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ê´€ìž¥ì˜ ê³ íŒí™” 특강 â‘¥ì‹ ì„ ì˜ ì„¸ê³„ë¡œ 초대하는 ë„êµ ì‚½í™”

ë™ì–‘ ì •ì‹ ì„¸ê³„ì˜ ë°”íƒ•ì´ ë˜ì—ˆë˜ 종êµëŠ” 유êµ, 불êµ, ë„êµì´ê¸°ì— ë™ì•„시아ì—서는 불êµ,
유êµì„œì ê³¼ ë”불어 ë„êµì„œì ì´ 활발히 발간ë˜ì—ˆë‹¤. 특히 ë…ìžë“¤ì˜ ì´í•´ë¥¼ ë•기 위해
ê·¸ë¦¼ì´ ë“¤ì–´ê°€ 있는 ë„êµì„œì ë“¤ì„ 발간하며 ì‹ ì„ ë“¤ì˜ ì‹ ë¹„ë¡œìš´ 세계를 펼ì³ëƒˆë‹¤.

글·ìžë£Œ 한선학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ë„êµëŠ” 중국ì—서 신선사ìƒì„ 기반으로 ìžì—° ë°œìƒí–ˆìœ¼ë©°, 노장사ìƒÂ·ìœ êµÂ·ë¶ˆêµë¥¼ í¬í•¨í•´ 통ì†ì ì¸ 여러 ì‹ ì•™ ìš”ì†Œë“¤ì„ ë°›ì•„ë“¤ì´ë©´ì„œ í˜•ì„±ëœ ì¢…êµì´ë‹¤. 장ë„릉張é“é™µë“±ì´ ë„êµë¥¼ ì¼ìœ¼í‚¨ 초기ì—는 ì¼ì¢…ì˜ ì‹ í¥ì¢…êµì— 지나지 않았으나, ë„êµê°€ í•˜ë‚˜ì˜ ì¢…êµë¡œì„œ ì´ë¡ ì²´ê³„를 갖추기 시작한 ê²ƒì€ 3∼4세기 무렵 위백양é­ä¼¯é™½ê³¼ ê°ˆí™è‘›æ´ªì´ 학술ì ì¸ 기초를 제공하면서부터였다.
ì´í›„ 구겸지寇謙之가 전래 종êµì¸ 불êµì˜ ìžê·¹ì„ 받아 ë¶ˆêµ ì˜ë¡€å„€ç¦®ì˜ ì¸¡ë©´ì„ ëŒ€í­ ì±„íƒí•˜ê³  ë„êµë¥¼ 천사ë„天師é“로 ê°œì¹­í•¨ìœ¼ë¡œì¨ ì¢…êµì ì¸ êµë¦¬ì™€ ì¡°ì§ì´ 비로소 정비ë˜ì—ˆë‹¤. ì •ë¹„ëœ ë„êµì—서는 불경과 ê°™ì´ ë§Žì€ ë„êµ ê²½ì „ì„ ë°œí–‰í–ˆìœ¼ë©° ë¶ˆê²½ì˜ ë‚´ìš©ì„ ì´í•´í•˜ê¸° 쉽게 삽화가 등장하였듯 ë„ê²½ì—ì„œë„ ë‹¤ì–‘í•œ 삽화가 들어 있는 ê²½ì „ì´ ì œìž‘ë˜ì—ˆë‹¤. 유불선 삼êµì¼ì¹˜ì‚¬ìƒì´ ì„±í–‰í•˜ë˜ ëª…ì‹œëŒ€ 후반ì—는 ì‹ ì„ ê³¼ ë¶ˆì¡°ì— ê´€í•œ í’부한 ë„ìƒì„ 모아 í™ì‘ëª…æ´ªæ‡‰æ˜Žì´ ã€Šì„ ë¶ˆê¸°ì¢…ä»™ä½›å¥‡è¸ªã€‹ì„ 1602ë…„ì— ì œìž‘í–ˆìœ¼ë©°, ì´ë°±ì—¬ëª…ì— ì´ë¥´ëŠ” ì‹ ì„ ìƒç¥žä»™åƒì„ 삽화로 표현한 ì™•ìš´ë¶•æ±ªé›²éµ¬ì˜ ã€Šì—´ì„ ì „ì „åˆ—ä»™å…¨å‚³ã€‹ì´ 1600ë…„ì— í•­ì£¼ì—서 ì¶œíŒë˜ì–´ 신비로운 ì‹ ì„ ì˜ ì„¸ê³„ë¥¼ 보여주는 본보기가 ë˜ê¸°ë„ 하였다. ì²­ë‚˜ë¼ í›„ê¸°ì—는 불êµì˜ 시왕경과 ê°™ì€ ë„êµì˜ 《옥력보초玉歷寶鈔》등 ë„êµì‹ ì‹œì™•ê²½ì´ ë§Žì´ ë°œê°„ë˜ì—ˆë‹¤.
ê³ êµ¬ë ¤ì‹œëŒ€ì— í•œêµ­ìœ¼ë¡œ ì „ëž˜ëœ ë„êµëŠ” ê³ ë ¤ì‹œëŒ€ì— ì •ë¶€ 주ë„í•˜ì— ì™•ì‹¤ê³¼ 나ë¼ì˜ ì•ˆë…•ì„ ë¹„ëŠ” ì˜ë¡€ ì¤‘ì‹¬ì˜ ë„êµë¡œì¨ í¬ê²Œ 성행했다. 조선시대ì—ë„ ì¡°ê´‘ì¡°è¶™å…‰ç¥–ì— ì˜í•´ 소격서(昭格署, ì¡°ì„ ì‹œëŒ€ì— ë„êµì˜ ë³´ì¡´ê³¼ ë„êµ ì˜ì‹å„€å¼ì„ 위하여 설치한 ì˜ˆì¡°ç¦®æ›¹ì˜ ê´€ì²­)ê°€ í˜íŒŒë˜ê¸° 전까지는 êµ­ê°€ì˜ë¡€ë¡œ 행해졌으나, 소격서가 완전히 í˜íŒŒëœ 임진왜란 ì´í›„ì—는 ì ì°¨ 무ì†ì˜ 길로 접어들었다. 우리나ë¼ì—ì„œë„ ì‚½í™”ê°€ 들어간 ë„êµ ì„œì ì€ 임란ì´ì „ì¸ 1570ë…„ 무등산 안심사ì—서 ì¶œíŒëœ 《옥추경玉樞經》부터 본격ì ìœ¼ë¡œ 발행ë으며 19세기까지 ì´ì–´ì¡Œë‹¤. 19세기 후반 고종 때ì—는 관우 ì‹ ì•™ 관련 서ì ì„ ë§Žì´ ê°„í–‰í•˜ëŠ” 등 êµ­ê°€ ì°¨ì›ì—서 관우 숭배 문화를 장려했으며 관우 ì‹ ì•™ì€ 20ì„¸ê¸°ì— ë“¤ì–´ 국가제사가 중단ë˜ë©´ì„œ íž˜ì„ ìžƒì—ˆê³  민간ì—ì„œë„ ì ì°¨ 사ë¼ì¡Œë‹¤.
19ì„¸ê¸°ì— ìœ ë¶ˆì„  삼êµë¥¼ 중심으로 최제우가 만든 천ë„êµì—ì„œë„ í¬êµì˜ 수단으로 삽화가 들어간 ê²½ì „ì¸ ã€ŠíšŒìƒì˜ì ì‹¤ê¸°ç¹ªåƒéˆè¹Ÿå¯¦è¨˜ã€‹ê°€ 만들어졌으며, 서구ì—서 ì „ëž˜ëœ ê¸°ë…êµì—ì„œë„ ì´ˆìƒí™”가로 유명한 ê¹€ì¤€ê·¼ì˜ ì‚½í™”ê°€ 들어가 있는 ã€Šì²œë¡œì—­ì •å¤©è·¯æ­·ç¨‹ã€‹ì„ ëª©íŒí™”와 ë™íŒí™”로 제작해 조선후기 한국 삽화íŒí™”ì˜ ì•„ë¦„ë‹¤ì›€ì„ ì„ ë³´ì˜€ë‹¤.

1. 옥추경玉樞經

ì˜¥ì¶”ê²½ì€ ì¤‘êµ­ì˜ ë„êµ ê²½ì „ì¸ ã€Šêµ¬ì²œì‘ì›ë‡Œì„±ë³´í™”천존옥추보경ä¹å¤©æ‡‰å…ƒé›·è²æ™®åŒ–å¤©å°ŠçŽ‰æ¨žå¯¶ç¶“ã€‹ì„ ì¤„ì—¬ 부른 서명書åì´ë‹¤. ì²œë‘¥ì„ ë‹¤ìŠ¤ë¦¬ëŠ” ë³´í™”ì²œì¡´ì˜ ìœ„ì‹ ë ¥ìœ¼ë¡œ, 기우제祈雨祭를 지내거나, 악귀를 ì«“ì„ ë•Œ ì½ëŠ” 경문으로 알려졌다. ë…경하면 ì²œë¦¬ê·€ì‹ ì´ ë‹¤ 움ì§ì—¬ ì§ˆë³‘ì„ ë‚«ê²Œ 해준다는 ì‹ ì•™ ë•Œë¬¸ì— ë³‘ 굿ì´ë‚˜ ì‹  굿 ê°™ì€ í° êµ¿ì—서 가장 ë§Žì´ ì½í˜€ì¡Œë˜ 경전으로 ì¡°ê´‘ì¡°ì— ì˜í•´ 소격서가 í˜íŒŒë˜ê¸° 전까지는 국가시험ì—ë„ ë‚˜ì˜¨ 경전ì´ë‹¤. 무ì†ì—서는 현대ì—ë„ â€˜ê·€ì‹ ì˜ ë¼ˆë„ ë…¹ì—¬ 없앤다’는 ì˜í—˜í•œ 경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ë¼ì—서 전해지고 있는 ì˜¥ì¶”ê²½ì˜ íŒë³¸ë“¤ 중 대표ì ì¸ ê²ƒì€ ë¬´ë“±ì‚° 안심사본(安心寺本, 1570)ê³¼ ê°™ì€ í•´ì— ë°œê°„ëœ ì•ˆì‹¬ì‚¬ 수정본, 진안 반룡사본盤é¾å¯ºæœ¬, 묘향산 보현사본(普賢寺本, 1733), 그리고 계룡산본(é·„é¾å±±æœ¬, 1888) ë“±ì´ ìžˆë‹¤. ê³ íŒí™”박물관ì—는 ê°•ì›ë„ 유형문화재 ì œ154호로 지정ë˜ì–´ 있는 1570ë…„ 안심사본과, ê°™ì€ í•´ì— ì œìž‘ëœ ìˆ˜ì •ë³¸ì´ ì†Œìž¥ë˜ì–´ 있다. ì˜¥ì¶”ê²½ì— ì‹¤ë ¤ 있는 삽화는 ë„êµì˜ 다양한 ì‹ ë“¤ì˜ ëª¨ìŠµ(ë„1)ê³¼ ì›ì‹œì²œì¡´å…ƒå§‹å¤©å°Šì˜ 화신으로 천둥신[雷神]ì¸ ë³´í™”ì²œì¡´ì´ ì•…ì„ ì—†ì• ê³  ì„ ì„ í–‰í•˜ì—¬, 중ìƒì„ 구하는 ìž¥ë©´ì´ ë“œë¼ë§ˆí‹±í•˜ê²Œ 삽화íŒí™”(ë„2)로 표현ë˜ì–´ìžˆìœ¼ë©°, ê²½ì˜ í›„ë°˜ 부분ì—는 ë¶€ì (ë„3)ë„ ì‹¤ë ¤ 있다. ì „ì œì ìœ¼ë¡œ 삽화íŒí™”ì˜ ì œìž‘ 솜씨가 매우 정밀하며, 수정본ì—서는 안심사본ì—서 ë¹ ì§„ ë¶€ë¶„ì´ ë³´ì¶©ë˜ì–´ 있어, 옥추경과 ì¡°ì„ ì‹œëŒ€ì— ì œìž‘ëœ ì‚½í™”íŒí™”를 연구하는 ë° ì¤‘ìš”í•œ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태ìƒê°ì‘편ë„설언해太上感應篇圖說諺解

ì„ å–„ì„ í–‰í•˜ë©´ 태ìƒ(옥황ìƒì œ)ì´ ë³µì„ ë‚´ë¦°ë‹¤ëŠ” ë‚´ìš©ì˜ ë„êµ ì„œì ìœ¼ë¡œ, 본래 중국ì—서 편찬한 ì±…(ë„4)ì„ 1852ë…„(철종3) 중ì¸ä¸­äºº í•™ìžì¸ ìµœì„±í™˜ì´ í•œê¸€ ë²ˆì—­ì„ ì‹¤ì–´ 간행한 ë’¤, 1880ë…„(고종17) ì™•ì˜ ëª…ë ¹ìœ¼ë¡œ 다시 간행했다. ‘ì¸Â·ì˜Â·ì˜ˆÂ·ì§€Â·ì‹ â€™ì˜ 5ì±… ê°€ìš´ë° 1ì±…ì˜ ì±…í‘œì§€ 안쪽ì—는 왕명으로 간행했다는 ê¸€ì´ ì‹¤ë ¤ 있고 5ì±…ì˜ ë부분ì—는 임금과 왕비, 세ìžì˜ 장수와 ë³µì„ ê¸°ì›í•˜ëŠ” ê¸€ì´ ì í˜€ 있다. ì„œë¬¸ì— â€œì°©í•œ ê²ƒì„ ë§í•˜ê³  착한 ê²ƒì„ ë³´ê³  착한 ì¼ì„ 행하여 í•˜ë£¨ì— ì„¸ 가지 착한 ì¼ì„ 행하여 3ë…„ ë™ì•ˆ 착한 ì¼ì„ 한 ì‚¬ëžŒì€ í•˜ëŠ˜ì´ ë³µì„ ë‚´ë¦¬ê³ , 반대로 악한 ì¼ë§Œ 행한 사람ì—게는 화를 내린다â€ë¼ëŠ” ì¸ê³¼ì‘ë³´ì— ëŒ€í•œ êµí›ˆì„ ë‹´ê³  있다. ë˜í•œ ‘ë„설圖說’ì´ë¼ëŠ” ì œëª©ì´ ë³´ì—¬ì£¼ë“¯ì´ ì´ ì±…ì—는 500ì—¬ ìž¥ì˜ ê·¸ë¦¼ê³¼ 함께 관련 고사, 한글 ë²ˆì—­ì„ ì‹¤ì–´ í•œë¬¸ì„ ëª¨ë¥´ëŠ” ì¼ë°˜ì¸ë“¤ë„ ì´í•´í•˜ê¸° 쉽ë„ë¡ ë§Œë“¤ì—ˆë‹¤. ê³ íŒí™”박물관ì—는 2ê¶Œì˜ ì–¸í•´ë³¸(ë„5)ì´ ìžˆì–´ 삽화와 êµ­ì–´ ì—°êµ¬ì— ì¤‘ìš”í•œ ìžë£Œê°€ ë˜ê³  있다.

3. 관성제군성ì ë„지전집關è–å¸å›è–蹟圖誌全集

ì´‰ë‚˜ë¼ ìž¥ìˆ˜ì¸ ê´€ìš°é—œç¾½ì— ëŒ€í•œ 역대 사ì ì„ 삽화와 글로 표현한 책으로, ì¤‘êµ­ì˜ ë…¸ë‹´ç›§æ¹›ì´ ã€Šê´€ì„±ì œêµ°ì„±ì ë„지전집關å¸è–蹟圖誌全集》ì´ëž€ 제목으로 1693ë…„ì— ê°„í–‰í•œ ê²ƒì„ ì¡°ì„ ì˜ ì„œì •å¾ç½ì´ëž€ ë„사가 수입해서 1876ë…„(고종 13)ì— ì¤‘ê°„é‡åˆŠ(ë„6)했다.

ê¶Œ1ì˜ ì‚½í™”ëŠ” ê´€ìš°ì˜ ì¡°ë¶€ ì´ì•¼ê¸°ì¸ ‘ì€ê±°í›ˆìžéš±å±…訓å­â€™ë¡œë¶€í„° 관우가 관제로 ì‹ ê²©í™”ëœ â€˜í•­ëª½ì£¼ìˆ˜é™å¤¢å·žå®ˆâ€™ì— ì´ë¥´ê¸°ê¹Œì§€ ê´€ìš°ì˜ ì‚¬ì ì„ ëª¨ë‘ 51í­ì˜ 그림으로 기ë¡í–ˆë‹¤. ì‚¼êµ­ì§€ì— ë“±ìž¥í•˜ëŠ” 관우 ìž¥êµ°ì˜ ì¼ëŒ€ê¸°ê°€ íŒí™”로 묘사ë˜ì—ˆìœ¼ë©°, 조선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빼어난 íŒê° 솜씨를 ìžëž‘하고 있다. 삼국지 관련 연구ì—ë„ ì¢‹ì€ ìžë£Œê°€ ë˜ê³  있다.

4. 연명경(延命經 : 태ìƒí˜„ë ¹ë¶ë‘본명연ìƒì§„ê²½)

ë„êµì˜ ë¶ë‘ì¹ ì„±ì€ ì‚¬ëžŒì˜ ì£½ìŒ ë° ìš´ëª…ì„ ê´€ìž¥í•˜ëŠ” ì‹ ì´ë©°, 삼국시대부터 존재하여 ì™”ë˜ í•œêµ­ì˜ ë¶ë‘ì‹ ì•™ì€ ë…ë¦½ëœ í˜•íƒœë¡œëŠ” 남아 있지 않고 불êµì™€ 습합하여 ê·¸ ëª…ë§¥ì„ ìœ ì§€í•˜ì—¬ 왔다. ë¶ë‘ì¹ ì„±ì€ ê°ê° ì˜ì¸í™”ëœ ë¶€ì²˜[如來]로서 ë¶ê·¹ì„±åŒ—æ¥µæ˜Ÿì„ ì—¬ëž˜í™”í•œ 치성광여래熾星光如來를 중심으로 하여 ìž¬ì•™ì„ ë¬¼ë¦¬ì¹˜ê³  ì§ˆë³‘ì„ ë‹¤ìŠ¤ë¦¬ë©° ë“ë‚¨ì„ ê¸°ì›í•˜ëŠ” ì‹ ì•™ì˜ ëŒ€ìƒì´ ë˜ì—ˆìœ¼ë©°, 칠성ê°ì— 존재하고 있다.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는 ã€Šì—°ëª…ê²½ã€‹ì€ ë™ì¹˜3ë…„(1864) 삼ê°ì‚° ë„ì„ ì•”ì—서 발행ë˜ì—ˆìœ¼ë©° ë¶ë‘칠성 ë³€ìƒë„(ë„7)ê°€ 실려 있다.

5. 열선전전列仙全傳

ë„êµì™€ ê´€ë ¨ëœ ì¤‘êµ­ì˜ ì„œì ì€ 매우 ë‹¤ì–‘í•œë°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í•˜ê³  있는 삽화가 들어 있는 대표ì ì¸ 서ì ìœ¼ë¡œëŠ” 불êµì™€ ë„êµê°€ 습한 ëœ ë¯¼ì†ì‹ ì•™ ê²½ì „ë“¤ì´ ë‹¤ìˆ˜ 존재한다. ê·¸ ê²½ì „ë“¤ì˜ ì•ž 쪽ì—는 부처와 ê³µìž, ë…¸ìžê°€ 삼존불로 등장하는 ë³€ìƒë„(ë„8)ê°€ 있어 ì´ì±„롭다. 1600ë…„ì— í•­ì£¼ 왕호헌ì—서 ì¶œíŒë˜ì—ˆë˜, 200ì—¬ëª…ì˜ ì—­ëŒ€ì‹ ì„ ì„ ì‚½í™”ë¡œ 표현한 ì™•ìš´ë¶•ì˜ ã€Šì—´ì„ ì „ì „åˆ—ä»™å…¨å‚³ã€‹ì„ 1650ë…„ì— ì¼ë³¸ì—서 중간한 《열선전전列仙全傳》(ë„9)ì´ ì†Œìž¥ë˜ì–´ 있어, ë„êµì—°êµ¬ì— 중요한 사료가 ë˜ê³  있다. ì´ë°–ì—ë„ ã€Šê´€ì„±ì œêµ°ë³´í›ˆìƒì£¼é—œè–å¸å›å¯¶è¨“åƒè¨»ã€‹ 와 《태ìƒê°ì‘편太上感應篇》 íŒë³¸ì´ 다수 소장ë˜ì–´ 있으며, íŒë³¸ì„ ì°ì—ˆë˜ ì›íŒ íŒëª©ë„ 소장ë˜ì–´ 있다. ì²­ ë§ê¸°ì— ìœ í–‰í•˜ì˜€ë˜ ë„êµ ì‹œì™•ê²½ì¸ ã€Šì˜¥ë ¥ë³´ì´ˆçŽ‰æ­·å¯¶éˆ”ã€‹(ë„10)ë„ ì†Œìž¥ë˜ì–´ 있어, 시왕경 ì—°êµ¬ì˜ ì¢‹ì€ ìžë£Œê°€ ë˜ê³  있다.

6. 회ìƒì˜ì ì‹¤ê¸°ç¹ªåƒ éˆè¹Ÿå¯¦è¨˜

《회ìƒì˜ì ì‹¤ê¸°ç¹ªåƒ éˆè¹Ÿå¯¦è¨˜ã€‹ëŠ” 1915ë…„ 천ë„êµ ì‹œì²œêµ ì´ë¶€ì—서 간행한 책으로 ë™í•™ì˜ 최재우, 최시형 ì„ ìƒì˜ ì˜ì ë‹´éˆè¹Ÿè«‡ì„ 기ë¡í•œ ì±…ì´ë‹¤. ì´ ì±…ì—는 목íŒí™”로 íŒê°í•œ 52ìž¥ì˜ ì‚½í™”(ë„11)를 수ë¡í•˜ê³  있으며, ì´ë¥¼ 국문과 한문으로 해설하고 있다. ë™í•™ê³„ì—´ì˜ ë§Žì€ êµë‹¨ì´ ê°ì¶•ì„ ë²Œì´ê³  ìžˆì„ ë•Œ ì‹œì²œêµ ì´ë¶€ê°€ 다른 êµë‹¨ê³¼ì˜ ê²½ìŸì—서 우위를 ì í•˜ê³ ìž, ì‹ ë„ë“¤ì´ ì‰½ê²Œ ì´í•´í•  수 있게 그림과 한글로 기íší•´ 출간한 ì±…ì´ë‹¤. 삽화íŒí™”ê°€ 근대ì—ì„œë„ í¬êµì˜ í° ìˆ˜ë‹¨ì´ ë˜ê³  ìžˆìŒ ë³´ì—¬ì£¼ëŠ” ì¢‹ì€ ì˜ˆë¼ê³  í•  수 있으며, 목íŒì‚½í™”ì— ìˆ˜ë¡ëœ ë‚´ìš©ë“¤ì€ ê·¸ ë‹¹ì‹œì˜ ì‚¬íšŒìƒì„ 알 수 있는 ì¢‹ì€ ìžë£Œë¡œ í‰ê°€ 받고 있다. 미술사가 ì´íƒœí˜¸ êµìˆ˜ëŠ” ì´ ì‚½í™”ì˜ ê·¸ë¦¼ì„ ìœ ëª…í•œ ì´ˆìƒí™”ê°€ì¸ ì±„ìš©ì‹ è”¡é¾è‡£ì´ 그린 것으로 ê³ ì¦í•˜ê³  있듯ì´, 천로역정과 ë”불어 근대 삽화íŒí™”ì˜ ë°±ë¯¸ë¡œ 꼽히고 있다.

7. 천로역정天路歷程

ì¡´ ë²ˆì—°ì´ ì“´ 기ë…êµ ì†Œì„¤ ã€Šì²œë¡œì—­ì •ã€‹ì„ ì„ êµì‚¬ ì¡´ 게ì¼ì´ 번역하고 í’ì†í™”ê°€ 기산 ê¹€ì¤€ê·¼é‡‘ä¿Šæ ¹ì´ 42ìž¥ì˜ ì‚½í™”ë¥¼ 그려 목íŒìœ¼ë¡œ ì¶œíŒí•œ 근대 íŒí™”ì˜ ìˆ˜ìž‘ì´ë‹¤. ì›ê·¼ë²•ì„ ì¼ë¶€ 사용했고 등장ì¸ë¬¼ë“¤ì´ ì„œì–‘ì‹ ë³µìž¥ì´ ì•„ë‹Œ í•œêµ­í™”ëœ ëª¨ìŠµìœ¼ë¡œ 등장하는 ì ì´ 특ì´í•˜ë‹¤. ì²œì‚¬ì˜ ëª¨ìŠµë„ ë‚ ê°œ 달린 ì„œì–‘ì‹ ì²œì‚¬ì˜ ëª¨ìŠµì´ ì•„ë‹ˆë¼ ë™ì–‘ì˜ ë¹„ì²œ ì„ ë…€ìƒì„ 하고 있다. â€˜í„´êµ­ì— ë“¤ì–´ê°€ë‹¤â€™ëž€ 그림(ë„12)ì€ ë§ˆì¹˜ ë„êµì  분위기까지 í’기고 있어, 우리 ì„ ì¡°ë“¤ì´ ê¸°ë…êµë¥¼ ë°›ì•„ë“¤ì¼ ë•Œ ìžì£¼ì  사고로 한국화하여 받아들였ìŒì„ 알 수 있다. ì´ˆê°„ë³¸ì€ ë³¸ë¬¸ê³¼ 삽화를 목íŒìœ¼ë¡œ íŒê°í•˜ì˜€ìœ¼ë‚˜, 재íŒë³¸ì€ ë³¸ë¬¸ì„ ê·¼ëŒ€ì‹ ì—°í™œìžì™€ 삽화는 목íŒí™”를 축소시켜 ë™íŒìœ¼ë¡œ ì¡°íŒí•˜ì—¬ ì¸ì‡„하였다. ê³ íŒí™”ë°•ë¬¼ê´€ì€ ì±…í‘œì§€ ë’·ë©´ì— ë¶™ì–´ ìžˆë˜ ëª©íŒí™”(ë„13) 2장과 ë™íŒí™”와 연활ìžë¡œ ê°„í–‰ëœ 1919ë…„ì— ì œìž‘ëœ ë™íŒë³¸ì´ 소장ë˜ì–´ 있다.


한선학 |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ë™êµ­ëŒ€í•™êµ 불êµë¯¸ìˆ ê³¼ë¥¼ 졸업하고 í•œì–‘ëŒ€í•™êµ ëŒ€í•™ì›ì—서 박물관êµìœ¡í•™ 박사학위를
ì·¨ë“했다.
현재 한국고íŒí™”학회와 세계고íŒí™”연구보존협ì˜íšŒìž¥, 한국박물관êµìœ¡í•™íšŒ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