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ì˜ ë¯¼í™” 컬렉션 ㉘ 서ë˜ìº˜ë¦¬í¬ë‹ˆì•„ëŒ€í•™êµ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소장 한국미술품 â…¢

ì´ë‹¬ì—는 현왕ë„ç¾çŽ‹åœ– ë° í™”í›¼ê´´ì„ë„와 함께 í•œêµ­ì˜ ë³‘í’ì„ ë‹´ì€ ì±„ìƒ‰ 과슈(gouache) 그림 1ì ê³¼ ì¼ë³¸ì‹ 다색íŒí™” 1ì ì„ 소개하며 서ë˜ìº˜ë¦¬í¬ë‹ˆì•„ëŒ€í•™êµ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USC Pacific Asia Museum: ì´í•˜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ì˜ ì†Œìž¥í’ˆì— ëŒ€í•œ 연재를 마치ë„ë¡ í•˜ê² ë‹¤.
– 글 김수진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ë‹¨ì¶œí•˜ë©´ì„œë„ ì¤‘í›„í•œ 현왕ë„

맨 먼저 살펴볼 <현왕ë„>ì˜ ì£¼ì¸ê³µì¸ í˜„ì™•ì€ ì§€ì˜¥ì—서 ì£½ì€ ìžë¥¼ 심íŒí•˜ëŠ” 시왕[å王] ê°€ìš´ë° ë‹¤ì„¯ 번째 ì™•ì¸ ì—¼ë¼ëŒ€ì™•ì„ ë§í•œë‹¤(ë„1). 중국 ë‹¹ë‚˜ë¼ ë§ê¸°ì— ì°¬ìˆ ëœ ë¶ˆêµ ê²½ì „ì¸ ã€Šë¶ˆì„¤ì˜ˆìˆ˜ì‹œì™•ìƒì¹ ê²½ä½›èªªé ä¿®åçŽ‹ç”Ÿä¸ƒç¶“ã€‹ì— ë”°ë¥´ë©´ í˜„ì™•ì€ ì„가모니로부터 ë‹¤ìŒ ìƒì— 보현왕여래普賢王如來가 ë˜ë¦¬ë¼ëŠ” 수기å—記를 ë°›ì€ ë°” 있다. ì´ë¡œ ì¸í•´ ì—¼ë¼ëŒ€ì™•ì€ ë‹¤ë¥¸ ì‹œì™•ì— ë¹„í•´ 조금 ë” íŠ¹ë³„í•œ 지위를 누리며 현왕ì´ë¼ 불렸다. 아울러 ë³´í†µì˜ ì‹œì™•ì€ ì‚¬ëžŒì´ ì£½ì€ í›„ 7ì¼ì§¸ë¶€í„° ë§ìžì— 대한 심íŒì„ 시작하는 ë°ì— 반해 í˜„ì™•ì€ 3ì¼ì§¸ì— ë§ìžë¥¼ 심íŒí•˜ì—¬ 그를 빠르게 구제해 줄 수 있는 íž˜ì´ ìžˆì—ˆë‹¤. ë”°ë¼ì„œ 민간ì—서는 시왕 중ì—ì„œë„ ìœ ë… í˜„ì™•ë§Œì„ ì˜ˆë°°ì˜ ëŒ€ìƒìœ¼ë¡œ 삼는 경우가 많았다. 주로 ì‚¬ì°°ì˜ ëª…ë¶€ì „å†¥åºœæ®¿ì— ë´‰ì•ˆë˜ëŠ” 시왕ë„ì—ë„ 5번째 ê·¸ë¦¼ì— í˜„ì™•ì´ ë§ìžë¥¼ 심íŒí•˜ëŠ” ëª¨ìŠµì´ ë¬˜ì‚¬ë˜ëŠ”ë° í˜„ì™•ë„ì—서는 시왕ë„ì— ë¹ ì§€ì§€ 않고 등장하는 지옥 ìž¥ë©´ì´ ìƒëžµë˜ê³¤ 한다.

ë„2 <현왕ë„>, 견본채색, 144.5×121.7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ë³¸ë„ ì§€ì˜¥ì—서 í˜•ë²Œì„ ë°›ëŠ” ë§ìžì˜ ëª¨ìŠµì´ ìƒëžµëœ 채 ì˜¤ì§ í˜„ì™•ê³¼ ê¶Œì†çœ·å±¬ë§Œì´ 등장한다는 ì ì—서 전형ì ì¸ 현왕ë„ë¼ í•  수 있다. 화면 ìƒë‹¨ì— 있는 í˜„ì™•ì€ ë³‘í’ì„ ë°°ê²½ìœ¼ë¡œ 죄ì¸ì„ 심íŒí•  서류를 검토하고 있다. í˜„ì™•ì€ ë¨¸ë¦¬ì— ê²½ì „ì„ ì˜¬ë ¤ë†“ì€ ì±…ê´€å†Šå† ì„ ì“°ê³  있으며 ë¶‰ì€ ê´€ë³µì„ ìž…ê³  ê°ëŒ€è§’帶를 차고 있다. ê·¸ 앞ì—는 녹사錄仕가 종ì´ì™€ ë¶“ì„ ë“¤ì–´ ë§ìžì˜ 죄를 기ë¡í•˜ê³  있으며 íŒê´€åˆ¤å®˜ì€ ì†ì— 홀ç¬ì„ ì¥ì—ˆë‹¤. ë³´í†µì˜ í˜„ì™•ë„ì—는 íŒê´€, 녹사, 사ìžä½¿è€…, ë™ìž ë“±ì˜ ê¶Œì†ì´ 빼곡하게 등장하는 ë°ì— 반해 ì´ ìž‘í’ˆì€ ì„¸ ì¸ë¬¼ë§Œ 단출하게 í‘œí˜„ëœ ê²ƒì´ íŠ¹ì§•ì´ë‹¤. 국립중앙박물관 본 <현왕ë„>ì˜ ê²½ìš°ë„ ë³‘í’ì„ ë‘르고 ì±…ê´€ì„ ì“´ 현왕과 함께 녹사와 íŒê´€ì´ 함께 등장하는 구성ì—서는 í¼ì‹œí”½ 본과 ë™ì¼í•˜ë‹¤(ë„2). 그러나 화면 ìƒë‹¨ì„ ê°€ë“ ë©”ìš´ ë™ìž, íŒê´€, 천녀天女ë¼ëŠ” ê¶Œì† êµ¬ì„±ì—서는 í¼ì‹œí”½ 본과 í° ì°¨ì´ë¥¼ ë³´ì¸ë‹¤. 특히 í¼ì‹œí”½ ë³¸ì€ ë…¹ìƒ‰ê³¼ 붉ì€ìƒ‰ì˜ ë°œìƒ‰ì„ ì°¨ë¶„í•˜ê³  중후하게 살리고 있어 안정ê°ì´ ë‹ë³´ì¸ë‹¤.

ë„3 <화훼괴ì„ë„>, 견본채색, 168.6×301ãŽ,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소장



ë„4 <화훼괴ì„ë„> 대련, 지본담채, ê°123×46ãŽ,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채소류가 등장하는 화훼괴ì„ë„

ë‘ ë²ˆì§¸ 소개할 ìž‘í’ˆì€ í™”í›¼ê´´ì„ë„ ë³‘í’ì´ë‹¤(ë„3). ì´ 8í­ìœ¼ë¡œ êµ¬ì„±ëœ ì´ ìž‘í’ˆì€ ë§¤ í­ì— ê´´ì„æ€ªçŸ³ê³¼ 화훼를 어우른 수작秀作ì´ë‹¤. 가장 오른쪽 1í­ì—는 목련, 5í­ì—는 매화, 6í­ì—는 ì›ì¶”리, 7í­ì—는 모란, 8í­ì—는 국화를 그렸다. 모든 ê½ƒì€ í°ìƒ‰ê³¼ 붉ì€ìƒ‰ìœ¼ë¡œ 처리 ë˜ì—ˆìœ¼ë©° ê´´ì„ì—는 ë…¹ìƒ‰ì˜ íƒœì ì„ ì°ì–´ 장ì‹ì ì¸ 효과를 배가했다. ì´ëŸ° ì‹ì˜ 화훼괴ì„ë„ ê°€ìš´ë°ì— í¼ì‹œí”½ 본과 유사한 작례가 í¥ì„ ëŒ€ì›êµ° ì´í•˜ì‘æŽæ˜°æ‡‰(1820-1898)ì´ ì‚´ë˜ ìš´í˜„ê¶é›²å³´å®®ì—서 ìˆ˜ìŠµëœ ë°” 있다. ìš´í˜„ê¶ ì•ˆì—는 ë…¸ë½ë‹¹è€æ¨‚å ‚ì´ë¼ëŠ” ê±´ë¬¼ì´ ìžˆëŠ”ë° ì´ê³³ì˜ ë„배지를 수습하는 과정ì—서 ë²½ìž¥ë¬¸ì— ë°”ë¥¸ ë„배지가 ì´ 11ì  ë°œê²¬ëœ ê²ƒì´ë‹¤. ì´ë•Œ <화훼괴ì„ë„ ëŒ€ë ¨> 한 ìŒ, 화조ë„, 죽조ë„竹鳥圖, ì†¡í•™ë„æ¾é¶´åœ–ê°€ 수습ë˜ì—ˆë‹¤. ê·¸ 중 <화훼괴ì„ë„ ëŒ€ë ¨>ì€ ê´´ì„ì„ ë°°ì¹˜í•˜ê³  ë‘세 ì¢…ë¥˜ì˜ ê½ƒìœ¼ë¡œ 장ì‹í•´ 구성했다는 ì ì—서 í¼ì‹œí”½ 본과 ê¼­ 닮았다(ë„4). ì±„ìƒ‰ì„ ìˆ˜ì±„í™”í’ì˜ ë‹´ì±„æ·¡å½©ë¡œ 마무리했다는 ì  ë˜í•œ 유사하다. 특ì´í•œ ì ì€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본 ë³‘í’ 2í­ê³¼ 4í­ì˜ 하단ì—는 순무. 수선화 ë¥˜ì˜ êµ¬ê·¼ì‹ë¬¼, ë°°ì¶”, 무, 양파가 그려져 있다는 것ì´ë‹¤. ì´ëŸ¬í•œ 채소류는 18세기 ì¤‘í›„ë°˜ì— í™œë™í•œ 최ë¶(崔北, 1712-1760), 강세황 (姜世晃, 1713–1791), ì •ì„ (鄭敾, 1676-1759)ì´ ê·¸ë¦° ë‹¨ë… ì†Œí’ˆì´ ì „í•˜ëŠ” 바가 있지만 화조 ê³„ì—´ì˜ ë³‘í’ì— ë„ìƒìœ¼ë¡œ 등장하는 예는 드물다. 다만 ì¼€ì´ì˜¥ì…˜ì—서 2016ë…„ 12ì›”ì— ì¶œí’ˆëœ <í™”í›¼ë„ 8í­ ë³‘í’>ì— ìœ ì‚¬í•œ ë„ìƒì´ 등장하여 주목ëœë‹¤(ë„5). ì¼€ì´ì˜¥ì…˜ 본 병í’ì˜ 5í­ì—는 순무와 수선화로 추정ë˜ëŠ” 구근ì‹ë¬¼, 7í­ì—는 무와 배추가 ë³´ì´ëŠ”ë° íŠ¹ížˆ 무청과 ë°°ì¶” 뿌리까지 ìžì„¸í•˜ê²Œ ë¬˜ì‚¬ëœ ì ì´ ëˆˆì— ëˆë‹¤. 채소류는 기명절지ë„ì—ë„ ì¢…ì¢… 등장하는 ë„ìƒì´ë¼ëŠ” ì ì—서 ì´ ìž‘í’ˆì€ ì „í†µì ì¸ 화훼ë„ê°€ 다른 í™”ëª©ì˜ ë„ìƒê³¼ 결합한 현ìƒì„ 보여주고 있다.

ë„5 <í™”í›¼ë„ 8í­ ë³‘í’>, 지본담채, ê°76×35ãŽ, ì¼€ì´ì˜¥ì…˜ 출품작



ë„6 엘리ìžë² ìФ 키스, <ì˜ë¡€ ë³µì‹ ì•ˆì—서 ê³ ìƒí•œ(Gentle in Ceremonial Dress)>,
지본채색, 33×34ãŽ,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소장

서양ì¸ì´ 그린 ì¡°ì„  í™”í›¼ë„ ë³‘í’

마지막으로 소개할 ë‘ ìž‘í’ˆì€ â€˜ê·¸ë¦¼ ì† ê·¸ë¦¼â€™ìœ¼ë¡œ ì¡°ì„ ì˜ í™”í›¼ë„ ë³‘í’ë¥˜ì˜ ë¬˜ì‚¬ë¥¼ í¬í•¨í•œ 작품ì´ë‹¤. 무엇보다 ì´ ë‘ ì ì€ ëª¨ë‘ í•œêµ­ì„ ë°©ë¬¸í–ˆë˜ ì„œì–‘ì¸ì— ì˜í•´ 제작ë다는 공통ì ì„ 가진다. 먼저 <ì˜ë¡€ ë³µì‹ ì•ˆì—서 ê³ ìƒí•œ(Gentle in Ceremonial Dress)>ì€ 1920ë…„ì— ì—˜ë¦¬ìžë² ìФ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ë¼ëŠ” ì¸ë¬¼ì— ì˜í•´ ì œìž‘ëœ ê³¼ìŠˆ 그림ì´ë‹¤(ë„6). 키스는 1887ë…„ 스코틀랜드 가계ì—서 태어나 런ë˜ì—서 ìžëž€ 여성ì´ë‹¤. 그녀는 스물여ëŸì´ ë˜ë˜ 1915ë…„ ë‹¹ì‹œì— ë„ì¿„ì—서 장기 체류 중ì´ë˜ 언니 ë¶€ë¶€ì˜ ì´ˆì²­ìœ¼ë¡œ ì²˜ìŒ ì¼ë³¸ì„ 방문했다. ì´í›„ 그녀는 40ë…„ ì´ìƒ ì•„ì‹œì•„ì˜ ì—¬ëŸ¬ 나ë¼ë¥¼ 여행하며 ì´êµ­ì˜ í’경과 ê´€ìŠµì„ í™”í­ì— ë‹´ì€ ê²ƒìœ¼ë¡œ 유명하다. ì¼ë³¸ì„ 방문하기 전까지 ì´ë ‡ë‹¤ í•  미술êµìœ¡ì€ 받지 ì•Šì•˜ë˜ ê²ƒìœ¼ë¡œ 확ì¸ë˜ë‚˜ 키스는 1915년부터 ì¼ë³¸, 중국, í•œêµ­ì„ ì—¬í–‰í•˜ë©´ì„œ 다양한 ìž‘í’ˆì„ ì œìž‘í•˜ì—¬ 여러 차례 전시를 개최했다. ì¡°ì„ ì„ ì²˜ìŒ ë°©ë¬¸í•œ ê²ƒì€ 1919ë…„ 3ì›” 하순ì—서 4ì›” 초로 추정ë˜ëŠ”ë° ì´ë•Œ 키스는 몇 달간 ì¡°ì„ ì˜ êµ¬ì„구ì„ì„ ì—¬í–‰í•˜ë©° 다양한 í’ê´‘ì„ ê·¸ë¦¼ìœ¼ë¡œ 남겼다. ì´ë“¬í•´ì¸ 1920ë…„ 5ì›” 키스는 ë„ì¿„ì˜ ë¯¸ì¸ ì½”ì‹œ 백화ì ì—서 ì²˜ìŒ í•œêµ­ì„ ì—¬í–‰í•˜ë©° 그린 ìž‘í’ˆì„ ì „ì‹œí–ˆë‹¤. ì´í›„ 키스는 ì¼ë³¸ì˜ íŒí™”ê°€ 와타나베 소ìžë¶€ë¡œ(渡辺庄三郎, 1885-1962)로부터 다색íŒí™”를 배우게 ë˜ê³ , ì´ë¥¼ 계기로 다시 1921ë…„ 6ì›” ë„ì¿„ì—서 ì¡°ì„ ì˜ í’ê²½ì„ ë‹´ì€ ë‹¤ìƒ‰íŒí™” 전시를 개최했다. ì´í›„ë¡œë„ ì˜êµ­ê³¼ 아시아를 오가며 ì—ì¹­ê³¼ 목íŒí™”를 ë°°ìš´ 키스는 ì•„ì‹œì•„ì˜ ë‹¤ì–‘í•œ ì •ê²½ì„ íŒí™”로 남겼다.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본ì—는 í•œë³µì„ ìž…ì€ ì—¬ì¸ ë’¤íŽ¸ìœ¼ë¡œ 봉황, 공작, ê¿©, 연꽃, 국화가 ë¬˜ì‚¬ëœ í™”ì¡°í™” 병í’ì´ ë¬˜ì‚¬ë¼ ë‹¹ì‹œ ì¡°ì„  ìƒë¥˜ì¸µ ì—¬ì„±ì˜ ë³µì‹ê³¼ 병í’ì„ ìž˜ 보여준다.

ë„7 파울 ìžì¿¨ë ˆ, <ì‹ ëž‘, 서울, 한국 Le Marie, Seoul, Coree>, 다색íŒí™”, 39×28ãŽ,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소장



ë„8 파울 ìžì¿¨ë ˆ(Paul Jacoulet, 1900-1960)

ì´ì™€ 함께 ì¡°ì„ ì˜ ë³‘í’ì„ í¬ì°©í•œ ë˜ í•˜ë‚˜ì˜ ìž‘í’ˆì€ íŒŒìš¸ ìžì¿¨ë ˆ(Paul Jacoulet, 1900-1960)ê°€ 1950ë…„ì— ì œìž‘í•œ <ì‹ ëž‘, 서울, 한국 Le Marie, Seoul, Coree>ì´ë‹¤(ë„7). ìžì¿¨ë ˆëŠ” 프랑스 출신으로 세 ì‚´ ë¬´ë µì¸ 1899ë…„ì— ë¶€ëª¨ë¥¼ ë”°ë¼ ì¼ë³¸ì— ì´ì£¼í•˜ì—¬ ê±°ì˜ í‰ìƒì„ ì¼ë³¸ì—서 ë³´ëƒˆë˜ ì¸ë¬¼ì´ë‹¤(ë„8). ìžì¿¨ë ˆëŠ” 1920년부터 ì¼ë³¸ 주재 프랑스대사관 근무하면서 ê·¸ë¦¼ì„ ë°°ìš°ê¸° 시작했고 1930년대부터는 본격ì ìœ¼ë¡œ 다색íŒí™”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ìžì¿¨ë ˆê°€ 한국과 ì¸ì—°ì„ 맺게 ëœ ê³„ê¸°ëŠ” 1921ë…„ì— ê·¸ì˜ ì•„ë²„ì§€ê°€ 사ë§í•œ ì´í›„ ì–´ë¨¸ë‹ˆì¸ ìž”ëŠ ìžì¿¨ë ˆ(Jeanne Jacoulet)ê°€ 당시 경성제국대학 ì˜ê³¼ ëŒ€í•™ì— ê·¼ë¬´í•˜ë˜ ë‚˜ì¹´ë¬´ë¼ ížˆë¡œì‹œ[ä¸­æ‘æ‹“]와 1928ë…„ ìž¬í˜¼ì„ í•˜ë©´ì„œì´ë‹¤. ìžì¿¨ë ˆëŠ” 어머니를 만나기 위하여 1929, 1930, 1932, 1934, 1938ë…„ì— í•œêµ­ì„ ë°©ë¬¸í–ˆìœ¼ë©° 1934ë…„ì—는 서울 미쓰코시백화ì ì—서 â€˜í´ ìžì¿¨ë ˆ íŒí™”ì „â€™ì„ ê°œìµœí•œ ë°” 있다.
í¼ì‹œí”½ì•„시아박물관 소장 <ì‹ ëž‘, 서울, 한국>ì—는 연화蓮花와 ë¬¼ìƒˆì˜ ë„ìƒì´ í¬í•¨ëœ 화조 병í’ì´ íŽ¼ì³ì ¸ 있다. 엘리ìžë² ìФ 키스와 파울 ìžì¿¨ë ˆì˜ ìž‘í’ˆì€ ì„œì–‘ì¸ì˜ ëˆˆì— ë¹„ì¹œ ì¡°ì„  íŠ¹ìœ ì˜ ë³‘í’ ë¬¸í™”ë¥¼ ë‹´ê³  있다는 ì ì—서 문화사ì ìœ¼ë¡œ 중요한 ì˜ì˜ë¥¼ 지닌다.


김수진 | ì„±ê· ê´€ëŒ€í•™êµ ì´ˆë¹™êµìˆ˜
ì„œìš¸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충남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ë•성여대, SADI 등ì—서 ê°•ì˜í–ˆë‹¤.
하버드 옌칭 연구소와 보스턴 미술관ì—서 연구했으며
현재는 한국민화학회 ì´ë¬´ì´ì‚¬ë¡œ ìž¬ì§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