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œêµ­ì˜ ê³ ë“±ê¸°êµ¬å¤ç‡ˆå™¨å…· ㉑ 고구려 토기오행등土器五行燈

ë„1 고구려 토기오행등, 3-4세기, 21×17(H)ãŽ



ì´ë²ˆ 연재ì—서 소개하는 í† ê¸°ì˜¤í–‰ë“±ì€ ê³ ëŒ€ 한반ë„ì—서 ì¶œí† ëœ ì „í˜•ì ì¸ 고구려시대 왕실ì—서 사용한 ì œì‹ìš©ç¥­å¼ç”¨ 등燈으로 추정ëœë‹¤. ì´ ì˜¤í–‰ë“±ì€ ê³ ëŒ€ì¢…êµì™€ ë¬¸í™”ì˜ ë™ë¶ì•„ë¡œì˜ ì´ë™ìƒí™©ì„ 보여주는 고대유물임과 ë™ì‹œì— 초기 ê³ êµ¬ë ¤ì˜ ì œì‹ ë“±ìœ¼ë¡œì„œ 등기류로서는 가장 연대가 앞서는 등ì´ë¼ 하겠다.

글 정하근 (ê³ ì€ë‹¹ 대표) 사진 ì´ì£¼ìš© 기ìž


í”히 â€˜ì‹ ë¼ í† ê¸° 등잔’하면 ë“±ìž”ì´ 5ê°œ 매달린 토기오행등(ë‹¤ë“±ì‹ í† ê¸°ë“±ìž”)ì„ ë– ì˜¬ë¦¬ê³¤ 한다. 그러나 ì´ ì§€ë©´ì—서 공개하는 고구려 í† ê¸°ì˜¤í–‰ë“±åœŸå™¨äº”è¡Œç‡ˆì€ ì‹ ë¼ í† ê¸°ì˜¤í–‰ë“±ê³¼ 형태는 같으나 방법과 재료가 다르다. ìš°ì„  재료부터 살펴보면, 고구려 토기 íŠ¹ìœ ì˜ ìž¬ì§ˆì¸ ì í† ìž„ì„ ì•Œ 수 있다. ì í†  ìœ„ì— ë°±í†  ë¶„ìž¥ì„ í•œ 고구려 ì´ˆê¸°ì˜ ì œìž‘ê¸°ë²•ì´ë‹¤. ë˜í•œ ì‹ ë¼ í† ê¸° ë“±ìž”ì˜ ê²½ìš° 기름 저장 ê³µê°„ì´ ë‹¤ ì—°ê²°ë˜ì–´ 있으나 ì´ ë“±ìž”ì€ 5개로 ë¶„ë¦¬ëœ í˜•íƒœë¡œ ì´ë£¨ì–´ì ¸ 있다.
초기 고구려 ë•…ì¸ ì¤‘êµ­ ì§‘ì•ˆì§€ì—­ì€ ê³ êµ¬ë ¤ 초기 ìˆ˜ë„ êµ­ë‚´ì„±ì´ ìœ„ì¹˜í•œ ê³³ì´ì—ˆë‹¤. A.D.427ë…„ ìž¥ìˆ˜ì™•ì´ í‰ì–‘으로 수ë„를 옮기기 전까지는 우리 ê³ êµ¬ë ¤ì˜ ë•…ì´ì—ˆë‹¤. 당시 고구려는 지역 íŠ¹ì„±ìƒ ëª¨ë“  ìƒí™œë„구를 ê±°ì˜ ì í† ë¡œ 제작해 사용했다. ì´ ì˜¤í–‰ë“±ì€ ê³ ëŒ€ì¢…êµì™€ ë¬¸í™”ì˜ ë™ë¶ì•„ë¡œì˜ ì´ë™ìƒí™©ì„ 보여주는 고대유물임과 ë™ì‹œì— 초기 ê³ êµ¬ë ¤ì˜ ì œì‹ ë“±ìœ¼ë¡œì„œ 등기류로서는 가장 연대가 앞서는 등ì´ë¼ 하겠다.


ë„4 삼국시대 토기오행등, 12×16(H)ãŽ


중국 ë„êµ ë¬¸í™”ì—서 ë¹„ë¡¯ëœ ê³ êµ¬ë ¤ 오행등

í† ê¸°ì˜¤í–‰ë“±ì€ ì˜¤í–‰ì‚¬ìƒäº”è¡Œæ€æƒ³ì— ì˜ê±°í•˜ì—¬ ì œìž‘ëœ ì œì‹ë“±ç¥­å¼ç‡ˆì´ë‹¤. 여기서 오행사ìƒì´ëž€ 중국 ë„êµé“敎ì—서 주역周易 태극太極ì´ë¡ ê³¼ 함께 ì‹œìž‘ëœ ì‚¬ìƒì´ë‹¤. ë„êµì—서는 ë§Œë¬¼ì´ ì˜¤í–‰ì˜ ë²•ì¹™(ç«ç”ŸåœŸ, 土生木, 木生ç«, 金生水, 水生木)으로 순환한다고 í•´ì„í•˜ëŠ”ë° ì´ëŸ¬í•œ ì´ì¹˜ëŠ” 한ì˜í•™ì—서 ì•½ì˜ ì²˜ë°©ê³¼ 침술치료는 물론ì´ê³  ì ìˆ ì—ì„œë„ ê·¼ë³¸ìœ¼ë¡œ 삼는 ë‚´ìš©ì´ë‹¤. 그렇다면 오행으로 ë§Œë¬¼ì˜ ìˆœí™˜ì´ì¹˜ë¥¼ 설명하는 ì´ë¡ ì²´ê³„를 확립한 ë„êµëŠ” 언제부터 성립ë˜ì—ˆëŠ”ê°€? ê·¸ 시ì›ì€ 오랫ë™ì•ˆ í™”ë¶ì§€ì—­ì„ 지배하며 선진문명과 문화를 창출하여 ì´ë¥¼ ì¤‘êµ­ëŒ€ë¥™ì— ì „íŒŒí•œ ë™ì´ì¡±ì˜ 주역과 오행ì´ë¡ ìœ¼ë¡œ 추정한다. 황하지역ì—서 ë°œí¥í•œ 황하족(중국ì¸ë“¤ì€ 한족漢æ—ì´ë¼ 부르며 ìžì‹ ë“¤ì˜ 선조로 받든다)ì€ ì´ë¥¼ 계승하여 ë„êµë¼ëŠ” 사ìƒê³¼ 종êµë¥¼ 만들었다. ì¼ë¡€ë¡œ, 유대êµì—서 기ë…êµì™€ ì´ìŠ¬ëžŒì´ íŒŒìƒëœ 것과 다를 ë°” 없다.
앞선 ì‹œëŒ€ì˜ í•™ë¬¸ì  í† ëŒ€ 위ì—서 ë„êµëŠ” ê·¸ 기본사ìƒì„ 가다듬는 ë°ë§Œ 천년 í•˜ê³ ë„ ìˆ˜ë°± ë…„ì´ ê±¸ë ¸ë‹¤. 주왕조(B.C1046-B.C771)ê°€ 중국대륙ì—서 ì¢…ì£¼êµ­ì˜ íŒ¨ê¶Œì„ í–‰ì‚¬í•˜ë˜ ì¶˜ì¶”ì‹œëŒ€(B.C 770~)ì— ë„êµì˜ 체계가 ê±°ì˜ ì™„ì„±ëœë‹¤. 그러나 ê³µìžë¥¼ ì •ì ìœ¼ë¡œ 하는 유êµê°€ ì™•ì¡°í†µì¹˜ì˜ ê°€ìž¥ 실용ì ì¸ ë„구로 ë„리 채íƒë˜ë©´ì„œ ë„êµì‚¬ìƒì€ 세력권 밖으로 밀려나게 ëœë‹¤. 유êµê°€ ë“ì„¸í–ˆë˜ ì´ ì‹œê¸°ê°€ ë„êµì—ê² â€˜ìˆ™ì„±ì˜ ì‹œê°„â€™ì´ ë˜ì—ˆë‹¤. ì´í›„ ë„êµëŠ” 사ìƒì²´ê³„를 ê°€ë‹¤ë“¬ì€ ë’¤ 민족종êµë¡œìžë¦¬ìž¡ê¸° 때문ì´ë‹¤. ì´ ë•Œë¬¸ì— ì¢…êµí•™ìžë“¤ì€ ë„êµì˜ 숙성시대를 춘추시대로부터 전국시대를 거처 í•œì œêµ­ì˜ ì´ˆê¸°ê¹Œì§€ë¡œ 본다.
한제국漢å¸åœ‹ì€ ì ê·¹ì ìœ¼ë¡œ ì£¼ë³€êµ­ì— ìžêµ­ì˜ 존재를 알렸다. ì´ë“¤ì€ 대진국大振國ì´ë¼ê³ ë„ ë¶ˆë¦¬ë˜ ë¡œë§ˆì œêµ­ì—까지 ì‚¬ì‹ ì„ ë³´ë‚´ê³  외êµê´€ê³„를 ê°–ê¸°ë„ í–ˆë‹¤. 한무제漢武å¸ë¡œë¶€í„° ì‹œìž‘ëœ ì¤‘êµ­ì˜ íŒ½ì°½ì •ì±…ì€ í•œë°˜ë„ ë¶ë°©ì—까지 ì´ë¥´ê²Œ ë˜ëŠ”ë°, ì´ ì§€ì—­ì—서 ê³ êµ¬ë ¤ì˜ ì ëŒ€ì„¸ë ¥ì´ ë˜ëŠ” í•œì œêµ­ì˜ ê±°ì ë„시가 ìƒê²¨ë‚¬ë‹¤. ì´ë•Œë¶€í„° ì¤‘êµ­ëŒ€ë¥™ì˜ ë¬¸í™”ê°€ í•œë°˜ë„ ë¶ë°©ìœ¼ë¡œ 침투하여 고구려 초기ì—는 ë„êµê°€ ë„리 í¼ì¡Œê³  본래 지역 ë‚´ 민족종êµì¸ 칠성êµì™€ ë”불어 양대 종êµë¡œ ìžë¦¬ìž¡ì•˜ë‹¤. 그러나 ì¤‘êµ­ì˜ ë¶ì¡°êµ­ê°€ë“¤ë¡œë¶€í„° 불êµê°€ ë°€ë ¤ì˜¤ìž ë™ë¶ì•„ì˜ ë„êµì„¸ë ¥ì€ 쇠ë½í•˜ê³  만다.


ë„2 삼국시대 토기오행등, 15×12.5(H)ãŽ



ë„2-1 삼국시대 í† ê¸°ì˜¤í–‰ë“±ì„ ìœ„ì—서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


토기오행등, 지신ì—게 ê°ì‚¬ì œ 지낼 때 사용

ë•Œë¬¸ì— ë„êµì˜ 오행사ìƒì„ ì œì‹ë“±ìœ¼ë¡œ 표현한 ì´ ê³ êµ¬ë ¤ìœ ë¬¼ì€ ì œìž‘ 연대가 고구려 초기ì´ë©° ê·¸ 연대를 낮게 ìž¡ì•„ë„ A.D. 300ë…„ ì´ìƒì´ ë˜ëŠ”, 약 1,700ë…„ ì´ìƒ ëœ ìœ ë¬¼ì´ë¼ê³  주장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ì´ ê³ êµ¬ë ¤ì˜ ì œì‹ë“±ì¸ í† ê¸°ì˜¤í–‰ë“±ì˜ ìš©ë„는 정확히 무엇ì´ì—ˆì„까? ê·¸ ë‹µì€ ì•žì„œ ë§í–ˆë“¯, ì´ ë“±ì´ ì˜¤í–‰ì‚¬ìƒì˜ 결과물ì´ë¼ëŠ” 것ì—서 유추할 수 있다. 즉, 고구려 왕조가 지단地壇 제사용으로 ì‚¬ìš©í–ˆë˜ ê²ƒì´ë‹¤. 여기서 ë§í•˜ëŠ” 지단 제사란 ì¡°ì •(왕실)ì´ ê°–ê°€ì§€ 곡물과 ê³¼ì¼ ë“±ì„ ìˆ˜í™•í•  수 있ë„ë¡ ë•…ì„ ë² í’€ì–´ì¤€ 지신地神(여기서는 대ìžì—°)ì—게 ê°ì‚¬ë¥¼ í‘œí•˜ê³ ìž ì§€ë‚´ëŠ” ê°ì‚¬ì œë¥¼ 뜻한다. 지신ì—게 ê°ì‚¬ì œë¥¼ 지내는 ì˜ˆë²•ì€ ë‹¤ì„¯ ë°©ìœ„ì— ê°ê° 제물과 ìˆ ì„ ë°”ì¹˜ëŠ” 것ì´ì—ˆë‹¤. 오행사ìƒì„ 기하학ì ìœ¼ë¡œ í•´ì„하면 ë•…ì€ ë‹¤ì„¯ ë°©ìœ„ì¸ ë™ì„œë‚¨ë¶ê³¼ 중앙(ë™ë°©ì€ ì²­, ì„œë°©ì€ ë°±, ë‚¨ë°©ì€ ì , ë¶ë°©ì€ í‘, ì¤‘ì•™ì€ í™©ìƒ‰)으로 ì´ë£¨ì–´ì§„다. 보다 구체ì ìœ¼ë¡œ 설명하ìžë©´ 피ë¼ë¯¸ë“œ(PYRAMID)를 공중ì—서 ë‚´ë ¤ë‹¤ë³´ì•˜ì„ ë•Œ 네 ë°©í–¥ì˜ ê¼­ì§“ì ê³¼ 중심부(피ë¼ë¯¸ë“œì˜ 중앙)ì˜ ê¼­ì§“ì ì„ í•©ì³ì„œ 다섯 ê°œì˜ ê¼­ì§“ì ì´ 나오는 것과 같다. 다시 ë§í•´, ì¸ê°„ì´ ëŒ€ì§€ 위ì—서 3ì°¨ì› ê³µê°„ ì†ì— 살아가는 ê²ƒì„ ë²•ìˆ˜(法數, 기ë…êµì˜ 3위 ì¼ì²´(TRINITY)니 불êµì˜ 8ì •ë„定é“와 ê°™ì´ ì§„ë¦¬ë¥¼ 수로 í•´ì„하는 것)로 나타낸 것ì´ë‹¤.
ì™•ì¡°ì‹œëŒ€ì— ì¤‘ì•™ì •ë¶€ê°€ ë§Œë°±ì„±ì„ ëŒ€ì‹ í•˜ì—¬ 지내는 ê³µì‹ì œì‚¬ì—는 지단제사 ì´ì™¸ì— í•˜ëŠ˜ì— ì œì‚¬ì§€ë‚´ëŠ” 천단제사天壇祭祀가 있다. 천단제사는 지단제사와는 달리 천ê¶(ZODIAC)ì— ì œë¬¼ê³¼ 신주를 바치는 ì˜ì‹ì´ë‹¤. ì´ê°™ì€ ë¬¸í™”ì  í름 ì†ì—서 고구려 초기 왕조는 지단제를 지낼 때 ì´ í† ê¸°ì˜¤í–‰ë“±ì„ ì‚¬ìš©í–ˆë˜ ê²ƒì´ë‹¤.

(좌) ë„3 중국 ë™ì§„ ì›ì‹œì²­ìžì˜¤í–‰ë“±, 4-5세기, 16×21.5(H)㎠/ (ìš°) ë„5 중국 요삼채오행등, 10-11세기, 12×17(H)ãŽ


정하근 | ê³ ì€ë‹¹ 대표

ëŒ€í•™êµ 1학년 때부터 50여년간 고미술품 ë° ë“±ìž”ì„ ìˆ˜ì§‘í–ˆë‹¤.
수집한 국내외 전통 등기류만 수천여ì ì— 달한다.
블로그(blog.naver.com/eunam-collection)를 통해
ë§Žì€ ì‚¬ëžŒë“¤ê³¼ ë“±ì— ëŒ€í•œ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