼ë¬¸ì„ ì¤€ë¹„í•˜ê³  있다. ìžë£Œë¥¼ 수집하기 위해 문헌ìžë£ŒëŠ” 물론, êµ­ë‚´Â·ì™¸ì— ê±¸ì¹œ ê·¸ì˜ í”ì ì„ 찾아 방문하며 ê·¸ì˜ ì²´ì·¨ë¥¼ ëŠë¼ë ¤ ì• ì“°ê³  있다. ì¡°ìžìš© ì„ ìƒì—게 미국 하와ì´ì— 있는 호놀룰루 ë¯¸ìˆ ê´€ì€ ìžëª» 중요한 ì˜ë¯¸ë¥¼ 지닌 ê³³ì´ë‹¤. 그가 미국ì—서 우리 민화를 주제로 첫 민화 전시회를 ì—° 장소, 다시 ë§í•˜ë©´ ë¯¼í™”ì˜ ì„¸ê³„í™”ë¥¼ 위한 행보를 시작한 첫 ê³µê°„ì¸ ì…ˆì´ë‹¤. 지난 6ì›” 14ì¼, í•„ìžëŠ” ê·¸ 역사ì ì¸ 장소를 찾아가기 위해 ë¹„í–‰ê¸°ì— ì˜¬ëžë‹¤.
공항ì—서 ë‚´ë ¤ 하ì–트호텔 건너편ì—서 시내버스를 타고 ë„착한 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Honolulu Academy of Arts)ì— ë“¤ì–´ì„œë‹ˆ 한국관 전시실 ì „ë©´ì— ìš´ë£¡ë„ê°€ 걸려 있었다. 나를 ì²˜ìŒ ë°˜ê¸´ ê·¸ë¦¼ì´ ìš´ë£¡ë„ë¼ë‹ˆ! ìƒê°ì§€ë„ 못한 그림ì´ì—ˆë‹¤.
êµ¬ë¦„ì— íŒŒë¬»ížŒ 듯한 ìš©ì˜ ë”듬ì´ê°€ ì—¬ì˜ì£¼ë¥¼ 휘ê°ì•„ 채고 있는 힘찬 그림. ì´ ê·¸ë¦¼ì€ êµ­ë¦½ë¬¸í™”ìž¬ì—°êµ¬ì†Œê°€ 2010ë…„ 발간한 『미국 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ã€ì— 실린 2007ë…„ì˜ ì „ì‹œê´€ 사진ì—ë„ ê·¸ ìžë¦¬ì— 그대로 걸려있다. ì´ ìš´ë£¡ë„ê°€ í•œêµ­ê´€ì˜ â€˜ì–¼êµ´â€™ ì—­í• ì„ í•´ 온 ê²ƒì´ ê½¤ 오래 전부터였다는 ë°˜ì¦ì´ë‹¤.
호놀룰루 ì•„ì¹´ë°ë¯¸ ë¯¸ìˆ ê´€ì€ ë¯¸êµ­ ë‚´ì—서 최초로 한국관 ìƒì„¤ì „ì‹œìž¥ì„ ìš´ì˜í•œ ê³³ì´ë‹¤. ì´ ìš´ë£¡ë„는 1979ë…„ <ë™ê²½ì‹ ë¬¸>ì—서 주최하고 ë™ê²½ì„ 비롯한 ì¼ë³¸ 6ê°œ ë„시를 ìˆœíšŒí•˜ì˜€ë˜ â€˜ì´ì¡°ë¯¼í™”’ 전시ë„ë¡ì—ë„ ë‚˜ì˜¤ëŠ” 그림ì´ë‹¤. ì´ â€˜ì´ì¡°ë¯¼í™”’ 전시ì—는 ì¡°ìžìš© ì„ ìƒì´ 설립한 ì—ë°€ë ˆë°•ë¬¼ê´€ì˜ ì†Œìž¥í’ˆì´ ë§Žì´ ì†Œê°œë˜ì—ˆëŠ”ë°, 당시ì—는 ì´ ê·¸ë¦¼ì´ ì¼ë³¸ì¸ ê°œì¸ì†Œìž¥ìœ¼ë¡œ 표기ë˜ì–´ 있다. 우리 ë¯¼í™”ì˜ ì§„ë©´ëª©ì„ ë³´ì—¬ì£¼ì—ˆë˜ ì´ì¡°ë¯¼í™”ì „ì€ ì§€ê¸ˆë„ ë¯¼í™”ì¸ë“¤ì—게 가장 사랑받고 있는 ê°•ë‹´ì‚¬ì˜ ë¼ëŠ” ë„ë¡ì´ 나오게 ëœ ê³„ê¸°ë¥¼ 만든 전시ì´ê¸°ë„ 하다. ì´ ë„ë¡ì—ë„ í˜¸ëˆŒë£°ë£¨ ë¯¸ìˆ ê´€ì˜ ìš´ë£¡ë„ê°€ 수ë¡ë˜ì–´ 있다. ë˜í•œ ì´ ìš´ë£¡ë„는 알란 ì¹´í„° 코벨(Aian Carter Covell, ì¡´ ì¹´í„° ì½”ë²¨ì˜ ì•„ë“¤)ì´ ë¼ëŠ” ì±…ì—서 ì†ë¦¬ì‚° ì—밀레 ë°•ë¬¼ê´€ì˜ â€˜Red Dragon’으로 소개 하고 있다.
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 ë™ì–‘미술 ì „ì‹œê´€ì˜ íšŒí™” 부문만 살펴보면, ë™ì•„시아 3êµ­ì˜ ê·¸ë¦¼ì´ ê°ê¸° 특색있게 분류, ì „ì‹œë¼ ìžˆë‹¤. ì¤‘êµ­ì€ ìˆ˜ë¬µí™”(水墨畵), ì¼ë³¸ì€ ìš°ë¼ìš”ì—(浮世絵), í•œêµ­ì€ ë¯¼í™”(Minwha)ì´ë‹¤. ê° ë‚˜ë¼ë³„로 가장 특색있는 미술 세계를 보여주려고 ì˜ë„하고 있ìŒì„ ëŠë‚„ 수 있었다. 여기서 민화 운룡ë„ê°€ 한국관 입구를 장ì‹í•˜ê³  있는 ì˜ë¯¸ë¥¼ ë˜ìƒˆê²¨ ë³¼ 필요가 있다. ê·¸ê²ƒì€ ìš°ë¦¬ì˜ ì„ íƒì´ ì•„ë‹ˆë¼ ë¯¸êµ­ ë¯¸ìˆ ê´€ì˜ ì„ íƒì´ë‹¤. ê·¸ë“¤ì´ ë¬´ì—‡ì„, ì–´ë–¤ ê·¸ë¦¼ì„ ê°€ìž¥ 한국ì ì¸ 것으로 ë³´ê³  있는가를 ì§ìž‘í•  수 있는 대목ì´ë‹¤.
1975ë…„ ì¡°ìžìš© ì„ ìƒì€ 하와ì´ëŒ€í•™êµ ì•ˆì— ìžˆëŠ” ë™ì„œë¬¸í™”센터(East-West Center)ì˜ ì—°ìˆ˜ì— ì°¸ê°€ 중 ì œí¼ìЍ 홀ì—서 미국 ìµœì´ˆì˜ ë¯¼í™”ì „ì‹œë¥¼ 성공ì ìœ¼ë¡œ 개최하였다. 최ì˜í˜¸ êµìˆ˜ì˜ ë§ì— 따르면 하버드대 ì¶œì‹ ì˜ ê±´ì¶•ê°€ì´ìž ì—밀레 박물관 관장ì´ì—ˆë˜ ì¡°ìžìš©ì˜ 민화 ì „ì‹œì— í˜¸ë†€ë£°ë£¨ 미술관과 하와ì´ëŒ€ 미술관 등 í•˜ì™€ì´ ë¬¸í™”ê³„ëŠ” 유례없는 í° ê´€ì‹¬ì„ ê°€ì¡Œë‹¤ê³  한다. ì¡°ìžìš©ì€ 호놀룰루 ì•„ì¹´ë°ë¯¸ ë¯¸ìˆ ê´€ì„ ë³´ë©´ì„œ 한국ì—ì„œì˜ ë” ë‚˜ì€ ë¯¸ìˆ ê´€ ì¡°ì„±ì„ ê¿ˆê¾¸ì—ˆì„ ê²ƒì´ê³ , 호놀룰루 ë¯¸ìˆ ê´€ì€ ì¡°ìžìš©ì˜ 민화전시를 보면서 한국 ë¯¸ìˆ ì— ëŒ€í•œ í­ë„“ì€ ì•ˆëª©ì„ ê°€ì§€ê²Œ ë˜ì—ˆì„ ê±°ë¼ëŠ” ì¶”ì¸¡ì´ ê°€ëŠ¥í•˜ë‹¤. 어쨌든 ì´ ì „ì‹œíšŒë¥¼ 계기로 그는 한국ì—서 홀로 ê³ ë…하게 ì§€ì¼œì™”ë˜ ë¯¼í™”ì˜ í™•ì‚°ê³¼ ì„¸ê³„í™”ì— ëŒ€í•œ ìžì‹ ê°ì„ 얻었다고 한다.
1978ë…„ <경향신문>ì— ì¡°ìžìš©ì€ “박물관 장사꾼â€ì´ë¼ëŠ” ì œëª©ì˜ ì¹¼ëŸ¼ì„ í†µí•´ 호놀룰루 미술관ì—서 ëŠê¼ˆë˜ ê°íšŒë¥¼ ì´ë ‡ê²Œ ì´ì•¼ê¸°ë¥¼ 하고 있다.
“하와ì´ì—서 민화 전시를 하고 ìžˆì„ ë•Œ ì¼ì´ë‹¤. 한 친구가 ì €ë… ì´ˆì²­ì„ í•˜ì˜€ëŠ”ë° ë°•ë¬¼ê´€ ì‹ë‹¹ì´ë¼ê³  불리는 고급 요리집으로 ê°€ìžëŠ” 것ì´ë‹¤. 박물관 ì‹ë‹¹ì´ ë„대체 ì–´ë–¤ ê³³ì´ëƒê³  물었ë”니 ê·¸ ê³³ì€ í˜¸ë†€ë£°ë£¨ 미술관ì—서 ê²½ì˜í•˜ëŠ” ì¼ë¥˜ì‹ë‹¹ì´ë¼ëŠ” 것ì´ë‹¤.â€
당시 ì¡°ìžìš©ì€ 박물관ì—서 ì‹ë‹¹ì„ ê²½ì˜í•œë‹¤ëŠ” ê²ƒì€ ìƒìƒë„ 하지 못한 ì¼ì´ì—ˆë‹¤. 미국 ë¯¸ìˆ ê´€ì€ ëˆì´ ë§Žì„ ì¤„ ì•Œì•˜ëŠ”ë° ì‹ë‹¹ì„ ê²½ì˜í•˜ì—¬ 유지비로 쓴다는 ë§ì´ 충격으로 ë‹¤ê°€ì™”ë˜ ê²ƒì´ë‹¤. 그는 ì´ëŸ¬í•œ 박물관 ê²½ì˜ ë°©ë²•ì— ëŒ€í•˜ì—¬ ê·¸ì˜ í‘œí˜„ëŒ€ë¡œ ‘심ìƒì¹˜ ì•Šì€ ì¼ì„ 배우게 ë˜ì—ˆë‹¤â€™ê³  고백하고 있다.
그는 ìš°ë¦¬ë„ ë°•ë¬¼ê´€ ê²½ì˜ì— 경제 ì›ë¦¬(經濟 原ç†)를 ë„ìž…í•  때ë¼ëŠ” 견해를 ë°ížˆê³  있다. 당시 다른 친구가 박물관ì—서 ì²­ìžë¥¼ ì‚° ê²ƒì— ì¶©ê²©ì„ ë°›ì•˜ì§€ë§Œ ê¸°ì¦ ë°›ì€ ë§Žì€ ë¬¼í’ˆë“¤ 중ì—서 너무 중복ë˜ê³  불필요한 ê²ƒì€ íŒ”ì•„ì„œ 박물관ì—서 ê¼­ 필요한 ë¬¼í’ˆì„ êµ¬ìž…í•œë‹¤ëŠ” 박물관 ê²½ì œí•™ì— ìˆ˜ê¸í•˜ê²Œ ë˜ì—ˆë‹¤ëŠ” 것ì´ë‹¤. Red Dragon(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ì—ì„œì˜ ëª…ì¹­, Dragon and Clouds)ì´ í•˜ì™€ì´ì—서 한국 ë¯¼í™”ì˜ ë©‹ì„ ë³´ì—¬ì£¼ê³  있는 ì´ìœ ë¥¼ ì´ëŸ° ê´€ì ì—서 ì´í•´í•´ ë³´ë©´ 어떨까?
ì¡°ìžìš©ì´ 박물관 ì‹ë‹¹ì´ë¼ê³  부른 파빌리온 카페는 미술관 ì¤‘ì•™ì˜ ì•„ë¦„ë‹¤ìš´ ì •ì› ì˜†ì— ìžë¦¬ 잡고 있었다. ì´ê³³ì€ ì§€ê¸ˆë„ í•˜ì™€ì´ì—서는 유명한 ì‹ë‹¹ì´ë‹¤. 수제 햄버거와 파스타, ìƒëŸ¬ë“œ, 닭요리 ë“±ì´ ê¹”ë”하였다. ì¡° 박사는 ì €ë…약ì†ì„ 하였다고 í•˜ëŠ”ë° ì§€ê¸ˆì€ 2시까지만 ì£¼ë¬¸ì„ ë°›ì•„ ì ì‹¬ë§Œ 가능하다.
ì•¼ì™¸ì— ë†“ì¸ í…Œì´ë¸”ì— ì•‰ì•„ ì ì‹¬ì„ 먹고 차를 마시면서 í•„ìžê°€ 좋아하는 ì´ìŠ¹ì² ì˜ ë…¸ëž˜ ‘네버 엔딩 스토리’를 떠올렸다. ì¡° 박사와 ìš°ë¦¬ì˜ ë¯¼í™” ì´ì•¼ê¸°ëŠ” ê²°ì½” ë나지 않는 ‘Never ending story’ì´ë‹¤. 그가 ì•‰ì•˜ë˜ ê°™ì€ ìžë¦¬ì— 40ë…„ì´ë‚˜ 지나서 찾아 온 í•„ìžì—게 ì¡° 박사는 ë§í•œë‹¤.
â€œì´ ì„ ìƒ, ì¢‹ì€ ì‹œì ˆì„ ì‚´ê³  있으니 좋겠습니다. 우리 ì„ ë°°ë“¤ì´ ë‹¹ì‹ ë“¤ì„ ìœ„í•´ 열심히 배달부 ë…¸ë¦‡ì„ í–ˆë‹¤ëŠ” 거를 기억하시지요?â€
배달부란 ë§ì€ 심부름꾼ì´ëž€ ì˜ë¯¸ë¡œ í™©í•´ë„ ì‚¬ë‚˜ì´ ì¡° 박사가 ìžì‹ ì„ 가리키는 ë§ì´ë‹¤.

 
호놀룰루 ë°•ë¬¼ê´€ì˜ í•œêµ­ 민화 컬렉션

í•˜ì™€ì´ ìµœëŒ€ì˜ ë¯¸ìˆ ê´€ì¸ í˜¸ë†€ë£°ë£¨ ì•„ì¹´ë°ë¯¸ ë¯¸ìˆ ê´€ì€ í˜¸ë†€ë£°ë£¨ íƒœìƒ ì„ êµì‚¬ì˜ 딸로 미술품 ìˆ˜ì§‘ê°€ì¸ ì•¤ ë¼ì´ìФ ì¿¡(Anna Rice Cooke, 1853-1934)ì´ 1927ë…„ì— ì•„ì‹œì•„ 유물 전시를 위해 개관했다. ê·¸ 유명한 í´ ê³ ê°±ì˜ â€œíƒ€ì´í‹° í•´ë³€ì˜ ë‘ ì—¬ì¸â€ë„ ì´ê³³ì— 있다. ì´ ë¯¸ìˆ ê´€ì€ ì•„ì‹œì•„ì™€ 미국 그리고 ìœ ëŸ½ì˜ íšŒí™”ì™€ 장ì‹ë¯¸ìˆ í’ˆ, 그리고 아프리카와 ì˜¤ì„¸ì•„ë‹ˆì•„ì˜ ì „í†µ 민ì†í’ˆ 등 약 6ë§Œì ì´ 넘는 ìœ ë¬¼ì„ ì†Œìž¥í•œ í•˜ì™€ì´ ìµœê³ ì˜ ì˜ˆìˆ  박물관으로 ì†ê¼½ížŒë‹¤.
ì´ê³³ì— ì†Œìž¥ëœ í•œêµ­ 민화로는 해학반ë„ë„ ë³‘í’, í™”ì¡°ë„ ë³‘í’, ë°±ìžë„ 병í’, ì—°í™”ë„ ë³‘í’, ì–´í•´ë„ ë³‘í’, ë°±ìˆ˜ë°±ë³µë„ ë³‘í’, ì±…ê°€ë„ ë³‘í’, 작호ë„(鵲虎圖), 호ìžë„(虎å­åœ–), 운룡ë„, ê°ëª¨ì—¬ìž¬ë„, ì‚°ì‹ ë„, 무신ë„, ë¬´ë…€ë„ ë“±ì´ ìžˆë‹¤. ê·¸ 중ì—서 무녀ë„를 살펴보면 ë¶‰ì€ ìƒ‰ ëë™ì„ 댄 ê¼­ 맞는 í° ì €ê³ ë¦¬ì— ë‘¥ê¸€ê²Œ 부푼 남색치마를 ìž…ê³  있는 ëª¨ìŠµì´ ì¡°ì„  후기 í’ì†í™” ì¤‘ì— ë¯¸ì¸ë„ì˜ ë³µì‹ì„ ì—°ìƒì‹œí‚¤ì§€ë§Œ ì§ì„ ì— 가까운 철선으로 그려져 있어 ë¯¼í™”ì˜ í˜•ì‹ì´ 확연하다.
『미국 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ã€ì— 수ë¡ëœ 한국 회화 27ì  ì¤‘ í—ˆë°±ë ¨ì˜ ë¬µë§¤ë„ ë“± 3ì ì˜ 수묵화, ì±„ìš©ì‹ ì´ ê·¸ë¦° 오연필 ì´ˆìƒí™”, ì—밀레종 비천ìƒì˜ íƒë³¸ 1ì , 16세기 왕실 ë°œì› ë¶ˆí™”ë¡œ 유명한 ì˜ì‚°íšŒìƒë„ 등 불화 6ì ì„ 제외한 16ì ì´ 민화ì´ë‹¤. ì´ ì •ë„ë©´ 민화야ë§ë¡œ ì´ ë¯¸ìˆ ê´€ì„ ëŒ€í‘œí•˜ëŠ” 한국회화가 아닌가. ì´ê³³ì˜ ì†Œìž¥í’ˆì€ ì¡°ìžìš©ì´ 1976ë…„ í•˜ì™€ì´ ë¯¼í™”ì „ì‹œì—서 ì„ ë³´ì˜€ë˜ ì¢…ë¥˜ì˜ ë¯¼í™”ì´ë‹¤. 물론 ê°™ì€ ë¯¼í™”ëŠ” 아니지만 내용으로 ë³´ë©´ 비슷한 구성ì´ë¼ëŠ” ë§ì´ë‹¤.
호놀룰루 ì•„ì¹´ë°ë¯¸ 미술관ì—서 가장 유명한 민화는 해학반ë„ë„ ë³‘í’ì´ë‹¤. 19~20세기 ê¶ì¤‘ì—서 ì“°ì¸ ê²ƒìœ¼ë¡œ ë³´ì´ëŠ” ì´ ë³‘í’ì€ ì „ì²´ 높ì´ê°€ 270cm로 ì••ë„ì ì¸ í¬ê¸°ì´ê³ , 순금으로 ë°°ê²½ì„ ìž¥ì‹í•˜ì—¬ 화려한 ìœ„ìš©ì„ ë³´ì´ëŠ” í¬ê·€í•œ 병í’ì´ë‹¤. 우측 ìƒë‹¨ì— 금분으로 ì“°ì—¬ ì§„ ìž„ì¸(壬寅, 1842ë…„ ë˜ëŠ” 1902ë…„) 간지가 발견ë˜ì–´ 화제를 ëª¨ì€ ìž‘í’ˆì´ê¸°ë„ 하다. 화기를 남기지 않는 ì¡°ì„  ê¶ì¤‘회화 ì „í†µì„ ë¯¸ë£¨ì–´ 민간ì—서 제작ë˜ì—ˆì„ ê°€ëŠ¥ì„±ë„ ë°°ì œí•  수 없다고 한다.
ëˆ„êµ°ê°€ì˜ ìž¥ìˆ˜ë¥¼ 빌면서 ê·¸ë ¸ì„ ì´ ìž‘í’ˆì€ ì²œë„복숭아가 íƒìŠ¤ëŸ½ê³  바다ì—서 막 í•´ê°€ 떠오르는 ì˜ì›ì˜ ì„¸ê³„ì— ì˜¤ìƒ‰êµ¬ë¦„ì´ ì„¸ìƒì„ ë’¤ë®ê³  아홉 ë§ˆë¦¬ì˜ í•™ì´ ì„ ê²½(仙境)ì„ ì´ë£¨ê³  있다. 특ì´í•œ ì ì€ 메추ë¼ê¸°, 민들레, ë‚˜ë¦¬ê½ƒì´ ë“±ìž¥í•˜ê³  있는 ì ì´ë‹¤.
1928ë…„ ì „ì‹œì‚¬ì§„ì„ ë³´ë©´ ì´ ìž‘í’ˆì˜ ì „ì‹œë¥¼ 위해 특별히 공간 ë§ˆë ¨ì— ê³µì„ ë“¤ì˜€ìŒì„ 알 수 있다. ì¼ë³¸ì˜ ì˜í–¥ì´ ëŠê»´ì§€ëŠ” 해학반ë„ë„ ë³‘í’ì€ 2006ë…„ 7월부터 2007ë…„ 9월까지 14개월 ë™ì•ˆ 한국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보존처리 ì§€ì›ì„ 하였다. 2014ë…„ 2ì›”ì—는 ì´ê³³ 미술관 수장고ì—서 1586ë…„ë„ì— ì œìž‘ëœ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ìš°ë¦¬ë‚˜ë¼ ê³„íšŒë„(契會圖)ê°€ 발견ë˜ì–´ ì£¼ëª©ì„ ë°›ê³  있다.
호놀룰루 ë¯¸ìˆ ê´€ì€ í•˜ì™€ì´ê°€ 가진 ì§€ì—­ì  íŠ¹ì„±ë‹µê²Œ ë™ì„œ ë¬¸í™”ì˜ ê²½ê³„ë¡œì„œ ë™ì–‘ê³¼ í´ë¦¬ë„¤ì‹œì•„ 그리고 서구를 ëª¨ë‘ ì•„ìš°ë¥´ëŠ” ë¯¸ìˆ í’ˆì„ ì „ì‹œí•˜ê³  있는 ê²ƒì´ íŠ¹ì§•ì´ë‹¤. 그런 ì´ìœ ë¡œ 1천여 ì ì— 달하는 ìš°ë¦¬ì˜ ë¬¸í™”ìž¬ê°€ ì´ê³³ì— 있다. ì¡° 박사는 ì´ê²ƒì„ 보면서 무슨 ìƒê°ì„ 하였ì„까?

ë™ì„œë¬¸í™”ì„¼í„°ì— ë‚¨ì€ ì¡°ìžìš©ì˜ ì²´ì·¨

í•˜ì™€ì´ ëŒ€í•™êµ ì—­ì‚¬í•™ë¶€ êµìˆ˜ë¥¼ 지내고 ì€í‡´í•˜ì‹  최ì˜í˜¸(崔永浩, 1931~) êµìˆ˜ 부부와 함께 ë™ì„œë¬¸í™”센터가 있는 호놀룰루 ë§ˆë…¸ì•„ì˜ í•˜ì™€ì´ëŒ€í•™êµë¥¼ 찾았다. ì¡° 박사가 ìˆ˜ì—†ì´ ê±¸ì–´ ë‹¤ë…”ì„ ì˜¨ê°– ê½ƒë“¤ì´ ë§Œë°œí•œ 캠í¼ìŠ¤ë¥¼ 걸으면서 ê·¸ì˜ ì´ì•¼ê¸°ë¥¼ 나누었다.
최 êµìˆ˜ê°€ ë§í•˜ê¸¸, ì¡° 박사는 1975ë…„ì—서 1976ë…„ì— ê±¸ì³ 6개월 ì •ë„ í•˜ì™€ì´ì— ë¨¸ë¬¼ë €ëŠ”ë° ì‚¬ì‹¤ì€ 1ë…„ ì •ë„ ë¨¸ë¬¼ 예정ì´ì—ˆë‹¤ê³  한다. 하지만 타국ì—서 í˜¼ìž ë¯¼í™”ì „ì‹œë¥¼ 준비하ëŠë¼ 너무 무리한 íƒ“ì— ì‹¬ìž¥ì— ì´ìƒì´ ìƒê²¨ ì¼ì° 귀국해야 했다. 1976ë…„ ìžì‹ ì´ 건축한 ì •ë™ì˜ 미국대사관저 준공ì‹ì—는 휠체어를 타고 ê°”ì„ ì •ë„였다. ê·¸ê²ƒì´ ê·¸ì—게는 건축가로서는 ë§ˆì§€ë§‰ì´ ì¼ì •ì´ ë˜ì—ˆë‹¤.
그러나 그는 ëª¸ì´ íšŒë³µë˜ìž 1976ë…„ 12ì›”, í•œêµ­ë°•ë¬¼ê´€í˜‘íšŒì˜ ì „ì‹ ì¸ í•œêµ­ë¯¼ì¤‘ë°•ë¬¼ê´€í˜‘íšŒë¥¼ 창립했다. 1968년부터 8ë…„ ë™ì•ˆ 사립 ë°•ë¬¼ê´€ì¸ ì—밀레 ë°•ë¬¼ê´€ì„ ìš´ì˜í•˜ì˜€ìœ¼ë‹ˆ ë°•ë¬¼ê´€ì˜ ì¤‘ìš”ì„±ì´ë‚˜ ì–´ë ¤ì›€ì— ëŒ€í•´ì„œëŠ” 누구보다 잘 알고 ìžˆì„ í„°ì˜€ë‹¤. 우리 ë¬¸í™”ì— ëŒ€í•œ ìžê°ì´ í¬ë¯¸í–ˆë˜ 시절, ë°•ë¬¼ê´€ì˜ í•„ìš”ì„±ì„ ì ˆê°í•˜ê³  ì´ê³³ ë™ì„œë¬¸í™”ì„¼í„°ì˜ ë°•ë¬¼ê´€ ê²½ì˜ê³¼ì •(Museam Management) êµìœ¡ì— 참가하면서 박물관ì´ì•¼ ë§ë¡œ ë¯¼ì¡±ë¬¸í™”ì˜ ì •ì²´ì„±ì„ ì§€í‚¬ 수 있다는 ì‚¬ì‹¤ì— ë”ìš± í™•ì‹ ì„ ê°€ì§„ 것으로 ë³´ì¸ë‹¤.
당시 ë™ì„œë¬¸í™”센터ì—서는 연수ìƒë“¤ì—게 학비와 ìƒí™œë¹„를 ì§€ì›í•˜ë©´ì„œ 문화, 경제, ì¸êµ¬ 등 여러 ë¶„ì•¼ì— ëŒ€í•œ êµìœ¡ì„ 실시하고 있었다. 그는 ê°êµ­ì—서 온 박물관 ê´€ê³„ìž 10명과 함께 ìƒí™œí•˜ë©´ì„œ 여러 나ë¼ì˜ 박물관 ìš´ì˜ì— 관한 정보를 ì ‘í–ˆì„ ê²ƒì´ë‹¤. 연수 í”„ë¡œê·¸ëž¨ì˜ í•˜ë‚˜ë¡œ ì§„í–‰ëœ ì—밀레 ë°•ë¬¼ê´€ì˜ ë¯¼í™” 전시는 ì œí¼ìЍ 홀ì—서 ì‚°ì‹ ê°ì„ 차리고 ì‹œë£¨ë–¡ì„ ë†“ê³  고사를 지내면서 시작ë˜ì—ˆë‹¤. ì¡° 박사는 코벨 êµìˆ˜ì˜ ë„움으로 하와ì´ëŒ€ 미술대학 í•™ìƒë“¤ì—게 10ì‹œê°„ì— ê±¸ì³ ë¯¼í™”ì— ê´€í•œ ê°•ì˜ë¥¼ 하는 등 민화 ì•Œë¦¬ê¸°ì— ì—´ì •ì ìœ¼ë¡œ 나섰다.
ì¡°ìžìš©ì´ 연수를 ë°›ë˜ 1975ë…„ 당시 ë™ì„œë¬¸í™”센터ì—서 편집위ì›ìœ¼ë¡œ ìžˆì—ˆë˜ íŽ ì¸  윌리암(Feltz William) 아트 프로그램 ë§¤ë‹ˆì €ì˜ íšŒê³ ì´ë‹¤.
“내 기억으로 민화 전시회는 약 ì¼ì£¼ì¼ê°„ ì œí¼ìЍ 홀 회ì˜ì‹¤ì—서 열렸고 ì¡°ìžìš©ì€ ì „ì‹œëœ ìž‘í’ˆì˜ ì†Œìœ ì£¼ë¡œì„œ ì´ ì „ì‹œíšŒì˜ ì±…ìž„ìžì˜€ë‹¤. ë‰´ì§ˆëžœë“œì¸ ì œìž„ìŠ¤ ë§¥(James Mack)ì´ ì£¼ê´€í•œ 6개월 ê³¼ì •ì€ ì¤‘ê°„ ê²½ë ¥ì˜ ë¬¸í™”ê³„ 종사ìžë“¤ì—게 기본ì ì¸ 박물관 ìš´ì˜ì„ êµìœ¡ì‹œí‚¤ëŠ” 과정ì´ì—ˆë‹¤. 약 10명 ì •ë„ì˜ ì•„ì‹œì•„. 태í‰ì–‘ 지역ì—서 온 ì°¸ì„ìžë“¤ 중 ì¡°ìžìš©ì€ 다소 나ì´ê°€ ë§Žì€ íŽ¸ì´ì—ˆìœ¼ë©°, 서울ì—서 ì—밀레 ë°•ë¬¼ê´€ì„ ì´ë¯¸ 소유하고 있었기 ë•Œë¬¸ì— ë°•ë¬¼ê´€ ìš´ì˜ì— 대한 ì§€ì‹ì´ 많았다.â€
최 êµìˆ˜ ë§ì— 따르면 당시 하와ì´ëŒ€ 미대ì—서 미술사를 가르치고 ìžˆë˜ ì¡´ ì¹´í„° 코벨(Jon Carter Covell, 1912~1996) êµìˆ˜ê°€ ì¡° ë°•ì‚¬ì˜ ì˜í–¥ì„ 받아 1976ë…„ í•œêµ­ì„ ë°©ë¬¸í•˜ê²Œ ë˜ì—ˆê³  ê·¸ 후 1978년부터 9ë…„ ë™ì•ˆ í•œêµ­ì— ë¨¸ë¬¼ë©´ì„œ ì¼ë³¸ì— 남아있는 í•œêµ­ë¯¸ìˆ ì— ëŒ€í•œ 연구를 하게 ë˜ì—ˆë‹¤ê³  하였다. ì¼ë³¸ 미술사가 ì „ê³µì´ì—ˆë˜ ì½”ë²¨ì€ í•œêµ­ì—서 머무는 ë™ì•ˆ 그때까지 ì¼ë³¸ 것ì´ë¼ê³  ë¯¿ì—ˆë˜ ê²ƒë“¤ì´ í•œêµ­ 것ì´ëž€ ê²ƒì„ ê¹¨ë‹«ê²Œ ë˜ì—ˆë‹¤. 그래서 그녀ì—게 ë§Žì€ ê¸°íšŒë¥¼ 준 ì¼ë³¸ì— 대해 í•™ìžì  양심으로 비íŒí•˜ë©´ì„œ ì¼ë³¸ ì†ì— 남아 있는 ìˆ˜ë§Žì€ í•œêµ­ë¯¸ìˆ ì„ ë°í˜€ë‚´ê¸°ë„ 했다. 한국 문화가 중국ì´ë‚˜ ì¼ë³¸ì˜ 아류 ì •ë„로 ì—¬ê²¨ì§€ë˜ 1970년대 ë§ì— ì½”ë²¨ì€ ì„¸ê³„ ì†ì— 한국 문화를 알린 ë‘˜ë„ ì—†ëŠ” 귀중한 미술사학ìžë‹¤. ê·¸ë§Œí¼ ì¡°ìžìš© 박사가 코벨 êµìˆ˜ì—게 준 ì˜í–¥ì€ ì •ë§ ê°’ì§„ 것ì´ë‹¤.
í•„ìžëŠ” 호놀룰루ì—서 만난 ì¡°ìžìš© ë°•ì‚¬ì˜ ì´ì•¼ê¸°ë¥¼ 그가 한국민중박물관협회 íšŒìž¥ì„ ìˆ˜ë½í•˜ë©´ì„œ 배달부 ë…¸ë¦‡ì„ ì—´ì‹¬ížˆ 하겠다는 ì¸ì‚¬ë§ë¡œ 마무리 하려고 한다. ê·¸ì˜ ëª©ì†Œë¦¬ê°€ 들리는 듯하다.
“제가 ì—¬ê¸°ì— íšŒìž¥ì„ ë§¡ëŠ”ë‹¤ëŠ” ê²ƒì€ ì–´ìš¸ë¦¬ì§€ 않는 얘기ì´ê³  사실 제게 어울리는 ê²ƒì€ ë°°ë‹¬ë¶€ 노릇입니다. 배달부 ë…¸ë¦‡ì„ í•˜ë¼ë©´ 서슴치 않고 ë°¤ë‚®ì„ ë›°ì–´ì„œ í•˜ê² ëŠ”ë° íšŒìž¥ì„ í•´ë¼. ì°¸ 당황하지 ì•Šì„ ìˆ˜ 없습니다. 그러나 ì—¬ëŸ¬ë¶„ì˜ ëœ»ì´ë¯€ë¡œ 그저 ì œ ìƒê°ì€ íšŒìž¥ì´ ëœ ê²ƒì´ ì•„ë‹ˆë¼ ê³¼ê±°ì™€ 마찬가지로 그저 배달부로서 여기 ë›°ê³  저기 뛰어서 배달부 ë…¸ë¦‡ì„ ì¶©ì‹¤ížˆ 하겠다는 한마디 맹세를 하겠습니다.â€

 

글·사진 : ì´ì˜ì‹¤(한국민화센터 ì´ì‚¬, 연구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