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Š± í˜¸ëž‘ì´ ì´ì•¼ê¸°

<호랑ì´ì˜ 꿈>, 2021, ìˆœì§€ì— ë¶„ì±„, 채색물ê°, 40×60ãŽ



오랜 역사 ì†ì—서 꾸준히 사랑 받으며 ìš°ë¦¬ì˜ ì‚¶ ì†ì— 스며든 호랑ì´ëŠ”
한민족ì—게 신수神ç¸ë¡œ ìƒì„œë¡­ê³  길ìƒì ì¸ 존재다.
ê·¸ë¦¼ì€ â€˜ì¼ì›”ë„’를 í’ˆì€ í˜¸ëž‘ì´ë¡œ êµ°ìžå›å­ê°€ ë˜ê³  ì‹¶ì€ í˜¸ëž‘ì´ë¥¼ 표현한 작품ì´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호랑ì´ì˜ 꿈

í˜¸ëž‘ì´ ë‚´ë ¤ì˜¨ë‹¤

ë†’ì€ ì‚°, ê¹Šì€ ìˆ²ì†
천지를 울리는 소리

ë¶„í™ë¹› 무ê¶í™”ê°€
ì‚¼ì²œë¦¬ì— í”¼ì—ˆë„¤

색ë™ì €ê³ ë¦¬ í° ì˜· ìž…ê³ 
â€˜ì•„ë¦¬ëž‘â€™ì„ ë…¸ëž˜í•˜ê³  춤추는 사람들

검푸른 하늘ì—
태양과 달ì´
환하게 비추ì´ê³ 

오봉산 í­í¬ìˆ˜ 아래
í¬íš¨í•˜ëŠ” 호랑ì´ì˜ 꿈

무지개 ì„  ìžë¦¬ì—
ì ì†¡èµ¤æ¾ì´ í•˜ëŠ˜ì„ í–¥í•˜ê³ 
í¬ìž‘å–œéµ²ì„ íƒœìš´ 호랑ì´
나타났다

태í‰ì„±ëŒ€ë¥¼ ì´ë£¨ë¦¬~

호랑ì´ëŠ” 우리와 오랜 세월 함께 살아온 ë™ë¬¼ì´ë‹¤. íž˜ì´ ì„¸ë©´ì„œë„ ì¸ì • ë§Žê³  위엄 있는 모습으로 한국 문화와 한국ì¸ì˜ ëª¨ìŠµì„ ëŒ€ë³€í•œë‹¤. 1988올림픽ì—서 ‘호ëŒì´â€™ë¥¼ 한국 마스코트로 ì“°ê¸°ë„ í–ˆë‹¤. 예로부터 우리나ë¼ëŠ” ì‚°ì´ ë§Žì€ ë‚˜ë¼ë¡œ 호랑ì´ê°€ ë§Žì´ ì„œì‹í•˜ì—¬ ‘호랑ì´ì˜ 나ë¼â€™ë¡œ ì¼ì»¬ì–´ì¡Œë‹¤. ì§€ê¸ˆì€ í˜¸ëž‘ì´ê°€ ì‚°ì†ì—서 사ë¼ì¡Œì§€ë§Œ 1921ë…„ 경주 대ë•ì‚°ì—서 사냥꾼ì—게 í¬íšëœ ê²ƒì´ ë§ˆì§€ë§‰ì´ì—ˆê³  ë¶í•œì—서는 1993ë…„ê¹Œì§€ë„ í˜¸ëž‘ì´ê°€ 있었다고 한다.
호랑ì´ëŠ” 길ì´ê°€ 390㎠정ë„로 ë©ì¹˜ê°€ í¬ê³  잘 ë°œë‹¬ëœ ê·¼ìœ¡ê³¼ 균형 잡힌 몸매ì´ë©° 늠름한 기품과 신령스런 ìžíƒœë¡œ 백수百ç¸ì˜ 왕, ì‚°êµ°ìžå±±å›å­, 산신령山神éˆìœ¼ë¡œ 불렸다.
역사ì ìœ¼ë¡œ ë³´ë©´ ê±´êµ­ì‹ í™”ì—서 호랑ì´ëŠ” 단군 í™˜ì›…ì˜ ê³„ìœ¨ì„ ì§€í‚¤ì§€ 못했지만 ê³°ì´ ì´ë¥¼ 지켰다는 ë‚´ìš©ì´, 《삼국유사》와 《고려사》 등ì—는 후백제 ê²¬í›¤ì´ í˜¸ëž‘ì´ ì –ì„ ë¨¹ê³  컸다거나 ì‹ ë¼ ì§„ë•왕 때 ì•Œì²œê³µì´ ë‹¬ë ¤ë“  호랑ì´ì˜ 꼬리를 잡고 ë§¤ì³ ì£½ì˜€ë‹¤ë“ ì§€ í˜¸ê²½ì´ êµ´ 안ì—서 ìžê³  ìžˆëŠ”ë° ë°–ì—서 í˜¸ëž‘ì´ ìš¸ìŒì†Œë¦¬ê°€ 들려 밖으로 나왔ë”니 êµ´ì´ ë¬´ë„ˆì ¸ 살았다는 등 다양한 ì´ì•¼ê¸°ê°€ 전해진다. ê·¸ 외 전통회화와 공예품, ê³ ë¶„ê³¼ 사찰 등ì—ë„ í˜¸ëž‘ì´ê°€ 그려져 있다.
호랑ì´ëŠ” íž˜ì´ ì„¸ê³  용맹하다. ë°°ê°€ 고플 때는 먹ì´ë¥¼ 잡아먹지만 ë°°ê°€ 부르면 굶는다고 한다. í˜¸ëž‘ì´ ìš¸ìŒì†Œë¦¬ë§Œ ë“¤ì–´ë„ ëŒ€ë‹¤ìˆ˜ ë™ë¬¼ë“¤ì€ ë„ë§ê°€ê³  어린 ì•„ì´ë“¤ì€ 호랑ì´ëž€ ë§ë§Œ ë“¤ì–´ë„ ìš¸ìŒì„ 그친다고 한다. 병귀病鬼, 사귀邪鬼를 물리치는 íž˜ì´ ìžˆì–´ ë§¹ìˆ˜ì˜ ëª¨ìŠµì„ í•œ í˜¸ëž‘ì´ ê·¸ë¦¼ì„ ì„¸í™”æ­²ç•«ë¡œ ëŒ€ë¬¸ì— ë¶™ì´ê¸°ë„ 한다. 군대를 ìƒì§•하여 ë¬´ì‹ æ­¦è‡£ì˜ í‰ë°°èƒ¸èƒŒì— 새겨지고 무반武ç­ì„ 호반虎ç­ì´ë¼ 한다.
ì´ì•¼ê¸° ì†ì—서 효와 ë³´ì€ì˜ ë™ë¬¼ë¡œ 묘사ë˜ê±°ë‚˜ ì¸ê°„ 사회를 질타·í’ìží•˜ëŠ” 심íŒìž, ê±´êµ­ì„ ë„ìš´ ì¡°ë ¥ìž, ì˜ì›…ì˜ ì–‘ìœ¡ìž ë“±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ëœë‹¤. ê³ ë¶„ 벽화ì—는 사신ë„四神圖 중 하나로 ì„œìª½ì„ ì§€í‚¤ëŠ” 수호신으로서, ì‚¬ì°°ì˜ ì‚°ì‹ ë‹¹ì—는 산신山神과 함께 그려졌다. 민화ì—서는 ìµì‚´ìŠ¤ëŸ½ê³  친근한 모습으로 까치喜鵲와 함께 등장한다.
오랜 역사 ì†ì—서 꾸준히 사랑 받으며 ìš°ë¦¬ì˜ ì‚¶ ì†ì— 스며든 호랑ì´ëŠ” 한민족ì—게 신수神ç¸ë¡œ ìƒì„œë¡­ê³  길ìƒì ì¸ 존재다. ê·¸ë¦¼ì€ â€˜ì¼ì›”ë„’를 í’ˆì€ í˜¸ëž‘ì´ë¡œ êµ°ìžå›å­ê°€ ë˜ê³  ì‹¶ì€ í˜¸ëž‘ì´ë¥¼ 표현한 작품ì´ë‹¤.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