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ì˜ ë¯¼í™” 컬렉션 ㊲ 미국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 민화 â…¢

ë„1 í™”ì¡°ë„ 8í­ ë³‘í’, 지본채색, ê°64.4×35.3ãŽ,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


í™”ì¡°ë„ ì—°í™”ë„ ìš´ë£¡ë„

ì´ë²ˆ 호ì—서는 í•˜ì™€ì´ í˜¸ë†€ë£°ë£¨ 미술관 ì†Œìž¥í’ˆì— ëŒ€í•œ 마지막 연재로 í™”ì¡°ë„ ë³‘í’ 2ì , ì—°í™”ë„, 운룡ë„를 ì†Œê°œí•˜ê³ ìž í•œë‹¤. ê° ìž‘í’ˆì„ í†µí•´ ì‹œëŒ€ì  í™”í’ì˜ ë³€í™”ì™€ ë¬¸í™”ì  íŠ¹ì§•ì„ ì‚´íŽ´ë³´ë„ë¡ í•˜ìž.
글 김수진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ìŒìŒì˜ 새가 íƒì›”히 ë¬˜ì‚¬ëœ í™”ì¡°ë„ ë‹¨ë³‘

호놀룰루 ë¯¸ìˆ ê´€ì´ ì†Œìž¥í•œ 화조ë„ì—는 단병短屛과 ëŒ€ë³‘å¤§å±›ì´ ìžˆë‹¤. 먼저 살펴볼 ë‹¨ë³‘ì€ 8í­ìœ¼ë¡œ 꾸며져 있다. ì „ë°˜ì ìœ¼ë¡œ ìŒì„ ì´ë£¬ 새가 ê°•ì¡°ëœ ë“¯ 묘사ë다. 병í’ì˜ ë†’ì´ê°€ 높지 않아 ìž ìžë¦¬ì—서 웃í’ì„ ê°€ë¦¬ëŠ” 침병枕屛으로 활용ë˜ì—ˆì„ 것ì´ë¼ ì§ìž‘ëœë‹¤(ë„1). ì „ë°˜ì ì¸ 짜임새가 좋아서 보는 ë§›ì´ ìžˆëŠ” ì´ ìž‘í’ˆì„ 1í­ë¶€í„° 살펴본다. ì—°ëª»ì„ ë°°ê²½ìœ¼ë¡œ 오리 네 마리가 유ì˜ì„ 하고 있으며 연잎 위로 개구리 한 마리가 앉아 있다. 화면 ìƒë‹¨ì—는 íƒìŠ¤ëŸ½ê²Œ 연꽃 송ì´ê°€ 피어 있으며 옆으로는 물ì´ìƒˆ 한 마리가 단단한 부리로 ì—°ìžìœ¡è“®å­è‚‰ì„ 파먹고 있다. 2í­ì˜ 화면 가운ë°ì—는 메추리 한 ìŒì´ 있고, 화면 ìƒÂ·í•˜ë‹¨ì—는 ìžŽì— ë‹¬ë¦° ì¡° ì´ì‚­ê³¼ ë•…ì— ë–¨ì–´ì§„ ì¢ìŒ€ì„ 주워 먹는 참새 떼가 묘사ë˜ì–´ 있다. ì´ì‚­ í•˜ë‚˜ì— ë‚±ì•Œ 수만 개가 달린다는 íƒìŠ¤ëŸ¬ìš´ ì¡° ì´ì‚­ì„ 묘사한 ë¶€ë¶„ì´ íŠ¹ížˆ ëˆˆì— ëˆë‹¤. 3í­ì—는 버드나무 ê°€ì§€ì— ì•‰ì•„ 피ë¼ë¯¸ë¥¼ 잡는 물ì´ìƒˆ 한 ìŒê³¼ ì´ë¦„ 모를 새들, 매미가 수풀 ìœ„ì— ì•‰ì•„ 있다. ëª¸ì´ íˆ¬ëª…í•œ 피ë¼ë¯¸ ì‹­ ì—¬ ë§ˆë¦¬ì˜ ì—­ë™ì ì¸ 움ì§ìž„ì´ ìž˜ 묘사ë˜ì—ˆë‹¤. 4í­ì—는 하얀색 목련꽃 ê°€ì§€ì— ì•‰ì•„ 있는 ì´ë¦„ 모를 한 ìŒì˜ 새가 주ì¸ê³µì¸ë° 특히 ìˆ˜ì»·ì˜ ë‚ ê°œ 묘사가 환ìƒì ì´ë‹¤. 5í­ì—는 ë¶‰ì€ ë™ë°±ê³¼ 하얀 ëª¨ëž€ì´ ê°•ë ¬í•œ 대조를 ë³´ì´ëŠ” ê°€ìš´ë° ì•µë¬´ 한 ìŒì´ 서로를 마주 ë³´ê³  있다. ì˜¤ë¥¸ìª½ì— ìžë¦¬í•œ ê´´ì„ì˜ ë¬˜ì‚¬ë„ íƒì›”하다. 6í­ì—는 íƒìŠ¤ëŸ¬ìš´ ì„류를 파먹고 있는 새들과 한 ìŒì˜ 금계金鷄가 ìžë¦¬ 잡고 있다. 7í­ì—는 화면 í•˜ë‹¨ì— í•œ ìŒì˜ 물오리가 수면 위를 떠다니고 있고, ìƒë‹¨ì—는 í° ê½ƒì´ í•€ 나뭇가지 위ì—서 노래를 부르는 ìƒˆë“¤ì´ ì•‰ì•„ 있다. 마지막 8í­ì—는 대나무와 ì•”ì„ ìœ„ë¡œ 한 ìŒì˜ ê¿©ì´ ìžë¦¬í•˜ê³  있으며 ìž‘ì€ ìƒˆë“¤ì´ ìƒë‹¨ì„ 메우고 있다. 화면 왼편ì—는 전서篆書로 ì ížŒ 관지와 호리병 ëª¨ì–‘ì˜ ì¸ìž¥å°ç« ì´ ì°í˜€ 있다. ì´ 8í­ ë‹¨ë³‘ì— ë“±ìž¥í•˜ëŠ” ìƒˆë“¤ì€ ëª¨ë‘ ì•”ìˆ˜ 한 ìŒì´ 기본 구성ì´ê¸° ë•Œë¬¸ì— ì´ ë³‘í’ì€ ë¶€ë¶€ë¥¼ 위한 ì¹¨ì†Œå¯¢æ‰€ì— ë†“ì˜€ì„ ê°€ëŠ¥ì„±ì´ ë†’ë‹¤.

ë„2 허형, í™”ì¡°ë„ 10í­ ë³‘í’, 지본채색, 155.5×323ãŽ,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



ë„5 ì—°í™”ë„ 8í­ ë³‘í’, 지본채색, 149.5×302ãŽ, 국립민ì†ë¯¸ìˆ ê´€ 소장

십장ìƒë„ 주요 제재가 등장하는 í™”ì¡°ë„ ëŒ€ë³‘

ë‘ ë²ˆì§¸ í™”ì¡°ë„ ë³‘í’ì€ ë¯¸ì‚°ç±³å±± 허형(許瀅, 1862-1938)ì˜ ìž‘í’ˆì´ë‹¤(ë„2). í—ˆí˜•ì€ ì†Œì¹˜å°ç—´ 허련(許éŠ, 1809-1892)ì˜ ì•„ë“¤ë¡œ í˜¸ë‚¨í™”ë‹¨ì˜ ëª…ë§¥ì„ ì´ì€ 화가 중 하나ì´ë‹¤. ì´ ëŒ€ë³‘ì€ ì´ 10í­ìœ¼ë¡œ 구성ë˜ì–´ ìžˆëŠ”ë° ìœ ë… í°ìƒ‰ 안료를 ë§Žì´ ì“´ ê²ƒì´ íŠ¹ì§•ì´ë‹¤. ëŒ€ë¶€ë¶„ì˜ í™”í­ì€ í°ìƒ‰ìœ¼ë¡œ ì±„ìƒ‰ëœ ê½ƒì„ ë°°ê²½ìœ¼ë¡œ 한 ìŒì˜ 새를 그려 넣었다. 1í­ì—는 백매白梅, 2í­ì—는 오ì–꽃, 3í­ì—는 êµ­í™”, 4í­ì—는 만개한 백모란, 5í­ì—는 연화를 배경으로 백로를 그렸으며, 6í­ì—는 수국, 7í­ì—는 ì„류와 까치, 8í­ì—는 작약, 9í­ì—는 불수ê°ä½›æ‰‹æŸ‘, 10í­ì—는 소나무를 배경으로 í•™ì„ ê·¸ë ¸ë‹¤. ì˜¤ì§ 7í­ì— í‘œí˜„ëœ ì„류나무ì—ë§Œ í°ìƒ‰ì´ 채색ë˜ì§€ ì•Šì•˜ì„ ë¿ì´ë©° í°ìƒ‰ìœ¼ë¡œ 처리하기 어려운 10í­ ì†Œë‚˜ë¬´ì—는 í°ìƒ‰ ì˜ì§€ë²„ì„¯ì„ ë„£ì–´ì„œ 색ê°ì„ 맞춘 ê²ƒì´ ì¸ìƒì ì´ë‹¤. í™”í­ì€ 대체ì ìœ¼ë¡œ ì‚¬ê³„ì ˆì˜ ëŠë‚Œì„ 살리며 구성ë˜ì–´ ìžˆëŠ”ë° ë¶ˆìˆ˜ê°, ì˜ì§€, í•™, 소나무 ë“±ì€ ì¼ë°˜ì ì¸ í™”ì¡°í™”ì— ë“±ìž¥í•˜ëŠ” 소재는 아니다. ì´ë“¤ì€ 오히려 책거리ë„나 십장ìƒë„ì—서 선호ë˜ëŠ” 제재ì¸ë° ê·¼ëŒ€ê¸°ì— ì—¬ëŸ¬ í™”ëª©ì˜ ë„ìƒì´ 결합하는 현ìƒì„ ë°˜ì˜í•œë‹¤ê³  í•  수 있다. 관지를 표기하기 위해 ê° í­ì˜ ìƒë‹¨ì— 잎사귀 ëª¨ì–‘ì˜ ë‘ì¸é ­å°ì„ ì°ê³  제화시를 ì“´ í›„ì— â€˜ë¯¸ì‚°ç±³å±±â€™ê³¼ ‘허형지ì¸è¨±ç€…之å°â€™ì´ë¼ ë˜ì–´ 있는 백문ì¸ë°©ê³¼ 주문ì¸ë°©ì„ ì°ì–´ 마무리 했다. 병í’ì˜ ìž¥í™© ìƒíƒœë¡œ 미루어 보건대 ì²˜ìŒ ë§Œë“¤ì—ˆë˜ ë‹¹ì‹œì˜ ìƒíƒœë¥¼ ì§€ê¸ˆê» ìœ ì§€í•˜ê³  있어 ê·¸ ë˜í•œ 가치가 있다.

ë„3 ì—°í™”ë„ 10í­ ë³‘í’, 지본채색, ê° 170.5×90.7ãŽ,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



ë„4 ì—°í™”ë„ 8í­ ë³‘í’, 지본채색, ê° 84×29.2ãŽ, 미니애í´ë¦¬ìŠ¤ë¯¸ìˆ ê´€(Minneapolis Institute of Art) 소장

새와 물고기가 함께 그려진 ì—°í™”ë„

ì—°í™”ë„는 10í­ì˜ 병í’으로 화면 전체를 연결하여 그린 ì—°í­ ë³‘í’ì´ì§€ë§Œ, í™”í­ë§ˆë‹¤ 연꽃과 연잎, 새와 어해魚蟹를 배치하여 ê° í­ì´ ë…ë¦½ëœ ëŠë‚Œì„ ìžì•„내는 작품ì´ë‹¤(ë„3). ì´ ë³‘í’ì€ ì—°í™”ë„ì˜ í•œ 종류ì´ì§€ë§Œ ì—°í™” 외ì—ë„ í•˜ëŠ˜ì—는 새, 물ì—는 물고기를 함께 그려 넣었기 ë•Œë¬¸ì— ì—°í™”ì¡°ì–´ë„è“®èŠ±é³¥é­šåœ–ë¼ ë¶€ë¥¼ 만하다. ìƒˆì˜ ì¢…ë¥˜ë¡œëŠ” 백로, 물ì´ìƒˆ, 까치, ì›ì•™ì„ 확ì¸í•  수 있으며, ì–´ë¥˜ì˜ ê²½ìš° 대부분 ìŒìœ¼ë¡œ 그려졌지만 ì–´ë–¤ 물고기는 떼로 묘사ë˜ì—ˆë‹¤. 화면 하단ì—는 게와 새우가 들어간 í­ë„ ë³´ì¸ë‹¤.

ë„7 ì¡´ 홀트
(John Dominis Holt IV,
1919–1993)

ì´ì™€ 유사한 ì—°í™”ë„ ìž‘ë¡€ë¼ í•  수 있는 미니애í´ë¦¬ìŠ¤ë¯¸ìˆ ê´€(Minneapolis Institute of Art) ìž‘í’ˆì€ ì—°ê½ƒê³¼ 새만 í¬í•¨ëœ 채 ì–´í•´ê°€ 빠졌다는 ì ì—서 호놀룰루 본과는 ë„ìƒì  ì°¨ì´ê°€ 있다(ë„4). 아울러 미니애í´ë¦¬ìŠ¤ë³¸ì€ ê° í­ì„ í•˜ë‚˜ì˜ ë‹¨ìœ„ë¡œ 나누어 í™”ë©´ì˜ ê°œë³„ì  ë…ë¦½ì„±ì´ ìœ ì§€ëœë‹¤ëŠ” ì ì—ì„œë„ í˜¸ë†€ë£°ë£¨ë³¸ê³¼ ì°¨ì´ë¥¼ ë³´ì¸ë‹¤. 국립민ì†ë°•물관 ë³¸ì˜ ê²½ìš° 새가 í•˜ëŠ˜ì— ìžˆëŠ” ê²ƒì´ ì•„ë‹ˆë¼ ì–´í•´ì™€ 함께 물 ìœ„ì— ë–  있는 ê²ƒì„ ê·¸ë ¸ë‹¤ëŠ” ì ì—서 호놀룰루본과 ë„ìƒì  ì°¨ì´ê°€ 있다(ë„5). 하버드대학미술관 ë³¸ì€ ì—°í™”, 새, ì–´í•´ê°€ ëª¨ë‘ ì¡°í™”ë¡­ê²Œ 등장한다는 ì ì—서 호놀룰루 미술관 본과 가장 유사하다. 다만 매 í­ì˜ ë…ë¦½ì„±ì´ í™•ë³´ë˜ì§€ 않고 화면 ì „ì²´ê°€ ì—°ê²°ëœë‹¤ëŠ” ì ì—서는 ì°¨ì´ê°€ 있다(ë„6). ì´ ìž‘í’ˆì€ í•˜ì™€ì´ ì¶œì‹ ì˜ í”„ëž€ì‹œìŠ¤ 패치스 ë°ëª¬ 홀트(Frances Patches Damon Holt, 1918-2003)ê°€ ë‚¨íŽ¸ì¸ ì¡´ 홀트(John Dominis Holt IV, 1919–1993)를 기리기 위해 1999ë…„ì— ê¸°ì¦í•œ 작품ì´ë‹¤(ë„7). ì´ë“¤ 부부는 오랫ë™ì•ˆ 호놀룰루 ë¯¸ìˆ ê´€ì— ë‹¤ì–‘í•œ 공헌과 기부를 í•´ì™”ë˜ ì¸ë¬¼ë“¤ë¡œ, 특히 미국 ì„ êµì‚¬ 가문과 í† ì† í•˜ì™€ì´ì–¸ì´ 결합한 í˜ˆí†µì„ ë°”íƒ•ìœ¼ë¡œ 하와ì´ì˜ 문화 ë¶€í¥ì— 힘ì¼ë‹¤. 특히 ì¡´ 홀트는 하와ì´ì˜ í† ì† ë¬¸í™”ì™€ ì—­ì‚¬ì— ëŒ€í•œ 다양한 ê¸€ì„ íŽ´ë‚´ëŠ” 한편 시를 ì“°ê³  문학 활ë™ì„ í•¨ìœ¼ë¡œì¨ â€˜í•˜ì™€ì´ì–¸ 르네ìƒìŠ¤â€™ 시기를 견ì¸í•˜ë©° 하와ì´ì–¸ì˜ 고유한 정체성 옹호 ìš´ë™ì— 기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ë„6 ì—°í™”ë„ 8í­ ë³‘í’, 지본채색, 94.8×334.4ãŽ, 하버드대학미술관 소장



(왼쪽부터) ë„8 운룡ë„, 지본채색, 111.3×81.3ãŽ,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
ë„9 운룡ë„, 지본채색, 118.5×66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기우제ì—서 ì‚¬ìš©ëœ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운룡ë„

마지막 ìž‘í’ˆì¸ ìš´ë£¡ë„는 세로가 111ãŽ, 가로가 81ãŽê°€ 넘는 í¬ê¸°ì´ì§€ë§Œ ê·¸ë¦¼ì´ ì˜¹ìƒ‰í•˜ì—¬ ì‚¬ë°©ì´ ì¡°ê¸ˆì”© 잘려 나간 ê²ƒì´ ë¶„ëª…í•˜ë‹¤(ë„8). 특히 ìš©ì˜ ë°œ ë¶€ë¶„ì´ ìž˜ë ¤ 나간 ê²ƒì´ ë¶„ëª…í•˜ë‹¤. í™”ë©´ì€ êµ¬ë¦„ì„ ë°°ê²½ìœ¼ë¡œ 붉ì€ìƒ‰, 녹색, í™©ìƒ‰ì„ ì£¼ì¡°ë¡œ 한 ìš©ì´ ë¹¨ê°„ ì—¬ì˜ì£¼ë¥¼ 물려고 하는 ìˆœê°„ì„ í¬ì°©í•˜ê³  있다. ì´ëŸ¬í•œ ëŒ€í˜•ì˜ ìš´ë£¡ë„는 대부분 기우제祈雨祭ì—서 실제로 ì‚¬ìš©ëœ í™”ë£¡ç•µé¾ì˜ ì´ë¯¸ì§€ë¼ ìƒê°ëœë‹¤. í™”ë£¡ì„ ê·¸ë ¤ 기우제를 ì§€ëƒˆë˜ í”ì ì€ 조선시대 ë‚´ë‚´ 왕실부터 ë¯¼ê°„ì— ì´ë¥´ê¸°ê¹Œì§€ ë‘루 발견ëœë‹¤. 호놀룰루 ë³¸ì€ í™”ë©´ ì „ë°˜ì— ê±¸ì³ ê°€ë¡œ ë° ì„¸ë¡œ 방향으로 ë°•ë½å‰è½ì˜ í”ì ì´ ê°€ë“한 것으로 ë³¼ 때 ì´ë¥¼ ë²½ì— ë¶€ì°©í–ˆë‹¤ê°€ ë–¼ì–´ëƒˆì„ ê°€ëŠ¥ì„±ì„ ë³´ì—¬ì¤€ë‹¤. 국립민ì†ë°•ë¬¼ê´€ì— ì†Œìž¥ëœ ë¹„ìŠ·í•œ í¬ê¸°ì˜ ìš´ë£¡ë„ ë˜í•œ 가로 ë° ì„¸ë¡œ 방향으로 ì¼ì •한 ê°„ê²©ì˜ ë°•ë½ í”ì ì´ 남아 있어 ê¸°ìš°ç¥ˆé›¨ì˜ ê³¼ì •ì—서 운룡ë„를 특정한 ê³³ì— ë¶€ì°©í•˜ëŠ” ì¼ì´ í”í–ˆë˜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ë„9).

김수진 |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ì„œìš¸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충남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ë•성여대, SADI 등ì—서 ê°•ì˜í–ˆë‹¤.
하버드 옌칭 연구소와 보스턴 미술관ì—서 연구했으며
현재는 한국민화학회 ì´ë¬´ì´ì‚¬ë¡œ ìž¬ì§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