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 ì„¸í•œì‚¼ìš°ë„æ­²å¯’三å‹åœ–

<삼우ë„>, 2022, ìˆœì§€ì— ë¶„ì±„, 봉채, 먹, 70×60ãŽ



ì¸ìƒì„ 살아가며 친구가 ìƒê¸°ê³  나ì´ë¥¼ 먹ì„ìˆ˜ë¡ ì¹œêµ¬ê°€ 필요하다고 한다.
ì¹œêµ¬ë„ ìžì—°ìŠ¤ëŸ½ê²Œ 만났다가 í—¤ì–´ì§€ê¸°ë„ í•œë‹¤. 만남과 헤어ì§ì— 집착하지 않고, í르는 물처럼 운명처럼 있는 그대로 받아들ì´ê³  싶다. ë‚´ 마ìŒì— ì™ ë“¤ì–´ í‰ìƒì„ ê°™ì´ ê°€ê³  ì‹¶ì€ ì¹œêµ¬ê°€ 있는 ì‚¬ëžŒì€ ì •ë§ í–‰ë³µí•œ 사람ì´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예로부터 ì¹œêµ¬ì— ëŒ€í•œ ì´ì•¼ê¸°ê°€ 글ì´ë‚˜ 그림 ì†ì—서 ì „í•´ 온다. ì„¸í•œë„æ­²å¯’圖, 세한삼우ë„, 오우시五å‹è©©, 화목구품花木ä¹å“ ë“±ì´ ìžˆëŠ”ë° ì¹œêµ¬ë¥¼ í™”ëª©ì— ë¹„ìœ í•œ 것ì´ë‹¤. 주로 들어가는 í™”ëª©ì€ ìƒë¡ìˆ˜ì¸ 소나무, 대나무, 매화나무 등ì´ë‹¤. 추운 ê²¨ìš¸ì˜ ë¹„ë°”ëžŒê³¼ 눈보ë¼ë¥¼ ì´ê¸°ê³  늘 푸른 소나무와 대나무, ì–¸ ë•… 위ì—서 ê³ ìš´ ê½ƒì„ í”¼ì›Œ 향기를 뿜어내는 매화를 고난과 ì–´ë ¤ì›€ì„ ê²¬ë””ë©° 불ì˜ì— 굴하지 않는 ì„ ë¹„ì— ë¹„ìœ í•˜ì—¬ 고고하고 기품 있는 선비 ì •ì‹ ì˜ í‘œìƒìœ¼ë¡œ 삼았다. ì´ ë‚˜ë¬´ë“¤ì€ ìš°ë¦¬ì˜ ì—­ì‚¬ì™€ 전통 ì†ì—서 함께 살아와 친숙하며 정서ì—ë„ í° ì˜í–¥ì„ 미치고 있다.
ì¡°ì„  í›„ê¸°ì˜ í•™ìžì¸ 추사 김정í¬ì˜ <세한ë„>는 제주 유배시절, ìžì‹ ì´ ì–´ë ¤ì›€ì— ì²˜í•´ ìžˆì„ ë•Œ ì˜ë¦¬ë¥¼ 지키고 ë„ì›€ì„ ì¤€ ì´ìƒì ì—게 ê³ ë§ˆì›€ì˜ ëœ»ì„ ì „í•˜ê³ ìž ê·¸ë¦° 그림ì´ë‹¤. 추운 겨울ì—ë„ ëŠ˜ 푸른 소나무와 전나무를 그려 넣었다.

ê¹Šì€ ìš°ì •ì„ ë‹´ì€ ì„¸í•œì‚¼ìš°ë„

소나무는 십장ìƒåé•·ç”Ÿì˜ í•˜ë‚˜ë¡œ 장수長壽하는 나무ì´ë‹¤.
ê¶ê¶ì´ë‚˜ ì ˆ, í° ì§‘ì„ ì§€ì„ ë•Œ 대들보용으로 쓰는 나무부터 마ì„ì„ ìˆ˜í˜¸í•˜ëŠ” ë™ì‹ ëª©æ´žç¥žæœ¨, ì‚°ì„ ì§€í‚¤ëŠ” 산신목山神木으로 존재한다. ë‚´ê°€ 어릴 때ì—ë„ ì–´ë¨¸ë‹ˆê°€ ìž¥ì„ ë‹´êµ° ë…ì— ìˆ¯ê³¼ ê³ ì¶”, 솔가지를 ë„ìš°ê³ , 출산한 ì§‘ì— ê¸ˆì¤„ì„ ì³¤ëŠ”ë° ìƒˆë¼ì— 솔가지를 ê¿°ì–´ ë‘었다. 할머니께 ë°°ìš´ 관습으로, 소나무 가지가 ë¶€ì •ì„ ë¬¼ë¦¬ì¹˜ê³  ì£¼ë³€ì„ ì •í™”ì‹œí‚¨ë‹¤ëŠ” 것ì´ì—ˆë‹¤. 실제로 ìˆ¯ì€ ì •í™”ìž‘ìš©ì„ í•œë‹¤ê³  하며 소나무는 ì‹ìž¬ë£Œ 한약재 술ì´ë‚˜ ë–¡ì„ ë¹šì„ ë•Œ 등 ë§Žì´ í™œìš©ë˜ê³  있다. 소나무는 추위와 ì—­ê²½ ì†ì—ì„œë„ í‘¸ë¦„ì„ ê°„ì§í•˜ì—¬ 절개와 ì˜ë¦¬ë¥¼ ìƒì§•í•˜ê¸°ë„ í•œë‹¤. ì¡°ì„  ì´ˆ ì„±ì‚¼ë¬¸ì´ <단심가>ì—서 ‘ë…야청청ç¨ä¹Ÿé‘é‘하리ë¼â€™í•˜ë©° ì¶©ì ˆì˜ ì‹œì¡°ë¥¼ ìŠì—ˆê³ , 대한민국 <ì• êµ­ê°€>ì—ë„ â€˜ë‚¨ì‚°ìœ„ì— ì € 소나무 ì² ê°‘ì„ ë‘른 듯’ì´ëž€ 가사가 들어있다.
대나무는 ìƒë¡ìˆ˜ì´ê³  곧게 ìžë¼ë©° ì†ì´ 비어있고 ìƒëª…ë ¥ì´ ê°•í•˜ë‹¤. ìƒê¹€ìƒˆê°€ ë§‘ê³  절개가 굳다. 마ìŒì„ 비우고 ë“ë„하여 ì²œì§€ì˜ ë„를 행할 êµ°ìžå›å­ì™€ 지조 있는 ì„ ë¹„ì˜ í’ˆì„±ì„ ë¹—ëŒ€ê¸°ë„ í•œë‹¤. ë˜í•œ 장수하고 ìžì†ì„ 번성시키는 ì„±ì§ˆì„ ê°€ì§€ê³  있다. ‘대쪽 ê°™ì€ ì‚¬ëžŒâ€™ì´ë¼ëŠ” ë§ì€ 불ì˜ì— 타협하지 않고 지조를 지키는 사람ì—게 하는 ë§ì´ë‹¤. 고대사회ì—서 대나무는 활, 화살, ì°½ì„ ë§Œë“œëŠ” 재료로 쓰였다. ì‹ ë¼ ì‹ ë¬¸ì™•ë•Œ 대나무로 만든 만파ì‹ì ìœ¼ë¡œ 피리를 부니 ë°”ëžŒì´ ë©ˆì¶”ê³  ë¬¼ê²°ì´ ê°€ë¼ì•‰ì•„ ì ì„ 물리쳤다는 고사가 전해진다. ì¡°ì„ ì‹œëŒ€ì˜ ì‹œì¸ ìœ¤ì„ ë„는 <오우가>ì—서 대나무와 소나무를 노래했다.
매화는 ê²¨ìš¸ì„ ì§€ë‚˜ 맨 먼저 피어 ë´„ì„ ì•Œë¦¬ëŠ” 곱고 향기로운 꽃ì´ë‹¤. 추위를 ì´ê¸°ê³  눈 ì†ì—ì„œë„ í”¼ëŠ” ëª¨ìŠµì´ ë§ˆì¹˜ 불ì˜ì— 굴하지 않고 í•™ë¬¸ì— ì •ì§„í•˜ì—¬ ê½ƒì„ í”¼ìš°ëŠ” 모습과 닮았다 하여 ì„ ë¹„ì •ì‹ ì˜ í‘œìƒì´ê¸°ë„ 하다. 사군ìžå››å›å­ì˜ 하나로 ì„ ë¹„ë“¤ì€ ë¬¸ì¸í™”ì— ë§¤í™”ë¥¼ 그려 지조와 절개를 표현하였다. ≪삼국사기≫ì—서 고구려 대무신왕 24ë…„ì— â€˜ë§¤í™”ê½ƒì´ í”¼ì—ˆë‹¤â€™ëŠ” 기ë¡ì´ 있고 ≪삼국유사≫ì—는 ì¼ì—° ìŠ¤ë‹˜ì˜ ì‹œè©©ì— ë§¤í™”ê°€ ë¶ˆë²•ì„ ìƒì§•한다는 êµ¬ì ˆì´ ìžˆì–´ 매화가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ë¼ì— 있었다는 ê²ƒì„ ì•Œ 수 있다. 조선시대 화가 ê¹€í™ë„는 매화를 사랑하여 매화를 ë§Žì´ ê·¸ë ¸ê³  ëŒ€í•™ìž í‡´ê³„ ì´í™©ì€ â€˜ë§¤í™”ë‚˜ë¬´ì— ë¬¼ì„ ì£¼ê±°ë¼â€™ë©° 유언하고 ëŒì•„가셨다. ì¼ì œ ê°•ì ê¸°ì— 옥사한 ì´ìœ¡ì‚¬ì˜ 시 <광야>ì—서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ì•„ë“하니…’ ë¼ëŠ” 지조를 ì˜ë¯¸í•˜ëŠ” êµ¬ì ˆì´ ë“¤ì–´ìžˆë‹¤.
ì´ì²˜ëŸ¼ 송æ¾ì£½ç«¹ë§¤æ¢…를 삼우三å‹ë¡œ 하여 그린 ê·¸ë¦¼ì„ <세한삼우ë„>ë¼ í•œë‹¤. 예로부터 삼우로 시나 시조를 ìŠê³  ê¸€ì„ ì¼ë‹¤. 예전ì—는 단ì§ë„ 있고 오우五å‹ë„ 있었지만 ì§€ê¸ˆì€ ê·¸ë¦¬ì›€ìœ¼ë¡œ 남아있다.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ìŒìœ¼ë¡œ 민화로 <세한삼우ë„>를 그려 보았다. 다시 ë´„ì´ ì™”ë‹¤. ìƒˆë´„ì— ê³ ëª©ì—서 ê½ƒì´ í”¼ê³ , ë•…ì†ì—서 ì£½ìˆœì´ ì˜¬ë¼ì˜¤ê³ , ì†”ê°€ì§€ì— ìƒˆìˆœì´ ë‹ì•„난다. ë´„, 여름, ê°€ì„, 겨울 ë˜ ë‹¤ì‹œ ë´„. 순환하는 ìžì—° ì†ì—서 ìƒëª…ì€ ì´ì–´ì§€ê³  ì˜ì›í•˜ë‹¤.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