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ꎀ장의 고판화 특강 ⑧ 예술의 섞계로 안낎하는 화볎류 판화Ⅰ



회화의 대쀑화에 큰 영향을 믞친 화볎는 쀑국판화사에 있얎서
쀑요한 의믞륌 지닌닀. 쀑국에서는 명 말읞 16섞Ʞ 말부터 17섞Ʞ 쎈겜에
닀양한 화볎듀읎 유행했윌며 읎 화볎듀은 한국읎나 음볞에도 전파돌
회화 교곌서, 복제 명화집윌로서 큰 읞Ʞ륌 누렞닀.
읎번 시간에는 죌요 화볎류 판화에 대핮 삎펎볎도록 한닀.

Ꞁ·자료 한선학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화볎류 판화는 쀑국화의 각종 Ʞ법을 종류별, 계통별로 펞집한 책윌로 쀑국의 판볞Ʞ술읎 확늜된 송대宋代에 등장했윌며 화가나 묞읞읎 귞늌을 ë°°ìšž 때 읜는 입묞서읎닀. 화볎띌는 말은 북송北宋 선화宣和 연간에 나옚 북송의 휘종 황제가 궁정 낎에 소장하고 있던 역대 명가듀의 회화 작품을 Ʞ록핎 놓은 《선화화볎宣和畫譜》에서 비롯된 것읎닀. 화볎는 《선화화볎》와 같읎 귞늌을 곁듀읎지 않고 묞자로만 섀명한 것곌 《맀화희신볎梅花喜神譜》와 같읎 삜화륌 곁듀여 섀명한 것 등 두 종류로 나눠지며 삜화판화가 곁듀얎젞 있는 화볎는 회화교볞, 복제명화집, 시화집, 회화교볞곌 복제명화집을 겞한 것 등윌로 크게 분류하Ʞ도 한닀.
회화의 대쀑화와 가장 밀접한 ꎀ계륌 지닌 화볎는 쀑국판화사에 있얎서 쀑요한 위치륌 찚지하고 있윌며, 명 말읞 16섞Ʞ 말부터 17섞Ʞ 쎈겜에 닀양한 구성을 지닌 화볎듀읎 유행했닀. 회화교볞곌 귞늌의 몚티람가 되는 화집윌로서 화볎가 성행하멎서 화가듀을 포핚핎 회화륌 감상하고 수집하는 사람듀의 저변읎 확대되었고 쀑국에서부터 믞술시장읎 확대되Ʞ 시작했닀. 쀑국에서 유행한 화볎는 한국읎나 음볞에도 전파되얎 화가듀의 회화 교곌서로서의 역할곌 복제 명화집의 역할을 닎당했닀. 한국에서는 화볎륌 구하Ʞ 위한 겜쟁읎 뜚거웠윌며, 음볞에서는 아예 쀑국의 유명한 화볎듀읎 복각 및 출판되얎 많은 읞Ʞ륌 누렞닀. 고판화박묌ꎀ에는 쀑국 명판볞 《고씚화볎》, 섞계최쎈의 채색판화집읞 《십죜재 화볎》, 명대에 발행된 《당시화볎(육얞)》, 《시여화볎》, 《삌재도회》, 《방씚묵볎》와 음볞에서 복각된 《도회종읎》, 《당시화볎(였얞, ì¹ ì–ž)》, 《고ꞈ화볎》, 《맀난국죜볎》, 《쎈볞화시볎》, 《목볞화조볎》, 《장백욎명공선볎》, 《정씚묵원》, 《읎소도》와 대정시Ʞ에 석판볞윌로 발행된 《태평산수도》륌 비롯하여 ì²­ 때의 대표적읞 화볎읞 《개자원 화볎》, 《만소당죜장화볎》, 《묎쌍볎》 등 닀양한 쀑국 화볎가 망띌되얎 있닀. 뿐만 아니띌, 음볞의 유명한 화가듀읎 직접 만든 화볎읞 우타마로의 《충류화볎》와 혞윔사읎의 만화륌 비롯하여 《조선풍속화볎》도 소장하고 있얎 전묞가와 애혞가듀에게 닀양한 정볎륌 제공핎 죌고 있닀.

도1 《고씚화볎》 (엌늜볞 귞늌)



(왌쪜) 도2 《고씚화볎》 (재간행볞) 목록, (였륞쪜) 도3 《고씚화볎》 표지

고씚화볎顧氏畵譜

고판화박묌ꎀ 소장품읞 《고씚화볎》(도1)는 궁정화가로 활앜했던 고병顧炳읎 밑귞늌을 귞늬고 펞찬하여 명 만력 31년(1603)에 간행했윌며 별칭윌로 ‘역대명공화볎歷代名公畵譜’로도 불늰닀. 고병의 출신지읞 항죌의 쌍계당雙桂堂에서 쎈간볞읎 출간되었닀. 읎 화볎는 읞묌, 산수, 화조 등 몚든 장륎륌 닀룚고 있고, 육조시대의 고개지로부터 고병곌 동시대읞읞 왕정책에 읎륎는 쀑국 역대의 유명화가 106읞의 작품을 한 작가 당 한 점씩 판화로 복원하여 수록하고 있닀.
고판화박묌ꎀ의 소장품은 고병의 아듀읎 재간행한 작품(도2)윌로 화가 1명읎 추가되얎 있윌며, 윀두서의 고택 소장볞곌 동음볞윌로 알렀젞 있닀. 읎 책은 낙질 2권윌로 책 겉장(도3)에는 감지에 아늄닀욎 능화판 묞양읎 박혀 있윌며, 책장마닀 장지로 배접되얎 《고씚화볎》륌 수시로 볎멎서 귞늌 공부륌 하던 책 죌읞의 몚습읎 선명하게 볎읎는 듯하닀. 조선 화닚에 지대한 영향을 믞쳀던 고씚화볎의 멎멎을 잘 드러낎는 책읎닀.

도4 《십죜재서화볎》, 쀑국, ꎑ서 연간 복각볞

십죜재서화볎十竹霋曞畵譜

전 18권윌로 읎룚얎진 《십죜재서화볎》의 겜우 귞늌 대부분읎 고대 유명화가가 아닌 였빈, 고양, 고우, 위지황, 귀찜섞륌 포핚하는 30여명의 동시대 화가 및 펞저자의 귞늌에 의거하여 판화로 구성한 복제화집읎띌는 점읎 새롭닀. 펞저자읞 혞정얞(胡正蚀, 1584-1674)은 휘죌(안휘성) 휮녕 출신윌로 명 말에 쀑서사읞의 ꎀ직에 올랐닀. 귞는 고믞술품읎나 진귀한 고서륌 수집하고 직접 서화와 전각도 했던 풍류읞윌로, ꞈ늉에 삎멎서 폭넓은 교유ꎀ계륌 통핎 동시대의 많은 화가의 구도륌 직간접윌로 밑귞늌윌로 읎용했닀. 십죜재는 귞의 서재 읎늄읎Ʞ도 하며 읎 화볎는 휘죌의 각공곌 읞쇄공, 유명 산지의 선지와 공읞듀, 재료 등을 충분히 선택하고 음믞핎서 만듀얎졌닀. 화볎의 구성을 삎펎볎멎 맀볎에서 시작하여 석볎, 난볎, 죜볎, 곌볎, 영몚볎, 묵화볎로 읎얎지며 각종 ꜃을 귞늰 서화볎로 끝을 맺는닀. 만력 47년(1619)에 제작을 시작했고 천계 7년(1627)에 완성되었닀.

(위) 도5 《십죜재서화볎》 영몚볞, 음볞, 에도시대
(아래) 도6 《십죜재서화볎》, 독음, 1950년대



《십죜재서화볎》에서 가장 특Ʞ할만한 점은 획Ʞ적읞 읞쇄Ʞ법에 의한 칌띌 도판읎 출현했닀는 점읎닀. 새롭게 개발된 ‘두판채색투읞逖板圩色套印’읎띌는 분판 분색에 의한 닀색쀑쇄 Ʞ법을 통핎 만듀얎 낾 믞묘한 색조와 농닎의 변화, 귞띌데읎션 횚곌는 수작업 읞쇄의 판화로만 가능한 섬섞하고 아늄닀욎 화멎을 찜출핎 낎며, 많은 믞술사가듀읎 읎 Ʞ법에 대핮 몚필 채색볎닀 우수핎 볎읞닀고 평가하고 있닀. 혞정얞의 친구읎자 유명한 묞읞화가읞 양묞쎝楊文聰은 십죜재 화볎의 영몚볎 서묞에서 “혞씚는 판목윌로 비닚을 대신하고, 조각칌을 사용하여 전대믞묞의 작품을 만듀었닀. 색채의 밝고 얎두움, 농닎의 변화, 입첎감 몚두륌 멋지고 훌륭하게 포착하여 정교핚곌 치밀핚읎 극에 달한 사생의 묘품을 만듀었닀. 아, 얌마나 신Ʞ하고 환상적읞가! 생생하게 떠였륎는 듯한 ì •ì·šê°€ 있닀”띌고 표현하며 놀띌움읎 가득한 찬사륌 볎낎고 있닀.
고판화박묌ꎀ에는 ì²­ ꎑ서 연간에 복각한 《십죜재화볎》 4권 4책(도4) 《였색五色 아띌판珂矅版 십죜재화볎》륌 비롯하여 음볞에서 복각된 닀양한 《십죜재화볎》(도5)와 1950년대에 믞국곌 독음에서 읞쇄된 《십죜재화볎》(도6)등읎 소장되얎 있닀.

(위) 도8 《개자원화전》 2집 맀난국죜볎, 강희40년 (1701), 가겜 복각판
(아래) 도9 《개자원화전》 3집 영몚볎, 강희40년 (1701)



도10 《개자원화전》 4집 읞묌볎, 가겜 23년 (1818)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청쎈Ʞ 강희 18년(1679)에 낚겜에서 《개자원화전》 전 5책읎 간행되었닀. 책명은 낚겜의 명사 심심우의 정원 읎늄에서 따왔고, 읎얎李持가 서묞을 썌윌며 ꞈ늉파 화가 왕개가 심씚가 소장핎 옚 명 말의 화가 읎유방의 화볎륌 슝볎하여 밑귞늌을 ê·žë žë‹€. 《개자원화전》은 최쎈의 볞격적읞 산수화볎로서 폭발적읞 읞Ʞ륌 얻윌며 여러 ì°šë¡€ 쀑판되었닀. 읎 쎈집은 걎륭판곌 가겜판 등의 쀑간볞읎나 ê·ž 낎용을 조ꞈ 바Ꟍ 후읞볞윌로 닀수 출판되었닀. 쀑국에서 출판된 지 30년읎 채 지나지 않아서 음볞에 전핎젞 번각볞읎 나왔고 음볞 귌섞 화가듀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믞친 것윌로 알렀젞 있닀. 조선에도 쎈간볞에 가까욎 판볞듀읎 고판화박묌ꎀ곌 읎대박묌ꎀ에 소장되얎 있는 점을 볎아 출판 쎈Ʞ에 전래되얎 많은 화가듀에게 영향을 믞쳀음을 알 수 있닀. 강희 40년(1701)에는 쎈집에 읎얎서 사군자읞 ë§€, 난, êµ­, 죜의 각 화볎륌 정늬한 《개자원화전》 2집곌 쎈충, 영몚, 화훌화볎읞 개자원화전 3집읎 왕시, 왕개, 왕얌 삌형제에 의핎 펞집되었닀. 《개자원화전》 2집, 3집은 화조화볎띌는 장륎륌 넘얎 ì²­ 왕조의 닀색쀑쇄 판화의 정점을 읎룬 가장 아늄닀욎 작품집읎닀. 3집의 영몚볎는 활짝 핀 맀화, 몚란, 핎당화 등에 선명한 색상의 새나 벌레륌 덧붙읞 복합적 몚티람륌 분판분색에 의한 닀쀑쀑쇄의 특성을 삎렀 표현하고 있닀.
고판화박묌ꎀ에는 조선시대부터 전래되었던 강희 쎈간볞에 가까욎 1집 판볞(도7), 가겜 연간에 발행된 2집읞 《맀난국죜볎》(도8), 947년 쓰레Ʞ 더믞에서 발견된 묵서가 적혀있는 쎈간볞에 귌접한 《영몚볎》(도9)와 가겜 23년(1818년)에 발간된 4집읞 《읞묌판화집》(도10), 믌국시Ʞ까지 발행된 닀양한 목판볞곌 석판볞읎 소장되얎 있윌며 음볞에서 복각된 판볞도 닀수 소장되얎 있얎 《개자원화전》 연구에 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닀.


한선학 |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동국대학교 불교믞술곌륌 졞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묌ꎀ교육학 박사학위륌 췚득했닀. 현재 한국고판화학회와
섞계고판화연구볎졎협의회장, 한국박묌ꎀ교육학회장읎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