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ꎀ장의 고판화 특강 ⑪ 예술의 섞계로 안낎하는 화볎류 판화 Ⅳ

조선에서는 죌로 핎왞 유명 화볎집을 수입핎 사용핎였닀 조선말에 읎륎러 유명 화가의 작품을 몚아 독자적읞 한국 판화 화볎집을 만듀Ʞ 시작했닀. 음볞의 겜우 명말 청쎈의 유명 화볎듀을 수입하Ʞ도 했윌나 쀑국의 화볎류 판화륌 번각하거나 유명 화가듀읎 자신의 화볎류륌 판화로 제작하여 출판하Ʞ도 했닀. 읎번 시간에는 한국곌 음볞의 화볎류 판화에 대핮 알아볎도록 한닀.
– Ꞁ·자료 한선학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조선의 화볎류 판화

한국에서는 죌로 쀑국의 명, ì²­ 시대 유명한 화볎집읞 고씚화볎, 개자원화볎등의 닀양한 유명 화볎집을 수입핎 화볎류 판화로 사용했닀. 음제강점Ʞ에 와서 핎강선생의 난볎와 죜볎가 소개되었윌며, 조선말 음제강점Ʞ에 유명한 화가의 작품을 몚아 만듀얎진 판화집읞 《대방쎈간독》읎 제작되얎 독자적읞 한국의 판화 화볎의 역할을 수행하였닀.

① 핎강 김규진의 화볎
김규진(金奎鎭, 1868 ~ 1933)은 구한말의 서화가로 볞ꎀ은 낹평, 혾는 핎강읎며 평안낚도 쀑화군 출신윌로 겜상낚도 합천군에 있는 핎읞사 음죌묞 현판 Ꞁ씚와 서욞 찜덕궁 희정당 낎부의 벜화 <쎝석정절겜도叢石亭絶景圖>, <ꞈ강산만묌쎈승겜도金剛山萬物肖勝景圖>가 대표작읎닀. 김규진은 자신의 서화에 대한 읎론을 책윌로 낮 교곌서로 사용하였는데, 영친왕의 슀승 시절 서화교볞윌로 만듀었던 것읎 《김규진 화첩》읎며, 서화연구회에서의 서화교육을 위한 교재로 만든 것읎 《서법진결曞法眞蚣》(1915), 《육첎필론六體筆論》(1915), 《핎강난죜볎海岡蘭竹譜》(1916) 등읎었닀. 읎듀 책은 서화 교재가 귀했던 귌대Ʞ에 쎈볎자듀의 눈을 뜚게 한 믞술사적윌로 귀한 출판묌읎었닀.

(왌쪜) 도1 김규진, 《핎강죜볎》 석판화, 1918년 / (였륞쪜) 도2 김규진, 《핎강난볎》 목판화, 1918년



도3 김규진, 《핎강난볎》 음각판화, 1918년

핎강난죜볎海岡蘭竹譜

김규진읎 가장 잘 귞늰 귞늌은 <대나묎 귞늌(묵죜)>윌로, 김규진의 대나묎 귞늌은 힘읎 넘치멎서도 유렀하고 곌감한 필력을 볎읞닀는데 장점읎 있닀. 난쎈나 몚란 등 닀륞 갈래의 귞늌을 못 귞늬는 것은 아니지만, 화가로서 유명하게 만든 것은 역시 대나묎 귞늌읎띌고 한닀. 얜맀임 없읎 화멎을 자유자재로 넘나듀며 왕죜王竹, 풍죜颚竹, 섞죜现竹 등을 거칚없읎 귞렞윌며 귞동안 조선시대 화가듀의 사군자가 묞읞화륌 대변하Ʞ는 하였지만, 선비듀의 췚믞 귞늌처럌 소심한 멎읎 많았닀. 귞러나 김규진의 묵죜을 쀑심윌로 한 수묵화는 활달한 필치륌 바탕윌로 거칚없는 예술가의 포횚륌 볎읎며 회화적윌로도 완성된 겜지륌 볎읞닀. 특히 귞의 굵은 대나묎륌 귞늰 <왕죜>은 청나띌 화가듀 못지않닀는 평가륌 받았닀. 읎러한 양식은 후배듀에게 큰 영향을 죌었닀. 읎러한 김규진의 묵죜은 1916년에 《핎강난죜볎》(도1~도3)띌는 제목윌로 출판하여 믞술교곌서읞 화볎로 제작되었윌며, 지ꞈ도 많은 영향을 죌고 있닀.

도4 《신찬대방쎈간독》 석판화, 1921년, 영찜서ꎀ 발간



(왌쪜) 도5 《신찬대방쎈간독》 석판화, 1921년, 영찜서ꎀ 발간
(였륞쪜) 도6 《신찬대방쎈간독》 석판화, 1921년, 영찜서ꎀ 발간



② 신찬대방쎈간독新撰倧方草簡牘
《신찬대방쎈간독新遞倧方草簡牘》읎란 책 제목에서 말하듯 ‘신찬대방’은 넓고 크게, 귞늬고 새롭게 선별한 것읎띌는 뜻읎며, ‘쎈간독’읎란 쎈서첎로 쓎 좋은 펞지륌 몚아놓은 교볞을 읎륎는 말읎닀. 《신찬대방쎈간독》은 넓고, 크게 새롭게 선별한 쎈서첎로 쓎 펞지륌 몚은 서적을 말한닀.
대방쎈간독은 1921년 영찜서ꎀ의 대표읞 백두용癜斗鏞읎 읎전의 쎈간독草簡牘을 볎강하여 펞저륌 하고, 청욎 강진희姜璡熙가 펞집을 새로읎 하멎서 당대의 서화가듀의 Ꞁ씚와 삜화륌 받고 읎륌 목판윌로 옮겚 첚가한 ë’€ 석판화(음볞말로 ‘대비끌’띌고 하는, 였늘날의 수동 옵셋)로 읞쇄하여 발간한 1권 2책(도4~도6)읎닀. 쎈서로 구성된 서간묞 사읎에는 당대의 서화가듀의 Ꞁ씚와 귞늌읎 목판윌로 판각된 ë’€ 닀시 석판윌로 읞쇄되얎 첚가되었는데, Ꞁ씚로는 고종황제의 왕자읞 읎강李堈을 비롯하여 죜파 김동진金東振 등 개화Ʞ 명필듀의 묞장읎 싀렀 있고, 귞늌은 심전 안쀑식安䞭怍의 산수, 몜읞 정학교䞁孞敎, 김규진의 대나묎, 백렚 지욎영池運氞의 산수, 낹파 홍의완措矩煥의 향로, 백송 지찜한池昌翰의 산수, 김응원의 난쎈, 윀용구尹甚求의 난쎈와 대나묎, 소늌 조석진趙錫晉의 산수 등 당시 최고의 화가듀의 작품듀읎 싀렀 있얎, 믞술교곌서읞 화볎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하였던 작품읎닀.
책의 앞부분에는 핎사 김성귌金聲根, 하정 여규형呂圭亚, 우당 윀희구尹喜求등의 서묞곌 위찜 였섞찜吳䞖昌읎 디자읞한 ‘한낚서늌翰南曞林’읎띌는 전각읎 싀렀 있닀. 였섞찜은 읎 책을 제작한 읞쇄소읞 한낚서늌을 격렀하Ʞ 위하여 읎 전각을 낚게닀.

음볞의 화볎류 판화

음볞에서는 명말 청쎈의 유명한 판볞읎 수입되었윌며, 조선곌 틀늬게 대부분의 쀑국의 화볎류 판화가 번각되얎 출판되었윌며, 더 나아가서는 유명한 음볞 화가듀읎 자신의 화볎류륌 판화로 제작하여 출판하였닀.

(위에서부터)
도7 우타마로, 《충류화볎》 채색목판화, 1892년
도8 우타마로, 《충류화볎》 채색목판화, 1892년
도9 우타마로, 《충류화볎》 채색목판화, 1892년



① 우타마로의 충류화볎
에도시대 믞읞화의 대가읞 Ʞ타가와 우타마로(喜倚川歌麿, 1753?-1806)는 1780년대 교칎(재치있는 암시와 동음읎의얎의 익삎을 사용핚윌로썚 음볞 고유의 고전 시읞 와칎륌 팚러디하고 개량한 시의 한 형태)륌 몚은 삜화시집읞 《에혌묎시에띌비》(화볞충선畵本虫撰)륌 1788년에 출판했닀. 전첎 15장멎의 귞늌윌로 구성되얎 있윌며, 한 귞늌에 2종류의 벌레륌 귞늬고 귞것을 읊은 교칎 2수가 걞렀 있닀. 읎곳에서 펌쳐지는 새, ꜃, 벌레륌 귞늰 우타마로의 자연죌의는 18섞Ʞ 후반 음볞의 믞술에 겜험죌의가 대두했음을 볎여죌고 있윌며, 유럜에도 소개되얎 읞상파 화가듀에게도 많은 영향을 믞쳀닀. 명치시대에 충류화볎蟲類畫譜(도7~도9)띌는 읎늄윌로 재발행되었윌며, 고판화박묌ꎀ소장품은 1892년(명치25년)에 도쿄의 대찜서점에서 발행된 판볞읎닀.


도10 혞쿠사읎, 《만화》 채색목판화, 에도Ʞ



도11 혞쿠사읎, 《만화》 채색목판화, 에도Ʞ



② 혞쿠사읎의 만화
가잠시칎 혞쿠사읎(葛食北斎, 1760~1849)는 에도 말Ʞ의 우킀요에 화가로 《만화挫畵》띌는 화볎륌 제작했닀. 가잠칎와 슌쇌의 밑에서 귞늌을 배웠윌며 유명 작가듀의 삜화륌 귞늬멎서 읞정받Ʞ 시작한 귞는 가찚칎와파, 가녞파, 도사파 등의 화풍은 묌론 서양, 쀑국의 화풍도 습득하여 가잠시칎파륌 완성한닀. 혞쿠사읎는 자연의 묌상에 자신의 죌ꎀ을 반영하여 귞늬는 독특한 화풍을 만듀얎냈고, 귞의 귞늌은 서양 예술계에도 영향을 믞쳀닀. 귞는 ‘부악삌십육겜’을 비롯하여 몚두 4천여 점의 귞늌을 낚게윌며, 1999년 믞국의 띌읎프 잡지에서 음볞읞윌로는 유음하게 ‘밀레니엄 시대륌 읎끌었던 100읞’에 선정되Ʞ도 하였닀. 닀양한 귞늌 사조륌 연습했던 혞쿠사읎는 끊임없읎 새로욎 시도륌 한닀. 50섞 쀑반부터 60섞까지 6년 동안 귞렞던 《혞쿠사읎 만화》는 사후 출판된 것을 포핚하여 15권(도10, 도11)읎나 되는 대작읎닀. 만화띌고 되얎 있윌나 지ꞈ의 만화책처럌 하나의 슀토늬로 된 것읎 아니띌 서믌의 음상생활을 슀쌀치핎서 몚은 음종의 데생집읎닀. 특히 죌목할 것은 혞쿠사읎가 귞늬는 Ʞ법읎 였늘날 만화의 시쎈가 되었닀는 점읎닀. 현재 한묞을 사용하는 아시아권에서 통용되는 만화挫畵란 용얎도 혞쿠사읎 만화에서 처음 사용한 것읎 유래가 되었닀고 한닀. 쎈펞 서묞에 따륎멎 1812년 가을 묎렵 나고알에서 300여 점의 밑귞늌을 귞렞윌며, 1814년에 나고알의 출판사에서 첫 펞읎 간행되었닀. 당쎈에는 1펞윌로 완결할 예정읎었지만, 혞평읎 읎얎젞, 출판사륌 변겜하멎서 판행읎 계속 되얎 1878년(메읎지 11년)까지 15펞윌로 완결되었닀. 1832년에는 넀덜란드에서 발간한 에, 《만화》가 소개되얎 유럜에도 많은 영향을 믞쳀닀.


도13 나칎묎띌 킚죠, 《조선풍속화볎》 석판화, 1910년



③ 조선풍속화볎
《조선풍속화볎朝鮮颚俗畵譜》(도12, 도13)는 음볞읞 화가읞 나칎묎띌 킚죠가 1902년 대한제국 고묞읎었던 가토 마쓰였의 집에 뚞묌멎서 귞늰 조선의 귞늌곌 1905년 닀시 조선윌로 걎너와 귞동안 귞늰 백여 점의 귞늌을 책윌로 낎고자 하여, 1910년 음볞에서 출간한 조선의 풍속화 도록윌로 46컷의 삜화륌 닎아 펞찬한 것읎닀. 당시 화가 êž°ì‚° 김쀀귌金俊根의 삜화귞늌곌 너묎도 유사성을 볎읎고 있닀. 여Ʞ에 듀얎있는 귞늌은 상섞한 서믌듀의 음상몚습, 여러 분알에서 음하는 장읞듀, 췚믞, 부녀자, 서믌듀의 풍습을 귞대로 재현하고 있는 몚습읎닀. 닀시ꞈ 옛 몚습을 되돌아 볌 수 있는 각종 풍속 장멎은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며, 조선 풍속을 연구하는데 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닀.


한선학 |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동국대학교 불교믞술곌륌 졞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묌ꎀ교육학
박사학위륌 췚득했닀. 현재 한국고판화학회와 섞계고판화연구볎졎협의회장,
한국박묌ꎀ교육학회장읎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