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 ë´„ë§žì´ ë§¤í™”

최천숙, <매화꽃 ì°»ìžë¦¬>, 2022, ìˆœì§€ì— ë¶„ì±„, 봉채, 45×53ãŽ



추위와 ì–¸ ë•…ì„ ëš«ê³  나와 피는 꽃 매화는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í•™ë¬¸ì— ì •ì§„í•˜ëŠ” 깨ë—한 ê¸°í’ˆì„ ì§€ë‹Œ 선비를 ìƒì§•한다. 작품ì—서는 매화나무 아래 너럭바위 위ì—서 ì°»ìžë¦¬ë¥¼ 하는 모습과 ì¹ ì§€ë„, 까치, ê³¡ì˜¥ì„ í•¨ê»˜ 그려 길ìƒì— 대한 ì—¼ì›ì˜ 마ìŒì„ 담아보았다.

글·그림 최천숙 작가


ë°”ëžŒê²°ì— ì‹¤ë ¤ 온
ê³ ìš´ í–¥ ë”°ë¼ ê°”ë”니

ìˆœë°±ì˜ ìž‘ì€ ê½ƒì´
í•˜ëŠ˜ì„ í–¥í•œ 가지 ë”°ë¼
ì´ì´ížˆ 달려
êµ°ìžì˜ í’모를 ë³´ì´ê³ 

봄바람 불어와
꽃비 날린다

ë°œë“±ì— ê½ƒìžŽ 쌓여
차마 ë°œì„ ë–¼ì§€ 못하고
비 맞고 서 있다

ë¶í•œì‚° ìžë½ì— 있는 우리 아파트ì—ë„ ê³³ê³³ì— ë‚˜ë¬´ê°€ ë§Žì´ ì‹¬ê²¨ì ¸ 있다. ìž…ì¶˜ì´ ì§€ë‚˜ë©° ì–¸ ë•…ì´ í’€ë¦¬ê³  마른 ê°€ì§€ì— ë¬¼ì´ ì˜¤ë¥´ë©´ 가장 먼저 피는 ê½ƒì´ ë§¤í™”ì´ë‹¤. ì¶˜ì„ æ˜¥å…ˆì„ ì•Œë¦¬ëŠ” 매화나무는 ì²­ ë§¤ì‹¤ì´ ë‹¬ë¦¬ëŠ” 청매, ë¶‰ì€ ê½ƒì´ í”¼ëŠ” í™ë§¤, í° ê½ƒì´ í”¼ëŠ” 백매가 ìžˆëŠ”ë° ì•„íŒŒíŠ¸ 단지를 산책하면 ì´ ì„¸ ì¢…ë¥˜ì˜ ë§¤í™”ë‚˜ë¬´ë¥¼ ëª¨ë‘ ë³¼ 수 있다. ë²½ì„ ë’¤ë¡œ 하고 피어 있는 í™ë§¤ëŠ” 한 í­ì˜ ì‚¬êµ°ìž ìž‘í’ˆì„ ë– ì˜¬ë¦¬ê²Œ 한다.
ê²€ì€ ê°€ì§€ì— í•˜ì–€ ê½ƒì´ í”¼ì–´ ê³ ìš´ 향기를 전해오는 매화는 예로부터 소나무, 대나무, 난과 함께 사군ìžì˜ 하나로 ë§Žì€ ì‚¬ëž‘ì„ ë°›ì•„ì˜¨ 꽃나무ì´ë‹¤. 추위와 ì–¸ ë•…ì„ ëš«ê³  나와 피는 꽃ì´ë¼ ì–´ë ¤ì›€ì„ ê·¹ë³µí•˜ê³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í•™ë¬¸ì— ì •ì§„í•˜ëŠ” 깨ë—한 ê¸°í’ˆì„ ë³´ì—¬ì£¼ì–´ ì„ ë¹„ì˜ í‘œìƒì´ë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천 ì›ì§œë¦¬ ì§€íì— ìžˆëŠ” ì„±ë¦¬í•™ìž í‡´ê³„ ì´í™©ì€ 매화를 사랑하여 매화시를 여러 편 남겼고, 70ì„¸ì— ëŒì•„가시면서 마지막으로 남긴 ë§ì´ “저 ë§¤í™”ë‚˜ë¬´ì— ë¬¼ì„ ì£¼ì–´ë¼â€ì˜€ë‹¤ê³  한다.
차를 마실 때 따뜻한 ë…¹ì°¨ì— ê½ƒë´‰ì˜¤ë¦¬ë¥¼ ë„ìš°ë©´ ê½ƒì´ í™œì§ í”¼ì–´ ë§¤í™”í–¥ì´ ê·¸ìœ½í•œ 차를 마실 수 있다. 피어나는 꽃봉오리를 딸 ìˆ˜ë„ ì—†ì–´ ì£¼ë³€ì„ ë§´ëŒë©° ì³ë‹¤ë³´ê¸°ë§Œ 했다.

매화, 그리고 차

ê²½ê¸°ë„ ì•ˆì–‘ì—서 1ë…„ ì •ë„ ì‚´ì•˜ë˜ ì ì´ 있었다. ë™ë„¤ ê¸¸ì„ ê°€ë˜ ì¤‘ ‘예절관’ì´ë¼ëŠ” 안내íŒì´ ëˆˆì— ë„ì–´ 찾아가보았다. ì§‘ì—서 걸어가니 10ë¶„ ì •ë„ ê±¸ë ¸ëŠ”ë°, 안내íŒì´ 있는 ê±´ë¬¼ì€ ì •ì›ì´ ë„“ì€ ì£¼íƒìœ¼ë¡œ ëŒ€ë¬¸ì´ ì—´ë ¤ 있었다. 꽃나무가 잘 ì •ëˆë˜ì–´ 심겨져 있었고, 잔디가 깔린 ë§ˆë‹¹ì´ ë„“ì€ ê³³ì´ì—ˆë‹¤. ì›ëž˜ 시장 공관ì´ì—ˆëŠ”ë° ë‹¹ì‹œ 안양 ì‹œìž¥ì´ ê³µê´€ì„ ì‹œë¯¼ë“¤ì—게 내어주며 만든 공간ì´ë¼ê³  한다. 시민ì´ë‚˜ 유치ì›ìƒ, ì´ˆÂ·ì¤‘Â·ê³ ë“±í•™êµ í•™ìƒë“¤ì—게 예절êµìœ¡ì„ 진행하여 ì˜ˆì˜ ë°”ë¥¸ ì‹œë¯¼ì„ ê¸°ë¥´ëŠ” ë° ëª©í‘œë¥¼ ë‘는 듯 했다. ë‚˜ë„ ê°€ì •í•™ì„ ì „ê³µí•˜ê³  가정 ì„ ìƒì„ 한 ê²½ë ¥ì´ ìžˆì–´ 가정êµìœ¡ì„ 비롯해 기본예절ì´ë‚˜ 공중ë„ë•, 바른 ì¸ì„±ì„ 기르기 위한 êµìœ¡ì˜ ì¤‘ìš”ì„±ì„ ìž˜ 알고 있다.
예절관ì—서는 관혼ìƒì œ ì˜ë¡€ì™€ 절하기, ì¸ì‚¬í•˜ê¸°, 한복입기 ë“±ì˜ ê¸°ë³¸ì˜ˆì ˆì„ ê³µë¶€í•˜ê³  ê·¸ì— ë”°ë¥¸ 다례와 ê½ƒê½‚ì´ ê°•ìŠµì„ ë°›ì•˜ë‹¤. ì˜ˆì „ì— ë‹¤ 해본 것ì´ì—ˆì§€ë§Œ, 재밌었다. 한 번씩 소학, 중용, ëª…ì‹¬ë³´ê° ë“±ì˜ ê°•ì˜ë„ 들었다. 다례茶禮 시간ì—는 주로 녹차 마시는 법으로 시작하여 ë§ì°¨ 만들기, 다ì‹ê³¼ 다화 ë“±ì„ ë‘루 배웠다. ê·¸ 시절 함께 ë°°ìš´ ë™ë£Œ 몇 명과 함께 ‘별밭다회’를 만들고, ë´„ê°€ì„ ì¢‹ì€ ë‚ ì„ ìž¡ì•„ ì°»ìžë¦¬ë¥¼ 열곤 한다.
매화 í•€ ë´„ë‚ . ì°»ìž”ì— ê½ƒë´‰ì˜¤ë¦¬ ë„워 ì£¼ë˜ íŒ½ì£¼(烹主, ì°»ìžë¦¬ì—서 차를 우려내는 사람)ê°€ ìƒê°ë‚œë‹¤. 작품ì—서는 매화나무 아래 너럭바위 위ì—서 차를 마시는 ëª¨ìŠµì„ ê·¸ë ¸ë‹¤. ì¹ ì§€ë„, 까치, 곡옥 ë“±ì„ í•¨ê»˜ 그려 길ìƒì— 대한 ì—¼ì›ì˜ 마ìŒì„ 담아보았다.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