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ê´€ìž¥ì˜ ê³ íŒí™” 특강 ⑨ ì˜ˆìˆ ì˜ ì„¸ê³„ë¡œ 안내하는 화보류 íŒí™”â…¡

지난 7ì›”í˜¸ì— ì´ì–´ 다양한 화보류 íŒí™”ì— ëŒ€í•´ 알아보ë„ë¡ í•œë‹¤.
ì´ë²ˆ ì‹œê°„ì— ì‚´íŽ´ë³¼ 화보류 íŒí™”는 회화êµë³¸ìœ¼ë¡œ ì“°ì˜€ë˜ íŒí™”,
시와 íŒí™”ì˜ ë‚´ìš©ì„ ë™ë“±ížˆ 다룬 시화집 íŒí™”, ë¬¸í•™ì¸ ì‹œì™€ 화보를 함께 실ì€
시여화보를 비롯하여 당시화보 등 íŒ”ì¢…í™”ë³´ì— ëŒ€í•´ 알아본다.

글·ìžë£Œ 한선학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회화êµë³¸ìœ¼ë¡œì„œì˜ 화보

화보는 회화êµë³¸ì´ìž ê·¸ë¦¼ì„ ê·¸ë¦¬ëŠ”ë° í•„ìš”í•œ 모티프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장 먼저 ì¶œíŒë˜ê¸° 시작했다. ê³ íŒí™”박물관ì—는 종합 회화êµë³¸ì˜ ì—­í• ì„ í•˜ëŠ” ë„회종ì´ì™€ 삼재ë„회가 소장ë˜ì–´ 있다.

â‘  ë„회종ì´åœ–繪宗彛
만력 35ë…„(1607)ì— 8권으로 ê°„í–‰ë˜ì—ˆìœ¼ë©°, 화론과 í™”ë²•ì„ ì„¤ëª…í•˜ëŠ” 정밀한 íŒê°ì˜ í’부한 삽화를 갖춘 내용으로 화보사ì—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편ìžëŠ” 무림(항주)ì˜ ì–‘ì´ì¦æ¥Šçˆ¾æ›¾ì´ê³ , 발행처는 ë¬´ë¦¼ì˜ ì´ë°±ë‹¹å¤·ç™½å ‚ì´ë‹¤. ì‚½í™”ì˜ ë°‘ê·¸ë¦¼ì€ ì±„ì—¬ì¢Œè”¡æ±ä½ê°€, íŒê°ì€ í™©ì˜¥ë¦¼é»ƒçŽ‰æž—ì´ ë§¡ì•˜ìœ¼ë©° ì´ ë‘ ì‚¬ëžŒì€ ë‹¹ì‹œì˜ í™©ê¸ˆ 콤비로 ëª…ì„±ì„ ë‚ ë ¸ë‹¤. 8ê¶Œì˜ ë‚´ìš©ì€ ì¸ë¬¼ì‚°ìˆ˜ë³´ë¡œë¶€í„° ì˜ëª¨í™”훼초충보翎毛花å‰è‰èŸ²è­œ, 매보, 죽보, 난보, 수축금어보ç¸ç•œç¦½é­šè­œë¡œ ì´ì–´ì§€ë©° 마지막ì—는 산수ì—서 ì¸ë¬¼ì— ì´ë¥´ëŠ” ì•½ê°„ì˜ ì—­ëŒ€í™”ë¡ ì„ ìˆ˜ë¡í•œ 2권으로 마무리했다. 중국ì—서 여러 번 중ê°ë˜ì—ˆì„ ë¿ ì•„ë‹ˆë¼, ì¼ë³¸ì—서는ì›ë¡å…ƒç¶  ì—°ê°„(1688-1703)ì—서 í˜•ë³´äº¨ä¿ ì—°ê°„(1716-1736)ì— ì´ë¥´ëŠ” 35ë…„ ë™ì•ˆ ì—ë„와 êµí† ì—서 번ê°ë³¸ì´ 4번ì´ë‚˜ 출간ë˜ê¸°ë„ 했다.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ë„회종ì´(ë„1)는 ì¼ë³¸ì—서 ë°œí–‰ëœ ë²ˆê°ë³¸ì´ë‹¤.

(왼쪽) ë„1 <ë„회종ì´>,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 (오른쪽) ë„2 <삼재ë„회>, 중국 명 1607ë…„



â‘¡ 삼재ë„회三æ‰åœ–會
ì¼ì¢…ì˜ ë°±ê³¼ì‚¬ì „ìœ¼ë¡œì„œ 명나ë¼ì˜ 왕기王圻가 저술했다. 1607ë…„ì— ì“´ ì €ìžì˜ ìžì„œè‡ªåºê°€ 있고, í›„ì— ê·¸ì˜ ì•„ë“¤ 왕사ì˜çŽ‹æ€ç¾©ê°€ ì†ì§‘çºŒé›†ì„ íŽ¸ì°¬í–ˆë‹¤. ëª¨ë‘ 106ê¶Œì´ë‹¤. 여러 서ì ì˜ ë„보圖譜를 모으고 ê·¸ ê·¸ë¦¼ì— ì˜í•˜ì—¬ 천지ì¸å¤©åœ°äººì˜ 삼재三æ‰ì— ê±¸ì³ ì‚¬ë¬¼ì„ ì„¤ëª…í–ˆë‹¤. 천문·지리·ì¸ë¬¼Â·ì‹œë ¹æ™‚令·ê¶ì‹¤å®®å®¤Â·ê¸°ìš©å™¨ç”¨Â·ì‹ ì²´Â·ì˜ë³µÂ·ì¸ì‚¬äººäº‹Â·ì˜ì œå„€åˆ¶Â·ì§„ë³´ç寶·문사文å²Â·ì¡°ìˆ˜é³¥ç¸Â·ì´ˆëª©è‰æœ¨ì˜ 14부문으로 분류했다.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삼재ë„회(ë„2)는 5ê¶Œì´ë©° ëª…ë‚˜ë¼ ë•Œ ì œìž‘ëœ íŒë³¸ì´ë‹¤.

ì‹œí™”ì§‘ìœ¼ë¡œì„œì˜ í™”ë³´

만력 ì—°ê°„(1573-1620)ì—는 시화집ì´ë¼ëŠ” 새로운 형ì‹ì˜ í™”ë³´ë„ ë“±ìž¥í•˜ëŠ”ë°, 시와 íŒí™”를 대등하게 다루고 있으며 소설ì´ë‚˜ í¬ê³¡ì˜ 삽화와는 다른 형ì‹ìœ¼ë¡œ 시와 íŒí™”ê°€ ìƒí˜¸êµë¥˜í•˜ëŠ” 형ì‹ìœ¼ë¡œ í™”ë³´ì— ë‚˜íƒ€ë‚´ê³  있다.

① 시여화보詩餘畫譜
시여화보는 만력40ë…„(1612)ì— ì•ˆíœ˜ì„± ì„ ì„±ì˜ ì™•ì”¨ê°€ 편찬하였으며, 99ì ì˜ 삽화와 ê° ì‚½í™”ì˜ ì•žë©´ì— ì‹œë¥¼ 수ë¡í•˜ëŠ” 형ì‹ìœ¼ë¡œ 구성ë˜ì–´ 있다. 진소유, ì´ë°±, 황산곡, 소ë™íŒŒ 등 ì—­ëŒ€ì˜ ìœ ëª… 시ì¸ì˜ ìž‘í’ˆì„ ëª¨ì•˜ìœ¼ë©° ì‹œì˜ ë‚´ìš©ì„ ì‚½í™”ë¡œ 표현하고 있다. 시여화보는 ì‹œë¬¸í•™ì„ ê°€ëŠ¥í•œ 한 구체ì ì´ê³  명료하게 시ê°í™”하여 ê·¸ ì˜ë¯¸ë¥¼ 알기 쉽게 ì „ë‹¬í•˜ê³ ìž ë„í•´í™”ë³´ì˜ í˜•ì‹ì„ 취했다. ‘시ì†ì— ê·¸ë¦¼ì´ ìžˆê³ , 그림 ì†ì— 시가 있다’는 시화ì¼ì¹˜ì˜ 문ì¸í™” ì •ì‹ ì„ íŒí™”화한 것ì´ë‹¤. ë¿ë§Œ ì•„ë‹ˆë¼ ì„œí’ì—ë„ ì˜ˆ, í•´, í–‰, 초서체를 ì´ìš©í•˜ì—¬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어, 시서화 ì‚¼ì ˆì˜ ë¬¸ì¸ì  ì´ìƒì„ 분명하게 í‘œí˜„í•˜ê³ ìž í•˜ì˜€ë‹¤.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시여화보(ë„3)는 ì›ëž˜ í‘ë°±íŒí™”ì¸ë° 소장하고 ìžˆë˜ í•œêµ­ì˜ í™”ê°€ê°€ ì •êµí•˜ê²Œ 채색하여 처ìŒë¶€í„° 붓으로 그려진 채색화로 오해할 ì •ë„로 아름답게 표현ë˜ì–´ 있다. 조선시대 화가나 ì„ ë¹„ë“¤ì´ ì‹œì—¬í™”ë³´ë¥¼ 비롯하여 화보류를 얼마나 사랑하였는지를 알려주는 ì¢‹ì€ ìžë£Œì´ë‹¤.

② 팔종화보八種畫譜
ì¤‘êµ­ï¼Œëª…ë‚˜ë¼ ë§ê¸°ì˜ 화보. 천계ì›ë…„(1621)ê²½ 소주ì—서 ê°ê° ê°„í–‰ëœ 8ì¢…ë¥˜ì˜ í™”ë³´ë¥¼ 황봉지 ë“±ì´ íŽ¸ì§‘í•œ 것으로, 《당시å”è©© 화보》 3ë¶€, 《매란국죽보》, 《고금화보》, 《명공선보》, 《초목화조보》, 《목본화조보》 등 8ì¢…ì„ í†µì¹­í•˜ì—¬ ‘팔종화보’ë¼ê³  한다.

당시화보å”è©©ç•«è­œ

시여화보와 ë™ì¼í•œ ë°œìƒìœ¼ë¡œ ë¬¸í•™ì¸ ì‹œì™€ ê·¸ë¦¼ì„ í•˜ë‚˜ë¡œ 합친 화보로 왕유, ì´ë°±, ë‘ë³´ 등 ë‹¹ë‚˜ë¼ ìœ ëª…ì‹œì¸ì˜ 시를 바탕으로 세 종류로 êµ¬ì„±ëœ ë‹¹ì‹œí™”ë³´ê°€ ê±°ì˜ ê°™ì€ ì‹œê¸°ì— ì•ˆíœ˜ì„± ì‹ ì•ˆì˜ ì§‘ì•„ìž¬é›†é›…é½‹ 주ì¸ì¸ 황봉지가 편찬하여 발간했다. 발간 순서는 오언당시화보, 칠언당시화보, 육언당시화보 순ì´ë‹¤. ì‚½í™”ì˜ ë°‘ê·¸ë¦¼ì€ ë„회종ì´ì˜ 삽화를 ì§ì ‘ 그린 íŒí™” 밑그림 ì „ë¬¸ê°€ì¸ ì±„ì—¬ì¢Œê°€ 그렸고, íŒê°ì€ 유ìžì²œ ë“±ì´ í–ˆë‹¤.
《당시화보》가 우리나ë¼ì— 들어온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ê·¸ëŸ°ë° ì´ í™”ë³´ì—는 1606ë…„(ì„ ì¡° 39) ì¡°ì„ ì— ì™”ë˜ ì£¼ì§€ë²ˆæœ±ä¹‹è•ƒì˜ ì„œë¬¸ì´ ìžˆê³ , ê°•ì„¸í™©å§œä¸–æ™ƒì´ ì†Œìž¥í–ˆë‹¤ê³  전하므로 《고씨역대명공화보(고씨화보)》보다 조금 늦게 ë“¤ì–´ì™”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육언 당시화보는 명 시대 íŒë³¸ì´ë©° 오언, ì¹ ì–¸, ìœ¡ì–¸ì´ í•œ 세트로 소장ë˜ì–´ 있는 íŒë³¸ì€ ì¼ë³¸ì—서 ë³´ì˜å¯¶æ°¸ 7ë…„(1710)ì— ì¶œíŒë˜ì—ˆë‹¤.

(왼쪽 위) ë„4 <오언 당시화보>, ì¼ë³¸, 1710ë…„ / (오른쪽 위) ë„5 <ì¹ ì–¸ 당시화보>, ì¼ë³¸, 1710ë…„
(왼쪽 아래) ë„6 <육언당시화보>, 명 만력 ì—°ê°„ / (오른쪽 아래) ë„7 <매난국죽보>,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① 오언 당시화보
채ì›í›ˆì´ 그리고 유ìžì²œ ë“±ì´ íŒê°í–ˆë‹¤. ê·¸ë¦¼ì€ ëª¨ë‘ 50í­ì´ë©° íŒê°ì´ 세밀하고 ê°ì„ ì´ 아름답다. ì´ ì¤‘ì— í•œ 작품(ë„4)ì„ ì†Œê°œí•˜ë©´, 명 시대 ì¤‘ê¸°ì˜ ì¤‘ìš”í•œ 화조화가 ì´ëŸ‰ì˜ 필치를 모방하여 í™œì§ í•€ 벚나무 ê°€ì§€ì— ì•‰ì•„ 떨어지는 ê½ƒìžŽì„ ëˆˆìœ¼ë¡œ ì«“ê³  있는 한 ë§ˆë¦¬ì˜ ìƒˆë¥¼ 그린 화보가 있으며, ë’·ë©´ì—는 â€˜ë´„ìž ì€ ìƒˆë²½ì´ ë˜ì–´ë„ ê¹° 줄 모르는구나’ë¼ëŠ” 첫 구절로 매우 친숙한 ë§¹í˜¸ì—°ì˜ ì‹œ ‘춘효’가 장ì¼ì„ ì˜ ì´ë¦„으로 ì“°ì—¬ 있다.

② 칠언당시화보
오언과 마찬가지로 채ì›í›ˆì´ 그리고 유ìžì²œ ë“±ì´ íŒê°í–ˆìœ¼ë©° ê·¸ë¦¼ì€ ëª¨ë‘ 50í­ì´ë‹¤. ì´ ì¤‘ì— í•œ ìž‘í’ˆì„ ì†Œê°œí•˜ìžë©´(ë„5) 삽화ì—는 배경으로 ìš°ëš ì†Ÿì€ ì•”ì‚°ì´ ë³´ì´ëŠ” ë‹¤ê´€ì˜ 2층ì—서 유유ìžì í•˜ê³  있는 ë‘ ì Šì€ì´ê°€ 화면 ì˜¤ë¥¸ìª½ì— ê·¸ë ¤ì ¸ 있고, 버드나무 ë°‘ì—서 ê·¸ë“¤ì„ ê¸°ë‹¤ë¦¬ëŠ” ë‘ ë§ˆë¦¬ ë§ì˜ 왼쪽 ì „ê²½ì´ ë¬˜ì‚¬ë¼ ìžˆë‹¤. ë’·ë©´ì—는 ì™•ìœ ì˜ ì‹œì¸ â€˜ì†Œë…„í–‰â€™ì´ ì‹¤ë ¤ 있다.

③ 육언당시화보
ì´ í™”ë³´ì— ì‹¤ë¦° 목ë¡ì€ 시, 그림과 합치하지 않는다. 시와 ê·¸ë¦¼ì´ í•©ì¹˜ë˜ëŠ” ê²ƒì€ 40쪽ì´ë©°, 나머지 ë¶€ë¶„ì¸ 50쪽까지는 시만 있고 ê·¸ë¦¼ì´ ì—†ë‹¤. 시와 ê·¸ë¦¼ì´ í•©ì¹˜ë˜ëŠ” 작품 하나(ë„6)를 살펴보면 시ë™ì„ ê±°ëŠë¦¬ê³  ë§ì„ 타고 여행하는 ì¸ë¬¼ì´ 나무 밑으로 지나가고 있고, 멀리 ì›ê²½ìœ¼ë¡œ 산수가 펼ì³ì ¸ 있다. ë’·ë©´ì—는 ë‘ëª©ì˜ ì‚°í–‰ì´ë¼ëŠ” 시가 ë§ë¶™ì—¬ì ¸ 있다.

â‘£ 매죽난국보梅竹蘭èŠè­œ
호림사람 ì†ê³„ì„ ì´ ê·¸ë ¸ìœ¼ë©°, 만력 ì—°ê°„ 집아재集雅齋ì—서 발행ë˜ì—ˆë‹¤. 매화, 대나무, 난초, êµ­í™” 등 그림 100í­ì´ 수ë¡ë˜ì–´ 있다.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ì¼ë³¸ ì—ë„시대 번ê°í•œ íŒë³¸ì´ë‹¤(ë„7).

⑤ ì´ˆë³¸í™”ì‹œë³´è‰æœ¬èŠ±è©©è­œ
천계 ì›ë…„(1621) 집아재ì—서 ê°„í–‰ë˜ì—ˆìœ¼ë©° 모란, 계관화(맨드ë¼ë¯¸)등 72ì¢…ì´ ìˆ˜ë¡ë˜ì–´ 있다. 앞ì—는 그림, ë’¤ì—는 명대 ì‚¬ëžŒì´ ì“´ 꽃 ì´ë¦„ê³¼ 종류, 심는 ë°©ë²•ì„ ì„¤ëª…í•œ í•´ì„¤ì´ ë“¤ì–´ê°€ 있다.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ì¼ë³¸ ì—ë„시대 번ê°í•œ íŒë³¸(ë„8)ì´ë‹¤.

ë„8 <초본화시보>,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왼쪽) ë„9 <목본화조보>,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 (오른쪽) ë„10 <목본화조보>, ì¼ë³¸ ì—ë„시대 ë²ˆê° ì›íŒ



⑥ 목본화조보木本花鳥譜
천계 ì›ë…„(1621) 집아재ì—서 ê°„í–‰ë˜ì—ˆë‹¤. ê·¸ë¦¼ì€ ë‹¨ë©´ìœ¼ë¡œ ë˜ì–´ 있으며, 앞ì—는 그림, ë’¤ì—는 명대 ì‚¬ëžŒì´ ì“´ 꽃 ì´ë¦„ê³¼ ë¬¸ìž ì„¤ëª…ì´ ë“¤ì–´ê°€ 있다. 그림과 목ë¡ì´ 합치ë˜ì§€ 않으며, 실제로는 44ì¢…ì´ ìˆ˜ë¡ë˜ì–´ 있다.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ì¼ë³¸ ì—ë„시대 번ê°í•œ íŒë³¸(ë„9)ì´ë©°, 특히 목본화조보를 ì°ì—ˆë˜ 양면으로 íŒê°ëœ ì›íŒ 1ì (ë„10)ì´ ì†Œìž¥ë˜ì–´ 있어 ë™ ì•„ì‹œì•„ 화보 ì—°êµ¬ì— ì¤‘ìš”í•œ ìžë£Œê°€ ë˜ê³  있다.

⑦ 고금화보å¤ä»Šç•«è­œ
ì›ëª…ì€ ë‹¹í•´ì›ë°©ê³ ê¸ˆí™”ë³´å”解元仿å¤ä»Šç•«è­œì´ë‹¤. 당ì¸ì´ 그렸다고 하나 ì‚¬ì‹¤ì€ ì¡°ì˜, ì§„ë¼, 송옥 ë“±ì´ ê·¸ë ¸ë‹¤. ì‚½í™”ê·¸ë¦¼ì€ ì‚°ìˆ˜, ì¸ë¬¼, 화조, ë™ë¬¼ 등 48장ì´ë©°, 만력 ì—°ê°„ 청회재淸繪齋ì—서 발행ë˜ì—ˆë‹¤.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ì¼ë³¸ ì—ë„시대 번ê°í•œ íŒë³¸(ë„11)ì´ë‹¤.

ë„11 <고금화보>,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â‘§ 명공선보å公扇譜
ì›ëª…ì€ ìž¥ë°±ìš´ì„ ëª…ê³µì„ ë³´å¼µç™½é›²é¸å公扇譜ì´ë‹¤. 백운 ìž¥ìš©ìž¥ì´ ì—­ëŒ€ 유명ì¸ì‚¬ì˜ ë¶€ì±„ê·¸ë¦¼ì„ ëª¨ì€ ê²ƒì„ ì†ê·¹í™, 진순, 문진맹, 오병 ë“±ì´ ì‚½í™”ë¥¼ 그리고 만력 ì—°ê°„ì— ë¬´ë¦¼ 김씨金æ°ê°€ ì›ê°åŽŸåˆ»í•˜ì—¬ 청회재淸繪齋ì—서 발행했다. 삽화 ê·¸ë¦¼ì€ ì‚°ìˆ˜, 화조, ì¸ë¬¼í™” 등 48장ì´ë‹¤.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ì¼ë³¸ ì—ë„시대 번ê°í•œ íŒë³¸(ë„12)ì´ë‹¤.

ë„12 <명공선보>, ì¼ë³¸ ì—ë„시대 번ê°ë³¸



한선학 |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ë™êµ­ëŒ€í•™êµ 불êµë¯¸ìˆ ê³¼ë¥¼ 졸업하고 í•œì–‘ëŒ€í•™êµ ëŒ€í•™ì›ì—서
박물관êµìœ¡í•™ 박사학위를 ì·¨ë“했다. 현재 한국고íŒí™”학회와
세계고íŒí™”연구보존협ì˜íšŒìž¥, 한국박물관êµìœ¡í•™íšŒ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