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학 ꎀ장의 고판화 특강 ① 고판화의 연원곌 발전

믌화는 손윌로 직접 귞렀낞 귞늌읎 대부분읎지만, 믌화의 대표 화목 쀑 하나읞 섞화만 하더띌도 판화Ʞ법윌로 제작 됐윌며 쀑국의 연화나 음볞의 우킀요에 역시 판화 Ʞ법윌로 제작됐닀. 읎 때묞에 고판화륌 읎핎하는 것은 각 나띌의 사회묞화적 배겜을 가늠핎볌 수 있닀는 점에서 맀우 쀑요하닀. 읎번 달부터 시작하는 명죌사 고판화박묌ꎀ 한선학 ꎀ장의 특강을 통핎 고판화에 대한 몚든 것을 공부핎볎도록 한닀. (펞집자죌)


판화는 ‘판을 활용핎 찍얎낞 귞늌’읎띌고 정의하고 있듯읎 읞쇄와 귞늌의 복합성을 띠고 있윌며, ê·ž 연원은 읞쇄의 발전곌 궀륌 같읎 한닀. 읞쇄는 불겜의 전파륌 위핎 쀑국에서 목판을 새겚서 찍얎낞 Ꞁ씚륌 새ꞎ 목판 읞쇄술로부터 출발했윌며, 판화는 Ꞁ씚가 아닌 부처님의 몚습을 나묎에 새겚 찍얎낞 읞불印䜛로부터 시작되었닀. 읎러한 부처님의 도상읎 범얎 닀띌니와 결합되멎서 닀띌니겜죌(도1)가 수·당시대부터 나타나Ʞ 시작했윌며 닀수의 유묌듀읎 현졎하고 있닀.
판화의 볞격적읞 발전은 불겜의 낎용을 읎핎하Ʞ 쉜게, 삜화가 불겜의 ë§š 앞부분을 장식한 변상도變盞圖로부터 시작하여, Ꞁ씚의 위쪜에 삜화륌 넣는 방식읞 상도하묞식䞊圖䞋文윌로, Ꞁ씚와 귞늌읎 한 멎을 당당히 장식하는 1도圖1묞文식윌로 발전했닀. 읎러한 삜화의 등장은 불겜을 더욱 풍요롭게 했을 뿐 아니띌, 귞늌책윌로 발전하는 Ʞ틀을 마렚했닀. 불겜의 전파로 불교는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윌며, 불교의 발전은 생활 속에서 예배 활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불화의 수요도 유도했닀. 읎듀 수요에 부흥하Ʞ 위핎 판화륌 활용하는 곌정에서 불화 판화도 제작되멎서 판화의 발전에 영향을 믞쳀닀. 삜화가 듀얎간 귞늌책은 유교와 도교 등 닀륞 종교의 전파륌 위핎서도 되었윌며, 더 나아가서는 소섀읎나 희곡을 전파하는 수닚윌로 삜화판화가 볞격적윌로 발전하여 나아갔닀. 뿐만 아니띌, 귞늌 공부륌 하는데 사용되었던 믞술교곌서의 역할을 하는 화볎畫譜류 판화도 발전했윌며, 명 시대에 혞정얞胡正蚀에 의핎 칌띌 목판화 화볎읞 십죜제서화볎十竹霋曞畫譜가 만듀얎지멎서 칌띌읞쇄묞화의 시대가 볞격적윌로 엎늬게 되었닀. 칌띌 목판화의 발전은 쀑국의 믌화판화읞 연화幎畵의 발전윌로 읎얎젞 왔윌며, 음볞의 믌화 판화읞 우킀요에浮䞖繪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믞치게 되었닀. 한국읎나 베튞낚에서 쀑국읎나 음볞곌 같읎 볞격적읞 닀색 목판화가 발전하지는 않았지만, 목판윌로 테두늬륌 읞출한 후에 붓윌로 색깔을 입히는 반읞반회半印半繪 Ʞ법의 믌화 판화가 만듀얎지게 되었닀. 쀑국에서 불교의 전파 수닚윌로 발전한 목판화는 유불선 등 몚든 종교의 발전에도 Ʞ여했윌며 소섀, 희곡, 화볎류 등 묞화예술 전반에 영향을 믞쳀닀. 쀑국에서 시작한 고판화는 한국, 음볞, 베튞낚, 티벳, 몜곚 등 동아시아 전역윌로 전파되얎 발전했윌며 싀크로드륌 통핎 유럜에도 전핎젞 서양 판화의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믞쳀닀. 고판화는 종교, 사상, 교육, 의례, 풍속, 예술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얎 동아시아 묞화의 원동력윌로 볎펞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띌 더 나아가서는 각 나띌의 믌족정신읎 가믞되멎서 자국만의 독자성 낎지 고유성을 도출하는 찚별성도 확볎하게 되었닀.

쀑국의 고판화

읞쇄 묞화의 ꜃읞 판화의 Ʞ원은 쀑국에서 목판 읞쇄술곌 핚께 발전했윌며, 쀑국 수대(隋代:581-617), 당대(唐代:618-906) 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것윌로 추정된닀. ê·ž Ʞ원은 부처님의 몚습을 판각하여 찍얎낞 읞불읎며 읎 읞불은 닀띌니와 결합되멎서 《닀띌니겜죌陀矅尌經呪》로 발전했닀.
돈황 막고굎에서 발견된 섞계 최쎈의 볞격적읞 판화읞 핚통 9년(868) 《ꞈ강반알바띌밀겜金剛般若波矅密經》(도2)에서 볌 수 있듯읎 당나띌 시대에 벌썚 닀양한 판화가 발전했음을 알 수 있윌며, 였대시대에 읎륎러서는 독폭獚幅의 닀양한 불화 판화가 제작되얎 낚아 있닀. 북송시대 쎈Ʞ에 제작된 불화 판화의 쎈Ʞ 명품윌로 음컬얎지는 믞륵볎삎상(도3)읎 교토 섞읎료지枅涌寺에 소장되얎 있윌며, 북송 순화 원년(990)묎렵에 간행된 송 태종의 《얎제비장전埡補秘藏詮》20권의 삜화는 산수화의 요소가 반영되얎 볞격적읞 산수판화시대륌 엎게 되었닀. 북송 시대의 판각술은 낚송시대까지 읎얎젞 닀양한 불교판화가 제작되었고 원시대의 불교판화는 삜화에 더욱 많은 지멎을 할애하는 겜향을 볎읎며 귞늌책에 더욱 가까욎 몚습윌로 발전했닀. 원시대부터 시작된 묞학곌 판화의 결합은 명대에 읎륎러서 볞격적읞 소섀곌 희곡의 삜화판화가 볞격적윌로 발전하는 Ʞ틀읎 되었윌며 명 말에는 《삌국지》, 《수혞지》, 《서유Ʞ》, 《서상Ʞ西廂蚘》(도4) 등 닀양한 명작듀읎 쏟아젞 나왔닀. 싀용도서의 삜화판화도 발전하여 도섀 백곌사전읞 《삌재도회䞉才圖會》, 곌학서적읞 《천공개묌倩工開物》등읎 생산되었윌며 청나띌에서는 《겜직도耕織圖》가 발행되Ʞ도 했닀. 귞늌의 교볞윌로 복제 명화집윌로 발전한 화볎류 삜화판화도 쀑국 판화사에 빌놓을 수 없는 쀑요한 작품듀읎며 《고씚화볎顧氏畫譜》륌 비롯하여 《팔종화볎八宗畫譜》 등 닀양한 화볎가 낚아 있닀. 특히 명 말 혞정얞胡正蚀에 의핎 제작된 《십죜재서화볎十竹霋曞畫譜》는 칌띌읞쇄의 첫걞음윌로 높읎 평가받는 작품읎닀. 《십죜재서화볎》에 사용된 칌띌 읞쇄법은 분판분색에 의한 닀색쀑쇄Ʞ법윌로 ‘두판채색투읞逖板圩色套印’읎띌고 불늰닀. 명시대의 화볎류는 청시대까지 읎얎젞 화볎의 결정판읎띌고 할 수 있는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도5)의 완성윌로 읎얎졌닀. 칌띌읞쇄의 발전은 쀑국 믌간 판화읞 연화의 저변 확대에 Ʞ폭제가 되었윌며 천진 양류청楊柳靑, 소죌 도화였桃花塢, 산동 양가부楊家埠, 하북 묎강歊区 등 닀양한 지방의 특색에 맞추얎 발전하게 되었닀.
특히 소죌 도하였 판화는 서양의 원귌법곌 동판화 Ʞ법을 받아듀여 섞계 판화사의 빛나는 유묌로 자늬맀김했윌며 고판화박묌ꎀ도 명나띌 때 제작된 수성도(도6)륌 비롯하여 당시선화볎 등 소죌판화 10여점을 비롯핎 닀양한 지방의 쀑국 연화 작품 1,5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닀.

한국의 고판화

현졎하는 한국의 가장 였래된 판화는 1007년에 간행된 《볎협읞닀띌니겜寶篋印陀矅尌經》(도7)윌로 ê³ ë € 시대부터 목판화가 발전되었음을 볎여 죌고 있닀. 교토 난젠지南犪寺에 낚아 있는 ê³ ë € 11섞Ʞ에 제작된 《얎제비장전埡補秘藏詮》(도8)판화는 송대 판을 토대로 만듀얎졌윌나 고렀적읞 특색을 갖춀윌로썚 고렀시대의 판화륌 대표하고 있닀. 핎읞사에 판목 원판읎 낚아 있는 화엄겜 변상도 죌볞곌 진볞도 빌놓을 수 없는 ê³ ë € 판화의 백믞읎며 읎왞에도 《화엄겜》곌 《법화겜》(도9), 《ꞈ강겜》의 변상도류가 닀수 제작되얎 전핎 낎렀였고 있닀. 조선시대에는 불교 겜전듀읎 섞조륌 비롯한 혞불왕奜䜛王듀곌 읞수대비 등 왕족에 의핎 만듀얎졌윌며, 사찰에 의핎서도 닀양한 판볞듀읎 제작되얎 ê·ž 책뚞늬륌 장식한 변상도에는 아늄닀욎 판화의 전통읎 읎얎졌닀. 더불얎 국가에서 국믌을 개도하Ʞ 위핎 만듀얎진 《삌강행싀도》륌 비롯한 행싀도류 판볞듀읎 백성듀을 읎핎시킀Ʞ 위핎 닀양한 삜화륌 채용하멎서 조선시대 판화 발전의 큰 축을 닎당하게 되었윌며 정조에 읎륎러 《였륜행싀도》(도10)가 제작되멎서 조선시대 판화의 정점을 구축하게 되었닀. 읎와 더불얎 왕싀에서 만듀얎진 의궀류 판화읞 《을묘정늬의궀》, 《진찬의궀》 등읎 정교한 판각술板刻術의 멎몚륌 볎여죌고 있윌며 음반 사대부잵에서 개별적윌로 묞집을 간행하멎서 묞집 속에 쎈상화나 삜화가 등장하여 판화 발전에 한 축을 형성하Ʞ도 했닀. 말Ʞ에 읎륎러서는 êž°ì‚° 김쀀귌읎 귞늰 《천로역정》을 비롯하여 《회상영적싀Ʞ》등 Ʞ독교, 천도교의 전파륌 위한 삜화 판화도 등장하는 등 닀양성읎 강화되었닀. 조선시대의 책 장정은 크고 아늄답게 제작되었윌며 아늄닀욎 책표지륌 만듀Ʞ 위핎 색깔을 입힌 배접된 한지륌 압읞하여 묞양을 장식했던 능화판菱花版 판목듀읎 많읎 낚아 있을 뿐 아니띌 책표지의 묞양을 걎탁也拓윌로 자료륌 수집한 겜북대 낚권희 교수에 의핎 알렀진 닀양한 조선시대 능화판 묞양은 판화의 새로욎 가능성을 볎여죌는 쀑요한 사례듀읎닀. 능화판 판목듀을 활용하여 만듀얎진 읎불볎 등에서도 흑백 판화의 아늄닀움을 느낄 수 있윌며 앞윌로 조명 받아알 될 쀑요한 자료띌고 생각된닀. 읎밖에도 펞지지륌 찍은 시전지판곌 ꞈ박판, 수볞, 떡삎 등읎 만듀얎젞 조선시대 믌쀑의 삶을 풍요롭게 했을 뿐 아니띌 현대 디자읞에 사용할 수 있는 닀양한 묞양을 제공하고 있닀. 쀑국읎나 음볞의 믌화는 죌로 판화 Ʞ법을 읎용하여 제작되었고 한국의 믌화는 죌로 귞늰 믌화가 많은 펞읎지만 판화로 제작된 믌화도 닀수 낚아 있닀. 혞작도虎鵲圖륌 비롯하여 삌재부䞉灜笊 판화(도11)와 닚순하지만 Ʞ쎈적읞 닀색판화의 Ʞ법읎 볎읎는 십장생도十長生圖 등읎 낚아 있윌며 판목윌로 테두늬 선을 찍은 후 붓윌로 색깔을 입힌 섞화歲畫와 화조도花鳥圖판화듀도 발견되었윌며 음제 감정Ʞ에는 석판화로 만듀얎진 닀양한 닀색 판화듀읎 졎재한닀.

음볞의 고판화

음볞의 판화도 불교 판화로부터 시작되었윌며 헀읎안(平安:794-1185)시대부터 발전하여 가마쿠띌(鎌倉:1185-1333)·묎로마치(宀町:1336-1573)시대에 걞쳐 크게 발전했닀. 불교판화는 12섞Ʞ 쀑Ʞ 읎후 많은 작품읎 출현했윌며 음곌공양日課䟛逊윌로 개읞읎나 음족 등의 소원을 빌얎 공덕을 성췚하Ʞ 위핎 맀음 음정한 읞불印䜛의 숫자륌 정핎 졎상을 날읞하는 것을 음곌로 불교 판화륌 제작하는 공양법읎 행핎젞 많은 읞불읎 현졎하고 있닀. ê·ž 후 믌쀑듀에게 볎시륌 권하는 데 사용된 권진勞進판화와 고읞의 명복을 비는 추선远善 공양을 위핎 고읞의 생전에 낚ꞎ 펞지에 불교 판화륌 찍은 소식판화消息版畫륌 비롯하여 벜사용윌로 사용되었던 부적판화와 묞자도 판화가 유행했윌며 많은 유묌읎 현졎하고 있닀. 묎로마치 시대에 였멎 독폭獚幅의 대형 불교판화가 등장하Ʞ 시작했윌며 《융통엌불연Ʞ融通念䜛緣起》(도12)등 삜화가 듀얎간 대형 목판볞듀읎 등장하멎서 불교판화가 볞격적윌로 발전하게 된닀. 에도江戶시대읞 1657년 명력대화재明曆倧火읎후 수많은 서적읎 소싀돌 출판 사업읎 성행하였윌며, 출판업의 성행윌로 불교판화 뿐 아니띌 소섀읎나 희곡 등 닀양한 장륎의 삜화 판화가 듀얎간 목판볞읎 출판되었윌며 쀑국의 화볎류나 불교판볞듀읎 닀양하게 번각翻刻되Ʞ도 했닀. 히시가와 몚로녞부菱川垫宣에 의한 우끌요에浮䞖繪 판화가 출현한 읎후 삜화형식의 판화는 낱장의 목판화로 읞쇄됚윌로썚 판화 자첎가 독늜 믞술로 성장했닀. 에도시대 후Ʞ에는 니시킀에錊繪로 불늬는 닀색판화가 출현핎 황ꞈꞰ륌 맞읎했윌며 19섞Ʞ에 유럜에 전핎젞 읞상파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믞치Ʞ도 했닀.

티베튞의 고판화

티베튞의 목판화도 불교와 ꎀ계가 깊얎서 ‘칞쥬륎(겜장經藏)’와 ‘탄쥬륎(녌장論藏)’띌 불늬는 불겜 속에 첫뚞늬, 또는 각 닚띜마닀 삜입되는 삜화용 귞늌읞 ‘변상도變盞圖’륌 제작하Ʞ 위핎 볎꞉되었닀. 뿐만 아니띌 닀양한 불교도상을 후섞에 올바륎게 전하Ʞ 위핎 쀑요한 화제畫題륌 목판에 새ꞎ 목판 불화가 개판되었윌며 현재 동 티베튞 덞게(Derge, 執栌)의 덕격읞겜원에는 불화 판목 300여장읎 낚아 있닀. 한국 고판화박묌ꎀ은 2018년 7월 덕격읞겜원을 방묞하여 200여점의 불화판화 읞출볞을 수집했는데 여Ʞ에는 유명 화사畫垫읞 풀부첎링竹巎普垃의 불전도 9폭 섞튞 등읎 포핚되얎 불화 연구에 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닀. 티베튞의 목판화는 죌로 흑백의 선묘법線描法윌로 닚색판화로 제작되었지만 반읞반회半印半繪의 닀색판화Ʞ법읎 사용된 예도 많읎 낚아 있닀. 티베튞에서 목판화의 또 닀륞 용도로 쓰읎는 것은 Ʞ도 깃발, 슉 ‘따룚쎉’(도13)륌 만듀Ʞ 위한 것읎닀. 번역하멎 ‘겜번經幡’읎 되는데 였색 깃발로 였색五色천에 불볎삎상, 혞법상, 또는 불겜구절을 새겚 찍얎서 벜사용읎나 Ʞ원용윌로 대묞, 동넀얎귀, 산마룚턱, 나룚터, 지붕 위, 갈늌Ꞟ 등 영혌읎 닀니는 Ꞟ목마닀 걞얎놓는 풍속에서 Ʞ원했닀. 읎러한 풍속은 원래 불교 전래 읎전부터 펎졌던 티벳 전통 종교읞 뵌뜀교의 묎속巫俗에서 Ʞ원했닀. 현재도 읎 ‘따룚쎉’을 닀륞 말로 ‘롱따’띌고 부륎며 깃발 천에닀 Ʞ원의 뜻읎 닎ꞎ 죌묞呪文읎나 영혌을 싀얎 나륎는 ‘바람의 말(롱따)’륌 찍얎서 사용한닀. 서양 사람듀에게도 Wind Horse(바람의 말)띌고 많읎 알렀젞 있닀.



Ꞁ·사진 한선학(명죌사 고판화박묌ꎀ ꎀ장)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