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 ì„파정 나들ì´

ì„파정 ì´ˆìž…ì— ìœ„ì¹˜í•œ ë°”ìœ„ì— ìƒˆê²¨ì§„ ‘소수운렴암巢水雲簾è´â€™.
ì´ ê¸€ê·€ì²˜ëŸ¼ 파란 í•˜ëŠ˜ì— êµ¬ë¦„ì´ ë– ë‹¤ë‹ˆê³  ë¬¼ì´ í르는 ê³„ê³¡ì— ë‹¨í’나무가 ë°œì„ ì¹œ 아름다운
ê°€ì„ë‚  사랑하는 딸과 ì†ìžì™€ 함께 하여 ë”ì—†ì´ ì¦ê±°ì› ë˜ ì‹œê°„ì„ ê·¸ë ¤ë³´ì•˜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높고 푸르른 하늘 위로 í° êµ¬ë¦„ì´ ë‘¥ì‹¤ë‘¥ì‹¤ 떠다닌다. ì‚´ëž‘ì´ëŠ” 바람ì—ë„ í™©ìƒ‰ìœ¼ë¡œ 물든 ë‚˜ë­‡ìžŽì´ ë–¨ì–´ì ¸ 구른다. ì´ë ‡ê²Œ ì¢‹ì€ ê°€ì„ ë‚ , 우리는 ë™ë„¤ì—서 그리 ë©€ì§€ì•Šì€ ì„œìš¸ë¯¸ìˆ ê´€ ì„íŒŒì •ì— ë‚˜ë“¤ì´ ë‚˜ì„°ë‹¤. 외ì†ìžë¥¼ ë„“ì€ ê³³ì—서 뛰어다니게 하고, 다함께 ê°€ì„ë¹›ì„ ì¬ê³  ì‹¶ì–´ 딸과 함께 나왔다. ì†ìžì˜ ëŒìž”치를 í™ì§€ë™ì— 있는 ì„파정ì—서 í–ˆëŠ”ë° ìž”ì¹˜ìƒì„ ë°›ì€ ì†ìžê°€ 전통 í•œë³µì„ ìž…ê³  ë³µê±´ì„ ì”Œìš°ë©´ ë²—ì–´ 버리고 우는 ë°”ëžŒì— ì‚¬ì§„ 한 장 제대로 ì°ì§€ 못했다. ëŒìž¡ì´ ìƒì„ 차려 ì§‘ìœ¼ë¼ í–ˆë”니 ë§Žì´ ìš¸ì–´ì„œ 못하고 집으로 ëŒì•„와 억지로 했다. ë¶“, ëˆ, 활, ì¹¼, 청진기, íŒì‚¬ë´‰ë“±ì„ 차려ë‘ê³  친할머니는 청진기를, 나는 íŒì‚¬ ë´‰ì„ ìŠ¬ì© ì•žìª½ìœ¼ë¡œ 밀어 넣었ë”니 ì†ìžê°€ 청진기를 ì§‘ì–´ 들었다. ì†ìžê°€ 대를 ì´ì–´ ì˜ì‚¬ê°€ ë˜ì—ˆìœ¼ë©´ 하고 ì›í•˜ì…¨ë‚˜ë³´ë‹¤.

í¥ì„ ëŒ€ì›êµ°ì´ 사랑한 ì„파정

ì„파정石å¡äº­ì€ 조선시대 ê³ ì¢…ì˜ ì•„ë²„ì§€ì¸ í¥ì„ ëŒ€ì›êµ° ì´í•˜ì‘ì˜ ë³„ì„œåˆ¥å¢…ë¡œ ì„파는 ê·¸ì˜ ì•„í˜¸ì´ë‹¤. â€˜ì™•ì´ ì‚¬ëž‘í•œ ì •ì›â€™ì´ëž€ 글귀답게 ì„íŒŒì •ì€ ì¸ì™•ì‚°ì˜ ë°”ìœ„ì‚° ê¸°ìŠ­ì— ìžë¦¬ 잡아 수려한 í’ê²½ì„ ìžëž‘한다. ë¶ì•…ì‚°ì´ ë§ˆì£¼ ë³´ì´ê³  멀리 ë¶í•œì‚° 봉우리가 ë³´ì—¬ ì „ë§ì´ 확 트여 있고 í° ë°”ìœ„ì™€ 노송, 숲과 누ê°, ê³„ê³¡ì´ ì–´ìš°ëŸ¬ì ¸ 한옥과 함께 ë„“ì€ ìžì—°ì˜ ì •ì›ì„ ì´ë£¨ê³  있다.
í†µì¼ ì‹ ë¼ ì‹œëŒ€ì˜ ì‚¼ì¸µì„íƒ‘ì´ ë³´ì´ëŠ” 숲ì†ì˜ ëŒê¸¸ì„ ì†ìžì™€ ì†ìž¡ê³  걸어 오르다 노랑 ë²¤ì¹˜ì— ì•‰ì•„, ë‚™ì—½ì„ ë‘ ì†ì— 모아 꽃처럼 머리 위로 뿌렸다. ì½”ë¼ë¦¬ 바위ë¼ê³  불리는 너럭바위는 산봉우리처럼 í° ë°”ìœ„ì¸ë° ì •ë§ ì½”ë¼ë¦¬ 모양으로 ìƒê²¼ë‹¤. ‘소ì›ì„ ì´ë£¨ì–´ 주는 ë°”ìœ„â€™ë¼ í•˜ì—¬ ë‚˜ë„ ì†ìžê°€ 건강하게 잘 ìžë¼ê¸°ë¥¼ 소ì›í–ˆë‹¤. â€˜ë¬¼ì„ í’ˆê³  êµ¬ë¦„ì´ ë°œì„ ì¹˜ëŠ” 집’ì´ë¼ëŠ” ì„íŒŒì •ì€ ìš°ë¦¬ê°€ ìžì£¼ 보는 기와Profile를 ì–¹ì€ ì •ìžê°€ 아니고 화강암 ë°”ë‹¥ì— ì¤‘êµ­ ì²­ë‚˜ë¼ ì–‘ì‹ìœ¼ë¡œ ì§€ì€ ëˆ„ê°ìœ¼ë¡œ ì¡°ì„  ë§ê¸°ì˜ ë…특한 건축기법으로 지어졌다. ë¬¼ì´ ì¡¸ì¡¸ í르고 새소리 들려오는 ìˆ²ì† ëˆ„ê°ì˜ 지붕ì—는 하늘ì—서 내려온 별 ê°™ì€ ë‹¨í’ì´ ë°œì„ ì³¤ë‹¤. 시와 ì°½ì´ ìžˆì—ˆì„ ê²ƒ ê°™ì€ ì¡°ìƒë“¤ì˜ í’류와 정취가 ëŠê»´ì¡Œë‹¤. ë³„ì„œì˜ í•œì˜¥ ì§‘ 사랑채 ì˜†ì— ì˜¤ëž˜ëœ ë°˜ì†¡ç›¤æ¾ì´ ì„œìžˆëŠ”ë° ìˆ˜ë ¹ì´ 600~650ë…„ ë˜ëŠ” 노송ì´ë‹¤. ì²œë…„ì„ ì‚´ê¸°ë¥¼ ë°”ë¼ëŠ” 마ìŒìœ¼ë¡œ ‘천세송’ì´ë¼ 부른다. 굴곡진 ì—­ì‚¬ì˜ í름과 ë¹„ë°”ëžŒì„ ê²¬ë””ë©° 꿋꿋하게 살아온 소나무답게 나무 둥치와 ê°€ì§€ì˜ ëª¨ì–‘ì´ ê·¸ 긴 ì„¸ì›”ì„ ëŒ€ë³€í•˜ëŠ” 듯하다. ì—­ê²½ ì†ì—ì„œë„ ì ˆê°œì™€ ì˜ì§€ë¥¼ 잃지 ì•Šì•˜ë˜ ì¡°ì„ ì‹œëŒ€í•™ìžì™€ ì„ ë¹„ì˜ ì •ì‹ ì„ ëŠë¼ê²Œ 했다.
집안ì—서 ì—´ì–´ë‘” ì°½ì„ í†µí•˜ì—¬ ë³´ì´ëŠ” ì²œì„¸ì†¡ì€ ì•¡ìžì— 담긴 예술 작품ì´ì—ˆë‹¤. 미술관 안ì—ì„œë„ ì°½ì´ë‚˜ ë¬¸ì„ í†µí•´ ë³´ì´ëŠ” í•œì˜¥ì˜ í’ê²½ì€ í•œ í­ì˜ 그림ì´ì—ˆë‹¤. 천세송 ë’¤ìª½ì— ìžˆëŠ” 커다란 암반ì—는 ‘삼계ë™ä¸‰æºªæ´žâ€™, ë³„ì„œì´ˆìž…ì— ìžˆëŠ” 바위ì—는 ‘소수운렴암巢水雲簾è´â€™ë“±ì˜ ê°ìžê°€ ìžˆëŠ”ë° â€˜ì„파정’ ì´ì „ì—는 ‘삼계ë™â€™ì´ë¼ 하여 안ë™ê¹€ì”¨ ê¹€í¥ê·¼ì˜ 별장 ì´ì—ˆë‹¤ê³  한다. 사랑채 ë§žì€íŽ¸ì— ìžˆëŠ” ë°”ìœ„ì— ê±¸í„°ì•‰ì•„ 쉬면서 바위 ë’¤ 틈 사ì´ì— í•€ 코스모스를 배경으로 ì†ìžì™€ ì‚¬ì§„ì„ ì°ì—ˆë‹¤. 사진ì†ì˜ ëª¨ìŠµì´ ì˜›ë‚  ë‚´ 아들과 ì°ì€ ìžì„¸ëž‘ 비슷하여 신기했다. 소수운렴암… 파란 í•˜ëŠ˜ì— êµ¬ë¦„ì´ ë– ë‹¤ë‹ˆê³  ë¬¼ì´ í르는 ê³„ê³¡ì— ë‹¨í’나무가 ë°œì„ ì¹œ ì´ ì•„ë¦„ë‹¤ìš´ ê°€ì„ë‚  딸과 ì†ìžì™€ 함께하여 ë”ìš± ì¦ê±°ì› ë‹¤.
ê·¸ë¦¼ì€ ì„íŒŒì •ì˜ ì‚¬ëž‘ì±„ 안ì—서 복숭아를 ë‘ê³  창으로 ë³´ì´ëŠ” ì²œì„¸ì†¡ì„ ê·¸ë¦° 것으로 ë…¸ì†¡è€æ¾ê³¼ 천ë„天桃는 장ìƒå¼µç”Ÿì„ ìƒì§•한다. 소나무 둥치를 ì›ìœ¼ë¡œ 그려 순환과 ì˜ì›ì„ 표현하고 화제를 <장수ë„長壽圖>ë¼ ë¶™ì˜€ë‹¤.


최천숙ㅣ작가(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