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 미술관 소장 민화 â‘¡ – ì±…ê±°ë¦¬ë„ 8í­ ë³‘í’

하버드 대학 ë¯¸ìˆ ê´€ì— ì†Œìž¥ëœ ë¯¼í™” ì´ì•¼ê¸°, ê·¸ ë‘ ë²ˆì§¸ë¡œ 책거리ë„를 ì†Œê°œí•˜ê³ ìž í•œë‹¤. ì´ ìœ ë¬¼ì—서는 êµ­ë‚´ì—서 좀처럼 보기 힘든 ì†Œìž¬ë„ ë°œê²¬í•  수 있ì„ë¿ë”러 ë™ì¼ 공방ì—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ë˜ëŠ” ìœ ë¬¼ë“¤ì´ í•œêµ­ì— ë‚¨ì•„ 있어 서로 비êµí•˜ë©° ê°ìƒí•˜ëŠ” ìž¬ë¯¸ë„ ì ì í•˜ë‹¤. ë¹„ìŠ·í•˜ë©´ì„œë„ ë‹¤ë¥¸ ì´ ì±…ê±°ë¦¬ë“¤ì˜ ì´ì•¼ê¸°ë¥¼ 찬찬히 살펴보ìž. (편집ìžì£¼)


만년필과 ë°¤ì´ ë“±ìž¥í•˜ëŠ” <책거리ë„>

ì´ë‹¬ì— 소개할 유물 중 가장 í¥ë¯¸ë¡œìš´ ê²ƒì€ ë³‘í’ì´ë‹¤(ë„1). 하 버드 소장 ì—서는 만년필ì´ë‚˜ 밤〔栗〕처럼 ë³´í†µì˜ ì—서 보기 드문 소재가 í¬í•¨ë˜ì–´ 있다. 아울러 êµ­ë‚´ì˜ ë‹¤ë¥¸ ê¸°ê´€ì— ë™ì¼ 공방工房ì—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ë˜ëŠ” ìœ ë¬¼êµ°ì´ ë‚¨ì•„ 있어 ì´ë“¤ì„ 하나 ì˜ ê·¸ë£¹ìœ¼ë¡œ 살펴보는 재미가 있다. 먼저 하버드 는 ê¸°ë¬¼ì´ ë‚˜ ì—´ëœ í˜•ì‹ì˜ 8í­ ë³‘í’으로 구성ë˜ì–´ 있다. ì´ ìž‘í’ˆì€ í™”ë©´ ì „ë°˜ì— ë‹¤ì–‘í•œ íŒ¨í„´ì˜ ì±… 장정è£å¹€, 꽃꽂ì´, ê³ ë™ê¸°å¤éŠ…å™¨ì™€ 중국 채색 ë„ìžê¸°ê°€ 다수 등장한다는 íŠ¹ì§•ì„ ê°€ì§„ë‹¤. 왼쪽부터 1í­ì—는 ê³ ë™ê¸°, ë°¤ì„ ë‹´ì€ ë°”êµ¬ë‹ˆ, 매화꽃 ë° ì² ì­‰ 꽃꽂ì´ê°€ 있다. 2í­ì—는 복숭아 ë‘ ê³¼ê°€ íƒìŠ¤ëŸ½ê²Œ 담겨 있고 참나리 꽃꽂ì´, 화로가 있다. 3í­ì—는 안경과 안경집, ë„장 ë‘ ê³¼ê°€ ë³´ì´ê³  백합 ë° ë§¨ë“œë¼ë¯¸ 꽃꽂ì´, ì„류가 íƒìŠ¤ëŸ½ê²Œ 그려져 있다. 4í­ì—는 ì²­í™” 주ìž, êµ­í™” 꽃꽂ì´, 불수ê°ì´ 있다. 5í­ì—는 í¬ë„, 공작 깃털, 연꽃 처럼 책거리ì—서 ìžì£¼ ë³´ì´ëŠ” ë„ìƒ ë¿ ì•„ë‹ˆë¼ ì‹œê³„ì™€ ë§Œë…„í•„ì´ í¬í•¨ë˜ì–´ 있어 ëˆˆê¸¸ì„ ëˆë‹¤.

6í­ì—는 복숭아, 참나리 꽃꽂ì´, 촛대, ì²­í™” 주ìžê°€ ë‘ ë“œëŸ¬ì§„ë‹¤. 7í­ì—는 벼루, ë¶“ì´ ê½‚í˜€ 있는 필통, ì„류와 불수ê°ì´ 있다. 8 í­ì—는 ì°»ìž”ì„ ê±°ê¾¸ë¡œ 쌓아둔 ë„ìƒê³¼ ë„ìž ì£¼ìžê°€ 있다. 아울러 ì†¡ë‚˜ë¼ ê· ìš”éˆžçª¯ ìžê¸°ë¡œ ë³´ì´ëŠ” í°ìƒ‰ 안료가 í˜ëŸ¬ë‚´ë¦° ì°»ìž”ì´ ì¸ìƒì ì´ë‹¤. 사실 ìƒ ì´ëŸ¬í•œ ë„ìƒë“¤ì€ 대부분 ë³´í†µì˜ ì±…ê±°ë¦¬ì—ë„ ìžì£¼ 등장하는 ê²ƒë“¤ì´ ë‹¤. ê·¸ëŸ°ë° ìœ ë… íŠ¹ì´í•˜ë©´ì„œë„ ì´ ìž‘í’ˆì˜ ì œìž‘ 시기를 추정하게 하는 ë„ ìƒìœ¼ë¡œ ë§Œë…„í•„ì´ ìžˆë‹¤. 책거리ì—는 보통 í•„í†µì— ê½‚í˜€ì§„ ë¶“ì´ ê·¸ë ¤ì§€ê³¤ í•˜ëŠ”ë° í•˜ë²„ë“œ 본ì—는 ë¶“ê³¼ 함께 ë§Œë…„í•„ì´ ë“±ìž¥í•œë‹¤(ë„1-1). ìš°ë¦¬ë‚˜ë¼ ì— ë§Œë…„í•„ì´ ìœ ìž…ëœ ê²ƒì€ 1897년경으로 ë¯¸êµ­ì˜ ë£¨ì´ìФ 워터맨(Lewis E. Waterman, 1837~1901)ì´ ê°œë°œí•œ ê²ƒì´ ì¼ë³¸ì„ ê±°ì³ ìˆ˜ìž…ë˜ì—ˆë‹¤. ë”°ë¼ì„œ ì´ ìž‘í’ˆì˜ ì œìž‘ 시기는 1897ë…„ ì´í›„ê°€ ë  ê²ƒì´ë‹¤. ê·¸ëŸ°ë° ì´ ìœ ë¬¼ê³¼ ë™ì¼ ì´ˆë³¸ì„ í™œìš©í–ˆì„ ê²ƒìœ¼ë¡œ ë³´ì´ëŠ” 12í­ ë³‘í’ì´ êµ­ë¦½ì¤‘ì•™ë°•ë¬¼ê´€ì— ì†Œìž¥ë˜ ì–´ 있다(ë„2). 국립중앙박물관 ë³¸ë„ í•˜ë²„ë“œ 것과 마찬가지로 ì±… 장정, 꽃 꽂ì´, ê³ ë™ê¸°, ë„ìžê¸°ê°€ 매 í­ì— 등장한다. ê·¸ëŸ°ë° ì„¸ë¶€ë¥¼ 비êµí•´ë³´ë©´ êµ­ 립중앙박물관 ë³¸ì´ í•˜ë²„ë“œ 본보다 ë„ìƒì´ 조금씩 ì •êµí•˜ê³  묘사가 ê¼¼ 꼼한 ê²ƒì„ ë°œê²¬í•  수 있다. 예를 들어 ì¸ìž¥å°ç«  ë¬˜ì‚¬ì˜ ê²½ìš° 하버드 본 ì€ ì¸ë©´å°é¢ì´ 드러나지 ì•Šì€ ë°˜ë©´ 국립중앙박물관 ë³¸ì€ ì™„ì‚°í•™ì‚¬å®Œå±± 學士, ì„당石堂ì´ë¼ëŠ” 글씨가 드러나 있다. ì‹œê³„ì˜ ê²½ìš°ì—ë„ í•˜ë²„ë“œ 본 ì€ ëšœê»‘ì„ ë‹«ì€ ì±„ë¡œ 묘사(ë„1-4)한 ë°ì— 반해 국립중앙박물관 본ì—는 숫ìž, 시침, 분침까지 잘 묘사가 ë˜ì–´ 있다(ë„2-4). 게다가 국립중앙박물 ê´€ 본ì—는 하버드 ë³¸ì— ì—†ëŠ” 회중시계가 ë‘ ì  í¬í•¨ë˜ì–´ 있다. 안경과 안 ê²½ì§‘ì˜ ë¬˜ì‚¬ë„ í•˜ë²„ë“œ ë³¸ì€ ë‘ ë¬¼ê±´ì„ ê°ê¸° ë§¥ë½ ì—†ì´ ë‚˜ì—´í•´ ë†“ì€ ë°˜ë©´ 국립중앙박물관 본ì—는 ì•ˆê²½ì§‘ì„ ë°˜ì¯¤ ì—´ì–´ ì•ˆê²½ì´ ë³´ì´ê²Œ 묘사하였다. ê·¸ë¦‡ì„ í¬ê°œ ë†“ì€ ë„ìƒê³¼ ë°¤ì˜ ë¬˜ì‚¬ë¥¼ 비êµí•´ ë³´ì•„ë„ í•˜ë²„ë“œ 본(ë„1-2, ë„1-3)보다 국립중앙박물관 본(ë„2-1, ë„2-2)ì´ ì¡°ê¸ˆì”© ë” ì •êµí•˜ë‹¤ëŠ” 것 ì„ ì•Œ 수 있다. ê²°ì •ì ìœ¼ë¡œ 국립중앙박물관 본ì—는 편지 ë´‰íˆ¬ì— ë¶€ì•ˆêµ° 내扶安郡內 무오오월戊åˆäº”月ì´ë¼ëŠ” 기ë¡ì´ 있어 ì´ ìž‘í’ˆì˜ ì œìž‘ 시기 ë„ ë¬´ì˜¤(1918)ë…„ ì´í›„로 추정ëœë‹¤. 아울러 í¥ë¯¸ë¡œìš´ ë„ìƒì´ ë“±ìž¥í•˜ëŠ”ë° ê·¸ê²ƒì€ 10 Cigarette, 定價六錢, MELON(?), Sweetenì´ë¼ê³  ì ížŒ 담뱃 ê°‘ì´ë‹¤(ë„2-3). ê·¸ëŸ°ë° MELON(?)ì´ë¼ ì ížŒ ì˜ì–´ ì•ŒíŒŒë²³ì€ ê¸€ì„ ì¼ë‹¤ê¸°ë³´ë‹¤ëŠ” 그렸다고 하는 ê²ƒì´ ë§žì„ ì •ë„ì˜ ìˆ˜ì¤€ì´ë‹¤. ì´ ë‹´ë±ƒ ê°‘ì€ 1921ë…„ ì´í›„ ì¡°ì„ ì´ë…부전매국æœé®®ç¸½ç£åºœå°ˆè³£å±€ì— 서 ìƒì‚°í•œ 멜론 참외 담배를 그린 것으로 ë³´ì¸ë‹¤. ê·¸ëŸ°ë° ì´ë“¤ê³¼ 유사한 작례가 ì„ ë¬¸ëŒ€í•™êµ ë°•ë¬¼ê´€(ë„3)ê³¼ 김종춘 ê°œì¸ ì†Œìž¥(ë„4)ìœ¼ë¡œë„ ì „í•˜ê³  있어 주목ëœë‹¤. ì´ ìœ  ë¬¼ë“¤ë„ ì•žì„  경우와 마찬가지로 ëª¨ë‘ ì±… 장정, 꽃꽂ì´, ê³ ë™ ê¸°, ë„ìžê¸° ë„ìƒì´ ë‘드러진다. í¬ê°œì§„ 그릇과 ë°¤ ë„ìƒë„ 나 온다(ë„3-1, ë„3-2). ê·¸ëŸ°ë° ì„ ë¬¸ëŒ€í•™êµ ë³¸ì—ë„ ì œìž‘ 시기를 가늠하게 하는 ë„ìƒì´ 하나 ë“±ìž¥í•˜ëŠ”ë° ê·¸ê²ƒì€ ì„±ëƒ¥ê°‘ì´ ë‹¤(ë„3-3). ìƒìžì˜ ì•žë©´ì— ì¡°ì„ æœé®®ì´ë¼ëŠ” ì œëª©ì´ ìžˆê³  옆 ë©´ì— ì´ì‹­ë³¸ìž…貳拾本入ì´ë¼ ì í˜€ 있다. 우리나ë¼ì—서 ì¡°ì„  ì´ë¼ëŠ” ì„±ëƒ¥ì€ ì¡°ì„ ì¸ì´ŒíšŒì‚¬æœé®®ç‡å¯¸æœƒç¤¾ì— ì˜í•´ 1917ë…„ 부터 ìƒì‚°ëœ ì ì´ 있다. ì´ ê°™ì€ ì‚¬ì‹¤ì„ ê³ ë ¤í•˜ë©´ ì´ ëŠ” 1917ë…„ ì´í›„ ìž‘í’ˆì¼ ê°€ëŠ¥ì„±ì´ ë†’ë‹¤. ì´ëŠ” 국립중앙 박물관 ë³¸ì´ 1918~1921ë…„ ì´í›„로 제작 시기가 추정ë˜ëŠ” 것 ê³¼ 연대가 부합한다. í•˜ë‚˜ì˜ ì±…ê±°ë¦¬ë¥¼ 완성하기 위해서는 꽤나 ë§Žì€ ì§€ë¬¼ì˜ ë„ì•ˆì´ í•„ìš”í•˜ë‹¤. ì´ë¡œ ì¸í•´ 책거리는 ì „ ì²´ì´ë“  ì¼ë¶€ì´ë“  ê°„ì— ì´ˆë³¸ì´ í™œìš©ëœ ê²½ìš°ê°€ 많았다. 현재 세ìƒì— 유전하는 책거리 ì´ˆë³¸ë„ ì—¬ëŸ¬ ì  ìžˆë‹¤. 하버드 소장 ë³¸ì„ í¬í•¨í•œ 나머지 3ì ì˜ ìœ ë¬¼ë„ ì—¬ëŸ¬ ë„ìƒì´ 반복ì ìœ¼ë¡œ 재현ë˜ì—ˆë‹¤ëŠ” ì ì—서 ë™ì¼ 공방ì—서 부분 ë„ì•ˆì„ í™œìš©í•˜ ì—¬ ì œìž‘í•˜ì˜€ì„ ê°€ëŠ¥ì„±ì´ ë†’ë‹¤. 다만 시계나 ë°¤ì˜ ë„ìƒì„ ë³´ ë©´ 국립중앙박물관 본(2-4)ì´ ê°€ìž¥ ì •êµí•˜ê³  하버드 본과 선문대 ë³¸ì´ ê·¸ 다ìŒì„ 따른다고 í•  수 있다(ë„1-4, ë„3-4). ë„ì•ˆì˜ ì •êµí•œ ì •ë„는 작품 ì œìž‘ì˜ ê¸°ê°„ ë° ê³µìž„ê³¼ 밀접한 ê´€ë ¨ì´ ìžˆì—ˆì„ ê²ƒì´ë‹¤.


김수진 (한국민화학회 학술ì´ì‚¬, 하버드 옌칭 연구소 연구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