핎왞의 믌화 컬렉션 ㉘ 서던캘늬포니아대학교 퍌시픜아시아박묌ꎀ 소장 한국믞술품 Ⅲ

읎달에는 현왕도珟王圖 및 화훌ꎎ석도와 핚께 한국의 병풍을 닎은 채색 곌슈(gouache) 귞늌 1점곌 음볞식 닀색판화 1점을 소개하며 서던캘늬포니아대학교 퍌시픜아시아박묌ꎀ(USC Pacific Asia Museum: 읎하 퍌시픜아시아박묌ꎀ)의 소장품에 대한 연재륌 마치도록 하겠닀.
– Ꞁ 김수진 (성균ꎀ대학교 쎈빙교수)


닚출하멎서도 쀑후한 현왕도

ë§š 뚌저 삎펎볌 <현왕도>의 죌읞공읞 현왕은 지옥에서 죜은 자륌 심판하는 시왕[十王] 가욎데 닀섯 번짞 왕읞 엌띌대왕을 말한닀(도1). 쀑국 당나띌 말Ʞ에 찬술된 불교 겜전읞 《불섀예수시왕생칠겜䜛說預修十王生䞃經》에 따륎멎 현왕은 석가몚니로부터 닀음 생에 볎현왕여래普賢王劂䟆가 되늬띌는 수Ʞ受蚘륌 받은 바 있닀. 읎로 읞핎 엌띌대왕은 닀륞 시왕에 비핎 조ꞈ 더 특별한 지위륌 누늬며 현왕읎띌 불렞닀. 아욞러 볎통의 시왕은 사람읎 죜은 후 7음짞부터 망자에 대한 심판을 시작하는 데에 반핮 현왕은 3음짞에 망자륌 심판하여 귞륌 빠륎게 구제핎 쀄 수 있는 힘읎 있었닀. 따띌서 믌간에서는 시왕 쀑에서도 유독 현왕만을 예배의 대상윌로 삌는 겜우가 많았닀. 죌로 사찰의 명부전冥府殿에 뎉안되는 시왕도에도 5번짞 귞늌에 현왕읎 망자륌 심판하는 몚습읎 묘사되는데 현왕도에서는 시왕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지옥 장멎읎 생략되곀 한닀.

도2 <현왕도>, 견볞채색, 144.5×121.7㎝, 국늜쀑앙박묌ꎀ 소장

퍌시픜아시아박묌ꎀ 볞도 지옥에서 형벌을 받는 망자의 몚습읎 생략된 채 였직 현왕곌 권속眷屬만읎 등장한닀는 점에서 전형적읞 현왕도띌 할 수 있닀. 화멎 상닚에 있는 현왕은 병풍을 배겜윌로 죄읞을 심판할 서류륌 검토하고 있닀. 현왕은 뚞늬에 겜전을 올렀놓은 책ꎀ冊冠을 쓰고 있윌며 붉은 ꎀ복을 입고 각대角垶륌 ì°šê³  있닀. ê·ž 앞에는 녹사錄仕가 종읎와 붓을 듀얎 망자의 죄륌 Ʞ록하고 있윌며 판ꎀ刀官은 손에 홀笏을 쥐었닀. 볎통의 현왕도에는 판ꎀ, 녹사, 사자䜿者, 동자 등의 권속읎 빌곡하게 등장하는 데에 반핮 읎 작품은 섞 읞묌만 닚출하게 표현된 것읎 특징읎닀. 국늜쀑앙박묌ꎀ 볞 <현왕도>의 겜우도 병풍을 두륎고 책ꎀ을 쓎 현왕곌 핚께 녹사와 판ꎀ읎 핚께 등장하는 구성에서는 퍌시픜 볞곌 동음하닀(도2). 귞러나 화멎 상닚을 가득 메욎 동자, 판ꎀ, 천녀倩女띌는 권속 구성에서는 퍌시픜 볞곌 큰 찚읎륌 볎읞닀. 특히 퍌시픜 볞은 녹색곌 붉은색의 발색을 찚분하고 쀑후하게 삎늬고 있얎 안정감읎 돋볎읞닀.

도3 <화훌ꎎ석도>, 견볞채색, 168.6×301㎝, 퍌시픜아시아박묌ꎀ 소장



도4 <화훌ꎎ석도> 대령, 지볞닎채, 각123×46㎝, 서욞역사박묌ꎀ 소장

채소류가 등장하는 화훌ꎎ석도

두 번짞 소개할 작품은 화훌ꎎ석도 병풍읎닀(도3). 쎝 8폭윌로 구성된 읎 작품은 ë§€ 폭에 ꎎ석怪石곌 화훌륌 얎우륞 수작秀䜜읎닀. 가장 였륞쪜 1폭에는 목렚, 5폭에는 맀화, 6폭에는 원추늬, 7폭에는 몚란, 8폭에는 국화륌 ê·žë žë‹€. 몚든 ꜃은 흰색곌 붉은색윌로 처늬 되었윌며 ꎎ석에는 녹색의 태점을 찍얎 장식적읞 횚곌륌 배가했닀. 읎런 식의 화훌ꎎ석도 가욎데에 퍌시픜 볞곌 유사한 작례가 흥선대원군 읎하응李昰應(1820-1898)읎 삎던 욎현궁雲峎宮에서 수습된 바 있닀. 욎현궁 안에는 녞띜당老暂堂읎띌는 걎묌읎 있는데 읎곳의 도배지륌 수습하는 곌정에서 벜장묞에 바륞 도배지가 쎝 11점 발견된 것읎닀. 읎때 <화훌ꎎ석도 대령> 한 쌍, 화조도, 죜조도竹鳥圖, 송학도束鶎圖가 수습되었닀. ê·ž 쀑 <화훌ꎎ석도 대령>은 ꎎ석을 배치하고 두섞 종류의 ꜃윌로 장식핎 구성했닀는 점에서 퍌시픜 볞곌 ꌭ 닮았닀(도4). 채색을 수채화풍의 닎채淡圩로 마묎늬했닀는 점 또한 유사하닀. 특읎한 점은 퍌시픜아시아박묌ꎀ 볞 병풍 2폭곌 4폭의 하닚에는 순묎. 수선화 류의 구귌식묌, 배추, 묎, 양파가 귞렀젞 있닀는 것읎닀. 읎러한 채소류는 18섞Ʞ 쀑후반에 활동한 최북(厔北, 1712-1760), 강섞황 (姜䞖晃, 1713–1791), 정선(鄭敟, 1676-1759)읎 귞늰 당독 소품읎 전하는 바가 있지만 화조 계엎의 병풍에 도상윌로 등장하는 예는 드묌닀. 닀만 쌀읎옥션에서 2016년 12월에 출품된 <화훌도 8폭 병풍>에 유사한 도상읎 등장하여 죌목된닀(도5). 쌀읎옥션 볞 병풍의 5폭에는 순묎와 수선화로 추정되는 구귌식묌, 7폭에는 묎와 배추가 볎읎는데 특히 묎청곌 배추 뿌늬까지 자섞하게 묘사된 점읎 눈에 띈닀. 채소류는 Ʞ명절지도에도 종종 등장하는 도상읎띌는 점에서 읎 작품은 전통적읞 화훌도가 닀륞 화목의 도상곌 결합한 현상을 볎여죌고 있닀.

도5 <화훌도 8폭 병풍>, 지볞닎채, 각76×35㎝, 쌀읎옥션 출품작



도6 엘늬자베슀 킀슀, <의례 복식 안에서 고상한(Gentle in Ceremonial Dress)>,
지볞채색, 33×34㎝, 퍌시픜아시아박묌ꎀ 소장

서양읞읎 귞늰 조선 화훌도 병풍

마지막윌로 소개할 두 작품은 ‘귞늌 속 귞늌’윌로 조선의 화훌도 병풍류의 묘사륌 포핚한 작품읎닀. 묎엇볎닀 읎 두 점은 몚두 한국을 방묞했던 서양읞에 의핎 제작됐닀는 공통점을 가진닀. 뚌저 <의례 복식 안에서 고상한(Gentle in Ceremonial Dress)>은 1920년에 엘늬자베슀 킀슀(Elizabeth Keith, 1887-1956)띌는 읞묌에 의핎 제작된 곌슈 귞늌읎닀(도6). 킀슀는 1887년 슀윔틀랜드 가계에서 태얎나 런던에서 자란 여성읎닀. 귞녀는 슀묌여덟읎 되던 1915년 당시에 도쿄에서 장Ʞ 첎류 쀑읎던 얞니 부부의 쎈청윌로 처음 음볞을 방묞했닀. 읎후 귞녀는 40년 읎상 아시아의 여러 나띌륌 여행하며 읎국의 풍겜곌 ꎀ습을 화폭에 닎은 것윌로 유명하닀. 음볞을 방묞하Ʞ 전까지 읎렇닀 할 믞술교육은 받지 않았던 것윌로 확읞되나 킀슀는 1915년부터 음볞, 쀑국, 한국을 여행하멎서 닀양한 작품을 제작하여 여러 ì°šë¡€ 전시륌 개최했닀. 조선을 처음 방묞한 것은 1919년 3월 하순에서 4월 쎈로 추정되는데 읎때 킀슀는 몇 달간 조선의 구석구석을 여행하며 닀양한 풍ꎑ을 귞늌윌로 낚게닀. 읎듬핎읞 1920년 5월 킀슀는 도쿄의 믞잠윔시 백화점에서 처음 한국을 여행하며 귞늰 작품을 전시했닀. 읎후 킀슀는 음볞의 판화가 와타나베 소자부로(枡蟺庄䞉郎, 1885-1962)로부터 닀색판화륌 배우게 되고, 읎륌 계Ʞ로 닀시 1921년 6월 도쿄에서 조선의 풍겜을 닎은 닀색판화 전시륌 개최했닀. 읎후로도 영국곌 아시아륌 였가며 에칭곌 목판화륌 배욎 킀슀는 아시아의 닀양한 정겜을 판화로 낚게닀. 퍌시픜아시아박묌ꎀ 볞에는 한복을 입은 여읞 뒀펞윌로 뎉황, 공작, ê¿©, 연꜃, 국화가 묘사된 화조화 병풍읎 묘사돌 당시 조선 상류잵 여성의 복식곌 병풍을 잘 볎여쀀닀.

도7 파욞 자쿚레, <신랑, 서욞, 한국 Le Marie, Seoul, Coree>, 닀색판화, 39×28㎝, 퍌시픜아시아박묌ꎀ 소장



도8 파욞 자쿚레(Paul Jacoulet, 1900-1960)

읎와 핚께 조선의 병풍을 포착한 또 하나의 작품은 파욞 자쿚레(Paul Jacoulet, 1900-1960)가 1950년에 제작한 <신랑, 서욞, 한국 Le Marie, Seoul, Coree>읎닀(도7). 자쿚레는 프랑슀 출신윌로 섞 삎 묎렵읞 1899년에 부몚륌 따띌 음볞에 읎죌하여 거의 평생을 음볞에서 볎냈던 읞묌읎닀(도8). 자쿚레는 1920년부터 음볞 죌재 프랑슀대사ꎀ 귌묎하멎서 귞늌을 ë°°ìš°êž° 시작했고 1930년대부터는 볞격적윌로 닀색판화륌 제작하Ʞ 시작했닀. 자쿚레가 한국곌 읞연을 맺게 된 계Ʞ는 1921년에 귞의 아버지가 사망한 읎후 얎뚞니읞 잔느 자쿚레(Jeanne Jacoulet)가 당시 겜성제국대학 의곌 대학에 귌묎하던 나칎묎띌 히로시[䞭村拓]와 1928년 재혌을 하멎서읎닀. 자쿚레는 얎뚞니륌 만나Ʞ 위하여 1929, 1930, 1932, 1934, 1938년에 한국을 방묞했윌며 1934년에는 서욞 믞쓰윔시백화점에서 ‘폮 자쿚레 판화전’을 개최한 바 있닀.
퍌시픜아시아박묌ꎀ 소장 <신랑, 서욞, 한국>에는 연화蓮花와 묌새의 도상읎 포핚된 화조 병풍읎 펌쳐젞 있닀. 엘늬자베슀 킀슀와 파욞 자쿚레의 작품은 서양읞의 눈에 비친 조선 특유의 병풍 묞화륌 닎고 있닀는 점에서 묞화사적윌로 쀑요한 의의륌 지닌닀.


김수진 | 성균ꎀ대학교 쎈빙교수
서욞대학교 고고믞술사학곌에서 박사학위륌 받았닀.
서욞대, 충낚대, 서욞시늜대, 성균ꎀ대, 덕성여대, SADI 등에서 강의했닀.
하버드 옌칭 연구소와 볎슀턎 믞술ꎀ에서 연구했윌며
현재는 한국믌화학회 쎝묎읎사로 재직 쀑읎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