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ì „í†µë¯¸ì˜ ì§„ìˆ˜ì™€ 만나는 공간 호암미술관

호암미술관
호암미술관

ìš©ì¸ì˜ 너른 벌íŒ, 멀리서 보는 ê²ƒë§Œìœ¼ë¡œë„ ë§ˆìŒì´ 설레는 놀ì´ë™ì‚°ì—서 조금 ëˆˆì„ ëŒë ¤ë³´ë©´ í˜¸ì•”ë¯¸ìˆ ê´€ì´ ìžˆë‹¤. í¬ìž¥ëœ ê¸¸ì„ ëŒì•„ ì£¼ì°¨ìž¥ì— ë“¤ì–´ì„œë©´ 화려한 ê¼¬ë¦¬ì˜ ê³µìž‘ìƒˆê°€ í•œê°€ë¡œì´ ë…¸ë‹ë©° 관람ê°ì„ ë§žì´í•œë‹¤. 호젓한 ë¶„ìœ„ê¸°ì˜ ìžì—° ì†ì— ì¡°í™”ë˜ì–´ í•œêµ­ì˜ ë¯¸ë¥¼ 만날 수 있는 í˜¸ì•”ë¯¸ìˆ ê´€ì„ ì°¾ì•˜ë‹¤.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ë¯¼ì¡±ë¬¸í™”ì˜ ì‚° êµìœ¡ìž¥

í˜¸ì•”ë¯¸ìˆ ê´€ì€ ì‚¼ì„±ê·¸ë£¹ 창업ìžì¸ ì´ë³‘ì²  íšŒìž¥ì˜ í˜¸ë¥¼ 따서 1982ë…„ 4ì›” 22ì¼ì— 설립한 사립박물관ì´ë‹¤. ì´ë³‘ì²  íšŒìž¥ì´ 30ì—¬ ë…„ì— ê±¸ì³ ìˆ˜ì§‘í•œ 1200ì—¬ ì ì˜ 한국미술품 ìœ„ì£¼ì˜ ì†Œìž¥í’ˆì„ ë°”íƒ•ìœ¼ë¡œ 개관ë다. í˜¸ì•”ë¯¸ìˆ ê´€ì˜ ì†Œìž¥í’ˆì€ ë„ìžê¸°ì™€ 공예품, 회화 중심ì´ë©°, 그중ì—는 보물로 ì§€ì •ëœ ê²ƒë„ ë‹¤ìˆ˜ 있다. 창립ìžê°€ ì§ì ‘ ë°í˜”ë˜ ì„¤ë¦½ 취지는 â€œí˜¸ì•”ë¯¸ìˆ ê´€ì´ ìš°ë¦¬ 국민ì—게 문화 ì°½ì¡°ì˜ ê¿ˆì„ ì£¼ê³ , ë¯¼ì¡±ë¬¸í™”ì˜ ì‚° êµìœ¡ìž¥ì´ ë˜ê¸°ë¥¼ 바란다â€ëŠ” 것. í˜¸ì•”ë¯¸ìˆ ê´€ì€ ì´ëŸ° ì •ì‹ ì„ í•­ìƒ ê¸°ì–µí•˜ë©°, 어린ì´ì™€ 어른, 초심ìžì™€ 전문가를 아우르는 모든 관람ê°ë“¤ì´ 우리나ë¼ì˜ ì „í†µë¯¸ìˆ ì„ í†µí•´ ì°½ì¡°ì  ê°€ì¹˜ë¥¼ 발견하고, 역사와 미술사를 꿰뚫어보는 ì•ˆëª©ì„ í‚¤ìš¸ 수 있는 êµìœ¡ì˜ ìž¥ì´ ë  ìˆ˜ 있ë„ë¡ ë…¸ë ¥í•˜ê³  있다.
호암미술관 2ì¸µì˜ ì¼ë°˜ì „ì‹œì‹¤ì€ í¬ê²Œ 목가구/목공예, 고서화, 불êµë¯¸ìˆ /ë„ìž/서예전ì ìœ¼ë¡œ 나뉜다. 목가구/목공예 전시실ì—서는 ì—°ìƒ, 삼층 책장, ì›ì•™ ì´ì¸µìž¥, 죽제 필통 등 나무로 만든 가구와 ê³µì˜ˆí’ˆì´ ìžˆë‹¤. 고서화 전시실ì—서는 까치호랑ì´, 화조ì˜ëª¨í™”를 비롯하여 산수, ì¸ë¬¼, 책거리, 문ìžë„ 등으로 ë¯¼í™”ì˜ ë°œë‹¬ê³¼ì •ì„ ë‹´ì•„ëƒˆë‹¤. 불êµë¯¸ìˆ /ë„ìž/서예/ì „ì  ì „ì‹œì‹¤ì—는 선재ë™ìžê°€ 구법 ì—¬í–‰ì„ í•˜ë˜ ì¤‘ ê´€ìŒë³´ì‚´ì„ 만나는 ìž¥ë©´ì„ ê·¸ë¦° 수월관ìŒë„, 금ë™ì—¬ëž˜ì¢Œìƒê³¼ ê°™ì€ ë¶ˆìƒê³¼ ê°™ì€ ë¶ˆêµë¯¸ìˆ í’ˆë“¤ê³¼ 함께 향로와 ë°±ìž ë“±ì˜ ì‹¤ìš©í’ˆê³¼ 옛 글씨 ë“±ì„ ë³¼ 수 있다.

ìš°ë¦¬ë‚˜ë¼ ì „í†µì •ì›ì˜ ë©‹ ëŠë‚„ 수 있는 ‘í¬ì›â€™

í˜¸ì•”ë¯¸ìˆ ê´€ì´ ë‹¤ë¥¸ 미술관과 차별화ë˜ëŠ” 요소 중 하나는 ì „í†µì •ì› í¬ì›ì´ë‹¤. í¬ì›ì€ 호암 ì´ë³‘ì² ì˜ ì„œê±° 10ì£¼ê¸°ì˜€ë˜ 1997ë…„ ê°œì›í•œ 후, í˜¸ì•”ë¯¸ìˆ ê´€ì„ ì°¾ëŠ” 관람ê°ë“¤ì—게 ìžì—°ê³¼ ì„ìƒì˜ 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현대ì—는 ìžì·¨ë¥¼ ê°ì¶°ë²„린 한국 전통정ì›ì˜ ì•„ë¦„ë‹¤ì›€ì„ ê·¸ëŒ€ë¡œ 보여주기 위한 목ì ìœ¼ë¡œ ì„¤ë¦½ëœ ë§Œí¼, ë´„, 여름, ê°€ì„, 겨울 ê°ê¸° 다른 ë§¤ë ¥ì„ ë½ë‚¸ë‹¤.
í¬ì›ì—는 ì „í†µì •ì› ì¡°í˜•ë¯¸ì˜ ê·¼ì›ì¸ â€˜ì°¨ê²½ì˜ ì›ë¦¬â€™ê°€ ì ìš©ë다. â€˜ì°¨ê²½â€™ì€ ë‹¨ì–´ 그대로 경치를 빌린다는 뜻ì´ë‹¤. 최대한 ì¸ê³µì ì¸ 미를 배제하고, ìžì—°ì„ 가지려하지 않고 í’ê²½ ê·¸ëŒ€ë¡œì— ë…¹ì•„ìžˆëŠ” ê²ƒì„ ë§í•œë‹¤. ì°¨ê²½ì˜ ì›ë¦¬ë¥¼ 철저히 ì ìš©ì‹œí‚¨ í¬ì›ì€ 옛 ì§€í˜•ì„ ë³µì›í•˜ê³  ì •ì›ê³¼ ê±´ë¬¼ì´ ìžì—° ì†ì— ìœ„í™”ê° ì—†ì´ ë‚´ë ¤ì•‰ì•„ 한 í­ì˜ í’경화를 보는 듯한 ê²½ê´€ì„ ìžëž‘한다. í•œë°˜ë„ ê³³ê³³ì— ì„œì‹í•˜ëŠ” 할미꽃, 초롱꽃, ì›ì¶”리, ì„ì‚°, 백리향, 노루오줌, 벌개미취, 모란, 히어리, 능소화 ê°™ì€ ê½ƒê³¼ 풀들, 매화나무, 배롱나무, 모과나무, 왕벚나무 ê°™ì€ ë‚˜ë¬´ë“¤ì´ ëª¨ì—¬ 있어 ë”ìš± 한국ì ì´ë‹¤. 특히 매년 4ì›” 중순경ì—는 ë²šê½ƒì´ ë§Œê°œí•˜ëŠ”ë°, 왕벚꽃, 능수벚꽃 ë“±ì´ ë´„ì˜ ê¸°ìš´ì„ ë‚´ë¿œëŠ”ë‹¤.
ì£¼ì •ì€ í¬ì›ì˜ ë„“ì€ ë§ˆë‹¹ì— ìžˆëŠ” ë©”ì¸ ì •ì›ì´ë‹¤. ê°€ìš´ë° ë„¤ëª¨ë‚œ ì—°ëª»ì´ ìžˆê³ , ìž‘ì€ í­í¬ì™€ 대ì„단, 호암정 ë“±ì´ ì¡°ì„±ë¼ ìžˆë‹¤. ë™ìª½ìœ¼ë¡œ 소나무가 우거져있고, 서쪽으로는 소ì›ì´ ì—°ê²°ë다. ë¶ìª½ì—는 미술관 본관ì´, 남쪽으로는 다시 ì‚°ê³¼ 호수가 있어 사방으로 ë³´ì´ëŠ” 모든 ê²ƒì´ ì£¼ì •ì˜ êµ¬ì„±ìš”ì†Œê°€ ëœë‹¤. ì£¼ì •ì— ìžˆëŠ” ì„조당초문광배, 삼층 ì„탑, ì„등, 귀부 ë“±ì€ ìœ ë¬¼ì¸ ë™ì‹œì— ìžì—°ê³¼ 하나가 ë˜ëŠ” 조경요소로 í¬ì›ì˜ 빼어난 ê²½ì¹˜ì— ì¼ì¡°í•œë‹¤.

<ë™ìž 순수와 í–‰ë³µì˜ ì–¼êµ´>ì „

í˜¸ì•”ë¯¸ìˆ ê´€ì˜ ê¸°íšì „ì€ ì—° 1~2회 ì •ë„ ê³µë“¤ì—¬ 준비해 길게는 1ë…„ ì •ë„ ì „ì‹œëœë‹¤. 현재 전시 ì¤‘ì¸ ê¸°íšì „ì€ <ë™ìž, 순수와 í–‰ë³µì˜ ì–¼êµ´>전으로, 다양한 한국 미술 ì†ì˜ í¬ë§ê³¼ ì—¼ì›ì˜ 메시지를 지닌 ë™ìžë“¤ì˜ 모습과 ë‚´ìž¬ëœ ì˜ë¯¸ì— 대해 ì¡°ë§í–ˆë‹¤. ì´ë²ˆì— 전시ë˜ëŠ” ëŒ€ë¶€ë¶„ì˜ ìž‘í’ˆì—는 ë™ìž, 즉 어린ì´ë“¤ ì´ë¯¸ì§€ê°€ 들어있으며, 전시 테마는 ë™ìžë“¤ì—게 ë³¼ 수 있는 세 가지 ëª¨ìŠµì¸ â€˜ìˆœìˆ˜í•œ ë•성’, ‘예배와 공양’, â€˜í–‰ë³µì˜ ì—¼ì›â€™ìœ¼ë¡œ 나누었다.
‘순수한 ë•성’ì—서는 ë™ìžì˜ 순진무구한 ë•ì„±ì„ ë‹´ì€ ìž‘í’ˆë“¤ì´ ì†Œê°œëœë‹¤. 선비와 ì˜ˆìˆ ê°€ë“¤ì´ ì˜¤ëž«ë™ì•ˆ ì¢‹ì•„í–ˆë˜ ë©´ëª¨ë¥¼ 회화와 ë„ìžê¸° ë“±ì— ë‹´ê¸´ ë™ìžì˜ ëª¨ìŠµì„ í†µí•´ 살펴볼 수 있다. 순수한 ë•ì„±ì„ ëŒ€í‘œí•˜ëŠ” ìœ ë¬¼ì€ ë³´ë¬¼ 783호 ë™ìžê²¬ë ¤ë„다. 16세기 후반, 양송당 ê¹€ì‹œì˜ ìž‘í’ˆìœ¼ë¡œ 떠나지 않으려고 버티는 나귀를 있는 íž˜ê» ìž¡ì•„ë‹¹ê¸°ëŠ” ë™ìžì˜ 순수한 ëª¨ìŠµì´ ì¸ìƒì ì´ë‹¤.
‘예배와 ê³µì–‘â€™ì€ ì˜¤ëžœ 기간 êµ­êµì˜€ë˜ 불êµì—서 예배와 ê³µì–‘ì˜ ëŒ€ìƒì´ ë˜ì—ˆë˜ 탄ìƒë¶ˆê³¼ ë™ìžìƒ 등 불êµë¯¸ìˆ ì˜ ë™ìžë“¤ì„ 작품과 함께 소개한다. 탄ìƒë¶ˆì€ ì„가모니가 탄ìƒí•˜ëŠ” ìˆœê°„ì„ í‘œí˜„í•œ 작품으로 ì‚¼êµ­ì‹œëŒ€ì— ë§Œë“¤ì–´ì§„ 금ë™íƒ„ìƒë¶ˆìž…ìƒ ë“±ì˜ ìœ ë¬¼ë“¤ì„ ë³¼ 수 있다.
â€˜í–‰ë³µì˜ ì—¼ì›â€™ì€ ë™ìžê°€ 예로부터 ë¶€ë¶€ì˜ í™”í•©, ê°€ì •ì˜ í–‰ë³µ, 다산, 출세 ë“±ì„ ê¸°ì›í•˜ëŠ” 민화나 민ì†í’ˆì— ìžì£¼ 등장했다는 ê²ƒì— ì°©ì•ˆí•´ ë¯¼ì¤‘ë“¤ì˜ ì†Œë°•í•œ ë°”ëžŒë“¤ì´ ë‹´ê¸´ ìœ ë¬¼ì„ ëª¨ì•˜ë‹¤. ì´ëŠ” 불êµë‚˜ ë„ê°€ì ì¸ ìƒì§•ì„±ì— ë¯¼ì† ë° ë¬´ì†ì  ì‹ ì•™ì´ ê²°ë¶€ëœ ê²ƒì´ë©°, 대표ì ìœ¼ë¡œ ë°±ë™ìžë„와 곽분양행ë½ë„ê°€ 있다. ë˜í•œ ì²­ìžëŒ€ì²©, ì–‘í•©, ì£¼ì „ìž ë“±ì˜ ë„ìžê¸°ì—ë„ ìƒˆê²¨ì¡Œë‹¤.
옛 작품 ì†ì—서 ë³¼ 수 있는 어린ì´ë“¤ì˜ 순수한 ëª¨ìŠµì„ ë‹´ì€ ì´ë²ˆ <ë™ìž, 순수와 í–‰ë³µì˜ ì–¼êµ´>ì „ì€ ì˜¬í•´ 3ì›” 1ì¼ê¹Œì§€ 호암미술관 1층ì—서 만날 수 있다.

  • 위치 : 경기 ìš©ì¸ì‹œ 처ì¸êµ¬ í¬ê³¡ì 애버랜드로 562번길 38
  • 관람시간 : 오전 10시 ~오후 6시 (ë§¤í‘œë§ˆê° : 오후 5시)
  • íœ´ê´€ì¼ : 매주 월요ì¼, 1ì›” 1ì¼, 설날, ì¶”ì„ ì—°íœ´ 기간
  • 관람요금 : ì¼ë°˜ 4천 ì›(20명 ì´ìƒ 단체 3천 ì›) / 청소년 3천 ì›(20명 ì´ìƒ 단체 2천 ì›)
  • ë¬¸ì˜ : 031-320-1801~2

 

글 : ë°•ì¸í˜ 기ìž
사진 : ë°•ì„±ì¼ ê¸°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