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 미술관 소장 민화 â‘¢ – 연화조어ë„와 문ìžë„ 병í’



ì´ë²ˆ 달ì—는 연화와 새, 게 ë“±ì´ ê·¸ë ¤ì§„ <연화조어ë„>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문ìžë„> 병í’ì„ ë“¤ì—¬ë‹¤ë³¸ë‹¤.
ìž‘ê°€ì˜ ì„¬ì„¸í•œ 필치부터 유불êµì˜ 사ìƒì´ í˜¼ìž¬ëœ ì‹œëŒ€ì  ë°°ê²½ì„ ìŒë¯¸í•˜ë©° ê·¸ë¦¼ì„ ê°ìƒí•´ë³´ìž. (편집ìžì£¼)


품격 있는 <연화조어ë„>

ì´ë²ˆì— 소개할 ìœ ë¬¼ì€ <연화조어ë„蓮花鳥魚圖> 병í’ì´ë‹¤(ë„1). ì´ ë³‘í’ì€ ì—°í™”ë„ì˜ í•œ 종류ì´ì§€ë§Œ ì—°í™” 외ì—ë„ í•˜ëŠ˜ê³¼ ë¬¼ì— ìƒˆì™€ 물고기를 함께 그려 넣었기 ë•Œë¬¸ì— ì—°í™”ì¡°ì–´ë¼ ë¶€ë¥¼ 만하다. 병í’ì€ 8í­ì˜ ì—°í­é€£å¹…으로 ë„“ì€ í™”ë©´ì„ í™œìš©í•˜ì˜€ë‹¤. 새는 ëª¨ë‘ ìŒìœ¼ë¡œ 그려져 ì´ 7ìŒì˜ 물ì´ìƒˆ, 까치, ì›ì•™ìƒˆ, 물새를 ë³¼ 수 있다.
어류는 대부분 ìŒìœ¼ë¡œ 그려졌지만 ì–´ë–¤ 물고기는 떼로 묘사ë˜ì—ˆê³  게와 새우는 ê°ê° 한 마리씩ì´ë‹¤. 조선시대ì—는 ê¶ì¤‘ í˜¼ë¡€ì— ì—°í™”ë„ ë³‘í’ì´ ì‚¬ìš©ë˜ì—ˆë‹¤ëŠ” 기ë¡ì´ 있고 실제 ì°½ë•ê¶ì—서 ì „í•´ì§„ 작례가 국립고ê¶ë°•ë¬¼ê´€ì— ì†Œìž¥ë˜ì–´ 있다. 그러나 하버드 ì†Œìž¥í’ˆì€ ì•ˆë£Œë‚˜ 기êµë©´ì—서 ê¶ì¤‘í•„ì¹˜ì˜ ìˆ˜ì¤€ì—는 미치지 못한다. 그럼ì—ë„ ë¶ˆêµ¬í•˜ê³  ì—°ìžŽì´ ë’¤ì§‘ížŒ ë¶€ë¶„ì˜ ë¬˜ì‚¬ë‚˜ 연줄기와 ì—°ë°¥ì˜ í‘œí˜„ 등ì—서 우아한 ì‚¬ì‹¤ì„±ì„ íšë“하고 있다(ë„1-1). 그런 ì ì—서 ì‹œì¤‘ì— ì‰½ê²Œ 유통ë˜ëŠ” 저렴한 민화보다는 훨씬 í’ˆê²©ì´ ìžˆëŠ” ìž‘ë¡€ë¼ í•  수 있다. ì´ <연화조어ë„>와 지난 5월호ì—서 살펴본 <책거리ë„>는 비êµì  ìµœê·¼ì— í•˜ë²„ë“œì— ìž…ìˆ˜ëœ íŽ¸ì´ë‹¤. ë‘ ì  ëª¨ë‘ ê°• 컬렉션(Kang Collection Korean Art)ì„ í†µí•˜ì—¬ 거래ë˜ì—ˆë‹¤. <연화조어ë„>는 í•œêµ­ì˜ ì´ì „ 소장ìžê°€ 1968ë…„ì— ìº˜ë¦¬í¬ë‹ˆì•„ì— ìžˆëŠ” ê°œì¸ì—게 선물하였고 다시 40여년 ë’¤ì¸ 2012ë…„ì— ê°• ì»¬ë ‰ì…˜ì— ë„˜ê²¨ì¡Œë‹¤. <책거리ë„>는 1960년대부터 미국 ë¡œìŠ¤ì•¤ì ¤ë ˆìŠ¤ì˜ ê°œì¸ì´ 소장하다가 2000ë…„ì— ë‰´ìš• ê°œì¸ì—게 옮겨졌고 2011ë…„ì— ê°• 컬렉션 ì†Œìž¥ì´ ë˜ì—ˆë‹¤. ì´í›„ 하버드ì—서는 2013ë…„ê³¼ 2014ë…„ì— ê°ê° <연화조어ë„>와 <책거리ë„>를 구입하였다. ë”°ë¼ì„œ ì´ ìœ ë¬¼ë“¤ì€ í•˜ë²„ë“œì—서 전시를 통하여 한 번씩 공개ë˜ì—ˆì„ ë¿ êµ­ë‚´ì— ì•Œë ¤ì§ˆ 기회가 ë§Žì§€ 않았다. ê°• ì»¬ë ‰ì…˜ì€ ê°•ê¸ˆìž ëŒ€í‘œì— ì˜í•´ ìš´ì˜ë˜ëŠ” 미국 ë‚´ 대표ì ì¸ 한국미술 전문 골ë™ìƒì´ë‹¤. ê°• 대표는 1981ë…„ 뉴욕 메트로í´ë¦¬íƒ„ 박물관 근처ì—서 ì²˜ìŒ ì‚¬ì—…ì„ ì‹œìž‘í•œ ì´ëž˜ 미국 브루í´ë¦° 박물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시애틀 박물관, 보스턴 미술관, ì˜êµ­ë°•물관 등과 거래를 해왔다.


유êµì™€ ë¶ˆêµ ìš”ì†Œê°€ í˜¼ìž¬ëœ <문ìžë„>


마지막으로 소개할 ìœ ë¬¼ì€ <문ìžë„>ì´ë‹¤(ë„2). ì´ ìœ ë¬¼ì€ íš¨ì œì¶©ì‹ ì˜ˆì˜ì—¼ì¹˜å­æ‚Œå¿ ä¿¡ç¦®å„€å»‰æ¥ë¥¼ ë„안화한 전형ì ì¸ 문ìžë„ì´ë‹¤. 그러나 ëŒ€ê°œì˜ ë¬¸ìžë„ê°€ 그러하듯 ì„¸ë¶€ì— ìž¡ë‹¤í•œ ë„ìƒì´ 잔뜩 나오기 ë•Œë¬¸ì— ì°¬ì°¬ížˆ 살피는 재미가 좋다. 1í­ì—는 íš¨ì˜ ê³ ì‚¬æ•…äº‹ë¥¼ ìƒì§•하는 죽순과 물고기가 나오고 ì—°ê½ƒì´ ë§ë¶™ì—¬ì ¸ 있다. 2í­ì—는 형제를 ìƒì§•하는 할미새 ë‘ ë§ˆë¦¬ê°€ 사ì´ì¢‹ê²Œ 벌레를 나누어 먹고 있다. 옆ì—는 향로ì—서 ì—°ê½ƒì´ í”¼ì–´ë‚˜ê³  있다. 3í­ì—는 물고기가 용으로 변하는 어변성룡魚變æˆé¾ì´ 재현ë˜ì—ˆë‹¤. ì¶©ì´ë¼ëŠ” ê¸€ì”¨ì— ê±¸ë§žê²Œ 충성과 출세를 ì˜ë¯¸í•˜ëŠ” ë„ìƒì´ ì„ íƒë˜ì—ˆì„ 것ì´ë‹¤. 물고기 옆ì—는 ì¼ë°˜ ì–´í•´ë„魚蟹圖ì—서처럼 조개와 ìƒˆìš°ë„ í•¨ê»˜ 나온다. 4í­ì—는 기러기 ë‘ ë§ˆë¦¬ê°€ ê½ƒì„ ë¬¼ê³  ì‹ ì˜ä¿¡ç¾©ë¥¼ 형ìƒí™” 하였다. ì‹ ä¿¡ì—는 ì±…ê±°ë¦¬ì— ë“¤ì–´ê°ˆ 법한 ì±… 장정 ë¬¸ì–‘ì´ ìž”ëœ© 들어가 있다. 5í­ì˜ 예禮 글씨 위로는 ê±°ë¶ì´ 한 마리가 기를 뿜어내고 있다. 6í­ì—는 한 ìŒì˜ 새가 서로를 ë°”ë¼ë³´ê³  있다. ì˜ç¾© 글씨는 연꽃과 복사꽃으로 장ì‹ë˜ì–´ 있다. 7í­ì—서는 염廉 ìœ„ì— ê²Œê°€ 한 마리 ë³´ì¸ë‹¤. 게는 í˜•íŽ¸ì— ë”°ë¼ ì§„í‡´é€²é€€ì˜ ë•Œë¥¼ 알고 처신하ë¼ëŠ” ì˜ë¯¸ì¼ 것ì´ë‹¤. 8í­ì—는 달ì—서 ë–¡ë°©ì•„ 찧는 토ë¼, 불구佛具와 íƒ‘ì´ ë¬˜ì‚¬ë˜ì–´ 있다(ë„2-1). ì´ <문ìžë„>는 ì—¬ëŸ ê¸€ìž ê·¸ëŒ€ë¡œ 유êµì˜ 근본 ì›ë¦¬ë¥¼ 강조하고 있지만 ë™ì‹œì— ì—°í™”, 향로, 탑 ë“±ì´ ê°€ì§„ 불êµì  ìƒ‰ì±„ë„ ë¬´ì‹œí•  수 없다. ì´ëŠ” 여러 ë„ìƒì˜ 혼재와 주술ì ì¸ ë°˜ë³µì´ ë¯¼í™”ê°€ 가진 ë§ˆë ¥é­”åŠ›ìž„ì„ ë‹¤ì‹œê¸ˆ ìž…ì¦í•´ 준다. ì´ ìœ ë¬¼ì€ 1996ë…„ì— í•˜ë²„ë“œì—서 구입하기 전까지는 리아 스나ì´ë”(Lea Sneider)ì˜ ì†Œìž¥í’ˆì´ì—ˆë‹¤. 스나ì´ë” 여사는 주한 ë¯¸êµ­ëŒ€ì‚¬ì˜€ë˜ ë¦¬ì²˜ë“œ 스나ì´ë”(Richard Lee Sneider, 1922~1986)ì˜ ë°°ìš°ìžë¡œì„œ 1974년부터 í•œêµ­ì— ì²´ë¥˜í•˜ì˜€ë‹¤. 5ë…„ì˜ ì²´ë¥˜ 기간 ë™ì•ˆ 스나ì´ë” 여사는 한국 ë¯¼í™”ì— í ë»‘ ë¹ ì ¸ 서울, 대구, ë¶€ì‚°ì„ ëŒë©° ë§Žì€ ìž‘í’ˆì„ ëª¨ì•˜ë‹¤. 1978ë…„ ë¯¸êµ­ì— ëŒì•„온 스나ì´ë” 여사는 ë‰´ìš•ì— ê³¨ë™ìƒì„ ì—´ê³  한국 ë¯¸ìˆ ì„ ë¯¸êµ­ì— ì•Œë¦¬ê¸° 시작하였다. 아울러 ìžì‹ ì˜ ì†Œìž¥í’ˆì„ ë°”íƒ•ìœ¼ë¡œ 1983ë…„ 뉴욕 아시아 소사ì´ì–´í‹°The Asia Societyì—서 ‘길ìƒì˜ ì •ì‹ : 한국 민화와 관련 유물들Auspicious Spirits: Korean Folk Paintings and Related Objects’ì´ë¼ëŠ” 전시를 열었다. ì´ëŠ” 미국ì—서 열린 한국 미술 전시 ê°€ìš´ë° ë¯¼í™”ë¥¼ 중심으로 기íšëœ 보기 드문 사례였다. 한국ì´ë¼ëŠ” 나ë¼ì— 대한 ì´í•´ê°€ ë¶€ì¡±í•˜ë˜ ì‹œê¸°ì— ë¯¸êµ­ì— í•œêµ­ 민화를 소개하고 ê·¸ ë§¤ë ¥ì„ ì•Œë¦¬ê¸° 위하여 ë…¸ë ¥í•˜ì˜€ë˜ ì´ë“¤ì€ 1980년대부터 본격ì ìœ¼ë¡œ 나타나기 시작한다. ì´ë“¤ì€ 대개 ì§ê°„ì ‘ì ìœ¼ë¡œ 한국과 ê´€ë ¨ì„ ë§ºì€ ì‚¬ëžŒë“¤ì´ì—ˆë‹¤. ì´ê²ƒì´ 미국 ë‚´ì˜ í•œêµ­ 민화 ì†Œìž¥í’ˆì„ ì¡°ì‚¬í•˜ê³  출처(provenance)를 ì¶”ì í•˜ë‹¤ ë³´ë©´ 종종 강금ìžì™€ 리아 스나ì´ë”ë¼ëŠ” ì´ë¦„ì„ ë§žë‹¥ëœ¨ë¦¬ê²Œ ë˜ëŠ” 까닭ì´ë‹¤.


김수진 (한국민화학회 학술ì´ì‚¬, 하버드 옌칭 연구소 연구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