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œêµ­ì˜ ê³ ë“±ê¸°êµ¬å¤ç‡ˆå™¨å…· ⑲ ê¶å®® 좌등å燈

ë„1 ê¶ì¤‘ 좌등, 조선시대, 111×34.5ãŽ, ê³ ì€ë‹¹ 소장



한 ê³³ì„ ì§‘ì¤‘ì ìœ¼ë¡œ 비추는 등잔ì´ë‚˜ 초와 달리 ì¢Œë“±ì€ ë¬¸ 쪽과 실내 전체를 ì€ì€í•˜ê²Œ 비추는 실내 등기구ì´ë‹¤.
ì„ ì¡°ë“¤ì€ ì¢Œë“±ì— ê¸¸ìƒë¬¸ì„ ì¡°ê°í•˜ê±°ë‚˜ í™”ì°½ì— ì²­ì‚¬, í™ì‚¬ ë“±ì„ ë§ëŒ€ì–´ í–‰ë³µì„ ì—¼ì›í–ˆë‹¤. ì§‘ ì•ˆì€ ë¬¼ë¡  마ìŒê¹Œì§€ ë”°ë“¯ì´ ë°í˜€ì¤€ ì¢Œë“±ì„ ì‚´íŽ´ë³´ë„ë¡ í•œë‹¤.

글 정하근 (ê³ ì€ë‹¹ 대표) 사진 ì´ì£¼ìš© 기ìž


좌등åç‡ˆì€ ë“±ê°€ç‡ˆæž¶ ë˜ëŠ” 장등長燈ì´ë¼ê³ ë„ 불리며 ë°”ë‹¥ì— ë‘ê³  사용하는 등 기구를 ë§í•œë‹¤. ì¢Œë“±ì€ ì•„ë¬´ë‚˜ í”히 쓸 수 있는 ë¬¼ê±´ì´ ì•„ë‹ˆê³  왕ê¶ì´ë‚˜ 귀족 사대부집안ì—서나 쓸 수 있는 특별한 등ì´ë‹¤.
ã€Šê²½êµ­ëŒ€ì „ç¶“åœ‹å¤§å…¸ã€‹ì— ì˜í•˜ë©´ ê¶ì „ì˜ ë“±ì´‰ë¥˜ëŠ” 내시부內ä¾åºœì—서 관장하였다. 내시부 ê´€ì› ì¤‘ 종6í’ˆì˜ ìƒì´‰ì›å°™ç‡­å“¡ 4ëª…ì´ ëŒ€ì „ë¬¸å¤§æ®¿é–€, 왕비전문王妃殿門, 세ìžê¶ä¸–å­å®® 등 ë“±ì´‰ë°©ç‡ˆç‡­æˆ¿ì„ ë‹´ë‹¹í•˜ì—¬ ê¶ì¤‘ì˜ ë“±ë¶ˆê³¼ ì´›ë¶ˆì„ ì¼œê³  ë„는 ì¼ê³¼ ê°™ì´ ë“±ê³¼ ê´€ë ¨ëœ ì¼ì„ ë„맡았다.
공전항工典項ì—는 촉장 4ëª…ì„ ë‘ê³  ìœ êµ¬ìž¥æ²¹å…·åŒ ì€ ê°ë„ 관찰사 ì´í•˜ 지방 ê´€ì˜ì— 한명씩 ë‘었으며 등구류는 야장冶匠, 유장é®åŒ , 목장木匠, 지장紙匠, 칠장漆匠, ì‚¬ê¸°ìž¥æ²™å™¨åŒ ë“±ì— ëª…í•˜ì—¬ ë¶„ë‹´ 제작하였다. ë˜ ì˜ì˜ê³ ç¾©ç›ˆåº«ëŠ” 유밀, 황ëž, ì†Œë¬¼ç´ ç‰©ë“±ì„ ê´€ìž¥í•˜ì˜€ë‹¤ê³  한다. ë”°ë¼ì„œ ê° ê¶ì „ì´ë‚˜ ê´€ì•„ì˜ ë“±ì´‰ë°©ç‡ˆç‡­æˆ¿ì— í•„ìš”í•œ 등유나 납촉류蠟燭類는 ì˜ì˜ê³ ì™€ 사재ê°å››å®°ç›£ì—서 제작, 조달하였다고 한다.
ê° ë„ì—ë„ ìœ êµ¬ìž¥æ²¹å…·åŒ ë“±ì´ ë°°ì¹˜ë˜ì–´ 있어 중앙관서ì—서는 오히려 ì´ëŸ¬í•œ ê° ë„ì˜ ì‚°ë¬¼ì„ ìˆ˜ì§‘í•˜ì˜€ì„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ì¡°ì„  초기ì—는 목제, ì² ì œ, 사기제 등 ë§Žì€ ì¢…ë¥˜ì˜ ë“±ì´‰ê¸°êµ¬ê°€ 제작ë˜ì—ˆë‹¤. ì¡°ì„  초기 촉장만 4ëª…ì— ë‹¬í•œë‹¤ëŠ” ì ë§Œ ë³´ë”ë¼ë„ 당시 ì´‰(燭, ì´ˆ)ì˜ ì œì¡°ìˆ ì´ ìƒë‹¹ížˆ 발달하였ìŒì„ 알 수 있다. ê° ë¶€ë¬¸ë³„ë¡œ 전담하는 장ì¸ë“¤ì´ 모여서 등구
류를 ì œìž‘í–ˆë˜ ê²ƒì„ ê°ì•ˆí•˜ë©´ 고급스러운 등촉기구가 제작ë˜ì—ˆë˜ 것으로 ìƒê°ëœë‹¤. 아쉬운 ì ì€ ìž¦ì€ ì „ëž€ìœ¼ë¡œ ì¸í•˜ì—¬ 현재까지 ì¡°ì„ ì´ˆê¸°ì˜ ë“±êµ¬ë¥˜ê°€ ë§Žì´ ë‚¨ì•„ìžˆì§€ 않다는 것ì´ë‹¤.

ë„1 부분 머름칸(ìƒ)ê³¼ 하부 서ëž(하)

ì£¼ë³€ì„ ì€ì€ížˆ ë°ížˆëŠ” 좌등

한 ê³³ì„ ì§‘ì¤‘ì ìœ¼ë¡œ 비추는 등잔ì´ë‚˜ 초와 달리 ì¢Œë“±ì€ ë¬¸ 쪽과 실내 전체를 ì€ì€í•˜ê²Œ 비추는 실내 등기구ì´ë‹¤. 주로 나무를 재료로 사용해서 장방형으로 제작하였다. ë‚´ë¶€ì—는 촛대나 등 기구를 넣어 ë°© í•œíŽ¸ì— ë†“ì•„ë‘었다.
ì¢Œë“±ì€ ë‹¤ë¥¸ 등기구와 비êµí•´ë³¼ 때 매우 í° íŽ¸ì´ë©° í¬ê¸°ëŠ” 다양하다. 천íŒì—는 구ë©ì´ 뚫려있어 환기통 ì—­í• ì„ í•œë‹¤. ë˜í•œ 머름칸ì—는 국화문, 당초문, 구름문, ì—¬ì˜ë¬¸ë“±ì´ 투ê°ë˜ì–´ 있어 천íŒì˜ 환기통으로 ë¹›ì´ íˆ¬ì˜ë  때 다양한 ë¹›ì˜ íš¨ê³¼ë¥¼ ë³¼ 수 있다.
하부ì—는 소등기구 ë° ì¸ê´‘ë…¸(성냥), ì´ˆ 등 소ë„구를 넣기 위한 서ëžì´ 있고 머름칸 부분과 ê°™ì€ ë¬¸ì–‘ 형태를 ìŒê° ë˜ëŠ” 투ê°ìœ¼ë¡œ ì¡°ê°í•˜ì˜€ë‹¤. ìƒë¶€ì˜ 무게를 받칠 수 있ë„ë¡ ë‹¤ë¦¬ë¶€ë¶„ì€ ì¤‘ì‹¬ë¶€ë³´ë‹¤ ëŒì¶œë˜ë„ë¡ ì œìž‘ë¼ ì‹œê°ì ìœ¼ë¡œ 안정ê°ì„ 준다. ì¢Œë“±ì€ ì£¼ë¡œ íƒ„ë ¥ì„±ì´ ì¢‹ê³  ì¡°ê°ì´ 잘ë˜ëŠ” ì€í–‰ë‚˜ë¬´ì™€ 가래나무로 제작ë다. 표면ì—는 주칠 ë˜ëŠ” í‘ì¹ ì„ í•˜ì˜€ë‹¤.
좌등ì—는 í”히 화문, 당초문, ì„류, í¬ë„ ë“±ì˜ ì‹ë¬¼ 문양과 í•™, 매미, 나비, 다람ì¥, 사ìž, ìš© ë“±ì˜ ë™ë¬¼ë¬¸ì–‘ì´ ìš´ë¬¸ 등과 혼합ë˜ì–´ ì¡°ê°ë˜ì—ˆê³  청사나 í™©ì‚¬ì˜ ë°”íƒ• ìœ„ì— ê²©ìžë¬¸ê³¼ 부富, 귀貴, 수壽, ë³µç¦, í¬å› ë“±ì˜ ê¸¸ìƒë¬¸ì´ 새겨졌다. ë°‘ ë¶€ë¶„ì˜ ë§ˆì¡±í˜• 다리는 실내공간ì—ì„œì˜ ë‹¤ë¥¸ 가구와 í¬ê¸°ì™€ 조화를 잘 ì´ë£¬ë‹¤. ì´ëŸ¬í•œ íŠ¹ì§•ì„ ê°€ì§€ê³  있는 ì¢Œë“±ì€ ìž¥ë“±, í˜¹ì€ ì„œë“±ìœ¼ë¡œ 불린다. ìž¥ë“±ì€ ë‹¤ë¦¬ê°€ 달려있는 화려한 가구 ì–‘ì‹ì˜ 등ì´ë‹¤. 간접조명 효과를 줄 수 있ë„ë¡ ë“±ê²½ì´ë‚˜ 촛대 위ì—는 청사나 황사, ë˜ëŠ” 한지를 대었다.

(좌) ë„2 좌등, 조선시대, 74×29ãŽ, ê³ ì€ë‹¹ 소장 / (ìš°) ë„4 ë°±ìžì²­í™”죽문서등, 조선시대, 28åŠãŽ, ê³ ì€ë‹¹ 소장

길ìƒë¬¸ ë”í•´ 소ë§ì„ 비추다

ì´ ì¢Œë“±(ë„1)ì€ ì „í˜•ì ì¸ ê¶ì¤‘좌등으로 다른 ì¢Œë“±ì— ë¹„í•´ 높ì´ë‚˜ 화창(ç«çª“, ë¶ˆì„ ì¼œ 놓는 ë¶€ë¶„ì— ëš«ì€ ì°½)ì´ ë§¤ìš° í° íŽ¸ì´ë‹¤. ê²€ë¶‰ì€ ìƒ‰ìœ¼ë¡œ ì£¼ì¹ ì´ ìž˜ ë˜ì–´ 고급스럽다. ì´ ê°™ì€ ì¢Œë“± ì¼ë¶€ì—는 ë‚´ë¶€ì— ì´›ëŒ€ç‡­è‡ºë¥¼ 설치하여 초나 ë“±ìž”ì„ ì˜¬ë ¤ë‘ê¸°ë„ í•œë‹¤. 구ë©ì´ 뚫린 천íŒì€ 환기통 ì—­í• ì„ í•œë‹¤. 등ì—는 8괘문(ì£¼ì—­ì˜ 8괘는 ì²œì§€ë§Œë¬¼ì˜ í˜„ìƒì´ ë˜ëŠ” ì¼ì¢…ì˜ ê¸¸ìƒë¬¸ì´ë‹¤. 특히 ê°€êµ¬ì— ì“°ì´ëŠ” ê°ì¢… 금ì„장ì‹ì´ë‚˜ 문양 ì¤‘ì— 8ê´˜ ë¬¸ì–‘ì´ ìž¥ì‹ëœ ê²ƒì´ ë§Žì´ ë‚˜íƒ€ë‚œë‹¤), 머름칸ì—는 êµ¬ë¦„ë¬¸ì–‘ì´ íˆ¬ê°ë˜ì—ˆë‹¤. 하부ì—는 ì¸ê´‘ë…¸(引光奴, 성냥), 밀초 등 소ë„구를 넣기 위한 서ëžì´ 있고 머름칸 부분과 ê°™ì€ ë¬¸ì–‘ìœ¼ë¡œ ì—¬ì˜ë¬¸ê³¼ êµ¬ë¦„ë¬¸ì–‘ì´ ì´ì¤‘으로 ì¡°ê°ë˜ì–´ìžˆë‹¤.
좌등ì—는 í”히 화문, 당초문, ì„류, í¬ë„ ë“±ì˜ ì‹ë¬¼ë¬¸ì–‘ê³¼ í•™, 매미, 나비, 다람ì¥, 사ìž, ìš©ë“±ì˜ ë™ë¬¼ë¬¸ì–‘ì´ ìš´ìš©ë¬¸ê³¼ 혼합ë˜ì–´ ì¡°ê°ë˜ì—ˆê³  격ìžë¬¸ê³¼ 富, è²´, 壽, ç¦, å–œë“±ì˜ ê¸¸ìƒë¬¸ì´ 청사나 í™ì‚¬ì˜ 바탕 ìœ„ì— ìƒˆê²¨ì¡Œë‹¤. í™”ì°½ì€ ì²­ì‚¬é‘紗와 í™ì‚¬ç´…紗로 ë˜ì–´ìžˆë‹¤. 오랜 ì„¸ì›”ì´ ì§€ë‚˜ë©° 청사와 í™ì‚¬ëŠ” ë¶€ì‹ë˜ì–´ ê±°ì˜ ì—†ì–´ì¡Œì§€ë§Œ 머름칸 ë‚´ë¶€ 4ë°©ê³¼ 구름문양 사ì´ì— 남아있는 ê²ƒì´ ì¡°ê¸ˆ 있다. ì¢Œë“±ì— ì²­ì‚¬ì™€ í™ì‚¬ë¡œ ë“±ì„ ì‚¬ìš©í•˜ëŠ” ê²ƒì´ í”한 ì¼ì€ 아니다. 조선후기 ì¼ë°˜ì¸ë“¤ì€ í˜¼ë¡€ì‹ ë‚ ì—ë§Œ ì²­ì‚¬ì´ˆë¡±ì„ ì‚¬ìš©í–ˆê¸° ë•Œë¬¸ì— ì²­ì‚¬ì´ˆë¡±ì€ ê³§ 혼례ì‹ì„ ì˜ë¯¸í–ˆë‹¤. ì„ ì¡°ë“¤ì€ ì˜ˆë¡œë¶€í„° ìš°ì£¼ë§Œë¬¼ì´ ìŒì–‘ì˜ ì¡°í™”ë¡œ ì´ë£¨ì–´ì¡Œë‹¤ê³  믿어 ìŒì–‘ì„ ìƒì§•하는 ì²­í™ì„ 배색한 ì´ˆë¡±ì„ ì‚¬ìš©í•˜ì˜€ë˜ ê²ƒì´ë‹¤. ì´ëŸ¬í•œ í’습으로 ë³¼ 때 ì´ ì¢Œë“±ì€ ê¶ì—서 왕과 ë¹„ë¹ˆì´ í•©ë°©í•œ ë°©ì—서 ì‚¬ìš©ëœ ê²ƒì´ë¼ ì§ìž‘í•  수 있다.
ë˜ ë‹¤ë¥¸ 좌등(ë„2, ë„3)ì€ ì‹¤ë‚´ë‚˜ ëŒ€ì²­ì˜ í•œìª½ì— ë†“ì•„ ì£¼ë³€ì„ ë°ížˆëŠ” ë° ì‚¬ìš©í•œ 등ì´ë‹¤. 조금 ë” ë„“ê³  멀리 비추기 위해 ë“±ì€ í¬ê²Œ 제작하고 ì°½ì€ ë„“ížˆê³  높게 제작하였다. 옛날 ê¶ì—서는 서등(ë„4)ì´ë‚˜ 촛대를 좌등 ì•ˆì— ë„£ì–´ì„œ 사용하였다. 천íŒì—는 환기구ë©ê³¼ ì´ë™ì— 편리한 들쇠가 부착ë¼ìžˆìœ¼ë©° ì°½ì—는 ì‹¤ë‚´ì˜ ì°½í˜¸ë¬´ëŠ¬ì™€ ì¡°í™”ë˜ë„ë¡ ì°½ì‚´ì„ ë§Œë“¤ê±°ë‚˜ 청사와 í™ì‚¬ ë˜ëŠ” 한지를 ë°œë¼ ì¡°ëª…ì„ ë¶€ë“œëŸ½ê²Œ 연출했다.

ë„3 좌등, 조선시대, 76.5×32ãŽ, ê³ ì€ë‹¹ 소장


[참고ìžë£Œ]
ã€Ší•œêµ­ì˜ ë°•ë¬¼ê´€5》 (한국박물관연구회, 2005)


정하근 | ê³ ì€ë‹¹ 대표

ëŒ€í•™êµ 1학년 때부터 50여년간 고미술품 ë° ë“±ìž”ì„ ìˆ˜ì§‘í–ˆë‹¤.
수집한 국내외 전통 등기류만 수천여ì ì— 달한다.
블로그(blog.naver.com/eunam-collection)를 통해
ë§Žì€ ì‚¬ëžŒë“¤ê³¼ ë“±ì— ëŒ€í•œ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