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論考] 한국 현대믞술에서 믌화의 읎윔녞귞래플(Iconography) ;현대믞술의 찜작 원천윌로서의 믌화

(귞늌 3) 읎믞정, 묞자도
ì°šë¡€
  • Ⅰ. 뚞늬말
  • Ⅱ. 한국 현대작품곌 믌화의 위상
  • Ⅲ. 한국 현대믞술에서 믌화의 읎윔녞귞래플
  • Ⅳ. 맺음말

※읎 녌묞은 한국믌화의 곌제와 나아갈 방향읎띌는 죌제로 엎늰 ‘2014 한국믌화 학술대회’에서 9월 20음에 발표한 낎용을 전제한 것입니닀.

Ⅰ. 뚞늬말

한국 현대믞술은 국제성을 의믞하는 Ꞁ로벌늬슘 녌의륌 넘얎 Ꞁ로컬늬슘(섞계통합죌의globalism와 지역쀑심죌의localism의 합성얎 glocalism)의 닎론에 위치핎 있닀. 귞것은 혌종묞화의 시대에 듀얎선 사회가 볎여쀀 음렚의 법칙 아래 지극히 당연한 수순읎닀. 하지만 혌종묞화가 득섞할수록 ‘믌족적 정첎성을 전멎에 낎섞욎 볎수죌의’가 득섞한닀는1) 현상을 믞술에 곧바로 적용할 수는 없닀. 믞술은 묞학볎닀 ꞉진적읎고 겜계륌 넘는 성격읎 강하며 시대마닀 아방가륎드가 졎재했던 예술읎Ʞ 때묞읎닀. 읎것읎 한국 현대믞술에서 소비되는 믌화적 요소륌 Ꞁ로컬늬슘의 잣대로 적용할 수 없는 읎유읎닀.
귞렇닀멎 현재 한국현대믞술의 자양분윌로 칭핎지는 믌화의 ì°šìš©(借甚) 혹은 읎용읎나 접목은 얎떠한 방식윌로 읎핎될 수 있을까. 한국 현대믞술의 음부 작가듀은 분명 ‘믌화적 요소’륌 작품의 특징윌로 삌고 있닀. 하지만 소재죌의로서의 접귌은 작품의 한계와 작가적 특성의 분늬륌 얎렵게 한닀. 채색(圩色), 도상(圖像) 혹은 구도(構圖)에서 믌화적 요소륌 확정할 수 있닀멎 귞것은 곌거의 전통윌로서 믌화륌 찚용하는 잡멎에서음 것읎닀. 하지만 읎는 믌화의 정첎성을 확볎하지 않고서는 판닚하Ʞ 얎렀욞 뿐만 아니띌 현대믞술의 강력한 전략읞 ‘전통을 소비하Ʞ’에 닀늄 아니띌고 닚정지을 수도 있닀.2)
귞렇닀멎 왜 한국현대믞술에서는 ‘믌화’띌는 윔드 아래 작품을 진행하는 음렚의 작가듀읎 지속적윌로 등장하는 것음까. 읎는 한국 현대믞술에서 후Ʞ산업사회의 특징 쀑 하나읞 신속한 정볎전달곌 핎독을 목표로 한 작품듀읎 생산되Ʞ 때묞읎닀. 누구나 쉜게 핮독할 수 있는 작품을 요구하는 대쀑의 등장곌 묎ꎀ하지 않윌며, 정볎가 넘치는 시대의 닀륞 섞계의 묞화륌 읎핎하Ʞ 위한 닚서로 믞술작품 대하는 태도와도 또한 묎ꎀ하지 않닀. 읎는 믌화의 특성읎 여전히 한국 현대믞술에 읎륎Ʞ까지 유횚한 전통의 요소륌 지니고 있음을 방슝한닀.
한국 현대믞술에서 믌화적 요소륌 파악하는 것은 음견 맀우 용읎핎 볎읞닀. 읎믞 각읞된 특징읎 뇌늬에 졎재하Ʞ 때묞읎닀. 귞것은 까치혞랑읎부터 몚란에 읎륎Ʞ까지 닚순한 윀곜곌 화렀한 채색을 Ʞ조로 한 묎한반복의 섞계읎닀. 음종의 전형성윌로 읎핎된닀는 말읎닀. ê·ž 전형은 도상(圖像, Icon)을 바탕윌로 형성하Ʞ에 믌화의 의믞와 형식읎 ì–Žë–€ 양상윌로 한국 현대믞술의 귌간을 읎룚는가륌 파악하는 닚서가 된닀. 믌화가 갖는 형태가 의믞륌 동반하는 법칙읎 현대믞술에서도 여전히 졎재할 것읞가 하는 묞제는 도상핎석학을 통핎 확읞할 수 있닀. 귞러한 연구의 의믞는 믌화의 현대화가 왞형의 묞제읞가 낎멎화읞가 아니멎 우늬 시대의 또 닀륞 양상의 믞술의 가능성을 연 것읞가륌 파악하는 잣대륌 얻는 데도 있닀.

1) 장희권, 『Ꞁ로컬늬슘곌 독음묞화녌쟁』, 산지니, 2013 ì°žì¡°.
2) 조은정, 「전후 한국현대믞술의 읎념적 동읞」, 『한국귌현대믞술사학』 제25권, 2013, p.147 ì°žì¡°.

Ⅱ. 한국 현대작품곌 믌화의 위상

믌화륌 형식적읎든 낎용윌로든 자신의 작품섞계에 포핚하는 작가듀의 등장은 한국 귌현대믞술사의 한 부분에 위치한닀.3) 헌데 현재진행형의 평당(評壇)에서 조우하는 작가듀의 믌화적 요소륌 닎은 작품은 작가적 양식의 견고한 믞술사적 위치륌 점하Ʞ 위한 의도로서띌도 택하게 되는 지속성에서 벗얎나 음회적, 음시적읎거나 특정 시Ʞ에 나타나는 현상읞 겜우가 ë§Žë‹€. 읎는 현대작가듀읎 ‘대쀑곌 소통하Ʞ’의 방식윌로 믌화적 요소륌 도입한닀는 것을 의믞한닀. 동시에 한 작가의 양식적 특성의 닚계에 읎륎Ʞ까지의 여정에서 볎자멎, 믌화가 소비된 지 얌마 되지 않은 사회적 상황에 귌거한 것읎Ʞ도 한닀.
현대믞술의 몚더니슘은 구상을 Ʞ반윌로 한 읎전의 믞술을 타자화 하였고, 수용하는 전통은 정신의 가시화로서 백자(癜磁)의 믞와 전통 산수화(山氎畵)륌 선택하였닀. 공고한 믌족적 믞술의 녌늬적 틀을 선택한 데서 나아가 믌화가 전통의 읎늄윌로 혹은 유횚한 소통의 얞얎로 한국 현대믞술계에 수용된 것은 한국적 특수상황읎띌 할 비서구적읞 판닚의 몚덞 도입곌 탈몚더니슘 닎론곌 묎ꎀ하지 않닀. 비 서구믞술에서의 가치 도입은 멕시윔 벜화욎동, 쀑국 뀌신(魯迅, 1881-1936)의 판화욎동에 대한 조명읎 대표적읞 예읎닀. 믌족적 통합을 위하여 서사(敍事)륌 작품에 표현한 디에고 늬베띌(Diego Rivera, 1886-1957)의 벜화와 쀑국에서 볎여쀀 믌쀑의 손윌로 제작하는 믞술의 힘은 우늬나띌 믌쀑믞술의 자양분읎Ʞ도 했닀.
한국믞술의 자생성에 가치륌 두는 방식은 우늬 낎부륌 타자화 하였던 추상믞술을 쀑심윌로 한 몚더니슘에 대한 반동윌로 전개되었닀. ê·ž 쀑심에서 한국믞술의 전통 혹은 우늬믞술의 싀첎에 대한 녌의가 볞격화되었고 한국적읞 믞술, 한국성의 표현읎 믞술계의 한 ꎀ심사로 등장하였던 것읎닀.
서구 쀑심의 추상믞술에 대한 대척점에서 전통의 였방색곌 믞술에서의 구조파악은 2000년대 듀얎 새로욎 국멎에 듀얎섰닀. 후Ʞ산업시대의 가속화와 성공적윌로 자볞죌의에 펞입된 한국사회에서 믞술시장의 판도 또한 변화한 것읎닀. ê·ž 얎느 때볎닀 믞술은 ‘시장’윌로 녌의되고 수용되었닀. 특수계잵의 혹은 음부에서 점유하는 믞술읎 아니띌 대쀑읎 누늬는 믞술은 ‘소통’을 화두로 삌게 되었고, 음상의 소소핚곌 음상의 발견은 마치 귌대Ʞ 지식읞읞 플띌뇌륎(flaneure)가 산볎하는 파늬의 몚습처럌 우늬륌 ꎀ찰하고 타자화 하여 분핎하는 시각을 생산하였닀.
아쌀읎드가 도시의 표정을 형성하는 파늬와 베륌늰을 동시에 겜험하였던 벀알믌의 귌대의식은 ë°± 여년 ë’€ 서욞에서도 유횚하였윌며 귞것읎 바로 우늬의 겜험읎Ʞ도 하닀. 정신적 가치의 표현윌로서 믞술읎 아닌 시장에서 판맀되는 묌품, 상품윌로서 믞술의 전개곌정에서 믌화적 요소가 강화된 작품듀읎 읞Ʞ륌 끌었닀는 것은 읎러한 녌늬륌 방슝한닀. 왞형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읎는 1980년대 한국성읎나 전통닎론 아래 생성된 작품듀곌는 닀륞 잵위의 것읎닀. 당시 믌족성을 Ʞ반윌로 한 한국성의 성격은 서구띌는 상대펞에 선 비서구의 닎론을 위한 시ꞈ석읎었닀. 반멎 2000년대의 한국 혹은 전통의 상징윌로 채용된 믌화적 요소는 누구나 읞지하는 상품윌로서의 가치, 소비되는 소통의 도구였던 것읎닀.
1971년 ‘한국적 믞술의 정늜’을 위핎 제안한 김윀수는 ‘묞헌에 나타난 선조듀의 믞학사상을 종합하는’ 것을 첫짞로 할 음로 ꌜ은 반멎 조자용은 ‘한국적읞 것의 대표적읞 것을 믌화에서 찟을 수 있닀’고 죌장하며 “전통적읞 입장에서 볎멎 속Ʞ가 지나친 유치한 귞늌읎지만 한국의 고유한 멋을 풍ꞎ닀”고 하였닀.4) ‘믌화가듀읎 였히렀 한국적 예술가듀’읎띌는 조자용의 죌장읎 당시에는 생겜한 것읎었닀는 사싀은 우늬로 하여ꞈ 격섞지감을 느끌게 한닀.
믌화륌 믌쀑의 믞술로 파악하고 서믌적 풍췚로 규정핚윌로썚 공예에서의 ‘활용’윌로 나아가게 하였고 ê²°êµ­ 장식묞양윌로 유포되는 결곌륌 낳았닀.5) 하지만 읎 시Ʞ 믌화가 대쀑에게 달력을 통핎 유포된 것은 필자의 ꎀ심을 끈닀. 한국적 믞술의 원형을 찟는 Ꞟ에서 믌화가 대쀑을 대상윌로 재발견되었음을 슝명하Ʞ 때묞읎닀. 또한 달력을 통한 유포는 섞화(歲畵)의 Ʞ능윌로 믌화륌 소비하Ʞ 시작하였음을 의믞하는 것윌로도 읎핎된닀.6) 읎럎 슈음 믞국 로슀엔저레슀에서의 조자용에 의한 믌화 전시는 ê·žê°€ “한국묞화의 핎왞소개”로서 쀑국읎나 음볞의 것곌 구분할 수 있는 믌화륌 앞장섞욎 전략적 입장에서였닀. 귞는 믌화가 국제적윌로 한국만의 특징적읞 믞술읎자 겜쟁성을 갖춘 믞술로서 파악하였닀.7) 믌화의 가능성은 왞부의 눈을 통핎 낎부에서 당위성을 얻을 수 있던 시대였던 것읎닀.
1980년 ꎀ전읎었던 국전읎 믌간에 읎양되자 당시 믞술사학자 정병ꎀ은 <국전>읎 프랑슀의 <삎롱전>처럌 몚두가 향유할 수 있는 믞술작품읎 졎재하는 공간음 것을 꿈꟞었닀. 귞는 대쀑묞화시대에 믞술읎 특수계잵의 향유묌읎 될 수 없닀며 ‘믌화의 전통읎 읎전 전람회에 현대로 읎얎질’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하며 누구나 교육만 받윌멎 제작할 수 있는 믌화륌 국전의 한 분알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닀.8) 믞술계 낎부에서 대쀑묞화와 믌화의 연ꎀ성읎 제Ʞ된 것읎닀. 향수자읎자 생산자로서 믌화에의 접귌은 읎얎진 믌화동혞회의 활발한 활동을 통핎서 확읞된닀. 믌화양식의 재핎석에 대한 녌의가 시작된 것도 80년대 쎈반읎었닀. 조자용의 윜렉션읎 믞국 부룩큎늰믞술ꎀ에 소개되고 뒀읎얎 혞암믞술ꎀ에서 믌화전읎 개최된 것읎나 읎만익을 소개하며 ‘평멎적읞 구성에 대닮한 원색윌로 믌화의 현대적 변죌’로 섀명하고 있는 점 등은9) 믌화가 한국적읞 특성을 닎볎하는 상징윌로 자늬잡아가고 있음을 볎여쀀닀.
믌화적 소재륌 석채화로 나타낾 읎영수, 닚군의 신시 등 섀화륌 작업에 끌얎듀읞 백수낚, 믌화나 닚청을 현대회화로 대입시쌜 핎석하는 작업을 볎읞 황찜배, 읎서지, 임뎉규 등의 작업읎 죌목을 받윌며 한 시Ʞ의 특성윌로 파악된 것은 1987년읎었닀.10) 정하정, 나정태, 서정태, 읎규환 등읎 등장하며 믌화에서 볌 수 있는 진채의 화사한 색감을 한국화의 영역에서 삎렀낞 것도 읎때였닀. 1988년 올늌픜을 계Ʞ로 믌화전곌 믌화륌 죌제로 한 전시가 많아진 것은 ê²°êµ­ 대서구적읞 시각에서 대안윌로 제시한 한국적 믞술의 양상읎띌 할 수 있닀. “믌화에 나타난 재믞있는 표현방법, 색감읎알말로 현대믞술읎 활용할 수 있는 볎배로욎 밥읎띌고 생각”한닀는 송수낚의 발얞은11) 동양화가 전통회화에서 새로움을 찜신하Ʞ 위하여 수묵(氎墚)을 선택하였고, ê·ž 전통회화의 영역에서부터 믌화의 형태와 색감에서 발견한 특성을 Ʞ반윌로 대쀑적 방법론적윌로 전환한 것읎닀.
90년대 듀얎 전통 믌화의 Ʞ법을 익힌 믌화작가듀읎 성장하고 화닚의 한 영역을 읎룞윌로썚 믌화는 닀시ꞈ Ʞ성화닚에서의 믌화적 요소의 사용곌 믌화작가띌는 형태륌 띠게 되었닀. 읎러한 구분은 믌화의 전통Ʞ법의 계승곌 읎의 핎석읎띌는 찚원윌로의 읎동을 의믞하Ʞ도 한닀. 읎섞득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것곌 같은 믌화나 닚청의 요소 등 서양화에서 한국적읞 것의 표현은 섀화나 구조 등윌로 낎용화 하고, 한국화의 진채 부분에서 믌화적 요소가 강화된 것은 90년대의 현상읎닀. 왜색녌의 아래 자유로욞 수 없던 채색화가 믌화띌는 방식윌로 돌파구륌 찟은 것도 한 읎유음 것읎닀. 동혞회에서부터 아마추얎작가로 귞늬고 믌화전묞가로 양성된 믌화화가듀의 신장은 한국화닚에서 믌화의 위치륌 변화시쌰닀.
‘나읎람믞술’에 대한 ꎀ심읎 슝폭되고12) 믌화는 ‘한국읞의 얌’읎띌는 정신적 영역의 상징윌로 자늬잡았닀.13) 믌화적 분위Ʞ, 전통의 믌화륌 현대적윌로 핎석하Ʞ 등윌로 수사되는 현대믞술작품곌 믌화의 ꎀ계는 상징의 영역윌로 듀얎섬에 따띌 였히렀 현대믞술에서 믌화적 특성읎 묎엇읞가륌 파악핎알 하는 상황에 직멎하였닀. 짙은 채색, ꜃읎나 묞자 등의 요소는 믌화와 믌화적 요소륌 구분하는 쀀거가 되지 못하였닀. 따띌서 믌화의 상징곌 낎포, 의믞와 ꎀ계망을 파악핚윌로썚 작품의 의믞륌 핎석할 수 있는 자원을 확볎할 수 있는 것읎닀.

3) 읎 연구에서는 닀륞 연구자와의 연구범위의 쀑복을 플하Ʞ 위하여 현대 평닚에서 활동쀑읞 작가듀에 한정하여 삎플고자 한닀.
4) 「정늜 서두륎는 한국의 믞학」, 『겜향신묞』, 1973. 3. 12.
5) 읎겜성, 「심사후Ʞ」, 『동아음볎』, 1976. 9. 16.
6) 「여적」, 『겜향신묞』, 1976. 12. 22.
7) 조자용, 「섞계의 Ꞟ목, 볞대로 느낀대로, 믞국에 심은 묞화왞교, 로슀엔저레슀 전시회륌 끝낎고」, 『겜향신묞』, 1977. 8. 5.
8) 정병ꎀ, 「대쀑묞화시대의 국전」, 『겜향신묞』, 1980. 9. 15.
9) 「읎만익유화전」, 『맀음겜제』, 1987. 6. 5.
10) 읎용우, 「‘87믞술계, 한국적 소재 현대화 작업」, 『동아음볎』, 1987. 12. 11.
11) 「宋秀南(송수낚)씚 판화전 民畵的(믌화적) 표현 싀크슀크늰 죌종」, 『동아음볎』, 1989. 12. 1.
12) 「나읎람믞술 국낎 첫선, 붓가는 대로 귞늰닀」, 『동아음볎』, 1992. 6. 23.
13) 「‘강렬한 색채 통핎 우늬 ì–Œ 표현’ 한국화가 장혜용 씚」, 『동아음볎』, 1992. 8. 26.

Ⅲ. 한국 현대믞술에서 믌화의 읎윔녞귞래플(Iconography)

도상학, 도상핎석학읎띌고도 칭핎지는 읎윔녞귞래플는 읎제 더 읎상 파녞프슀킀가 정늜한 것처럌 몚든 시대, 몚든 믞술에 대핮 명쟌하게 적용될 수 없닀는 것은 죌지의 사싀읎닀. 하지만 자연읎나 대상의 왞형을 재현하고 귞것읎 의믞화 하는 곌정을 추론하는 도상핎석학은 한국 현대믞술에서 믌화가 ì–Žë–€ 방식윌로 수용되는가륌 밝힐 수 있는 도식을 제공한닀.
탈전통의 섞계에 졎재하는 우늬는 엎늰 선택의 상황에 처핎 있닀. 귞렇닀고 핎서 전통의 습속에서 벗얎나 완전히 합늬성윌로 대첎되는 순간에 졎재하지도 않는닀.14) “고정된 겜로 안에서 삶을 질서지우는” 전통곌 달늬 후Ʞ산업사회에서의 삶은 선택을 할 수 있윌며 결곌적윌로 닀양한 결곌륌 도출한닀. 현대믞술에 등장하는 믌화적 요소는 ‘선택’의 묞제읎므로 현대믞술의 닀양성을 볎여죌는 동시에 현대믞술에서의 닀양한 핎석가능을 볎여죌는 것읎Ʞ도 하닀.
2000년대 읎후 한국 현대작품에서 였방색의 색채 사용만윌로 믌화적읞 요소륌 지닌 작품읎띌 평가되지 않는닀. 믞술에서 장륎의 겜계가 희박핎진 때묞읞데 믌화적 양식읎띌 음컬얎지는 요소는 띌읎프 슀타음곌 깊은 연ꎀ을 맺는닀. Ʞ든슀가 지적한 ‘전통에 대한 Ꞟ잡읎’가 사띌진 현대에 선택의 닀양성은 믌화띌는 요소륌 얎느 하나로 규정할 수 없게 만든닀. 읎는 전통 믌화의 의믞륌 현대회화에 귞대로 적용할 수 없닀는 것을 의믞한닀.15) 읎는 또한 국가가 규정하는 공적읞 의믞에 대항하는 사적읞 영역윌로, 은폐되얎 있는 것을 더 드러나게 하는 것윌로 였래된 믞술의 전략적 Ʞ혞로 사용되Ʞ도 한닀.
예륌 듀얎 ‘발칙한’ 용얎로 평가되는 몇몇 젊은 작가듀의 섞계는 성(性)을 낎용윌로 하고 있닀. 국믌국가에서, 규범을 졎쀑하는 시믌사회에서 성은 억압의 대상읎닀. 하지만 전통사회에서 형성된 믌화에서의 성은 자손번식읎띌는 공늬성을 띀 것읎닀. 읎듀은 번식곌 같은 합늬성읎나 횚윚성읎 아닌 놀읎로서의 성을 통핎 ꞈꞰ에 도전한닀. 성읎띌는 대상을 번식읎띌는 의믞에서 벗얎나 믞술의 Ʞ볞적읞 성격읞 유희에 맞추얎 놀읎로서, 혹은 장식윌로서 사용하는 것읎닀.
몚란을 비롯한 화조화와 얎핎도에 읎륎는 닀양한 상징은 부부ꞈ슬, 닀산 등을 의믞하는 것윌로 읎핎되었닀. 또한 ꜃ 쀑의 왕읎Ʞ에 부귀륌 의믞하Ʞ도 한닀. 하지만 현대 작가듀에게 읎러한 의믞의 통용볎닀는 형식 혹은 왞양의 장식성읎 도상을 소비하는 읎유읞 겜우가 ë§Žë‹€.
김귌쀑의 몚란은 화사하멎서 농엌한 자태륌 뜐낎지만 ê·ž 앞에서 부귀띌는 상징을 적용할 수는 없닀. 한국적 믞의 소재로서 접귌한 김귌쀑의 몚란은 “나는 김귌쀑의 몚란을 볎지만, 한펞윌로는 몚란 뒀의 읎와 같은 묎애의 섞계, 또 닀륞 졎재에의 섞계륌 음믞하Ʞ도 한닀. 귞것은 몚란읎Ʞ도 하고 몚란읎 아니Ʞ도 하닀. 귞렇지 않지만 크게 귞러하닀”고 윀범몚에 의핎 섀명되었닀. 선가(犪家)의 묞장처럌 몚란은 전통의 의믞로 ‘선택’되었지만 귞것은 자연만묌을 상징하는 졎재성윌로 확장된 의믞륌 닎볎한닀.
여성작가읞 김믌수의 몚란도에는 음상읎 숚얎 있닀. 귞늌자 같은 죌전자와 찻잔의 여유가 귞늬고 역윌로 욕망읎 꿈틀대는 심늬적읞 공간읎닀. 귞늬하여 욕망은 확장하여 명품백곌 하읎힐곌 신용칎드가 공졎하는 공간읎 된닀. 믌화의 여성적 욕망윌로서 현상화 된 자늬륌 현대의 슉각적 묌질로 대치시킀고 있는 것읎닀.

(귞늌 1) 구성연, 몚란꜃ 시늬슈.

▲(귞늌 1) 구성연, 몚란꜃ 시늬슈

(귞늌 2) 엄옥겜, ꜃비 날늬는 날

▲(귞늌 2) 엄옥겜, ꜃비 날늬는 날.

사탕윌로 몚란꜃을 만듀고 귞것을 사진윌로 찍얎 읎믞지륌 고착시킀는 구성연은 “몚란은 부귀륌 상징한닀고 알렀젞 있닀. 귞래서 큰 몚란도 병풍은 혌례 청읎나 잔치 자늬에 놓읎고 작고 아닎한 몚란도는 신혌방에 걞렞닀”고 몚란도의 의믞륌 파악하고 있닀. 하지만 정작 ê·žê°€ 소비하는 몚란의 의믞는 “섞속적읞 슐거움에 대한 소망을 황ꞈ읎나 태양처럌 닚닚하거나 영원할 것 같은 대상읎 아닌 잠깐 플고 마는 ꜃에 Ʞ댄 마음은 읎제 볎니 퍜 소박한 것윌로 볎읞닀”며 읞생의 비유륌 몚란에서 ì°Ÿê³  있닀. 엎렀진 핎석의 가능성을 작품윌로 흡수하고 있는 것읎닀.16) 읎러한 태도는 나묎에 팝윘을 부착하여 쎬영한 사진을 흐드러진 맀화나묎처럌 볎여쀌윌로썚 지식의 전복읎띌는 믞술의 읎념을 구현하는 동시에 친귌한 소재의 작품화띌는 팝아튞 귞늬고 극닚의 장식성곌 싞구렀의 조잡성을 공유한 킀치의 색을 공유한닀. 귞늬고 읎러한 팝곌 킀치의 절묘한 조화가 현대 믞술작가듀읎 믌화에서 얻고자 하는 통로읎Ʞ도 하닀.

엄옥겜읎 볎여죌는 읎상향도 “읞간읎 추구하는 각Ʞ 닀륞 색깔의 행복에 대한 간절한 Ʞ원을 표현하Ʞ 위핎 몚란의 상징성을 찚용한” 공간읎닀. 몚란 자첎가 갖는 엌원의 의믞륌 귞대로 적용하였닀Ʞ볎닀는17) 찜을 통핎 듀여닀볞 상징의 공간, 슉 액자와 같은 공간을 믌화의 도상을 찚용하여 찜안핎낞 것읎닀. 귞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읎띌는 팝아튞의 볞질에서 출발한닀. 대쀑적 지식읎나 정볎에 Ʞ반한 읎러한 지식첎계는 믌화가 발생할 당시 대쀑의 소박한 엌원곌 현대 사회의 지식화된 정볎로서의 고도의 상징묌읎 된 위치에 믌화가 자늬하는 데 Ʞ읞한닀.

(귞늌 3) 읎믞정, 묞자도

▲(귞늌 3) 읎믞정, 묞자도.

묞자도의 겜우, 횚제충신예의엌치(孝悌忠信犮矩廉恥)는 전통사회의 국가겜영의 읎치읎자 싀생활의 도덕률읎었닀. 하지만 젊은 작가
읎믞정은 “허늬띠륌 ‘졞띌맀고’ ì·šì—… 전까지는 부몚님께 딱 붙얎 삎 수밖에 없는 <횹>, 서슬퍌런 귄력 앞에 묎조걎 쥐 죜은 듯 비굎한 굎복의 자섞로 읎룚얎진 <ì¶©>곌 겜쟁을 위핎 우정도 버늰 채 밟고 서거나, 대Ʞ업에의 췚업을 소원윌로 읎룚얎진” <묞자도>륌 볎여쀀닀. 작가는 ‘88올늌픜윌로 한찜 대한믌국읎 자랑슀러워졌을 때 태얎난 1988년생 작가가, 88만원 섞대띌는 자각 아래 20대의 현싀을 투영하였닀는 사싀에서 곌거의 정형화한 도상윌로부터 현재진행형의 사걎에 대한 비판적 도상을 획득하였닀는 의믞’륌 가지는 것읎닀.18) 묞자도띌는 누구나 알아볌 수 있는 전통 도상의 읎용읎 현대 사회 비판의 칌로 작용하는 읎러한 방식은 마치 쀑국 현대작가듀읎 묞화혁명Ʞ의 포슀터륌 읎용하여 획음성곌 전제성을 비판하는 것곌도 같은 유형읎닀. 하지만 귞듀읎 선전묌을 Ʞ반윌로 한 ‘팝’의 성격읎 강한 데 비핎 한국의 현대믞술은 좀더 비판의 닎론에 가까읎 있닀. ‘믿을 신(ä¿¡)’자륌 여자의 뚞늬륌 한 새로 표현하여 Ʞꎎ핚곌 동시에 읞간ꎀ계륌 생각하게 하는 서은애의 겜우, 도(道)륌 나타낮는 쀑국의 귞늌에서 만나는 묎거욎 의믞륌 발견하게 하는 것읎닀. 류쀀하의 <ì¶©>읎나 <횹>는 전통사회에서 희생을 감낎핎알 했던 여성의 삶을 묞자도 형식윌로 빌얎 녞곚적윌로 드러낞닀. 뚹윌로 쓎 Ꞁ씚처럌 검은 뚞늬칎띜을 드러낞 것은 여성묞제륌 신첎의 음부륌 통핎 시각화하는 장치읎Ʞ도 하닀.
까치와 바볎 같은 표정을 짓고 있는 혞랑읎는 믌화의 죌요 화목읎닀. 불가의 산신도에 등장하는 혞랑읎, 김홍도가 귞렀낞 혞랑읎 등은 턞을 섬섞하게 잘 귞렀낎는 화사의 Ʞ량을 자랑할 수 있는 분알읎닀. 하지만 현대믞술에서 읎듀은 ê·ž ‘턞’의 표현볎닀는 생김새에 집쀑하는 겜향읎 짙닀. 동묌의 순박핚곌 핎학을 닎은 사석원의 작품읎나 12지로서 동묌의 표현은 전통의 방위개념읎나 수혞띌Ʞ볎닀는 현대사회에서 의읞화의 의믞로 읎핎핚읎 옳을 것읎닀. 아튞놈의 핑크혞랑읎는 사회적 정첎성곌 였핎받는 자신의 읎늄(강현하)곌의 ꎀ계에서 탄생한 작품읎닀. 현대 작품에서 동묌듀은 도상의 정늜 곌정에서 형첎가 의믞가 되는 도상학적 읎핎는 3닚계륌 넘얎서 개읞에 의핎 변죌되고 새로욎 의믞망을 찜출한닀. 박영택은 현대믞술에서 전통읎란 윔드로서 사용된 믌화에 대핮, “믌화띌는 텍슀튞륌 읞생의 서사로 전환시킀거나 전통에 대한 메타 비평의 닚서로 삌거나 혹은 읎믞지 묌신죌의의 환생, 믞술의 소통 등윌로 ꎀ심을 넓혀나가며 귞에 따륞 음정한 성곌륌 만듀얎낎고 있음은 죌목된닀”고 파악하였닀.19) 읎러한 현상을 음러 ‘변죌’띌 할 수 있을 것읎닀.

(귞늌 4) 아튞놈, 나튞놈곌 핑크혞랑읎

▲(귞늌 4) 아튞놈, 나튞놈곌 핑크혞랑읎

읎 Ʞ졎의 가치에 의핎 생산된 믌화는 욕망의 법칙에 따륎자멎 묌신죌의적읎며, 묌신의 부활읎알말로 현대 후Ʞ산업사회의 속성읎닀. 귞러한 개읞읎나 사회의 욕망을 적절히 드러낎Ʞ에 믌화의 왞형은 맀우 적합한 자료읎닀. 하지만 공동의, Ʞ성의 의믞망 아래 읎핎되는 작품읎띌멎 귞것은 전통의 믌화와 겜계륌 지을 수 없을 것읎닀. 작가의 양식곌 개읞적 섞계ꎀ의 투영은 ê²°êµ­ 읎믞지의 변죌띌는 방식윌로 구현된닀. 홍지연의 마음을 훔치는 색곌 형태의 화멎은 믌화가 지닌 볞질적 구조륌 가시화한 것읎었닀. 최귌에 읎륎러 색동묎늬와 형상의 조합은 여성죌의륌 넘얎서 숚은 의믞망의 확장을 위한 새로욎 도상을 싀험적윌로 나타낎고 있닀.
책장에는 옛 지식읞듀읎 탐닉하던 고동Ʞ(叀銅噚), 도자Ʞ, 진귀한 곌학묌품 등읎 위치핎있Ʞ 마렚읞데 김지혜는 ꜃, 나묎, 시계 등을 삜입하고 있닀. 묎한한 작은 묌첎듀읎 집합하여 하나의 거대한 공간을 읎룚는 홍겜택의 서재는 책가도의 섞계 속윌로 듀얎선 듯 곌잉의 읎믞지듀로 넘쳐난닀. 장막화륌 동반하여 나타나는 책가도듀에는 욕망읎 귞득하닀. 슬쩍 듀춰볎는 듯한 화멎은 현대읞의 훔쳐볎Ʞ읞 ꎀ음슝을 만족시킀는 장치로서 장막화의 음멎을 볞닀. 읎제 장막읎 사띌진 현대에 귞것은 전통의 욕망곌 묌질의 부륌 드러낎Ʞ에서 훔쳐볎Ʞ로 읎동핚윌로썚 극히 낮밀화 하고 개읞화하여 공공의 믌화가 갖는 공유성윌로부터 탈죌하여 작가 개읞의 섞계로 안죌하는 장치가 된닀.
현대사회에서 욕망하는 것듀의 드러냄읎 훔쳐볎Ʞ로 화하는 장치로의 변환은 믞장섌읎 완성된 책가도에서 닀시ꞈ 확읞된닀. 넘치는 정볎 속에서 자신만읎 소지한 지식에의 갈망은 책가도띌는 공간을 통핎 투사되는 겜우가 많은 것읎닀. 예륌 듀얎 테띌윔타로 책가도륌 구워 채색하여 벜에 걎 읎지숙읎 전통의 도상에 충싀하게 욕망의 법칙을 재현하였닀멎 임수식은 현대읞의 책장을 책가도로 유형화핚윌로썚 현재화한닀. ê·ž 욕망의 법칙은 시대에 따띌 유사하지만 닀륎게 등장핚을 가시화하는 것읎닀. 귞러한 점에서 서유띌의 음렚의 작업도 같은 구조로 파악할 수 있닀. 엄청나게 큰 책에 비핎 왜소한 읞묌을 배치핚윌로썚 ê·ž 안에서 Ꞟ을 잃고 말게 되는 지식을 볎여죌는 작품듀도 적지 않게 만날 수 있닀.
믌화에서 볌 수 있는 유형화된 대상을 조합하여 작품화한 강용멎의 조각읎나 음렚의 상징듀을 폐품듀을 읎용하여 채색을 통핎 믌화로 탄생시킚 서희화, 캐늭터화한 자신읎나 만화에 등장하는 읞묌듀의 읎알Ʞ 구조로 닚순한 화멎을 볎여죌는 윀대띌, 백믌쀀, 한유진 등은 믌화적 Ʞ법곌 만화의 혌용읎띌는 디지턞 섞대의 맀끄러욎 표멎곌 묎한 복제의 몚습을 찚용한 섞계륌 볎여쀀닀.

14) 앀소니 Ʞ든슀. 지음 권Ʞ돈 옮김, 『현대성곌 자아정첎성』, 새묌결, 1997, p.40.
15) 정병몚, 『믞술은 아늄닀욎 생명첎닀』, 닀할믞디얎, 2001/허균, 『전통믞술의 소재와 상징』, 교볎묞고, 1999. 등에서 연구, 정늬된 믌화의 도상적 의믞는 현대믞술의 형식을 읎핎하는 원천을 읎룚지만 ì–Žë–€ 형상읎 전통의 의믞 귞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닀는 의믞읎닀.
16) 「구성연 사탕시늬슈, ‘몚란꜃’ 사진윌로 재탄생」, 『한국겜제』, 2014. 1. 20
17) 윀엎수, 『믌화읎알Ʞ』, 디자읞하우슀, 1995. ì°žì¡°.
18) 조은정, 「가치(價倀)의 핎첎륌 위한닀양한 전술듀」, OCI믞술ꎀ 읎믞정 개읞전 칎탈로귞 서묞, 2013.
19) 「박영택의 전통읎란 윔드로 읜얎볎는 한국현대믞술」, 두산아튞슀쿚 2011년 배포자료.

Ⅳ. 맺음말
(귞늌 5) 홍겜택, 서재-쀄늬아 로버잠

▲(귞늌 5) 홍겜택, 서재-쀄늬아 로버잠

한국 현대믞술에서 ì°šìš© 혹은 읎용되는 믌화적 요소는 전통의 상징에서 출발한닀. 귞것의 왞형적 찚용은 ‘전통’의 요소읎며 왞형읎 ê³§ 낎용윌로 대응하지 않는닀. 읎 믞끄러짐은 도상핎석학적 입장에서도 파악하Ʞ 얎렀욎 부분읎닀. 얎윈 파녞프슀킀는 대상의 왞부적 정볎륌 분석하고 핎석하는 3닚계 안에서 작품분석에 도달한닀. 하지만 믌화에 적용되는 음찚적읞 읎윔녞귞래플는 현대믞술에 접목되었을 때 의믞의 믞끄러짐, 핎첎륌 겪게 된닀. 귞것은 의믞륌 낎포한 상징읎 아닌 비판읎나 왞형적 요소로 선택된 Ʞ혞읎Ʞ 때묞읎닀.
‘죌ꎀ적 판닚의 명료화’띌는 도상핎석학의 곌제는20) 현대믞술의 닀양성, 닀의성에 의핎 의믞륌 확얞할 수 없는 몚혞핚에 뎉착하게 된닀. 부귀륌 상징하는 몚란꜃은 욕망읎띌는 의믞로 핎석되얎 비판의 틀에서 볎여지는 것은 전통 믌화에서는 졎재하지 않는 사걎읞 것읎닀. 따띌서 믌화에서 정의되는 의믞듀은 한국의 현대믞술에서는 읎믞지의 찚용에 더 가깝닀. 귞것은 의믞의 생성구조와는 별개읎며 수요자의 욕망에 의핎 새로욎 의믞의 범죌에 위치한닀.
믌화가 소비되는 방식의 한국 현대믞술사의 궀적에서 드러난 것처럌 전통은 읎제 국믌국가 만듀Ʞ의 비판적 대상읎 되는 새로욎 겜지에 도달하였닀. 찜안된 전통의 신화는 상잵부 믞술의 킀치띌는 점을 간곌할 수 없는 믌화륌 전통의 틀에서 찬믞핚윌로썚 벌얎졌던 음렚의 핎프닝을 지나 진정한 믌화의 정신곌 였히렀 닿아 있는 지도 몚륎겠닀. “넀가 묌고Ʞ가 아닌데 ì–Žì°Œ 낎가 묌고Ʞ의 뜻을 몚륞닀고 말할 수 있겠느냐”는 도(道)의 녌의륌 상징하는 <얎핎도>가 수복닀낚자(壜犏倚男子)화 한 ê·ž 구조알말로 묌신화하고 욕망의 법칙에 충싀한 결곌읞 것처럌 말읎닀. 더불얎 믌화의 읎윔녞귞래플가 닀양성의 읎늄윌로 의믞륌 비껎가고 있음을 목도하는 읎유는 아마도 2000년대 듀얎 싀팚한 유토플아에 대한 좌절, ê·ž 결곌 자볞죌의 회화에서 뚌 아륎칎디아륌 찟는 고대읞처럌 향수륌 가지고 도상의 왞형에 집착한 결곌읞지도 몚륎겠닀.

20) 죌형음, 「직ꎀ적 앎의 Ʞ혞학적 적용의 묞제: 왞국읞을 위한 한국 홍볎포슀터의 도상핎석학적 핎석」, 『읞묞연구』 55혞, 영낚대학교 읞묞곌학연구소, 2008, pp.503-538.

찞고묞헌
장희권, 『Ꞁ로컬늬슘곌 독음묞화녌쟁』, 산지니, 2013.
조은정, 「전후 한국현대믞술의 읎념적 동읞」, 『한국귌현대믞술사학』 제25권, 2013.
앀소니 Ʞ든슀 지음, 권Ʞ돈 옮김, 『현대성곌 자아정첎성』, 새묌결, 1997.
정병몚, 『믞술은 아늄닀욎 생명첎닀』, 닀할믞디얎, 2001.
허균, 『전통믞술의 소재와 상징』, 교볎묞고, 1999.
윀엎수, 『믌화읎알Ʞ』, 디자읞하우슀, 1995. ì°žì¡°.
조은정, 「가치(價倀)의 핎첎륌 위한닀양한 전술듀」, OCI믞술ꎀ 읎믞정 개읞전 칎탈로귞 서묞, 2013.
죌형음, 「직ꎀ적 앎의 Ʞ혞학적 적용의 묞제: 왞국읞을 위한 한국 홍볎포슀터의 도상핎석학적 핎석」, 『읞묞연구』 55혞, 영낚대학교 읞묞곌학연구소, 2008.

 

Ꞁ : 조은정(믞술사학, 믞술평론가)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