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ì œì˜ è«–è€ƒ] 한국 í˜„ëŒ€ë¯¸ìˆ ì˜ â€˜ë¯¼í™”â€™ 차용

(ë„ 1) 엘리ìžë² ìФ 키ì´ìФ, í•œêµ­ì˜ ê°€ì˜¥
차례
  • â… . 들어가는 글 : 현대 민화?
  •      ì´ˆê¸° í•œêµ­í˜„ëŒ€ë¯¸ìˆ ì˜ ë¯¼í™” 차용
         ì‹­ìž¥ìƒì˜ í˜„ëŒ€ì  ë³€í™˜, ê¹€í™˜ê¸°ì˜ ì˜ì›í•œ 것들
         í˜„대 목íŒí™”ì˜ ë¯¼ì˜ˆì  ìš”ì†Œ
         ìœ Â·ë¶ˆÂ·ì„  í†µí•©ì˜ ê°„ê²°í•¨, 장욱진

  • â…¡. 1970년대 문화 ë¯¼ì¡±ì£¼ì˜ ì‹œëŒ€ì˜ ë¯¼í™” 차용
  •      ê¹€ê¸°ì°½ì˜ 바보산수
         êµ¿ê³¼ 무ì†ì—°í–‰ê³¼ 한국 현대미술

  • â…¢. 민주화 ì‹œëŒ€ì˜ ë¯¼í™”
  •      ì˜¤ìœ¤ì˜ íŒí™”
         ë¯¼í™”. 민중미술 민족미술

  • â…£. 1990년대와 ê·¸ ì´í›„

â€»ì´ ê¸€ì€ í•œêµ­ë¯¼í™”ì˜ ê³¼ì œì™€ 나아갈 ë°©í–¥ì´ë¼ëŠ” 주제로 열린 ‘2014 한국민화 학술대회’ì—서 9ì›” 20ì¼ì— 발표한 ë…¼ë¬¸ì„ ì¼ë¶€ 수정한 것입니다.

Ⅰ. 들어가는 글 : 현대 민화?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민화 民畵’는 한국 ê·¼í˜„ëŒ€ë¯¸ìˆ ì‚¬ì˜ ë§¥ë½ì—서 새롭게 ‘만들어진’ 용어ì´ë‹¤. ì´ ë§ì€ 마치 근대 민족주ì˜ë¥¼ 논하면서 “만들어진 전통â€ì´ë¼ê³  í–ˆë˜ ë² ë„¤ë”•íŠ¸ 앤ë”슨(Benedict Anderson)ì˜ ë§ì„ ì—°ìƒì‹œí‚¨ë‹¤. 물론 ì´ ë§ì€ â€˜ë¯¼í™”â€™ì˜ ì‹¤ì²´ë¥¼ 부정하는 ë§ì´ 아니다. 조선시대 í›„ê¸°ì— ì´ë¥´ëŸ¬ 다양한 ê³„ì¸µì˜ ì‹œê°ë¬¸í™”ê°€ 발전하면서 벽사와 길ìƒ, 종êµì™€ 계몽, ê°ìƒì— 걸친 ìˆ˜ë§Žì€ ë¯¼ê°„ì˜ íšŒí™”ê°€ ‘ì†í™” 俗畵’ë¼ëŠ” ì´ë¦„으로 ë²ˆì„±í–ˆë˜ ê²ƒì´ ì—„ì—°í•œ 사실ì´ê¸° 때문ì´ë‹¤. 그러나 전통 ì‹œê° ë¬¸í™”ê³„ì—서 ‘민화’ë¼ëŠ” 용어가 ì§ì ‘ 사용ë˜ì§€ëŠ” 않았다. ‘민화’는 1920년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988~1961)ê°€ ìžêµ­ì˜ 오오츠ì—와 ê°™ì€ ê°’ì‹¸ê²Œ 사고파는 ê·¸ë¦¼ì„ ì§€ì¹­í•˜ì˜€ê³ , 1959ë…„ 「불가사ì˜í•œ 조선민화ã€ë¼ëŠ” 글ì—서 ì²˜ìŒ ëª…ëª…ë˜ì—ˆë‹¤ê³  알려져 있다. 1960-70ë…„ëŒ€ì— ì¼ë³¸ê³¼ í•œêµ­ì˜ ë¯¼í™” 수집 ë¶ì´ 불고 ì„¸ê°„ì´ ê´€ì‹¬ì´ ë†’ì•„ì§€ìž 1975ë…„ ì¼ë³¸ 청담사ì—서는 《ì´ì¡°ë¯¼í™”》를 발간하였고, ê°™ì€ í•´ 한국ì—서는 ã€Ší•œêµ­ë¯¼ì˜ˆë¯¸ìˆ ëŒ€ì „ã€‹ì´ êµ­ë¦½ì¤‘ì•™ë°•ë¬¼ê´€ì—서 개최ë˜ì—ˆë‹¤. 무엇보다 ‘민화’는 ì¡°ìžìš©ê³¼ ê°™ì€ ì´ˆê¸° ì»¬ë ‰í„°ì— ì˜í•´ 본격ì ìœ¼ë¡œ íƒêµ¬ì™€ ë¶„ë¥˜ì˜ ëŒ€ìƒì´ ë˜ì—ˆë‹¤. 1980년대ì—는 민중 ì‚¬ê´€ì— ì˜í•´ í•œêµ­ë¯¸ìˆ ì˜ ì›í˜•ì´ë¼ëŠ” 가치가 부여ë˜ì—ˆë‹¤. 그리고 í˜„ëŒ€ì— ì™€ì„œ 민화는 민간 ì• í˜¸ê°€ë“¤ì˜ ì„±ìž¥ì— ì˜í•´ ëŒ€ì¤‘ë¬¸í™”ì˜ ì†ì„±ì´ ë¶€ì—¬ëœ ê°€ìš´ë°, 미술사ì—ì„œë„ ê¶í™”, 채색화, 장ì‹í™”ë¼ëŠ” í™”ëª©ì˜ ë¶„í™”ì— ë”°ë¼ ë”ìš± 활발하게 연구ë˜ê³  있다. ì´ì²˜ëŸ¼ ‘민화’는 시대마다 다른 ‘민화ì â€™ì¸ ê²ƒë“¤ì˜ êµ¬ì„±ì²´ì˜€ë‹¤. 그런 ì´ìœ ë¡œ ë¯¼í™”ì— ê´€í•œ 연구는 ê³§ 한국 ê·¼í˜„ëŒ€ë¯¸ìˆ ì‚¬ì— ëŒ€í•œ 메타서사ì´ê¸°ë„ 하다. 사실 1980년대 ì´í›„ 민화가 미술계나 학계ì—서 í•œêµ­ì  ë¯¸ìˆ ì˜ í•œ ì›í˜•으로 í¬ê²Œ ë¶€ê°ëœ ê²ƒì€ ë¬¸ì¸ë“¤ì˜ 수묵 산수화 중심으로 íŽ¸ì„±ëœ í•œêµ­ 회화사와 ì „í†µí™”ë‹¨ì— ëŒ€í•œ 비íŒì  시ê°ë„ í° ëª«ì„ í•˜ì˜€ë‹¤. 그간 한국 회화사는 ë¯¼ê°„ì˜ ì‚¶ ì†ì—서 ì œìž‘ëœ ë‹¤ì–‘í•œ ë¯¸ìˆ ì˜ í’ë¶€í•¨ì„ ì•„ìš°ë¥´ì§€ 못하고, ì´ë¥¼ ë¬´ëª…ì˜ ê·¸ë¦¼ì´ë¼ëŠ” ì´ìœ ë¡œ 미술사 ì„œìˆ ì˜ ëŒ€ìƒì—서 배제해 왔기 때문ì´ë‹¤. 그러므로 ‘민화란 무엇ì¸ê°€?’ë¼ëŠ” 질문ì—는 ì´ë¯¸ 한국 ë¯¸ìˆ ì„ ë‘˜ëŸ¬ì‹¼ ê·¸ê°„ì˜ ì‹œëŒ€ì  ë§¥ë½ê³¼ 화단, 학계, í•œÂ·ì¼ ê´€ê³„ì˜ ë‹¤ì¸µì ì¸ ë¬¸ì œë“¤ì´ ê´€ì—¬ë˜ì–´ 있다고 하겠다.
ê¸€ì˜ ì „ì œë¡œì„œ 정리하ìžë©´ ‘민화’는 ë¬´ëª…ì˜ ë¯¸ìˆ , 겨레미술, 민중미술, 민간미술 등으로 ì •ì˜ë˜ê³  있으며, ì„œë¯¼ë“¤ì˜ ì‚¶ê³¼ ìš•ë§ê³¼ 가장 밀접했기 ë•Œë¬¸ì— ë‹¤ë¥¸ ì–´ë–¤ 미술보다 한국ì¸ì˜ ê°ì •ê³¼ ì¡°í˜•ì„±ì´ ìž˜ 드러난 서민회화ë¼ê³  í•  수 있다.1) 물론 ì´ëŸ¬í•œ í•©ì˜ë„ 최근 들어 조선시대 ì™•ì‹¤ì˜ ì‹œê°ë¬¸í™”ì— ëŒ€í•œ 연구가 ì§„í–‰ë˜ë©´ì„œ 엘리트 ë¬¸í™”ì˜ ëŒ€í•­ë¬¸í™”ë¡œì„œ ‘민화’ë¼ëŠ” 구ë„ì˜ ìœ íš¨ì„±ì— ë¬¸ì œê°€ 제기ë˜ì—ˆê³ , 근대기 ë™ì•„시아 ë¯¸ìˆ ì˜ ì˜í–¥ê´€ê³„ê°€ 연구ë˜ë©´ì„œ ë¯¼í™”ì˜ ë¯¼ì¡± ê³ ìœ ì„±ì„ ë°°íƒ€ì ìœ¼ë¡œ ì£¼ìž¥í•˜ê¸°ë„ ì–´ë ¤ì›Œì¡Œë‹¤. 본 ê¸€ì´ ë¯¼í™”ì˜ ì •ì˜ë‚˜ ê°œë…ì„ ì´ ì •ë„ì—서 건너 ë›°ì–´ 현대미술ì—ì„œì˜ ì°¨ìš©ì˜ ìš©ë¡€ë¥¼ 구체ì ìœ¼ë¡œ 살펴보려는 ê²ƒì€ ë¯¼í™”ë¥¼ 아우르는 ê°œë…ì˜ ë‚œë§¥ìƒì„ 피하고, 실제 ë¬´ì—‡ì´ ì „í†µìœ¼ë¡œ 받아들여졌는지 ê·¸ ìƒí™©ì„ 들여다보겠다는 ìƒê°ì—서ì´ë‹¤. ê·¸ ì°¨ìš©ì˜ ì—­ì‚¬ê°€ ê³§ ‘현대 ë¯¼í™”â€™ì˜ ì—­ì‚¬ë¼ê³  보기 때문ì´ë‹¤.

초기 í•œêµ­í˜„ëŒ€ë¯¸ìˆ ì˜ ë¯¼í™” 차용
근대기 우리나ë¼ë¥¼ 왕래한 외국ì¸ë“¤ì˜ 기ë¡ì—는 ë¯¼ê°„ì˜ ì£¼íƒì„ 장ì‹í•˜ê³  있는 ê´‘ê²½ì— ëŒ€í•œ 그림과 ì„¤ëª…ì´ ìžì£¼ 나온다. ì¼ë³¸ì—서 ìš°í‚¤ìš”ì— íŒí™”를 ë°°ìš°ê³  í•œêµ­ì„ ë°©ë¬¸í•˜ì˜€ë˜ ì˜êµ­ì¸ 엘리ìžë² ìФ 키ì´ìФ(Elisabeth Kieth, 1887~1956)는 “한국ì—서는 ë°© 출입문 í° ë²½ì— ê°’ì‹¼ 종ì´ì— 그린 전통ì ì¸ ë¬¸ì–‘ì„ ë¶™ì´ëŠ”ë°, ì²˜ìŒ ë¶™ì˜€ì„ ë•ŒëŠ” ìƒ‰ê¹”ì´ ìœ ì¹˜í•˜ì§€ë§Œ ì‹œê°„ì´ ì§€ë‚˜ 퇴색하면 아름답고 부드러운 색으로 변한다. í”히 여러 가지 ìƒ‰ì˜ ìƒˆ ê·¸ë¦¼ì´ ë“¤ì–´ê°€ëŠ”ë° ì´ëŠ” ì‹œê°„ì„ ìƒì§•한다고 한다. 개는 ë„ë‘‘ì„ ë°©ì§€í•´ 주고, 사납게 ìƒê¸´ 사ìžë‚˜ 호랑ì´ì˜ ê·¸ë¦¼ì€ ì•…ê·€ë¥¼ 쫓는다고 믿어진다â€ê³  ìžì„¸ížˆ ìƒìˆ í•˜ê³ , ê·¸ í’ì†ì„ 사실ì ì¸ 수채화로 남겼다(ë„ 1).2)
키ì´ìŠ¤ê°€ 묘사한 근대기 ì§‘ ì•ˆíŒŽì„ ìž¥ì‹í•˜ëŠ” í’ì†ì€ 1844ë…„ 한산거사(漢山居士)ê°€ <한양가>ì—서 광통êµì—서 ë¬˜ì‚¬í–ˆë˜ ê°–ê°€ì§€ 민간 ê·¸ë¦¼ì´ ì¼ë³¸ ê°•ì ê¸° ì„œì–‘í™”ì˜ ìœ ìž…ìœ¼ë¡œ ë¯¸ìˆ ì˜ ê°œë…ì´ ë³€í™”í•˜ëŠ” 와중ì—ë„, 민간사회ì—서는 여전히 ì§€ì†ë˜ê³  있었ìŒì„ 보여준다. 실제 근대기 대중ì—게 ë§Žì´ íŒ”ë¦¬ë˜ ì—½ì „ 소설, ë”±ì§€ë³¸ì˜ í‘œì§€ì—ë„ ì‹­ìž¥ìƒê³¼ ê°™ì€ ì „í†µ ë„ìƒì´ ìžì£¼ ì´ìš©ë˜ì—ˆê³ , 대중 ìž¡ì§€ì˜ ìž¥ì‹ë¬¸ì–‘ìœ¼ë¡œë„ ë¯¼í™”ëŠ” 여전히 유효했다. 그러나 근대기 ì„œë¯¼ì˜ ì‚¶ì„ ì£¼ë¡œ ë§Žì´ ë‹¤ë£¨ì—ˆë˜ í™”ê°€ 김중현(金é‡é‰‰, 1901~1953)ì˜ ìž‘í’ˆ <무녀ë„>(1941)나 장우성(å¼µé‡è–, 1912~2005)ì´ ì±„ìƒ‰í™”ë¡œ 그려 ì¡°ì„ ë¯¸ìˆ ì „ëžŒíšŒì— ì¶œí’ˆí•œ <승무>(1937)ì—서 보듯ì´, 무ì†ì´ë‚˜ 민ì†ì ì¸ 소재는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작가들 사ì´ì—서 심사위ì›ë“¤ì—게 ì¸ìƒì„ 줄 수 있는 주제로 ìžì£¼ ì´ìš©ë˜ê¸°ëŠ” 했으나 ë¯¼í™”ì˜ ì¡°í˜•ì ì¸ 요소나 ë„ìƒì  ë‚´ìš©ì„ ì°¨ìš©í•˜ì—¬ ìžì‹ ì˜ 회화 세계를 구축하는 ë° ì´ìš©í•œ 예는 찾기 어렵다.
ë˜í•œ 1930년대 후반부터 김용준(金瑢俊, 1904~1967)ê³¼ 문장(文章)파 미술가를 중심으로 ì „í†µì˜ ê³¨ë™ê³¼ ì„œí™”ì˜ ì„¸ê³„ë¥¼ íƒë‹‰í•˜ë©° ì „í†µë¯¸ì— ê´€ì‹¬ì„ ê°€ì¡Œìœ¼ë‚˜, ì´ë“¤ì€ 추사 김정í¬(ç§‹å² é‡‘æ­£å–œ, 1786~1856)ì˜ ê²©ì¡°ì™€ 문ì¸ë“¤ì˜ ê³ ë™ì„ 완ìƒí•˜ëŠ” í’류를 추구하였다. ì†í™”ë¡œì„œì˜ ë¯¼í™”ëŠ” 퇴ì†í•œ ì „ ê·¼ëŒ€ì  í’ì†ìœ¼ë¡œ 경시ë˜ì—ˆë˜ 것ì¸ì§€, ì¼ì œ ê°•ì ê¸°ë¥¼ 거치면서 문ìžë„나 화조화 ë“±ì„ ì œì™¸í•œ ë§Žì€ ë¯¼ê°„í™” ì œìž‘ì˜ ë§¥ì€ í˜„ëŒ€ë¡œ ì´ì–´ì§€ì§€ 못했다. ì „ìŠ¹ì´ ì•„ë‹Œ, í˜„ëŒ€ë¯¸ìˆ ì˜ ë§¥ë½ì—서 민화ì ì¸ ìš”ì†Œë“¤ì´ ë³¸ê²©ì ìœ¼ë¡œ 차용ë˜ëŠ” ê²ƒì€ í•´ë°© ì´í›„ ë¯¼ì¡±ë¯¸ìˆ ì˜ ì •ë¦½ê³¼ 현대화를 ì ê·¹ì ìœ¼ë¡œ 구현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십장ìƒì˜ í˜„ëŒ€ì  ë³€í™˜, ê¹€í™˜ê¸°ì˜ ì˜ì›í•œ 것들
í•œêµ­ì  ì†Œìž¬ëŠ” ë¯¼ì¡±ë¯¸ìˆ ì˜ ì •ë¦½ì´ë¼ëŠ” í•´ë°© ì´í›„ í™”ë‹¨ì˜ ìš”êµ¬ì™€ 맞물려 ë¯¸ìˆ ê°€ë“¤ì˜ ê´€ì‹¬ì´ ë†’ì•˜ë‹¤. 한국 ìµœì´ˆì˜ ì¶”ìƒí™”ê°€ì¸ ê¹€í™˜ê¸°(金煥基, 1913~1974)는 1941년부터 ì¶”ìƒí™”ì—서 ì ì°¨ 매화와 달, 항아리가 소재가 ë˜ëŠ” í•œêµ­ì  í™”ì œë¡œ 회귀하는ë°, 1956ë…„ 프랑스로 건너가 완성한 <ì˜ì›í•œ 것들>(ë„2)ì€ í•œêµ­ë¯¸ì— ëŒ€í•œ ê·¸ê°„ì˜ ê´€ì‹¬ì‚¬ê°€ 드러난 작품ì´ì—ˆë‹¤. í™”ë©´ì„ ë‚˜ëˆˆ 아홉 칸ì—는 풀과 구름, í•™, 물고기, 달, 사슴, ê´´ì„ê³¼ 소나무, ì‚°ì´ ì¶”ìƒì ìœ¼ë¡œ 단순하게 그려졌다. ê±°ë¶ê³¼ í•´ê°€ ë¹ ì§„ 민화 십장ìƒì˜ 모티브들로서 김환기는 ì´ë¥¼ 당시 ì±…ì˜ í‘œì§€í™”ë¡œ ìžì£¼ ì‚¬ìš©í–ˆë˜ ì œìž¬ë“¤ì´ì—ˆë‹¤.
십장ìƒ(å長生)(ë„ 3)ì€ ë„êµì˜ 신선사ìƒì—서 나타난 ë„ìƒìœ¼ë¡œ 장수와 ì˜ì›ì„ 비는 길ìƒí™”로, 고구려시대부터 등장하여 조선시대 화려한 왕실 미술부터 ê·œë°©ì˜ ìž¥ì‹í™”나 ìžìˆ˜ë¡œ ë„리 ì´ìš©ë˜ì—ˆë‹¤. 그러나 김환기ì—게 십장ìƒì€ 기복과 길ìƒì´ê¸° ì „ì— ìº”ë²„ìŠ¤ì˜ í™”ë©´ì„ ì¡°í˜•í•˜ê³ , í™”ê°€ì˜ ì‹œì ì¸ ê°ì •ì„ ë‚˜íƒ€ë‚´ëŠ” 매개물ì´ì—ˆë‹¤. ê·¸ì˜ ë¯¸í•™ì€ ì†Œìœ„, ë¯¼ì¤‘ì˜ ìƒí™œë¬¸í™”ë¼ê¸°ë³´ë‹¤ëŠ” 격조와 품위를 중시하는 문ì¸ë“¤ì˜ í’류와 í¡ì‚¬í•œ 것으로 김환기는 ì´ë¥¼ 위해 유화ì´ì§€ë§Œ 기름기가 ëŠê»´ì§€ì§€ 않게 담백한 마티ì—르로 처리하고, ë¯¼í™”ì˜ ë¶‰ê³  ì§™ì€ ì±„ìƒ‰ 대신 먹색과 ë‹´ì±„ì˜ í‘¸ë¥¸ìƒ‰ì„ ì„ íƒí•˜ì˜€ë‹¤.
잘 알려졌다시피 김환기는 ë¬¸ìž¥íŒŒì¸ ê·¼ì› ê¹€ìš©ì¤€ì˜ ì˜í–¥ìœ¼ë¡œ 달 항아리와 골ë™ì„ íƒë¯¸ 완ìƒí•˜ì˜€ë‹¤. 사ì˜ì ì¸ 수묵화ì—서 ì¡°ì„ ë¯¸ì˜ ê·¼ê°„ì„ ì°¾ì€ ê·¼ì› ê¹€ìš©ì¤€ì˜ ë™ì–‘ì£¼ì˜ ë¯¸í•™ì— ìž‡ë‹¿ì•„ 있었다. 그리고 ì´ëŸ¬í•œ 미ê°ì€ “무기êµì˜ 기êµâ€ì˜ ìžì—°ë¯¸ë¥¼ 숭ìƒí•œ 고유섭(高裕燮, 1905~1944) ê³¼, ë¬´ëª…ì”¨ì˜ ìˆœìˆ˜í•œ 마ìŒì„ 강조한 야나기 ë¬´ë„¤ìš”ì‹œì˜ â€˜ë¯¼ì˜ˆâ€™ì™€ë„ ìƒí†µí•˜ëŠ” 바가 있다.7) 야나기 ë¬´ë„¤ìš”ì‹œì˜ ë¯¼ì˜ˆë¯¸ëŠ” ì´í›„ 언급하는 â€˜ë¯¼í™”â€™ì˜ í˜•ì‹ë¯¸ì™€ 겹치는 ë¶€ë¶„ì´ ìžˆì§€ë§Œ, 토ì†ì ì´ê³  ì›ì´ˆì„±ì´ ê°•ì¡°ë˜ëŠ” â€˜ë¯¼í™”â€™ì— ë¹„í•´ì„œ ‘민예’를 구성하는 ë¯¸ì  ìš”ì†Œì—는 고아하고 ì•„ì·¨ 있는 ì—˜ë¦¬íŠ¸ì  ê°ìˆ˜ì„±ê³¼ 현대ì ì¸ 세련미를 갖추고 있다. 그런 ë©´ì—서 ìŒì•…ì  ì„œì •ì„±ì„ ì¤‘ì‹œí•˜ëŠ” ê¹€í™˜ê¸°ì˜ ìž‘í’ˆì€ ë¯¼í™”ë³´ë‹¤ëŠ” ë¯¼ì˜ˆì˜ ìš”ì†Œê°€ 강하다고 í•  수 있는ë°, ì´ëŸ¬í•œ ìžì—°ì£¼ì˜ 순수 ë¯¸í•™ì€ ê¹€í™˜ê¸°ë¥¼ 중심으로 한 장욱진(張旭鎭, 1918~1990), ì´ê·œìƒ(æŽæ†ç¥¥, 1918~1967)ê³¼ ê°™ì€ â€˜ì‹ ì‚¬ì‹¤íŒŒâ€™ 화가들, ì •ê·œ(鄭圭, 1923~1971), 권옥연(權玉淵, 1923~2011) ë“±ì˜ í•œêµ­ 초기 현대 미술가들ì—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성향ì´ì—ˆë‹¤.

현대 목íŒí™”ì˜ ë¯¼ì˜ˆì  ìš”ì†Œ
화가ì´ìž ë„ì˜ˆì¸ ì •ê·œ 역시 김환기와 마찬가지로 전통 미술ì—서 ì˜ê°ì„ 얻어 ê·¹ë„로 간결한 í˜„ëŒ€ì„±ì„ ì¶”êµ¬í•œ 미술가였다. 특히 정규는 ì¼ì°ì´ 유강렬(劉康烈, 1920~1970) ë“±ì˜ ì˜í–¥ì„ 받아 목íŒí™”를 제작하였는ë°, ê·¸ êµ¬ì„±ì˜ ë‹¨ìˆœí•¨ê³¼ 간결한 ì„ ì˜ ì²˜ë¦¬ëŠ” 조선시대 후기 민간 목íŒí™”ì˜ ìš”ì†Œê°€ ë†í›„했다.(ë„ 4)
목íŒí™”는 1950ë…„ëŒ€ì— í•œêµ­ 현대화가들ì—게 í¬ê²Œ 주목 받았다. ì´ëŠ” 당시 ë¯¸ìˆ ê°€ë“¤ì˜ ë¯¼ì¡±ë¯¸ì— ëŒ€í•œ 관심 때문ì´ê¸°ë„ 했지만, 무엇보다 êµ­ì œ íŒí™” êµë¥˜ì „ê³¼ ê°ì¢… ê³µëª¨ì „ì´ ì–´ëŠ ë•Œë³´ë‹¤ í™œë°œí–ˆë˜ ì„¸ê³„ë¯¸ìˆ ì˜ íë¦„ì´ í•œ ëª«ì„ í•˜ì˜€ë‹¤. 특히 화가 최ì˜ë¦¼(崔榮林, 1916~1985)ì´ ì¼ë³¸ì—서 ë°°ì› ë˜ ë¬´ë‚˜ì¹´íƒ€ 시코(棟方志功, 1903~1975)ê°€ 1955ë…„ 베니스 비엔날레ì—서 그랑프리ìƒì„ ë°›ì•˜ë˜ ê²ƒì€ êµ­ì œí™”ë‹¨ì— ì§„ì¶œí•˜ê³  ì‹¶ì—ˆë˜ í•œêµ­ë¯¸ìˆ ê°€ë“¤ì—게 í° ìžê·¹ì´ ë˜ì—ˆë˜ 것 같다. ê³ ë¯¸ìˆ í’ˆì— ëŒ€í•œ 애정으로 조선시대 íŒí™”를 ì¼ì°ì´ 수집하고 ìžˆì—ˆë˜ ì´í•­ì„±(æŽæ’星, 1919~1997)ì€ 1958ë…„ 신시내티 미술관ì—서 열린 êµ­ì œ 현대 색채ì„íŒí™”ë¹„ì—”ë‚ ë ˆì— <다정불심>ì„ ì œì¶œí•˜ì—¬ ìž…ìƒí•˜ê¸°ë„ 했다. ì´ì— 한국 í™”ë‹¨ì€ 1962ë…„ ã€Ší˜„ëŒ€ìž‘ê°€ì´ˆëŒ€ì „ã€‹ì´ íŒí™”를 새롭게 받아들였고, 1963ë…„ì—는 화가 김봉태가 íŒí™”로 파리 ë¹„ì—”ë‚ ë ˆì— ì°¸ê°€í•˜ì˜€ë‹¤. 1968ë…„ ê¹€ì¢…í•™ì€ ë„ì¿„ êµ­ì œíŒí™”ì „ì— ëª©íŒ <역사>(ë„ 5)로 장려ìƒì„ 수ìƒí•˜ì˜€ë‹¤. 간결하고 í‘ë°±ì˜ ì„  ë§›ì´ ë‘드러져 ë¯¼í™”ì  ìš”ì†Œê°€ 강했는ë°, ê¹€ì¢…í•™ì˜ íŒí™”는 단순하지만 ë¶€ì ê³¼ë„ ê°™ì€ ê¸°í˜¸ì  ìƒí˜•ê³¼ ì—¬ë°±ì„ ì¡°í™”ì‹œí‚¨ ì¡°í˜•ì  í˜ì‹ ìœ¼ë¡œ 받아들여졌다.
한편 목íŒí™”ì˜ ìš”ì†Œê°€ ì ê·¹ì ìœ¼ë¡œ 현대 미술가들ì—게 전승ë˜ê²Œ ëœ ë°ì—는 혜곡 최순우(崔淳雨, 1916~1984)ì˜ ì—­í• ì„ ë¬´ì‹œí•  수 없었다. 최순우는 ì¼ì œ 시대 개성ì—서 고유섭ì—게 ë°°ì› ê³ , ì´í›„ 줄곧 êµ­ë¦½ì¤‘ì•™ë°•ë¬¼ê´€ì— ê·¼ë¬´í•˜ë©´ì„œ 1953ë…„ 부산 임시 박물관ì—서 ã€Ší˜„ëŒ€ìž‘ê°€ì´ˆëŒ€ì „ã€‹ì„ ê¸°íší•˜ê³ , 세 번째 신사실파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전통 ë¯¸í•™ì´ í˜„ëŒ€ë¯¸ìˆ ë¡œ ì´ì–´ì§€ëŠ” ë° ì‹¤ì§ˆì ì¸ ì—­í• ì„ í•˜ì˜€ë‹¤. 최순우가 1963ë…„ 《ì´ì¡° ëª©ê°€êµ¬ì „ã€‹ì„ ê¸°íší•˜ê³ , 1963ë…„ì— ìœ ê°•ë ¬, 김봉태, 김종학, 윤명노, í•œìš©ì§„ì„ êµ­ë¦½ì¤‘ì•™ë°•ë¬¼ê´€ì— ì´ˆëŒ€í•˜ì—¬ 《íŒí™” 5ì¸ì „ã€‹ì„ ì—´ì—ˆë˜ ê²ƒë„ ê°™ì€ ë§¥ë½ì´ì—ˆë‹¤. ì¡°ì„ ì‹œëŒ€ì˜ ëª©ê°€êµ¬ë‚˜ 달 항아리는 ê·¸ ì¡°í˜•ì  ë¬´ìž‘ìœ„ì„±, ì •êµí•˜ì§€ ì•Šì€ ë¯¼ì¤‘ì˜ ì˜ˆìˆ ë¡œì„œ 야나기 ë¬´ë„¤ìš”ì‹œì— ì˜í•´ ì¼ì œê°•압기 ë¯¼ì˜ˆë¯¸ì˜ ì—°ìž¥ì´ì—ˆë‹¤. 그러나 최순우나 ê¹€í™˜ê¸°ì— ë™ì¼í•˜ê²Œ ë‚˜íƒ€ë‚˜ë“¯ì´ ê·¸ê²ƒì´ í–¥ìœ ë˜ëŠ” ë°©ì‹ì€ ì–‘ë°˜ë“¤ì˜ ìœ êµì„¸ê³„와 í•œì˜¥ì˜ ê³µê°„ ì†ì—서 ì´ë£¨ì–´ì§„ 것으로, ë¯¼ì˜ˆí’ˆì„ ì™„ìƒí•˜ëŠ” í’취는 지극히 문ì¸ì ì¸ í’류였다. ì´ëŸ¬í•œ 모순ì€, 한국 í˜„ëŒ€ë¯¸ìˆ ê°€ë“¤ì´ ìˆ˜ìš©í•œ 전통ì´ë¼ëŠ” ê²ƒì´ ë¯¼ì¤‘ì˜ ìƒí™œ ë¯¸ìˆ ì„ ì˜ë¯¸í•˜ëŠ” 민화와 본질ì ìœ¼ë¡œ ìƒì¹˜í•œë‹¤ëŠ” ì‚¬ì‹¤ì„ ìž˜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ìž¥ìš±ì§„ì˜ ì˜ˆì—서 좀 ë” ì‚´íŽ´ë³´ê² ìœ¼ë‚˜, 한국 현대 모ë”니스트들ì—게 있어 ë¯¼í™”ì  ì „í†µì´ëž€ ì‚¶ì˜ ë¯¸ìˆ ì´ê¸° 보다는 ê·¸ 소박하고 엉성한 구성과 치졸미ì—서 오는 ì¡°í˜•ì˜ í˜„ëŒ€ì„±ì´ì—ˆë‹¤.

유·불·선 í†µí•©ì˜ ê°„ê²°í•¨, 장욱진
김환기나 ì •ê·œ 등ì—서 ë³´ë“¯ì´ í•œêµ­ 현대 미술가들ì—게 민화란 í•œêµ­ì„±ì„ ë‹´ë³´í•˜ê³  ë™ì‹œì— 조형ì ì¸ í˜ì‹ ì„ ì´ë£¨ëŠ” ‘한국ì â€™ 모ë”ë‹ˆì¦˜ì˜ ë³´ì™„ë¬¼ì´ì—ˆë‹¤. 장욱진(張旭鎭, 1917~1990)ì€ ë¯¼í™”ì  ë‹¨ìˆœí•¨ì„ í†µí•´ ìžì‹ ë§Œì˜ í˜„ëŒ€ì  ì–´ë²•ì„ êµ¬ì¶•í–ˆë˜ ëŒ€í‘œì ì¸ 미술가ì´ë‹¤. 근대기 <소녀>나 <공기놀ì´>와 ê°™ì€ í† ì†ì ì¸ 유화로 ë“±ë‹¨í–ˆë˜ ìž¥ìš±ì§„ì€ 1950년대ì—는 파울 í´ë ˆì™€ ê°™ì€ ìœ ëŸ½ 20세기 ì „ë°˜ê¸°ì˜ í˜„ëŒ€ë¯¸ìˆ ì—서 í° ì˜í–¥ì„ 받아 ê·¹ë„로 간결한 화면ì—는 양옥과 ìžë™ì°¨ 등 유럽í’ì˜ ì†Œìž¬ë„ ë§Žì´ ë“±ìž¥í•œë‹¤. 그러나 1960년대 ì´í›„ ê·¸ì˜ ê·¸ë¦¼ì€ ì ì°¨ 소박한 민화í’으로 변모하는ë°, 1958ë…„ <까치>(ë„ 5)는 ê·¸ 변화하는 잘 보여주는 작품ì´ë‹¤. 푸른 달과 까치는 ë™ì–‘ì ì¸ ë¶„ìœ„ê¸°ì˜ ì†Œìž¬ë¡œ, 특히 í° ë‚˜ë¬´ì— ì•‰ì€ ê¹Œì¹˜ëŠ” 호랑ì´ì™€ 함께 한국ì¸ë“¤ì—게는 ìµìˆ™í•œ 제재ì´ë‹¤.(ë„ 6) 비êµí•´ 보건대 민화, 호랑ì´ì™€ ê¹Œì¹˜ì˜ ì²œì—°ë•스러운 관계는 ìž¥ìš±ì§„ì˜ í™”ë©´ì—서 ì¸ë¬¼ê³¼ 새와 ë‚˜ë¬´ì˜ ê´€ê³„ë¥¼ 구성하는 치졸미하고 관계가 있으며 ì¤‘ì‹¬ì´ ì—†ëŠ” 시ì ê³¼ 소재를 좌우 대칭으로 무심하게 배열하는 í™”ê°€ì˜ ë°©ì‹ì€ 다분히 민화ì ì´ë‹¤. 특히 ê°œ, 까치, ì§‘ê³¼ 나무, 해와 달 등 몇 가지 제재를 ìž‘ì€ í™”ë©´ì—서 ê±°ë“­ 반복하는 ê²ƒë„ ë„ìƒì´ 반복ë˜ëŠ” 민화와 유사한 ì ì´ë‹¤.

그러나 ë¯¼í™”ì™€ì˜ í˜•íƒœì  ìœ ì‚¬ì„±ì—ë„ ë¶ˆêµ¬í•˜ê³  ë‚´ìš©ì ìœ¼ë¡œëŠ” ì°¨ì´ê°€ 분명한ë°, ìž¥ìš±ì§„ì˜ íšŒí™”ì—서 까치는 í”히 세계와 고립ë˜ì–´ ìžì¡±í•˜ëŠ” 화가를 ìƒì§•하는 것으로 우화를 바탕으로 êµí›ˆê³¼ 골계미를 주는 ë¯¼í™”ì˜ ì„¸ê³„ì™€ëŠ” 매우 다르다고 하겠다. 사실 1950년대ì—는 ë¯¼í™”ì— ëŒ€í•œ ë‹´ë¡ ë„ ë¶€ìž¬í–ˆê±°ë‹ˆì™€ 까치와 í˜¸ëž‘ì´ ê·¸ë¦¼ì€ 1962ë…„ì— ìž„ì¸ë…„ 호랑ì´í•´ë¥¼ ë§žì•„ 특별히 ì—´ë ¸ë˜ ã€Šì¡°ì„  호ë„ì „ã€‹ì„ ê³„ê¸°ë¡œ ëŒ€ì¤‘ì— ë„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ë°˜ë³µëœ ë„ìƒìœ¼ë¡œ 다량 복제하여 싸고 ë„리 íŒë§¤í•˜ëŠ” ê²ƒì„ ëª©í‘œë¡œ ì‚¼ì•˜ë˜ ì†í™”ë¡œì„œì˜ ë¯¼í™”ëŠ”, ê·¹ë„로 예민하게 êµ°ë”ë”기 ì—†ì´ ì „ì²´ë¥¼ 구성하는 ìž¥ìš±ì§„ì˜ ìž‘í™” 태ë„와는 완전히 다른 것ì´ì—ˆë‹¤. 무엇보다 ìš•ë§ì´ ë°°ì œëœ ë¬´ìœ„ì˜ ì„¸ê³„ë¥¼ 꿈 ê¾¼ ìž¥ìš±ì§„ì˜ íšŒí™”ëŠ” 기복과 벽사를 위한 민간 회화와 ê·¸ 실용ì ì¸ 목ì ê³¼ 세ì†ì  ê¸°ëŠ¥ì´ ìƒì´í•œ ê²ƒìž„ì„ ì•Œ 수 있다. ìž¥ìš±ì§„ì˜ ë‹¨ìˆœí™˜ 회화는 민화 보다는 ì„ í™”(禪畵)ì— ë” ê°€ê¹ë‹¤ê³  í•  수 있다.
ì´ì™¸ì—ë„ ì¼ì°ì´ 1953ë…„ êµ­ì „ì—서 민ì†ì ì¸ 소재로 화려한 색채 ì¶”ìƒí™”를 ì„ ë³´ì˜€ë˜ ì „í˜ë¦¼(全爀林, 1916~2010), 탈춤ì´ë‚˜ ì˜¤ë°©ìƒ‰ì„ ì´ìš©í•˜ì—¬ 마티스를 ì—°ìƒì‹œí‚¤ëŠ” 쾌활한 색면 ì¶”ìƒí™”ì˜ ì„¸ê³„ë¥¼ ë³´ì¸ ì†ë™ì§„(å­«æ±éŽ­, 1921~ ), í–¥í† ì  í† ì†ì„±ì„ 추구한 최ì˜ë¦¼ ë“±ì´ ë¯¼í™”ë¥¼ ì¼ì°ì´ ìžì‹ ì˜ íšŒí™”ì„¸ê³„ì— ì°¨ìš©í•˜ì—¬ 현대화를 지향한 예들ì´ë‹¤. 그러나 공통ì ìœ¼ë¡œ 김환기로부터 ìž¥ìš±ì§„ì— ì´ë¥´ê¸°ê¹Œì§€ ì´ë“¤ 미술가들ì—게는 서민, ë¯¼ì¤‘ì˜ ë¯¸ìˆ ì´ë¼ëŠ” 계급성 보다는 ê·¸ ì¡°í˜•ì  íŠ¹ì´ì„±ì´ 중요했다.
민화를 둘러싼 ë…¼ëž€ì˜ ì™€ì¤‘ì—ì„œë„ ë§Žì€ ê´€ë ¨ 연구ìžë“¤ì´ ë™ì˜í•˜ëŠ” ë¶€ë¶„ì€ â€˜ë¯¼í™”â€™ê°€ 지니는 ì¡°í˜•ì˜ í˜„ëŒ€ì„±ì´ë‹¤. ê·¸ê²ƒì€ êµ­ë‚´ì˜ í‰ê°€ ë¿ ì•„ë‹ˆë¼ ì™¸ë¶€ì˜ ì‹œì„ ê³¼ í‰ê°€ë„ 마찬가지ì¸ë°, 2001ë…„ 파리 기메 박물관ì—서 ì´ìš°í™˜ì´ 수집하여 기ì¦í•œ 한국 민화 전시회가 â€˜í•œêµ­ì˜ í–¥ìˆ˜ Nostalgies coréennes, peintures et paravents du â…©â…¦ au â…©â…¨ siècle’ë¼ëŠ” ì´ë¦„으로 ì—´ë ¸ì„ ë•Œ 한국 ë¯¼í™”ì˜ ì¶”ìƒì„±ê³¼ 환ìƒì  ìƒìƒë ¥ì— 대한 êµ¬ë¯¸ì˜ ë¯¸ìˆ ê³„ì˜ í˜¸í‰ì´ 있었다. 숙련ë˜ì§€ ì•Šì€ ì†œì”¨ì—서 오는 단순함과 치졸미, ê·¼ì—„í•¨ì„ ëŒ€ì‹ í•˜ëŠ” 해학과 ìµì‚´, ì†ëœ ìš•ë§ì„ 마ìŒê» 투ì˜í•˜ëŠ” ì›ì´ˆì  환ìƒì„±ì´ 공통ì ìœ¼ë¡œ ì§€ì ë˜ëŠ” ë¯¼í™”ì˜ ìš”ì†Œë“¤ì´ë‹¤. 특히 화려한 채색과 í‰ë©´ì„±, 그림과 문ìžë¥¼ ìžìœ ìžìž¬ë¡œ 결합하는 ê¸°í˜¸ì  ìƒì§•ì„±ì€ ë¯¼í™”ê°€ 가지는 놀ë¼ìš´ í˜„ëŒ€ì  ì¡°í˜• 요소로 í‰ê°€ë˜ì—ˆë‹¤. 바로 ì´ëŸ¬í•œ ì  ë•Œë¬¸ì— ë§ˆì¹˜ 20세기 ì´ˆ í비즘ì´ë‚˜ 표현주ì˜ë¥¼ 시ë„한 마티스, 피카소 등, ìœ ëŸ½ì˜ ëª¨ë”ë‹ˆìŠ¤íŠ¸ë“¤ì´ ì•„í”„ë¦¬ì¹´ ì›ì‹œë¶€ì¡± 미술ì—서 ì ˆëŒ€ì  ì˜ê°ì„ 얻고 ì°¨ìš©í•˜ë“¯ì´ í•œêµ­ 초기 í˜„ëŒ€ë¯¸ìˆ ê°€ë“¤ì€ ë¯¼í™”ë¥¼ 유용한 ì°½ìž‘ì˜ ì›ì²œìœ¼ë¡œ ìˆ˜ìš©í•˜ì˜€ë˜ ê²ƒì´ë‹¤.

1) 김철순, 《한국민화논고》 (예경산업사, 1991)
2) 엘리ìžë² ìФ 키ì´ìŠ¤Â· ì—˜ 스펫 K. 로버트슨 스콧, 송ì˜ë‹¬ 옮김, 《ì˜êµ­í™”ê°€ 엘리ìžë² ìФ í‚¤ìŠ¤ì˜ ì½”ë¦¬ì•„, 1920-1940》 (ì±…ê³¼ 함께, 2006)

â…¡. 1970년대 문화 ë¯¼ì¡±ì£¼ì˜ ì‹œëŒ€ì˜ ë¯¼í™” 차용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1960년대는 본격ì ìœ¼ë¡œ ë¯¼í™”ì— ëŒ€í•œ 관심과 수집 ë¶ì´ ì¼ì–´ë‚¬ë˜ 시대였다. ì¼ë³¸ê³¼ 미국ì—서 í•œêµ­ì˜ í¬í¬ì•„트(Folk Art)로 알려지기 시작한 민화는, ì¡°ìžìš©, 김호연 ë“±ì— ì˜í•´ ì ê·¹ì ìœ¼ë¡œ 수집ë˜ê³  ì• í˜¸ê°€ë“¤ì´ ëŠ˜ë©´ì„œ 관련 연구와 전시가 ì´ì–´ì¡Œë‹¤. 1968ë…„ ì¡°ìž¥ìš©ì´ ë¬¸ì„ ì—° ì—밀레 ë¯¸ìˆ ê´€ì´ ê·¸ ì¤‘ì‹¬ì— ìžˆì—ˆëŠ”ë°, 1972ë…„ì—는 한창기 ì‚¬ìž¥ì´ ê²½ì˜í•˜ëŠ” 한국 브리태니커 사ì—서 ã€Ší•œêµ­ë¯¼í™”ì˜ ë©‹ã€‹ì„ ë°œê°„í•œ ê²ƒì€ ì´ëŸ¬í•œ ì¡°ë¥˜ì˜ í•œ 기í­ì œê°€ ë˜ì—ˆë‹¤. ì¼ë³¸ì—ì„œì˜ ë°˜ì‘ë„ ëœ¨ê±°ì›Œì„œ 1972ë…„ ì¼ë³¸ ë„쿄화랑ì—서는 ì—밀레 미술관 ì†Œìž¥ë¯¼í™”ì— ì¼ë³¸ì˜ ì†Œìž¥í’ˆì„ ë”하여 《ì´ì¡°ê¸°ì˜ ì˜ì •ê³¼ 민중화》 전시를 ì—´ê¸°ë„ í–ˆë‹¤. 그러나 ì´ëŸ¬í•œ 민간과 ì¼ë³¸ì˜ 관심만으로 ì´í›„ ë¯¼í™”ì— ëŒ€í•œ ê´€ì‹¬ì˜ ì¦ëŒ€ë¥¼ 설명하기ì—는 ë¶€ì¡±í•¨ì´ ìžˆë‹¤. 1960년대는 êµ­ë‚´ì—ì„œë„ ë¯¼ì¡±ë¬¸í™” ë‹´ë¡ ì´ ê³ ì¡°ë˜ë˜ 시기였다. 정부는 1968ë…„ 문화공보부를 설립하여 êµ­ë¦½ë°•ë¬¼ê´€ì„ ìƒˆë¡œ 건립하고 êµ­í•™ì„ ì§„í¥ì‹œí‚¤ëŠ” 등 본격ì ì¸ 민족 문화와 ì „í†µì— ëŒ€í•œ êµ­ê°€ ì°¨ì›ì˜ ì •ì±…ì„ ì‹¤í–‰í•˜ê¸° 시작하였다. 1970년대는 ì •ì²´ì„±ì„ í™•ë¦½í•˜ëŠ” ê²ƒì´ ê²½ì œë°œì „ê³¼ 근대화를 위한 ì ˆì‹¤í–ˆë˜ ì—­ì‚¬ìƒ ê°€ìž¥ 강력한 민족주ì˜ê°€ 실행ë˜ë˜ 시대ì´ê¸°ë„ 했다. ì´ì— 다양한 전승 공예와 미술과 ìŒì•… ë“±ì— í•™ê³„ì˜ ê´€ì‹¬ì´ ì§‘ì¤‘ë˜ì—ˆê³ , 그러한 ê°€ìš´ë° ë¯¼í™”ì— ëŒ€í•œ ê´€ì‹¬ë„ í•¨ê»˜ ë†’ì•„ì¡Œë˜ ê²ƒì´ë‹¤. 민화 ì—°êµ¬ìž ê¹€í˜¸ì—°ì€ 1972ë…„ì„ â€˜ë¯¼í™”ì˜ í•´â€™ë¼ê³  회ìƒí–ˆëŠ”ë°, ê·¸ í•´ 한국ì¼ë³´ì—서는 <ì´ì¡°ì˜ 민화> 를 19íšŒì— ê±¸ì³ ì—°ìž¬í•˜ì˜€ê³ , 서울화랑ì—서는 여러 ìˆ˜ìž¥ê°€ë“¤ì˜ ì¶œí’ˆìœ¼ë¡œ 민화 전시회를 ì—´ê¸°ë„ í–ˆë‹¤. ë§ë¶™ì—¬ ê¹€í˜¸ì—°ì€ 1969ë…„ 신세계 화랑ì—서 ã€Ší˜¸ëž‘ì´ ì „ã€‹ì„ í•  때 그림 한 ìž¥ì— ë§Œì›ì´ 넘지 ì•Šë˜ ê·¸ë¦¼ë“¤ì´ 1972ë…„ì—는 50ë§Œì›ì—ë„ ê³¨ë¼ìž¡ì„ 수 없다며 당시 ë¯¼í™”ì— ëŒ€í•œ ìˆ˜ì§‘ì˜ ì—´ê¸°ê°€ 얼마나 ëœ¨ê±°ì› ëŠ”ì§€ë„ íšŒê³ í•˜ì˜€ë‹¤.3) 한마디로 1970년대는 민과 ê´€ì´ í•¨ê»˜ 그리고 한국과 ì¼ë³¸ì´ ê°ê° 다른 시선과 ê´€ì‹¬ì— ë”°ë¼ ë¯¼í™”ì— ëŒ€í•œ ê´€ì‹¬ì„ ê³ ì¡°ì‹œí‚¤ë©°, 본격ì ì¸ 민중 민족주ì˜ì˜ 1980년대를 준비하는 시기였다. ë”°ë¼ì„œ ì´ ì‹œê¸°ì˜ ë¯¼í™”ì˜ ì°¨ìš©ì€ ì•žì„œ 살펴 본 현대 모ë”ë‹ˆìŠ¤íŠ¸ë“¤ì˜ ì˜ˆì™€ëŠ” 달리 보다 ì ê·¹ì ì´ê³  ë˜ ê·¸ ìž…ìž¥ì´ ë³µí•©ì ì´ì—ˆë‹¤.

ê¹€ê¸°ì°½ì˜ ë°”ë³´ì‚°ìˆ˜
1931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 ì—°ì† ìž…ì„ ê³¼ 특선으로 ì¼ì°ì´ 추천작가가 ëœ ê¹€ê¸°ì°½(雲甫 金基昶, 1913~2001)ì€ ê¹€ì€í˜¸ì—게 ë°°ìš´ 대표ì ì¸ 근대 채색화가로서 ê·¸ë§Œí¼ í•´ë°© ì´í›„ 친ì¼ìž‘ê°€ë¼ëŠ” 비íŒì„ 받아야 했다. ê·¸ 타개책으로 ì¼ì°ì´ í비즘과 ì¶”ìƒí‘œí˜„주ì˜ë¥¼ 수용하여 ì „í†µì— ìžˆì–´ì„œ 현대화를 ì´ë£¬ 미술가ì´ë‹¤. 특히 ê¹€ê¸°ì°½ì€ ë‚¨ì‚°ì— ê±´ë¦½ëœ êµ­ë¦½ë¯¼ì†ë°•물관 송ì„하(宋錫å¤, 1904~1948) ê´€ìž¥ê³¼ì˜ ì¹œë¶„ì„ ë°”íƒ•ìœ¼ë¡œ ì¼ì°ì´ í’ì†í™”ì— ê´€ì‹¬ì´ ë§Žì•˜ë‹¤. 예를 들어 1947ë…„ 5ì›” ë™í™”ë°±í™”ì  í™”ëž‘ì—서 열린 《조선미술ë™ë§¹ì „ã€‹ì— ì¶œí’ˆëœ <ë†ì•…>ì´ë‚˜, 1950년대 초반 íë¹„ì¦˜ì˜ ì˜í–¥ìœ¼ë¡œ 형태를 í¬ê²Œ 단순화한 탈춤시리즈는 ì´ëŸ¬í•œ ë‚¨ì‚°ì‹œì ˆì˜ ì—¬ìš´ì´ì—ˆë‹¤. 특히 ê¹€ê¸°ì°½ì€ ë¯¼í™”ì— ëŒ€í•œ 수집 ë¶ì´ ì¼ì–´ë‚˜ë˜ 초기부터 ìš´í–¥í™”ì‹¤ì„ í†µí•´ ë§Žì€ ë¯¼í™”ë¥¼ 수집하였다. 1972ë…„ 《공간》 잡지 7월호 민화관련 특집 기íšì—서 ê¹€í˜¸ì—°ì€ ê·¸ê°„ ê¹€ê¸°ì°½ì´ ìˆ˜ì§‘í•œ 효제ë„(å­æ‚Œåœ–)를 ìžë£Œì‚¼ì•„ 민화 문ìžë„ì˜ ë„ìƒì„ ë¶„ì„한 본격ì ì¸ 관련 ë…¼ë¬¸ì„ ì‹£ê¸°ë„ í–ˆë‹¤. 김기창 ìžì‹ ë„ ë¯¼í™”ì— ëŒ€í•œ ì˜ê²¬ì„ ì§€ë©´ì„ í†µí•´ ê±°ë“­ 드러냈는ë°, 1962ë…„ ìž„ì¸ë…„ 호랑ì´í•´ë¥¼ 기ë…하기 위해 국립박물관ì—서 열린 《호ë„ì „ã€‹ì— ëŒ€í•œ 소고ì—서 “옛부터 우리 ë™ì–‘í™”ì— ìžˆì–´ì„œëŠ” 산수화나 화조화 ê°™ì€ ê²ƒì€ ì¤‘êµ­ ê²ƒì„ ê·¸ëŒ€ë¡œ 옮겨 놓기가 다반사였지만, 우수한 ì´ˆìƒí™”나 드문 í˜¸ë„ ê°™ì€ íŠ¹ë³„í•œ ê²ƒì€ ì¢€ 다른 ê°ë„로 ë‹¹ì‹œì˜ ì‚¬íšŒìƒì´ 잘 ë°˜ì˜ë˜ì–´ 왔다â€ê³  하여 ë¯¼í™”ì˜ í•œêµ­ì  ë…ìžì„±ì„ 강조하였다.4)
그림ì—서 확ì¸í•˜ë“¯ì´ ê¹€ê¸°ì°½ì´ ë¹ ë¥´ê³  경쾌하게 그려낸 1977ë…„ 작품 <화조ë„>(ë„ 9)는 ì¼ë³¸ 구ë¼ì‹œí‚¤ 민예관ì—서 소장하고 있는 ê°™ì€ ìž¥ë¥´ì˜ ë¯¼í™”(ë„ 8)를 í•´í•™ì ì´ë©´ì„œë„ 분방하게 그려낸 채색화ì´ë‹¤. ê¹€ê¸°ì°½ì´ ì¼ì°ì´ ë¯¼í™”ì— ì£¼ëª©í•œ ì´ìœ ëŠ” 그를 둘러싼 왜색 논란ì—서 벗어나고, 수묵 ì¤‘ì‹¬ì˜ ì£¼ë¥˜ 화단과 대항ì ì¸ 위치를 모색하기 위해서였다고 í•  수 있다. 그리고 ì´ëŸ¬í•œ 시ë„는 1970년대 í›„ë°˜ì— ì´ë¥´ëŸ¬ í’ì†í™”를 ì²­ë¡ì‚°ìˆ˜ í’으로 결합한 바보산수로 ê²°ì‹¤ì„ ë³´ì•˜ë‹¤. ì–´ë¨¸ë‹ˆì˜ ê³ í–¥ì¸ ì¶©ë¶ ì²­ì›ì— 정착한 ë’¤ì¸ 1976ë…„ ì²˜ìŒ ì„ ë³´ì¸ ë°”ë³´ì‚°ìˆ˜ì— ëŒ€í•´ì„œ, ê¹€ê¸°ì°½ì€ â€œë‚˜ëŠ” 오랫ë™ì•ˆ ê·¼ì›ì„ 찾아 헤매다가, 한국ì ì´ë©´ì„œë„ 순수한 ì¸ê°„ì˜ ê°ì •ì„ ê°€ìž¥ 잘 표현해 ë†“ì€ ê²ƒì´ ë¯¼í™”ìž„ì„ ì•Œê²Œ ë˜ì—ˆë‹¤. 바보산수는 그러한 ë¯¼í™”ì˜ ì •ì‹ ì„ ë‚´ ë‚˜ë¦„ì˜ ìž‘í’ˆì„¸ê³„ì— ë‹´ì•„ë³´ë ¤ê³  한 것â€ì´ë¼ê³  하였다. 그는 민화가 지니는 참신한 ë°œìƒì´ë‚˜ 치졸한 기법, ìžìœ ë¡œìš´ í•„íšì„ 통해 ì‚°ìˆ˜í™”ì˜ ì „í†µì  ê·œë²”ê³¼ 형ì‹ì—서 ë²—ì–´ë‚˜ê³ ìž í–ˆë˜ ê²ƒ 같다.
ê¹€ê¸°ì°½ì€ ì´ ì™¸ì—ë„ ë¬¸ìžë„를 ì¶”ìƒì ìœ¼ë¡œ 변형하는 등, 민화를 통해 ì „í†µí™”ì˜ í‘œí˜„ê³¼ ë°œìƒì˜ ì˜ì—­ì„ 넓혀나갔다. 그리고 ìˆ˜ë¬µí™”ì˜ ê³„ë³´ì—서 벗어난 ê¹€ê¸°ì°½ì˜ í˜¸ë°©í•œ 채색화는 1990년대 ë¯¼í™”ì  í•´í•™ì„±ì„ ì¤‘ì‹œí–ˆë˜ ì‚¬ì„ì›ì´ë‚˜ 김병종, ì´ì™ˆì¢… ë“±ì˜ ìž‘í’ˆìœ¼ë¡œ ê·¸ ì •ì‹ ì´ ì´ì–´ì§€ê³  있다.

굿과 무ì†ì—°í–‰ê³¼ 한국 현대미술
한편 1960년대 중반 민화는 ì„œì–‘ì˜ íŒì•„트가 들어오면서 전후 등장한 ì Šì€ í˜„ëŒ€ìž‘ê°€ë“¤ë„ ìƒ‰ì±„ì— ëŒ€í•œ ê´€ì‹¬ì´ ê³ ì¡°ë˜ì—ˆë‹¤. ì´ë“¤ì€ 4·19 ì´í›„ 앵í¬ë¥´ë©œ ì¶”ìƒë¯¸ìˆ ì„ 주ë„í–ˆë˜ ì„¸ëŒ€ 미술가들로 전후 전위화가로 ìžì²˜í•˜ë©° êµ­ì œ ë¯¸ìˆ ì˜ ë³€í™”ì— ë¯¼ê°í•˜ì˜€ë‹¤. 전후 ê°ì •ì„ ì•µí¬ë¥´ë©œì˜ ê±°ì¹ ê³  무거운 ì¶”ìƒìœ¼ë¡œ êµ¬í˜„í•˜ê³ ìž í•˜ì˜€ìœ¼ë‚˜, êµ­ì œë¯¸ìˆ ì€ 1960년대 중반 급변하여 대중문화와 키네틱, 설치미술, ê¸°í•˜í•™ì  ì¶”ìƒê³¼ íŒì•„트가 넘ì³ë‚˜ê²Œ ë˜ì—ˆë‹¤. 무엇보다 산업화와 ë„시화로 ì¸í•œ í™˜ê²½ì˜ ë³€í™”ëŠ” 전후(戰後) 미학ì—서 벗어나야 í•  ë¬¼ì§ˆì  ì¡°ê±´ì´ ë˜ì–´ 있었다.
앵í¬ë¥´ë©œì—서 íŒì•„íŠ¸ë¡œì˜ ì „í™˜, ë¯¸ìˆ ê°€ë“¤ì€ ì´ ê·¹ì ì¸ 선회를 위한 모색으로 단청, 불화, 그리고 무ì†í™”ì˜ì— 강렬한 채색과 ìžìœ ë¶„ë°©í•¨ì„ ì°¨ìš©í•˜ê³ ìž í–ˆë‹¤. 앵í¬ë¥´ë©œ 미술 ìš´ë™ì„ ì„ ë„í•˜ì˜€ë˜ ë°•ì„œë³´ 1966ë…„ 9ì›” 한 신문 ì¸í„°ë·°ì—서 â€œêµ¿ë†€ì´ í˜¹ì€ ì‹ í’€ì´ ì„±í™©ë‹¹ ê°™ì€ ê²ƒì´ ì¶”ìƒí™”ë˜â€ê³  “ì›ì‹œì¸ë“¤ì´ ë¹›ê¹”ì˜ ì¡°í™”ë¥¼ ì´ë£¨ì§€ 못해 오히려 천기마저 ëŠë¼ê²Œ 하는†그러한 ìž‘í’ˆì„ ê·¸ë ¤ë‚´ê³ ìž í•˜ë©°, ì´ëŠ” 어릴 때 ê°í™”를 ë°›ì•˜ë˜ í† ì°©ì‚¬ìƒë“¤, ìžŠì—ˆë˜ ì„œë¯¼ê°ì •ë“¤ì´ ê°•ë ¬í•˜ê²Œ ì‚¬ë¬´ì³ ì™”ê¸° 때문â€ì´ë¼ê³  ë§ë¶™ì˜€ë‹¤. ì´ëŠ” 박서보는 ã€Šå·«ç¥­å±•ã€‹ì„ í†µí•´ 무ì†í™”, ë¯¼í™”ì˜ í˜„ëŒ€ì ì¸ ë³€ìš©ì„ ì‹œë„í•˜ì˜€ë˜ ê²ƒìœ¼ë¡œ, 1968ë…„ <유전질>(ë„ 10)ì€ <무제>ë¼ëŠ” ì œëª©ì´ ë” ì•Œë§žê²Œ ì , ì²­, 황, ë°±, í‘ìƒ‰ì„ ì£¼ì¡°ë¡œ 한 화려한 오방색으로 처리ë˜ì—ˆë‹¤. 당시 무ì†ì— 대한 ê´€ì‹¬ì€ ì„¤ì¹˜ì™€ 행위미술가들ì—게 ì˜ê°ì´ ë˜ì—ˆëŠ”ë°, 한국 í–‰ìœ„ë¯¸ìˆ ì˜ ì„ ë‘주ìžì´ê¸°ë„ í–ˆë˜ ì´ìйíƒì€ 무ì†ì˜ 초혼굿ì—서 ì˜í–¥ì„ 받아, ë…특한 대지미술(ë„ 11)ì„ ì‹œë„í•˜ê¸°ë„ í–ˆë‹¤. 그는 ìžì‹ ì´ ì¦ê²¨ ì´ìš©í•˜ëŠ” 청색과 í™ìƒ‰, ë™ì—¬ë§¤ëŠ” ìž‘ì—…ì´ â€œì„±í™©ë‹¹ì´ë‚˜ í’어제를 ì—¼ë‘ì— ë‘” ì„œë¯¼ë“¤ì˜ ìƒëª…ë ¥â€ì´ë¼ê³  언급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기 급격한 êµ­ì œ ë¯¸ìˆ ê³„ì˜ ë³€í™”ì™€ 전통 ë¬¸í™”ì˜ ê´´ë¦¬ì—서 í˜„ëŒ€ìž‘ê°€ë“¤ì€ ì ì ˆí•œ í•´ë²•ì„ ì°¾ì§€ 못했다. 무엇보다 미학ì ìœ¼ë¡œ 실존철학ì—서 출발하고 ì¶”ìƒë¯¸ìˆ ì„ ì¶”êµ¬í–ˆë˜ ì „í›„ 현대 미술가들ì—게 무ì†ì´ë‚˜ ë¯¼í™”ì˜ ì„¤í™”ì ì¸ 요소나 구ìƒì  ì¡°í˜•ì„±ì€ ë¼ì–´ë“¤ê¸° 힘들었다. 1969ë…„ ‘가정ì˜ë¡€ì¤€ì¹™â€™ì˜ 실행으로 전통 ìƒë¡€ëŠ” 단절ë˜ê¸° 시작했으며, 1972ë…„ ìƒˆë§ˆì„ ìš´ë™ê³¼ ì´í›„ 근대화가 ê°€ì†í™”ë˜ë©´ì„œ 민간신앙과 세시í’ì†ì€ ìƒí™œì—서 유리ë˜ì–´ 민ì†ìžë£Œë¡œ 급ì†ížˆ 박제화ë˜ì—ˆë‹¤. 재미 ì‚¬íšŒí•™ìž ìµœì •ë¬´ëŠ” “1972ë…„ì— ì´ë¥´ëŸ¬, ë¬´ë…€ì˜ ì¹˜ë£Œí–‰ìœ„ëŠ” ‘비과학ì , 비윤리ì , 사ì´ë¹„’ë¼ëŠ” ì´ìœ  ë•Œë¬¸ì— ì‚¬íšŒì•…ìœ¼ë¡œ 지목ë˜ë©´ì„œ 무ì†ì€ ë¯¸ì‹ íƒ€íŒŒì˜ ëª©í‘œê°€ ë˜ì—ˆë‹¤. ì´ê²ƒì€ 근대화 í”„ë¡œê·¸ëž¨ì¸ ìƒˆë§ˆì„ ìš´ë™ê³¼ ìœ ì‹ ì˜ ì „ì£¼ê³¡ì´ì—ˆë‹¤â€ë¼ê³  ì§€ì í•œ 바가 있다. 무ì†ì‚¬ì§„으로 유명한 김수남(1949~2006)ì€ 1970년대는 ë¬´ë‹¹ì„ ë¯¸ì‹ ì„ ìœ í¬í•œë‹¤ëŠ” 죄목으로 ìœ ì¹˜ìž¥ì— ìž¡ì•„ ê°€ë‘ê¸°ë„ í–ˆë˜ ì‹œëŒ€ì˜€ë˜ì§€ë¼ 사진기를 들고 굿íŒì— 나타나면 ê²½ì°°ì˜ ë„나풀로 ì˜¤ì¸ ë°›ê¸°ë„ í–ˆë‹¤ê³  회고하였다.8) ì´ì²˜ëŸ¼ 전승 ìƒí™œì–‘ì‹ì— 대한 ì •ë¶€ì˜ í†µì œê°€ ê°•í™”ëœ ê²ƒì€ ì ì°¨ 대학가나 재야를 중심으로 사회저항 ì„¸ë ¥ì´ ë¯¼ì¤‘ì˜ ê¸°ì¸µë¬¸í™”í˜•ì‹ê³¼ ê²°í•©í•´ 가는 ê²ƒì— ëŒ€í•œ 반작용ì´ê¸°ë„ 했다.

3) 김호연, <민화란 무엇ì¸ê°€>, ã€Ší•œêµ­ì˜ ë¯¼í™”ã€‹ (열화당, 1976)
4) 김기창, <논문 í˜¸ëž‘ì´ ê·¸ë¦¼ ì´ì•¼ê¸°(1962. 3. 1>, 《운보 김기창, ì¹¨ë¬µì˜ ì‹¬ì—°ì—서 ë‚˜ì˜ í™”í•„ 60년》( 법조ê°, 1988), pp. 286-291.
5) ã€Œå·«éš›å±•ì„ ê°–ëŠ” 화가 박서보씨, ì•žìž¥ì„°ë˜ ì•„ë°©ê°€ë¥´ë“œë¡œì„œë„ íƒˆì¶œ, 색채 통한 새 í™”í’ ì‹œë„, 그림 같지 ì•Šì€ ê·¸ë¦¼ìœ¼ë¡œã€, 『서울신문〠(1966. 9. 13)
6) ì´ìйíƒ, <무ì†ê³¼ 비조ê°ì˜ 만남>,《ì´ìŠ¹íƒ ë¹„ì¡°ê°ì „》, 후화랑 카탈로그 1986. 쪽 표시 ì—†ìŒ.
7) Chungmoo Choi, The Competence of Korean Shamans As Performers of Folkore, Diss, of Doc, Indiana Uni,, 1987, p, 75-76.
8) 김수남, 《굿, ì˜í˜¼ì„ 부르는 소리》 (열화당, 2005)

â…¢. 민주화 ì‹œëŒ€ì˜ ë¯¼í™”

1980년대는 사회저항과 민중미술, 민주주ì˜ì— 욕구가 í­ë°œí–ˆë˜ 시대였다. 보통사람, 서민, 민중ì´ë¼ëŠ” 용어가 사용ë˜ì—ˆìœ¼ë©°, 민권과 ê°œì¸ì˜ ì •ì¹˜ì  ìžìœ ì— 대한 요구가 커졌다. ë˜í•œ 대학가 재야를 중심으로 냉전 ì´í›„ 전후 질서, 한미 ê´€ê³„ì— ëŒ€í•œ ìˆ˜ì •ì£¼ì˜ ì‚¬ê´€ì´ ëª¨ìƒ‰ë˜ë©´ì„œ, 전후 한미관계와 êµ­ì œ ì§ˆì„œì— ëŒ€í•œ 새로운 시ê°ì´ 표출ë˜ì—ˆë‹¤. 문화ì ìœ¼ë¡œëŠ” 엘리트 미술 대(å°) 민중 미술ì´ë¼ëŠ” ê³„ê¸‰ì  ëŒ€ë¦½ê°ì´ 선명해졌다.9) ì†Œìˆ˜ì˜ ì‹œìž¥, 갤러리, 미술관 ì¤‘ì‹¬ì˜ â€˜ìœ í•œì¸µì˜ ì†ë¬¼â€™ 취미10) ëŒ€ì‹ ì— í˜„ì‹¤ì„ ë°˜ì˜í•˜ê³  ì„œë¯¼ì˜ ì‚¶ì—서 유용한 사실주ì˜ê°€ ë¶€ìƒí•˜ì˜€ë‹¤. ì´ì— ë”°ë¼ ì „í†µë„ ì„ ë³„ë˜ë©´ì„œ 민화를 ë¯¼ì¤‘ë“¤ì˜ ì›í˜•ì  ë¯¸ìˆ ë¡œ 보는 ì´ë¡ ì´ 구축 ê°•í™”ë˜ì—ˆë‹¤. ê° ëŒ€í•™ë§ˆë‹¤ ê²°ì„±ëœ ëŒ€í•™ì˜ ë¯¼í™”ë°˜ 활ë™ë„ 민간 ì†í™”나 기층 시ê°ë¬¸í™”ê°€ 재발견ë˜ëŠ” ë° í° ì—­í• ì„ í•˜ì˜€ë‹¤. ì´ì— 민족 리얼리즘 ê³„ì—´ì˜ ë¯¸ìˆ ê°€ë“¤ì€ ë¶€ì , 만장, 탱화와 ê°™ì€ ë¯¼í™”ì  í˜•ì‹ì„ ì ê·¹ 차용하였다. ì´ë“¤ì€ 1970년대와 달리 특정 모티브나 화려한 채색, ë°í¬ë¥´ë©”나 í‰ë©´ì„±ê³¼ ê°™ì€ ì¡°í˜•í˜•ì‹ì˜ ì°¨ì›ì„ 넘어 ë¯¼ì¤‘ì˜ ì—­ë™ì ì¸ ìƒëª…ë ¥ì„ ê°„ì§í•œ 토착문화로 퇴í한 현대 사회를 재ìƒí•˜ë ¤ëŠ” 목ì ì„±ì´ 강했다.

ì˜¤ìœ¤ì˜ íŒí™”
오윤(峿½¤, 1946~1986)ì€ 1969ë…„ 현실ë™ì¸ì„ 결성하고 ì‚¶ì˜ ë¯¸ìˆ ì„ ì£¼ìž¥í•œ 현실비íŒì  미술가로서 목íŒí™”와 회화를 통해 전통 민화를 ì ê·¹ 차용 새로운 í˜„ì‹¤ì£¼ì˜ ë¯¸ìˆ ì„ ì„ êµ¬ì ìœ¼ë¡œ 제시하였다. 서울대 조소과 ì¶œì‹ ì¸ ì˜¤ìœ¤ì˜ 1960년대 ìž‘í’ˆì€ ì¡°ê°ì ì¸ ìž…ì²´ê°ì´ ë‘드러졌고, 멕시코 벽화와 ê°™ì€ ì œ3세계 ë¦¬ì–¼ë¦¬ì¦˜ì˜ ì˜í–¥ì´ ë†í›„했다(ë„ 12). 그러나 ê°•ì¦ì‚°ì˜ ë™í•™ì‚¬ìƒì„ íƒë¬¸í–ˆê³ , í™ëª…í¬(洪命憙, 1888~?)ì˜ ã€Šìž„êº½ì •ã€‹ê³¼ ì´ë™ì£¼ì˜ 《한국회화소사》를 ì½ìœ¼ë©° 역사 ì† ë¯¼ì´ˆë“¤ì˜ ì‚¶ê³¼ ë¯¸í•™ì„ ì¶”êµ¬í•˜ê²Œ ëœë‹¤. 특히 1970년대 ì œë„ê¶Œ 미술계와 거리를 ë‘” ì˜¤ìœ¤ì€ ê²½ì£¼ì—서 ì‹ ë¼ í† ìš°ë¥¼ ë°°ìš°ê³  전통 ë²½ëŒì„ 연구해 ê³µìž¥ì„ ì—¬ëŠ” 등 ìžì‹ ì˜ ìƒí™œì—서 전통과 ë¯¸ìˆ ì„ í†µí•©ì‹œí‚¤ë ¤ ì• ì¼ë‹¤.

íŒí™”는 1975ë…„ 수유리 시절, ì¶œíŒì‚¬ ì²­ë…„ì‚¬ì™€ì˜ ì¸ì—°ìœ¼ë¡œ1978ë…„ ì´ì˜¤ë•ì˜ ã€Žì¼í•˜ëŠ” ì•„ì´ë“¤ã€ , 1985ë…„ ê¹€ì§€í•˜ì˜ ã€Šë‚¨ë…˜ë•… 뱃노래》 등, ìˆ˜ë§Žì€ ì„œì ì˜ 표지와 삽화 ìž‘ì—…ì— ì°¸ì—¬í•˜ë©´ì„œ 제작하게 ë˜ì—ˆë‹¤. 빠른 ì œìž‘ì„ ìœ„í•´ 고무íŒì„ 주로 사용했지만, 굵고 ê°ì§„ ì„ ê³¼ í‘ë°±ì˜ ëŒ€ì¡°ëŠ” 목ê°íŒí™”를 ì—°ìƒì‹œí‚¤ëŠ” 것ì´ì—ˆë‹¤.
ëª©íŒ ì„¸í™”ê°€ 민간 회화로 ë°œë‹¬í–ˆë˜ ì¤‘êµ­ê³¼ 달리, ìš°ë¦¬ì˜ ë¯¼í™”ì—는 ë¶“ê·¸ë¦¼ì´ ë§Žì§€ë§Œ 조선시대 후기 불êµë‚˜ ê°ìƒìš©, 그리고 ë¶€ì  ë“±ì— íŒí™”ê°€ 사용ë˜ê¸°ë„ 했다.11) ì˜¤ìœ¤ì€ ì¡°ì„ ì‹œëŒ€ 목íŒì˜ 전통과, 중국 노신(魯迅, 1881~1931)ì´ ì£¼ë„한 ì‚¬íšŒì£¼ì˜ ë¦¬ì–¼ë¦¬ì¦˜ íŒí™”, 그리고 ë…ì¼ í‘œí˜„ì£¼ì˜ë¥¼ ëª¨ë‘ ìˆ˜ìš©í•˜ì˜€ë‹¤. 그리고 강하고 ê°„ê²°í•˜ë©´ì„œë„ íž˜ì°¬ ì„ ê³¼ 분명한 ì˜ë¯¸ë¥¼ ë‹´ì•„ ë…¸ë™í•˜ê³  ì—°í¬ì™€ 놀ì´í•˜ëŠ” ì„œë¯¼ë“¤ì˜ ë‹¤ì–‘í•œ ì¸ë¬¼ ì „í˜•ì„ ìƒˆë¡­ê²Œ 시ê°í™”했다. 탈춤과 íŒì†Œë¦¬ ë§ˆë‹¹ê·¹ë¿ ì•„ë‹ˆë¼ ë™ë„¤ í•™ì¶¤ì˜ ì „ìˆ˜ìž ì§‘ì•ˆ 내력답게 전통 ì—°í¬ì˜ í¥ê³¼ ì‹ ëª…ì„ ë‹´ì•„ëƒˆëŠ”ë°, <칼춤>(ë„ 13)ì—서 ë³´ë“¯ì´ ì¶¤ì‚¬ìœ„ê°€ ê°•ì¡°ëœ ì¸ë¬¼ì—서는 â€˜ë¯¼ì¤‘â€™ì˜ ê°•ë ¬í•œ 힘과 ì›ì´ˆì  ìƒëª…ë ¥ 넘ì³ë‚œë‹¤
ë˜í•œ ë²½ì‚¬ì˜ ì´ë¯¸ì§€ì¸ ë„깨비를 불러와 현실비íŒì˜ 매개로 ì‚¼ê¸°ë„ í–ˆë‹¤. ì´ë¥¼ 본 김지하는 ì˜¤ìœ¤ì˜ ë„깨비 ê·¸ë¦¼ì€ â€˜ì¶”ì˜ ë¯¸í•™â€™ 숭고와 괴기, ìµì‚´ê³¼ 청승, 한과 í¥, ì´ìŠ¹ê³¼ ì €ìŠ¹ì˜ ìœµí•©ì´ì—ˆë‹¤ê³  술회했다.12) ì˜¤ìœ¤ì´ íŒí™”로 í˜¹ì€ ëª©ê° íŒí™” ì–‘ì‹ìœ¼ë¡œ 개발한 íŒí™”는 김철수, 김봉준 등 ë§Žì€ ë¯¼ì¤‘ ë¯¸ìˆ ê°€ë“¤ì— ì˜í•´ 계승ë˜ëŠ”ë°, 특히 강렬한 시ê°ì  효과를 ë‚´ì—ˆë˜ ìµœë³‘ìˆ˜ì˜ <한열ì´ë¥¼ 살려내ë¼>(ë„ 14)는 현실 ì •ì¹˜ì— ëŒ€í•­í•˜ëŠ” ì˜ì§€ì˜ ì•„ì´ì½˜ì´ ë˜ì—ˆë‹¤.
ì˜¤ìœ¤ì€ ë¹ ë¥¸ ì œìž‘ì„ ìœ„í•´ ì •êµí•œ 다색 íŒí™”보다는 목íŒì— ì±„ìƒ‰ì„ í•˜ëŠ” ë°©ì‹ì„ ì¼ìœ¼ë©°, ê°ìƒì´ë‚˜ 미술시장ì—ì„œì˜ íŒë§¤ë¥¼ 위한 ì—ë””ì…˜ì— í•œì •í•˜ì§€ 않았다.13) ì˜¤ìœ¤ì€ í•œ 좌담ì—서 â€œë¯¼í™”ì˜ ìš”ì†Œì—서 가장 중요한 ê²ƒì€ ìžê¸°ê°€ 살아가는 것†ì´ë¼ê³  강조하였는ë°, ‘ìƒíˆ¬ì  ì•¡ìž ë¯¸ìˆ â€™ì´ ì•„ë‹ˆë¼ ìƒí™œì—서 ì“°ìž„ì´ ìžˆëŠ” 비싸지 ì•Šì€ ì„œë¯¼ 회화를 지향하였ìŒì„ 알 수 있다.14) ì•„ì´ëŸ¬ë‹ˆí•˜ê²Œë„ ìƒì—…ë¯¸ìˆ ì— ëŒ€í•œ ê±°ë¶€ê°ìœ¼ë¡œ 그저 몇 ì  ì°ì–´ë‚´ê³  필요한 ì´ë“¤ì—게 ê±°ì € ì£¼ì—ˆë˜ ì˜¤ìœ¤ì˜ íŒí™”는 그가 ì£½ì€ í›„ ê·¸ 수효가 ì ê³  귀해 ê°€ê²©ì´ ë” ì˜¤ë¥´ê²Œ ë˜ì—ˆì§€ë§Œ ì• ì´ˆ ì˜¤ìœ¤ì˜ ì˜ë„는 ìƒì—…ì„±ì— ë°˜ëŒ€í•˜ëŠ” 것ì´ì—ˆë‹¤. 무엇보다 ì˜¤ìœ¤ì˜ íŒí™”ìž‘ì—…ì€ 1970년대 ì´ì „ 모ë”니즘 ê³„ì—´ì˜ ëª©íŒí™”와는 달리, í¬ìŠ¤í„°, 삽화, 표지와 ê°™ì€ ì‹¤ì œ ì“°ìž„ì´ë¼ëŠ” ë§¤ì²´ì˜ ë³¸ì„±ì— ì¤€í•˜ëŠ” 것ì´ì—ˆë‹¤.

민화. 민중미술 민족미술
íŒí™”ìš´ë™ê³¼ 함께 1980년대 ë¯¼ì¤‘ë¯¸ìˆ ê°€ë“¤ì€ íƒ±í™”ë‚˜ ë¶€ì ê³¼ ê°™ì€ ë¶ˆêµì™€ 무ì†ì˜ ë„ìƒì„ 차용하고 새롭게 í•´ì„하였다. 종êµì  ì˜ë¡€ì— 사용ë˜ì—ˆë˜ ê·¸ë¦¼ì€ ìƒë¡œë³‘사 ì¸ê°„ì˜ í¬ë¡œì• ë½ê³¼ ì—°ê´€ëœë‹¤ëŠ” ì ì—서 다른 ì–´ë–¤ 화목보다 한국ì¸ì˜ 정서가 깊게 ë°˜ì˜ëœ 그림ì´ë¼ê³  í•  수 있다. ì˜¤ìœ¤ì€ 1980ë…„ ì œ1회 《현실과 ë°œì–¸ì „ã€‹ì— <마케팅1-지옥ë„>(ë„ 15)를 출품하였는ë°, ì™¸êµ­ì˜ ë¦¬ì–¼ë¦¬ì¦˜ í˜•ì‹ ëŒ€ì‹ ì— ê°ë¡œ íƒ±í™”ì˜ í˜•ì‹ì„ 차용하여 í˜„ì‹¤ì˜ ì„¸íƒœë¥¼ í’ìží•˜ì˜€ë‹¤.
ê°ë¡œíƒ±í™”란 조선시대 불êµì—서 ì‚¬ìš©ëœ ê±¸ê°œì‹ ê·¸ë¦¼ìœ¼ë¡œ 중ìƒì´ ì—…ì˜ êµ´ë ˆì—서 벗어나 ë¶ˆÂ·ë³´ì‚´ì˜ ìžë¹„ê°€ 깃든 ‘ê°ë¡œ(甘露)’로 êµ¬ì œë°›ì„ ìˆ˜ 있다는â€ëŠ” ë‚´ìš©ì„ ë„ìƒí™”한 종êµí™”ì´ë‹¤. 지옥과 현세, ë‚´ì„¸ì˜ 3단 êµ¬ì„±ì´ ì¼ë°˜ì ì¸ë°, 특히 현 세계를 ë°˜ì˜í•˜ëŠ” 지옥ë„ì—는 엄격한 종êµì  ë„ìƒì„ 넘어 í’ì†í™”ì˜ ì˜í–¥ì„ 받는 등, ìž‘ê°€ì˜ ì°½ì˜ì„±ê³¼ ì‹œëŒ€ì˜ íë¦„ì´ ë”ìš± ìžìœ ë¡­ê²Œ ë°˜ì˜ë˜ì—ˆë‹¤. ì˜¤ìœ¤ì€ íŠ¹ížˆ ì „ë¼ë‚¨ë„ êµ¬ë¡€ì˜ í™”ì—„ì‚¬ 명부전(冥府殿)ì— ë´‰ì•ˆëœ ì‹œì™•ë„(å王圖)를 차용하여 소비 ìƒí’ˆì£¼ì˜ê°€ 만연하고 외국 ìžë³¸ì— ìš°ë¦¬ì˜ ë†ì´Œì´ 몰ë½í•˜ëŠ” ìž¥ë©´ì„ ì•Œê¸° ì‰¬ìš°ë©´ì„œë„ ìµì‚´ìŠ¤ëŸ½ê²Œ 그려냈다.15) 특히 소위 ‘벽지화’ë¼ê³  하는 단색 ì¶”ìƒë¯¸ìˆ ì— ë¹ ì§„ ë¯¸ìˆ ê³„ì˜ ëª¨ìŠµë„ ìœ ë¨¸ëŸ¬ìŠ¤í•˜ê²Œ 비íŒí•˜ê¸°ë„ 했다. ì´ëŸ¬í•œ 전통화 ì–‘ì‹ì€ ë¯¼ì¤‘ì  ë¦¬ì–¼ë¦¬ì¦˜ì„ ì£¼ìž¥í•˜ì˜€ë˜ ì†Œê·¸ë£¹ ‘ë‘ë â€™ (ë„ 16)화가들ì—게 계승ë˜ì–´, ê¹€ë´‰ì¤€ì€ <ë§Œìƒì²œí•˜>(ë„ 17)는 ë¶ˆêµ ê±¸ê°œê·¸ë¦¼ì— ë§Œí™”ì  ìš”ì†Œë¥¼ ë”하여 ë”ìš± ë‹¹ëŒ€ì„±ì„ ë¶€ê°ì‹œì¼°ë‹¤. 한편 ê³ ë‹µì  ë¯¸í•™ì„ ê±°ë¶€í•˜ê³  ëŒ€ì¤‘ê³¼ì˜ ì†Œí†µì„ ì¤‘ì‹œí–ˆë˜ ë¯¸ìˆ ê°€ë“¤ì€ ë§Œí™”ê°€ 가지는 ëŒ€ì¤‘ë¬¸í™”ë¡œì„œì˜ ê°€ì¹˜ë¥¼ 재ì¸ì‹í•˜ì˜€ë‹¤. ë§Œí™”ì— ì„œì‚¬ë¥¼ ë§ë¶™ì´ëŠ” 시리즈 íšŒí™”ì¸ ë¯¼ì •ê¸°ì˜ <한씨연대기>와 ê°™ì€ ìž‘í’ˆì€ ìƒˆë¡­ê²Œ ë²ˆì•ˆëœ 20세기 í›„ë°˜ì˜ ë¯¼í™”ë¼ê³  í• ë§Œ 했다.16)
ì´ë“¤ í˜„ëŒ€íŒ í’ì†ë„ì—는 ë‹¹ì‹œì˜ ì‹œëŒ€ ì¸ì‹ì´ 분명하게 드러나는ë°, 1980년대 사회변í˜ì„ ê¿ˆê¾¸ì—ˆë˜ ì´ë“¤ì€ 물질 만능주ì˜ì™€ 서구 í’ì¡°ì— ë¬¼ë“  ë„시 문화를 멀리하고, ë†ì´Œ ê³µë™ì²´ì˜ ë§Œìƒì²œí•˜ ëŒ€ë™ ì„¸ê³„ë¥¼ ì´ìƒí–¥ìœ¼ë¡œ 설정하는 것ì´ì—ˆë‹¤.17) ì´ëŸ¬í•œ ì—­ì‚¬ê´€ì€ 1980년대 반제국주ì˜ì™€ ë°˜ìžë³¸ì£¼ì˜ 민족ì´ë…ì— ë°”íƒ•ì„ ë‘” 것으로, 최종 목ì ì€ 오염ë˜ì§€ ì•Šì€ ë¯¼ì¡± ê³ ìœ ì˜ ë…ìžì„±ìœ¼ë¡œ 회귀하는 ë°ì— ë‘ê³  ìžˆì—ˆë˜ ë§Œí¼ ê·¸ ì´ìƒì€ ë‚­ë§Œì ì´ê³  복고ì ì´ì—ˆë‹¤. 그리고 ì´ëŸ¬í•œ 1980년대 ë‹´ë¡ ì€ ì´ì „ ì´êµ­ì  í¬í¬ë¯¸ìˆ ë¡œì„œ 수집ë˜ê¸° 시작한 ë¯¼í™”ì— ë³¸ê²©ì ìœ¼ë¡œ â€˜ë¯¼ì¤‘â€™ì˜ ë¯¸ìˆ ì´ë¼ëŠ” ê³„ê¸‰ì„±ì„ ë¶€ì—¬í•˜ëŠ” 새 êµ­ë©´ì„ ë§žê²Œ 하였다. 비í‰ê°€ ì›ë™ì„ê³¼ ë¼ì›ì‹ì€ ‘민화’ë¼ëŠ” ë§ ëŒ€ì‹ ì— ì ê·¹ì ìœ¼ë¡œ ‘민족미술, 민중미술’ì´ë¼ëŠ” ìƒìœ„ ë²”ì£¼ì˜ ìš©ì–´ë¥¼ 사용하였다. ì›ë™ì„ì€ 1975ë…„ì— ì“´, ë¯¼ì¤‘ë¯¸ìˆ ì— ëŒ€í•œ ì„ êµ¬ì  ê¸€ì—서 민족문화를 위해서는 ë¯¼ì¤‘ì˜ ì°¸ì—¬í™œë™ì´ 주요했다는 ì ì„ 강조하며 “ì˜ì‹ì ì¸ ìƒë¶€ë¶„화는 과거 ì†ìœ¼ë¡œ 사ë¼ì¡Œì–´ë„ 오늘날 ë¯¼ì¡±ë¬¸í™”ì˜ ì €ë³€ì— ì‚´ì•„ 있는 ê²ƒì€ ì´ëŸ¬í•œ 무ì˜ì‹ì ì¸ 민중문화â€ë¼ëŠ” ì ì„ 힘주어 강조하였다.18)
ì´ëŸ¬í•œ 견해는 ì´í›„ 조선시대 ê¶ì¤‘í™”, 민화 ì‚°ìˆ˜í™”ì— ëŒ€í•œ 연구가 확대ë˜ê³ , ë™ì•„시아 시ê°ë¬¸í™”ì˜ ë³´íŽ¸ì„± ì†ì— í•œêµ­ì˜ ë¯¼í™”ë¥¼ 연구하는 ìž…ìž¥ì´ ë‚˜íƒ€ë‚˜ê¸°ê¹Œì§€ â€˜ë¯¼í™”â€™ì— ëŒ€í•œ 가장 보편ì ì¸ 입장ì´ì—ˆë‹¤.

ë°•ìƒê´‘ì˜ ë¬´ë…€ë„
ë‚´ê³  ë°•ìƒê´‘ (ä¹ƒå¤ æœ´ç”Ÿå…‰, 1904~1985)ì´ 1979ë…„ 진화랑ì—서 전시를 ì—´ê³  발표한 <무녀ë„>(ë„ 18)는 주í™ìƒ‰ ìœ¤ê³½ì„ ì´ ì„ ëª…í•œ ê°€ìš´ë° í‘¸ë¥¸ ë¬´ë³µì„ ìž…ì€ ë¬´ë…€ì˜ ì‹ ê¸° 어린 í° ì–¼êµ´ê³¼ 터져나갈 듯한 ì›ìƒ‰ì˜ í­ë°œë¡œ 당시 ì¶”ìƒë¯¸ìˆ  ì¼ìƒ‰ì˜ í™”ë‹¨ì— í° ì¶©ê²©ì„ ì£¼ì—ˆë‹¤. 1978ë…„ 시작한 ë¬´ì† ì—°ìž‘ì€ ì¼ë³¸í™”í’으로 í„하ë˜ë˜ ìžì‹ ì˜ 미술세계를 완전히 뒤집는 것ì´ê¸°ë„ 했다.
ê²½ìƒë‚¨ë„ 진주 출신으로 ì¼ì œ ê°•ì ê¸°ì™€ 1970년대 ë‘ ì°¨ë¡€ ì¼ë³¸ì— 유학하고, ì¼ë³¸ 미술ì›ì „ê³¼ ê°™ì€ ê´€ì „ì„ ì¤‘ì‹¬ìœ¼ë¡œ 활ë™í•œ ë°•ìƒê´‘ì€ ê¸ˆì§€ë‚˜ ì€ì§€, í˜¸ë¶„ì„ ì‚¬ìš©í•˜ëŠ” 등 확실히 ì¼ë³¸í™”ì˜ ì˜í–¥ì´ 짙었다. 그러나 1977ë…„ ì¼ë³¸ì—서 ë‘ ë²ˆì§¸ 유학ì—서 귀국한 ì´í›„ì—는 단청과 ì˜¤ë°©ìƒ‰ì„ ì¡°ê¸ˆì”© 실험하ë”니, 1978ë…„ <무녀ë„> 시리즈를 통해 강렬한 채색 í™”í’으로 전환하였다. ë§ˆì„ ì–´ê·€ ë‹¹ì§‘ì— ê±¸ë¦° 으스스한 무ì†í™”를 ì—°ìƒì‹œí‚¤ëŠ” 섬뜩하고 강렬한 그림ì´ì—ˆë‹¤. ì´ëŸ¬í•œ 조형ìƒì˜ ê·¹ì ì¸ ì „í™˜ì€ í™”ê°€ë¡œì„œë„ í™˜ê³¨íƒˆíƒœí•˜ëŠ” 것ì´ë¼, ë°•ìƒê´‘ì€ ì´ì „까지 ì“°ë˜ í•œìžì‚¬ì¸ì„ 버리고, 마치 ë¶€ì ì„ ì—°ìƒì‹œí‚¤ëŠ” ë„장글씨로 한글 “그대로 ë°•ìƒê´‘â€ì´ë¼ 서명하고 단기로 날짜를 기ë¡í•˜ì˜€ë‹¤.
ë¯¼í™”ì˜ ì—¬ëŸ¬ 장르 중ì—ì„œë„ ë¬´ì†í™”는 ë¯¼ì¡±ì˜ ì‚¶ê³¼ 관련해 ë”ìš± ì›ì´ˆì ì¸ 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ê·¸ 시ê°ì  효과 역시 강렬하다. 그러나 무ì†ì€ 전근대성과 민족주ì˜ê°€ êµì°¨í•˜ëŠ” ì´ì¤‘ì  ì˜ì—­ìœ¼ë¡œ ì¼ì œ 강압기 ì¼ë³¸ ì´‰íƒ ì¸ë¥˜í•™ìžë“¤ì— ì˜í•´ ì‹ë¯¼ì§€ì˜ 후진성으로 다루어지거나 ì•„ì¹´ì´ë¸Œì˜ ìžë£Œë¡œ 수집ë˜ê³  재현ë˜ì—ˆìœ¼ë©° 조선미술전람회ì—서 소재로 차용ë˜ëŠ” ì •ë„였다.19) ì´ëŠ” í•´ë°© ì´í›„ì—ë„ ë§ˆì°¬ê°€ì§€ì—¬ì„œ 무ì†í™”ì˜ ê°•ë ¬í•œ ì±„ìƒ‰ì€ ì™œìƒ‰ ì²­ì‚°ì´ë¼ëŠ” ëª…ë¶„ì— ë°€ë ¤ 화단ì—서는 ê±°ì˜ ê¸ˆê¸°ì‹œë˜ì—ˆê³  ì „í†µí™”ë‹¨ì€ ë‹´ë°•í•œ 수묵 담채화로 í•œêµ­ì„±ì„ êµ¬í˜„í•˜ë ¤ê³  했다. 국토를 근대화하기 위해 급박하게 ì´ë£¨ì–´ì§„ ìƒˆë§ˆì„ ìš´ë™ìœ¼ë¡œ ì¸í•´ 민간ì—서 ì´ì–´ì§€ë˜ 무ì†ì€ ë¹„í•©ë¦¬ì  ë¯¸ì‹ ìœ¼ë¡œ ê³µë™ì²´ì—서 뿌리 뽑혀나갔다. ê·¸ëŸ¬ë˜ ê²ƒì´ ê¹€íƒœê³¤(金泰å¤, 1937-1996)ê³¼ ê°™ì€ ë¯¼ì†í•™ìžë“¤ì— ì˜í•´ 한국ì¸ë“¤ì˜ ì›í˜•ì  ì‚¬ê³ (arch-pattern)ì´ë¼ê±°ë‚˜ ‘창조 ì—너지’로 ì´í•´ë˜ê¸° 시작했다.20) 1970년대 ì´í›„ 국학연구가 활발해지고 1980년대 ‘국í’’ì´ë¼ëŠ” 문화기íšì´ 정치ì ìœ¼ë¡œ ì´ë£¨ì–´ì§€ë©´ì„œ 굿과 ë¬´ë‹¹ì— ëŒ€í•œ 방송과 ìž¡ì§€ì˜ ê¸°íšì´ 많아졌다. 특히 무ì†ì¸ ê¹€ê¸ˆí™”ì— ëŒ€í•œ ì„¸ê°„ì˜ ê´€ì‹¬ì´ ë†’ì•„ì ¸, 1981ë…„ 5ì›”ì—는 미국 ìœ í•™ìƒ ì¶œì‹ ì˜ ì‹ ë”¸ì´ ê¹€ê¸ˆí™”ì—게 ë‚´ë¦¼êµ¿ì„ ë°›ëŠ” ìž¥ë©´ì€ KBS로 ë°©ì˜ë˜ê¸°ê¹Œì§€ 하였다. ì´ëŸ¬í•œ ì¼ë ¨ì˜ 변화는 소설가 ê¹€ë™ë¦¬(金æ±é‡Œ, 1913~1995)ì˜ ã€Žë¬´ë…€ë„ã€(1936)ì—서 퇴ë½í•œ í† ì°©ë¬¸í™”ì˜ ìƒì§•ì´ì—ˆë˜ 무ì†ì˜ 당당한 부활ì´ìž, 민족 ë¬¸í™”ì˜ ìƒëª…ë ¥ì„ ë˜ì‚´ë¦¬ëŠ” 사건ì´ê¸°ë„ 했다. ì´ëŸ¬í•œ 사회, ë¬¸í™”ì˜ ë°°ê²½ì€ ë°•ìƒê´‘ì´ ê³¼ê°í•˜ê²Œ í™”í’ì„ ì „í™˜í•˜ëŠ” ë° ë™ê¸°ê°€ ë˜ì—ˆë‹¤.

ë°•ìƒê´‘ì€ 1981ë…„ ë°±ìƒí™”ëž‘ì—서 ì—° ê°œì¸ì „ì— ë¶ˆêµì™€ 무ì†, 십장ìƒê³¼ ë¶€ì  ë“± ëŒ€ìž‘ì˜ ì±„ìƒ‰í™”ë¥¼ 선보였다. í™”ê°€ì˜ ë‚˜ì´ë¥¼ 무색하게 하는 대작 ê·¸ë¦¼ì— â€˜í˜„ì‹¤ê³¼ 발언’으로 ë³¸ê²©í™”ëœ í˜„ì‹¤ì£¼ì˜ ë¦¬ì–¼ë¦¬ì¦˜ 미술 ì§„ì˜ì—ë„ í° ìžê·¹ì´ ë˜ì—ˆìœ¼ë©° ì´í›„ ì›ë™ì„ê³¼ ê°™ì€ ë¯¼ì¤‘ë¯¸ìˆ  비í‰ê°€ë“¤ì˜ ì£¼ëª©ì„ ë°›ê³  êµê°í•˜ë©´ì„œ 1983ë…„ <명성황후>와 1984ë…„ <전봉준>ê³¼ ê°™ì€ ì—­ì‚¬ì¸ë¬¼í™”를 제작하게 ë˜ì—ˆë‹¤.(ë„ 19) ì´ ê·¸ë¦¼ë“¤ì€ ë´‰ê±´ì  ì‹ ë¶„ì§ˆì„œì— í•­ê±°í•˜ëŠ” 민중 í˜ëª…ì„ ê·¸ë¦° 역사화ì´ìž 1980년대 민주화 ì •ì‹ ì„ í•¨ì¶•í•˜ëŠ” 그림으로 í‰ê°€ë°›ê³  있다. ë°•ìƒê´‘ì˜ ìž¬ì°½ì¡°ëœ ë¯¼í™”ì  ìƒìƒë ¥ì€ 민중 ì§„ì˜ ë¿ ì•„ë‹ˆë¼ ìˆ˜ë¬µí™” ìœ„ì£¼ì˜ í•œêµ­í™”ì™€ ëª¨ë…¸í†¤ì´ ëŒ€ì„¸ì´ë˜ 서양화가들ì—ê²Œë„ ì˜í–¥ì„ 미쳤는ë°, 서양화가 하ì¸ë‘는 1985ë…„ 파리ì—서 열린 ë°•ìƒê´‘ì˜ ì „ì‹œë¥¼ ë³´ê³  í° ê°ë™ì„ 받아 ìžì‹ ì˜ 색채 ì¶”ìƒì„ ë”ìš± 심화시켜 나갔다.

9) ê¹€ì˜ë‚˜, <현대미술ì—ì„œì˜ ì „í†µì˜ ì„ ë³„ê³¼ 계승: 1970ë…„ëŒ€ì˜ ëª¨ë…¸í¬ë¡¬ 미술과 1980ë…„ëŒ€ì˜ ë¯¼ì¤‘ë¯¸ìˆ >《정신문화연구》, ì œ23ê¶Œ ì œ4호(통권 81호), 2000. 겨울호. pp. 33-53.
10) 1980ë…„ 10ì›” 7ì¼ â€˜í˜„ì‹¤ê³¼ 발언’ ì°½ë¦½ì·¨ì§€ë¬¸ì˜ ì–¸ê¸‰ëœ ë‚´ìš©ì´ë‹¤.
11) 정병모, <한국 민화와 중국 ë¯¼ê°„ì—°í™”ì˜ ë¹„êµ>,《ë™ì•„ì‹œì•„ì˜ ë¯¼í™”ã€‹(국립민ì†ë°•물관, 2006), pp. 59-90.
12) 김지하, <ì¤‘ë ¥ì  ì´ˆì›”ì´ë¼ëŠ” ìƒëª…ê³¼ 그마저 벗어난 í° í‰í™”-오윤과 나>, 《오윤 ë‚®ë„깨비 신명마당》, pp. 298-305
13) 유í™ì¤€, <오윤 ì˜ˆìˆ ì— ëŒ€í•œ ë¯¸ìˆ ì‚¬ì  íšŒìƒ>, 《춤추는 ë„깨비》, 오윤기ë…사업회(ARA art, 2012)
14) <좌담, ì˜¤ëŠ˜ì˜ ìš°ë¦¬ì—게 êµ¿ì€ ë¬´ì—‡ì¸ê°€>, 《옹진 ë°° 연신굿》 (열화당, 1986), pp. 91-115.
15) 정병윤, <ì˜¤ìœ¤ì˜ <마케팅> ì—°ìž‘ 연구>, (ì„œìš¸ëŒ€í•™êµ ëŒ€í•™ì› ê³ ê³ ë¯¸ìˆ ì‚¬í•™ê³¼ ì„사논문), pp.13-23.
16) 최민화, <ì‚¶ì˜ ë¬´ê¸°ë¡œì„œì˜ ë§Œí™”>, 《현실과 발언: 1980년대 새로운 ë¯¸ìˆ ì„ í–¥í•˜ì—¬ã€‹ (열화당, 1985)
17) 김남í¬, <19세기 ê°ë¡œíƒ±í™”와 í’ì†í™”ì˜ ë¹„êµì—°êµ¬>, 《미술êµìœ¡ë…¼ì´ã€‹, vol. 32 (2012) pp. 277-298.
18) ì›ë™ì„, 민족주ì˜ì™€ ì˜ˆìˆ ì˜ ì´ë…, ì›ê´‘문화 ì œ2ì§‘, 1975, 《ì›ë™ì„미술í‰ë¡ ì§‘, ë¯¼ì¡±ë¯¸ìˆ ì˜ ë…¼ë¦¬ì™€ ì „ë§ã€‹ (풀빛, 1985), pp. 23-24.
19) ì¼ì œì‹œëŒ€ ì´‰íƒì—°êµ¬ì˜ ê²°ê³¼ë¬¼ì¸ ìœ ë¦¬ì›íŒ ì‚¬ì§„ì— ê´€í•œ 후기 ì‹ë¯¼ì£¼ì˜ì  ê´€ì ì˜ 전시회로는 ã€Šê·¸ë“¤ì˜ ì‹œì„ ìœ¼ë¡œ 본 근대, ì„œìš¸ëŒ€í•™êµ ë°•ë¬¼ê´€ì†Œìž¥ 유리건íŒì‚¬ì§„전Ⅱ》 (ì„œìš¸ëŒ€í•™êµ ë°•ë¬¼ê´€, 2004) ì´ ìžˆë‹¤.
20) 김성례, <무ì†ì „í†µì˜ ë‹´ë¡  ë¶„ì„-해체와 ì „ë§>, 《한국문화ì¸ë¥˜í•™ã€‹ (22ì§‘, 1990). pp. 211-243.

â…£. 1990년대와 ê·¸ ì´í›„

한국 현대미술ì—서 1980년대 후반ì—서 1990년대는 소위 í¬ìŠ¤íŠ¸ëª¨ë”니즘 ë…¼ìŸì´ ì‹¬í–ˆë˜ ì‹œê¸°ì˜€ë‹¤. ì´ ì‹œê¸°ì— í­ë°œí•œ 한국 ì±„ìƒ‰í™”ì˜ ê³¼ê°í•œ 구ìƒì  요소와 ìžìœ ë¶„방한 색채는, ë‚´ë¶€ì ìœ¼ë¡œëŠ” 수묵화 전통, ëª¨ë…¸í†¤ì˜ ì¶”ìƒë¯¸ìˆ ì— 대한 ë°˜ê° ë“±ì´ ìž‘ìš©í–ˆì§€ë§Œ, 대외ì ìœ¼ë¡œëŠ” 때 마침 ì¼ì–´ë‚œ ë…ì¼, 미국, ì´íƒˆë¦¬ì•„ì˜ ì‹ í‘œí˜„ì£¼ì˜ ì‚¬ì¡°ì™€ 때를 ê°™ì´ í™•ì‚°ë˜ì—ˆë‹¤.
황창배, 사ì„ì›, 김종학, 서용선과 ê°™ì€ ì†Œìœ„ 한국 ì‹ í‘œí˜„ì£¼ì˜ ìž‘ê°€ë“¤ì€, ì„œêµ¬ì˜ ì‹ í‘œí˜„ì£¼ì˜ê°€ 미국과 ì´íƒˆë¦¬ì•„, ë…ì¼ ë“± ê° ë‚˜ë¼ë§ˆë‹¤ì˜ ë…특한 역사, ë¬¸í™”ì  í™˜ê²½ì— ëŒ€í•´ ë°˜ì‘í–ˆë˜ ê²ƒì²˜ëŸ¼ ê³¼ê°í•˜ê²Œ ë¯¼í™”ì  ì†Œìž¬ë‚˜ 역사를 ì ê·¹ ì´ìš©í•˜ì—¬ í™”ë©´ì— ìƒëª…ê°ì„ 불어넣었다.
ê¹€ì¢…í•™ì€ 1979년부터 그리기 시작한 설악산ì´ë¼ëŠ” 주제를 반복하면서 ê²¸ìž¬ì˜ ì‚°ìˆ˜í™”ë¥¼ 차용한 개성ì ì¸ 산수화와 길ìƒì˜ ì„±ê²©ì´ ê°•í•œ 꽃 ê·¸ë¦¼ì„ ê·¸ë ¤ëƒˆë‹¤(ë„20). 특히 2003ë…„ 제작한 <백화만발>ì—서 ë³´ë“¯ì´ ê¹€ì¢…í•™ì˜ ê½ƒê·¸ë¦¼ì€ ë¶‰ì€ ì²œì— ìˆ˜ë¥¼ 놓아 베개머리 장ì‹ìœ¼ë¡œ 쓰는 ë¯¼ìˆ˜í’ˆì˜ ì˜í–¥ì„ í¬ê²Œ 받았다. ê¹€ì¢…í•™ì€ ê´€ì°°ë¡œ ì²´ë“한 ì„¤ì•…ì‚°ì˜ ê½ƒë“¤ì„ í™”ì¡°í™”ì˜ ë„ìƒê³¼ 융합하여 사실과 ìƒì§•ì˜ ì„¸ê³„ë¥¼ 초월한 ë…ìžì  세계를 ì¼êµ¬ì—ˆì„ ë¿ ì•„ë‹ˆë¼, ì•„í¬ë¦´ì„ ì§ì ‘ ìº”ë²„ìŠ¤ì— ì§œê³  내지르듯 급하게 ì¼í•„휘지하는 강렬함으로 ì Šì€ ì‹œì ˆ 매체와 ì”¨ë¦„í–ˆë˜ ì•„ë°©ê°€ë¥´ë“œë¡œì„œì˜ ë©´ëª¨ë¥¼ ì§€ì†í•˜ì˜€ë‹¤.
황창배(1947~2001)는 1980년대 ë¯¼í™”ì  ìš”ì†Œì™€ ì„¤í™”ì  ë‚´ìš©ì„ ë‹´ì€ ìž‘í’ˆë“¤ì„ ê±°ì³ 1990년대 ìƒ‰ë©´ì˜ ê°•ì¡°ë¥¼ 통한 í‰ë©´ìž‘ì—…ì„ ì„ ë³´ì˜€ëŠ”ë°, 특히 먹, 화선지, 호분 ê°™ì€ í•œêµ­í™”ì˜ ìž¬ë£Œë¥¼ 벗어나 ì•„í¬ë¦´ 물ê°ì´ë‚˜ 유채 등 ì„œì–‘í™”ì˜ ìž¬ë£Œë¥¼ ì ê·¹ì ìœ¼ë¡œ ëŒì–´ë“¤ì˜€ë‹¤. ë”불어 ì†Œìž¬ì— ìžˆì–´ì„œë„ ì‚°ìˆ˜ë‚˜, ì¸ë¬¼, 화조 등 특정 ìž¥ë¥´ì— ë¨¸ë¬´ë¥´ì§€ 않았다. 심지어 ë¶“ 외ì—ë„ ì†ì´ë‚˜ 나ì´í”„를 활용하여 ìž‘í’ˆì„ ì œìž‘í•˜ê¸°ë„ í–ˆëŠ”ë°, ì´ëŸ¬í•œ ëŠìž„없는 ì‹¤í—˜ì€ ë¯¼í™”ì  íŒŒê²©ì—서 기ì¸í•œ 것ì´ì—ˆë‹¤. ì„œìš©ì„ ì€ í˜•ì‹ë³´ë‹¤ëŠ” ì—­ì‚¬ì  ë‚´ìš©ì— ëª°ë‘했다. 특히 조선시대 ë‹¨ì¢…ì˜ ì—­ì‚¬ë¥¼ 통해 정치과 권력, ì—­ì‚¬ì˜ ëª…ì•”ì„ ë‹¤ë£¨ëŠ” ë°©ì‹ì€ 거친 ì„ ê³¼ 붉고 푸른 ìƒ‰ì±„ì˜ ì¶©ëŒë¡œ ì¦í­ë˜ì—ˆë‹¤. ê·¸ 세련ë˜ì§€ ì•Šì€ ê±°ì¹œ ëŒ€ìž‘ì˜ í™”ë©´ì€ ì „í†µ 무ì†í™”ì˜ ìƒê²½í•¨ì—서 연유한 것ì´ì—ˆë‹¤. 대중성과 í‘œë©´ì„ ê°•ì¡°í•˜ëŠ” 컨템í¼ëŸ¬ë¦¬ 미술계ì—서 ì‹œê°„ì˜ ì£¼ë¦„ì— ë¬»í˜€ë²„ë¦° ì—­ì‚¬ì˜ ì—¬ëŸ¬ ì§ˆê³¡ì„ ë“œëŸ¬ë‚´ëŠ” ì„œìš©ì„ ì€ ë¬µì§í•œ 주제ì˜ì‹ìœ¼ë¡œ ë…ìžì ì¸ ì—­ì‚¬í™”ì˜ ì„¸ê³„ë¥¼ íŽ¼ì³ ë³´ì´ê³  있다.
1993ë…„ 휘트니 비엔날레를 ì„œìš¸ì— ìœ ì¹˜í•˜ê³  한국 ë¯¸ìˆ ê³„ì— ëª¨ìŠµì„ ë“œëŸ¬ë‚¸ 백남준(1932~2006)ì€ ìƒ¤ë¨¼ìœ¼ë¡œì„œì˜ ë¯¸ìˆ ì„ ì£¼ìž¥í•˜ë©° 현대화랑ì—서 열린 ê°œì¸ì „ì—서 êµ¿ì„ ì°¨ìš©í•œ í¼í¬ë¨¼ìŠ¤ë¥¼ 벌였다. ë…ì¼ì˜ 요셉 ë³´ì´ìФ(Joseph Beuys, 1921~1986)와 êµê°í•˜ë©°, 플럭서스와 ì¼ë³¸ì˜ 전위미술ì—서 활ë™í•˜ê³  비디오 아트ë¼ëŠ” 새 미디어 ì•„íŠ¸ì˜ ë¬¸ì„ ì—´ì—ˆë˜ ì´ ì„¸ê³„ì  ë¯¸ìˆ ê°€ëŠ”, ë¯¸ìˆ ì„ ì œì˜ì™€ ìƒ¤ë¨¼ì˜ í–‰ìœ„ë¡œ ë³´ì•˜ë˜ ê²ƒì´ë‹¤. 한편 2000년대 컨템í¬ëŸ¬ë¦¬ ë¯¸ìˆ ê°€ë“¤ì€ ë‹¤ì–‘í•œ 문맥ì—서 민화, 무ì†ì˜ 주제를 ì ê·¹ì ìœ¼ë¡œ 사용하고 있다. 특히 설치와 미디어, í¼í¬ë¨¼ìŠ¤ì˜ ì ê·¹ì  ì°¨ìš©ì´ ë‘드러지는ë°, ë°•ì°¬ê²½ì˜ ì˜í™” <만신>(ë„ 21)ì€ ì˜¤ë¦¬ì—”íƒˆë¦¬ì¦˜ê³¼ ê·¼ëŒ€í™”ì— ì´ì¤‘으로 ì–µì••ëœ ì•„ì‹œì•„ ì„±ì„ ë“œëŸ¬ë‚´ëŠ” ì „ëžµì  ì†Œìž¬ì˜€ë‹¤.
물론 ì´ ì™¸ì—ë„ í˜„ëŒ€ì— ìžˆì–´ 민화를 차용하는 ì Šì€ í™”ê°€ë“¤ì€ ë§¤ìš° 많다. 그러나 ì´ ê¸€ì€ í•˜ë‚˜ì˜ ì •ì „ìœ¼ë¡œ êµ¬ì¶•ëœ í•œêµ­ 현대미술ì—서, ê·¸ ê³¼ì •ì— ë¯¼í™”ì˜ ìš”ì†Œê°€ 어떻게 작용했는지 대표ì ì¸ ì˜ˆë“¤ì„ ì«“ì•„ë³´ë©° 살펴본 ê²°ê³¼ì´ë‹¤. 김환기ì—서 ë°±ë‚¨ì¤€ì„ ê±°ì³ ë°•ì°¬ê²½ì— ì´ë¥´ê¸°ê¹Œì§€ 전후 한국 현대미술ì—ì„œì˜ â€˜ë¯¼í™”â€™ í˜¹ì€ ë¬´ì†ê³¼ í•œêµ­ì˜ í† ì† ì‹œê°ë¬¸í™”는 한국ì¸ìœ¼ë¡œì„œ ì •ì²´ì„±ì„ ë¶€ì—¬í•˜ê³ , 한계를 넘어 ë…ìžì  회화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ë° ì˜ê°ì´ìž ë™ë ¥ì´ ë˜ì—ˆë‹¤. 모ë”니즘 화가들ì—게 새로운 조형 ì‹¤í—˜ì˜ ì›ì²œì´ì—ˆìœ¼ë©°, 산업화시대를 통과하면서 억압ë˜ì—ˆë˜ ê²ƒë“¤ì˜ íšŒê·€ê°€ 1980년대 다양한 ë¯¼í™”ì˜ í˜„ëŒ€ì  ê³„ìŠ¹ìœ¼ë¡œ 나타났다. 1990년대 ì´í›„ 신표현주ì˜ì™€ ì†Œë¹„ì‚¬ì™¸ì˜ ëŒ€ì¤‘ì  ê°ì •ì„ ì—¬ì „ížˆ ë¯¼í™”ì  ì£¼ì œë¡œ 차용하여 표현하는 예가 많다.
â€˜ë¯¼í™”â€™ì  ìš”ì†ŒëŠ” 한국 ë¯¸ìˆ ì‚¬ì˜ êµ­ë©´ 전환기 마다 강력한 ì˜ê°ì„ 불러ì¼ìœ¼ì¼°ë‹¤. 무엇보다 한국화ì—서 ì±„ìƒ‰í™”ì˜ ì „í†µì„ ë˜ì‚´ë¦¬ëŠ”ë° ë§¤ìš° 중요한 ì—­í• ì„ í•˜ì˜€ë‹¤. 그런 ë©´ì—서 민화는 엘리트 ì¤‘ì‹¬ì˜ ë‹«ížŒ 한국 í˜„ëŒ€ë¯¸ìˆ ì˜ ë§¹ì ê³¼ ê²°ì—¬ì— ëŒ€í•œ 거울ì´ìž 대안ì (í˜¹ì€ ëŒ€í•­ì ) 미술운ë™ì´ì—ˆë‹¤ê³  할만하다. 그러나 분명한 ê²ƒì€ í•œêµ­ 현대미술ì—서 민화는 참조해야 í•  전통ì´ì—ˆì§€, 모방과 ë‹µìŠµì˜ ëŒ€ìƒì€ 아니었다는 ì ì´ë‹¤. 최근 ë¯¼í™”ì— ëŒ€í•œ ê´€ì‹¬ì´ ë†’ì•„ì§€ê³  있는 ë°ì—는, 토착 시ê°ë¬¸í™”ì— ëŒ€í•œ ê¸ì •ì  ìž¬ì¸ì‹ê³¼ 함께 지나치게 현학ì ì´ë©° ìžíì ì¸ í˜„ëŒ€ë¯¸ìˆ ì— ëŒ€í•œ ë°˜ê°ë„ 작용하고 있다. ë¯¼í™”ì˜ ì •ì‹ ì€ ì„œë¯¼, 즉 보통 사람들, 대중ì´ë‚˜ ê³µì¤‘ì˜ í˜„ì‹¤ì  ê°ì •ê³¼ 욕구, ë‚´ë©´ì„ í‘œí˜„í•˜ëŠ” 것ì´ë‹¤. 그런 ì ì—서 ë¯¼í™”ì˜ ì „í†µê³¼ ì˜ë¯¸ëŠ” 보다 ì ê·¹ì ì¸ 차용ë˜ì–´ 다양한 매체와 새로운 ë°©ì‹ìœ¼ë¡œ ê±°ë“­ ì°½ì•ˆë  ìˆ˜ ìžˆì„ ê²ƒì´ë‹¤.

 

글 : 김미정(í™ìµëŒ€í•™êµ 한국현대미술사 박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