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를 ìžƒì€ ì´ˆë³¸ì§‘, 민화 초본집Ⅱ

지난 시간ì—는 민화 ì´ˆë³¸ì§‘ì´ í˜•íƒœë¥¼ ìžƒì€ ì´ìœ ì— 대해 살펴보았다.
ì´ë²ˆ 시간ì—는 ì´ˆë³¸ì§‘ì— ë‚¨ê²¨ì§„ 문장 중 ì¼ë¶€ë¥¼ í•´ì„하는 ê³¼ì •ì„ í†µí•´
ì´ ì´ˆë³¸ì´ ì–´ë–¤ ì˜ë¯¸ì™€ 가치가 있는지 ì•Œì•„ë³´ê³ ìž í•œë‹¤.

글 ì´ë‹¤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ì´ˆë³¸ì— ì“°ì¸ ê¸€ì”¨

ê°€íšŒë¯¼í™”ë°•ë¬¼ê´€ì— ì†Œìž¥ëœ ë¯¼í™” ì´ˆë³¸ì§‘ì€ ì´ 8í­ìœ¼ë¡œ 구성ë˜ì–´ 있는ë°, ê° ê·¸ë¦¼ì„ ì‚´íŽ´ë³´ë©´ ë§Žì€ ê¸€ì´ ìžˆëŠ” ê²ƒì„ ë³¼ 수 있다.(ë„1~4) 그렇다면 ì—¬ê¸°ì— ìžˆëŠ” ê¸€ì€ ì–´ë–¤ ë‚´ìš©ì¼ê¹Œ? 그중 하나를 살펴보ë„ë¡ í•˜ìž.

己酉夿Є(기유하초)
기유년 여름 ëì—
åæ¼±çŽ‰å ‚å‡ ä¸Š(좌수옥당궤ìƒ)
수옥당漱玉堂 *ê¶¤ì— ì•‰ì•˜ëŠ”ë°
驿œ‰ç´ çµ¹æ®ä¹‹(ì ìœ ì†Œê²¬íœ˜ì§€)
마침 í° ë¹„ë‹¨ì´ ìžˆì–´ (ë¶“ì„) 휘둘러 그렸다
é — 有得於白陽山人æ„(파유ë“어백양산ì¸ì˜)
백양산ì¸ç™½é™½å±±äººì˜ í•„ì˜ç­†æ„를 꽤 얻었구나
å—æ²™ 蔣廷錫(남사 장정ì„)
남사 장정ì„

* ì•ˆì„æ¡ˆå¸­ : ì•‰ì„ ë•Œì— ë²½ì— ì„¸ìš°ê³  ëª¸ì„ ë’¤ìª½ìœ¼ë¡œ 기대는 ë°©ì„

본 ì† ê¸€ì´ ì˜ë¯¸í•˜ëŠ” ê²ƒì€ ë¬´ì—‡ì¼ê¹Œ?

ì´ˆë³¸ì— ì“°ì¸ ê¸€ì— ëŒ€í•´ 알기 위해서는 ê¸€ì„ ì“´ ì‚¬ëžŒì— ëŒ€í•´ 알아야 한다. ì´ ê¸€ì˜ ë§ˆì§€ë§‰ì—는 ë‚¨ì‚¬å—æ²™ 장정ì„蔣廷錫ì´ë¼ê³  기ë¡ë˜ì–´ 있어 장정ì„ì˜ ê¸€ìž„ì„ ì•Œ 수 있다.(ë„5)
장정ì„(蔣廷錫, 1669~1732)ì˜ í˜¸ëŠ” ë‚¨ì‚¬å—æ²™ë¡œ, 그는 청나ë¼ì˜ ê¶ì •화가ì´ë‹¤. ì˜¹ì •é›æ­£ì—°ê°„ì— ì˜ˆë¶€ì‹œëž‘, 문화전 대학사, 태ìžíƒœë¶€ ë“±ì„ ì§€ë‚¼ ë§Œí¼ ë¬¸ì‹ ìœ¼ë¡œì„œë„ ëŠ¥ë ¥ì´ ìžˆë˜ ì¸ë¬¼ì´ë‹¤. 장정ì„ì˜ ê·¸ë¦¼ì€ ë§¤ìš° 유명해서, 심사정(沈師正, 1707~1769)ì´ 1760ë…„ì— ìž¥ì •ì„ì˜ ê·¸ë¦¼ì„ ë³´ê³  ì—°ì§€ìŒì••ë„蓮池雙鴨圖(호암미술관 소장)를 옮겨 ê·¸ë¦¬ê¸°ë„ í–ˆë‹¤.
장정ì„ì´ í•„ì˜ë¥¼ 얻었다고 ì“´ 백양산ì¸ç™½é™½å±±äººì€ 진순(陳淳, 1484~1544)ì˜ í˜¸ì´ë‹¤. ì§„ìˆœì€ ì¤‘êµ­ 명대 í›„ê¸°ì˜ ë¬¸ì¸í™”가로, 미법米法 산수화 화훼ë„를 잘 그렸으며 ë‚˜ì¤‘ì— íŒ”ëŒ€ì‚°ì¸å…«å¤§å±±äºº 중 한 명으로서 수묵 í™”í›¼í™”ì˜ ì„ êµ¬ìžê°€ ë다.
그러나 여기ì—서 주ì˜í•  ì ì´ 있다. ê·¸ë¦¼ì— ìž¥ì •ì„ì˜ ê¸€ì´ ìžˆë‹¤ê³  해서 ê·¸ê²ƒì´ ìž¥ì •ì„ì´ ê·¸ë¦° 그림ì´ë¼ê³  단정 ì§€ì„ ìˆœ 없다는 ì ì´ë‹¤. ìš°ì„  지난 시간ì—ë„ ì„¤ëª…í–ˆë˜ ê²ƒì²˜ëŸ¼ ì´ ì´ˆë³¸ì—는 다양한 ì¢…ë¥˜ì˜ ê·¸ë¦¼ì´ ìžˆëŠ”ë°, 그림들 ê°€ìš´ë° í™”ê°€ë“¤ì˜ í™”ì²©ì²˜ëŸ¼ ì •ëˆëœ ê·¸ë¦¼ì˜ í˜•íƒœë¥¼ ë ëŠ” ê²ƒì´ ê±°ì˜ ì—†ë‹¤. ë”°ë¼ì„œ ì´ ì´ˆë³¸ì˜ ê·¸ë¦¼ë“¤ì€ ìž‘ê°€ê°€ 여러 í™”ì²©ì„ ëª¨ë°©í•´ 그린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ì´ ê·¸ë¦¼ì— ìžˆëŠ” ê¸€ì€ ì–´ë–»ê²Œ 설명해야 할까. ì—¬ê¸°ì— ëŒ€í•´ì„œëŠ” 작가가 ê·¸ë¦¼ì„ ë² ê»´ 그릴 때 ì›ë³¸ì— ìžˆë˜ ê¸€ê¹Œì§€ 그대로 ë² ê¼ˆì„ ê°€ëŠ¥ì„±ì„ ì œì‹œí•  수 있다. 그리고 글까지 ë² ë‚€ ì´ìœ ì— 대해서는 ê·¸ë¦¼ì„ ë² ë‚„ 때 시화ì¼ì¹˜è©©ç•µä¸€è‡´ì˜ 사ìƒì— ë”°ë¼ ê¸€ë„ ê°™ì´ ë² ê¼ˆì„ ê°€ëŠ¥ì„±, ëˆ„êµ¬ì˜ ê·¸ë¦¼ì„ ë² ê¼ˆëŠ”ì§€ 기억하기 ìœ„í•´ì„œì¼ ê°€ëŠ¥ì„±ì„ ìƒê°í•´ ë³¼ 수 있다.
ê·¸ë¦¼ì„ ë”°ë¼ ê·¸ë¦¬ëŠ” ê²ƒì€ ê·¸ë¦¼ì„ ìµížˆê¸° 위해서는 누구나 필요한 과정ì´ë‹¤. ì´ë¥¼ 통해 ìžì‹ ì˜ ê¸°ëŸ‰ì„ ë„“íž ìˆ˜ 있기 때문ì´ë‹¤. 그러나 ë‚¨ì˜ ê·¸ë¦¼ì„ ë¬´ìž‘ì • ë² ê»´ 그리다 ë³´ë©´ ìžì‹ ì˜ ê·¸ë¦¼ì„ ê·¸ë¦´ 수 없게 ëœë‹¤. 그림만 그런 ê²ƒì´ ì•„ë‹ˆë‹¤. ì„¸ìƒ ëª¨ë“  ê²ƒì„ ë¬´ìž‘ì • 그대로 ë”°ë¼ í•˜ë‹¤ ë³´ë©´ ì •ìž‘ 나 ìžì‹ ì´ 사ë¼ì§ˆ ìˆ˜ë„ ìžˆë‹¤. 우리는 ì´ ì ì„ í•­ìƒ ê²½ê³„í•´ì•¼ í•  것ì´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