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ž ì˜¤ì›”ì˜ ìž‘ì•½

<초충ë„(작약과 장수í’뎅ì´)>, 2021, ìˆœì§€ì— ë¶„ì±„, 채색물ê°, 50×40ãŽ



부귀ì˜í™”를 뜻하는 모란, 청순ì´ë¼ëŠ” 꽃ë§ì„ 지닌 ë™ì‹œì—
약재로 ì¦ê²¨ì“°ì´ëŠ” ìž‘ì•½ì„ í•¨ê»˜ 그려 사랑과 ê±´ê°•ì„ ì—¼ì›í•˜ëŠ” 초충ë„를 그려보았다.

글·그림 최천숙 작가


푸른 오월. í° êµ¬ë¦„ 떠다니는 하늘ì—서 따뜻한 í–‡ë³•ì´ ë‚´ë ¤ì™€ ê½ƒì´ í”¼ì–´ë‚œë‹¤. 기와가 올려진 í™ë‹´ 아래 ìž‘ì•½ì´ í”¼ì–´ìžˆë‹¤. ë¶„í™ë¹› í°ìƒ‰ ê½ƒì´ ë‘ ì† ëª¨ì•„ 올린 함지박 모양ì´ë‹¤. 향기를 ë§¡ê³  ì‹¶ì–´ ì–¼êµ´ì„ ê°€ê¹Œì´ ëŒ€ë‹ˆ 소담스런 ë‹´í™ìƒ‰ ìˆ˜ìˆ ì— ë²Œì´ ì•‰ì•„ ê¿€ì„ ë¹¨ê³  있었다. ê½ƒì€ ì€ì€í•œ 향기를 내뿜으며 함박웃ìŒì„ ì§“ê³  있다. ìž‘ì•½ì€ ëª¨ëž€ê³¼ 비슷하게 ìƒê²¼ìœ¼ë©° 오래전부터 ìš°ë¦¬ë‚˜ë¼ ì‚°ì§€ì— í”¼ì—ˆë˜ ê½ƒìœ¼ë¡œ í¬ê³  íƒìŠ¤ëŸ¬ì›Œ 함박꽃ì´ë¼ê³ ë„ 한다.
모란과 ìž‘ì•½ì€ ëª¨ì–‘ì´ ë‹®ì•„ì„œì¸ì§€ 외국어로는 둘 다 ‘피어니(Peony)’ë¼ê³  칭한다. ëª¨ëž€ì€ ë‚˜ë¬´ì—서 ìžë¼ê³  ìž‘ì•½ì€ ë‹¤ë…„ì´ˆë¡œ í’€ì—서 ìžëž€ë‹¤. ë‘˜ì€ ì ‘ëª© êµë°°ë¥¼ 하여 서로 ë‹®ì„ ìˆ˜ë°–ì— ì—†ëŠ” 듯하다. ìž‘ì•½ì˜ ë¿Œë¦¬ëŠ” 약재로 ì“°ì´ëŠ”ë° ìž‘ì•½ê°ì´ˆ íƒ•ì€ ë‘통, í•´ì—´, ì´ë‡¨, ë³´í˜ˆì— ì¢‹ë‹¤. 그리스 ì‹ í™”ì—ì„œë„ ì˜ì‚¬ë¥¼ 뜻하는 ‘Paeonâ€™ì´ Peony로부터 유래했다고 하니 ë™ì„œì–‘ì—서 ëª¨ë‘ ìž‘ì•½ì˜ ì•½íš¨ì„±ì„ ì¸ì •하나보다. 그래서 ìžì‹ ì˜ ëª¸ì„ ë³´í˜¸í•˜ëŠ” ‘수호부ì â€™ìœ¼ë¡œë„ ì“°ì¸ë‹¤.

꽃송ì´ì— 깃든 추억과 사랑

ë‚˜ì˜ ì¹œì •ì§‘ í™”ë‹¨ì€ ì˜¤ì›”ì´ ë˜ë©´ 모란꽃 ë§ˆë‹¹ì´ ë˜ì—ˆë‹¤.
ìžì£¼ë¹› ëª¨ëž€ì´ ë‚˜ë¬´ ë‘¥ì¹˜ì— ë¹„í•´ í° ê½ƒì„ ê°€ë“ í”¼ì›Œ 아름다웠다. ê½ƒì´ í”¼ë©´ 행여나 ê½ƒìžŽì´ ê¸ˆì„¸ ì§ˆì„¸ë¼ ë¶€ëª¨ë‹˜ê³¼ ì†ìž¡ê³  ì‚¬ì§„ë„ ì°ê³  ê¹€ì˜ëž‘ì˜ â€˜ëª¨ëž€ì´ í”¼ê¸°ê¹Œì§€ëŠ”â€™ 시를 외워 ë³´ê¸°ë„ í–ˆë‹¤. ê½ƒì„ ì¢‹ì•„í•˜ì…”ì„œ 늘 ê½ƒì„ ì‹¬ê³  ê°€ê¾¸ì‹œë˜ ì•„ë²„ì§€ê»˜ì„œ ëŒì•„가신 후 ë™ë°±ë„, ìžì£¼ìƒ‰ ëª¨ëž€ë„ ë” ì´ìƒ 피지 않았다. ìž‘ì•½ì„ ë³´ë‹ˆ ëª¨ëž€ì´ ë– ì˜¬ë¼ ë‚˜ì˜ ì•„ë²„ì§€ê°€ 그리워진다.
우리 그림 민화ì—는 ëª¨ëž€ì´ ë§Žì´ ê·¸ë ¤ì ¸ 있다. ëª¨ëž€ì€ ë¶€ê·€å¯Œè²´ë¥¼ ìƒì§•하므로 ê¶ê¶ì´ë‚˜ 사대부 ì§‘ì•ˆì— ìžˆì—ˆë‹¤ë©´ ìž‘ì•½ì€ ì´ˆë³¸ì´ë¼ ì‚°ì§€ì— í”¼ì–´ 민가ì—서 사랑받지 않았ì„까 하는 ìƒê°ì´ 든다. ëª¨ëž€ì€ í¬ê³  화려하여 부귀ì˜í™”를 ìƒì§•하지만, ìž‘ì•½ì€ ìˆœìˆ˜í•˜ê³  수ì¤ì–´ ë³´ì´ê¸°ì— 꽃ë§ì´ ‘청순’ì´ë‹¤. 모란과 ìž‘ì•½ì— ëŒ€í•´ 다ìŒì˜ ì´ì•¼ê¸°ê°€ 전해진다.


왕ìžëŠ” 나ë¼ë¥¼ 지키러
ì „ìŸí„°ë¡œ 떠나가고 왕ìžë¥¼
사랑한 공주는 ëŒì•„오지 않는
ë‹˜ì„ ì°¾ìœ¼ëŸ¬ 떠났다.
왕ìžê°€ 전사한 ìžë¦¬ì—는
ë¶‰ì€ ëª¨ëž€ê½ƒì´ í”¼ì–´ 있었고
공주를 떠올리며 죽어간 ë‹˜ì„ ë”°ë¼
ê³µì£¼ë„ ê·¸ì˜ ì˜†ì— ëˆ„ì›Œ ëˆˆì„ ê°ì•˜ë‹¤.
ê³µì£¼ì˜ í˜¼ì€ ìž‘ì•½ì´ ë˜ì–´
모란꽃 ì˜†ì— ì²­ìˆœí•œ
모습으로 피어났다.


사랑하는 ë‹˜ì„ ë”°ë¼ê°„ 공주는 모란과 작약으로 해마다 피고 진다는 ì´ì•¼ê¸°ë‹¤.
작품ì—는 초본 ì‹ë¬¼ì¸ 작약, 번ì‹ì„ 위한 벌과 나비, 장수를 ìƒì§•하는 바위와 장수í’뎅ì´ë¥¼ 그려 넣어 ê¹Šì€ ì‚¬ëž‘ì„ ì „í•˜ê³  ê±´ê°•ì„ ì—¼ì›í•´ë³¸ë‹¤.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