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ê´€ìž¥ì˜ ê³ íŒí™” 특강 â‘£ 삽화íŒí™”ì˜ ì„¸ê³„

íŒí™”ì˜ ë°œì „ì€ ì¸ì‡„ì˜ ë°œì „ê³¼ ê·¸ 궤를 ê°™ì´í•˜ê³  있다.
문ìžì— ìµìˆ™í•˜ì§€ 못한 사람들ì´ë¼ í• ì§€ë¼ë„ 그림만 ë³´ì•„ë„ ê·¸ ë‚´ìš©ì„ ì‰½ê²Œ ì´í•´ í•  수 있ë„ë¡ ê¸€ì˜ ë‚´ìš©ì„ ì••ì¶•í•´
삽화를 표현했으며, ì´ëŸ¬í•œ ì‚½í™”ì˜ ë°œì „ì´ íŒí™”ê°€ ë…ìžì ì¸ ë¯¸ìˆ ì˜ í•œ 장르로 발전하는 ì›ë™ë ¥ì´ ë˜ì—ˆë‹¤.
삽화로 í‘œí˜„ëœ ê³ íŒí™”를 ì¢…êµ ì‚½í™”, ê¶ì¤‘ 삽화, 민간 삽화로 나누어 분류하고 í•´ì„í•´ ë³´ê³ ìží•œë‹¤


ì¢…êµ ì‚½í™”ì˜ ì„¸ê³„

ì¸ì‡„문화는 ë¶€ì²˜ë‹˜ì˜ ë§ì”€ì„ 전달하는 수단으로 발전했으며, 실í¬ë¡œë“œë¥¼ 통해 서양으로 전달ë˜ê³  난 후ì—ë„ ì˜ˆìˆ˜ë‹˜ì˜ ë§ì”€ì„ 전달하는 수단으로 발전했다. ì´ë•Œ ê¸€ì˜ ë‚´ìš©ì„ ì´í•´í•˜ê¸° 쉽게 표현한 삽화가 등장했다. ì„¸ê³„ìµœì´ˆì˜ íŒí™”ê°€ 868ë…„ 만들어진 금강경 ë³€ìƒë„ë¼ëŠ” ì ì—서 알 수 있듯 종êµì„œì ì—서는 ë¯¼ì¤‘ë“¤ì´ ì¢…êµì˜ êµë¦¬ë¥¼ 쉽게 ì´í•´í•  수 있ë„ë¡ ì‚½í™”ë¥¼ 활용했다. 삽화íŒí™”는 불êµ, 유êµ, ë„êµë¥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지역ì ìœ¼ë¡œëŠ” 중국ì—서 시작해 한국, ì¼ë³¸, 베트남, í‹°ë²³, 몽골 등ì—서 발전했다.

ë¶ˆêµ ì‚½í™”

불경들 중ì—는 ê²½ì˜ ë‚´ìš©ì„ ì••ì¶•í•˜ì—¬ ì´ë¯¸ì§€ë¥¼ 변화시킨 ë³€ìƒë„를 ì±… ì•žë¶€ë¶„ì— ë°°ì¹˜í•˜ëŠ” 권수ë„나, ì±… ì†ì˜ 내용과 함께 삽화 형ì‹ìœ¼ë¡œ 표현하는 경우가 ë§Žì€ íŽ¸ì´ë‹¤. ì´ëŠ” ë¶ˆê²½ì˜ ë‚´ìš©ì„ ê·¸ë¦¼ìœ¼ë¡œ 표현하여 ê²½ì„ ì½ëŠ” ì‹ ìžë“¤ì˜ ì´í•´ë¥¼ ë•ê³  깨달ìŒì˜ 세계로 ì´ëŒê¸° 위한 방편으로 í™œìš©ëœ ê²ƒì´ë‹¤. 현대ì¸ë“¤ì€ ê·¸ë¦¼ì„ ë””ìžì¸ì ì¸ ì´ë¯¸ì§€ë¡œ 변화시킨 ìºë¦­í„°ë‚˜ 애니메ì´ì…˜ ì†ì—서 ì‚´ê³  있다. 불경 ì†ì— ë””ìžì¸ì ìœ¼ë¡œ ì´ë¯¸ì§€í™” ë˜ì–´ìžˆëŠ” íŒí™”삽화를 ë¶ˆê²½ì˜ ë‚´ìš©ê³¼ 함께 현대ì ìœ¼ë¡œ 재해ì„한다면 현대ì¸ë“¤ì—게 새로운 ì°½ì˜ì  ê°€ëŠ¥ì„±ì„ ì—´ì–´ 줄 수 ìžˆì„ ê²ƒì´ë‹¤.

1. ì„¤ë²•ë„ ì‚½í™”

â‘  비로ìžë‚˜ë¶ˆ 설법ë„
비로ìžë‚˜ë¶€ì²˜ë‹˜ì´ 대중들ì—게 설법하는 ìž¥ë©´ì„ í‘œí˜„í•œ ë³€ìƒë„ íŒëª©ì´ ê³ ë ¤ì‹œëŒ€ì— ì œìž‘ë˜ì–´ í•´ì¸ì‚¬ì— 현존하고 있으며, 남아있는 íŒëª©ì€ 화엄경 ë³€ìƒë„ 주본 80장과 진본 ë³€ìƒë„ 12장ì´ë‹¤. ì´ë¥¼ ì¸ì¶œí•œ ë³€ìƒë„ 삽화가 ëª¨ë‘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ì–´ 있으며, 현존하는 비로ìžë‚˜ë¶ˆ ì„¤ë²•ë„ ê°€ìš´ë° ë‹¨ì—° ì••ê¶Œì´ë¼ í•  수 있다.(ë„1) 현재 편집 ë””ìžì¸ 등ì—서 ë§Žì´ í™œìš©ë˜ê³  있으며, ì•žìœ¼ë¡œë„ ë¬´ê¶ë¬´ì§„하게 ë³€ìš©ë  ìˆ˜ 있는 ê°€ëŠ¥ì„±ì„ ê°€ì§€ê³  있다.

â‘¡ ì„가모니 설법ë„
우리나ë¼ì—는 ì„가모니 ë¶€ì²˜ë‹˜ì´ ì˜ì¶•ì‚°ì—서 설법할 당시를 드ë¼ë§ˆí‹±í•˜ê²Œ 삽화로 표현한 ì˜ì‚°íšŒìƒë„ ë³€ìƒë„ 삽화가 권수화 형ì‹ìœ¼ë¡œ 다양하게 남아 있다. 우리나ë¼ì˜ ë³€ìƒë„는 주로 중국 ë³€ìƒë„로부터 ì˜í–¥ì„ 받았으며, ê³ íŒí™”ë°•ë¬¼ê´€ì— ì†Œìž¥ëœ ëª…ë‚˜ë¼ íŒë³¸ê³¼ ì •í¬ëŒ€ì™•대비 ë°œì› íŒë³¸ì„ 비êµí•´ ë³´ë©´ ê·¸ ì˜í–¥ 관계를 잘 알 수 있다.(ë„2, ë„3, ë„4)

2. 부처님ì¼ëŒ€ê¸° 삽화

ì„가모니 ë¶€ì²˜ë‹˜ì˜ ì¼ëŒ€ê¸°ë¥¼ 비롯하여 ì¡°ì‚¬ë“¤ì˜ ì´ì•¼ê¸°ë¥¼ 모아 그림책으로 만들어진 ì„씨ì›ë¥˜ê°€ 중국ì—서 다양한 íŒë³¸ìœ¼ë¡œ 만들어졌고 우리나ë¼ì—는 불암사íŒë³¸ê³¼ 선운사íŒë³¸ì´ 번ê°ë˜ì–´ 전해지고 있다. 불암사íŒì€ 그림 한 ìž¥ì— ë‚´ìš©ì¸ ê¸€ì”¨ê°€ 한 장 씩 들어 있는 삽화형ì‹ì´ë©°(ë„5), 선운사íŒì€ ê·¸ë¦¼ì´ ì±…ì˜ ìƒë‹¨ì— 위치하고 ê·¸ë¦¼ì˜ ë‚´ìš©ì´ í•˜ë‹¨ì— ê¸°ë¡ëœ ìƒë„하문ì‹ìœ¼ë¡œ 표현ë˜ì–´ìžˆë‹¤.(ë„6)

3. ê·¹ë½ì„¸ê³„ 삽화

ì¸ê°„ì´ ìƒë¡œë³‘ì‚¬ì˜ ì„¸ê³„ë¥¼ 벗어나 ì˜ì›í•œ ê·¹ë½ì„¸ê³„ì— ê°€ê³ ìží•˜ëŠ” 믿ìŒì€ 예나 지금ì´ë‚˜ 모든 ì´ë“¤ì˜ ë°”ëžŒì¼ ê²ƒì´ë‹¤. ì•„ë¯¸íƒ€ê²½ì— ì˜í•˜ë©´, 중ìƒë“¤ì´ 죽ìŒì„ ë§žì´í•  때 ì•„ë¯¸íƒ€ë¶ˆì˜ ëª…í˜¸ë¥¼ 진실 ë˜ê²Œ 염불하면 ì•„ë¯¸íƒ€ë¶€ì²˜ë‹˜ì´ ë³´ë‚´ì£¼ì‹  ë°˜ì•¼ìš©ì„ ì— ì˜¬ë¼ ê·¹ë½ì™•ìƒí•œë‹¤ê³  하므로 ì—¼ë¶ˆì„ ê¶Œí•œë‹¤.
ì´ë•Œ 삽화를 통해서나마 불ìžë“¤ì´ 막연한 ê·¹ë½ì´ 아닌, ê·¹ë½ì„¸ê³„ì˜ ì´ë¯¸ì§€ë¥¼ 접하고 ì‚¬í›„ì„¸ê³„ì— ëŒ€í•œ 확신과 믿ìŒì„ 가질 수 있ë„ë¡ ìœ ë„하고 있다.

â‘  아미타래ì˜ë„ 阿彌陀來迎圖
ë•ì£¼ì‚¬íŒ ë¶ˆì„¤ì•„ë¯¸íƒ€ê²½ì— ë‚˜ì˜¤ëŠ” ì´ ì‚½í™”ëŠ” ì•„ë¯¸íƒ€ê²½ì˜ ë§ˆì§€ë§‰ì„ ìž¥ì‹í•˜ëŠ” ë³€ìƒë„(ë„7)로 ì•„ë¯¸íƒ€ë¶€ì²˜ë‹˜ì´ ë³´ì‚´, 비구, 신중 등 ëŒ€ì¤‘ë“¤ì„ ì´ëŒê³  êµ¬ë¦„ì„ íƒ€ê³  내려와 ì•„ë¯¸íƒ€ë¶ˆì„ ì—¼ë¶ˆí•˜ëŠ” 중ìƒë“¤ì„ ë‚´ì˜ä¾†è¿Ží•˜ëŠ” ìž¥ë©´ì´ ë“œë¼ë§ˆí‹±í•˜ê²Œ 표현ë˜ê³  있다.

â‘¡ ìš©ì„ ë„ é¾èˆ¹åœ–
ë‹´ì–‘ 용천사 íŒë³¸ì—ë§Œ 등장하는 반야 ìš©ì„ ë„ ì‚½í™”ëŠ” ì•„ë¯¸íƒ€ë¶€ì²˜ë‹˜ì´ ì£½ìŒì— ì´ë¥¸ 중ìƒë“¤ì´ ì£„ì˜ ê²½ì¤‘ì— ê´€ê³„ì—†ì´ ì§„ì‹¤í•œ 마ìŒìœ¼ë¡œ ë‚˜ë¬´ì•„ë¯¸íƒ€ë¶ˆì„ ì—¼ë¶ˆí•˜ë©´ ë°˜ì•¼ìš©ì„ ì„ ë³´ë‚´ 중ìƒë“¤ì„ ê·¹ë½ìœ¼ë¡œ 왕ìƒì‹œí‚¤ëŠ” ë‚´ìš©ì„ ê·¸ë¦¼ìœ¼ë¡œ 표현한 것ì´ë‹¤.(ë„8) 염불수행ìžë“¤ì´ ë°˜ì•¼ìš©ì„ ì— íƒ€ê³  있으며 아미타부처님과 관세ìŒë³´ì‚´, ëŒ€ì„¸ì§€ë³´ì‚´ì´ ê·¹ë½ìœ¼ë¡œ 염불수행ìžë“¤ì„ 태운 ë°˜ì•¼ìš©ì„ ì„ ë‚´ì˜ä¾†è¿Ží•˜ëŠ” ìž¥ë©´ì´ êµ¬ì²´ì ìœ¼ë¡œ 묘사ë˜ì–´ 있다. 다른 ì•„ë¯¸íƒ€ê²½ì˜ íŒë³¸ì—는 ë³´ì´ì§€ 않는 ë…특한 용선ë„ì´ë‹¤.

4. 지옥세계 삽화

지옥세계 삽화는 사후세계를 심íŒí•˜ëŠ” íŒê´€ì˜ 모습 등 ì¸ê°„ì˜ ê³µí¬ì‹¬ì„ ìžê·¹í•˜ëŠ” 지옥세계를 사실ì ìœ¼ë¡œ 표현하여 ì‚¬ëžŒë“¤ì´ ì•…ì— ëŒ€í•œ ë‘ë ¤ì›€ì„ ê°–ê³  선한 ì‚¶ì„ ì‚´ì•„ê°ˆ 수 있ë„ë¡ ê²½ê°ì‹¬ì„ 조성한다. 지옥변ìƒë„ 삽화ì—서는 현대 게임ì´ë‚˜ 환타지 ì†Œì„¤ì„ ì—°ìƒì‹œí‚¤ëŠ” ìž¥ë©´ë“¤ì´ ë“œë¼ë§ˆí‹±í•˜ê²Œ 잘 표현ë˜ê³  있다.

â‘  불êµì‹œì™• ë³€ìƒë„
í•´ì¸ì‚¬ ã€Šì‹œì™•ê²½ã€‹ì˜ ë³€ìƒì„ ë³´ë©´ ì‹­ëŒ€ì™•ì˜ ìž¥ë©´ì´ ê·¸ë ¤ì ¸ 있다. 시왕ë„ì¤‘ì— ì œ 5ë„ì¸ ì—¼ë¼ì™•ë„ì—는 죄ì¸ì´ ì—¼ë¼ëŒ€ì™• 앞ì—서 심íŒë˜ëŠ” ìž¥ë©´ì´ ìž˜ 묘사ë˜ì–´ 있다.(ë„9) 죄ì¸ì´ 업경대를 통해 ìžì‹ ì˜ ì£„ì—…ì„ í™•ì¸í•˜ëŠ” 모습과 우측 ìƒë‹¨ì— 위치한 ì§€ìž¥ë³´ì‚´ì˜ ëª¨ìŠµì´ ë³´ì¸ë‹¤. ì´ëŠ” ì—¼ë¼ëŒ€ì™•ì´ ì£„ì¸ì„ 심íŒí•  때, ì§€ìž¥ë³´ì‚´ì´ ì—¼ë¼ëŒ€ì™•ì˜ ìŠ¤ìŠ¹ìœ¼ë¡œì„œ 죄ì¸ì˜ ë²Œì„ ê°€ë³ê²Œ 해준다는 ê²½ì „ì˜ ë‚´ìš©ì„ ê·¸ë¦¼ìœ¼ë¡œ 표현한 장면ì´ë‹¤.

② 목련경
ëª©ë ¨ê²½ì€ ì„ê°€ëª¨ë‹ˆë¶€ì²˜ì˜ ì‹­ëŒ€ì œìž ì¤‘ ëŒ€ëª©ê±´ë ¨å¤§ç›®ä¹¾é€£ì´ ì¶œê°€, 수행하여 ì‹ í†µë ¥ì„ ì–»ì€ í›„ ì§€ì˜¥ì— ë–¨ì–´ì§„ 어머니를 ë„리천ê¶å¿‰åˆ©å¤©å®®ìœ¼ë¡œ 구제하는 과정과 íš¨ì‹¬ì„ ì„¤í•œ 경전으로 18ìž¥ë©´ì˜ ê·¸ë¦¼ì´ ì‚½ìž…ë˜ì–´ 있다.(ë„10) ì§€ì˜¥ì˜ ì„¸ê³„ê°€ 삽화로 펼ì³ì§€ê³  ìžˆëŠ”ë° íŠ¹ížˆ 김제 í¥ë³µì‚¬íŒ 목련경ì—는 ì‚½í™”ì— ë“±ìž¥í•˜ëŠ” ì¸ë¬¼ë“¤ì´ 입체파 í™”ê°€ë“¤ì˜ ìž‘í’ˆì„ ì—°ìƒì‹œí‚¬ ì •ë„로 파격ì ì¸ 형ìƒìœ¼ë¡œ 표현ë˜ì–´ìžˆë‹¤. 중국ì—서 전래ë˜ì—ˆì§€ë§Œ 한국ì ì¸ ë³€ìƒë„로 ìž¬ì°½ì¡°ëœ ì¤‘ìš”í•œ 사례ë¼ê³  í•  수 있다.

â‘¢ 왕ìƒìš”ì§‘
왕ìƒìš”ì§‘ì€ ì¼ë³¸ì˜ ê²ì‹ (æºä¿¡, 942∼1017)ì´ íŽ¸ì°¬í•œ 불êµì„œì ìœ¼ë¡œ 985ë…„ì— íŽ¸ì°¬ë˜ì—ˆìœ¼ë©°, 여러 ê²½ì „ì— ë‚˜ì˜¤ëŠ” ‘왕ìƒê·¹ë½å¾€ç”Ÿæ¥µæ¨‚â€™ì— ê´€í•œ ê¸€ì„ ëª¨ì•„ ì—®ì€ ì±…ì´ë‹¤. ì¼ë³¸ 정토êµë¥¼ 여는 계기가 ë˜ì—ˆë‹¤ëŠ” í‰ê°€ë¥¼ ë°›ì„ ì •ë„로 í›„ëŒ€ì— ë§‰ëŒ€í•œ ì˜í–¥ì„ ë¼ì³¤ë‹¤. ëª¨ë‘ 3권으로 구성ë˜ë©°, ì •í† ì— ì™•ìƒí•˜ê¸° 위해서는 ì—¼ë¶ˆì´ ê°€ìž¥ ì¢‹ì€ ë°©ë²•ìž„ì„ ì£¼ìž¥í•œ ì—¼ë¶ˆìˆ˜í–‰ì˜ ì§€ì¹¨ì„œì´ë‹¤. ìƒê¶Œì€ ì§€ì˜¥ì˜ ì„¸ê³„ë¥¼ 표현하고 있으며, ì¤‘ê¶Œì€ ìœ¡ë„ìœ¤íšŒì˜ ì„¸ê³„ê°€ 실려 있고, í•˜ê¶Œì€ ê·¹ë½ì™•ìƒíŽ¸ì´ ì‹¤ë ¤ 있어 ì§€ì˜¥ì˜ ì„¸ê³„ì— ë–¨ì–´ì§€ì§€ ì•Šì„ ë¿ ì•„ë‹ˆë¼ ìœ¡ë„ìœ¤íšŒì˜ ìˆ˜ë ˆë°”í€´ë¥¼ 벗어나 ê·¹ë½ì™•ìƒí•˜ëŠ” ê¸¸ì„ ê·¸ë¦¼ìœ¼ë¡œ ìƒì„¸í•˜ê²Œ 안내하고 있다. ìƒê¶Œì— 실려 있는 ì§€ì˜¥ì˜ ë„ìƒì„ 통해 ì§€ì˜¥ì˜ ì„¸ê³„ë¥¼ ì‹¤ê° ìžˆê²Œ ì´í•´í•œë‹¤ë©´ ë‘려운 마ìŒì„ ê°–ê³  í˜„ìž¬ì˜ ì‚¶ì„ ì¶©ì‹¤í•˜ê²Œ ì‚´ì•„ê°ˆ 것ì´ë¯€ë¡œ 삽화가 êµí™”용으로 ì‚¬ìš©ëœ ì˜ˆë¼ê³  í•  수 있다.(ë„11)

④ 몽골 지옥경
몽골ì—서 ë°œí–‰ëœ ë¶ˆê²½ì´ë‚˜ ê²½ì „ì˜ íŒë³¸ì€ 티벳어로 쓰여졌으며, ë³€ìƒë„ì˜ ê·¸ë¦¼ ì† ê¸€ì”¨ë“¤ì€ ëª½ê³¨ì–´ë¡œ ë˜ì–´ìžˆë‹¤. 지역ì´ë‚˜ 국가는 í‹€ë ¤ë„ í‹°ë²³ì–´ë¡œ 기ë¡ë˜ì–´ 있는 ë¶ˆì „ë“¤ì€ ë„“ì€ ì˜ë¯¸ì—서는 í‹°ë²³ 관련 ìžë£Œë¼ê³  분류ë˜ê³  ìžˆë“¯ì´ ì´ ë¶ˆê²½ë„ í‹°ë²³ 관련 불경ì´ë¼ í•  수 있다. 티벳어나 몽골어를 번역하는 ìž‘ì—…ì´ ì´ë£¨ì–´ì§€ì§€ 않아 그림으로만 ë„ìƒì„ í•´ì„í•  ìˆ˜ë°–ì— ì—†ì§€ë§Œ ì§€ì˜¥ì— ëŒ€í•œ 다양한 ë„ìƒí•´ì„ì´ë‚˜ íŒê°ì˜ 솜씨가 뛰어나 ì´ ì±…ì´ ë°œí–‰ë˜ì—ˆì„ 때 í‹°ë²³ 불êµê°€ 몽골ì—서 성행하고 있었ìŒì„ 알 수 있다.(ë„12)

5. ì˜í—˜ì„¤í™” 삽화

관세ìŒë³´ì‚´ì˜ 가피력으로 중ìƒì„ 구ì›í•˜ëŠ” ì˜í—˜ì„¤í™”ì ì¸ 삽화가 들어있는 불정심다ë¼ë‹ˆê²½ì˜ 삽화는 중국ì—서부터 시작ë˜ì–´ 우리나ë¼ì—ì„œë„ ë‹¤ì–‘í•˜ê²Œ 발전ë˜ì—ˆë‹¤. ê³ íŒí™”박물관ì—는 중국 ë‚¨ì†¡ë³¸ì„ ë²ˆê°í•œ ì¡°ì„  초기 ë³€ìƒë„ 삽화(ë„13)부터 시작하여, 명 성화 ì—°ê°„ì— í™©ì‹¤ ë‚´ë¶€ì—서 ê°„í–‰ëœ ëŒ€í˜• 불정심다ë¼ë‹ˆê²½(ë„14)ì´ ì™„ì „í•˜ê²Œ 소장ë˜ì–´ 있다. ì´ íŒë³¸ì€ 8ë…„ ë’¤ ì¸ìˆ˜ëŒ€ë¹„ì— ì˜í•´ 아들 ì„±ì¢…ì˜ ìˆ˜ëª…ìž¥ìˆ˜ë¥¼ ë°œì›í•˜ì—¬ 번ê°ë˜ê¸°ë„ 한다. ì´ íŒë³¸ì„ 다시 번ê°í•œ 다양한 íŒë³¸ì´ 우리나ë¼ì—서 만들어졌으며, ê³ íŒí™”박물관ì—는 16세기 초기 번ê°ë³¸(ë„15)ì´ ê°•ì›ë„ 문화재ìžë£Œë¡œ 지정ë˜ì–´ ë³´ì¡´ë˜ê³  있다. 중국과 í•œêµ­ì˜ íŒë³¸ì„ ë¹„êµ ì—°êµ¬í•  수 있는 중요한 ìžë£Œë¼ê³  í•  수 있다.

6. íš¨ì‹¬ì„ ê°•ì¡°í•œ 삽화

부모ì€ì¤‘ê²½ì€ ë¶€ëª¨ì˜ ì€í˜œê°€ í•œëŸ‰ì—†ì´ í¬ê³  깊ìŒì„ 설하여 ê·¸ ì€í˜œì— 보답할 ê²ƒì„ ê°€ë¥´ì¹œ 경전으로 ‘불설대보부모ì€ì¤‘ê²½ä½›èªªå¤§å ±çˆ¶æ¯æ©é‡ç¶“’ì´ë¼ê³ ë„ 한다. 조선시대 유êµì˜ 충효 사ìƒê³¼ 잘 ê²°í•©ë˜ì–´ 다양한 íŒë³¸ì´ 존재하고 있으며 ê²½ì „ì˜ ë‚´ìš©ì„ ì´í•´í•˜ê¸° 쉽게 삽화가 들어가 있다. 용주사본 부모ì€ì¤‘ê²½ì€ ê¹€í™ë„ê°€ 삽화를 그려 ë”ìš± 유명한 íŒë³¸ìœ¼ë¡œ 알려져 있다.(ë„16)



글·ìžë£Œ 한선학(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관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