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ê´€ìž¥ì˜ ê³ íŒí™” 특강 â‘§ ì˜ˆìˆ ì˜ ì„¸ê³„ë¡œ 안내하는 화보류 íŒí™”â… 



íšŒí™”ì˜ ëŒ€ì¤‘í™”ì— í° ì˜í–¥ì„ 미친 화보는 중국íŒí™”ì‚¬ì— ìžˆì–´ì„œ
중요한 ì˜ë¯¸ë¥¼ 지닌다. 중국ì—서는 명 ë§ì¸ 16세기 ë§ë¶€í„° 17세기 초경ì—
다양한 í™”ë³´ë“¤ì´ ìœ í–‰í–ˆìœ¼ë©° ì´ í™”ë³´ë“¤ì€ í•œêµ­ì´ë‚˜ ì¼ë³¸ì—ë„ ì „íŒŒë¼
회화 êµê³¼ì„œ, 복제 명화집으로서 í° ì¸ê¸°ë¥¼ 누렸다.
ì´ë²ˆ 시간ì—는 주요 화보류 íŒí™”ì— ëŒ€í•´ 살펴보ë„ë¡ í•œë‹¤.

글·ìžë£Œ 한선학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화보류 íŒí™”는 ì¤‘êµ­í™”ì˜ ê°ì¢… ê¸°ë²•ì„ ì¢…ë¥˜ë³„, 계통별로 편집한 책으로 ì¤‘êµ­ì˜ íŒë³¸ê¸°ìˆ ì´ í™•ë¦½ëœ ì†¡ëŒ€å®‹ä»£ì— ë“±ìž¥í–ˆìœ¼ë©° 화가나 문ì¸ì´ ê·¸ë¦¼ì„ ë°°ìš¸ 때 ì½ëŠ” 입문서ì´ë‹¤. 화보ë¼ëŠ” ë§ì€ ë¶ì†¡åŒ—宋 선화宣和 ì—°ê°„ì— ë‚˜ì˜¨ ë¶ì†¡ì˜ 휘종 황제가 ê¶ì • ë‚´ì— ì†Œìž¥í•˜ê³  ìžˆë˜ ì—­ëŒ€ ëª…ê°€ë“¤ì˜ íšŒí™” ìž‘í’ˆì„ ê¸°ë¡í•´ ë†“ì€ ã€Šì„ í™”í™”ë³´å®£å’Œç•«è­œã€‹ì—서 ë¹„ë¡¯ëœ ê²ƒì´ë‹¤. 화보는 《선화화보》와 ê°™ì´ ê·¸ë¦¼ì„ ê³ë“¤ì´ì§€ 않고 문ìžë¡œë§Œ 설명한 것과 《매화í¬ì‹ ë³´æ¢…花喜神譜》와 ê°™ì´ ì‚½í™”ë¥¼ ê³ë“¤ì—¬ 설명한 것 등 ë‘ ì¢…ë¥˜ë¡œ 나눠지며 삽화íŒí™”ê°€ ê³ë“¤ì–´ì ¸ 있는 화보는 회화êµë³¸, 복제명화집, 시화집, 회화êµë³¸ê³¼ ë³µì œëª…í™”ì§‘ì„ ê²¸í•œ 것 등으로 í¬ê²Œ ë¶„ë¥˜í•˜ê¸°ë„ í•œë‹¤.
íšŒí™”ì˜ ëŒ€ì¤‘í™”ì™€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화보는 중국íŒí™”ì‚¬ì— ìžˆì–´ì„œ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명 ë§ì¸ 16세기 ë§ë¶€í„° 17세기 ì´ˆê²½ì— ë‹¤ì–‘í•œ êµ¬ì„±ì„ ì§€ë‹Œ í™”ë³´ë“¤ì´ ìœ í–‰í–ˆë‹¤. 회화êµë³¸ê³¼ ê·¸ë¦¼ì˜ ëª¨í‹°ë¸Œê°€ ë˜ëŠ” 화집으로서 화보가 성행하면서 í™”ê°€ë“¤ì„ í¬í•¨í•´ 회화를 ê°ìƒí•˜ê³  수집하는 ì‚¬ëžŒë“¤ì˜ ì €ë³€ì´ í™•ëŒ€ë˜ì—ˆê³  중국ì—서부터 ë¯¸ìˆ ì‹œìž¥ì´ í™•ëŒ€ë˜ê¸° 시작했다. 중국ì—서 유행한 화보는 한국ì´ë‚˜ ì¼ë³¸ì—ë„ ì „íŒŒë˜ì–´ í™”ê°€ë“¤ì˜ íšŒí™” êµê³¼ì„œë¡œì„œì˜ ì—­í• ê³¼ 복제 ëª…í™”ì§‘ì˜ ì—­í• ì„ ë‹´ë‹¹í–ˆë‹¤. 한국ì—서는 화보를 구하기 위한 ê²½ìŸì´ 뜨거웠으며, ì¼ë³¸ì—서는 아예 ì¤‘êµ­ì˜ ìœ ëª…í•œ í™”ë³´ë“¤ì´ ë³µê° ë° ì¶œíŒë˜ì–´ ë§Žì€ ì¸ê¸°ë¥¼ 누렸다. ê³ íŒí™”박물관ì—는 중국 명íŒë³¸ 《고씨화보》, ì„¸ê³„ìµœì´ˆì˜ ì±„ìƒ‰íŒí™”ì§‘ì¸ ã€Šì‹­ì£½ìž¬ 화보》, ëª…ëŒ€ì— ë°œí–‰ëœ ã€Šë‹¹ì‹œí™”ë³´(육언)》, 《시여화보》, 《삼재ë„회》, 《방씨묵보》와 ì¼ë³¸ì—서 ë³µê°ëœ 《ë„회종ì´ã€‹, 《당시화보(오언, ì¹ ì–¸)》, 《고금화보》, 《매난국죽보》, 《초본화시보》, 《목본화조보》, 《장백운명공선보》, 《정씨묵ì›ã€‹, 《ì´ì†Œë„》와 ëŒ€ì •ì‹œê¸°ì— ì„íŒë³¸ìœ¼ë¡œ ë°œí–‰ëœ ã€Šíƒœí‰ì‚°ìˆ˜ë„》를 비롯하여 ì²­ ë•Œì˜ ëŒ€í‘œì ì¸ í™”ë³´ì¸ ã€Šê°œìžì› 화보》, 《만소당죽장화보》, 《무ìŒë³´ã€‹ 등 다양한 중국 화보가 ë§ë¼ë˜ì–´ 있다. ë¿ë§Œ 아니ë¼, ì¼ë³¸ì˜ 유명한 í™”ê°€ë“¤ì´ ì§ì ‘ 만든 í™”ë³´ì¸ ìš°íƒ€ë§ˆë¡œì˜ ã€Šì¶©ë¥˜í™”ë³´ã€‹ì™€ 호코사ì´ì˜ 만화를 비롯하여 《조선í’ì†í™”ë³´ã€‹ë„ ì†Œìž¥í•˜ê³  있어 전문가와 애호가들ì—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ë„1 《고씨화보》 (염립본 그림)



(왼쪽) ë„2 《고씨화보》 (재간행본) 목ë¡, (오른쪽) ë„3 《고씨화보》 표지

고씨화보顧æ°ç•µè­œ

ê³ íŒí™”박물관 ì†Œìž¥í’ˆì¸ ã€Šê³ ì”¨í™”ë³´ã€‹(ë„1)는 ê¶ì •화가로 í™œì•½í–ˆë˜ ê³ ë³‘é¡§ç‚³ì´ ë°‘ê·¸ë¦¼ì„ ê·¸ë¦¬ê³  편찬하여 명 만력 31ë…„(1603)ì— ê°„í–‰í–ˆìœ¼ë©° 별칭으로 ‘역대명공화보歷代åå…¬ç•µè­œâ€™ë¡œë„ ë¶ˆë¦°ë‹¤. ê³ ë³‘ì˜ ì¶œì‹ ì§€ì¸ í•­ì£¼ì˜ ìŒê³„당雙桂堂ì—서 ì´ˆê°„ë³¸ì´ ì¶œê°„ë˜ì—ˆë‹¤. ì´ í™”ë³´ëŠ” ì¸ë¬¼, 산수, 화조 등 모든 장르를 다루고 있고, ìœ¡ì¡°ì‹œëŒ€ì˜ ê³ ê°œì§€ë¡œë¶€í„° 고병과 ë™ì‹œëŒ€ì¸ì¸ ì™•ì •ì±…ì— ì´ë¥´ëŠ” 중국 ì—­ëŒ€ì˜ ìœ ëª…í™”ê°€ 106ì¸ì˜ ìž‘í’ˆì„ í•œ 작가 당 한 ì ì”© íŒí™”로 ë³µì›í•˜ì—¬ 수ë¡í•˜ê³  있다.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í’ˆì€ ê³ ë³‘ì˜ ì•„ë“¤ì´ ìž¬ê°„í–‰í•œ 작품(ë„2)으로 화가 1ëª…ì´ ì¶”ê°€ë˜ì–´ 있으며, 윤ë‘ì„œì˜ ê³ íƒ ì†Œìž¥ë³¸ê³¼ ë™ì¼ë³¸ìœ¼ë¡œ 알려져 있다. ì´ ì±…ì€ ë‚™ì§ˆ 2권으로 ì±… 겉장(ë„3)ì—는 ê°ì§€ì— 아름다운 ëŠ¥í™”íŒ ë¬¸ì–‘ì´ ë°•í˜€ 있으며, 책장마다 장지로 ë°°ì ‘ë˜ì–´ 《고씨화보》를 수시로 보면서 그림 공부를 í•˜ë˜ ì±… 주ì¸ì˜ ëª¨ìŠµì´ ì„ ëª…í•˜ê²Œ ë³´ì´ëŠ” 듯하다. ì¡°ì„  í™”ë‹¨ì— ì§€ëŒ€í•œ ì˜í–¥ì„ ë¯¸ì³¤ë˜ ê³ ì”¨í™”ë³´ì˜ ë©´ë©´ì„ ìž˜ 드러내는 ì±…ì´ë‹¤.

ë„4 《십죽재서화보》, 중국, 광서 ì—°ê°„ ë³µê°ë³¸

십죽재서화보å竹齋書畵譜

ì „ 18권으로 ì´ë£¨ì–´ì§„ ã€Šì‹­ì£½ìž¬ì„œí™”ë³´ã€‹ì˜ ê²½ìš° 그림 ëŒ€ë¶€ë¶„ì´ ê³ ëŒ€ 유명화가가 아닌 오빈, ê³ ì–‘, ê³ ìš°, 위지황, 귀창세를 í¬í•¨í•˜ëŠ” 30ì—¬ëª…ì˜ ë™ì‹œëŒ€ 화가 ë° íŽ¸ì €ìžì˜ ê·¸ë¦¼ì— ì˜ê±°í•˜ì—¬ íŒí™”로 구성한 복제화집ì´ë¼ëŠ” ì ì´ 새롭다. 편저ìžì¸ 호정언(胡正言, 1584-1674)ì€ íœ˜ì£¼(안휘성) 휴녕 출신으로 명 ë§ì— 중서사ì¸ì˜ ê´€ì§ì— 올ëžë‹¤. 그는 고미술품ì´ë‚˜ 진귀한 고서를 수집하고 ì§ì ‘ 서화와 ì „ê°ë„ í–ˆë˜ í’류ì¸ìœ¼ë¡œ, ê¸ˆë¦‰ì— ì‚´ë©´ì„œ í­ë„“ì€ êµìœ ê´€ê³„를 통해 ë™ì‹œëŒ€ì˜ ë§Žì€ í™”ê°€ì˜ êµ¬ë„를 ì§ê°„접으로 밑그림으로 ì´ìš©í–ˆë‹¤. 십죽재는 ê·¸ì˜ ì„œìž¬ ì´ë¦„ì´ê¸°ë„ 하며 ì´ í™”ë³´ëŠ” íœ˜ì£¼ì˜ ê°ê³µê³¼ ì¸ì‡„ê³µ, 유명 ì‚°ì§€ì˜ ì„ ì§€ì™€ ê³µì¸ë“¤, 재료 ë“±ì„ ì¶©ë¶„ížˆ ì„ íƒí•˜ê³  ìŒë¯¸í•´ì„œ 만들어졌다. í™”ë³´ì˜ êµ¬ì„±ì„ ì‚´íŽ´ë³´ë©´ 매보ì—서 시작하여 ì„ë³´, 난보, 죽보, 과보, ì˜ëª¨ë³´, 묵화보로 ì´ì–´ì§€ë©° ê°ì¢… ê½ƒì„ ê·¸ë¦° 서화보로 ëì„ ë§ºëŠ”ë‹¤. 만력 47ë…„(1619)ì— ì œìž‘ì„ ì‹œìž‘í–ˆê³  천계 7ë…„(1627)ì— ì™„ì„±ë˜ì—ˆë‹¤.

(위) ë„5 《십죽재서화보》 ì˜ëª¨ë³¸, ì¼ë³¸, ì—ë„시대
(아래) ë„6 《십죽재서화보》, ë…ì¼, 1950년대



《십죽재서화보》ì—서 가장 특기할만한 ì ì€ íšê¸°ì ì¸ ì¸ì‡„ê¸°ë²•ì— ì˜í•œ ì¹¼ë¼ ë„íŒì´ 출현했다는 ì ì´ë‹¤. 새롭게 ê°œë°œëœ â€˜ë‘íŒì±„색투ì¸é¤–æ¿å½©è‰²å¥—å°â€™ì´ë¼ëŠ” ë¶„íŒ ë¶„ìƒ‰ì— ì˜í•œ 다색중쇄 ê¸°ë²•ì„ í†µí•´ 만들어 낸 미묘한 색조와 ë†ë‹´ì˜ 변화, ê·¸ë¼ë°ì´ì…˜ 효과는 수작업 ì¸ì‡„ì˜ íŒí™”로만 가능한 섬세하고 아름다운 í™”ë©´ì„ ì°½ì¶œí•´ ë‚´ë©°, ë§Žì€ ë¯¸ìˆ ì‚¬ê°€ë“¤ì´ ì´ ê¸°ë²•ì— ëŒ€í•´ 모필 채색보다 우수해 ë³´ì¸ë‹¤ê³  í‰ê°€í•˜ê³  있다. í˜¸ì •ì–¸ì˜ ì¹œêµ¬ì´ìž 유명한 문ì¸í™”ê°€ì¸ ì–‘ë¬¸ì´æ¥Šæ–‡è°ì€ 십죽재 í™”ë³´ì˜ ì˜ëª¨ë³´ 서문ì—서 “호씨는 íŒëª©ìœ¼ë¡œ ë¹„ë‹¨ì„ ëŒ€ì‹ í•˜ê³ , ì¡°ê°ì¹¼ì„ 사용하여 ì „ëŒ€ë¯¸ë¬¸ì˜ ìž‘í’ˆì„ ë§Œë“¤ì—ˆë‹¤. ìƒ‰ì±„ì˜ ë°ê³  ì–´ë‘움, ë†ë‹´ì˜ 변화, ìž…ì²´ê° ëª¨ë‘를 멋지고 훌륭하게 í¬ì°©í•˜ì—¬ ì •êµí•¨ê³¼ ì¹˜ë°€í•¨ì´ ê·¹ì— ë‹¬í•œ 사ìƒì˜ ë¬˜í’ˆì„ ë§Œë“¤ì—ˆë‹¤. ì•„, 얼마나 신기하고 환ìƒì ì¸ê°€! ìƒìƒí•˜ê²Œ 떠오르는 듯한 정취가 있다â€ë¼ê³  표현하며 놀ë¼ì›€ì´ ê°€ë“한 찬사를 ë³´ë‚´ê³  있다.
ê³ íŒí™”박물관ì—는 ì²­ 광서 ì—°ê°„ì— ë³µê°í•œ 《십죽재화보》 4ê¶Œ 4ì±…(ë„4) 《오색五色 ì•„ë¼íŒç‚羅版 십죽재화보》를 비롯하여 ì¼ë³¸ì—서 ë³µê°ëœ 다양한 《십죽재화보》(ë„5)와 1950ë…„ëŒ€ì— ë¯¸êµ­ê³¼ ë…ì¼ì—서 ì¸ì‡„ëœ ã€Šì‹­ì£½ìž¬í™”ë³´ã€‹(ë„6)ë“±ì´ ì†Œìž¥ë˜ì–´ 있다.

(위) ë„8 《개ìžì›í™”전》 2ì§‘ 매난국죽보, ê°•í¬40ë…„ (1701), 가경 ë³µê°íŒ
(아래) ë„9 《개ìžì›í™”전》 3ì§‘ ì˜ëª¨ë³´, ê°•í¬40ë…„ (1701)



ë„10 《개ìžì›í™”전》 4ì§‘ ì¸ë¬¼ë³´, 가경 23ë…„ (1818)

ê°œìžì›í™”전芥å­åœ’畵傳

청초기 ê°•í¬ 18ë…„(1679)ì— ë‚¨ê²½ì—서 《개ìžì›í™”전》 ì „ 5ì±…ì´ ê°„í–‰ë˜ì—ˆë‹¤. ì±…ëª…ì€ ë‚¨ê²½ì˜ ëª…ì‚¬ ì‹¬ì‹¬ìš°ì˜ ì •ì› ì´ë¦„ì—서 따왔고, ì´ì–´æŽæ¼ê°€ ì„œë¬¸ì„ ì¼ìœ¼ë©° 금릉파 화가 왕개가 심씨가 소장해 온 명 ë§ì˜ 화가 ì´ìœ ë°©ì˜ 화보를 ì¦ë³´í•˜ì—¬ ë°‘ê·¸ë¦¼ì„ ê·¸ë ¸ë‹¤. 《개ìžì›í™”ì „ã€‹ì€ ìµœì´ˆì˜ ë³¸ê²©ì ì¸ 산수화보로서 í­ë°œì ì¸ ì¸ê¸°ë¥¼ 얻으며 여러 차례 중íŒë˜ì—ˆë‹¤. ì´ ì´ˆì§‘ì€ ê±´ë¥­íŒê³¼ ê°€ê²½íŒ ë“±ì˜ ì¤‘ê°„ë³¸ì´ë‚˜ ê·¸ ë‚´ìš©ì„ ì¡°ê¸ˆ 바꾼 후ì¸ë³¸ìœ¼ë¡œ 다수 ì¶œíŒë˜ì—ˆë‹¤. 중국ì—서 ì¶œíŒëœ ì§€ 30ë…„ì´ ì±„ 지나지 않아서 ì¼ë³¸ì— ì „í•´ì ¸ 번ê°ë³¸ì´ 나왔고 ì¼ë³¸ 근세 화가들ì—게 ì ì§€ ì•Šì€ ì˜í–¥ì„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ì¡°ì„ ì—ë„ ì´ˆê°„ë³¸ì— ê°€ê¹Œìš´ íŒë³¸ë“¤ì´ ê³ íŒí™”박물관과 ì´ëŒ€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ì ì„ ë³´ì•„ ì¶œíŒ ì´ˆê¸°ì— ì „ëž˜ë˜ì–´ ë§Žì€ í™”ê°€ë“¤ì—게 ì˜í–¥ì„ 미쳤ìŒì„ 알 수 있다. ê°•í¬ 40ë…„(1701)ì—는 ì´ˆì§‘ì— ì´ì–´ì„œ 사군ìžì¸ 매, 난, êµ­, ì£½ì˜ ê° í™”ë³´ë¥¼ 정리한 《개ìžì›í™”전》 2ì§‘ê³¼ 초충, ì˜ëª¨, í™”í›¼í™”ë³´ì¸ ê°œìžì›í™”ì „ 3ì§‘ì´ ì™•ì‹œ, 왕개, 왕얼 ì‚¼í˜•ì œì— ì˜í•´ 편집ë˜ì—ˆë‹¤. 《개ìžì›í™”전》 2ì§‘, 3ì§‘ì€ í™”ì¡°í™”ë³´ë¼ëŠ” 장르를 넘어 ì²­ ì™•ì¡°ì˜ ë‹¤ìƒ‰ì¤‘ì‡„ íŒí™”ì˜ ì •ì ì„ ì´ë£¬ 가장 아름다운 작품집ì´ë‹¤. 3ì§‘ì˜ ì˜ëª¨ë³´ëŠ” í™œì§ í•€ 매화, 모란, 해당화 ë“±ì— ì„ ëª…í•œ 색ìƒì˜ 새나 벌레를 ë§ë¶™ì¸ ë³µí•©ì  ëª¨í‹°ë¸Œë¥¼ ë¶„íŒë¶„ìƒ‰ì— ì˜í•œ ë‹¤ì¤‘ì¤‘ì‡„ì˜ íŠ¹ì„±ì„ ì‚´ë ¤ 표현하고 있다.
ê³ íŒí™”박물관ì—는 조선시대부터 전래ë˜ì—ˆë˜ ê°•í¬ ì´ˆê°„ë³¸ì— ê°€ê¹Œìš´ 1ì§‘ íŒë³¸(ë„7), 가경 ì—°ê°„ì— ë°œí–‰ëœ 2ì§‘ì¸ ã€Šë§¤ë‚œêµ­ì£½ë³´ã€‹(ë„8), 947ë…„ 쓰레기 ë”미ì—서 ë°œê²¬ëœ ë¬µì„œê°€ ì í˜€ìžˆëŠ” ì´ˆê°„ë³¸ì— ê·¼ì ‘í•œ 《ì˜ëª¨ë³´ã€‹(ë„9)와 가경 23ë…„(1818ë…„)ì— ë°œê°„ëœ 4ì§‘ì¸ ã€Šì¸ë¬¼íŒí™”집》(ë„10), 민국시기까지 ë°œí–‰ëœ ë‹¤ì–‘í•œ 목íŒë³¸ê³¼ ì„íŒë³¸ì´ 소장ë˜ì–´ 있으며 ì¼ë³¸ì—서 ë³µê°ëœ íŒë³¸ë„ 다수 소장ë˜ì–´ 있어 《개ìžì›í™”전》 ì—°êµ¬ì— ì¤‘ìš”í•œ ì—­í• ì„ í•˜ê³  있다.


한선학 |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ë™êµ­ëŒ€í•™êµ 불êµë¯¸ìˆ ê³¼ë¥¼ 졸업하고 í•œì–‘ëŒ€í•™êµ ëŒ€í•™ì›ì—서
박물관êµìœ¡í•™ 박사학위를 ì·¨ë“했다. 현재 한국고íŒí™”학회와
세계고íŒí™”연구보존협ì˜íšŒìž¥, 한국박물관êµìœ¡í•™íšŒ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