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³ 10ì›”ì— ë§Œë‚œ êµ­í™”

<혜명초충ë„(국화와 귀뚜ë¼ë¯¸)>, 2021, ìˆœì§€ì— ë¶„ì±„, 봉채, 먹, 52×42ãŽ



국화는 ì—¬ëŸ¬í•´ì‚´ì´ í™”ì´ˆë¡œ 매화, 난, 대나무와 함께 사군ìžå››å›å­ì¤‘ì˜ í•˜ë‚˜ì´ë©° 기품과 ê³§ì€ ê¸°ìƒì´ 있다.
ê½ƒì´ ì•„ë¦„ë‹¤ì›Œ 모란, 작약과 함께 삼가품三佳å“ì— ì†í•œë‹¤.
ë…¸ëž€ìƒ‰ì˜ ê¸°í’ˆ 있는 대국, 실국화와 í–‰ìš´ì„ ê°€ì ¸ë‹¤ì¤€ë‹¤ëŠ” ê°€ì„ë‚ ì˜ ê·€ëšœë¼ë¯¸ë¥¼ 그려
ê³„ì ˆì˜ ì •ì·¨ë¥¼ 담아낸 초충ë„를 그려보았다.

글·그림 최천숙 작가


ë™ëŒ€êµ¬ì—­ ë¬¸ì„ ë‚˜ì„œë‹ˆ ìŒ~ 국화꽃 향기.
ê´‘ìž¥ì— ê½ƒìž”ì¹˜ê°€ 열렸다. ìŒë ¥ 9ì›”ì— ì•„ë²„ì§€ 기제사가 있어 친정 가는 길ì´ì—ˆë‹¤. ê°ˆ ê¸¸ì´ ë°”ì˜ë‹¤ê³  í•´ë„ ê½ƒë°”ëžŒì— ì‹¤ë ¤ 오는 그윽한 향기를 ë”°ë¼ ê°”ë‹¤. ì˜¤ë°©ìƒ‰ì˜ í¬ê³  ìž‘ì€ êµ­í™”ê°€ 모여 ê³ ìš´ ìžíƒœë¥¼ ë³´ì¸ë‹¤. ì „ì‹œëœ ìž‘í’ˆë“¤ì€ ê½ƒì„ í•˜ë‚˜í•˜ë‚˜ 따서 만든 ëˆ„êµ°ê°€ì˜ ì†œì”¨ë¥¼ ìžëž‘한다. 아버지 ì†ë°”닥만 한 노란 실국화가 받침대를 하고 우아하게 서 있고, ê°ìƒ‰ì˜ ì†Œêµ­ì´ ì˜¹ê¸°ì¢…ê¸° 모여 ì—¬ì˜ì£¼ë¥¼ 물고 있는 ìš©é¾ì„ 만들었다. 나는 대형 꽃 태극기를 배경으로 셀카를 ì°ê³ ì„  아쉬운 마ìŒì„ 뒤로 하고 ê´‘ìž¥ì„ ë– ë‚¬ë‹¤.

ì–´ëŠ ê°€ì„ë‚ ì˜ ì¶”ì–µ

대구 ê·¼êµì— 경산군과 ì²­ë„êµ°ì´ ìžˆëŠ”ë° ì²­ë„ ë§¤ì „ì¤‘í•™êµì— ë°œë ¹ì´ ë‚˜ì„œ 근무하게 ë˜ì—ˆë‹¤. 공립학êµì˜ 경우 한 í•™êµì—서 5ë…„ ë™ì•ˆ 근무하고 나면 다른 í•™êµë¡œ ì´ë™í•´ì•¼ 하므로 경산 용성중학êµì—서 ì²­ë„로 갔다. ì²­ë„는 ì‚° 고개를 넘어 가고 과수ì›ì´ ë§Žì€ ê½ƒí”¼ëŠ” 산골ì´ì—ˆë‹¤.
대구ì—서 버스를 타고 1시간 ì •ë„ ê±¸ë ¤ í•™êµë¡œ 갔다. ë´„ì—는 과수ì›ì˜ 사과꽃, 배꽃, ë³µì‚¬ê½ƒì´ ë¶„í™ ì²œì§€ë¥¼ ì´ë£¨ê³  여름ì—는 ëª»ì— ì—°ê½ƒì´ ì¶œë ì´ë©° ê°€ì„ì—는 집집마다 서있는 ê°ë‚˜ë¬´ ëì˜ ê¹Œì¹˜ë°¥ 달린 í’ê²½ì„ ë³´ë©° 언제나 ì¦ê±°ì› ë‹¤. í° ëˆˆ 내린 겨울산ì—는 ëˆˆê½ƒì´ í”¼ì–´ ì‚¬ê³„ì ˆì˜ ì•„ë¦„ë‹¤ì›€ì„ ì°¨ì°½ 밖으로 ê°ìƒí•˜ë‹¤ë³´ë©´ 먼 ì¶œí‡´ê·¼ê¸¸ì´ ë©€ì§€ 않았다.
ê°€ì„ì´ ë¬´ë¥´ìµì„ 때는 ë†ì—… ì„ ìƒë‹˜ê»˜ì„œ ì •ì„±ê» ê°€ê¾¸ì–´ 차려 ë†“ì€ êµ­í™”ë¶„ì´ ì¶œê·¼ê¸¸ì„ í™˜í•˜ê²Œ 해주었다. 매전중학êµëŠ” 남녀공학으로 나는 여학ìƒë“¤ì—게 가정과 가사를 가르쳤고 남학ìƒë“¤ì€ ë†ì—… ì„ ìƒë‹˜ê»˜ 기술과 ë†ì—…ì„ ë°°ì› ë‹¤.
ê·¸ ì„ ìƒë‹˜ê»˜ì„  ê°€ì„ì´ë©´ 국화전시를 하셨다. ê½ƒì„ ì§ì ‘ 기르고 ë¶„ìž¬ë„ í•˜ë©° 가꾸어 1ë…„ 중 ë§ˆì§€ë§‰ì— í”¼ëŠ” 국화꽃으로 저무는 ê°€ì„ì˜ ì“¸ì“¸í•¨ì„ ëœì–´ 주었다.

기품과 ê³§ì€ ê¸°ìƒ ê²¸ë¹„í•œ êµ­í™”

국화는 ì—¬ëŸ¬í•´ì‚´ì´ í™”ì´ˆë¡œ 매화, 난, 대나무와 함께 사군ìžå››å›å­ì¤‘ì˜ í•˜ë‚˜ì´ë©° 기품과 ê³§ì€ ê¸°ìƒì´ 있다. ê½ƒì´ ì•„ë¦„ë‹¤ì›Œ 모란, 작약과 함께 삼가품三佳å“ì— ì†í•œë‹¤. 선비가 좋아하는 ì€ìžéš±å­ì˜ í’모와 서리 내리는 추운 ê³„ì ˆì„ ê²¬ë””ê³  ì´ê²¨ë‚´ëŠ” 모습 ë•Œë¬¸ì— ì ˆê°œì™€ ì¶©ì ˆì„ ìƒì§•í•˜ê¸°ë„ í•œë‹¤. 그래서 국화는 시詩와 ê·¸ë¦¼ì˜ ì œìž¬ê°€ ë˜ë©° ë§Žì€ ì‚¬ëž‘ì„ ë°›ì•„ì™”ë‹¤.

노란 꽃송ì´ê°€ í•˜ëŠ˜ë¹›ì„ ë°›ì•„ 환하고
찬 서리 맞으며 홀로 피어 당당하다
ë§‘ì€ í–¥ê¸° ì‚¬ë°©ì— í¼ì ¸ ë•ì„ ë² í’€ê³ 
들국화 ìˆ ì— ë„워 ê·¼ì‹¬ì„ ìžŠìœ¼ë¦¬
고결한 기품과 지조는 ì„ ë¹„ì˜ í‘œìƒì´ë¼
ì •ì‹ ì„ ìž˜ 길러 ë„é“를 찾으리

국화와 만난 ì§€ë‚œë‚ ì„ ì¶”ì–µí•˜ë©° ì˜¬í•´ë„ êµ­í™”ê½ƒ 축제를 찾아 ë³¼ 예정ì´ë‹¤. 작품ì—는 ë…¸ëž€ìƒ‰ì˜ ê¸°í’ˆ 있는 대국, 실국화와 í–‰ìš´ì„ ê°€ì ¸ë‹¤ì¤€ë‹¤ëŠ” ê°€ì„ë‚ ì˜ ê·€ëšœë¼ë¯¸ë¥¼ 그려 ê³„ì ˆì˜ ì •ì·¨ë¥¼ 담아낸 초충ë„를 그려보았다.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