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µ 봉숭아 꽃물

<혜명 초충ë„> (봉숭아와 방아깨비), 2021, ìˆœì§€ì— ë¶„ì±„, 봉채, 50×40ãŽ



옛날ì—는 ì—¬ìžë¿ ì•„ë‹ˆë¼ ë‚¨ìž ì•„ì´ë„ 봉숭아로 ì†í†±ì„ 빨갛게 물들였다고 한다.
ì´ê²ƒì€ 예ì˜ê²Œ ë³´ì´ê²Œ 하려고한다기 보다 병마를 막기 위함ì´ì—ˆë‹¤.
ë¶‰ì€ ìƒ‰ì´ ë³‘ì´ë‚˜ ë‚˜ìœ ê²ƒìœ¼ë¡œë¶€í„° ëª¸ì„ ë³´í˜¸í•œë‹¤ëŠ” ì†ì„¤ì´ 있기 때문ì´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담장 아래
올ë§ì¡¸ë§ í•€
하양, 빨강, ë¶„í™ ê½ƒ
봉숭아

색ë™ì €ê³ ë¦¬ ìž…ê³ 
ì—´ ì†í†±ì„ 붉게 물들ì¸
ì†ì— ì†ìž¡ê³ 
빙빙 ëˆë‹¤.

훤æ˜í•œ 얼굴ì—
웃ìŒê½ƒ 피어
뛰어 노는
우리 ì•„ì´ë“¤

봉숭아 꽃물 들ì´ê³ .

10ì›” 첫날 제주ì—서 ì•„ì¹¨ì— ë§ˆì„ë™ë„¤ ì‚°ì±…ê¸¸ì„ ë‚˜ì„°ë‹¤.
뒤쪽 산등성ì´ì—는 설문대할ë§ì´ 길게 누워 있고 앞쪽으로 걸어 나가면 푸른 ë°”ë‹¤ì— ë– ìžˆëŠ” ì„¶ ì„¬ì´ ë³´ì¸ë‹¤. 노랗게 물들어가는 ê°ê·¤ ë°­ì„ ì§€ë‚˜ë‹¤ê°€ í˜„ë¬´ì•”ì„ ì°¨ê³¡ì°¨ê³¡ 쌓아 올린 ë‚®ì€ ë‹´ 아래 붉ì€ìƒ‰ 봉숭아가 나란히 피어 있었다. 너무나 반가워 ê°€ë˜ ê¸¸ì„ ë©ˆì¶”ê³  들여다본다. ê½ƒìžŽì´ ë´‰í™©ê°™ì´ ìƒê²¨ 봉선화鳳仙花ë¼ê³ ë„ 부른다. í° ì¹´ë©”ë¼ë¡œ 요리조리 ì°ì–´ ë‘었다.

“아빠하고 나하고 만든 꽃밭ì—~
ì±„ì†¡í™”ë„ ë´‰ìˆ­ì•„ë„ í•œì°½ìž…ë‹ˆë‹¤â€

어린 시절 ë§Žì´ ë¶ˆë €ë˜ ë™ìš”ì´ë‹¤. 우리 ì§‘ 꽃밭ì—ë„ ë´‰ìˆ­ì•„ê°€ 피어 있었다. 아버지께서 ê½ƒì„ ì¢‹ì•„í•˜ì…”ì„œ ë§ˆë‹¹ì— ê½ƒê³¼ 나무가 ê°€ë“했다. 봉숭아 ê½ƒìžŽì„ ë”°ë‹¤ê°€ ë°”ìœ„ì— ì˜¬ë ¤ë†“ê³  ìž‘ì€ ëŒë¡œ ì§“ì´ê¸´ë‹¤. ë°±ë°˜ì„ ì¡°ê¸ˆ 넣어 섞어 ì†í†±ìœ„ì— ì˜¬ë¦¬ê³  봉숭아 길쭉한 ìžŽì„ ë”°ë‹¤ ëŒëŒ ê°ì•„ 하얀 무명실로 묶는다. ì‚¬ë‚˜í˜ ë°¤ 지나면 ì†í†±ì´ 빨갛게 ë¬¼ë“ ë‹¤ëŠ”ë° í•œ ë²ˆë„ ì„±ê³µí•˜ì§€ 못했다. 봉숭아가 떨어질까 ë´ ì¡°ì‹¬í•´ë„ í•˜ë£¨ë¥¼ 넘기지 못했다. ê·¸ëž˜ë„ ë¶‰ì€ ë¬¼ì€ ë“¤ì—ˆë‹¤.
다섯 ì†ê°€ë½ ëª¨ë‘ ë“¤ì¸ ì ë„ 있고 약지와 새ë¼ì†ê°€ë½ì—ë§Œ ë“¤ì¸ ì ë„ 있었다. ì†í†±ì´ ìžë¼ë‚˜ë©´ì„œ 물든 ì†í†±ì´ ì ì  잘려나간다. 꽃물 ë“  ì†í†±ì´ 첫눈 내릴 때까지 남아 있으면 ì²«ì‚¬ëž‘ì´ ì´ë£¨ì–´ì§„다는 ë§ì´ 있다.

봉숭아 물들ì´ê¸°, ë²½ì‚¬ì  ì˜ë¯¸ë„ 지녀

옛날ì—는 ì—¬ìžë¿ ì•„ë‹ˆë¼ ë‚¨ìž ì•„ì´ë„ 봉숭아로 ì†í†±ì„ 빨갛게 물들였다고 한다. ì´ê²ƒì€ 예ì˜ê²Œ ë³´ì´ê²Œ 하려고한다기 보다 병마病魔를 막기 위함ì´ì—ˆë‹¤. ë¶‰ì€ ìƒ‰ì´ ë³‘ì´ë‚˜ ë‚˜ìœ ê²ƒìœ¼ë¡œë¶€í„° ëª¸ì„ ë³´í˜¸í•œë‹¤ëŠ” ì†ì„¤ì´ 있기 때문ì´ë‹¤. ì§‘ 울타리나 장ë…ëŒ€ì— ë¶‰ì€ ë´‰ì„ í™”ë¥¼ 심으면 ë±€ì´ ì§‘ì•ˆìœ¼ë¡œ 들어오지 못한다고 하여 금사화ç¦è›‡èŠ±ë¼ ë¶€ë¥´ê¸°ë„ í–ˆë‹¤.
ìš°ë¦¬ë‚˜ë¼ í† ì¢… í°ìƒ‰ 봉숭아는 ì”¨ì•—ì´ ì•½ìž¬ë¡œ ë§Žì´ ì“°ì´ëŠ”ë° ëª¸ì†ì˜ ë©ì–´ë¦¬ë‚˜ 뼈를 무르게 하는 ì„±ì§ˆì´ ìžˆì–´ ê°ì¢… ì—¼ì¦ì´ë‚˜ 통ì¦, ì•”ì— ì¢‹ê³  ì–´í˜ˆì„ í’€ì–´ í˜ˆì•¡ìˆœí™˜ì„ ì›í™œí•˜ê²Œ 하여 불임ì¦ì´ë‚˜ ë¶€ì¸ë³‘ì—ë„ íš¨ëŠ¥ì´ ìžˆë‹¤. 요즘ì—는 매니íì–´ì— ë°€ë ¤ 사ë¼ì¡Œì§€ë§Œ, ì†í†±ì„ 봉숭아 꽃잎으로 물들ì´ëŠ” í’ìŠµì€ ë³¸ëž˜ 잡귀나 ë³‘ì´ ë“¤ì–´ì˜¤ì§€ 못하게 하는 방편으로 ë˜ì‚´ë ¤ì•¼í•˜ëŠ” 전통 í’ì†ì´ë‹¤. 서리 내리기 전까지 ê½ƒì´ í•€ë‹¤ëŠ” 봉선화를 ê°€ì„ë‚  남쪽 지방ì—서 만나니 어린 ì‹œì ˆì´ ë– ì˜¬ë¼ ëŒì•„가신 ë¶€ëª¨ë‹˜ì´ ê·¸ë¦¬ì›Œì§„ë‹¤.
ë‚´ë…„ì—는 친정집 ë§ˆë‹¹ì— í•€ 봉숭아를 따다가 ê½ƒë¬¼ì„ ì˜ˆì˜ê²Œ 들여 ë´ì•¼ê² ë‹¤.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