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œêµ­ì˜ ê³ ë“±ê¸°êµ¬å¤ç‡ˆå™¨å…· ⑳ 촛불[燭]ê³¼ ë“±ìž”ç‡ˆç›žì˜ ì†Œë“±ê¸°êµ¬æ¶ˆç‡ˆå™¨å…·

ë„3-2 나비문양 ì²­ë™ ì†Œë“±ê¸°êµ¬, 조선시대, 8×30ãŽ, ê³ ì€ë‹¹ 소장



과거 초와 ë“±ìž”ì„ ì‚¬ìš©í•˜ë˜ ì‹œì ˆ, 사대부가ì—서는 소등기구를 활용해 ë‚¨ì€ ì‹¬ì§€ë¥¼ 제거하고 ë¶ˆì„ ê»ë‹¤.
ì¼ë¶€ 소등기구ì—는 길ìƒë¬¸ì„ 장ì‹í•˜ì—¬ í–‰ë³µì„ ê¸°ì›í•˜ê³ , ì¼ìƒ ì†ì—서 ê·¸ ì•„ë¦„ë‹¤ì›€ì„ ëˆ„ë¦¬ê³¤ 했다.
ì´ë²ˆ 시간ì—는 다양한 소등기구를 소개한다. êµ­ë‚´ì— ê±°ì˜ ë‚¨ì•„ìžˆì§€ 않아 매우 í¬ê·€í•œ 유물ì´ë‹¤.

글 정하근 (ê³ ì€ë‹¹ 대표) 사진 ì´ì£¼ìš© 기ìž


(좌) ë„1 심지집게, ê³ ì€ë‹¹ 소장 – ì´›ë† ì†ìœ¼ë¡œ 떨어지는 심지 ì¡°ê°ì„ ì§‘ì–´ë‚´ê³  í˜ëŸ¬ë‚´ë¦¬ëŠ” ì´›ë†ì„ 걷어내는 ë„구ì´ë‹¤.
(ìš°) ë„2 심지 가위, 조선시대, 12×16ãŽ, ê³ ì€ë‹¹ 소장 – 타고 ë‚¨ì€ ì‹¬ì§€ë¥¼ 제거하여 심지가 ì´›ë† ì†ìœ¼ë¡œ 떨어지는 ê²ƒì„ ë¯¸ì—°ì— ë°©ì§€í•  때 ì“°ì¸ ë„구ì´ë‹¤



(위) ë„3-1 나비문양 ì²­ë™ ì†Œë“±ê¸°êµ¬, 조선시대, 3.7×35ãŽ, ê³ ì€ë‹¹ 소장
(아래) ë„3-3 나비문양 ì²­ë™ ì†Œë“±ê¸°êµ¬, 조선시대, 4×37.5ãŽ, ê³ ì€ë‹¹ 소장 – 소등기구 ê°“ ìœ„ì— ë‚˜ë¹„ë¬¸ì–‘ì´ íˆ¬ê°ìœ¼ë¡œ ì¡°ê°ë¼ 있다. 나비 바로 아래와 대 부분ì—는 ë‹¤ë©´ì²´ì˜ ë³´ì„문양으로 장ì‹í–ˆìœ¼ë©° ì†ìž¡ì´ 부분ì—는 ç¦(ë³µ)글ìžë¥¼ 새겨 ë„£ì€ ë’¤ ë‹¹ì´ˆë¬¸ì„ ë‘˜ëŸ¬ì‹¸ í™”ë ¤í•¨ì„ ë”했다. 나비는 부부금슬, 기ì¨, 부귀ì˜í™” ë“±ì„ ìƒì§•한다. ë‚˜ë¹„ì˜ ë‚ ê°œë¶€í„° ì†ìž¡ì´ì˜ 당초문까지 곡선으로 매ëˆí•˜ê²Œ 처리한 부분ì´ë‚˜ 심플한 미ê°ì—서 ì„ ì¡°ë“¤ì˜ ë›°ì–´ë‚œ ì—­ëŸ‰ì„ ì—¿ë³¼ 수 있다.



과거 초와 ë“±ìž”ì„ ì‚¬ìš©í•  당시ì—는 입으로 ë°”ëžŒì„ ë¶ˆê±°ë‚˜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ì´ˆ 심지를 눌러서 ë¶ˆì„ ê»ë‹¤. 그러나 입으로 ë°”ëžŒì„ ë¶ˆì–´ì„œ ë¶ˆì„ ë„ë©´ ë³µì´ ë‚˜ê°„ë‹¤ê³  하는 ë¯¸ì‹ ì´ ìžˆì–´ ì´ë ‡ê²Œ 소등하는 ê²ƒì„ ì‚¼ê°€ 왔다. ë˜í•œ ì†ê°€ë½ìœ¼ë¡œ 소등하는 ê²ƒì€ ìœ„ìƒì ìœ¼ë¡œ 좋지 않ì€ë°ë‹¤ ì¼ë°˜ì ìœ¼ë¡œ 사용하기ì—는 무리가 ìžˆì„ ìˆ˜ë°–ì— ì—†ë‹¤. ì´ ë•Œë¬¸ì— ì‚¬ëŒ€ë¶€ê°€ë¥¼ 중심으로 소등기구가 출현하게 ëœë‹¤. ì†Œë“±í•˜ê¸°ì— íŽ¸í•˜ë„ë¡ ì‹¬ì§€ì§‘ê²Œ(ë„1)와 가위(ë„2), ë¶ˆì„ ëŒ ë•Œ 사용하는 소등기구 등 여러 가지(ë„3, ë„4) ì¢…ë¥˜ì˜ ì œí’ˆë“¤ì„ ë°œëª…í•œ 것ì´ë‹¤.
심지집게는 타버린 심지를 집어내거나 ì´ˆì— í˜ëŸ¬ë‚´ë¦¬ëŠ” ì´›ë†ì„ 걷어낼 때 ì‚¬ìš©í•˜ë˜ ê²ƒì´ë‹¤.
ë¶ˆì„ ë„는 기구는 집게나 가위가 í•©ì³ì§„ 모양ì´ë‹¤. 가위 ë¶€ë¶„ì€ ì‹¬ì§€ì˜ íƒ„ ë¶€ë¶„ì„ ìžë¥´ëŠ”ë° ì‚¬ìš©í•˜ê³  집게 ë¶€ë¶„ì€ ì‹¬ì§€ë¥¼ 집어서 ë¶ˆì„ ëŒ ë•Œ 사용하였다.
모ìžå¸½å­ 모양(ë„5)으로 만든 ë„ìžê¸° ì œí’ˆë„ ìžˆë‹¤. 서등ì´ë‚˜ 호롱 ë“±ìž”ì„ ì†Œë“±í•  때 등잔심지 위로 모ìžë¥¼ 씌우듯 ë®ì–´ì„œ 소등하는 ë° ì‚¬ìš©í•˜ì˜€ë‹¤. ìƒë¥˜ì¸µì—서만 ì‚¬ìš©í•˜ì˜€ë˜ ê²ƒìœ¼ë¡œ 쉽게 ë³¼ 수 없는 귀한 물건ì´ë‹¤. ë˜í•œ 모ìžì— ê°“ì„ ì”Œìš´ í˜•íƒœë„ ìžˆë‹¤. ê°“ ìœ„ì— ê°ì¢… ë™ì‹ë¬¼ì„ ì¡°ê°í•˜ì—¬ 아름답게 장ì‹í–ˆë‹¤. 주로 ìƒë¥˜ì¸µì—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ëœë‹¤.


ë„5 ë°±ìží˜¸ë¡±ê³¼ 심지 ë®ê°œ, 조선시대, 6.5×8.7×9ãŽ, ê³ ì€ë‹¹ 소장 – ëª¨ìž ëª¨ì–‘ìœ¼ë¡œ ì œìž‘ëœ ë„ìžê¸°ë¥¼ 심지 ìœ„ì— ì”Œì›Œ 소등할 때 사용한다.



ë„4 ë°•ì¥ë¬¸ì–‘ ì²­ë™ ì†Œë“±ê¸°êµ¬, 조선시대, 8×32ãŽ, ê³ ì€ë‹¹ 소장 – 소등기구 ê°“ ìœ„ì— ë°•ì¥ë¬¸ì–‘ì´ íˆ¬ê°ìœ¼ë¡œ ì¡°ê°ë¼ 있다. ë°•ì¥ëŠ” 본래 ì´ë¦„ì´ â€˜íŽ¸ë³µè™è â€™ìœ¼ë¡œ ‘복ç¦â€™ê³¼ ë°œìŒì´ 같아 ë³µì„ ìƒì§•한다. ë˜í•œ ì–´ë‘ìš´ ë°¤ì— ë‚ ì•„ë‹¤ë‹ˆëŠ” ëª¨ìŠµì´ ë¶€ì§€ëŸ°ížˆ ìž¬ì‚°ì„ ë¶ˆë¦¬ëŠ” ê²ƒê³¼ë„ ê°™ë‹¤ê³  ë³´ì•„ ‘부귀’를 ì˜ë¯¸í•˜ê¸°ë„ 한다. ë¬¸ì–‘ì˜ ëŒ€í‘œì  íŠ¹ì§•ë§Œì„ ì¶”ë ¤ë‚¸ ì•ˆëª©ì´ ë‹ë³´ì¸ë‹¤,


정하근 | ê³ ì€ë‹¹ 대표

ëŒ€í•™êµ 1학년 때부터 50여년간 고미술품 ë° ë“±ìž”ì„ ìˆ˜ì§‘í–ˆë‹¤.
수집한 국내외 전통 등기류만 수천여ì ì— 달한다.
블로그(blog.naver.com/eunam-collection)를 통해
ë§Žì€ ì‚¬ëžŒë“¤ê³¼ ë“±ì— ëŒ€í•œ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