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² 맨드ë¼ë¯¸ì™€ 매미

<혜명 초충ë„(맨드ë¼ë¯¸ì™€ 매미)>, 2021, í•œì§€ì— ë¶„ì±„, 봉채, 먹, 53×42ãŽ



ë²¼ìŠ¬ê¸¸ì— ìž‡ë‹¤ë¼ ìŠ¹ì§„í•˜ê¸°ë¥¼ 기ì›í•œë‹¤ëŠ” ì˜ë¯¸ì˜ 맨드ë¼ë¯¸, ì„ ë¹„ë“¤ì˜ ë³¸ë³´ê¸°ê°€ ëœ ë§¤ë¯¸, 그리고 바위를 ìµì„ ê´€ 모양으로 그려보았다. ìµì„ ê´€ì„ 쓸 ì¸ë¬¼ì´ 무지개 타고 내려오길 기ì›í•˜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오ë•ì„ ì§€ë‹Œ 매미

한여름 ë°¤ì— ë§¤ë¯¸ 소리 들린다. ìž‘ì€ ë°”ëžŒì´ë¼ë„ 들어오ë¼ê³  ì°½ë¬¸ì„ ì—´ì–´ ë‘ì—ˆë”니 “찌르르 맴맴†수컷 매미가 암컷 찾는 울ìŒì†Œë¦¬ê°€ 요란하다. 열대야로 ë°¤ì—ë„ í–‡ë¹› 강한 ë‚®ì—ë„ ì§ì„ 부른다. ë§¤ë¯¸ì˜ ê¸´ 금빛 날개는 부드럽게 ëª¸ì„ ë®ê³  있다.
매미ì—게 오ë•äº”å¾·ì´ ìžˆë‹¤ê³  하여 조선시대 ì„ ë¹„ë“¤ì´ ì‚¶ì˜ ê¸°ì¤€ìœ¼ë¡œ 삼았다고 한다. 첫째, 매미는 ë¨¸ë¦¬ì— ë°˜ë¬¸æ–‘ç´‹ì´ ìžˆìœ¼ë‹ˆ 학문(문文)ì´ ìžˆê³ , 둘째, ì´ìŠ¬ë§Œ 먹고 사니 ë§‘ìŒ(ì²­æ·¸)ì´ ìžˆê³ , 셋째, ì‚¬ëžŒì´ ê°€ê¿” ë†“ì€ ê³¡ì‹ì´ë‚˜ 채소를 í›”ì³ ë¨¹ì§€ 않으니 염치(염廉)ê°€ 있고, 넷째, 다른 곤충과 달리 ì§‘ì„ ì§“ê³  ì‚´ì§€ 않으니 검소(검儉)하고, 다섯째, ìžê¸°ê°€ 사는 ê³„ì ˆì„ ì§€í‚¤ë©° 떠나야 í•  때를 알고 있으니 ì‹ ì˜(ì‹ ä¿¡)를 갖췄다고 보았다.
조선시대 ìž„ê¸ˆì€ ìµì„ ê´€ç¿¼å–„å† ì„ ë¨¸ë¦¬ì— ì“°ê³  신하는 사모紗帽를 ì¼ëŠ”ë° ìµì„ ê´€ì—는 ë§¤ë¯¸ì˜ ë‚ ê°œê°€ 위로, 사모는 날개가 좌우로 달려있다. ëª¨ë‘ ë§¤ë¯¸ì˜ ì˜¤ë•äº”å¾·ì„ ë³¸ë°›ê¸° 위함ì´ë‹¤. 요즘 오후 비슷한 ì‹œê°„ì— ì†Œë‚˜ê¸°ì²˜ëŸ¼ 비가 ìŸì•„지다 그치기를 ìžì£¼ 하니 ‘무지개’가 떴다며 ì‚¬ì§„ì„ ì°ì–´ 보내왔다. ë™ìª½ì—서 서쪽으로 í¬ê²Œ ë°˜ì›ì„ 그리며 ì˜¤ìƒ‰ì˜ ìŒë¬´ì§€ê°œê°€ 구름다리를 만들어 신비로웠다. 옛날 ë§ì— 무지개ì—서는 ìžë¦¬ì— í° ì¸ë¬¼ì´ 난다고 하여 무지개 ê¿ˆì„ ê¾¼ 임산부는 태êµë¥¼ 잘하였다. í° ì¸ë¬¼ì´ 나와 나ë¼ë¥¼ 잘 다스려 êµ­ë¯¼ì´ ì•ˆì •ë˜ê³  편안하게 ì‚´ 수 있ë„ë¡ ë°˜ì„ìœ„ì— ì˜¬ë ¤ 세계 ì†ì—서 ìš°ëš ì„  ëŒ€í•œë¯¼êµ­ì„ ì´ë£¨ì—ˆìœ¼ë©´ 하고 간절히 소ì›í•œë‹¤.

맨드ë¼ë¯¸, 잇단 ìŠ¹ì§„ì„ ì¶•ì›

ì‚°ì±…ì„ í•˜ê³  들어오다 ì–´ëŠ ë™ ì•„íŒŒíŠ¸ 화단 ì•žì— ê½ˆë¦¬ëž‘ 맨드ë¼ë¯¸ë¥¼ ì¼ë ¬ë¡œ 심어 놓아 í•œì°¸ì„ ë“¤ì—¬ë‹¤ë³´ì•˜ë‹¤. 꽈리는 ê½ƒì´ í•€ 후 ê½ƒë°›ì¹¨ì´ ìžë¼ 주머니 모양으로 열매를 둘러싼다. 어린 시절 빨갛게 ìµì€ 열매를 따서 조심스레 씨를 빼내고 ìž…ì— ë„£ì–´ 꽈리를 불어본 ì¶”ì–µì´ ìžˆì–´ 반가웠다. 소나기 온 뒤여서 그런지 쓰러져 êº¾ì¸ ìž‘ì€ ë§¨ë“œë¼ë¯¸ ê½ƒì„ ì£¼ì›Œ 왔다. ì›ëž˜ ê½ƒì„ ì•„ì£¼ ì¢‹ì•„í•˜ê¸°ë„ í•˜ì§€ë§Œ ê·¸ë¦¼ì„ ê·¸ë¦¬ë©´ì„œ ëª¨ì–‘ì„ ì œëŒ€ë¡œ 알기 위해 ì‚¬ì§„ë„ ì°ê³  관찰하는 ìŠµê´€ì´ ë“¤ì—ˆë‹¤. 맨드ë¼ë¯¸ê½ƒì„ í™”ë³‘ì— ê½‚ì•„ ë‘ê³  스케치를 한다. ê½ƒì´ ìˆ˜íƒ‰ì˜ ë³ì²˜ëŸ¼ ìƒê²¼ë‹¤ê³  계관화鷄冠花ë¼ê³ ë„ í•˜ëŠ”ë° ê¼¬ë¶ˆê¼¬ë¶ˆí•œ ëª¨ì–‘ì´ ìƒê°ë³´ë‹¤ 그리기가 쉽지 않다. 나는 맨드ë¼ë¯¸ê°€ 지닌 ë¶‰ì€ ìƒ‰, 민화ì—서 ìƒì§•하는 ‘벼슬’ì´ëž€ ì˜ë¯¸, ê½ƒë§ â€˜ì—´ì •â€™ì„ ì¢‹ì•„í•œë‹¤. í•˜ëŠ˜ì„ í–¥í•´ ê³§ì¶” 세워진 ì¤„ê¸°ë„ íŠ¹ì´í•˜ë‹¤.
ê½ƒì„ ì§“ì°§ì–´ 만든 ë¶‰ì€ ìƒ‰ìœ¼ë¡œ ë°”íƒ•ìƒ‰ì„ ì¹ í•´ë³¼ê¹Œ? ë‹¬ë–¡ì— ê½ƒì„ ë¿Œë ¤ í™”ì „ì„ ë¶€ì¹˜ê³ , ì°»ë¬¼ì— ë„워 í‹°íƒ€ìž„ì„ ê°€ì ¸ë³¼ê¹Œ? 맨드ë¼ë¯¸ëŠ” â€˜ë²¼ìŠ¬ê¸¸ì— ë‚˜ì•„ê°„ë‹¤â€™ëŠ” ëœ»ì„ ê°€ì§„ë‹¤.
맨드ë¼ë¯¸ë¥¼ ë‹­ê³¼ 함께 그린 ê·¸ë¦¼ì€ â€˜ê´€ìƒê°€ê´€å† ä¸ŠåŠ å† â€™ì´ë¼ 하여 ‘벼슬길ì—서 잇달아 승진’하기를 기ì›í•œë‹¤ëŠ” ì˜ë¯¸ë¥¼ ë‹´ê³  있다. 오래 ì „ ì¡°ìžìš© ê¸°ë… ì‚¬ì—…íšŒì—서 주최하는 ì œ1회 대갈문화축제 현대 민화 ê³µëª¨ì „ì— ë§¨ë“œë¼ë¯¸ë¥¼ 그린 ìž‘í’ˆì„ ì¶œí’ˆí•˜ê¸°ë„ í–ˆë‹¤. 맨드ë¼ë¯¸ì™€ ë´‰í™©ì˜ ë³, 사모紗帽를 그려 ì œëª©ì„ â€˜ë²¼ìŠ¬â€™ì´ë¼ 하고 ê°œì¸ì ìœ¼ë¡œ â€˜ì§„ê¸‰â€™ì„ ê¸°ì›í•˜ëŠ” 마ìŒì„ ë‹´ì€ ìž‘í’ˆì´ë‹¤.
‘혜명 초충ë„’를 다섯 ì ì§¸ 그리며 맨드ë¼ë¯¸ì™€ 매미를 ì“°ê³  바위를 ìµì„ ê´€ 모양으로 그렸다. ìµì„ ê´€ì„ 쓸 ì¸ë¬¼ì´ 무지개 타고 내려오길 기ì›í•˜ë©°â€¦.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