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와 화합, í•´íƒˆì„ ì˜ë¯¸í–ˆë˜ 길ìƒì˜ 그림 – ì–´í•´ë„

물고기는 ë™ì„œì™€ ê³ ê¸ˆì„ ë§‰ë¡ í•˜ê³  중요한 ìƒì§•으로 여겨졌다. 그림 ì†ì—서 입신출세와 청렴함, ë¶€ë¶€ì˜ ê¸ˆìŠ¬ê³¼ í•´íƒˆì˜ ê²½ì§€ ë“±ì„ ì˜ë¯¸í–ˆë˜ 물고기는 길ìƒì˜ ì˜ë¯¸ë¡œ ì“°ì´ë©° ë§Œì¸ì˜ ì—¼ì›ì„ 실현하는 매개로 사용ë˜ì—ˆë‹¤. ì´ë²ˆí˜¸ì—서는 ê·¸ë¦¼ì˜ ë‚´ìš©ê³¼ ì†Œìž¬ì— ë”°ë¥¸ 분류를 통해 ì–´í•´ë„ì˜ ì „í†µì ì¸ ì˜ë¯¸ë¥¼ ë˜ì§šì–´ ë³´ê³  시대가 ì›í•˜ëŠ” ë¯¼í™”ì˜ ì—­í• ì„ ì•Œì•„ë³¸ë‹¤.


물고기는 ë™ì„œê³ ê¸ˆì„ 막론하고 ìƒë‹¹ížˆ 중요한 ìƒì§•문양으로, 서양ì—서는 서기 1세기 로마 카타콤 벽화ì—서 물고기 ë¬¸ì–‘ì´ ë°œê²¬ë˜ì—ˆê³  ì´í›„ 예수가 ì¼ìœ¼í‚¨ 오병ì´ì–´äº”é¤ äºŒé­šì˜ ê¸°ì ì´ 마태복ìŒì— 기ë¡ë˜ì–´ 있다. 중국ì—서 물고기는 ì•Œì„ ë§Žì´ ë‚³ëŠ”ë‹¤ 하여 í’ì¡±í•¨ì„ ì˜ë¯¸í•˜ëŠ” 한ìžì¸ â€˜ë‚¨ì„ ì—¬é¤˜â€™ë¥¼ 대신한 길ìƒë¬¸ì–‘으로 사용하였다. 우리나ë¼ì—서는 ì‹ ì„기시대 유ì ì§€ì—서 ë°œê²¬ëœ ìž‘ì€ ìžê°ˆëŒì— 새겨진 물고기 형ìƒì´ 가장 ì˜¤ëž˜ëœ ê²ƒìœ¼ë¡œ 추정하고 있으며 ì•”ê°í™”ì— ê·¸ë ¤ì§„ 물고기 역시 í’요를 기ì›í•˜ëŠ” ì˜ë¯¸ë¥¼ ë‹´ê³  있다. 삼국시대로 넘어오면 고구려 고분벽화, ì‹ ë¼ì‹œëŒ€ í† ìš°åœŸç‰›ì— ì´ì–´ ê³ ë ¤ì²­ìž ë° ì¡°ì„  분청사기와 ë°±ìž ë“± ë„ìžê¸° ë° ê¸ˆì†ê³µì˜ˆí’ˆ 등ì—ë„ ë¬¸ì–‘ìœ¼ë¡œ ì¦ê²¨ 사용ë˜ì—ˆë‹¤.

ê·¸ë¦¼ì˜ ë‚´ìš©ê³¼ ì†Œìž¬ì— ë”°ë¥¸ ì–´í•´ë„ì˜ ë¶„ë¥˜ì‚¬

어해魚蟹란 민물ì´ë‚˜ ë°”ë‹¤ì— ì„œì‹í•˜ëŠ” 어류를 지칭하지만 í¬ê´„ì ìœ¼ë¡œëŠ” ìˆ˜ì¡±æ°´æ— ì „ì²´ë¥¼ 가리키며 ê·¸ 중 물고기와 게를 그린 ê·¸ë¦¼ì„ ì–´í•´ë„ë¼ í•œë‹¤. ì–´í•´ë„는 전통회화는 물론 민화ì—ì„œë„ ë§Žì´ ê·¸ë ¤ì¡ŒëŠ”ë° ê·¸ë¦¼ì˜ ë‚´ìš©ì— ë”°ë¼ ë¬¼ê³ ê¸°ë“¤ì´ ë…¸ë‹ˆëŠ” ìž¥ë©´ì„ ê·¸ë¦° ì–´ë½ë„魚樂圖, ë¬¼ê³ ê¸°ë“¤ì´ í—¤ì—„ì¹˜ëŠ” ëª¨ìŠµì˜ ìœ ì–´ë„éŠé­šåœ–, 잉어가 í•˜ëŠ˜ì„ í–¥í•´ 뛰어오르는 ëª¨ìŠµì„ ê·¸ë¦° 약리ë„èºé¯‰åœ– 등으로 나누며 ì†Œìž¬ì— ë”°ë¼ì„œëŠ” ê¶ì–´ë„鱖魚圖, í•´ë„蟹圖, ì ì–´ë„鮎魚圖, 연화유어ë„蓮花éŠé­šåœ–, 어하ë„é­šè¦åœ–, ì´ì–´ë„異魚圖 등으로 나눌 수 있다.
ê¶ì–´ë„鱖魚圖는 ì˜ê°€ë¦¬ë¥¼ 소재로 그린 그림으로 ì˜ê°€ë¦¬ë¥¼ 뜻하는 ê¶é±–ì€ ê¶ê¶ì„ 뜻하는 ê¶é—•ê³¼ ë°œìŒì´ 같아 대ê¶ì— 들어가 입신출세하는 ê²ƒì„ ì˜ë¯¸í•œë‹¤. í•´ë„èŸ¹åœ–ì— ê·¸ë ¤ì§„ 게는 ìˆ˜ì¤‘êµ°ìžæ°´ä¸­å›å­ë¡œ ì²­ë ´í•¨ì„ ìƒì§•하며 ê»ì§ˆì´ 단단하다 하여 갑옷 갑鉀ìžì™€ ë™ìŒì¸ 으뜸 ê°‘ç”²ì— ì˜ë¯¸ë¥¼ 부여하여 장ì›ê¸‰ì œë¥¼ ìƒì§•한다. ë‘ ë§ˆë¦¬ì˜ ê²Œ[二甲]와 갈대[蘆]를 한 í™”ë©´ì— ê°™ì´ ê·¸ë¦° ê·¸ë¦¼ì„ ì „ë¡œå‚³è˜†ë¼ í•œë‹¤. ë‘ ë§ˆë¦¬ì˜ ê²ŒëŠ” ë‘ ë²ˆì˜ ê³¼ê±°ì‹œí—˜ì¸ ì†Œê³¼, ëŒ€ê³¼ì— ê¸‰ì œí•˜ëŠ” ê²ƒì„ ì˜ë¯¸í•˜ëŠ” 것ì´ë©° 전로傳蘆가 장ì›ê¸‰ì œí•œ 사람ì—게 ì™•ì´ ë‚´ë¦¬ëŠ” ìŒì‹ì„ 뜻하는 전려傳臚와 ë°œìŒì´ 같다 해서 그렇게 표현한 것ì´ë‹¤. 갈대는 한 뿌리ì—서 ì§ì„ ìœ¼ë¡œ ìžë¼ë‚˜ 꽃과 ìžŽì´ í•˜ë‚˜ë¡œ ì—°ê²°ëœ ì—°ê³¼ì‹ë¬¼é€£é¡†æ¤ç‰©ë¡œì„œ 연과連顆와 ë™ìŒì¸ ì—°ê³¼é€£ç§‘ì— ì°©ì•ˆí•˜ì—¬ 갈대 ê·¸ë¦¼ì„ â€˜ì—°ì†í•´ì„œ ê³¼ê±°ì— ê¸‰ì œí•œë‹¤â€™ëŠ” ì˜ë¯¸ë¡œ í’€ì´í•˜ì˜€ë‹¤.

승진과 부부해로, í™”í•©ì„ ìƒì§•í–ˆë˜ ê·¸ë¦¼

ì ì–´ë„鮎魚圖ì—는 메기가 그려져 ìžˆëŠ”ë° ë¹„ëŠ˜ì´ ì—†ì–´ 미ëŒë¯¸ëŒí•˜ì§€ë§Œ ëŒ€ë‚˜ë¬´ì— ì˜¤ë¥´ëŠ” 재주가 있다 하여 ìŠ¹ì§„ì„ ì˜ë¯¸í•œë‹¤. í° ì—°ê½ƒê³¼ í¬ê²Œ 그려진 연잎, ê·¸ ì•„ëž˜ì— ë¬¼ê³ ê¸°ë¥¼ 그린 연화유어ë„蓮花éŠé­šåœ–는 매년 í’족한 ìƒí™œì„ ì˜ìœ„하기를 ë°”ë¼ëŠ” ì˜ë¯¸ë¥¼ ë‹´ê³  있다. 어하ë„魚鰕圖란 새우를 그린 그림으로 새우는 허리가 굽어서 ë°”ë‹¤ì˜ ëŠ™ì€ì´æµ·è€ë¼ëŠ” ë³„ëª…ì´ ìžˆëŠ”ë° í•´ë¡œå•è€ì™€ ë°œìŒì´ 같아 부부해로를 ìƒì§•í•˜ê¸°ë„ í•œë‹¤. ë˜ ìƒˆìš°ì™€ ëŒ€í•©ì„ í•¨ê»˜ 그린 ê·¸ë¦¼ì„ í•˜í•©ë„é°•è›¤åœ–ë¼ í•˜ëŠ”ë° ì—¬ê¸°ì—서 새우 하鰕가 화할 화和와 ìŒì´ 비슷하고 ì¡°ê°œ í•©è›¤ì´ í•©í•  í•©åˆê³¼ ìŒì´ 같아 화합和åˆìœ¼ë¡œ í•´ì„í•˜ê¸°ë„ í•œë‹¤. 즉, ê³¼ê±°ì— ê¸‰ì œí•˜ì—¬ ë²¼ìŠ¬ê¸¸ì— ì˜¤ë¦„ì„ ì¶•í•˜í•˜ë©° 오래ë„ë¡ ìž„ê¸ˆê³¼ 화합하기를 기ì›í•˜ëŠ” ì˜ë¯¸ê°€ 담겨있는 것ì´ë‹¤. ì´ì–´ë„異魚圖는 í¬ê¸°ê°€ 다른 ë‘ ë§ˆë¦¬ì˜ ìž‰ì–´ë¥¼ 함께 그린 그림으로 소과, 대과를 ëª¨ë‘ ê¸‰ì œí•œë‹¤ëŠ” ì˜ë¯¸ë¥¼ ë‹´ê³  있다.
ì´ ë°–ì—ë„ ë¬¼ê³ ê¸° 세 마리만 그린 삼여ë„三餘圖가 ìžˆëŠ”ë° ã€Šì‚¼êµ­ì§€ 위지 ì™•ìˆ™ì „ã€‹ì— ë™ìš°ì— 대한 ì´ì•¼ê¸°ê°€ 전한다. ì–´ë–¤ ì‚¬ëžŒì´ ë™ìš°ì—게 찾아와 ë°°ì›€ì„ ì²­í•˜ë©° ë§í•˜ê¸°ë¥¼ 한가한 ë‚ ì´ ì—†ì–´ ê¸€ì„ ì½ì„ 여가가 없다고 í•˜ìž ë™ìš°ëŠ” í•™ë¬¸ì„ í•˜ëŠ” ë°ëŠ” 세 가지 여가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하였다. ê·¸ 세 가지 여가란 ë°¤, 겨울, 비오는 ë‚ ì„ ë§í•˜ëŠ” 것으로 ë°¤ì€ í•˜ë£¨ì˜ ë‚˜ë¨¸ì§€, ê²¨ìš¸ì€ ì¼ ë…„ì˜ ë‚˜ë¨¸ì§€, 비오는 ë‚ ì€ ë†ì‚¬ì² ì˜ ë‚¨ì€ ì‹œê°„ì´ë¯€ë¡œ ì´ ì„¸ 가지 여유 있는 시간ì´ë©´ í•™ë¬¸í•˜ëŠ”ë° ì¶©ë¶„í•˜ë‹¤ê³  한 것ì´ë‹¤.

ì—­ê²½ì„ ì´ê²¨ë‚¸ 잉어, 마침내 ìš©ì´ ë˜ë‹¤

출세란 ì›ëž˜ ‘세ìƒì— 나간다’ë¼ëŠ” 뜻ì´ë‹¤. 다시 ë§í•´ ìž„ê¸ˆì˜ ë¶€ë¦„ì„ ë°›ì•„ ê´€ì§ì— 진출하여 나ë¼ë¡œë¶€í„° í¬ê²Œ ì“°ìž„ 받는 ê²ƒì„ ë§í•œë‹¤. ‘입신출세’하면 어변성룡ë„魚變æˆé¾åœ–를 ë¹¼ë†“ì„ ìˆ˜ ì—†ì„ ê²ƒì´ë‹¤. 잉어가 ë›°ì–´ 오르는 ëª¨ìŠµì„ ê·¸ë ¸ë‹¤ 해서 약리ë„èºé¯‰åœ–ë¼ ë¶€ë¥´ê¸°ë„ í•˜ëŠ”ë° ì´ëŠ” 잉어가 중국 í™©í•˜ì˜ ê±°ì¹œ 물줄기를 거슬러 오르다 용문ì—서 뛰어오르는 ìž¥ë©´ì„ ë¬˜ì‚¬í•œ 것으로 다ìŒê³¼ ê°™ì€ ë‚´ìš©ì„ ë‹´ê³  있다. 중국 황하 ìƒë¥˜ í˜‘ê³¡ì— ë“±ìš©é¨°è¸Šì´ë¼ëŠ” í° í­í¬ê°€ ìžˆì—ˆëŠ”ë° ì´ë¥¸ ë´„ì² ì— ê°•ë¬¼ì´ ë¶ˆì–´ë‚˜ì„œ 역류하면 ëŠ™ì€ ìž‰ì–´ë“¤ì´ ìš©ë¬¸ì— ëª¨ì—¬ 거센 ë¬¼ê²°ì„ ê±°ìŠ¬ëŸ¬ 오르기 위해 서로 앞 다투어 뛰어오른다. ì´ë•Œ ìˆ˜ë§Žì€ ìž‰ì–´ ê°€ìš´ë° í•œ 마리가 í­í¬ë¥¼ ë›°ì–´ 오르면 우뢰와 번개가 치면서 ìž‰ì–´ì˜ ê¼¬ë¦¬ë¥¼ 불태워 ìš©ì´ ëœë‹¤.
ì´ë ‡ë“¯ 온갖 ì—­ê²½ì„ ì´ê²¨ë‚¸ 잉어가 마침내 용으로 변신하는 ê²ƒì€ ì¶œì„¸ê°€ë„를 달리고 ì‹¶ì–´ 하는 ì¸ê°„ì˜ ìš•ë§ì„ 나타낸 것ì´ë‹¤. 입시학ì›ì˜ ê°„íŒì—ì„œë„ í”히 ë³¼ 수 ìžˆì—ˆë˜ â€˜ë“±ìš©ë¬¸â€™ì—는 í”히 ë³¼ 수 있는 잉어를 ìƒìƒì†ì˜ ë™ë¬¼ì¸ 용으로 변신하게 í•¨ìœ¼ë¡œì¨ í‰ë²”한 ì‚¬ëžŒë„ ë…¸ë ¥í•˜ë©´ 출세할 수 있다는 ê°€ëŠ¥ì„±ì„ ë³´ì—¬ì£¼ê³  있다. 안주하지 ë§ê³  ìš©ê°í•˜ê²Œ ì„¸ìƒ ë°–ìœ¼ë¡œ 나가보ë¼ëŠ” ì˜ë¯¸ë„ ë‚´í¬ë˜ì–´ 있다. 수험ìƒë“¤ì€ 어변성룡ë„를 ë¶€ì ì²˜ëŸ¼ ëª¸ì— ì§€ë‹ˆê±°ë‚˜ ë² ê°œ ì†ì— ë„£ê¸°ë„ í•˜ê³  공부방 ë²½ì— ë¶™ì´ê¸°ë„ 하였다.

해탈, ì•ˆë¹ˆë‚™ë„ ì •ì‹ ê³¼ ìƒí†µí•˜ëŠ” 물고기

불êµì—서는 물고기가 ìžìœ ë¡­ê²Œ 유ì˜í•˜ëŠ” 모습ì—서 ì¼ì²´ì˜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í•´íƒˆì˜ ê²½ì§€ì— ì´ë¥´ëŠ” 것ì´ë¼ 여겼다. 특히 밤낮 ëˆˆì„ ê°ì§€ 않는 ë¬¼ê³ ê¸°ì˜ ìƒíƒœì  특성으로 ì¸í•˜ì—¬ 수행ìžëž€ 모름지기 물고기처럼 ìž ì„ ìžì§€ 않고 부지런히 수행하ë¼ëŠ” ì˜ë¯¸ë¡œ í’ê²½ì´ë‚˜ 목어, ëª©íƒ ë“±ì„ ë¬¼ê³ ê¸° 모양으로 만들었다. ë˜í•œ ê¶Œë ¥ì˜ êµ´ë ˆì—서 벗어나 ìžì—°ì„ ë²— 삼아 ì¦ê¸°ë ¤ëŠ” ì„ ë¹„ì˜ ì•ˆë¹ˆë‚™ë„å®‰è²§æ¨‚é“ ì •ì‹ ê³¼ë„ ìƒí†µí•œë‹¤.
민간ì—서는 잡귀를 물리치는 ë²½ì‚¬ì˜ ìƒì§•으로, ë„둑으로부터 ìž¬ë¬¼ì„ ì§€í‚¤ëŠ” 파수꾼으로서 귀중한 ìž¬ë¬¼ì„ ë³´ê´€í•˜ê³  있는 다ë½ë¬¸ì— 물고기 ê·¸ë¦¼ì„ ë¶™ì¸ë‹¤ê±°ë‚˜ ìŒ€ë’¤ì£¼ì— ë¬¼ê³ ê¸° ëª¨ì–‘ì˜ ìžë¬¼ì‡ ì™€ ì†ìž¡ì´ë¥¼ 부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실ì ì´ë©° í™”ë ¤í–ˆë˜ 19세기 ì–´í•´ë„ì˜ ê²½í–¥

18세기 전반까지는 ì–´í•´ë„를 그린 í™”ê°€ì˜ ëŒ€ë¶€ë¶„ì´ ë¬¸ì¸ë“¤ì´ì—ˆìœ¼ë‚˜ ì´í›„ì—는 ê¶ì¤‘ í™”ì›ë“¤ì— ì˜í•´ ì¼ì •한 í‹€ì´ í˜•ì„±ë˜ì—ˆë‹¤. ì–´í•´ë„ ë¶„ì•¼ì˜ ë…ë³´ì  í™”ì›ì—는 책거리 í™”ê°€ë¡œë„ ìœ ëª…í•œ 장한종張漢宗(1768~1815)ì„ ê¼½ì„ ìˆ˜ 있다. ìœ ìž¬ê±´ì´ ì“´ 《ì´í–¥ê²¬ë¬¸ë¡ã€‹ì—는 â€œìž¥í•œì¢…ì€ ì–´ë¦´ ì ë¶€í„° 숭어, 잉어, 게, ìžë¼ ë“±ì„ ì‚¬ì„œ ê·¸ 비늘과 ê»ì§ˆì„ ìƒì„¸ížˆ 관찰하여 묘사하였으며 매번 ê·¸ë¦¼ì´ ì™„ì„±ë˜ë©´ ì‚¬ëžŒë“¤ì´ ê·¸ ë°•ì§„ê°ê³¼ ì‚¬ì‹¤ì„±ì— ì°¬íƒ„í•˜ì§€ ì•Šì€ ì´ê°€ 없었다.â€ë¼ëŠ” 기ë¡ì´ 남아 있다. ì´ ì‹œê¸°ì— ê·¸ë ¤ì§„ ì–´í•´ë„를 ë³´ë©´ ê´€ë…ì  ì‚¬ê³ ì—서 탈피하여 ìžì—°ì— ê´€ì‹¬ì„ ë‘ê³  물ìƒì„ 묘사하는 ì„±í–¥ì„ ë³´ì—¬ ì´ì „보다 한층 ë” ì—­ë™ì ì´ê³  사실ì ì´ë‹¤. 19세기 ë§ì—½ ê¶ì¤‘ì—서 민간으로 넘어온 ì–´í•´ë„ì—는 부부금슬ì´ë‚˜ 다산 ê°™ì€ í˜„ì‹¤ì ì¸ ì—¼ì›ì„ ë‹´ì•„ 표현한 ê·¸ë¦¼ì´ ë§Žë‹¤. 한 ìŒì˜ 물고기가 사ì´ì¢‹ê²Œ 유í¬ë¥¼ ì¦ê¸°ê±°ë‚˜ êµí•©í•˜ëŠ” ìž¥ë©´ë„ ë§Žì´ ê·¸ë ¤ ì¸ê°„ì˜ ë³¸ëŠ¥ì  ì†Œë§ê³¼ 물고기와 ê°ì–‘ê°ìƒ‰ì˜ ê½ƒì„ ê²°í•©ì‹œì¼œ í•´í•™ì ì¸ ì–´í•´ë„를 탄ìƒì‹œì¼°ë‹¤.

민화 í˜ëª…ì„ ìœ„í•œ 키워드는 융합

민화ì—서 ë³´ì´ëŠ” ì–´í•´ë„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하고 ì—¬ê¸°ì— ë‹¤ì–‘í•œ ì†Œìž¬ë“¤ì„ ë°°ê²½ìœ¼ë¡œ 그려넣어 ìƒì§•ì  ì˜ë¯¸ë¥¼ 확장시키기 위한 ë…¸ë ¥ì„ ëŠìž„ì—†ì´ í•˜ì˜€ë‹¤. ë¯¼í™”ì˜ ì›í˜•ì´ ì¤‘êµ­ì˜ ê²ƒì´ë“  ìš°ë¦¬ë‚˜ë¼ ê³ ìœ ì˜ ì „í†µì—서 나온 것ì´ë“  ê·¸ê²ƒì€ ê·¸ë‹¤ì§€ 중요하지 않다. 다만 ê·¸ ë¯¼í™”ì˜ ì›í˜•ì— ì—¬ëŸ¬ ì„¸ëŒ€ì— ê±¸ì³ ì‚¬ëžŒë“¤ì˜ ìƒê°ê³¼ ì‹œëŒ€ì  ì •ì„œê°€ ì¶•ì ë˜ì–´ ì˜¤ë¡¯ì´ ìš°ë¦¬ì˜ ì „í†µì´ ë  ìˆ˜ 있다는 사실ì´ë‹¤. 전통ì´ëž€ ê·¸ ì‹œëŒ€ì˜ ì‚¬ëžŒë“¤ì´ ì–´ë–»ê²Œ ìƒê°í•˜ê³  ë¬´ì—‡ì„ ìƒê°í•˜ëŠ”ì§€ë¥¼ 결정하여 ê³µë™ì²´ì  특성과 ì‹œëŒ€ì  ì´ìŠˆë¥¼ 만들어 낸다. 예를 들어 중세유럽하면 ì˜ì£¼, 기사, ë†ë…¸ë¥¼ 기반으로 하는 봉건제ë„를 가장 먼저 떠올리듯 ê° ì‹œëŒ€ì˜ ê³µí†µì²´ì  ì˜ì‹ê³¼ íŠ¹ì§•ì€ ì˜¤ëžœ 시간 퇴ì ë˜ì–´ì§„ 것들ì´ë‹¤. 세계경제가 주목하는 4차산업í˜ëª…ì€ ì œì¡°ì—…ê³¼ ì •ë³´í†µì‹ ì„ ìœµí•©ì‹œí‚¤ëŠ” 것ì—서 출발ë˜ì—ˆë‹¤. 미술작품ì—ì„œë„ ê°™ì€ ì›ë¦¬ë¥¼ ì ìš©í•  수 있다. ì°½ìž‘ë¬¼ì„ ë§Œë“¦ì— ìžˆì–´ì„œ 가장 수월한 ë°©ë²•ì€ ê°ê° ë…립해서 ì¡´ìž¬í–ˆë˜ ê¸°ì¡´ì˜ ë…ë¦½ê°œì²´ë“¤ì„ í•˜ë‚˜ë¡œ 합치는 것ì´ë‹¤. ê¸°ì¡´ì˜ ìƒì§•ì  ì†Œìž¬ë“¤ì„ ê²°í•©ì‹œí‚¤ê³  ê·¸ ì†ì— 그리는 ì´ì˜ ìƒê°ì„ ë‹´ì•„ë‚´ë©´ 비로소 ì´ ì‹œëŒ€ê°€ ì›í•˜ëŠ” 민화가 탄ìƒí•˜ëŠ” 것ì´ë‹¤. ë¬¼ê³ ê¸°ì— ê½ƒê³¼ 화초를 접목하여 새로운 ì–´í•´ë„를 만들어 ëƒˆë“¯ì´ ë¯¼í™”ì˜ ë³€ì‹ ì€ ì•žìœ¼ë¡œë„ ê³„ì†ë  것ì´ë‹¤.


글 금광복(대한민국민화전승문화재, (사)한국민화협회 ìƒìž„고문)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