í•œêµ­ì˜ ê³ ë“±ê¸°êµ¬å¤ç‡ˆå™¨å…· ⑨ ì„유수입과 등기燈器Ⅱ

ì„유가 들어오기 ì´ì „ì— ë°¤ì˜ ì–´ë‘ ì„ ë°ížˆê¸° 위해 사용한 ê²ƒì´ ë“±ìž”ì´ë‹¤.
ë“±ìž”ì— ì‚¬ìš©ë˜ë˜ ì‹ë¬¼ì„±, ë™ë¬¼ì„± ê¸°ë¦„ì€ 19ì„¸ê¸°ì— ì„유가 등장하ìžë§ˆìž ìžì·¨ë¥¼ ê°ì¶”었다. ì„유가 íš¨ìœ¨ì„±ì´ ì¢‹ê³ , ê°€ê²©ë„ ìŒŒê¸° 때문ì´ë‹¤. ì„유가 수입ë˜ë©´ì„œ 남í¬ë“±ì´ 수입ë˜ê¸° 시작했고, ë“±ìž”ì€ í™”ê¸°ì— ê°•í•œ ë„ìžê¸° 등잔과 호롱(ë„ìžê¸°ë‚˜ 사기)으로 바뀌었으며 훨씬 다양한 ì¢…ë¥˜ì˜ ë“±ìž”ì´ ì¶œí˜„í•˜ê²Œ ëœë‹¤.

글 정하근 (ê³ ì€ë‹¹ 대표) 사진 ì´ì£¼ìš© 기ìž


ì´ í’ì†ë“±ìž”대風俗燈盞臺ì—는 ê°ê¸° 눈, ê·€, ìž…ì„ ë§‰ì€ ì›ìˆ­ì´ 세 마리가 ì¡°ê°ë˜ì–´ìžˆë‹¤(ë„1). 예로부터 ì›ìˆ­ì´ëŠ” ì›ìˆ­ì´ë¥¼ 뜻하는 í•œìž â€˜í›„çŒ´â€™ì˜ ìŒê³¼ íšì´ 제후諸侯를 뜻하는 ‘후侯’와 비슷해 ‘출세’, ‘관ì§â€™, 나아가 ‘부귀ì˜í™”’를 ì˜ë¯¸í–ˆë‹¤. ë˜í•œ ìˆ˜í˜¸ì‹ ì¸ ì‹­ì´ì§€ì‹ ìƒì˜ 하나로 ìž¬ì•™ì˜ ì¹¨ìž…ì„ ë§‰ì•„ì£¼ëŠ” ë²½ì‚¬ì  ì˜ë¯¸, ë¶€ë¶€ì§€ê°„ì˜ ì‚¬ëž‘ê³¼ 장수, 화합 등 다양한 ìƒì§•ì„±ì„ ì§€ë‹Œë‹¤.
언뜻 í¥ë¯¸ë¡œì›Œ ë³´ì´ëŠ” ì¡°ê°ìƒì—는 조선시대 한국 ì—¬ì„±ì˜ ë¹„ì• ê°€ 깃들었다. ì¡°ì„  세종 때부터 법으로 혼례 후 ì—¬ìžê°€ ì‹œì§‘ì‚´ì´ í•˜ëŠ” í’ìŠµì´ ìƒê²¼ë‹¤. 고단한 시집살ì´ì™€ 관련해 옛날 ìš°ë¦¬ë‚˜ë¼ ì†ë‹´ì—ë„ â€˜ì‹œì§‘ì‚´ì´ 10년’ì´ëž€ ë§ì´ 있다. ê·€ 막고 3ë…„, 눈 가리고 3ë…„, ìž… 다물고 3년까지 시집살ì´ì— ì ì‘하기까지 10년쯤 걸린다는 얘기다. ë“¤ì–´ë„ ëª» ë“¤ì€ ì²™, ë´ë„ 못 본 ì²™, ë§í•˜ê³  ì‹¶ì–´ë„ ì°¸ìœ¼ë¼ëŠ” ì˜ë¯¸ë‹¤. ì—¬ì„±ì€ ë§¤ì„œìš´ ì‹œì§‘ì‚´ì´ ì†ì—ì„œë„ ì´ ë“±ìž”ëŒ€ë¥¼ ê³ì— ë‘ê³  ë‚¨íŽ¸ì˜ ì¶œì„¸ë¥¼ ì—¼ì›í•˜ê³ , 가족 ê°„ ì‚¬ëž‘ì„ ë˜ìƒˆê¸°ë©° 마ìŒì„ ë‹¤ìž¡ì•˜ì„ ê²ƒì´ë‹¤.
ì„유가 들어오기 ì´ì „, ì „ë“±ì´ ì—†ë˜ ì‹œì ˆì— ë°¤ì˜ ì–´ë‘ ì„ ë°ížˆê¸° 위해 사용한 ê²ƒì´ ë“±ìž”ì´ë‹¤. ëŒ€ë¶€ë¶„ì˜ ê°€ì •ì—서는 들기름ì´ë‚˜ 피마ìžê¸°ë¦„ ë“±ì˜ ì‹ë¬¼ì„±ê¸°ë¦„ì„ ì‚¬ìš©í•˜ì—¬ ì–´ë‘ ì„ ë°í˜”다. ì‹ë¬¼ì„±, ë™ë¬¼ì„± ê¸°ë¦„ì€ ì„유가 ë“±ìž¥í•˜ìž ì ì°¨ ìžì·¨ë¥¼ ê°ì¶”었다. ì„유로는 기름보다 ë‘ ë°° 오래 사용할 수 있고 ê°€ê²©ë„ ìŒŒê¸° ë•Œë¬¸ì— ì‚¬ëžŒë“¤ì€ ë„ˆë„ ë‚˜ë„ ë“±ë¶ˆì„ ë°ížˆëŠ” 연료로 ì„유를 사용했다. ì´í›„ì—는 미국 회사나 ì¼ë³¸ë“±ì§€ì—서 ì„유가 수입ë˜ì—ˆê³  ì£¼ìœ ì†Œë„ ìƒê²¨ ì¼ë°˜ì¸ë“¤ì—게 ì„유를 팔기 시작했다. 1876ë…„ ì´í›„ ì¼ë³¸ìœ¼ë¡œë¶€í„° ì„유가 들어오면서 남í¬ë“±ì´ 수입ë˜ê¸° 시작하고 ë“±ìž”ì€ í™”ê¸°ì— ê°•í•œ ë„ìžê¸° 등잔과 호롱(ë„ìžê¸°ë‚˜ 사기)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1910ë…„ 한ì¼í•©ë°© ì´í›„ í•´ë°© 전까지 ì¼ì •ì‹œëŒ€ì— ì‚¬ìš©í•œ ë“±ì„ ì™œì‚¬ê¸° 호롱ì´ë¼ 불렀다. ë’¤ì´ì–´ 장ì‹ì ìœ¼ë¡œ 한층 ë” í™”ë ¤í•˜ê³  다양한 ì¢…ë¥˜ì˜ ë“±ìž”ì´ ì¶œí˜„í•˜ê²Œ ëœë‹¤.

(왼쪽) ë„2 <ì„간주 무ê¶í™” ìŒê° 등잔>, 19세기ë§, 8×6ãŽ, ê³ ì€ë‹¹ 소장
(오른쪽) ë„3 <ì„간주 모란문 ìŒê° 등잔>, 19세기ë§, 8×6ãŽ, ê³ ì€ë‹¹ 소장

ì¼ì œê°•ì ê¸° ì¼ë³¸ì—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ë˜ëŠ” 호롱(등잔)

í˜¸ë¡±ë“±ìž”ì€ ë„ìžê¸° 호롱과 사기 호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ë„ìžê¸° í˜¸ë¡±ì€ ì „í†µì ì¸ 기법으로 ë„ìžê¸° 가마ì—서 1200~1300ë„ ì‚¬ì´ì—서 ì†Œì„±ëœ ë„ìžê¸°ë¥¼ ë§í•œë‹¤. 사기 í˜¸ë¡±ì€ ê°€ë§ˆì—서 약한 불로 900~1000ë„ ì‚¬ì´ì—서 ì†Œì„±ëœ ì‚¬ê¸° 등잔으로 ì¼ë³¸ì—서 ìœ ìž…ëœ ê²ƒìœ¼ë¡œ 추측ëœë‹¤. 한국 ì „ë ¥ì—서 발행한 ã€Ší•œêµ­ì˜ ê³ ë“±ê¸°ã€‹ì— ì˜í•˜ë©´ í”히 ‘외사기’ë¼ê³  통용ë˜ëŠ” ìˆ˜ë§Žì€ ë“±ìž”ë“¤ì€ 1894년부터 1895ë…„ 사ì´ì— ìƒë‹¹ížˆ ë§Žì€ ì–‘ì´ ìˆ˜ìž…ë˜ì–´ 한국 등잔들과 뒤섞여 íŒë§¤, 사용ë˜ì—ˆë‹¤ê³  한다. ì´ ë˜í•œ 1920ë…„ í•œì¼ í•©ë°© ì´í›„ ì¼ì œ ê°•ì ê¸°ë¥¼ ê±°ì³ ê·¼ëŒ€ê¹Œì§€ ì‚¬ìš©ëœ ê²ƒìœ¼ë¡œ 알고 있다.

갖가지 길ìƒë¬¸, 글귀로 í˜¸ë¡±ì˜ ë¯¸í•™ ë”í•´

í˜¸ë¡±ì€ ë³¸ëž˜ ëšœê»‘ì´ ì—†ëŠ” 종지 ê°™ì€ ê·¸ë¦‡ì´ì—ˆìœ¼ë¯€ë¡œ ì„유를 사용할 수 없었다. ì„유는 ì¸í™”ì„±ì´ ê°•í•˜ì—¬ 등잔 ì „ì²´ì— ë¶ˆì´ ë¶™ì–´ í™”ìž¬ì˜ ìœ„í—˜ì„±ì´ ë§Žê¸° ë•Œë¬¸ì— ì„유를 넣는 ë³‘ëª¨ì–‘ì˜ ìš©ê¸°ì™€ ì´ë¥¼ ë®ëŠ” ëšœê»‘ì„ ë§Œë“¤ì—ˆë‹¤. 그리고 ëšœê»‘ì„ ê´€í†µí•˜ëŠ” 심지를 만들고 뚜껑 밖으로 나온 ì‹¬ì§€ì— ë¶ˆì„ ë¶™ì—¬ 사용하는 í˜¸ë¡±ë“±ìž”ì„ ì œìž‘í–ˆë‹¤. ë„ìžê¸°ë¡œë„ ê°ì¢… ë“±ìž”ì„ ì œìž‘í–ˆë‹¤.
í˜¸ë¡±ì€ ëŒ€ì²´ë¡œ 나무로 ì œìž‘ëœ ë“±ìž”ëŒ€ì— ì–¹ì–´ 사용했으며 ë“±ìž”ëŒ€ì˜ ë°‘íŒì€ ì›í˜•, 사ê°, 육ê°, íŒ”ê° ë“± 다양하게 제작하여 ë‹´ë°° 부시 성냥 ë“±ì„ ë†“ì„ ìˆ˜ 있게 하거나 ë‹´ë°° 재떨ì´ìš©ìœ¼ë¡œë„ 사용했다. 60ë…„ ì „ë§Œí•´ë„ ì „ê¸°ì˜ í˜œíƒì„ 받지 못하는 ê³³ì´ ì ˆë°˜ì„ ë„˜ì—ˆë‹¤ê³  한다. 그때 ëŒ€ë¶€ë¶„ì˜ ì§€ë°© í•™ìƒë“¤ì€ í˜¸ë¡±ë¶ˆì„ ë°ížˆê³  공부를 했다고 한다. í˜¸ë¡±ë¶ˆì„ ë°ížˆë©´ ê¼­ 그림ìžê°€ ìƒê²¨ ë°¤ì´ ë˜ë©´ 어른과 ì•„ì´ë“¤ì´ 함께 재미있는 놀ì´ë¥¼ 하곤 했다. í•„ìžë„ 어린 시절 ì†ì„ ì´ìš©í•˜ì—¬ ë²½ì—다 개나 새, 나비 ë“±ì˜ ê·¸ë¦¼ìžë¥¼ 만들어 ë²½ì— ë¹„ì¶”ê²Œ 하는 놀ì´ë¥¼ 한 ê¸°ì–µì´ ìžˆë‹¤.
호롱ì—는 ì•„ë¦„ë‹¤ìš°ë©´ì„œë„ ê¸¸ìƒì˜ ì˜ë¯¸ë¥¼ 지닌 ë¬¸ì–‘ì„ ë„£ì–´ 사용했다. ëª¨ëž€ë¬¸ì„ ìƒˆê²¨ë„£ì–´ 부귀ì˜í™”를 ì—¼ì›í•˜ê±°ë‚˜(ë„3), 장수를 축하한다는 ì˜ë¯¸ì˜ ì„죽화石竹花(패랭ì´)를 그려 장수를 기ì›í–ˆë‹¤(ë„6). ì¼ì œ ê°•ì ê¸°ì— ì‚¬ìš©ëœ í˜¸ë¡±ë“±ìž”ì„ ë“¤ì—¬ë‹¤ë³´ë©´ êµ­ë¯¼ë“¤ì˜ í¬ë§ê³¼ ì—¼ì›ì„ ì—¿ë³¼ 수 있다. 한ì¼í•©ë°©ì‹œê¸° ì œìž‘ëœ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í˜¸ë¡±ì„ ë³´ë©´ êµ­í™”ì¸ ë¬´ê¶í™”ê°€ ë˜ë ·ì´ ìŒê°ë¼ 있다(ë„2). ë°ê²Œ 타오르는 ì´›ë¶ˆì„ ë³´ë©° ìš°ë¦¬ë‚˜ë¼ í•´ë°©ì„ ìœ„í•œ 간절한 소ë§ì„ 새기고 ë˜ ë˜ìƒˆê²¼ìœ¼ë¦¬ë¼. 세밀한 기술력과 현대ì ì¸ 미ê°ì´ ê°íƒ„ì„ ìžì•„낸다. í•œê¸€ì´ ë“¤ì–´ê°„ í˜¸ë¡±ë„ ë¬´ì²™ì´ë‚˜ í¥ë¯¸ë¡­ë‹¤(ë„4, ë„5). ‘불조심’ì´ë¼ëŠ” 문구를 ê³ë“¤ì—¬ ë¶ˆì— ëŒ€í•œ ê²½ê°ì‹¬ì„ 고취한 ì„ ì¡°ë“¤ì˜ ì§€í˜œê°€ ë‹ë³´ì¸ë‹¤.

(왼쪽) ë„4 <ìŒì‹¬ì§€ 불조심 등잔>, ì¼ì œê°•ì ê¸°, 9×7ãŽ, ê³ ì€ë‹¹ 소장
(오른쪽) ë„5 <ì¼ì œê°•ì ê¸° ë°±ìž ì²œì‚¬ 그림 등잔>, ì¼ì œê°•ì ê¸°, 9×8ãŽ, ê³ ì€ë‹¹ 소장

서양ì—서 들어온 램프, ì¼ë³¸ ê±°ì³ ë‚¨í¬ë“±ìœ¼ë¡œ

ì„œì–‘ì˜ â€˜ëž¨í”„(LAMP)’를 가리키는 ë§ì´ë©° ì¼ëª… 양등ì´ë¼ê³ ë„ 했다. 램프는 금ì†ê³¼ 유리로 만든 ìš©ê¸°ì— ì‹¬ì§€ë¥¼ 만든 ë‹¤ìŒ ìœ ë¦¬ë“±í”¼ë¥¼ 씌운 것ì´ë‹¤. ì„ìœ ìš©ê¸°ì— ì‹¬ì§€ë¥¼ 만들어 ë¶ˆì˜ ì–‘ì„ ì¡°ì ˆí•˜ê²Œ 만들고 등피는 비바람ì—ë„ ê²¬ë”œ 수 있ë„ë¡ ì—°í†µí˜•(êµ´ëš í˜•)ì˜ ìœ ë¦¬ë¡œ ë§Œë“¤ì—ˆëŠ”ë° ê·¸ì„ìŒì´ ë§Žì•„ ë‹¦ì„ ë•Œ 유리가 ìžì£¼ ê¹¨ì§€ê¸°ë„ í–ˆë‹¤. 우리나ë¼ëŠ” 1850년대 ì´í›„ ì¼ë³¸ì—서 램프를, ì¼ë³¸ì€ 우리나ë¼ë³´ë‹¤ 조금 ë” ì¼ì° 서양으로부터 수입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ëœë‹¤. ì¼ë³¸ì—서는 ìˆ˜ìž…ëœ ëž¨í”„ë“±ì„ ì¼ë³¸ì‹ ë°œìŒìœ¼ë¡œ ‘남í¬ë“±â€™ì´ë¼ 표기하고, 남í¬ë“±ì€ 다시 우리나ë¼ë¡œ 수입ë˜ë©° ì¼ë³¸ì‹ ë°œìŒ ê·¸ëŒ€ë¡œ ì‚¬ìš©í–ˆìœ¼ë¦¬ë¼ ë³´ê¸° 때문ì´ë‹¤. ë§Œì¼ ì¼ë³¸ì´ 아닌, 서양ì—서 바로 램프가 수입ë˜ì—ˆë‹¤ë©´ 우리나ë¼ì—ì„œë„ â€˜ëž¨í”„ë“±â€™ìœ¼ë¡œ ë¶ˆë €ì„ ê²ƒìœ¼ë¡œ ìƒê°í•œë‹¤. ì‹œê°„ì´ ì°¨ì¸° 지난 ë’¤ ì¼ë³¸ì„ 비롯해 선진국들과 통ìƒì„ 맺으면서 다양한 ëž¨í”„ë“±ì´ ìˆ˜ìž…ë˜ì—ˆë‹¤.

ë„6 <패랭ì´ê½ƒë¬¸ì–‘ 등잔>, 20세기초, 7.5×6ãŽ, ê³ ì€ë‹¹ 소장

외부ì—서 ì‚¬ìš©í•˜ê¸°ì— íŽ¸ë¦¬í–ˆë˜ ë‚¨í¬ë“±

남í¬ë“±ì€ 냄새와 ê·¸ì„ìŒì´ 심하여 실내ì—서는 사용하기 어려웠다. 주로 마루나 마당, 부엌ì—서 ë§Žì´ ì‚¬ìš©ë˜ì—ˆë‹¤. í•„ìžë„ 어릴 ì  ì‹œê³¨ì— ê°€ë©´ 부엌ì—서 사용하는 ê²ƒì„ ë§Žì´ ëª©ê²©í–ˆë‹¤. ë˜í•œ 우리나ë¼ì˜ 전통 ë“±êµ¬ì¸ ì œë“±ê³¼ ê°™ì€ ìš©ë„로 야간 나들ì´ì—ë„ ë§Žì´ ì‚¬ìš©ë˜ì—ˆë‹¤. ë“±ìž”ì˜ ì‹¬ì§€ë³´ë‹¤ ì‹¬ì§€ì˜ í¬ê¸°ê°€ í¬ê¸° ë•Œë¬¸ì— í™”ë ¥ì´ ì›”ë“±ížˆ 좋아 ë°¤ì— ë©€ë¦¬ì„œë„ ì‚¬ë¬¼ì„ íŒë‹¨í•˜ê¸° 쉬웠으며, 연통형으로 ì œìž‘ëœ ë“±í”¼ ë•ë¶„ì— ë¹„ë°”ëžŒì„ ë§‰ì„ ìˆ˜ 있게 만들어져 외부ì—서 사용하기ì—ë„ íŽ¸ë¦¬í–ˆë‹¤.
í•„ìžê°€ 1960년대 ê²¨ìš¸ì— ì¶©ì²­ë„ ì‹œê³¨ ì¹œì²™ì§‘ì— ë†€ëŸ¬ê°€ë©´ 전기가 보급ë˜ì§€ ì•Šì€ ì§€ì—­ì´ì–´ì„œ ë°¤ì´ ë˜ë©´ 아주 ë¶ˆíŽ¸í•´í•˜ë˜ ê¸°ì–µì´ ìžˆë‹¤. ì €ë…ì´ ë˜ê³  ì–´ë‘워지기 시작하면 부엌ì—서 남í¬ë“±ì„ 켜고 ì €ë…ì„ ë§Œë“¤ê³¤ 했다. í™”ìž¥ì‹¤ì— ê°€ê³ ëŠ” ì‹¶ì€ë° ë°–ì´ ê¹œê¹œí•˜ê³  ì•žì´ ì•ˆë³´ì´ì§€ 않아 무서우니 고모가 남í¬ë“±ì„ 들어줘서 간신히 í™”ìž¥ì‹¤ì„ ë‹¤ë…€ì˜¤ê¸°ë„ í–ˆë‹¤. 당시 시골ì´ë¼ê³  해서 모든 ê°€ì •ì´ ë‹¤ 남í¬ë“±ì„ 사용하진 않았다. 가난한 가정ì—서는 ì„유가 ë§Žì´ ì†Œëª¨ë˜ëŠ” 남í¬ë“±ì„ 사용하기 어려웠기 때문ì´ë‹¤. 남í¬ë“±ì„ 사용하기 ì´ì „ì—는 안방과 부엌 사ì´ì— ì°½ë¬¸ì„ ë‚´ê³  ê·¸ê³³ì— ë“±ìž”(호롱)ì„ ì˜¬ë ¤ë†“ê³  ë¶ˆì„ ë°í˜€ 양쪽ì—서 사용했다고 한다. 등 하나로 ë‘ êµ°ë°ë¥¼ ë°í˜€ ì„유를 ì•„ê»´ 쓰기 위해서다. 부엌ì—서 사용하지 ì•Šì„ ë•ŒëŠ” 안방ì—서 ë“±ìž”ëŒ€ì— ë“±ìž”ì„ ì˜¬ë ¤ë†“ê³  사용했다. ì´ ë‚¨í¬ë“±ì€ 1970년대 전기가 대중ì ìœ¼ë¡œ 보급ë˜ë©´ì„œ 차츰 ìžì·¨ë¥¼ ê°ì¶”게 ëœë‹¤. 그러나 1960년대 ì „ë“±ì´ ì¼ë°˜í™”ë˜ê¸° 전까지는 ì¼ë¶€ 가정ì—ì„œë„ ì „í†µì ì¸ 기름(ì„유)ë“±ìž”ì„ ì‚¬ìš©í–ˆë‹¤.


참고ìžë£Œ
《한국전력 : í•œêµ­ì˜ ê³ ë“±ê¸°ã€‹
황현, 《매천야ë¡ã€‹
《ì´ì¡°ì‹¤ë¡ã€‹
심괄, 《몽계필담》
반고, 《한서》



정하근 | ê³ ì€ë‹¹ 대표
ëŒ€í•™êµ 1학년 때부터 50여년간 고미술품 ë° ë“±ìž”ì„ ìˆ˜ì§‘í–ˆë‹¤.
수집한 국내외 전통 등기류만 수천여ì ì— 달한다.
블로그(blog.naver.com/eunam-collection)를 통해
ë§Žì€ ì‚¬ëžŒë“¤ê³¼ ë“±ì— ëŒ€í•œ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