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œêµ­ì˜ ê³ ë“±ê¸°êµ¬å¤ç‡ˆå™¨å…· ㉒ ë°±ìžì„œë“± ç™½ç£æ›¸ç‡ˆ

<ì²­í™”ë°±ìž íƒ‘í˜•ì„œë“±é‘è¯ç™½ç£ 塔型書燈>, 조선시대, 25.5×11ãŽ, ê³ ì€ë‹¹ 소장
탑 모양으로 ì œìž‘ëœ ì„œë“±ì€ ì¡°ì„ ì‹œëŒ€ì— ì‚¬ìš©í•˜ë˜ ì²­í™”ë°±ìž ì„œë“± ê°€ìš´ë° ìµœê³ ë¡œ í‰ê°€í•  수 있다. ë„ìžê¸°ì˜ 제작법만 ë³´ì•„ë„ ì›¬ë§Œí•œ 장ì¸ì†œì”¨ê°€ 아니면 제작하기 어려운 작품ì´ë‹¤. 청화로 글씨가 ì‹œìœ ëœ ì•„ì£¼ 귀한 작품ì´ë‹¤. ì´ ì„œë“±ì€ í•„ìžê°€ 소장하고 있는 작품 중 가장 ì•„ë¼ëŠ” 작품 중 하나다.



ì„ ë¹„ë“¤ì´ ê¸€ê³µë¶€ë¥¼ í•  때 ì±…ìƒì— ë‘ê³  ì‚¬ìš©í•˜ë˜ ì„œë“±. ì¡°ì„ ì‹œëŒ€ì— ë³¸ê²©ì ìœ¼ë¡œ ë°±ìžê°€ 보편화ë˜ë©´ì„œ 한층 세련ë˜ê³  아름다운 ë°±ìž ì„œë“±ì´ ë§Œë“¤ì–´ì§€ê¸° 시작했고, ì„유가 수입ë˜ëŠ” 시ì ê³¼ 맞물려 서등 ë˜í•œ ë„리 보급ë˜ê¸° 시작했다.

글 정하근 (ê³ ì€ë‹¹ 대표) 사진 ì´ì£¼ìš© 기ìž


서등ì´ëž€ 삼국시대 ì´ëž˜ 선비가 글공부를 í•  때 ì‚¬ìš©í•˜ë˜ ë“±ìœ¼ë¡œ ì±…ìƒ ìœ„ë¥¼ ë°ížˆëŠ” 등(등잔)ì„ ì¼ì»«ëŠ”ë‹¤. 삼국시대ì—는 토기로 만들어서 사용했고 ì¡°ì„ ì— ë°±ìž ë„ìžê¸°ê°€ 유입ë˜ì–´ 사용ë˜ê¸° ì „ 고려시대 까지는 토기나 ì²­ìž, 옹기 ë˜ëŠ” 나무로 제작하여 ìƒ ìœ„ì— ì–¹í˜€ 놓고 사용하였다.
물론 고려시대ì—ë„ ë°±ìžë¡œ ê¸°ë¬¼ì„ ì œìž‘í•˜ì—¬ 사용하긴 하였지만 ë°±ìžë¡œ 만들어진 ë“±ìž”ì€ í˜„ìž¬ 남아있지 않다. 다만 ê³ ë ¤ì‹œëŒ€ì— ì‚¬ìš©í•˜ë˜ ê³ ë ¤ ë°±ìž ê¸°ë¬¼ë“¤ì´ ì•„ì£¼ 귀하게 전해진다. ì¡°ì„ ì‹œëŒ€ì— ë³¸ê²©ì ìœ¼ë¡œ ë°±ìžê°€ 보편화ë˜ë©´ì„œ 한층 세련ë˜ê³  아름다운 ë°±ìž ì„œë“±ì´ ë§Œë“¤ì–´ì§€ê¸° 시작했고, ê¶ì¤‘ì—서부터 고급 청화백ìžë¡œ ì œìž‘ëœ ì„œë“±ì„ ì‚¬ìš©í•˜ê¸° 시작했다. 특히 ê¶ì¤‘ì—서는 ê¶ ì¢Œë“± ë‚´ë¶€ì— ì´ë¥¼ 사용했다는 기ë¡ë„ 남아있다. ì´í›„ 사대부, 그리고 ì„ ë¹„ë“¤ì´ ë°±ìžì„œë“±ì„ 사용했다.
초기ì—는 ì²­í™” 안료가 귀하고 고가여서 ì´ë¥¼ 아무나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청화백ìžë¡œ ì œìž‘ëœ ì„œë“±ì€ ê¶ì—서만 사용하였다고 ë³¼ ìˆ˜ë°–ì— ì—†ë‹¤. ë°±ìžì„œë“±ì—는 ì„유를 넣는ë°, 1876ë…„ 고종13ë…„ ì„유가 수입ë˜ë©´ì„œ ì´ëŸ¬í•œ ì„ìœ ì„œë“±ì´ ë§Žì´ ì œìž‘ë˜ê¸° 시작한다. ì„유 냄새가 ì§€ë…하여 뚜껑과 ëª¸í†µì„ ë”°ë¡œ 제작한 ë’¤ 뚜껑ì—는 한지를 꼬아 만든 심지를 넣어 냄새를 차단하였다. ì„유가 수입ë˜ê¸° ì´ì „ì—ë„ ë°±ìžì— ì¼ë°˜ê¸°ë¦„ì„ ë¶€ì–´ 등으로 사용했다.


<ë°±ìžì„œë“±ç™½ç£æ›¸ç‡ˆ>, 조선시대, 6×11×12(h)ãŽ, ê³ ì€ë‹¹ 소장 2p
ì¼ë°˜ì ìœ¼ë¡œ ì„œë“±ì€ êµ¬í•œë§ ì„유가 수입ë˜ë©´ì„œ ì‚¬ìš©ëœ ê²ƒìœ¼ë¡œ 알고 있으나 그렇지 않다. ì´ ë°±ìžì„œë“±ì€ ì¡°ì„  ì¤‘ê¸°ì— ì„유가 수입ë˜ê¸° ì´ì „ì— ì‚¬ìš©ë˜ë˜ 것ì´ë‹¤. ê¶ì´ë‚˜ 사대부가ì—서 ê°ì¢…기름(참기름, 들기름, ë™ë°±ê¸°ë¦„)등 고급 ê¸°ë¦„ì„ ë„£ì–´ 사용했다.



(좌) <ë°±ìž ì£½ì ˆë¬¸ 서등 ç™½ç£ ç«¹ç¯€æ–‡ 書燈>, 조선시대, 31×16ãŽ, ê³ ì€ë‹¹ 소장
ì´ ë°±ìžì„œë“±ì€ ìƒ‰ê¹”ì´ ë„ˆë¬´ í¬ë‹¤ 못해 하얀 ë°±ìžì— í‘¸ë¥¸ìƒ‰ì´ ê°ëŒê³  있는 ê²ƒì´ ë§ˆì¹˜ 중국 ë¶ì†¡ì‹œëŒ€ì˜ ì˜ì²­ ë°±ìžë¥¼ 보는 듯 하다. 형태는 죽절ì‹ìœ¼ë¡œ 아름답게 제작ë˜ì—ˆìœ¼ë©° 하단ì—는 ë°˜ 위로 진사가 시유ë˜ì—ˆìœ¼ë‚˜ ê·¸ ë¶€ë¶„ì´ ì—°í•˜ì—¬ 잘 ë³´ì´ì§„ 않는다. ë°±ìžì— 진사가 시유ë˜ì—ˆë‹¤ëŠ” ì , ê·¸ ê¸°ë²•ì´ ê³ ë‚œë„ë¼ëŠ” ì ì—서 고급 제품으로 분류ëœë‹¤. ìƒë‹¨ì˜ ëšœê»‘ì´ 6ê°ìœ¼ë¡œ ì œìž‘ëœ ê²ƒì€ 50ë…„ 넘게 ë“±ìž”ì„ ìˆ˜ì§‘í•˜ë©° ì²˜ìŒ ë³´ëŠ” 것ì´ë‹¤.
(ìš°) <ë°±ìž ì£½ì ˆë¬¸ 서등 ç™½ç£ ç«¹ç¯€æ–‡ 書燈>, 조선시대, 12.5×25.5ãŽ, ê³ ì€ë‹¹ 소장
ë°±ìž ì„œë“±ìœ¼ë¡œ 죽절ì‹ìœ¼ë¡œ 제작ë˜ì—ˆë‹¤. 아주 아름답고 귀한 등ì´ë‹¤.



(좌) <ë°±ìž ì£½ì ˆë¬¸ 서등 ç™½ç£ ç«¹ç¯€æ–‡ 書燈>, 조선시대, 12.5×25.5ãŽ, ê³ ì€ë‹¹ 소장
ì´ íƒ‘ë“± ë˜í•œ ì¡°ì„ ì‹œëŒ€ì˜ ì„œë“±ìœ¼ë¡œ ìž‘í’ˆì´ ì•„ì£¼ 수려하고 귀한 등ì´ë‹¤.
(ìš°) <ì²­í™”ë°±ìž ì‚°ìˆ˜ë¬¸ 서등 é‘è¯ç™½ç£ 山水文 書燈>, 조선시대, 12.5×24ãŽ, ê³ ì€ë‹¹ 소장
대나무 ë¬¸ì–‘ì´ ê·¸ë ¤ì§„ ì¡°ì„ ì‹œëŒ€ì˜ ì„œë“±ì´ë‹¤.


ì´ë²ˆ 호를 ë으로 2019ë…„ 5월부터 시작해온 <í•œêµ­ì˜ ê³ ë“±ê¸°êµ¬> 연재를 마칩니다.
컬렉션 ê°€ìš´ë° ìœ ìˆ˜ì˜ ìž‘í’ˆë§Œì„ ì—„ì„ , 소중한 우리 ë“±ç‡ˆì˜ ì—­ì‚¬ì™€ ê°€ì¹˜ì— ëŒ€í•´ ìƒì„¸ížˆ 알려주신
정하근 ê³ ì€ë‹¹ 대표님께 ê¹Šì´ ê°ì‚¬ë“œë¦½ë‹ˆë‹¤. 새로운 컨í…츠로 찾아뵙겠습니다. (편집ìžì£¼)


정하근 | ê³ ì€ë‹¹ 대표

ëŒ€í•™êµ 1학년 때부터 50여년간 고미술품 ë° ë“±ìž”ì„ ìˆ˜ì§‘í–ˆë‹¤.
수집한 국내외 전통 등기류만 수천여ì ì— 달한다.
블로그(blog.naver.com/eunam-collection)를 통해
ë§Žì€ ì‚¬ëžŒë“¤ê³¼ ë“±ì— ëŒ€í•œ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