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ì˜ ë¯¼í™” 컬렉션 ㉛ 피바디ì—섹스박물관 소장 한국민화
화조ì˜ëª¨ë„, 화조괴ì„ë„, 제주문ìžë„

지난 í˜¸ì— ì´ì–´ 피바디ì—섹스박물관(Peabody Essex Museum) 소장 한국 민화를 ì„ ì  ì†Œê°œí•˜ê³ ìž í•œë‹¤.
피바디ì—ì„¹ìŠ¤ë°•ë¬¼ê´€ì´ 2001ë…„ 소장한 작품으로, 리아 스나ì´ë”와 ìµëª…ì˜ ê¸°ë¶€ìžê°€ ëœ»ì„ ëª¨ì•„ 기ì¦í•œ 작품들ì´ë‹¤.
ë°•ë¬¼ê´€ì´ í•œêµ­ 민화를 수집할 때 가장 í° ì—­í• ì„ í–ˆë˜ ë¦¬ì•„ 스나ì´ë”ì˜ ì‚¶ê³¼ ë”불어 ê° ìž‘í’ˆë“¤ì„ ì‚´íŽ´ë³´ë„ë¡ í•œë‹¤.

글 김수진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ë„1 리아 스나ì´ë”
(Lea Ruth Sneider,
1925~2020)

피바디ì—ì„¹ìŠ¤ë°•ë¬¼ê´€ì˜ í•œêµ­ 유물 ìˆ˜ì§‘ì— ìœ ê¸¸ì¤€(å…ªå‰æ¿¬, 1856~1914)ì˜ ì—­í• ì´ ê²°ì •ì ì´ì—ˆë‹¤ë©´ 한국 â€˜ë¯¼í™”â€™ì˜ ìˆ˜ì§‘ì— ìžˆì–´ 가장 중요한 ì—­í• ì„ í•œ ì´ëŠ” 리아 스나ì´ë”(Lea Ruth Sneider, 1925~2020)ë¼ í•  수 있다(ë„1). 스나ì´ë” 여사는 2020ë…„ 1ì›” 31ì¼ì— ìœ ëª…ì„ ë‹¬ë¦¬í–ˆê¸° ë•Œë¬¸ì— ì´ë‹¬ì´ 서거 1ì£¼ê¸°ì— ì ‘ì–´ë“ ë‹¤. 스나ì´ë” 여사는 주한미국대사를 ì—­ìž„í–ˆë˜ ë¦¬ì²˜ë“œ 리 스나ì´ë”(Richard Lee Sneider, 1922~1986)ì˜ ë¶€ì¸ìœ¼ë¡œ 1974ë…„ 9월부터 1978ë…„ 6월까지 4ë…„ê°„ í•œêµ­ì— ì²´ë¥˜í•œ ì ì´ 있다. 사실 리처드 스나ì´ë”는 ì¼ë³¸ì–´ì— 능통하여 오랜 기간 ì¼ë³¸ì— 근무한 ì¼ë³¸í†µìœ¼ë¡œ í‰ê°€ë°›ë˜ ì¸ë¬¼ì´ë‹¤. 그러나 한국 ì „ìŸ ì¤‘ ì¸ì²œìƒë¥™ìž‘ì „ ì§í›„ 얼마간 í•œêµ­ì— ì²´ë¥˜í•œ ì´ë ¥ì„ 시작으로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통ìƒ, 한미 군사 ë™ë§¹, 코리아게ì´íЏ 사건 ë“±ì„ ë‹´ë‹¹í•˜ë©° 한국현대사ì—서 중요한 ì—­í• ì„ í–ˆë‹¤.
리처드 스나ì´ë”는 세계 2ì°¨ 세계 ëŒ€ì „ì´ ë나기 ì „ì¸ 1944ë…„ì— ë¦¬ì•„ 스나ì´ë”와 결혼했다. 미시간 대학ì—서 ìŒì•…ê³¼ ì² í•™ì„ ì „ê³µí•œ 스나ì´ë” 여사는 ì¼ë³¸, 파키스탄, 한국 등 ë‚¨íŽ¸ì˜ ë³µë¬´ì§€ë¥¼ ë”°ë¼ ë‹¤ë‹ˆë©° 피아니스트로서 콘서트를 ì—´ê¸°ë„ í–ˆê³  외êµê´€ì˜ 아내로서 여러 가지 ì—­í• ì„ í–ˆë‹¤. 스나ì´ë” 여사는 한국 체류 시절 ë„ìžê¸°, 목공예, 회화, ë¶ˆêµ ì¡°ê°, 무구巫具 등 다양한 한국 ìœ ë¬¼ì„ ëª¨ì•˜ë‹¤. 특히 ì¡°ìžìš©(è¶™å­åº¸, 1926-2000)ì˜ ë¯¼í™”ë¡ ì— ê°í™”를 받아 민화를 모으기 시작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ë„2).
관광 ì‚°ì—…ì€ ë¬¼ë¡ ì´ê±°ë‹ˆì™€ 문화재학, 한국학, 미술사학과 ê°™ì€ í•™ë¬¸ 체계가 지금 같지 ì•Šì•˜ë˜ 1970년대ì—는 외국ì¸ì„ ìƒëŒ€ë¡œ í•œêµ­ì˜ ë¬¸í™”ì™€ 역사를 가르칠 수 있는 ì¸ë¬¼ ìžì²´ê°€ 매우 드물었다. 미국ì—서 활ë™í•˜ë‹¤ 귀국한 ì´ëž˜ 한국ì—서 민화 ìš´ë™ì„ íŽ¼ì¹˜ë˜ ì¡°ìžìš©ì€ 당시 í•œêµ­ì„ ë°©ë¬¸í–ˆë˜ ì™¸êµ­ì¸ë“¤ì—게 í•œêµ­ì˜ ë¯¸ìˆ ê³¼ 문화를 가르치며 ê¸¸ìž¡ì´ ì—­í• ì„ í•˜ê³¤ 했다. 특히 ì¡°ìžìš©ì´ ìš´ì˜í–ˆë˜ ì—밀레박물관ì—서는 í‰í™”봉사단(Peace Corps) 소ì†ì˜ 미국ì¸ë“¤ê³¼ 미국 관광ê°ë“¤ì„ ìƒëŒ€ë¡œ 정기ì ì¸ ì˜ì–´ ê°•ì˜ê°€ 열렸다.

ë„3 ì¼€ì´ ë¸”ëž™
(Kay E. Black,
1928-2020)

그때 ì¡°ìžìš©ì˜ ë„움으로 한국 ë¯¸ìˆ ì— ëŒ€í•œ ê´€ì‹¬ì„ ë„“ížˆë©° ìž‘í’ˆì„ ìˆ˜ì§‘í•˜ê³  연구한 ì´ë“¤ ì¤‘ì— ë¦¬ì•„ 스나ì´ë”와 ì¼€ì´ ë¸”ëž™(Kay E. Black, 1928-2020) 여사가 있었다(ë„3). 블랙 여사 ë˜í•œ 1973ë…„ 한국ì—서 ì¡°ìžìš©ì„ 만난ì´ëž˜ í‰ìƒì„ 책거리 ì—°êµ¬ì— ë§¤ë‹¬ë ¸ìœ¼ë©° ê³µêµë¡­ê²Œë„ 연구 ë‚´ìš©ì„ ì§‘ëŒ€ì„±í•œ ì±…ì´ ì¶œê°„ëœ ì§í›„ì¸ 2020ë…„ 여름 타계했다.
스나ì´ë” 여사는 1978ë…„ í•œêµ­ì„ ë– ë‚  때까지 ì„œìš¸ë¿ ì•„ë‹ˆë¼ ëŒ€êµ¬ì™€ ë¶€ì‚°ì„ ì˜¤ê°€ë©° ìœ ë¬¼ì„ ìˆ˜ì§‘í–ˆë‹¤. ë¯¸êµ­ì— ëŒì•„ê°„ 1979ë…„ ì´í›„로는 한국과 ì¼ë³¸ì—서 ë¯¼ì˜ˆí’ˆì„ ìˆ˜ì§‘í–ˆë˜ ê²½í—˜ì„ ë°”íƒ•ìœ¼ë¡œ ë¯¸êµ­ì— í•œÂ·ì¼ ë¯¸ìˆ ì„ ì•Œë¦¬ëŠ”ë° ë§¤ë‹¬ë ¸ë‹¤. 1983ë…„ì—는 브루í´ë¦°ë°•물관(Brooklyn Museum) 아시아 미술 íë ˆì´í„°ì¸ 로버트 모즈(Robert Moes)와 함께 뉴욕ì—서 ë¼ëŠ” 전시를 개최했으며 뉴욕 ì‹œë‚´ì— â€˜Lea Sneider Asian Art’ë¼ëŠ” ì´ë¦„으로 아시아 미술 전문 골ë™ìƒì„ ì—´ì–´ 30ë…„ 넘게 ê²½ì˜í•˜ê¸°ë„ 했다. 스나ì´ë” 여사는 ì´í›„ë¡œë„ ê¾¸ì¤€ížˆ í•œêµ­ì„ ë°©ë¬¸í•˜ì—¬ ìœ ë¬¼ì„ ìˆ˜ì§‘í–ˆë‹¤.
ê·¸ëŸ¬ë˜ ì¤‘ 2001ë…„ì—는 피바디ì—섹스박물관ì—서 한국 민화를 구입하는 ë°ì— ê²°ì •ì  ì—­í• ì„ í•˜ê²Œ ëœë‹¤. <화조ì˜ëª¨ë„>, <화조괴ì„ë„>, <제주문ìžë„> 세 ì ì€ ëª¨ë‘ 2001ë…„ì— ë¦¬ì•„ 스나ì´ë”와 ìµëª…ì˜ ê¸°ë¶€ìžê°€ ëœ»ì„ ëª¨ì•„ 기ì¦í•œ 작품들ì´ë‹¤.


ë„2 1976ë…„ ì¡°ìžìš©ì´ 하와ì´ëŒ€í•™êµì—서 민화를 ê°•ì˜í•˜ëŠ” 모습



ë„5 <화조괴ì„ë„>, 지본채색, 184×983ãŽ, 피바디ì—섹스박물관 소장(Courtesy of the Peabody Essex Museum)

ìƒì„œì™€ 길ìƒ, 보는 재미까지 ë‘루 갖춘 우리 민화들

먼저 <화조ì˜ëª¨ë„>ì—는 화조, ì˜ëª¨, ì–´í•´ê°€ 고루 섞여 있다. 오른쪽부터 í•™, ê¿©, ì›ì•™, 사슴, 봉황, 토ë¼, 금계金鷄로 구성ë˜ì—ˆëŠ”ë° ëª¨ë‘ ì•”ì»·ê³¼ 수컷 한 ìŒìœ¼ë¡œ 그려졌다(ë„4). ê·¸ ë°°ê²½ ë˜í•œ 모란, 작약, 장미, 연꽃, 단í’나무, 오ë™ë‚˜ë¬´, 소나무, ì„류, ì˜ì§€ê¹Œì§€ 부귀와 ë‹¤ì‚°ì„ ìƒì§•하는 ì‹ë¬¼ë“¤ì´ ê°€ë“하다. 오른쪽ì—서부터 4번째 í­ì— ë³´ì´ëŠ” 물고기와 ë§¤ì˜ ë„ìƒë§Œì´ 다소 ìƒê²½í•œ ì¡°í•©ì¼ ë¿ ëª¨ë‘ ìƒì„œç¥¥ç‘žì™€ 길ìƒå‰ç¥¥ì„ ìƒì§•하는 ê²ƒë“¤ì´ ê²°í•©í•œ ê²°ê³¼ë¼ í•  수 있다.
<화조괴ì„ë„>는 íƒìŠ¤ëŸ¬ìš´ ëª¨ëž€ì„ ë°°ê²½ìœ¼ë¡œ 한 ìŒì˜ 새가 모든 í™”í­ì— ë‚´ë ¤ì•‰ì€ ëª¨ìŠµìœ¼ë¡œ 꾸며졌다(ë„5). 모란 나무 ìœ„ìª½ì€ ê½ƒë´‰ì˜¤ë¦¬ë“¤ì´ ë§ºí˜€ 있고 아래로 ê°ˆìˆ˜ë¡ ë§Œê°œí•œ ê½ƒì´ ê°€ë“하여 í™”ë ¤í•¨ì´ ê°•ì¡°ë˜ì—ˆë‹¤. 서로를 향해 구애하고 있는 한 ìŒì˜ ìƒˆë“¤ì€ ëª¨ë‘ ì„œë¡œë¥¼ ë°”ë¼ë³´ê±°ë‚˜ 구ë„ìƒì˜ ëŒ€ì¹­ì„ ì´ë£¨ë©° ì• ì •ì„ ê³¼ì‹œí•˜ê³  있다. ê·¸ëŸ°ë° ì´ ìž‘í’ˆì—서 특기할 만한 ì ì€ ì§™ì€ ë‚¨ìƒ‰ìœ¼ë¡œ ì±„ìƒ‰ëœ ê´´ì„ì´ë‹¤. ê´´ì„ì€ ìƒ‰ì˜ ë†ë‹´æ¿ƒæ·¡ìœ¼ë¡œ ìŒì˜ì´ 표현ë˜ì—ˆê³  녹색 ê³„ì—´ì˜ ì´ë¼ê°€ ë’¤ë®ì¸ 모습으로 표현ë˜ì—ˆë‹¤. ì´ ê´´ì„ ë¶€ë¶„ì„ ìžì„¸ížˆ 들여다보면 특정 형ìƒì„ ì°¾ì„ ìˆ˜ 있다. 토ë¼, ë‹­, ê°œ, 오리 ëª¨ì–‘ì˜ ê´´ì„ì€ ë§¤ í­ í•˜ë‚˜ì˜ ìŒì„ ì´ë£¨ë©° 새들과 마찬가지로 서로를 ë°”ë¼ë³´ê±°ë‚˜ ëŒ€ì¹­ì˜ êµ¬ë„를 ì´ë£¬ë‹¤. í•œì°¸ì„ ë“¤ì—¬ë‹¤ë³´ë‹¤ë³´ë©´ ‘화조괴ì„ë„’가 ì–´ëŠ ìˆœê°„ ‘화조ì˜ëª¨ë„’로 ë³´ì´ëŠ” í™˜ì‹œå¹»è¦–ì— ì´ë¥´ê²Œ ëœë‹¤. 착시 효과를 통해 ì¶”ìƒì  ë„ìƒ ì†ì—서 형ìƒì„ 찾아내는 재미역시 민화ì—서 놓ì³ì„  안 ë  â€˜ë³´ëŠ” 맛’ì´ê¸°ë„ 하다.

ë„6 <제주문ìžë„>, 지본채색, 162×396ãŽ, 피바디ì—섹스박물관 소장(Courtesy of the Peabody Essex Museum)



ë„7 <제주문ìžë„>, 지본채색, ê°99×36ãŽ,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마지막으로 <제주문ìžë„>는 제주ë„ì˜ íš¨ì œå­å¼Ÿ 문ìžë„ ê°€ìš´ë° ê°€ìž¥ ë§Žì´ ì „í•´ì§€ëŠ” 3단 êµ¬ì„±ì„ ë³´ì¸ë‹¤(ë„6). 제주문ìžë„ì˜ ê²½ìš° 효제충신예ì˜ì—¼ì¹˜å­å¼Ÿå¿ ä¿¡ç¦®ç¾©å»‰æ¥ 8ê°œì˜ ë¬¸ìžë¥¼ 8í­ì˜ ë³‘í’ ì¤‘ì‹¬ì— ì“´ 후 ê°€ìš´ë° 4~5í­ ìƒë‹¨ì— ì‚¬ë‹¹ç¥ å ‚ì„ ê·¸ë¦¬ê³  하단ì—는 술과 ìŒì‹ì„ í¬í•¨í•œ 제수祭需를 그린 사례가 많다. 다른 í­ì—는 연꽃, ì´ë¦„ 모를 꽃과 í’€, 물고기, 오리, 새를 그린다(ë„7). ì´ ìž‘í’ˆ ë˜í•œ 4~5í­ ìƒë‹¨ì— 사당, í•˜ë‹¨ì— ìˆ ë³‘ì„ ë‘ ë³‘ì”© ë‘” ìƒì´ 놓여 있다.

ë„8 가다랑어

나머지 여섯 í­ì˜ ìƒë‹¨ê³¼ 하단ì—는 새, ì‹ë¬¼, 물고기가 그려져 있다. ëŒ€ë¶€ë¶„ì˜ ì œì£¼ë¬¸ìžë„는 ìƒ‰ì´ ë§¤ìš° 단조로운 편ì¸ë° ì´ ìž‘í’ˆ ë˜í•œ 푸른 안료를 중심으로 ë¶‰ì€ ì•ˆë£Œì™€ 누르스름한 안료를 부분ì ìœ¼ë¡œ ë§ëŒ„ ì •ë„로 완성ë다. 작품 í•˜ë‹¨ì— ë³´ì´ëŠ” ë¬¼ê³ ê¸°ë“¤ì€ ì°¸ë‹¤ëž‘ì–´ì— ë¹„í•´ ëª¸ì´ ë‚ ì”¬í•˜ë©° í‘¸ë¥¸ë¹›ì´ ê°•í•˜ê²Œ ë„는 ê²ƒì´ ì œì£¼ì‚° 가다랑어로 ë³´ì¸ë‹¤(ë„8).
리아 스나ì´ë”와 리차드 스나ì´ë” ë¶€ë¶€ì˜ ì•„ë“¤ì¸ ë‹¤ë‹ˆì—˜ 스나ì´ë”는 ìžì‹ ì˜ ë¶€ëª¨ì— ëŒ€í•´ ‘우연히 ë™ì–‘í•™ìžê°€ ëœ ì‚¬ëžŒë“¤(Accidental Orientalists)’ì´ë¼ê³  표현했다. ê·¸ì˜ ë§ì²˜ëŸ¼ 스나ì´ë” 부부가 한국과 ì¸ì—°ì„ 맺게 ëœ ê²ƒì€ ìš°ì—°ì¼ì§€ì–¸ì • ì´ë“¤ì˜ ì‚¶ì„ ì¶”ëª¨í•  때 í•œêµ­ì€ ê²°ì½” ë¹¼ë†“ì„ ìˆ˜ 없는, 필연으로 ìžë¦¬ë§¤ê¹€í•œ 듯하다.



김수진 |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ì„œìš¸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충남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ë•성여대, SADI 등ì—서 ê°•ì˜í–ˆë‹¤.
하버드 옌칭 연구소와 보스턴 미술관ì—서 연구했으며
현재는 한국민화학회 ì´ë¬´ì´ì‚¬ë¡œ ìž¬ì§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