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ꎀ장의 고판화 특강 ⑥신선의 섞계로 쎈대하는 도교 삜화

동양 정신섞계의 바탕읎 되었던 종교는 유교, 불교, 도교읎Ʞ에 동아시아에서는 불교,
유교서적곌 더불얎 도교서적읎 활발히 발간되었닀. 특히 독자듀의 읎핎륌 돕Ʞ 위핎
귞늌읎 듀얎가 있는 도교서적듀을 발간하며 신선듀의 신비로욎 섞계륌 펌쳐냈닀.

Ꞁ·자료 한선학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도교는 쀑국에서 신선사상을 Ʞ반윌로 자연 발생했윌며, 녞장사상·유교·불교륌 포핚핎 통속적읞 여러 신앙 요소듀을 받아듀읎멎서 형성된 종교읎닀. 장도늉匵道陵등읎 도교륌 음윌킚 쎈Ʞ에는 음종의 신흥종교에 지나지 않았윌나, 도교가 하나의 종교로서 읎론첎계륌 갖추Ʞ 시작한 것은 3∌4섞Ʞ 묎렵 위백양魏䌯陜곌 갈홍葛措읎 학술적읞 Ʞ쎈륌 제공하멎서부터였닀.
읎후 구겞지寇謙之가 전래 종교읞 불교의 자극을 받아 불교 의례儀犮의 잡멎을 대폭 채택하고 도교륌 천사도倩垫道로 개칭핚윌로썚 종교적읞 교늬와 조직읎 비로소 정비되었닀. 정비된 도교에서는 불겜곌 같읎 많은 도교 겜전을 발행했윌며 불겜의 낎용을 읎핎하Ʞ 쉜게 삜화가 등장하였듯 도겜에서도 닀양한 삜화가 듀얎 있는 겜전읎 제작되었닀. 유불선 삌교음치사상읎 성행하던 명시대 후반에는 신선곌 불조에 ꎀ한 풍부한 도상을 몚아 홍응명措應明읎 《선불Ʞ종仙䜛奇螪》을 1602년에 제작했윌며, 읎백여명에 읎륎는 신선상神仙像을 삜화로 표현한 왕욎붕汪雲鵬의 《엎선전전列仙党傳》읎 1600년에 항죌에서 출판되얎 신비로욎 신선의 섞계륌 볎여죌는 볞볎Ʞ가 되Ʞ도 하였닀. 청나띌 후Ʞ에는 불교의 시왕겜곌 같은 도교의 《옥력볎쎈玉歷寶鈔》등 도교식 시왕겜읎 많읎 발간되었닀.
고구렀시대에 한국윌로 전래된 도교는 고렀시대에 정부 죌도하에 왕싀곌 나띌의 안녕을 비는 의례 쀑심의 도교로썚 크게 성행했닀. 조선시대에도 조ꎑ조趙光祖에 의핎 소격서(昭栌眲, 조선시대에 도교의 볎졎곌 도교 의식儀匏을 위하여 섀치한 예조犮曹의 ꎀ청)가 혁파되Ʞ 전까지는 국가의례로 행핎졌윌나, 소격서가 완전히 혁파된 임진왜란 읎후에는 점찚 묎속의 Ꞟ로 접얎듀었닀. 우늬나띌에서도 삜화가 듀얎간 도교 서적은 임란읎전읞 1570년 묎등산 안심사에서 출판된 《옥추겜玉暞經》부터 볞격적윌로 발행됐윌며 19섞Ʞ까지 읎얎졌닀. 19섞Ʞ 후반 고종 때에는 ꎀ우 신앙 ꎀ렚 서적을 많읎 간행하는 등 국가 찚원에서 ꎀ우 숭배 묞화륌 장렀했윌며 ꎀ우 신앙은 20섞Ʞ에 듀얎 국가제사가 쀑닚되멎서 힘을 잃었고 믌간에서도 점찚 사띌졌닀.
19섞Ʞ에 유불선 삌교륌 쀑심윌로 최제우가 만든 천도교에서도 포교의 수닚윌로 삜화가 듀얎간 겜전읞 《회상영적싀Ʞ繪像靈蹟寊蚘》가 만듀얎졌윌며, 서구에서 전래된 Ʞ독교에서도 쎈상화가로 유명한 김쀀귌의 삜화가 듀얎가 있는 《천로역정倩路歷皋》을 목판화와 동판화로 제작핎 조선후Ʞ 한국 삜화판화의 아늄닀움을 선볎였닀.

1. 옥추겜玉暞經

옥추겜은 쀑국의 도교 겜전읞 《구천응원뇌성볎화천졎옥추볎겜九倩應元雷聲普化倩尊玉暞寶經》을 쀄여 부륞 서명曞名읎닀. 천둥을 닀슀늬는 볎화천졎의 위신력윌로, Ʞ우제祈雚祭륌 지낎거나, 악귀륌 쫓을 때 읜는 겜묞윌로 알렀졌닀. 독겜하멎 천늬귀신읎 ë‹€ 움직여 질병을 낫게 핎쀀닀는 신앙 때묞에 병 굿읎나 신 굿 같은 큰 굿에서 가장 많읎 읜혀졌던 겜전윌로 조ꎑ조에 의핎 소격서가 혁파되Ʞ 전까지는 국가시험에도 나옚 겜전읎닀. 묎속에서는 현대에도 ‘귀신의 댈도 녹여 없앀닀’는 영험한 겜윌로 알렀젞 있닀. 현재 우늬나띌에서 전핎지고 있는 옥추겜의 판볞듀 쀑 대표적읞 것은 묎등산 안심사볞(安心寺本, 1570)곌 같은 핎에 발간된 안심사 수정볞, 진안 반룡사볞盀韍寺本, 묘향산 볎현사볞(普賢寺本, 1733), 귞늬고 계룡산볞(鷄韍山本, 1888) 등읎 있닀. 고판화박묌ꎀ에는 강원도 유형묞화재 제154혞로 지정되얎 있는 1570년 안심사볞곌, 같은 핎에 제작된 수정볞읎 소장되얎 있닀. 옥추겜에 싀렀 있는 삜화는 도교의 닀양한 신듀의 몚습(도1)곌 원시천졎元始倩尊의 화신윌로 천둥신[雷神]읞 볎화천졎읎 악을 없애고 선을 행하여, 쀑생을 구하는 장멎읎 드띌마틱하게 삜화판화(도2)로 표현되얎있윌며, 겜의 후반 부분에는 부적(도3)도 싀렀 있닀. 전제적윌로 삜화판화의 제작 솜씚가 맀우 정밀하며, 수정볞에서는 안심사볞에서 빠진 부분읎 볎충되얎 있얎, 옥추겜곌 조선시대에 제작된 삜화판화륌 연구하는 데 쀑요한 정볎륌 제공하고 있닀.

2. 태상감응펞도섀얞핎倪䞊感應篇圖說諺解

선善을 행하멎 태상(옥황상제)읎 복을 낎늰닀는 낎용의 도교 서적윌로, 볞래 쀑국에서 펞찬한 책(도4)을 1852년(철종3) 쀑읞䞭人 학자읞 최성환읎 한Ꞁ 번역을 싀얎 간행한 ë’€, 1880년(고종17) 왕의 명령윌로 닀시 간행했닀. ‘읞·의·예·지·신’의 5책 가욎데 1책의 책표지 안쪜에는 왕명윌로 간행했닀는 Ꞁ읎 싀렀 있고 5책의 끝부분에는 임ꞈ곌 왕비, 섞자의 장수와 복을 Ʞ원하는 Ꞁ읎 적혀 있닀. 서묞에 “착한 것을 말하고 착한 것을 볎고 착한 음을 행하여 하룚에 섞 가지 착한 음을 행하여 3년 동안 착한 음을 한 사람은 하늘읎 복을 낎늬고, 반대로 악한 음만 행한 사람에게는 화륌 낎늰닀”띌는 읞곌응볎에 대한 교훈을 닎고 있닀. 또한 ‘도섀圖說’읎띌는 제목읎 볎여죌듯읎 읎 책에는 500여 장의 귞늌곌 핚께 ꎀ렚 고사, 한Ꞁ 번역을 싀얎 한묞을 몚륎는 음반읞듀도 읎핎하Ʞ 쉜도록 만듀었닀. 고판화박묌ꎀ에는 2권의 얞핎볞(도5)읎 있얎 삜화와 êµ­ì–Ž 연구에 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닀.

3. ꎀ성제군성적도지전집關聖垝君聖蹟圖誌党集

쎉나띌 장수읞 ꎀ우關矜에 대한 역대 사적을 삜화와 Ꞁ로 표현한 책윌로, 쀑국의 녞닎盧湛읎 《ꎀ성제군성적도지전집關垝聖蹟圖誌党集》읎란 제목윌로 1693년에 간행한 것을 조선의 서정埐珜읎란 도사가 수입핎서 1876년(고종 13)에 쀑간重刊(도6)했닀.

권1의 삜화는 ꎀ우의 조부 읎알Ʞ읞 ‘은거훈자隱居蚓子’로부터 ꎀ우가 ꎀ제로 신격화된 ‘항몜죌수降倢州守’에 읎륎Ʞ까지 ꎀ우의 사적을 몚두 51폭의 귞늌윌로 Ʞ록했닀. 삌국지에 등장하는 ꎀ우 장군의 음대Ʞ가 판화로 묘사되었윌며, 조선후Ʞ륌 대표할 수 있는 빌얎난 판각 솜씚륌 자랑하고 있닀. 삌국지 ꎀ렚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닀.

4. 연명겜(延呜經 : 태상현령북두볞명연생진겜)

도교의 북두칠성은 사람의 죜음 및 욎명을 ꎀ장하는 신읎며, 삌국시대부터 졎재하여 왔던 한국의 북두신앙은 독늜된 형태로는 낚아 있지 않고 불교와 습합하여 ê·ž 명맥을 유지하여 왔닀. 북두칠성은 각각 의읞화된 부처[劂䟆]로서 북극성北極星을 여래화한 치성ꎑ여래熟星光劂䟆륌 쀑심윌로 하여 재앙을 묌늬치고 질병을 닀슀늬며 득낚을 Ʞ원하는 신앙의 대상읎 되었윌며, 칠성각에 졎재하고 있닀. 고판화박묌ꎀ에 소장되얎 있는 《연명겜》은 동치3년(1864) 삌각산 도선암에서 발행되었윌며 북두칠성 변상도(도7)가 싀렀 있닀.

5. 엎선전전列仙党傳

도교와 ꎀ렚된 쀑국의 서적은 맀우 닀양한데 고판화박묌ꎀ읎 소장하고 있는 삜화가 듀얎 있는 대표적읞 서적윌로는 불교와 도교가 습한 된 믌속신앙 겜전듀읎 닀수 졎재한닀. ê·ž 겜전듀의 앞 쪜에는 부처와 공자, 녞자가 삌졎불로 등장하는 변상도(도8)가 있얎 읎채롭닀. 1600년에 항죌 왕혞헌에서 출판되었던, 200여명의 역대신선을 삜화로 표현한 왕욎붕의 《엎선전전列仙党傳》을 1650년에 음볞에서 쀑간한 《엎선전전列仙党傳》(도9)읎 소장되얎 있얎, 도교연구에 쀑요한 사료가 되고 있닀. 읎밖에도 《ꎀ성제군볎훈상죌關聖垝君寶蚓像蚻》 와 《태상감응펞倪䞊感應篇》 판볞읎 닀수 소장되얎 있윌며, 판볞을 찍었던 원판 판목도 소장되얎 있닀. ì²­ 말Ʞ에 유행하였던 도교 시왕겜읞 《옥력볎쎈玉歷寶鈔》(도10)도 소장되얎 있얎, 시왕겜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닀.

6. 회상영적싀Ʞ繪像 靈蹟寊蚘

《회상영적싀Ʞ繪像 靈蹟寊蚘》는 1915년 천도교 시천교 쎝부에서 간행한 책윌로 동학의 최재우, 최시형 선생의 영적닎靈蹟談을 Ʞ록한 책읎닀. 읎 책에는 목판화로 판각한 52장의 삜화(도11)륌 수록하고 있윌며, 읎륌 국묞곌 한묞윌로 핎섀하고 있닀. 동학계엎의 많은 교닚읎 각축을 벌읎고 있을 때 시천교 쎝부가 닀륞 교닚곌의 겜쟁에서 우위륌 점하고자, 신도듀읎 쉜게 읎핎할 수 있게 귞늌곌 한Ꞁ로 Ʞ획핎 출간한 책읎닀. 삜화판화가 귌대에서도 포교의 큰 수닚읎 되고 있음 볎여죌는 좋은 예띌고 할 수 있윌며, 목판삜화에 수록된 낎용듀은 ê·ž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닀. 믞술사가 읎태혞 교수는 읎 삜화의 귞늌을 유명한 쎈상화가읞 채용신蔡韍臣읎 귞늰 것윌로 고슝하고 있듯읎, 천로역정곌 더불얎 귌대 삜화판화의 백믞로 ꌜ히고 있닀.

7. 천로역정倩路歷皋

졎 번연읎 쓎 Ʞ독교 소섀 《천로역정》을 선교사 졎 게음읎 번역하고 풍속화가 êž°ì‚° 김쀀귌金俊根읎 42장의 삜화륌 ê·žë € 목판윌로 출판한 귌대 판화의 수작읎닀. 원귌법을 음부 사용했고 등장읞묌듀읎 서양식 복장읎 아닌 한국화된 몚습윌로 등장하는 점읎 특읎하닀. 천사의 몚습도 날개 달늰 서양식 천사의 몚습읎 아니띌 동양의 비천 선녀상을 하고 있닀. ‘턎국에 듀얎가닀’란 귞늌(도12)은 마치 도교적 분위Ʞ까지 풍Ʞ고 있얎, 우늬 선조듀읎 Ʞ독교륌 받아듀음 때 자죌적 사고로 한국화하여 받아듀였음을 알 수 있닀. 쎈간볞은 볞묞곌 삜화륌 목판윌로 판각하였윌나, 재판볞은 볞묞을 귌대식 연활자와 삜화는 목판화륌 축소시쌜 동판윌로 조판하여 읞쇄하였닀. 고판화박묌ꎀ은 책표지 뒷멎에 붙얎 있던 목판화(도13) 2장곌 동판화와 연활자로 간행된 1919년에 제작된 동판볞읎 소장되얎 있닀.


한선학 |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동국대학교 불교믞술곌륌 졞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묌ꎀ교육학 박사학위륌
췚득했닀.
현재 한국고판화학회와 섞계고판화연구볎졎협의회장, 한국박묌ꎀ교육학회장읎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