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있게 더위에 맞선 선조듀의 지혜 바람의 샘터 부채읎알Ʞ

바람의 샘터 부채읎알Ʞ

여늄을 나는 전통 Ʞ묌로는 부채가 윌뜞읎닀. 부채는 바람을 음윌킀는 Ʞ능적읞 역할 왞에 멋곌 풍류륌 느끌게 하는 장식적읞 Ʞ능도 가졌닀. 닚선읎나 접선에 멋듀얎진 귞늌을 귞늬고 였묘한 공예로 선추륌 장식했닀. 지ꞈ도 여늄읎멎 부채 귞늌전읎 많읎 엎늰닀. 부채 귞늌에는 믌화도 아죌 얎욞늰닀. 여늄을 맞읎핎 우늬의 전통 공예품읞 부채에 대핮 읎알Ʞ핎 볎자.

아득한 시절부터 핚께 핎옚 생활의 Ʞ묌

바람의 샘터 부채읎알Ʞ우늬 옛말에 ‘여늄 생색은 부채, 겚욞 생색은 달력읎띌(鄕䞭生色 倏扇冬曆)’는 말읎 있듯 더위가 시작되는 닚였에 부채륌 선묌하는 지혜로욎 풍습읎 있었닀.
부채는 순수한 우늬말로 ‘손윌로 부쳐서 바람을 음윌킚닀’는 뜻의 ‘부’자와 대나묎륌 가늘게 쪌갠닀는 ‘채(조귞마한 도구의 손잡읎 채)’자가 얎우러진 용얎닀. 부채띌는 뜻의 한자 ‘선(扇)’은 새턞을 엮얎서 만듀었닀는 의믞륌 가지고 있닀. 쀑국에서는 옛날에 새턞 부채륌 만듀얎 사용하였닀. 고대 제정음치 시대의 지배자가 사용한 진귀한 묌걎윌로 새만읎 였직 하늘을 였륌 수 있얎 새륌 신의 사자로 볎았Ʞ 때묞읎닀. 깃턞부채는 신성시되었닀.
Ʞ록에 의하멎 쀑국은 Ʞ원전 1000년겜 죌(呚)나띌 시대에 2개의 깃턞로 만든 부채가 있었닀고 전핎지고 삌국시대 사대 사람 제갈량은 얞제나 학(é¶Ž)의 깃턞로 만든 ‘백우선(癜矜扇)’윌로 삌군을 지휘했닀고 한닀. 깃턞로 만든 부채의 역사가 아죌 였래되었음을 알 수 있닀.
우늬나띌에서도 였래 전부터 부채륌 사용했닀는 Ʞ록곌 귌거가 많읎 낚아있닀. 「삌국사Ʞ」 에 태조가 슉위하자 견훀읎 공작선(孔雀扇)을 선묌했닀는 Ʞ록읎 있고 원삌국시대 전Ʞ의 유적윌로 알렀진 겜낚 찜원 닀혞늬 고분에서는 부채자룚가 출토되었닀. 또한 4섞Ʞ 겜의 유적읞 고구렀 안악 3혞분 벜화에도 부채가 나타난닀. 귞밖에 산신각에 몚셔진 산신령은 몚두 깃턞 부채륌 듀고 있는 것윌로 묘사된닀.
귞볎닀 더 였랜 흔적도 있닀. Ʞ원전 앜 3000년, 고대 읎집튞 투탕칎멘 왕의 플띌믞드에서 발견된 황ꞈ뎉(棒) 타조 깃턞로 만든 부채는 역사상 가장 였래된 부채음 것읎닀. 또한 Ʞ원전 1500년겜 읎집튞 신왕국시대의 벜화에는 ꞎ 자룚로 된 종렀나뭇잎 부채륌 듀고 왕을 수행하는 장멎읎 나옚닀. 읎렇듯 읞류의 역사와 핚께 핎옚 부채는 닚순히 바람을 음윌킀는 도구뿐 아니띌 비와 햇빛을 가늬는 우산(雚傘)곌 음산(日傘)의 역할을 했윌며 신분을 나타낮는 도구였닀.
읎처럌 바람을 음윌킀는 도구는 섞계 얎디서나 공통점을 갖는닀. 귞것은 읞간의 였랜 역사와 같읎 핎왔고 신분고하륌 막론하고 필수적읞 도구였Ʞ 때묞읎닀.

 

 
생활에 멋을 더한 닀양한 종류와 용도

옛 사람듀은 부채륌 음컬얎 읞풍(仁颚)읎띌 하였닀. 슉 부채 바람은 ‘얎진 바람’윌로 임ꞈ은 바람을 음윌쌜 몚든 백성을 위로하고자 했닀고 전핎진닀. 닚였에는 부채륌 선묌하는 풍습읎 있는데 읎 풍습은 ê³ ë € 쀑엜부터 조선후Ʞ까지 상당히 였랫동안 유행하였닀. 궁궐에서는 부채륌 만드는 선공(扇工)에게 개수륌 할당하여 닚였선을 만듀얎 바치도록 하였고 읎 부채륌 몚아 두었닀가 닚였에 신하듀에게 나누얎 죌었닀. 부채륌 하사받은 읎듀은 여Ʞ에 화가나 명필의 귞늌, Ꞁ씚, 시륌 받거나 귞냥 백선(癜扇)윌로 사용하Ʞ도 했닀.
1123년 송나띌 사신 서Ɥ읎 지은 「선화뎉사고렀도겜」에 ‘고렀읞듀은 한겚욞에도 부채륌 듀고 닀니는데 접었닀 폈닀 하는 신Ʞ한 것읎닀’띌는 Ʞ록읎 있닀. 음제강점Ʞ 음볞에서 발행된 「월간 공예」에는 전죌의 합죜선(合竹扇)을 높읎 평가하여 “부채로서 최상의 것읎띌 핮도 곌얞읎 아니며 음볞에는 읎 같은 묌품읎 없닀. 조선의 공예품 쀑에서 영원히 갖고 싶은 것 쀑의 하나읎닀”띌는 음볞읞의 평읎 나옚닀.
읎렇듯 접선(接扇)은 예부터 섞계적윌로 알렀진 우늬의 소쀑한 묞화였닀. 우늬가 흔히 알고 있는 자룚 달늰 태극선의 종류읞 닚선(團扇)은 부녀자듀읎 죌로 사용하였고 접선은 낚자듀읎 왞출할 때 듀고 닀녔닀. 의ꎀ을 몚두 갖추고 마지막에 부채륌 듀얎알 비로소 왞출을 할 수 있었닀. 여늄 뿐 아니띌 한겚욞에도 부채륌 듀고 닀니닀가 찬바람읎나 뚌지륌 막Ʞ도 하고 불펞한 상대와 마죌치게 되멎 슬귞뚞니 얌굎을 가늬Ʞ도하였닀. 시조와 찜을 할 때도 부채로 장닚을 맞추거나 폈닀 접었닀 하며 풍류와 멋을 슐게고 혞신용윌로도 사용하는 등 선비듀에게 부채는 필수품읎였닀.
부채의 사용에도 법도가 있얎 접는 부채 쀑 큰 것은 신분읎나 벌슬읎 높은 사람만 사용했고, 작은 것읎띌도 접는 부채은 여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닀. 귞러나 Ʞ생곌 묎속읞, 종교읞에게는 필요에 따띌 허띜핎 사용쌀 하였닀. 한때 옻칠한 것을 선혞하Ʞ도 했는데 옻읎 귀할 때는 국가에서 필요한 칠선(挆扇)왞에는 옻칠 부채의 사용을 ꞈ하Ʞ도 했닀.
조선 후Ʞ에는 선멎을 색깔 있는 종읎나 천윌로 두륎고 변죜을 나전읎나 화각, 대몚 등을 붙여 화렀하게 만든 부채륌 Ʞ생듀읎 죌로 사용하였닀. 귞런가 하멎 녞비듀읎 상전에게 부채질을 핎죌는 ë…žì„ (奎扇)읎띌는 것도 있었닀. 귞냥 앉아만 있얎도 견디Ʞ 힘든 삌복엌서(䞉䌏炎眲)에 큰 부채읞 ë…žì„ (奎扇)을 천장에닀 맀달아 놓고 쉎 새 없읎 부채질하며 땀을 흘렀알 했던 상녞듀의 고생은 얎떠했을까?

아늄닀욎 귞늌곌 장식, 예술성도 높아

바람의 샘터 부채읎알Ʞ부채의 종류에 따띌 장식도 닀양했닀. 닚선은 손잡읎와 배멎 사읎에 ꜃지 묞양을 였렀 붙읎는데 국화 묞양곌 포도 묞양을 죌로 ì„°ë‹€. 국화는 쎈가을 삎랑삎랑 부는 바람을, 포도는 닀산곌 풍요륌 뜻한닀. ꜃지 묞양을 붙임윌로썚 부채의 격을 높여죌Ʞ도 하였닀.
조선 정조 때 궁쀑의 화원 욎쎈 박Ʞ쀀은 부채 귞늌을 많읎 낚게는데 백선(癟扇)에 산수화, 쎈충도, 화조도, 나비, 태극묞양 등을 ê·žë žë‹€. 읎 부채 귞늌은 아죌 사싀적읎얎서 마치 싀묌을 붙여 놓은 것 같Ʞ도 하닀. 읎런 부채는 믌화의 책가도 병풍읎나 족자 등에도 귞렀졌는데, 대부분 낙ꎀ읎 없얎서 작가륌 알 수 없닀. 귞러나 합죜선에는 화가의 읎늄읎 낚겚진 것듀읎 ë§Žë‹€. 겞재 정선의 산수도, 닚원 김홍도의 신선도, 혞생ꎀ 최북의 귞늌읎나 완당 김정희의 Ꞁ씚 등 거장의 작품읎 귞렀진 부채는 ê·ž 시대의 가장 격조 높은 부채였닀.
부채의 윌뜞가는 멋읎띌멎 선추(扇錘)륌 ꌜ을 수 있닀. 부채의 손잡읎에 은읎나 백동장식을 붙읎고 고늬륌 끌욎 후 사복에 선추란 장식묌을 닚닀. 옛날 읎 부채는 양반읎띌 핮도 곌거에 였륎지 못하멎 사용하지 못했윌며 벌슬한 묞ꎀ만읎 사용할 수 있었닀고 한닀. 묎ꎀ도 사용할 수 없었닀. 엄격한 신분사회였던 조선사회에서 색싀로 끈목을 짜서 맀듭을 맺고 술을 닚닀는 것 자첎가 지첎 있는 계잵에게만 허용되는 장식읎었던 것읎닀.
선추술에는 분홍, 닀홍, 자죌, 연볎띌, 옥색, 낚색 등 닀양한 색읎 쓰였는데 붕술읎나 싀술같은 번닀한 것은 플하고 죌로 닚정하게 딞Ʞ술읎나 ꎑ닀회륌 읎용하는 방욞술을 닀는 것읎 예사였닀. 선추술에는 볎닀 멋슀럜게 향(驙)을 ê¿°ì–Ž 달Ʞ도하고 칚통 같은 조각품을 달Ʞ도 했닀. 칚통에 비치하는 Ʞ묌은 응꞉용 칚읎나 바늘 혹은 귀읎개와 읎쑀시개 나칚반 등읞데 칚통형태가 닀분히 장식성 위죌띌 한닀멎 나칚반은 항시 휮대 할 수 있게 극소화한 싀용품읎닀. 자귞마한 목장에닀 정교하게 음력각(䞀力刻)하는 재간읎 선추장에 부수되는 Ʞ능처럌 알렀지Ʞ에 읎륎렀닀.
선추술에 맀닀는 목각품윌로는 였래된 대추나묎나 회양목, 박달나묎륌 깎아 새Ʞ는데 빛깔읎 곱고 윀읎 나는 대추나묎륌 제음로 친닀. 묌소 뿔읎나 대나묎 등도 있지만 극히 적은 예읎닀. 조각은 반양각한 것을 만각읎띌 하고 맞뚫얎 새ꞎ 것을 통각읎띌 하는데 묞양의 소재는 19섞Ʞ에 유행한 송학, 음월, 산수, 누각 , 불로쎈, 사군자, 십장생 등읎 죌조륌 읎룬닀. 빌얎난 조형성을 볎여쀀닀.

낭만곌 풍류, 깃든 사연도 가지가지

부채에는 욎치와 낭만성 귞늬고 풍류가 닎겚젞 있닀. 선조 때 백혞 임제가 평안부사로 부임하는 Ꞟ에 황진읎륌 찟았윌나 죜었닀 하여 지니고 있던 부채에 “청쎈(靑草) 우거진 곚에 자난닀 누엇난닀. 홍안 얎듞 두고 백곚만 묎쳀난가 잔 자바 권하늬 없윌니 귞륌 슬허하녞띌”는 Ꞁ귀륌 낚게닀. 귞는 또 얎늰 Ʞ생에게 닀음곌 같은 시가 적힌 부채륌 낚게닀고 한닀.
“한겚욞에 부채 선묌을 읎상하게 생각마띌. 아직 나읎 얎늬니 ì–Žì°Œ 능히 알겠냐마는 한밀쀑 서로의 생각에 불읎 나게 되멎 묎더욎 6월의 엌천볎닀 더 뜚거욞 것읎닀.”
읎 시에 화답읎띌도 하듯 고시조에 닀음곌 같은 Ꞁ읎 낚아 있닀.
“한겚욞 부채 볎낞 뜻을 잠깐 생각하니 가슎에 타는 불을 끄띌고 볎낎었윌나 눈묌로도 못 끄는 불을 부채읞듀 얎읎하늬.”
김시습은 「ꞈ였신화」 쀑 에 “비닚 부채가 맑은 하늘을 원망하는 음은 하지마섞요”띌는 Ꞁ귀륌 낚게는데 읎것은 소박당한 여읞을 상징한 것윌로 가을 부채처럌 자Ʞ 자신을 홀대하지 말띌는 뜻읎 닎겚젞 있닀.
겜낚 통영 지방에는 구전 믌요가 진핎진닀.
“부채 부채 포랑 부채 접고 플는 때깔 볎소 포랑 부채 고욎 도령 접는 부채 나륌 죌소 부채 부채 포랑 부채 가늰 얌굎 눈썹 볎소.”
한국읞의 마음속에 투선강(投扇江)읎 있었는데 얎느 청렎한 ꎀ료가 임지륌 떠나올 때 부채륌 가지고 옚 것을 부끄럜게 여겚 부채륌 강에닀가 던졌닀는 투선강. 였늘의 현싀 사회에서 투선강의 의믞륌 닀시 짚얎뎐알 하지 않을까!
묞명의 읎Ʞ 속에 부채는 ê·ž 섀자늬륌 점점 잃얎가고 있지만 우늬의 부채에는 선조듀의 풍요로욎 마음곌 청량감 같은 시원한 바람읎 역사의 향Ʞ와 핚께 불얎였고 있닀.

 

Ꞁ : ꞈꎑ복(믌화작가, 한국믌화전업작가회 회장)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