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ì˜ ë¯¼í™” 컬렉션 ㉜ 책거리, 낙화

브루í´ë¦°ë¯¸ìˆ ê´€ì€ 한국 ë¯¸ìˆ í’ˆì„ ì†Œìž¥í•˜ê³  있는 미국 기관 ê°€ìš´ë° ê°€ìž¥ 규모가 í° íŽ¸ì— ì†í•œë‹¤.
ì´ê³³ì€ íšŒí™”ë¿ ì•„ë‹ˆë¼ ë„ìžê¸°, 공예, 불êµë¯¸ìˆ , 고가구, 민ì†í’ˆ 등 다양한 한국 ìœ ë¬¼ì„ ê³ ë£¨ 갖추고 있다.
ì´ ë‹¬ì— ì‚´íŽ´ë³¼ ìœ ë¬¼ì€ ì±…ê±°ë¦¬ 한 ì ê³¼ 낙화 한 ì ì´ë‹¤.

글 김수진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ë„1 브루í´ë¦°ë¯¸ìˆ ê´€(Brooklyn Museum)



ì´ë‹¬ì— 소개할 브루í´ë¦°ë¯¸ìˆ ê´€(Brooklyn Museum)ì€ ë¯¸êµ­ ë‰´ìš•ì˜ ë¸Œë£¨í´ë¦°ì— 소재하고 있다(ë„1). 본래 ì´ ê¸°ê´€ì€ 1823ë…„ì— ë¸Œë£¨í´ë¦°ë„ì œë„서관협회로 창립ë기 ë•Œë¬¸ì— ìˆ˜ì§‘ í™œë™ ì´ˆê¸°ì—는 ê°ì¢… ë„서를 비롯하여 지넷드로잉·기계 ê°™ì€ ê²ƒë“¤ì„ ëª¨ì•˜ë‹¤. ê·¸ëŸ¬ë˜ ì¤‘ 1890ë…„ì— ë¸Œë£¨í´ë¦°ì—°êµ¬ì†Œë¡œ ëª…ì¹­ì„ ë°”ê¾¸ë©´ì„œë¶€í„° ë¯¸ìˆ í’ˆì„ ì ê·¹ 수집하기 시작했다. í˜„ìž¬ì˜ ë¸Œë£¨í´ë¦°ë¯¸ìˆ ê´€ì´ë¼ëŠ” ì´ë¦„ì€ 1913년부터 ì‚¬ìš©ëœ ê²ƒì´ë‹¤. 브루í´ë¦°ë¯¸ìˆ ê´€ì€ 한국 ë¯¸ìˆ í’ˆì„ ìˆ˜ìž¥í•˜ê³  있는 미국 기관 ê°€ìš´ë° ê°€ìž¥ 규모가 í° íŽ¸ì— ì†í•œë‹¤. 한국 관련 ì†Œìž¥í’ˆì€ ì§€ê¸ˆê¹Œì§€ 665ì  ì´ìƒì´ 알려져 ìžˆëŠ”ë° ì´ëŠ” 보스턴미술관과 ìƒŒí”„ëž€ì‹œìŠ¤ì½”ì•„ì‹œì•„ë¯¸ìˆ ê´€ì— ë²„ê¸ˆê°€ëŠ” 규모ì´ë‹¤. ì´ê³³ì€ íšŒí™”ë¿ ì•„ë‹ˆë¼ ë„ìžê¸°, 공예, 불êµë¯¸ìˆ , 고가구, 민ì†í’ˆ 등 다양한 한국 ìœ ë¬¼ì„ ê³ ë£¨ 갖추고 있다. ì´ ë‹¬ì—는 먼저 책거리 한 ì ê³¼ 낙화烙畫 한 ì ì„ ì†Œê°œí•˜ê³ ìž í•œë‹¤.


(왼쪽) ë„2-1 ë„2ì˜ ê·¸ë¦¼ ë‘루마리 부분 / (오른쪽) ë„3-2 ë„3ì˜ ê·¸ë¦¼ ë‘루마리 부분



(왼쪽) ë„2-3 ë„3ì˜ ì±…ê°‘ 구름 문양 부분 / (오른쪽) ë„3-1 ë„3ì˜ ì±…ê°‘ 구름 문양 부분


보스턴미술관 소장품과 ê°™ì€ ìž‘ê°€ í˜¹ì€ ë™ì¼ 공방 작품

책거리는 책가冊架가 í¬í•¨ëœ 형ì‹ìœ¼ë¡œ 6í­ìœ¼ë¡œ 꾸며져 있다(ë„2). 보통 책가가 있는 책거리 중ì—서 ìƒí’ˆä¸Šå“ì— ì†í•˜ëŠ” ê²ƒì€ í™”ë©´ 가운ë°ì— í•˜ë‚˜ì˜ ì†Œì‹¤ì ì„ ìƒì •하고 ì´ë¥¼ 중심으로 ìŒì˜ë²•ê³¼ ì›ê·¼ë²•ì„ ë”하여 완벽한 시ê°ì  환ì˜ì„ 구사한다. ê·¸ëŸ°ë° ì´ ìž‘í’ˆì€ ì†Œì‹¤ì ì˜ 위치가 불분명할 ë¿ ì•„ë‹ˆë¼ ìŒì˜ì„ 가한 ë°©í–¥ì—ë„ ì¼ê´€ì„±ì´ 없다. 작가가 소실ì ê³¼ ìŒì˜ ê°„ì˜ ê´€ê³„ë¥¼ 정확하게 ì´í•´í•˜ì§€ 못한 탓으로 ë³´ì¸ë‹¤. 6í­ì˜ 책거리는 ê° í­ë‹¹ ì±…ìž¥ì´ ì„¸ 칸씩 나누어져 있어 ì´ 18ì¹¸ì— ê°ê¸° 다른 기물과 ì±…ê°‘å†ŠåŒ£ì´ ì˜¬ë ¤ì ¸ 있다. 가장 오른쪽 1í­ ìƒë‹¨ì—는 ‘간ì´ç°¡æ˜“’ë¼ê³  ì ížŒ ë¬¸ì§‘ì´ ì´ 12ê¶Œ ë³´ì¸ë‹¤. ì´ëŠ” ì•„ë§ˆë„ ìµœë¦½å´”ç¬ (1539~1612)ì˜ ë¬¸ì§‘ì¸ ã€Šê°„ì´ì§‘ç°¡æ˜“é›†ã€‹ì„ ì¹­í•˜ëŠ” 것ì´ë¼ ìƒê°ëœë‹¤. 다만 ê°„ì´ì§‘ì€ 9ê¶Œ 9책으로 꾸며져 있기 ë•Œë¬¸ì— ì‹¤ì œ ë¬¸ì§‘ì„ ë³´ê³  그린 것 같지는 않다. 1í­ì˜ 중단ì—는 필통과 ë¨¹ì´ ë³´ì¸ë‹¤. 먹ì—는 ‘ìƒì›ê°‘ìžä¸Šå…ƒç”²å­â€™ë¼ëŠ” 글씨가 새겨져 있다. 1í­ í•˜ë‹¨ì—는 유리 ì–´í•­ì´ ìžˆê³  ê·¸ 안ì—는 수초와 함께 ë‘ ë§ˆë¦¬ì˜ ë¬¼ê³ ê¸°ê°€ ë…¸ë‹ê³  있다. 2í­ ìƒë‹¨ì—는 êµ¬ê·¼çƒæ ¹ ì‹ë¬¼ì´ ìžˆëŠ”ë° ì¼ë°˜ì ìœ¼ë¡œ ìžì£¼ 그려지는 수선화로 ë³´ì´ì§„ 않지만 í° ê½ƒì´ ë‘ ì†¡ì´ ë†“ì—¬ 있다. 2í­ ì¤‘ë‹¨ì—는 5권짜리 ë¬¸ì§‘ì´ ì´ 3ì§ˆì´ ìŒ“ì—¬ 있다. ì´ ë¬¸ì§‘ì—는 ‘추첩秋帖’, ‘정암éœåºµâ€™ì´ëž€ 글씨가 있다.

ë„2-2 ë„2ì˜ ì¸ìž¥ 부분

여기서 â€˜ì •ì•”â€™ì€ ì¡°ê´‘ì¡°è¶™å…‰ç¥–(1482~1519)ì˜ ë¬¸ì§‘ì¸ ã€Šì •ì•”ì§‘éœè´é›†ã€‹ì„ ì˜ë¯¸í•˜ëŠ” 것ì´ë¼ ìƒê°ëœë‹¤. 2í­ì˜ 하단ì—는 ‘ì´ì²œì„ ìƒí™”첩伊å·å…ˆç”Ÿç•«å¸–’ì´ë¼ê³  ë˜ì–´ 있는 ë‘루마리 한 ì ê³¼ â€˜ê°€ì–´å®¶èªžâ€™ë¼ ì ížŒ ì±…ì´ ë³´ì¸ë‹¤(ë„2-1). ì´ëŠ” ì•„ë§ˆë„ ã€Šê³µìžê°€ì–´å­”å­å®¶èªžã€‹ì¼ ê°€ëŠ¥ì„±ì´ ìžˆë‹¤. 3í­ì˜ ìƒë‹¨ì—는 그림 ë‘루마리가 ì•„ëž˜ì— ìžˆê³  ì±…ë”미가 ìœ„ì— ìžˆëŠ” ë¹„í˜„ì‹¤ì  ìž¥ë©´ì´ ë³´ì¸ë‹¤. 3í­ ì¤‘ë‹¨ì—는 ‘열列’ì´ë¼ê³  ì ížŒ ì±… 14ê¶Œì´ ìžˆëŠ”ë° ê°ê° 1~6권과 7~15권로 나누어 있다. 여기서는 ì¤‘ê°„ì— ì‹­ì‚¼åä¸‰ì´ ë¹ ì ¸ 있는 ê²ƒì„ í™•ì¸í•  수 있다. ê·¸ 위로는 â€˜ì²œì„æ³‰çŸ³â€™ í˜¹ì€ â€˜ì„천石泉’으로 ì½ížˆëŠ” ì¸ìž¥ì´ ë³´ì¸ë‹¤(ë„2-2). ì´ëŠ” í™”ê°€ì˜ í˜¸ì´ê±°ë‚˜ 화가가 ì†í•œ ê³µë°©ì˜ ì´ë¦„ì¼ ê²ƒì´ë¼ 추정ëœë‹¤. 3í­ ê°€ìž¥ 하단ì—는 빙렬氷裂 ìžê¸°ê°€ 한 ì  ìžˆê³  ê½ƒì´ í•œ ì†¡ì´ ê½‚í˜€ 있다. 책거리 4í­ì˜ 가장 ìƒë‹¨ì—는 ‘서書’ë¼ê³  ì ížŒ ì±…ì´ ì´ 10ê¶Œ 쌓여 있다. ì´ëŠ” ì•„ë§ˆë„ ã€Šì„œê²½æ›¸ç¶“ã€‹ì„ ì˜ë¯¸í•  것ì´ë‹¤. ê·¸ 위로 복숭아 ë‘ ê³¼ê°€ ë†“ì¸ ì ‘ì‹œê°€ 있다. 4í­ ì¤‘ë‹¨ì—는 ‘시詩’ë¼ê³  ì ížŒ ì±…ì´ 10ê¶Œ 있어서 ì´ëŠ” ì•„ë§ˆë„ ã€Šì‹œê²½è©©ç¶“ã€‹ì¼ ê²ƒì´ë‹¤. 4í­ í•˜ë‹¨ì—는 3í­ í•˜ë‹¨ê³¼ 마찬가지로 빙렬 ìžê¸°ê°€ 있고 연꽃 가지가 꽂혀 있다. 5í­ ìƒë‹¨ì—는 불수ê°ä½›æ‰‹æŸ‘ ë‘ ê³¼ê°€ ë†“ì¸ ì ‘ì‹œ 아래로 10권짜리 ì±…ì´ í•œ 질 쌓여 ìžˆëŠ”ë° ì±…ë§ˆë‹¤ ê°ê° ‘중용中庸’, ‘용해庸解’, ‘대학大學’, ‘학해學解’, â€˜ì—°ì˜æ¼”ç¾©â€™ë¼ ì í˜€ 있다. 중용과 ëŒ€í•™ì„ ì–¸í•´ë³¸ìœ¼ë¡œ 만든 ê²ƒì„ ê°ê¸° 중용언해, ëŒ€í•™ì–¸í•´ë¼ ì¹­í–ˆëŠ”ë° ì´ë¥¼ 줄여서 용해와 학해ë¼ê³  불렀다. 5í­ ì¤‘ë‹¨ì—는 삼족 향로와 함께 ë§¹ìžå­Ÿå­ì™€ ë§¹ìžì—°ì˜å­Ÿå­æ¼”義, 논어論語와 논어연ì˜è«–語演義가 ì´ 20ê¶Œ 쌓여 있다. ‘연ì˜â€™ëž€ ë‚´ìš©ì„ í’€ê³  주해를 ë‹¬ì•„ë†“ì€ ê²ƒì„ ë§í•œë‹¤. 5í­ í•˜ë‹¨ì—는 ì±…ê°‘å†ŠåŒ£ì´ ì—´ë ¤ 있는 춘추春秋 6ê¶Œì´ ë³´ì¸ë‹¤. 마지막으로 6í­ ìƒë‹¨ì—는 산호가 꽂힌 삼족 향로와 태극 ë¬¸ì–‘ì´ ê·¸ë ¤ì§„ í•„í†µì´ ë³´ì¸ë‹¤. 6í­ ì¤‘ë‹¨ì—는 ‘천문天文’ì´ë¼ ì ížŒ ì±…ê³¼ ì—¬ì˜å¦‚æ„ê°€ 놓여 ìžˆëŠ”ë° ì—¬ì˜ ìœ„ë¡œ 마치 ì±…ì´ ë–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6í­ í•˜ë‹¨ì—는 ê·¤ ë‘ ê³¼ê°€ ë†“ì¸ ì ‘ì‹œì™€ ì±…ê°‘ì— ë“  ì±… 10ê¶Œ, 매화가 그려진 í™”ë³‘ì´ ë†“ì—¬ 있다.


ë„3 <책거리> 4í­ ë³‘í’, 지본채색, ê° 99×27.2ãŽ, 보스턴미술관 소장



ê·¸ëŸ°ë° ì´ ìž‘í’ˆê³¼ 매우 유사한 책거리 ìž‘í’ˆì´ ë³´ìŠ¤í„´ë¯¸ìˆ ê´€ì—ë„ ì „í•œë‹¤(ë„3). 보스턴미술관 ì†Œìž¥í’ˆì€ í˜„ìž¬ ë³‘í’ ë„¤ í­ì´ ê°ê¸° 따로 떨어져 있는 ìƒíƒœì¸ë° 본래는 ì´ë³´ë‹¤ 규모가 ë” í° ë³‘í’ì´ì—ˆì„ 것으로 ë³´ì¸ë‹¤. ì´ ìž‘í’ˆ ë˜í•œ 책가가 있지만 소실ì ê³¼ ìŒì˜ì˜ 묘사가 미숙하다. 특히 ì±…ê°‘ì„ ë‘˜ëŸ¬ì‹¼ 비단 ìž¥ì •ì´ ë¸Œë£¨í´ë¦°ë¯¸ìˆ ê´€ 본과 ë™ì¼í•œ ê²ƒì´ ëˆˆì— ëˆë‹¤(ë„2-3, ë„3-1). ê²€ì€ìƒ‰ê³¼ 푸른색 ì±…ê°‘ì— ìš´ë¬¸é›²ç´‹ì´ ê·¸ë ¤ì ¸ 있고 붉ì€ìƒ‰ ì±…ê°‘ì— ê¸ˆë¹› 안료가 ì¹ í•´ì§„ 것 ë˜í•œ ë™ì¼í•˜ë‹¤. ë˜í•œ 작품 ì „ë°˜ì— ì¤‘êµ­ì±…ë§Œ 있는 ê²ƒì´ ì•„ë‹ˆë¼ ì¡°ì„  ë¬¸ì‚¬ë“¤ì˜ ë¬¸ì§‘ë“¤ì´ ëŒ€ê±° í¬í•¨ëœ 것 ë˜í•œ 브루í´ë¦° 소장본과 ê°™ì€ ì ì´ë‹¤. 보스턴미술관 ë³¸ì— ê·¸ë ¤ì§„ ì±…ì—는 ‘병곡炳谷’, ‘지불智弗’, ‘미수眉åŸâ€™, â€˜í•œìŒæ¼¢é™°â€™, ‘ë™í˜¸æ±æ¹–’, ‘강목綱目’, ‘어양魚洋’, ‘수호水湖’, ‘강제康濟’, ‘남화å—è¯â€™ë¼ëŠ” 글씨가 ë³´ì¸ë‹¤. 아울러 서화 유묵 ë‘ë£¨ë§ˆë¦¬ë„ ì—¬ëŸ¬ ì  ë³´ì´ëŠ”ë° ê±°ê¸°ì— ê¸€ì”¨ë¥¼ ì“´ ì„œì²´ë„ ë¸Œë£¨í´ë¦°ë¯¸ìˆ ê´€ 본과 ì¼ì¹˜í•œë‹¤(ë„2-1, ë„3-2). ë‘ ìž‘í’ˆ ëª¨ë‘ ì±…ê±°ë¦¬ì˜ ì£¼ì¸ì´ 중국 ë° ì¡°ì„ ì˜ ê³ ê¸ˆ 명저와 서화를 고루 갖추고 있다는 ì ì„ 강조한 것ì´ë‹¤. ì•„ë§ˆë„ ë‘ ìž‘í’ˆì€ ë™ì¼í•œ 공방ì—서 제작했거나 ê°™ì€ ìž‘ê°€ê°€ 그린 것으로 ë³´ì¸ë‹¤.


ë„4 (오른쪽부터) 낙화 <ë„í™”>, <연꽃>, <êµ­í™”>, <난초>, 지본낙화, ê° 98.3×30.4ãŽ, 브루í´ë¦°ë¯¸ìˆ ê´€ 소장


낙화 작가 ë°±í•™ê¸°ì˜ ìž‘í’ˆ

ë‘ ë²ˆì§¸ë¡œ 소개할 낙화는 현재는 4ì ì´ 따로 떨어져 있지만 본래 í•˜ë‚˜ì˜ ë³‘í’ì´ì—ˆì„ 것ì´ë‹¤. ê°ê° ë„화桃花, 연꽃, êµ­í™”, 난초를 ê·¸ë ¸ëŠ”ë° ë‚œì´ˆë¥¼ 제외한 나머지ì—는 새가 앉아 있다.

ë„5 수대조壽帶鳥

보통 화조화를 그릴 때 새는 ë‘ ë§ˆë¦¬ë¥¼ 한 ìŒìœ¼ë¡œ 그리는 경우가 ë§Žì€ë° ì´ ìž‘í’ˆì—는 ìœ ë… ìƒˆê°€ 한 마리씩 있는 ê²ƒì´ íŠ¹ì§•ì´ë‹¤. ë„í™”ì—는 꼬리가 유달리 길게 ë»—ì€ ìˆ˜ëŒ€ì¡°å£½å¸¶é³¥ê°€ 앉아 있다(ë„5). 작가는 ìžì‹ ì˜ ì´ë¦„ê³¼ 호가 ì ížŒ 백문방ì¸ê³¼ ì£¼ë¬¸ë°©ì¸ ë‘ ê³¼ë¥¼ ì°ê³  매 í­ â€˜ìš´í¬é›²æµ¦â€™ë¼ëŠ” 호를 남겼기 ë•Œë¬¸ì— ì´ê²ƒì´ ì¼ì œ ê°•ì ê¸°ì— 활ë™í•œ 낙화 í™”ê°€ì¸ ë°±í•™ê¸°ç™½é¶´èµ·(ìƒëª°ë…„ 미ìƒ)ì˜ ìž‘í’ˆìž„ì„ í™•ì¸í•  수 있다. ê·¸ëŸ°ë° ì´ì™€ 매우 유사한 ë°±í•™ê¸°ì˜ ìž‘í’ˆì´ í˜„ìž¬ 국립민ì†ë°•물관ì—ë„ ì „í•˜ê³  있다(ë„6). 국립민ì†ë°•물관 소장품 ë˜í•œ 꽃, 소나무, 대나무, 매화, 모란, 새 ë“±ì„ ë‚™í™”ë¡œ 그린 10í­ ë³‘í’ì´ë‹¤. í™”ë©´ì˜ ìƒë‹¨ê³¼ í•˜ë‹¨ì— ê°ê¸° ‘화화ç«ç•µâ€™ë¼ 새겨진 나뭇잎 ëª¨ì–‘ì˜ ì¸ìž¥ê³¼ 화제畵題가 있고, í™”í­ í•˜ë‹¨ì— â€˜ìš´í¬é›²æµ¦â€™ ë˜ëŠ” ‘백운í¬ç™½é›²æµ¦â€™ë¼ ì“°ì—¬ 있다. ê·¸ 아래ì—는 브루í´ë¦°ë¯¸ìˆ ê´€ 소장본과 마찬가지로 백문방ì¸ê³¼ 주문방ì¸ì´ ì°í˜€ 있다. 특히 3í­ì˜ 난초, 6í­ì˜ 연꽃, 9í­ì˜ 국화는 브루í´ë¦°ë¯¸ìˆ ê´€ 본과 완전히 ì¼ì¹˜í•˜ëŠ” êµ¬ì„±ì„ ë³´ì¸ë‹¤. 난초는 좌우가 바뀌어 있긴 하지만 연꽃과 국화는 ìƒˆì˜ ìœ„ì¹˜ë§Œ 조금 다를 ë¿ ê±°ì˜ ë™ì¼í•œ êµ¬ì„±ì„ ë³´ì—¬ 백학기가 ê°™ì€ ì´ˆë³¸ì„ ì¼ìŒì„ 알 수 있다.


ë„6 <백학기 낙화> 10í­ ë³‘í’, 지본낙화, ê° 96.4×27.3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ìš´í¬ ë°±í•™ê¸°ëŠ” 낙화 ê·¸ë¦¼ì„ ê·¸ë¦° ìž‘ê°€ì˜ ê³„ë³´ 중ì—ì„œë„ ê°€ìš´ë° ì‹œê¸°ì— ìœ„ì¹˜í•œë‹¤. 현대까지 계보가 ì´ì–´ì§€ëŠ” 낙화 작가는 19세기 ì „ë°˜ê¸°ì— ì£¼ë¡œ 활ë™í•œ 박창규(朴昌çª, 1796~1861ë…„ ì´í›„)를 시조로 본다. 박창규는 ì¼ì°ì´ 낙화 기법으로 ì´ë¦„ì„ ì–»ì–´ 헌종(憲宗, 1834~1849ë…„ 재위) 앞ì—서 ì‹œì—°ì„ í•œ ì ë„ 있다. ì´í›„ ë°•ì°½ê·œì˜ ì¢…í˜•ì œì™€ ìžì†ë“¤ì— ì˜í•´ 낙화 ê¸°ë²•ì´ ë…ì ì ìœ¼ë¡œ 전승ë˜ì—ˆë‹¤. 아울러 ì´ ê°€ë¬¸ì´ ì „ì£¼ ì¼ëŒ€ì—서 키워낸 백남철白å—哲과 백학기가 ê·¸ ëª…ë§¥ì„ ìœ ì§€í–ˆë‹¤. ë°±í•™ê¸°ì˜ ìƒëª°ë…„ì€ ë¶„ëª…ì¹˜ 않지만 현대 낙화 작가로 ì´ì–´ì§€ëŠ” ê³„ë³´ì˜ ì¤‘ê°„ì— ìœ„ì¹˜í•œë‹¤ëŠ” ì ì—서 중요한 ì¸ë¬¼ì´ë‹¤. ì¼ì œê°•ì ê¸° 때 활발히 활ë™í–ˆë˜ 낙화 작가로는 백학기 외ì—ë„ ì„¤ë´‰ 최성수가 ìžˆëŠ”ë° ì´ ë‘ ì‚¬ëžŒì˜ ê³„ë³´ë¥¼ 잇는 ì´ê°€ 바로 ì „ì› ì „ì°½ì§„ì´ë‹¤. ì „ì°½ì§„ì€ 1972ë…„ 서울 종로ì—서 한국낙화연구소를 차려 í›„í•™ì„ ê¸¸ë €ê³  그중 하나가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ì œ136호 ë‚™í™”ìž¥çƒ™ç•µåŒ ì¸ ê¹€ì˜ì¡°(金榮祚, 1953ë…„ìƒ)ì´ë‹¤(ë„7). 민ì†ì´Œì´ë‚˜ 관광지ì—서 겨우 ëª…ë§¥ì„ ìœ ì§€í•˜ë˜ ë‚™í™” ìž‘í’ˆì´ êµ­ë‚´ì—서 ë¯¸ìˆ ê´€ì— ë“¤ì–´ê°ˆ 기회를 얻기란 좀처럼 쉽지 않았다. 예술 작품으로서 후한 í‰ê°€ë¥¼ 받기 ì–´ë ¤ì› ë˜ ì‹œì ˆ, ê³ ë‚œì˜ ì‹œê°„ì„ ê²¬ë””ê³  태í‰ì–‘ 건너 ë¯¸ìˆ ê´€ì— ë‘¥ì§€ë¥¼ 튼 낙화 ìž‘í’ˆì´ ë”°ëœ»í•œ ìœ„ì•ˆì„ ê±´ë„¤ëŠ” 듯하다.


ë„7 국가무형문화재 ì œ136호 낙화장 ê¹€ì˜ì¡°


김수진 |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ì„œìš¸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충남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ë•성여대, SADI 등ì—서 ê°•ì˜í–ˆë‹¤.
하버드 옌칭 연구소와 보스턴 미술관ì—서 연구했으며
현재는 한국민화학회 ì´ë¬´ì´ì‚¬ë¡œ ìž¬ì§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