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ã‰’ ë™ë°±ê½ƒì´ 피면

ë™ë°±ê½ƒì„ ë³¼ 때마다 ë™ë°±ê½ƒì„ 유난히 ì•„ë¼ì…¨ë˜ 아버지 ìƒê°ì´ 난다.
꿈ì†ì—서 ëµˆì—ˆë˜ ì•„ë²„ì§€ëŠ” ì Šì€ ë‚ ì˜ ëª¨ìŠµìœ¼ë¡œ 행복한 꽃놀ì´ë¥¼ 떠나는 모습ì´ì—ˆë‹¤.

글·그림 최천숙 작가


멀리 ë³´ì´ëŠ” 화단ì—서 붉ì€ë¹›ì´ ë³´ì´ê¸¸ëž˜ ‘무슨 ê½ƒì´ í”¼ì—ˆë‚˜?’ ì‹¶ì–´ 집으로 들어가려다 ë’¤ëŒì•„ 화단으로 ë›°ì–´ 갔다. 노란 수술 ê°™ì€ ì‚°ìˆ˜ìœ ëž‘ 향기로운 ë§¤í™”ë„ ì§€ê³  ìžŽì´ ë‚˜ëŠ”ë°â€¦. 나는 í‰ì†Œì—ë„ ê½ƒì„ ì¢‹ì•„í•´ ê½ƒì„ ë”°ë¼ë‹¤ë‹Œë‹¤. 키가 1më„ ì•ˆ ë˜ëŠ” ë™ë°±ë‚˜ë¬´ê°€ 몇 그루 모여 심겨져 ìžˆì—ˆëŠ”ë° ê½ƒì´ í”¼ê¸° ì „ì—는 무심코 지나다녔다. ë¶‰ì€ ë™ë°±ê½ƒì´ 무성한 잎 위로 올ë§ì¡¸ë§ 피어있다. ê½ƒìžŽì€ ê²¹ê²¹ì´ ê²¹ì¹œ ë™ê·¸ëž€ 모양ì´ì—ˆë‹¤. ê½ƒì´ ë‹¤ 피면 ì—´ ê²¹ë„ ë  ê²ƒ 같았다. 남쪽 바다 ê·¼ì²˜ì˜ ì„¬ì´ë‚˜ ì–¸ë•, ì‚°ì— í”¼ëŠ” ì•¼ìƒ ë™ë°±ê³¼ëŠ” 다른 모양ì´ë‹¤.

ë™ë°±ê½ƒì„ 사랑하신 아버지

ê²¹ë™ë°±ì„ ë³´ë©´ ëŒì•„가신 친정아버지 ìƒê°ì´ 절로 난다. 친정집 화단ì—ë„ í° ë™ë°±ë‚˜ë¬´ê°€ 있었다. 공무ì›ì´ì…¨ë˜ 아버지께서는 ì „ê·¼ 다니실 때마다 ë™ë°±ë‚˜ë¬´ë¥¼ 옮기며 소중히 키우셨다. 꽃과 새를 좋아하고 ì˜ˆìˆ ì  ì†Œì–‘ì´ ë§Žì•˜ë˜ ì•„ë²„ì§€ëŠ” ì´ì‚¬ë¥¼ ë‹¤ë‹ ë•Œ 마다 ì œì¼ ë¨¼ì € 꽃나무를 챙기셨다. ê½ƒì€ ì—°ë¶„í™ ê²¹ê½ƒìœ¼ë¡œ ì¸µì¸µì´ ê½ƒìžŽì´ ìžˆê³  가운ë°ì—는 연노랑 ìˆ˜ìˆ ì´ ë°•í˜€ìžˆë‹¤. í™œì§ í•€ ê½ƒì€ ì†ë°”닥만 í•œë° ê·¸ í™”ì‚¬í•¨ì´ ëˆˆë¶€ì…¨ë‹¤. 우리 ì§‘ ë™ë°±ë‚˜ë¬´ëŠ” 해마다 마당ì—서 ê½ƒì„ í”¼ì› ë‹¤. 어릴 때는 잘 몰ëžëŠ”ë° ê²°í˜¼ 후 한 번씩 친정ì—서 본 ë™ë°±ë‚˜ë¬´ëŠ” í‚¤ë„ ë‚˜ë³´ë‹¤ 훨씬 í¬ê³  ê½ƒë„ ë§Žì´ ë‹¬ë ¤ 아름다웠다. ê½ƒì´ ë–¨ì–´ì§ˆ 때는 ê½ƒì†¡ì´ í†µì§¸ë¡œ 떨어져, ìˆ˜ë°˜ì— ë„ìš°ë©´ ë©°ì¹ ì„ ë” ë³¼ 수 있었다. 아버지께서 ëŒì•„가시니 ë™ë°±ë‚˜ë¬´ë„ ê°™ì´ ë”°ë¼ ê°”ëŠ”ì§€ ë” ì´ìƒ 새봄 마다 ê½ƒì„ í”¼ìš°ì§€ 않았다. 언젠가 우리 ì§‘ì— ì˜®ê²¨ 심고 아버지 보듯 하려 했는ë°â€¦.
나는 아버지 ìž„ì¢…ì„ ë³´ì§€ 못했다. ì—°ë½ì„ 받고 서울서 내려가는 ì¤‘ì— ì•„ë²„ì§€ê»˜ì„œ ëŒì•„가셔서 ë‘ê³ ë‘ê³  안타까운 마ìŒìœ¼ë¡œ 남았다. ì•„ë²„ì§€ì˜ ê°ì€ 눈ì—는 ëˆˆë¬¼ì´ í˜ëŸ¬, ë³¼ì— í•œ 줄기 눈물ìžêµ­ì´ 남아있었다. 한줄기 ëˆˆë¬¼ì˜ ëœ»ì„ í—¤ì•„ë ¤ ë³´ë©° 나는 아버지 ì†ëª©ì— ë°±ë‘ì‚° 여행 ê°”ì„ ë•Œ ìƒ€ë˜ ê·¸ê³³ 나무로 만든 염주를 ë¼ì›Œ 드렸다. 아버지께서 íƒœê·¹ê¸°ì— ê°ì‹¸ì—¬ 화장ç«è‘¬ì‹¤ë¡œ 들어가는 ëª¨ìŠµì„ ë³´ë©° 편안하게 가시기를 ê¸°ë„ ë“œë ¸ë‹¤. 꿈ì†ì—서 아버지는 ì Šì€ ë‚ ì˜ ëª¨ìŠµìœ¼ë¡œ ê½ƒë†€ì´ ê°„ë‹¤ë©° 춤추듯 ê½ƒìžŽì„ ë¿Œë¦¬ê³  계셨다. ê½ƒì„ ì¢‹ì•„í•˜ì‹  아버지는 ëšëš 떨어진 ë™ë°±ê½ƒì„ ë°Ÿê³  ê°€ìŠ´ì— ë¶„í™ê½ƒì„ 한아름 안고 가셨ì„ì§€ë„ ëª¨ë¥´ê² ë‹¤.
ì´ë²ˆ ìž‘í’ˆì˜ ì†Œìž¬ëŠ” ë™ë°±ê½ƒì´ë‹¤. ë™ë°±ê½ƒì€ 고귀高貴와 ì‚¬ëž‘ì„ ìƒì§•하여 ê·¸ ì˜ë¯¸ê°€ ìƒí†µí•˜ë„ë¡ í™”ë ¤í•œ 꼬리와 아름다운 기품氣å“ì„ ìžëž‘하는 ê³µìž‘ì„ ê·¸ë ¤ 넣었다. ë°”ìœ„ì— ì—°í™”í™”ìƒì„ ì˜ë¯¸í•˜ëŠ” ì—°ê½ƒì„ ê·¸ë¦¬ê³ , ì—°ì†ì„±ì„ 뜻하는 ë©êµ´ë¬´ëŠ¬ë¥¼ ë”í•´ ìžì†ì˜ 번성과 ë³µì´ ì˜ì›ížˆ ì´ì–´ì§€ê¸¸ ì—¼ì›í•˜ëŠ” 마ìŒì„ 담았다.


최천숙ㅣ작가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문학가협회 ì´ì‚¬, (사)한국문ì¸í˜‘회, êµ­ì œpen한국본부 회ì›ì´ë‹¤.
저서로 수필집 《내가 행복할 때 ê·¸ëŒ€ëŠ”ã€‹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